KR102396270B1 -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270B1
KR102396270B1 KR1020190129018A KR20190129018A KR102396270B1 KR 102396270 B1 KR102396270 B1 KR 102396270B1 KR 1020190129018 A KR1020190129018 A KR 1020190129018A KR 20190129018 A KR20190129018 A KR 20190129018A KR 102396270 B1 KR102396270 B1 KR 10239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liquid crystal
pearl
beads
gra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680A (ko
Inventor
안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온
Priority to KR102019012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2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 또는 액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된 그래뉼 비드를 보호 베이스에 투입하여,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고, 이를 통해 심미감이 증대되도록 한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anule b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펄 또는 액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된 그래뉼 비드를 보호 베이스에 투입하여,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고, 이를 통해 심미감이 증대되도록 한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을 표현하는 데에는 염료나 안료를 사용하는데, 색의 재료들은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 분자들을 함유하고 있다. 구조적 색상은 빛 간섭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빛과 재료가 상호작용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한다. 또한, 주로 무지개 색으로 우리가 보는 색상은 보는 각도, 빛의 각도에 따라 구조적 색상이 다르며, 이는 오팔, 비누 방울, 나비 날개, 무당벌레, 새 깃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메이크업 화장료의 경우 화려한 펄감보다 피부 위에서의 잔잔한 펄감을 제공하였다. 최근에는 펄감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늘어나기 때문에 이를 만족시키는 새로운 제형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펄 광택 안료는 알루미나, 실리카 등에 피복 처리된 고기능성 펄 안료들이 사용되었으며, 두께에 따라 색상 차이를 주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해내었다. 또한, 개성있는 자기 연출을 위해 광택있고 화사한 메이크업 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증가하였다.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안료에 두께의 변화뿐만아니라 기재에 코팅된 저굴절률 물질 위에 고굴절률 코팅재를 한번 더 코팅하여 굴절률과 매개질의 굴절률 변화에 따라 빛의 흡수, 반사, 산란, 간섭에 의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한다.
기존 출시된 펄 프라이머의 경우 펄을 단독으로 오일에 분산시키거나 캡슐형태의 구 내에 펄을 넣어 불투명하고 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색소를 넣어서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캡슐 내에 색소를 넣어 위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피부는 신체를 감싸서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기관으로써 생물학적 기능은 물론 인간의 외모, 사회적 접촉, 자기 이미지에 대해 상당한 영향력을 주어서 결과적으로 개인행복과도 연결된다. 피부는 체온조절, 자외선, 수분증발 방지 등 외부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유해균 등으로부터 방어막의 역할을 수행한다. 건조한 피부는 피지선이 정상보다 잘 발달해 있지 않은 경우 피지분비감소로 인해 만들어지며 표피와 진피를 포함한 피부의 전 층에 일어나는 변화 때문에 생성된다. 건조한 상태가 유지될 경우 피부건조증으로 이어지게 되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피부보습이 필요하다.
한편, 피부 표피 최외각의 각질층은 피부지질과 각질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피부지질은 피부 장벽기능을 담당하며, 각질의 세포분열, 분화를 조절하고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체내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고 수분증발 방지기능을 담당한다. 피부지질은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자유지방산 등으로 수분유지나 세포간 접착, 외적 자극에 대해 피부장벽 기능에 기여하고 있다.
피부보습에 대한 연구로 유효물질의 침투, 흡수 목적으로 리포좀, 액정 등 구조체가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액정은 고체와 액체의 중간상태를 일컫는 용어로, 대개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유기분자들이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일정하게 배열하여 여러 층을 이루고 있으며, 액정은 액체와 고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점도와 유동성 측면에서는 액체의 특성을 보이고, 빛의 산란과 반사 같은 물성에 있어서는 고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등 고유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 의약품, 식품 및 전자공업 등 그 응용범위가 넓다.
상기 액정의 종류로는 콜레스테릴벤조에트, 에틸파라아족시벤조에트, 파라아족시아니솔 등이 있으며 전이점에서 끈적끈적하고 탁해지며, 가온하여 융점에 도달할 경우 투명한 액체가 된다. 액정은 thermotropic 액정, lyotropic 액정 두 종류로 나뉘며 thermotropic 액정은 smectic, nematic, cholesteric 형으로, lyotropic 액정은 cubic, lamellar, hexagonal로 나뉜다. Lamellar 구조는 높은 안정성, 제조의 용이성, 우수한 사용감, 보습 효과 유지 등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지질, 유성막, 수성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판상구조로 피부의 각질층의 세포간지질의 구조와 매우 유사하여 피부의 수분증발을 막는다.
