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175A -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175A
KR20060037175A KR1020040086358A KR20040086358A KR20060037175A KR 20060037175 A KR20060037175 A KR 20060037175A KR 1020040086358 A KR1020040086358 A KR 1020040086358A KR 20040086358 A KR20040086358 A KR 20040086358A KR 20060037175 A KR20060037175 A KR 2006003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processor
digital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487B1 (ko
Inventor
서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487B1/ko
Priority to US11/258,117 priority patent/US20060090190A1/en
Publication of KR2006003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TB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STB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부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 및 디지털 방송 처리부를 통해 출력된 방송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송 선택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절전모드를 수행하는 전원 공급부와, 외부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 선택부 및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은 루프-쓰루 기능 선택을 위한 외부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방송이 출력되는 동안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 낭비를 없앨 수 있고, 이러한 절전 기능으로 인해 STB 내부에 발생되는 열을 줄임으로써 STB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STB, 다채널 방송 수신기, 루프 쓰루, 절전

Description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MULTI-CHANNE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EMBODYING POWER-SAVING-MODE THE SAME}
도 1은 다채널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방송 수신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 수신기의 루프-쓰루(loop through) 모드 동작시 처리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다채널 방송 수신기 310: 디지털 방송 처리부
320: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 330: 방송 선택부
340: 전원 공급부 350: 제어부
360: I/F 부
본 발명은 다채널 방송 수신기(예컨대, 셋-톱 박스(set-top box), 이하, 'STB'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채널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아날로그 방송 수신시 절전 모드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방송의 채널 수가 100개 이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렇게 많은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셋-톱 박스(STB)가 필연적으로 필요하다.
디지털 셋-톱 박스(STB)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텔레비전이나 VTR(Video Tape Recoder)로 출력하기 위해 소정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셋-톱 박스(STB)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하고, 다시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신호로 엔코딩(encoding)하여 출력단자(예컨대, AV 단자)로 출력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이하에서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과정'이라 약칭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 사업자는 아날로그 방송 사업자로부터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여 이를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셋-톱 박스(STB)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아날로그 방송 사업자로부터 수신하여 재전송하는 아날로그 방송(RF: Radio Frequency 방송)(예컨대, 지상파, 유선방송 등) 까지도 수신한다. 그리고 그 아날로그 방송을 셋-톱 박스(STB)에 연결된 케이 블의 방송신호를 텔레비전이나 VTR(Video Tape Recoder)로 전달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셋-톱 박스(STB)의 기능을 통상 '알.에프 루프-쓰루(RF loop through)'('알.에프 바이패스(bypass)'라고도 함)라고 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동작 모드가 전환된다.
사용자가 디지털 셋-톱 박스(STB)의 동작모드를 '알.에프 루프-쓰루 모드'로 선택하면 디지털 셋-톱 박스(STB)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텔레비전이나 VTR로 전달한다. 이 경우 디지털 셋-톱 박스(STB)는 상기 수신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bypass)한다. 즉 상기 수신한 아날로그 방송 신호에 대하여 상기 언급한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과정'과 같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디지털 셋-톱 박스(STB)는 사용자에 의해 '알.에프 루프-쓰루 모드'로 동작중일 때에도 디지털 방송 사업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과정'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이로 인해 디지털 셋-톱 박스(STB)는 '알.에프 루프-쓰루 모드'에서는 불필요한 동작('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디지털 셋-톱 박스(STB)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채널 방송 수신기의 소비전력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에프 루프-쓰루 모드에서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다채널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채널 방송 수신기의 절전기능 구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채널 방송 수신기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부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 및 디지털 방송 처리부를 통해 출력된 방송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송 선택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절전모드를 수행하는 전원 공급부와, 외부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 선택부 및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루프-쓰루 기능 선택을 위한 외부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다채널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방송 수신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채널 방송 수신기(예컨대, 셋-톱 박스(Set Top Box) 이하 'STB'라 칭함)(300)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200)가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 사업자(200)가 아날로그 방송 사업자(100)로부터 수신하여 재전송하는 아날로그 방송(RF: Radio Frequency 방송)(예컨대, 지상파, 유선방송 등) 까지도 수신한다. 