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214A -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214A
KR20060037214A KR1020040108962A KR20040108962A KR20060037214A KR 20060037214 A KR20060037214 A KR 20060037214A KR 1020040108962 A KR1020040108962 A KR 1020040108962A KR 20040108962 A KR20040108962 A KR 20040108962A KR 20060037214 A KR20060037214 A KR 20060037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ervation
ticket
flight
ticket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101B1 (ko
Inventor
박민우
Original Assignee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filed Critical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ublication of KR20060037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항공권 예약이 가능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과 접속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로서,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적어도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전자카드 모듈과;
상기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 표시하고, 출력 표시된 운항노선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사 운항노선 정보를 일시(日時)정보와 함께 상기 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문의하는 항공권 예약 문의부와;
상기 예약 문의에 따른 항공편 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출력 표시하고, 그 출력 표시된 항공편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편 정보를 상기 전자카드 모듈로부터 액세스된 개인정보와 함께 피드백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신청하는 항공권 예약 신청부와;
상기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표시하는 예약완료정보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항공권, 예약, 온라인.

Description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AN AIRPLANE TICKET RESERV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주변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중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1중 항공권 예약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의 표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주변 구성 예시도.
도 7은 도 6중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블록구성도.
도 8은 도 6중 항공권 예약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본 발명은 항공권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항공권 예약이 가능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 이다.
인터넷을 통해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는 일반적인 항공권 예약 서비스는 네티즌이 온라인 예약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항공권을 예약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절차를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목적지, 출발시간, 좌석 등급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따라 이용 가능한 항공편 정보가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후 서비스 이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항공편 중 어느 하나의 항공편을 선택한후 자신의 회원정보나 주민등록번호, 주소, 성명 등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해당 운임이 표시되면, 결제를 위한 프로세스를 밟음으로서 일련의 항공권 예약 절차가 완료된다.
그러나 예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항공권 예약 서비스는 항공사 혹은 여행사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유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만 서비스 이용 가능하다는 제약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권의 예약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로서의 항공권 예약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항공권 예약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및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로서,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상기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 표시하고, 출력 표시된 운항노선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사 운항노선 정보를 일시(日時)정보와 함께 상기 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문의하는 항공권 예약 문의부와;
상기 예약 문의에 따른 항공편 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출력 표시하고, 그 출력 표시된 항공편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편 정보를 접속 가능한 전자카드 모듈로부터 액세스된 개인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신청하는 항공권 예약 신청부와;
상기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표시하는 예약완료정보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결제정보 전송요구에 응답하여 전자카드 모듈로부터 액세스된 결제정보를 무선 전송하여 결제처리 요청하는 결제처리 요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항공권 예약 문의부, 항공권 예약 신청부, 예약완료정보 표시부 및 결제처리 요청부 각각은 자바 버츄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에 의해 실행되는 자바 프로그램 모듈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망 을 통해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각 항공사 서버로부터 항공사 운항노선에 대한 일시(日時)별 항공편 정보를 전송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무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항공사의 운항노선 정보중 함께 전송된 일시(日時) 정보에 가장 근접한 항공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하되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 정보만을 독출하여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는 항공편 정보 제공부와;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항공편 정보와 개인정보를 피드백 전송 받아 해당 항공편에 대한 공석 예약처리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는 항공권 예약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와 일시(日時) 정보의 선택만으로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의 정보를 받아볼 수 있고, 그 항공편 정보와 함께 전자카드에서 액세스 가능한 개인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최소의 키입력만으로 항공권을 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주 변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한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 및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은 제휴 관계에 있는 항공사 서버(100) 각각으로부터 항공사의 운항노선에 대한 일시(日時)별 항공편 정보를 전송 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후술할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부터 예약 문의된 항공편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항공사 서버(100) 및 왑 게이트웨이(5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210)와, 항공사 운항노선에 대한 일시별 항공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3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각 항공사 서버(100)로부터 항공사 운항노선에 대한 일시(日時)별 항공편 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하는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222)와,
왑 게이트웨이(510)를 통해 접속 가능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된 항공사의 운항노선 정보중 함께 전송된 일시(日時) 정보에 가장 근접한 항공편 정보를 상기 메모리(230)에서 검색하되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 정보만을 독출하여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하는 항공편 정보 제공부(224)와,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부터 항공편 정보와 개인정보를 피드백 전송 받아 해당 항공편에 대한 공석 예약처리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하는 항공권 예약 처리부(226)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이외에 항공권 예약에 따른 결제정보의 전송을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하고, 그 전송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결제정보를 금융기관 서버(400)로 전송하여 지급 결제처리하는 결제 처리부(22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은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부터 예약 문의된 항공편 정보를 상기 메모리(230)에서 검색하되,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 정보만을 독출하여 해당 단말기(6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접속 가능한 여행사 단말기(300)로 각 항공사별 운항노선에 대한 일시별 항공편 정보를 제공하여 주기도 하며,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된 결제정보를 금융기관 서버(400)로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에 따른 지급결제처리를 요청하기도 한다.