특히, 콜레스테롤 액정은 고체와 액체 중간 상태의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이며 액정분자가 규칙적으로 비틀려 배열되어 있고 분자의 축이 평행하게 배열되어있어 독특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액정을 비드 형태 내에 함침하는 마이크로플루딕스 기술을 활용하여 만든 원료를 사용했다. 마이크로플루이딕스는 picoliter 스케일에서 유체의 거동을 비롯한 이동현상을 연구하는 기술분야로 소량의 유체를 정확한 양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반응시간이 빠르고 반응조건의 제어가 용이하고, 소량의 동력만을 필요로 고, 전기장 가열, 초음파 등 비 전통적적인 방법에 의하여 유체를 다룰 수 있어 다중액정과 같은 다분산성을 이루어 다중기능의 유화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은 펄 또는 액정 등을 베이스에 그대로 섞어서 포함하거나, 불투명한 상태로 보호막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캡슐형태로 제품화하였기 때문에 심미적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펄 비드가 포함됨으로써 브라이트닝 효과로 화사한 피부 표현이 가능하고, 액정 비드가 포함됨으로써 다양한 색깔이 표현되어 피부의 붉은톤은 초록빛, 노란톤은 보라빛을 통한 보색효과에 의해 피부가 전체적으로 색감이 안정되는 느낌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926호(2013.06.03. 공고), "비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펄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와 액정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 및 보호 베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의 빛 굴절 효과를 통해 펄 그래뉼 비드가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여 심미감이 증대되도록 한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펄과 액정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 및, 보호 베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에 분산된 액정의 빛 굴절 효과를 통해 펄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여 심미감이 증대되도록 한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펄이 내부에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 및,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로 구성된 보호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펄 그래뉼 비드는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마이카,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또는 합성플루오르프로고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의 펄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펄 그래뉼 비드는 전체 중량 대비 20.0 내지 4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 콜레스테릴아이소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부티레이트, 세라이이드에이피, 세라미이드엔지, 세라마이드엔피, 세라마이드에이에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의 액정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0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펄 그래뉼 비드 및 액정 그래뉼 비드는 내측비드와 외측비드로 구성되되, 각각 펄과 액정이 상기 내측비드의 내부에만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펄과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 및,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로 구성된 보호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는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마이카, 칼슘소듄보로실리케이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또는 합성플루오르프로고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의 펄 성분과;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 콜레스테릴아이소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부티레이트, 세라이이드에이피, 세라미이드엔지, 세라마이드엔피, 세라마이드에이에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의 액정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30.0 내지 6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는 내측비드와 외측비드로 구성되되, 펄과 액정이 상기 내측비드의 내부에만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펄이 내부에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는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는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를 교반하여 보호 베이스를 제조하는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 및,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보호 베이스에 상기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펄 그래뉼 비드 및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에서 제조된 액정 그래뉼 비드를 투입하는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호 베이스에 펄 그래뉼 비드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0 내지 4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하고,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2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 및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에서는 각각 펄과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내측비드 및 상기 내측비드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비드로 구성되도록 액정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펄과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는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를 교반하여 보호 베이스를 제조하는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20); 및,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보호 베이스에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 그래뉼 비드를 투입하는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호 베이스에 혼합 그래뉼 비드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0 내지 6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는 펄과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내측비드 및 상기 내측비드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비드로 구성되도록 혼합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펄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와 액정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 및 보호 베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에 빛의 투과 및 굴절 효과를 통해 펄 그래뉼 비드가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여 심미감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펄과 액정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 및, 보호 베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에 분산된 액정의 빛 굴절 효과를 통해 펄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여 심미감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펄 그래뉼 비드의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그래뉼 비드의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펄 그래뉼 비드 및 액정 그래뉼 비드를 보호베이스에 수용중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그래뉼 비드의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혼합 그래뉼 비드를 보호베이스에 수용중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펄 그래뉼 비드(10)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펄 그래뉼 비드(10) 및 액정 그래뉼 비드(20)를 보호베이스(S1)에 수용중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펄(P)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10) 20.0 내지 40.0 중량%;
액정(C)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20) 10.0 내지 20.0 중량% 및,
보습제 5.0 내지 10.0 중량%; 필름포머 0.5 내지 5.0중량%; 스킨컨디셔닝제 0.5 내지 5.0 중량%; 점도조절제 0.5 내지 30.0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5.0중량%; 방부제 1.0 내지 5.0중량%; 킬레이트제 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의 용제로 구성된 보호 베이스(S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는 덩어리 형태의 제형이다.
