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127A - 클로렐라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클로렐라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127A
KR20060037127A KR1020040086290A KR20040086290A KR20060037127A KR 20060037127 A KR20060037127 A KR 20060037127A KR 1020040086290 A KR1020040086290 A KR 1020040086290A KR 20040086290 A KR20040086290 A KR 20040086290A KR 20060037127 A KR20060037127 A KR 2006003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ella
culture
groundwater
weight
groun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0296B1 (ko
Inventor
진현진
Original Assignee
진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진 filed Critical 진현진
Priority to KR102004008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2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돕기 위한 탄소원으로 포도당과 그리고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공급원으로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함유한 배양액을 이용하여 클로렐라를 배양함에 있어서,
ⅰ) 클로렐라 배양수조에 지하수 50 중량%를 받아 20 내지 30℃에서 일정기간 자연 상태로 저장하는 단계(지하수 숙성단계);
ⅱ) 별도로 지하수 50 중량%에 탄소원인 포도당과 영양염류를 가하여 20 내지 30℃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배양액 제조 단계);
ⅲ) 상기 ⅰ)단계에서 제조한 숙성 지하수에 상기 ⅱ)단계에서 제조한 배양액을 가해 15 내지 25℃에서 일정기간 임펠러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자연광에 의한 광합성 작용으로 클로렐라를 배양 증식시키는 단계(클로렐라 배양 증식단계);
를 거쳐 배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취수한 지하수에 별도로 클로렐라 균류의 접종 없이도 클로렐라를 배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균 작업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되며, 또한 클로렐라 배양시 배양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염류 등이 배양액에서 침전되지 않고 배양액에 골고루 용해되고,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켜 용해된 영양염유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양액을 임펠러에 의해 교반시키 거나 또는 배양액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에 배양액을 폭기하여 클로렐라의 배양속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종래에는 5 내지 10일간 소요되는 배양 기간을 3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클로렐라, 지하수, 포도당, 영양염류, 요소, 황산마그네슘, 탄산암모늄, 일인산칼륨,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Description

클로렐라 배양 방법{Method of Cultivating Chlorella}
본 발명은 클로렐라 배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원인 포도당과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함유된 배양액을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 방법에 있어서, 지하에서 취수한 지하수에 자연 채광을 이용하여 클로렐라의 증식 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로렐라는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자체세포의 핵분열을 통해 20시간마다 4 내지 8 배로 매우 빠르게 증식하며 자생력이 매우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클로렐라는 호수 등 민물을 떠다니며 서식하는 녹조류 플랑크톤으로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이 다량 함유돼 있다. 그리고 클로렐라는 엽록소가 일반 채소류보다 10배나 많으며 광합성 능력도 수십 배나 뛰어나며 알칼리성 식품으로 육류나 곡류 등의 과다섭취로 산성체질로 변한 인체의 이온밸런스를 맞춰주고, 또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와 장내 유해세균을 감소시키는 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밖에 클로렐라에 함유된 칼슘, 아연, 단백질은 소장으로부터 혈액 중으로 카드뮴이 흡수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하며 카드뮴이 주로 쌓이는 장기인 간장, 신장에는 저분자 금속결합 단백질을 생성해 카드뮴의 독성을 중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건강보조식품으로 다양하게 개발 시판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클로렐라 배양 방법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관한 상기 기술들이 모두 공통적으로 광합성 작용을 위한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이용하고, 그리고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공급원으로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이용하여 무균상태에서 클로렐라균을 접종하여 배양시키는 방법들에 관한 많은 특허들이 출원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공보 제82-1310호(1982. 7. 