참고적으로 각 항공사 서버(100)로부터 전송되어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항공사의 운항노선에 대한 일시별 항공편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항공사명 운항노선 일자 출발시간 항공편 공석
항공사 A 서울발 부산행 7월 1일 AM 00:10 MAL 2939 6
PM 01:10 MAL 2940 10
7월 11일 PM 11:00 MAL 3110 *
항공사 B 서울발 광주행 7월 11일 PM 20:00 AAL 1110 *
PM 20:30 AAL 1111 **
한편 모바일 단말기인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는 항공권 예약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설치함으로서, 추후 무선망 시스템(500)의 일 구성요소인 기지 국(520)과 왑 게이트웨이(510)를 통해 상기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항공권의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항공권 예약을 위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자바 언어로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체로서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에 탑재된 자바 버츄얼 머신(Java Virtual machine)에 의해 실행되어진다.
이하 항공권 예약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자바 버츄어 머신(JVM)(620)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자바 어플리케이션은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621)와, 항공권 예약 문의부(623), 항공권 예약 신청부(625), 예약완료정보 표시부(627)로 표현되어지는 자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무선망 사업자가 운영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다운되어 메모리(6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자바 프로그램 모듈에 대해서 부연 설명하면,
우선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621)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일부로서 전송된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메모리(630)에 저장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항공권 예약 문의부(623)는 상기 메모리(630)에 저장된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액세스하여 출력 표시하고, 그 출력 표시되는 운항노선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사 운항노선 정보를 일시(日時)정보와 함께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무선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문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항공권 예약 신청부(625)는 상기 항공권 예약 문의에 따른 항공편 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출력 표시하고, 그 출력 표시된 항공편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편 정보를 후술할 전자카드 모듈(635)로부터 액세스된 개인정보와 함께 피드백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을 신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예약완료정보 표시부(627)는 상기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표시부(610)상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예약완료정보 표시부(627)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메모리(630)에 저장함으로서 추후 발권시 이용토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결제정보의 전송요구에 응답하여 접속 가능한 전자카드 모듈(635) 혹은 임베디드 타입의 전자카드 모듈(635)로부터 액세스된 결제정보를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무선 전송하여 결제처리 요청하는 결제처리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항공권 예약절차의 편의를 위해 상기 결제처리 요청부를 기본구성요소로 할 수 있으나, 항공권 예약에 따른 결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제처리 요청부는 택일적 구성요소로 할 수 있다.
한편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는 적어도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전자카드 모듈(635)을 임베디드 타입으로서 내장하거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카카드 모듈(635)과 접속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자카드 모듈(635)은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SIM카드 혹은 스마트 카드중 어느 하나이며 결제정보를 추가 저장하여 항공권 예약에 따른 결제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외에 무선 통신부(605), 표시부(610), 키패드(615) 등은 이미 일반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으로서 널리 알려진 구성이기에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와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 교환을 통해 항공권이 예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의 표시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항공권을 예약하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항공권 예약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자신의 단말기(600)에 설치(700단계)한다. 이에 반하여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222)는 제휴 관계에 있는 각 항공사의 서버(100)로부터 항공사 운항노선에 대한 일시별 항공편 정보를 수신 받아 메모리(230)에 저장(710단계)한다. 이러한 항공편 정보의 예를 상기 표 1에 예시하였다.