본 발명에서 '그래뉼 비드'라는 용어는 그래뉼(granule, 작은알갱이)이 내부에 분산된 비드(beads, 덩어리)를 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본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이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는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알긴산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는 구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구형이 펄 그래뉼 비드(10)의 빛의 굴절로 인한 심미적 효과를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펄 그래뉼 비드(10)의 형태를 완벽한 구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면 빛의 굴절이 일어나기에 충분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펄 그래뉼 비드(10)의 직경을 크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사용자가 보고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너무 작은 크기인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화장품 용기에 들어가기 곤란한 너무 큰 크기인 것도 적절하지 않을것이다.
0.5mm 내지 10mm가 적절하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3mm가 적절하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의 내부에는 펄(P)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상기 펄(P)은 고굴절률, 저굴절률 성분들이 이중 코팅이 되어있는 펄을 사용함으로써, 빛의 산란 효과에 의해 다양한 색을 표현하며, 상기 펄(P)의 사이즈는 20㎛ 내지 150㎛가 적절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0㎛이다.
상기 펄(P)은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마이카, 칼슘소듄보로실리케이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또는 합성플루오르프로고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0 내지 4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종래의 펄(P)이 함유된 제품의 경우 펄의 함량이 증가하면 제형 안정도가 낮아지는 특징이 있지만, 본 발명은 비드 내에 분산된 펄(P)을 사용함으로써 안정도를 높임과 동시에, 종래의 펄(P)이 함유된 제품에 비해 높은 수치인 20.0 내지 40.0 중량%로 펄(P)을 포함함으로써, 화려한 펄감을 나타내 심미감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 내측비드(12)와 외측비드(14)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비드(12)는 오일성분으로 구성되며, 펄 그래뉼 비드(10)의 내측에서 작은 구형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외측비드(14)는 수용성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비드(1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비드(14)는 내측비드(1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측비드(12)와 외측비드(14)는 이중노즐을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펄(P)은 펄 그래뉼 비드(10)의 오일 성분 내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펄 그래뉼 비드(10)는 내측비드(12)와 외측비드(14)로 구성되되, 펄(P)이 상기 내측비드(12)의 내부에만 균일하게 분산된 것일 수 있다. 펄(P)이 내부에만 분산되면 빛의 다각도 굴절에 의해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펄(P)은 내측비드(12)와 외측비드(14)의 빛 굴절효과를 통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여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예컨데, 종래의 비드는 빛(L3)이 비드의 내부를 관통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펄 그래뉼 비드(10)는 비드 내부를 빛(L3)이 관통하여 반투명상태이며, 오일성분인 내측비드(12)와 수용성성분인 외측비드(14)에 형성되는 경계면에 의해 빛의 반사가 일부 일어나게 된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여 내측비드(12)로 투과된 빛(L1)은 펄(P)에 반사되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며, 경계면에 의해 반사되어 외측비드(14) 밖으로 유출되는 빛(L2)은 상기 펄(P)로부터 반사되는 색감과 융합되면서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에 영롱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비드(12)의 오일성분과, 외측비드(14)의 수용성성분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펄 그래뉼 비드(10)가 투명성을 갖는 한에서, 다양한 오일성분과, 수용성성분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수용성 성분은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수용액에 드롭되어 외벽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용액과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용액이 반응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콜라겐과 같은 수용액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용액과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 역시 펄 그래뉼 비드(10)와 마찬가지로 덩어리 형태의 제형이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알긴산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펄 그래뉼 비드(10)와 동일한 형상인 구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구형이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빛의 굴절로 인한 심미적 효과를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형태를 완벽한 구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면 빛의 굴절이 일어나기에 충분할 것이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직경을 딱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펄 그래뉼 비드(10)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적절할 것이다.