그리고 그 아날로그 방송을 셋-톱 박스(STB)에 연결된 케이블의 방송신호를 텔레비전이나 VTR(Video Tape Recoder)로 전달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 수신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 수신기(STB) (300)는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310), 디지털 방송 처리부(320), 방송 선택부(330), 전원공급부(340), 제어부(350) 및 인터페이스(interface, I/F)부(360)를 포함한다.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310)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를 통해 전달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한다.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경우 텔레비전이나 VTR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STB(300)에서 별도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즉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경우 수신된 상태로 텔레비전이나 VTR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아날 로그 방송 처리부(310)에서는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바이패스(bypass)한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310)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311)와, 그 신호를 출력하는 RF 출력부(313)를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처리부(320)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한다. 즉 디지털 방송 사업자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텔레비전이나 VTR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방송 처리부(320)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321)와,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는 복조부(323)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신호로 엔코딩(encoding)하는 NTSC 신호 처리부(325)와, 상기 엔코딩된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출력부(327)를 포함한다.
방송 선택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를 받아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310) 또는 디지털 방송 처리부(320)를 통해 출력된 방송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텔레비전 또는 VTR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340)는 STB(300)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350)는 I/F 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STB(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방송 선택부(330) 및 전원 공급부(3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방송 선택부(330)를 제어하여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310) 또는 디지털 방송 처리부(32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340)를 제어하여 STB(300)에서 절전모드를 수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만약 I/F 부(360)를 통해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루프-쓰루(loop through)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350)는 방송 선택부(330)를 제어하여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340)를 제어하여 디지털 방송 처리부(32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는 아날로그 방송이 선택되어 출력되는 경우에도 STB(300)가 지속적으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예컨대, 전력 낭비, STB(300) 내구성 저하 등)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방송 수신기의 루프-쓰루(loop through) 모드 동작시 처리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TB가 루프-쓰루 모드로 동작할 때의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STB 전면 스위치를 조작하여 아날로그 방송(예컨대, 지상파 방송, 유선 방송 등)을 수신하기 위한 루프 쓰루 모드를 선택한 경우(S110) STB는 일정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S120) 절전모드를 수행한다(S130). 즉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텔레비전 또는 VTR로 출력되지 않을 디지털 방송 신호의 생성을 위해 소모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 때 절전모드로 모드 전환을 하기 전에 일정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를 기다리는 것은 사용자가 한 채널을 오랫동안 시청하지 않고 채널을 자주 변경하는 경우 에는 절전 모드로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STB 전면 스위치를 조작하여 절전 모드 해제를 요청한 경우(S140) STB는 그 요청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를 수행한다(S150). 즉 절전 모드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루프 쓰루 모드를 해제한 경우 상기 과정(S130)에서 차단된 전원을 다시 공급하도록 한다. 즉,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를 위한 전원을 다시 공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TB에서 아날로그 방송이 선택되어 출력되는 경우 디지털 방송 신호의 수신 및 처리를 중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방송이 출력되는 동안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 낭비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절전 기능으로 인해 STB 내부에 발생되는 열을 줄임으로써 STB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다채널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부와,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 및 디지털 방송 처리부를 통해 출력된 방송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송 선택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절전모드를 수행하는 전원 공급부와,
    외부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 선택부 및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루프-쓰루 기능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방송 선택부가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선택하도록 상기 방송 선택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 수신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는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바이패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 수신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엔.티.에스.씨(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신호로 엔코딩(encoding)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엔코딩된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 수신기.