만약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항공권을 예약하고자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720단계), 항공권 예약 문의부(623)는 상기 메모리(630)에 저장된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 표시(730단계)한다.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의 출력 표시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공사 정보만을 우선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항공사 정보는 방향키 입력에 의해 스크롤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방향키 조작으로 자신이 예약하고자 하는 하나의 항공사가 표시부(610)상에 표시되도록 한 후 확인키를 통해 하나의 항공사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항공사가 선택되면 항공권 예약 문의부(623)는 그 항공사의 운항노선 정보를 액세스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희망하는 운항노선 역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운항노선이 확인키에 의해 선택되면 항공권 예약 문의부(623)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출발일자(日子)를 표시하여 하나의 일자선택을 요구하고, 일자선택이 완료되면 다시 출발시간을 표시하여 하나의 출발시간이 선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의 출력표시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별도의 문자, 숫자 입력 없이 단순히 방향키와 확인키만으로 예약하고자 하는 항공사의 운항노선과 일시(日時) 정보를 입력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항공사의 운항노선 정보와 일시(日時) 정보의 선택이 완료되면(740단계) 항공권 예약 문의부(623)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으로의 접속을 무선망 시스템 사업자 서버에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과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 사이에 접속이 이루어지면(750단계), 항공권 예약 문의부(62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사의 운항노선과 일시(日時)정보를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760단계)하여 항공권의 예약을 문의한다.
항공권 예약 문의를 받은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편 정보 제공부(224)는 우선 전송 받은 항공사의 운항노선 정보중 함께 전송된 일시(日時) 정 보에 가장 근접한 항공편 정보를 상기 메모리(230)에서 검색하되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 정보만을 독출(770단계)하여 이를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780단계)한다. 예를 들어 전송 받은 항공사 운항노선 정보가 "항공사 A의 운항노선중 서울발 부산행"이고 일시 정보가 "1일 13시"라면, 항공편 정보 제공부(224)는 그 전송 받은 정보에 가장 근접한 항공편 정보, 즉 MAL 2940편을 상기 메모리(230)에서 독출하여 전송하여 주는 것이다. 물론 공석(空席)이 존재하는 항공편에 한하며, 이 항공편 정보는 복수개일 수 있다.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항공편 정보가 전송되면, 항공권 예약 신청부(625)는 이를 표시부(610)상에 출력 표시(790단계)한다. 출력 표시된 항공편 정보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800단계), 항공권 예약 신청부(62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편 정보와 전자카드 모듈(635)로부터 액세스된 개인정보를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피드백 전송(810단계)하여 항공권의 예약을 신청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전자카드 모듈(635)로부터 개인정보를 정상적으로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항공권의 예약신청이 있으면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권 예약 처리부(226)는 피드백 전송 받은 항공편에 대해 공석 예약처리 수행(820단계)하고, 그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830단계)하여 준다. 상기 피드백 전송 받은 항공편에 대해 "공석 예약처리"라 함은 해당 항공편의 공석 수를 차감시켜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하는 것은 물론, 항공편 예약자 명단에 전송 받은 개인정보를 등록하는 일체의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예약완료정보를 전송 받은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의 예약완료정보 표시부(627)는 이를 표시부(610)상에 표시하여 주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를 메모리(630)에 저장(840단계)함으로서 항공권 예약을 위한 일련의 과정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와 일시(日時) 정보의 선택만으로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의 정보를 받아볼 수 있고, 표시된 항공편 정보의 선택만으로도 전자카드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함께 피드백 전송되어 항공권의 예약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수행 주체로 인용된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은 이미 널리 알려진 항공 예약 시스템(CRS)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항공 예약 시스템(CRS)과는 별도의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항공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망을 통해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항공사 운항노선 정보와 일시(日時)정보를 포함하는 항공권 예약 문의정보를 전송 받아 항공 예약 시스템(CRS)으로 전송하고, 그 항공 예약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 정보를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는 항공편 정보 제공부와;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편 정보와 개인정보를 상기 항공 예약 시스템(CRS)으로 전송하여 상기 항공편에 대한 공석 예약처리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상기 항공 예약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받아 상기 항 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는 항공권 예약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항공권 예약 서비스를 중개하면,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와 일시(日時) 정보의 선택만으로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의 정보를 받아볼 수 있고, 표시된 항공편 정보의 선택만으로도 전자카드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함께 피드백 전송되어 항공권의 예약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항공권 예약 단말기는 공항에 있는 무인 항공권 발행기(700)로 예를 들면, 적외선, 알에프,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예약완료정보를 전송하여 항공권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는 도 6 내지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주변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7과 도 8은 각각 도 6에 도시한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항공권 예약 단말기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권 예약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역할 이외에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예약완료정보를 이용하여 항공권을 발급 받을 수 있는 무인 항공권 발행기(700)를 더 포함한다.