0.5mm 내지 10mm가 적절하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3mm가 적절하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내부에는 액정(C)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상기 액정(C)은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 콜레스테릴아이소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부티레이트, 세라이이드에이피, 세라미이드엔지, 세라마이드엔피, 세라마이드에이에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내측비드(22)와 외측비드(24)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비드(22)는 오일성분으로 구성되며,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내측에서 작은 구형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외측비드(24)는 수용성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비드(2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비드(24)는 내측비드(2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측비드(22)와 외측비드(24)는 이중노즐을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액정(C)은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오일 성분 내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내측비드(22)와 외측비드(24)로 구성되되, 액정(C)이 상기 내측비드(22)의 내부에만 균일하게 분산된 것일 수 있다. 액정(C)이 내부에만 분산되면 빛의 다각도 굴절에 의해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액정(C)은 내측비드(22)와 외측비드(24)의 빛 굴절효과를 통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여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예컨데, 종래의 비드는 빛(L3)이 비드의 내부를 관통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비드 내부를 빛(L3)이 관통하는 반투명상태이며, 오일성분인 내측비드(22)와 수용성성분인 외측비드(24)에 형성되는 경계면에 의해 빛의 반사가 일부 일어나게 된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여 내측비드(22)로 투과된 빛(L1)은 액정(C)에 반사되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며, 경계면에 의해 반사되어 외측비드(24) 밖으로 유출되는 빛(L2)은 상기 액정(C)으로부터 반사되는 색감과 융합되면서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에 영롱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비드(22)의 오일성분과, 외측비드(24)의 수용성성분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액정 그래뉼 비드(20)가 투명성을 갖는 한에서, 다양한 오일성분과, 수용성성분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수용성 성분은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수용액에 드롭되어 외벽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용액과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용액이 반응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콜라겐, 아가로스, 카라기난 등과 같은 수용액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용액과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베이스(S1)에는 비드가 수용된다.
상기 보호 베이스(S1)는 비드끼리 서로 충돌하여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심미감을 증대시키며, 피부에 수분 및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 베이스(S1)는 보습제 5.0 내지 10.0 중량%; 필름포머 0.5 내지 5.0중량%; 스킨컨디셔닝제 0.5 내지 5.0 중량%; 점도조절제 0.5 내지 30.0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5.0중량%; 방부제 1.0 내지 5.0중량%; 킬레이트제 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의 용제로 구성된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프로필렌글라이콜, 메틸글루스, 글루타믹애씨드, 베타인, 소듐락테이트, 소듐피씨에이, 1,3부탄다이올, 헥실렌글라이콜, 에톡시다이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소듐옥시다이즈드스타치아세테이트/석시네이트, PEG-8, PEG-14, PEG-3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가지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5.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름포머는 비드끼리 부딪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름포머는 알파-글루칸,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치하이드롤리세이트, 포타슘피씨에이, 폴리글루타민산, 글리세릴폴리아크릴레이트, 갈락토아라비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가지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5 내지 5.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피부에 각종 영양을 공급하는 기능성 성분이다.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판테놀, 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론산, 카프릴글라이콜, 디글리세린, 피리독신트리스-헥실데카이노에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히스티딘에이치씨엘, 알라닌, 트레오닌, 라이신에이치씨엘, 크레아틴, 세라마이드엔피, 글루코실세라마이드, 라놀린, 호호바오일, 올리브오일,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다이부틸아디페이트, 부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가지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보호 베이스(S1)와 비드를 배합하는 과정에서 비드가 깨짐현상 확률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칼슘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메틸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검,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부틸메틸셀룰로오스,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소듐셀룰로오스설페이트,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소듐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 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카복시메틸키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가지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5 내지 30.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PEG-6다이올리에이트, PEG-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PEG-5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PEG-85 라놀린, 소듐콘드로이틴설페이트,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마이드라이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가지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5.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방부제는 보호 베이스(S1)와 더불어 비드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부제는 에틸헥실글리세린,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페녹시에탄올, 헥산다이올, 펜타다이올, 옥탄다이올, 비에이치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가지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보호 베이스(S1) 내부의 금속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다이암모늄이디티에이,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다이포타슘이디티에이, 칼슘다이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트라이소듐이디티에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가지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용제는 에탄올, 올레일알코올, 다마스크장미꽃수, 이소프로판올,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에톡시다이글라이콜, 포스페이트버퍼드셀라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가지 이상이며, 잔량으로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구성된 보호 베이스(S1)는 상온에서 27000cP 내지 35000cP의 점도를 갖는 것으로써, 비드파괴 가능성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베이스(S1)의 산도는 pH5.0 내지 pH6.5로 피부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수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펄(P)과 액정(C)을 하나의 비드에 포함시킴으로써, 심미감이 더욱 증대된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혼합 그래뉼 비드(30)를 보호베이스(S1)에 수용중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펄(P)과 액정(C)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30) 30.0 내지 60.0 중량%; 및,