21 공고)에 클로레라를 당류와 질소를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함에 있어서, 배양액에 당화 효소를 1.5 내지 2.5중량%를 첨가함과 동시에 배지를 살균하기 위하여 O3를 통하게 하고 일광을 조사시켜 클로레라를 증식 배양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특허는 무균 배양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배양액에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클로렐라의 배양 기간이 7 내지 8일간의 장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배양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들이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93748호(1999. 6. 15 공고)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9217호(2001. 3. 15 공개)에 종속 영양배양에 의해 클로렐라를 제조함에 있어서 결정포도당, 포도당액 등의 포도당류를 주 탄소원으로 하 고 암모니아, 요소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주 질소원으로 하여 차광된 무균 배양조 내에서 초기 당 농도를 4 내지 8%(W/V), 조체 접종량을 4 내지 10%(v/v)의 범위 내에서 최적화하여 배양을 진행하고 배양 중 인위적인 통기, 교반, 온도, pH조절과 함께 잔당이 1 내지 2%(W/V)가 되는 시점에서 잔당이 3 내지 4%(W/V)가 되도록 추가로 당을 첨가하여 고농도의 클로렐라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특허는 차광된 무균 배양조에서 클로렐라를 배양하기 때문에 무균 작업을 위해 121℃의 고온에서 가압 살균시키기 위한 설비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조체로 이용하기 위한 클로렐라의 배양 기간이 7 내지 8일간의 장기간이 소요되고 조체 또한 5일 동안 증식시키는 등의 배양 효율이 대단히 낮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돕기 위한 탄소원으로 포도당과 그리고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공급원으로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함유한 배양액을 이용하여 클로렐라를 배양함에 있어서, 별도로 클로렐라 균류의 접종 없이도 클로렐라를 배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균 작업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돕기 위한 탄소원으로 포도당과 그리고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공급원으로 인·질소 등의 영양염류를 함유한 배양액을 이용하여 클로렐라를 배양함에 있어서, 상기 영양염류 등이 배양액에서 침전되지 않고 배양액에 골고루 용해되고,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켜 용해된 영양염유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양액을 임펠러에 의해 교반시키거나 또는 배양액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에 배양액을 폭기하여 클로렐라의 배양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균 작업을 하지 아니한 자연 취수의 지하수를 이용하여 클로렐라를 배양시킴에 있어서, 종래에는 5 내지 10일간 소요되는 배양 기간을 3일로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방법에 비해 배양 속도가 대단히 빠르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클로렐라 배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돕기 위한 탄소원으로 포도당과 그리고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공급원으로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함유한 배양액을 이용하여 클로렐라를 배양함에 있어서, 지하에서 취수한 지하수에 자연 채광을 이용하여 별도로 클로렐라 균류의 접종 없이도 클로렐라를 급속 배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에는 무균 상태에서 클로렐라 균류를 접종하여 기초 배양한 후 증식시키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과는 달리 지하에서 취수한 지하수를 살균처리할 필요가 없이 상온에서 3 내지 6일간 방치한 후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탄소원인 포도당과 영양공급원으로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첨가한 후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폭기시켜 급속 배양을 시키면, 클로렐라는 광합성 능력이 뛰어나고, 자체세포의 핵분열을 통해 20시간마다 4 내지 8 배로 매우 빠르게 증식하며 자생력이 매우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일반 다른 균류의 성장이 억제되고, 클로렐라만 성장 증식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클로렐라 배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돕기 위한 탄소원으로 포도당과 그리고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공급원으로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함유한 배양액을 이용하여 클로렐라를 배양함에 있어서,
ⅰ) 클로렐라 배양수조에 지하수 50 중량%를 받아 20 내지 30℃에서 일정기간 자연 상태로 저장하는 단계(지하수 숙성단계);
ⅱ) 별도로 지하수 50 중량%에 탄소원인 포도당과 영양염류를 가하여 20 내지 30℃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배양액 제조 단계);
ⅲ) 상기 ⅰ)단계에서 제조한 숙성 지하수에 상기 ⅱ)단계에서 제조한 배양액을 가해 15 내지 25℃에서 일정기간 임펠러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자연광에 의한 광합성 작용으로 클로렐라를 배양 증식시키는 단계(클로렐라 배양 증식단계);
를 거쳐 클로렐라가 배양되어진다.
상기 ⅰ)단계는 지하수를 일정기간 상온에서 클로렐라 배양조에 저장하여 지하수를 숙성시키는 단계로서, 이때 사용하는 클로렐라 배양수조는 배양수조 내에 햇볕이 잘 통과할 수 있도록 전후 및 좌우의 측벽 면이 투명한 재질로서,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지하수의 숙성기간은 하절기에는 2 내지 3일간 그리고 동절기에는 5 내지 6일간이 지나게 되면 지하수의 색상이 누렇게 변하게 된다. 지하수의 색상이 누렇게 변하는 이유는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균류가 증식하기 때문으로 이때 다른 균류들과 함께 클로렐라균류도 증식을 하게 된다.
상기 ⅱ)단계는 지하수에 포도당과 각종 영양염류를 가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때 지하수에 각각 가해지는 영양염류의 첨가량은 다음과 같다.