무인 항공권 발행기(700)는 예를 들면, 소형의 티켓발행기와 그 형태가 유사하며, 예를 들면, 적외선, 알에프, 블루투쓰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수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예약확인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예약확인정보에 따른 항공권을 인쇄하여 발행한다.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권 예약 처리부(226)에 의해 전송되어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의 메모리(630)에 저장되는 예약완료정보는 해당 항공편 정보, 예약자 정보, 결제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무인 항공권 발행기(700)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되는 예약확인정보를 수신하여 항공편 정보, 예약자 정보, 결제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항공편 정보에 따른 항공권을 인쇄하여 예약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항공권 예약 시스템(200)은 항공권 예약완료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대에 항공권의 공석이 발생하면, 해당 사용자의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이를 통보하고, 입력되는 항공권 예약 변경 요청에 따라 기 예약된 예약정보를 갱신하는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편 정보 제공부(224)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사의 운항노선과 일시(日時)정보에 가장 근접한 항공편 정보를 메모리(230)에서 검색하되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 정보만을 독출하여 이를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항공편이 "서울발 부산행"이고, 일시 정보가 "1일 00시 부터 01시"일 경우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편 정보 제공부(224)는 사용자가 입력한 항공편과 운항 일시정보를 검색한다.
항공편 정보 제공부(224)의 검색결과 해당 시간대의 항공 운항편에 공석이 없는 경우,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편 정보 제공부(224)는 해당 시간대의 항공 운항편에 공석이 없음을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하고, "항공사 A의 운항노선중 서울발 부산행"이고 일시 정보가 "1일 13시 10분"의 항공편 정보, 즉 MAL 2940편을 메모리(230)에서 독출하여 전송한다.
사용자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항공사 A의 운항노선중 서울발 부산행"이고 일시 정보가 "1일 13시 10분"의 항공편 정보, 즉 MAL 2940편을 예약하는 한편, 자신이 원하는 "서울발 부산행"이고 일시 정보가 "1일 00시"인 운항노선 정보를 우선 항공편 정보로 설정하여 입력한다.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전송되는 우선 항공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는 각 항공사별 운항 노선에서 저장된 우선 항공편 정보에 따른 항공편 정보에 대응되는 일시별 항공편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결과 사용자가 지정한 우선 항공편 정보에 따른 항공편의 공석이 발생하였을 경우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는 사용자가 지정한 우선 항공편 정보에 따른 공석이 발생하였음을 해당 사용자의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를 통해 지정한 우선 항공편 정보에 다른 공석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고 항공권 예약 변경 요청을 자신이 소자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를 통해 전송한다.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는 항공권 예약 변경 요청을 수신하여 공석이 발생된 항공편으로 해당 사용자의 예약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예약확인정보를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항공권 예약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는 공항에 비치된 무인 항공권 발행기(700)와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무선통신 모듈(6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통신 모듈(640)은 예를 들면, 적외선 통신 모듈, 알에프 통신 모듈 및 블루투쓰 송수신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이면 족하며, 공항에 구비된 무인 항공권 발행기(700)로 메모리에 저장된 예약확인정보를 엑세스하여 전송한다.
무인 항공권 발행기(700)는 무선통신 모듈(640)로부터 수신되는 예약확인정보를 체크하여 해당 예약확인정보에 따른 항공권을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를 소지한 사용자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을 통해 별도의 항공권 발급과정 없이 무인 항공권 발행기(700)를 이용하여 발급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는 문의한 따른 항공편에 공석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항공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장 근접한 항공편 정보에 따른 항공권을 예약하고,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의 우선 항공편 정보를 설정하여 설정한 우선 항공편에 공석이 발생하였을 경우 발생한 공석을 우선적으로 예약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우 선 항공편 정보를 항공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로 전송하는 우선 항공권 설정부(6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문의한 시간대의 항공편에 공석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항공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편 정보 제공부(224)로부터 제공되는 가장 근접한 항공편 정보에 따른 항공권을 예약하고,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의 우선 항공편 정보를 입력한다. 우선 항공권 설정부(629)는 입력된 우선 항공편 정보를 항공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로 전송한다.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전송되는 우선 항공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우선 항공편 정보에 따른 공석 발생하면,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의 우선 항공권 설정부(629)로 전송한다.