보습제 5.0 내지 10.0 중량%, 필름포머 0.5 내지 5.0중량%, 스킨컨디셔닝제0.5 내지 5.0 중량%, 점도조절제 0.5 내지 30.0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5.0, 방부제 1.0 내지 5.0중량%, 킬레이트제 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의 용제로 구성된 보호 베이스(S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펄 그래뉼 비드(10) 및 액정 그래뉼 비드(20)와 마찬가지로 덩어리 형태의 제형이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알긴산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구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구형이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빛의 굴절로 인한 심미적 효과를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형태를 완벽한 구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면 빛의 굴절이 일어나기에 충분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직경을 크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사용자가 보고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너무 작은 크기인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화장품 용기에 들어가기 곤란한 너무 큰 크기인 것도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0.5mm 내지 10mm가 적절하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3mm가 적절하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내부에는 펄(P)과 액정(C)이 동시에 포함되며,상기 펄(P)과 액정(C)은 혼합 그래뉼 비드(30)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상기 펄(P)은 고굴절률, 저굴절률 성분들이 이중 코팅이 되어있는 펄을 사용함으로써, 빛의 산란 효과에 의해 다양한 색을 표현하며, 상기 펄(P)의 사이즈는 20㎛ 내지 150㎛가 적절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0㎛이다.
상기 펄(P)은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마이카, 칼슘소듄보로실리케이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또는 합성플루오르프로고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액정(C)은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 콜레스테릴아이소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부티레이트, 세라이이드에이피, 세라미이드엔지, 세라마이드엔피, 세라마이드에이에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0 내지 6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상기 보호 베이스(S1)에 수용되어 혼합 그래뉼 비드(30)끼리 충돌하여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내측비드(32)와 외측비드(34)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비드(32)는 오일성분으로 구성되며,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내측에서 작은 구형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외측비드(34)는 수용성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비드(3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비드(34)는 내측비드(3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측비드(32)와 외측비드(34)는 이중노즐을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펄(P)과 액정(C)은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오일 성분 내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내측비드(32)와 외측비드(34)로 구성되되, 펄(P)과 액정(C)이 상기 내측비드(32)의 내부에만 균일하게 분산된 것일 수 있다. 펄(P)과 액정(C)이 내부에만 분산되면 빛의 다각도 굴절에 의해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펄(P)과 액정(C)은 내측비드(32)와 외측비드(34)의 빛 굴절효과를 통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여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예컨데, 종래의 비드는 빛(L3)이 비드의 내부를 관통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비드 내부를 빛이 관통하는 반투명상태이며, 오일성분인 내측비드(32)와 수용성성분인 외측비드(34)에 형성되는 경계면에 의해 빛의 반사가 일부 일어나게 된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여 내측비드(32)로 투과된 빛(L1)은 펄(P)과 액정(C)에 반사되어 다각도에서 다양한 색감을 발휘하며, 경계면에 의해 반사되어 외측비드(34) 밖으로 유출되는 빛(L2)은 상기 펄(P)과 액정(C)으로부터 반사되는 색감과 융합되면서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에 영롱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비드(32)의 오일성분과, 외측비드(34)의 수용성성분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혼합 그래뉼 비드(30)가 투명성을 갖는 한에서, 다양한 오일성분과, 수용성성분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수용성 성분은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수용액에 드롭되어 외벽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용액과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용액이 반응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콜라겐, 아가로스, 카라기난 등과 같은 수용액은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용액과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펄(P)이 내부에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10)를 제조하는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
액정(C)이 내부에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20)를 제조하는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를 교반하여 보호 베이스(S1)를 제조하는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 및,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보호 베이스(S1)에 상기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펄 그래뉼 비드(10) 및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에서 제조된 액정 그래뉼 비드(20)를 투입하는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는 펄(P)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10)를 제조한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는 덩어리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는 구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의 내부에는 펄(P)을 분산시킨다.