탄소원인 포도당의 첨가량은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2 내지 0.4중량%를 첨가하고, 그리고 영양염류의 첨가량은 요소가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3 내지 0.6중량%, 황산마그네슘이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2 내지 0.4중량%, 탄산암모늄이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2 내지 0.4중량%, 일인산칼륨이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2 내지 0.4중량%를 각각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상기에서 포도당은 클로렐라가 특히 햇볕이 나지 않는 흐린 날이나 또는 우천시에는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이 활발하지 못하여 탄소의 공급을 제대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이때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탄소원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 첨가량이 0.2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탄소량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며, 0.4 중량%를 초과하더라도 클로렐라의 증식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요소는 클로렐라의 질소동화작용에 필요한 질소 성분의 공급원의 역할을 하는데, 그 첨가량이 0.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질소량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며, 0.6중량%를 초과하더라도 클로렐라의 증식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황산마그네슘은 식물의 엽록소를 구성하는 기본 주성분으로 광합성 작용을 촉진하여 전분질을 많게 하므로 엽록소 형성을 촉진, 수량을 증대시키고, 인산의 흡수 및 세포분열이 왕성한 생장점에 인산 운반을 원활하게 하여 클로렐라가 증식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첨가량이 0.2중량% 미만이 되면 엽록소가 증대되지 않아 클로렐라의 증식이 어렵고, 0.4중량%를 초과하더라도 클로렐라의 증식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서 탄산암모늄은 배양액 내에서 해리하여 광합성작용에 필요한 이산화 탄소와 질소원인 암모늄 이온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첨가량이 0.2중량% 미만이 될 경우 배양액 내에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부족하여 광합성 작용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클로렐라의 증식이 억제되며, 0.4중량%를 초과하여 필요 이상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클로렐라의 증식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일인산칼륨은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소로서 클로렐라 내의 단백질 함량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첨가량이 0.2중량% 미만이 될 경우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소의 부족으로 인해 클로렐라 내의 단백질 함량이 저하되며, 0.4중량%를 초과한다고 하더라도 클로렐라 내의 단백질 함량은 특별히 증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ⅱ)단계에서 제조한 배양액은 1일간 저장하여 배양액에 첨가시킨 포도당과 각종 영양염류를 클로렐라가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히 용해시킨다.
상기 ⅰ)단계의 지하수 최적온도는 20 내지 30℃로서, 이는 초기 균류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최적온도이며, ⅱ)단계 배양액도 상기 ⅰ)단계의 지하수에 혼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최적온도가 20 내지 30℃이다.
상기 ⅲ)단계에서는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켜 용해된 영양염유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양액을 임펠러에 의해 교반시키거나 또는 배양액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에 배양액을 폭기하여 클로렐라의 배양속도를 촉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양액은 15 내지 25℃에서 2 내지 3일 경과 후에 배양액이 녹색으로 변하게 되면 클로렐라의 배양 증식이 완료되는 단계로서 이때 증식된 클로렐라의 개체수는 1,000 내지 1,500 만개/500ℓ이다.
클로렐라가 가장 왕성한 광합성을 활동을 할 수 있는 최적온도는 15 내지 25℃로서, 이때 클로렐라가 급격한 증식 배양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배양 증식이 완료된 클로렐라는 상온의 상태로 유지시키면 계속 성장하여 왕성한 광합성 작용을 하기 때문에 배양액 중의 이산화탄소와 각종 영양염류의 부족으로 인해 클로렐라를 수확하기도 전에 사멸하게 되므로 증식 배양이 완료되고 나서 1 내지 10℃의 저온에서 저장시키게 되면 클로렐라의 활동이 최대한 억제되어 더 이상 증식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수확시까지 클로렐라가 사멸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 1 내지 3)
1) 지하 200m에서 취수한 지하수 500ℓ를 좌우, 앞뒤 측면이 유리벽면으로 형성된 1,000ℓ의 배양수조에 받아 상온에서 3일간 저장시키면 지하수 내의 함유되어 있는 균류들이 자연광에 의한 광합성 작용으로 증식하여 저장된 지하수의 색상이 누렇게 변하게 된다. 이때 별도로 지하수를 가압살균처리하지 않는다.
2) 그리고 별도로 지하수 500ℓ를 취수하여 여기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영양염류로서 요소, 황산마그네슘, 탄산암모늄, 일인산칼륨을 각각 아래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의 내용과 같이 첨가한 후 충분히 용해시키고, 클로렐라가 상기 영양염류들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상온에서 하루 동안 숙성시켜 배양액을 제조한다.