우선 항공권 설정부(629)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로부터 제공되는 우선 항공편 정보에 따른 공석 발생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해당 발생된 항공편의 공석에 따라 예약정보를 변경할 것인지 묻는 메세지를 출력한다.
사용자로부터 예약정보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 우선 항공권 설정부(629)는 예약정보 변경 요청을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의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로 전송한다.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229)는 예약정보 변경 요청에 따라 공석이 발생된 항공편으로 해당 사용자의 예약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예약확인정보를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기(600)의 예약완료정보 표시부(627)로 전송한다. 항공 권 예약 단말기(600)의 예약완료정보 표시부(627)는 변경된 예약확인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발권시 이용토록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의 항공편의 공석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라도 우선 항공편으로 설정하고, 해당 우선 항공편에 공석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항공권의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와 일시(日時) 정보의 선택만으로도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의 정보를 받아볼 수 있고, 표시된 항공편 정보의 선택만으로도 전자카드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함께 피드백 전송되어 항공권의 예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편리하게 항공권을 온라인 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항공권 예약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저장된 예약완료정보와 공항에 비치된 무인 항공권 발행기를 이용하여 항공권을 발급받을 수 있어 별도의 항공권 발급과정 없이 무인 항공권 발행기를 이용하여 발급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의 항공편의 공석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라도 우선 항공편으로 설정하고, 해당 우선 항공편에 공석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항공권의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무선 통신부를 통해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과 접속 가능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에 있어서,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상기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 표시하고, 출력 표시된 운항노선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사 운항노선 정보를 일시(日時)정보와 함께 상기 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문의하는 항공권 예약 문의부와;
    상기 예약 문의에 따른 항공편 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출력 표시하고, 그 출력 표시된 항공편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편 정보를 접속 가능한 전자카드 모듈로부터 액세스된 개인정보와 함께 피드백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신청하는 항공권 예약 신청부와;
    상기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표시하는 예약완료정보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결제정보 전송요구에 응답하여 접속 가능한 전자카드 모듈로부터 액세스된 결제정보를 무선 전송하여 결제처리 요청하는 결제처리 요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예약완료정보 표시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항공권 예약 문의부, 항공권 예약 신청부, 예약완료정보 표시부 및 결제처리 요청부 각각은 자바 버츄얼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자바 프로그램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가 공항에 구비된 무인 항공권 발행기로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가 상기 자바 버츄얼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자바 프로그램 모듈이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우선 항공편 정보를 상기 항공 예약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우선 항공편 정보에 따른 공석 발생에 따라 기 예약된 예약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우선 항공권 설정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7. 무선 통신부를 통해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과 접속 가능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에 있어서,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적어도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전자카드 모듈과;
    상기 항공사별 운항노선 정보를 액세스하여 출력 표시하고, 출력 표시된 운항노선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사 운항노선 정보를 일시(日時)정보와 함께 상기 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문의하는 항공권 예약 문의부와;
    상기 예약 문의에 따른 항공편 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출력 표시하고, 그 출력 표시된 항공편 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공편 정보를 상기 전자카드 모듈로부터 액세스된 개인정보와 함께 피드백 전송하여 항공권 예약 신청하는 항공권 예약 신청부와;
    상기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무선 전송 받아 표시하는 예약완료정보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신청에 따른 결제정보 전송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카드 모듈로부터 액세스된 결제정보를 무선 전송하여 결제처리 요청하는 결제처리 요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예약완료정보 표시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항공권 예약 문의부, 항 공권 예약 신청부, 예약완료정보 표시부 및 결제처리 요청부 각각은 자바 버츄얼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자바 프로그램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자카드 모듈은 SIM카드 혹은 스마트 카드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가 공항에 구비된 무인 항공권 발행기로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가 상기 자바 버츄얼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자바 프로그램 모듈이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우선 항공편 정보를 상기 항공 예약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우선 항공편 정보에 따른 공석 발생에 따라 기 예약된 예약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우선 항공권 설정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단말기.