상기 펄(P)은 고굴절률, 저굴절률 성분들이 이중 코팅이 되어있는 펄을 사용함으로써, 빛의 산란 효과에 의해 다양한 색을 표현하며, 상기 펄(P)의 사이즈는 20㎛ 내지 150㎛인 것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0㎛인 것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펄(P)은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마이카, 칼슘소듄보로실리케이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또는 합성플루오르프로고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이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0 내지 40.0 중량%로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펄 그래뉼 비드(10)는 오일성분인 내측비드(12)와 수용성성분인 외측비드(1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펄(P)은 펄 그래뉼 비드(10)의 오일 성분 내에만 위치하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비드(12)와 외측비드(14)는 이중노즐을 통해 제조한다. 다시 말해, 펄(P)이 분산된 오일성분을 내측비드(12)로 제조함과 동시에, 외측비드(14)가 상기 내측비드(12)를 외부에서 포집하도록 제조한다.
다음으로, 외측비드(14)의 외막에 필름을 형성하여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을 수행하면, 펄 그래뉼 비드(10)의 제조가 완료된다.
다시 말해, 상기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는 펄(P)이 내부에 분산된 내측비드(12) 및 상기 내측비드(12)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비드(14)로 구성되도록 펄 그래뉼 비드(10)를 제조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에서는 액정(C)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20)를 제조한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 역시 펄 그래뉼 비드(10)와 마찬가지로 덩어리 형태로 제조한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펄 그래뉼 비드(10)와 동일한 형상인 구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내부에는 액정(C)을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기 액정(C)은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 콜레스테릴아이소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부티레이트, 세라이이드에이피, 세라미이드엔지, 세라마이드엔피, 세라마이드에이에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이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는 오일성분인 내측비드(22)와 수용성성분인 외측비드(2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펄(P)은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오일 성분 내에만 위치하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비드(22)와 외측비드(24)는 이중노즐을 통해 제조한다. 다시 말해, 펄(P)이 분산된 오일성분을 내측비드(22)로 제조함과 동시에, 외측비드(24)가 상기 내측비드(22)를 외부에서 포집하도록 제조한다.
다음으로, 외측비드(24)의 외막에 필름을 형성하여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을 수행하면, 액정 그래뉼 비드(20)의 제조가 완료된다.
다시 말해,,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는 액정(C)이 내부에 분산된 내측비드(22) 및 상기 내측비드(22)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비드(24)로 구성되도록 액정 그래뉼 비드(20)를 제조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는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를 교반하여 보호 베이스(S1)를 제조한다.
상기 보호 베이스(S1)는 보습제 5.0 내지 10.0 중량%; 필름포머 0.5 내지 5.0중량%; 스킨컨디셔닝제 0.5 내지 5.0 중량%; 점도조절제 0.5 내지 30.0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5.0중량%; 방부제 1.0 내지 5.0중량%; 킬레이트제 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의 용제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보호 베이스(S1)에 상기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펄 그래뉼 비드(10) 및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에서 제조된 액정 그래뉼 비드(20)를 투입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호 베이스(S1)에 펄 그래뉼 비드(10)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0 내지 4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하고,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20)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2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펄(P)과 액정(C)이 내부에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30)를 제조하는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를 교반하여 보호 베이스(S1)를 제조하는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20); 및,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보호 베이스(S1)에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 그래뉼 비드(30)를 투입하는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는 펄(P)과 액정(C)이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30)를 제조한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덩어리 형태로 제조한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구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내부에 펄(P)과 액정(C)이 동시에 포함시키며,상기 펄(P)과 액정(C)을 혼합 그래뉼 비드(30)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준다.
상기 펄(P)은 고굴절률, 저굴절률 성분들이 이중 코팅이 되어있는 펄을 사용함으로써, 빛의 산란 효과에 의해 다양한 색을 표현하며, 상기 펄(P)의 사이즈는 20㎛ 내지 150㎛인 것을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0㎛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펄(P)은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마이카, 칼슘소듄보로실리케이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또는 합성플루오르프로고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이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액정(C)은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 콜레스테릴아이소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부티레이트, 세라이이드에이피, 세라미이드엔지, 세라마이드엔피, 세라마이드에이에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이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0 내지 60.0 중량%로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30)는 오일성분인 내측비드(32)와 수용성성분인 외측비드(3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펄(P)과 액정(C)은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오일 성분 내에만 위치하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비드(32)와 외측비드(34)는 이중노즐을 통해 제조한다. 다시 말해, 펄(P)과 액정(C)이 분산된 오일성분을 내측비드(32)로 제조함과 동시에, 외측비드(34)가 상기 내측비드(32)를 외부에서 포집하도록 제조한다.