  5.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 및 디지털 방송 처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 및 디지털 방송 처리부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채널 방송 수신기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에 있어서,
    루프-쓰루 기능 선택을 위한 외부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아날로그 방송 처리부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 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 수신기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 과정 수행 전에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을 대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모드 구현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루프-쓰루 기능 해제를 위한 외부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로 전원을 재개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처리부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방송 수신기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KR1020040086358A 2004-10-27 2004-10-27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KR10062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358A KR100624487B1 (ko) 2004-10-27 2004-10-27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US11/258,117 US20060090190A1 (en) 2004-10-27 2005-10-26 Multi-channe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realizing power-saving mod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358A KR100624487B1 (ko) 2004-10-27 2004-10-27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175A true KR20060037175A (ko) 2006-05-03
KR100624487B1 KR100624487B1 (ko) 2006-09-18

Family

ID=3620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358A KR100624487B1 (ko) 2004-10-27 2004-10-27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90190A1 (ko)
KR (1) KR1006244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45B1 (ko) * 2006-01-03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광 통신을 이용한 방송신호 재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82507B1 (ko) * 2007-11-14 2009-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안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케이블 방송수신기 및 그 인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264A (en) * 1994-02-14 1996-11-05 Hitachi, Ltd. High definition TV signal receiver
US5886732A (en) * 1995-11-22 1999-03-23 Samsung Information Systems America Set-top electronics and network interface unit arrangement
JP3305183B2 (ja) * 1996-01-12 2002-07-22 株式会社東芝 ディ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
US5892363A (en) * 1996-09-18 1999-04-06 Roman; Francisco Jose Electrostatic field measuring device based on properties of floating electrodes for detecting whether lightning is imminent
US5850218A (en) * 1997-02-19 1998-12-15 Time Warner Entertainment Company L.P. Inter-active program guide with default selection control
US6731346B1 (en) * 1997-02-19 2004-05-04 Sanyo Electric Co., Ltd. Television receiver
KR100265232B1 (ko) * 1997-07-16 2000-09-15 윤종용 절전기능을갖춘tv시스템
JP3564961B2 (ja) * 1997-08-21 2004-09-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6202211B1 (en) * 1998-02-06 2001-03-13 Henry R. Williams, J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levision signals to multiple viewing systems on a network
US6842495B1 (en) * 1998-11-03 2005-01-11 Broadcom Corporation Dual mode QAM/VSB receiver
KR20010011565A (ko) * 1999-07-29 2001-02-15 윤종용 절전기능을 갖춘 tv시스템
JP2001128086A (ja) 1999-10-29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51826B1 (ko) 2000-02-01 2002-09-11 엘지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4221803A (ja) 2003-01-14 2004-08-05 Sharp Corp サイマル放送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487B1 (ko) 2006-09-18
US20060090190A1 (en)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8826B2 (en) Tuner power dissipation reduction in a standby mode
KR100309099B1 (ko) 채널 선국방법 및 장치
KR101295567B1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선호 채널 제공 방법
US200502896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digital set-top box in standby mode
US6731346B1 (en) Television receiver
KR19990002509A (ko)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모드 설정방법과 그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
JP2004349790A (ja) 記録再生装置
KR100624487B1 (ko) 다채널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절전모드 구현 방법
KR101349772B1 (ko) 녹화 완료 시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에 기초한 자동 모드 전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JP2007096846A (ja) テレビ受信機
JP200702797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410507B1 (ko)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
JP2004200862A (ja) 映像音声信号処理装置
KR20090084068A (ko)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JP3505966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07012131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력 저감 방법
KR20000020228A (ko) 디지털 티브이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수신 방법
KR100579626B1 (ko) 디지털 tv 수신기의 시간 정보 관리 방법
JPH11150688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4082927B2 (ja) 放送受信装置
JP2006108974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録画再生装置
JP3734033B2 (ja) 放送受信装置
JP200803536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2007135064A (ja) テレビ放送受信機
JP2005065009A (ja) 番組データ取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