3) 상기 2)단계에서 제조한 배양액을 상기 1)단계의 배양수조에 혼합시켜 숙성시킨 지하수에 가한 후 임펠러로 충분히 혼합시키면서 3일간 저장하면 배양액이 녹색으로 변하게 되고, 클로렐라의 증식 배양이 완료된다. 증식 배양된 클로렐라는 출하시까지 5℃의 저온에서 보관하여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 활동을 억제시킨다.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을 채택하여 클로렐라를 배양하되, 1)단계에서 취수한 지하수와 2)단계에서 제조한 배양액은 120℃에서 20분간 살균처리를 하고, 3)단계의 증식 배양은 암소에서 실시하였다. 증식 배양된 클로렐라는 상온에서보관하였다. 이때 배양액에 각각 가해진 영양염류의 첨가량은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량을 첨가한 것으로서, 아래 [표 1]에 기재된 내용과 같다.
[표 1]
(단위 : kg/500ℓ)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포도당 2 3 4 2 3 4
요 소 3 5 6 3 5 6
황산마그네슘 2 3 4 2 3 4
탄산암모늄 2 3 4 2 3 4
일인산칼륨 2 3 4 2 3 4
[표 2]
(단위 : 만개)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클로렐라개체수 (개체수/500ℓ) 1,026 1,248 1,497 315 369 402
상기 [표 2]에서 배양 완료된 배양액 속의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클로렐라의 크기(2㎛ 기준)로 개체수를 계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의 내용과 같이 각종 영양염류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 증식시킨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취수한 지하수를 살균하지 아니한 자연적인 상태에서 클로렐라를 배양시킨 결과 영양염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클로렐라 개체수도 증가함을 알 수 있지만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취수한 지하수와 배양액을 무균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가압 살균한 후 암소에서 배양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클로렐라 개체수가 훨씬 적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비교에의 경우에도 실시예와 같이 영양염류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클로렐라 개체수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클로렐라의 배양 증식이 완료된 후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5℃의 저온에서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 활동을 억제시킨 결과 5일이 경과한 후에도 클로렐라가 생존해 있었으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배양 증식이 완료된 후 상온에서 5일이 경과한 후 즉 출하시기에는 클로렐라가 사멸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클로렐라를 배양함에 있어서, 취수한 지하수에 별도로 클로렐라 균류의 접종 없이도 클로렐라를 배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균 작업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되며, 또한 클로렐라 배양시 배양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염류 등이 배양액에서 침전되지 않고 배양액에 골고루 용해되고,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켜 용해된 영양염유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양액을 임펠러에 의해 교반시키거나 또는 배양액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에 배양액을 폭기하여 클로렐라의 배양속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종래에는 5 내지 10일간 소요되는 배양 기간을 3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클로렐라의 광합성 작용을 돕기 위한 탄소원으로 포도당과 그리고 클로렐라의 증식에 필요한 영양공급원으로 질소 또는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함유한 배양액을 이용하여 클로렐라를 배양함에 있어서,
    ⅰ) 클로렐라 배양수조에 지하수 50 중량%를 받아 20 내지 30℃에서 일정기간 자연 상태로 저장하는 단계(지하수 숙성단계);
    ⅱ) 별도로 지하수 50 중량%에 탄소원인 포도당과 영양염류를 가하여 20 내지 30℃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배양액 제조 단계);
    ⅲ) 상기 ⅰ)단계에서 제조한 숙성 지하수에 상기 ⅱ)단계에서 제조한 배양액을 가해 15 내지 25℃에서 일정기간 임펠러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자연광에 의한 광합성 작용으로 클로렐라를 배양 증식시키는 단계(클로렐라 배양 증식단계);
    를 거쳐 배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에서 사용하는 클로렐라 배양수조는 배양수조 내에 햇볕이 잘 통과할 수 있도록 전후 및 좌우의 측벽 면이 투명한 재질로서,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수지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에서 지하수의 저장기간은 하절기에는 2 내지 3일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에서 지하수의 저장기간은 동절기에는 5 내지 6일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에서 탄소원인 포도당의 첨가량은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2 내지 0.4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에서 영양염류의 첨가량은 요소가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3 내지 0.6중량%, 황산마그네슘이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2 내지 0.4중량%, 탄산암모늄이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2 내지 0.4중량%, 일인산칼륨이 전체 지하수 사용량의 0.2 내지 0.4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에서 배양액은 1일간 저장하여 배양액에 첨가시킨 포도당과 각종 영양염류를 클로렐라가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히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ⅲ)단계에서 배양액은 2 내지 3일간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렐라 배양 방법.