다음으로, 외측비드(34)의 외막에 필름을 형성하여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을 수행하면, 혼합 그래뉼 비드(30)의 제조가 완료된다.
다시 말해,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는 펄(P)과 액정(C)이 내부에 분산된 내측비드(32) 및 상기 내측비드(32)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비드(34)로 구성되도록 혼합 그래뉼 비드(30)를 제조하는 과정일 수 있다.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20)에서는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를 교반하여 보호 베이스(S1)를 제조한다.
상기 보호 베이스(S1)는 보습제 5.0 내지 10.0 중량%; 필름포머 0.5 내지 5.0중량%; 스킨컨디셔닝제 0.5 내지 5.0 중량%; 점도조절제 0.5 내지 30.0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5.0중량%; 방부제 1.0 내지 5.0중량%; 킬레이트제 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의 용제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보호 베이스(S1)에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 그래뉼 비드(30)를 투입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호 베이스(S1)에 혼합 그래뉼 비드(30)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0 내지 6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 펄 그래뉼 비드 20: 액정 그래뉼 비드
30: 혼합 그래뉼 비드
12, 22, 32: 내측비드 14, 24, 34: 외측비드
P: 펄 C: 액정
S1: 보호 베이스
L1, L2, L3 : 빛

Claims (16)

  1.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또는 알긴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펄이 내부에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또는 알긴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 및,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로 구성된 보호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펄 그래뉼 비드 및 액정 그래뉼 비드는 내측비드와 외측비드로 구성되며, 각각 펄과 액정이 상기 내측비드의 내부에만 균일하게 분산되되,
    상기 펄 그래뉼 비드 및 액정 그래뉼 비드는 비드 내부를 빛(L3)이 관통하여 반투명상태이며, 내측비드와 외측비드에 형성되는 경계면에 의해 빛의 반사가 일부 일어나게 되어,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여 내측비드로 투과된 빛(L1)은 펄(P) 또는 액정(C)에 반사되며, 경계면에 의해 반사되어 외측비드 밖으로 유출되는 빛(L2)은 상기 펄(P) 또는 액정(C)으로부터 반사되는 색과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 그래뉼 비드는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마이카, 칼슘소듄보로실리케이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또는 합성플루오르프로고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의 펄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 그래뉼 비드는 전체 중량 대비 20.0 내지 4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 콜레스테릴아이소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부티레이트, 세라이이드에이피, 세라미이드엔지, 세라마이드엔피, 세라마이드에이에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의 액정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10.0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또는 알긴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펄과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 및,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로 구성된 보호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는 내측비드와 외측비드로 구성되며, 펄과 액정이 상기 내측비드의 내부에만 균일하게 분산되되,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는 비드 내부를 빛이 관통하는 반투명상태이며, 내측비드와 외측비드에 형성되는 경계면에 의해 빛의 반사가 일부 일어나게 되어,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여 내측비드로 투과된 빛(L1)은 펄(P)과 액정(C)에 반사되며, 경계면에 의해 반사되어 외측비드 밖으로 유출되는 빛(L2)은 상기 펄(P)과 액정(C)으로부터 반사되는 색과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는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틴옥사이드, 마이카, 칼슘소듄보로실리케이트, 칼슘티타늄보로실리케이트 또는 합성플루오르프로고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의 펄 성분과;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라놀레이트, 콜레스테릴아이소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마카다미에이트, 피토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다이하이드로콜레스테릴부티레이트, 세라이이드에이피, 세라미이드엔지, 세라마이드엔피, 세라마이드에이에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3가지 이상의 액정 성분;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30.0 내지 6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또는 알긴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펄이 내부에 분산된 펄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는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또는 알긴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액정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는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를 교반하여 보호 베이스를 제조하는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 및,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보호 베이스에 상기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펄 그래뉼 비드 및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에서 제조된 액정 그래뉼 비드를 투입하는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펄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 및 액정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20)에서는 각각 펄과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내측비드 및 상기 내측비드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비드로 구성되도록 액정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되,