  14. 무선망을 통해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각 항공사 서버로부터 항공사 운항노선에 대한 일시(日時)별 항공편 정보를 전송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운항노선 정보 저장부와;
    무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항공사의 운항노선 정보중 함께 전송된 일시(日時) 정보에 가장 근접한 항공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색하되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 정보만을 독출하여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는 항공편 정보 제공부와;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항공편 정보와 개인정보를 피드백 전송 받아 해당 항공편에 대한 공석 예약처리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는 항공권 예약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항공권 예약에 따른 결제정보의 전송을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고, 그 전송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결제정보를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지급 결제처리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이 항공권 예약완료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대에 항공권의 공석이 발생시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이를 통보하고,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권 예약 변경 요청에 따라 기 예약된 예약정보를 갱신하는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17. 무선망을 통해 항공권 예약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항공사 운항노선 정보와 일시(日時)정보를 포함하는 항공권 예약 문의정보를 전송 받아 항공 예약 시스템(CRS)으로 전송하고, 그 항공 예약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공석(空席) 존재하는 항공편 정보를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는 항공편 정보 제공부와;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편 정보와 개인정보를 상기 항공 예약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항공편에 대한 공석 예약처리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른 예약완료정보를 상기 항공 예약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하는 항공권 예약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항공권 예약에 따른 결제정보의 전송을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 전송 요청하고, 그 전송에 응답하여 피드백되는 결제정보를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지급 결제처리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이 항공권 예약완료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대에 항공권의 공석이 발생시 해당 항공권 예약 단말 기로 이를 통보하고, 상기 항공권 예약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공권 예약 변경 요청에 따라 기 예약된 예약정보를 갱신하는 항공권 예약정보 갱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시스템.
KR1020040108962A 2004-10-27 2004-12-20 항공권 예약 단말기 KR100656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89 2004-10-27
KR20040086289 200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214A true KR20060037214A (ko) 2006-05-03
KR100656101B1 KR100656101B1 (ko) 2006-12-11

Family

ID=3714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962A KR100656101B1 (ko) 2004-10-27 2004-12-20 항공권 예약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1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1345B2 (en) 2010-06-02 2012-11-2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Trusted internal interface
KR101501013B1 (ko) * 2013-09-24 2015-03-12 한국공항공사 항공기 대기자 정보 관리 시스템
CN111338478A (zh) * 2020-02-25 2020-06-26 携程旅游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航班信息显示方法、系统、设备及介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1345B2 (en) 2010-06-02 2012-11-2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Trusted internal interface
US20130046588A1 (en) * 2010-06-02 2013-02-21 Oleg Makhotin Trusted internal interface
US9092769B2 (en) 2010-06-02 2015-07-28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Trusted internal interface
US9846873B2 (en) 2010-06-02 2017-12-19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Trusted internal interface
US10685343B2 (en) 2010-06-02 2020-06-1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Trusted internal interface
KR101501013B1 (ko) * 2013-09-24 2015-03-12 한국공항공사 항공기 대기자 정보 관리 시스템
CN111338478A (zh) * 2020-02-25 2020-06-26 携程旅游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航班信息显示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1338478B (zh) * 2020-02-25 2024-03-26 携程旅游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航班信息显示方法、系统、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101B1 (ko) 200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7507C2 (ru) Сервисная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м железной дороги
JP4062680B2 (ja) 施設予約方法、施設予約方法に用いられるサーバ、および、イベント予約方法に用いられるサーバ
CN106022500B (zh) 一种景区游览预约及游览时机推荐系统和方法
US20140379607A1 (en) Delivery managemen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20030101342A1 (en) Secure printing system and method
US20130204647A1 (en) Ticketing solution
JP2003187272A (ja) 電子チケット、電子チケット販売システム及び電子チケット販売方法
JP2003524266A (ja) グローバル・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によるリモート航空チェックイン
KR101948009B1 (ko)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예약 방법
CA2910673C (en) Electronic access authorisation and method for its use
KR100656101B1 (ko) 항공권 예약 단말기
KR20040082598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건설 노무자 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43612B1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를 이용한 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060054591A (ko) 티켓 예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3318A (ko) 인터넷을 이용한 항공권 예약시스템의 예약방법
JP2005038048A (ja) 電子チケット管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10067123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3581293B2 (ja) Icカード利用サービス提供方法、システム及びプラットフォームサーバ
JP3828517B2 (ja) 電子商取引管理サーバ及び電子商取引管理方法
JP2002123580A (ja) 旅行情報処理装置、旅行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旅行情報処理方法
JP200818121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97427A (ja) 時刻表検索システム、時刻表検索方法、および時刻表検索プログラム
JP4421621B2 (ja) 契約手続簡易化システム及び契約手続簡易化方法
KR102549219B1 (ko) 예약자 및 입점사 간 예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2318838A (ja) 電子商取引管理サーバ及び電子商取引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