KR1020040086290A 2004-10-27 2004-10-27 클로렐라 배양 방법 KR10059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90A KR100590296B1 (ko) 2004-10-27 2004-10-27 클로렐라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90A KR100590296B1 (ko) 2004-10-27 2004-10-27 클로렐라 배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127A true KR20060037127A (ko) 2006-05-03
KR100590296B1 KR100590296B1 (ko) 2006-06-19

Family

ID=3714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290A KR100590296B1 (ko) 2004-10-27 2004-10-27 클로렐라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2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020B1 (ko) * 2007-01-04 2010-08-11 이광태 보텍스를 발생시켜 한방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클로렐라를 배양하고 음용할 수 있는 클로렐라를 제조하는방법
KR101244213B1 (ko) * 2011-04-07 2013-03-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클로렐라의 배양방법 및 클로렐라로부터 베타카로틴을 추출하는 방법
RU2625741C1 (ru) * 2016-07-19 2017-07-1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колибактериоза у цыплят-бройлеров
KR101963415B1 (ko) * 2017-09-26 2019-03-29 농업회사법인(주)클팜 클로렐라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86B1 (ko) 2009-12-24 2012-03-05 대상 주식회사 녹색도가 개선된 클로렐라의 제조방법
KR102256697B1 (ko) * 2019-09-18 2021-05-26 주식회사 단양클로렐라 냉해방지 및 뿌리발근 효과가 우수한 클로렐라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640A (en) 1975-12-22 1977-08-16 Chlorella Industry Co., Ltd. Chlorella-culturing apparatus
JPS60126075A (ja) * 1983-12-09 1985-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酸素生産バイオリアクタ装置
JPS6460366A (en) * 1987-08-28 1989-03-0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Culture tank for plankton
KR20010019217A (ko) * 1999-08-18 2001-03-15 임창빈 종속영양배양에 의한 고농도 클로렐라 배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020B1 (ko) * 2007-01-04 2010-08-11 이광태 보텍스를 발생시켜 한방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클로렐라를 배양하고 음용할 수 있는 클로렐라를 제조하는방법
KR101244213B1 (ko) * 2011-04-07 2013-03-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클로렐라의 배양방법 및 클로렐라로부터 베타카로틴을 추출하는 방법
RU2625741C1 (ru) * 2016-07-19 2017-07-1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колибактериоза у цыплят-бройлеров
KR101963415B1 (ko) * 2017-09-26 2019-03-29 농업회사법인(주)클팜 클로렐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0296B1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18944B (zh) 一种超敏蛋白复合酶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130012A (zh) 一种水质改良剂
RU2010101310A (ru) Золотистые водоросли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1045904A (zh) 一种北冬虫夏草子实体的培养方法
KR100590296B1 (ko) 클로렐라 배양 방법
CN107231989B (zh) 稻渔共生模式下利用沼肥在稻田中进行养鱼的方法
KR101168140B1 (ko) 천연 섭취가 가능한 생 클로렐라의 제조 방법
CN104885977A (zh) 南美蓝对虾高密度养殖方法
KR102185297B1 (ko) 가축분뇨액비품질인증(lfqc)에 기초한 액비 생산 방법과 이를 통해 생산된 고품질 액비 및 클로렐라 미생물비료 제조방법
CN1657444A (zh) 超浓缩藻菌微生态平衡悬浮型水质改良剂及制备方法
JP2003299422A (ja) ミジンコの培養方法
CN104293798B (zh) 一种用于减少底部泥皮产生的微生物制剂及制备方法
US1832593A (en) Process for the cultivation of edible fungi
CN101781622A (zh) 植物性饵料培养方法
CN109020667A (zh) 一种利用黑水虻养殖粪渣生产肥水料的方法及肥水料
CN102070250B (zh) 一种光合细菌水质净化剂及其制备方法
JPH10113095A (ja) ミジンコの培養方法
CN101591616B (zh) 一种有益微生物菌群的培养方法
CN111285542B (zh) 一种培养单胞藻用刺参工厂化育苗尾水的处理工艺
CN1580002A (zh) 肥水复合菌的制备和修复水产养殖环境的方法
CN105016481A (zh) 一种水产养殖复合植物发酵液及其制备方法
CN108484279A (zh) 适用于冰草水培的营养液及制备方法
JP7420407B2 (ja) 醗酵堆肥とその製造方法
CN113735642B (zh) 一种培养枝角类生物的肥料及其应用和稳定培养枝角类生物的方法
SU1741688A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 рыб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