    상기 펄 그래뉼 비드 및 액정 그래뉼 비드는 비드 내부를 빛(L3)이 관통하여 반투명상태이며, 내측비드와 외측비드에 형성되는 경계면에 의해 빛의 반사가 일부 일어나게 되어,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여 내측비드로 투과된 빛(L1)은 펄(P) 또는 액정(C)에 반사되며, 경계면에 의해 반사되어 외측비드 밖으로 유출되는 빛(L2)은 상기 펄(P) 또는 액정(C)으로부터 반사되는 색과 융합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호 베이스에 펄 그래뉼 비드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0 내지 4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하고, 상기 액정 그래뉼 비드를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2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카라기난, 한천, 젤란검 또는 알긴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펄과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혼합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는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
    보습제, 필름포머, 스킨컨디셔닝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및 잔량의 용제를 교반하여 보호 베이스를 제조하는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20); 및,
    상기 보호 베이스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된 보호 베이스에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 그래뉼 비드를 투입하는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 제조단계(S10)에서는 펄과 액정이 내부에 분산된 내측비드 및 상기 내측비드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비드로 구성되도록 혼합 그래뉼 비드를 제조하되,
    상기 혼합 그래뉼 비드는 비드 내부를 빛이 관통하는 반투명상태이며, 내측비드와 외측비드에 형성되는 경계면에 의해 빛의 반사가 일부 일어나게 되어,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여 내측비드로 투과된 빛(L1)은 펄(P)과 액정(C)에 반사되며, 경계면에 의해 반사되어 외측비드 밖으로 유출되는 빛(L2)은 상기 펄(P)과 액정(C)으로부터 반사되는 색과 융합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비드 투입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호 베이스에 혼합 그래뉼 비드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0 내지 60.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뉼 비드가 함유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삭제
KR1020190129018A 2019-10-17 2019-10-17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96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18A KR102396270B1 (ko) 2019-10-17 2019-10-17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18A KR102396270B1 (ko) 2019-10-17 2019-10-17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680A KR20210045680A (ko) 2021-04-27
KR102396270B1 true KR102396270B1 (ko) 2022-05-10

Family

ID=7572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018A KR102396270B1 (ko) 2019-10-17 2019-10-17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2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2084A1 (en) * 2003-12-29 2005-06-30 Sanjoy Ganguly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nacreous pigments of large sized synthetic mica
KR101270926B1 (ko) 2011-10-10 2013-06-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비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97055B1 (ko) * 2013-03-22 2015-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9402B1 (ko) * 2014-03-31 2016-01-27 이원목 화장품용 젤라틴 캡슐과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조성물
KR101727028B1 (ko) * 2015-03-11 2017-04-27 주식회사 코스온 무정형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파우더형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680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79251T3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microcápsulas que contienen partículas reflectantes
US9662283B2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ES2787055T3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microcápsulas que contienen partículas con un alto punto de humectación
US9675533B2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gel form
US7993677B2 (en) Density-controlled particulate suspensions for foodstuff, cosmetic, pharmaceutical and other uses
CN104168870B (zh) 凝胶形式的变色组合物
US20140341987A1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o/w emulsion form
CN104812359A (zh) 变色组合物
KR102055026B1 (ko) Uv 필터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조성물
JP2014533720A (ja) 色味のあるエマルション
CN104168871A (zh) 泡沫形式的变色组合物
CN105530907B (zh) 油质体形式的o/w乳剂形式的变色组合物
CN102573760A (zh) 含有α-羟基酸和悬浮颗粒的含水凝胶
WO2013107351A1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with polyol
CN104168873B (zh) 变色组合物
CN105530908B (zh) 包括双子表面活性剂的o/w乳剂形式的变色组合物
CN104168874B (zh) 具有多元醇的变色组合物
ES2281203T3 (es) Preparacion cosmetica o medica para la aplicacion topica.
KR102396270B1 (ko) 그래뉼 비드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511B1 (ko) 이중 기능성 물질의 안정성이 개선된 파우더 화장품 제조방법
CN1847384A (zh) 一种多种维生素美容营养保健香皂
CN104490613A (zh) 一种微胶囊型腮红
CN104168960A (zh) O/w乳剂形式的变色组合物
KR20170142629A (ko)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하이드로겔 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03350B (zh) 具有醇的变色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