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728A - 선택적인 음성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선택적인 음성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728A
KR20060035728A KR1020067000295A KR20067000295A KR20060035728A KR 20060035728 A KR20060035728 A KR 20060035728A KR 1020067000295 A KR1020067000295 A KR 1020067000295A KR 20067000295 A KR20067000295 A KR 20067000295A KR 20060035728 A KR20060035728 A KR 20060035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essages
communication device
memory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펭 하오
란 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3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04M1/645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with speech synth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202)가, 전화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말하지 않고 음성으로 발신자에게 응답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디바이스(100) 및 방법(400)이 제공된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선택가능한 메시지들(204, 310, 312)을 저장하며, 전화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선택된 저장 메시지를 음성으로서 발신자에게 전송하여 발신자가 구두로 된 메시지를 듣게 된다.
통신 디바이스, 선택가능 음성 메시지, 구두로 된 메시지, 텍스트/음성 변환기

Description

선택적인 음성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 HAVING SELECTABLE VOICE MESSAG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택가능한 음성 전송 능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상황에서, 셀룰라 전화 등의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걸려오는 전화에 음성으로 응답하는 것을 원하지 않거나, 혹은 음성으로 응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의 중에 있거나, 혹은 극장에 있어서 크게 얘기하면 그 공간 내의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그 사용자는, 걸려 오는 전화에 응답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도 있으며, 혹은 걸려 오는 전화에 대해 음성 메일 응답을 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걸려오는 전화에 대해 말하지 않고 응답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발신자 ID 프로그램 등의 식별 툴을 이용하여 발신자의 아이덴티티를 판별하고 걸려 오는 전화를 종료한 후 별개의 통신을 시작하여 발신자에게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별개의 통신 채널을 필요로 하고 텍스트로 통신하는 이 처리는 불편하며, 서로가 상대방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가능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호 흐름, 메시지 저장, 및 메시지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
도 3은 세 개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및 세 개의 음성 메시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예시적인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가능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럭도.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들로서 전송되는 선택가능한 사전저장된 메시지들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셀룰라 전화 등의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사전저장된 메시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걸려오는 전화의 발신자에게 말하는 대신에 이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재생시킬 수 있다. 극장과 같이 말하는 것이 곤란한 환경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 통상의 음성 전화에서처럼 발신자의 얘기를 들을 수 있으며, 또한 사전저장된 메시지들 중에서 적절한 메시지(이는 발신자에게는 음성 메시지로서 재생됨)를 선택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응답할 수 있다. 사전저장된 메시지들은 여러 방식으로 준비될 수 있 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메시지들을 말함으로써 메시지들을 녹음할 수 있다. 그 후 이들 구두로 된 메시지들은 디지털화되어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텍스트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통신 디바이스의 텍스트/음성 변환기가, 발신자에게 응답할 때 선택된 텍스트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상대방과의 전화 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우선 원하는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전화가 연결되면 사용자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데 이 메시지는 상대방이 음성 메시지로서 듣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선택가능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100)의 예시적인 블럭도이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셀룰라 전화 또는 양방향 무선기기와 같은 무선 전화, 페이징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형 컴퓨터, 네트워크 브라우징 디바이스, 펜용 태블릿, 핑거 또는 펜용 터치 패드, 핑거용 터치 키패드, 또는 오디오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팅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00)는 셀룰라 전화로 예시되어 있으며, 안테나(102), 트랜시버(104), 프로세서(106), 디스플레이(108),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오디오 입력 및 출력(112), 메모리 회로(114), 및 프로세서(106)에 의해 제어되어, 내부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여 이들이 올바르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게 해주는 배터리 등의 전원(116)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안테나(102)를 통해 신호 를 검출하여 검출된 음성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안테나(102)에 연결되며 전송기(118) 및 수신기(120)를 포함하는 트랜시버(104)는, 검출된 신호를 전기적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며 전기적 베이스밴드 신호를 복조하여, 무선 신호에 의해 전송된 음성 및/또는 데이터 등의 입력 정보를 복구한다. 프로세서(106)는, 트랜시버(104)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108) 및/또는 오디오 입력 및 출력 장치(112)로의 출력을 위해 입력되는 정보를 포맷한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06)는, 무선 신호의 전송을 위해, 출력되는 정보를 포맷하여 이를 트랜시버(104)에 전송하여 반송파 변조 및 변조 신호로의 변환을 행한다. 트랜시버(104)는 변조된 신호를 안테나(102)에 전송하여 원격 트랜시버(도시하지 않음)에 전송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는 여러 비주얼, 오디오 및/또는 모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108)와, 오디오 입력 및 출력 장치(112)의 스피커, 알람 및 버저 등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08)는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인디케이터, 또는 그 밖의 임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와, 오디오 입력 및 출력 장치(112)의 오디오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키보드, 키 패드, 선택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용량성 센서, 모션 센서, 스위치, 또는 그 밖의 임의의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및 출력 장치(112)의 오디오 입력 장치는 마이크로폰 또는 그 밖의 임 의의 오디오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회로(114)는 여러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메모리 회로(114) 내의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하며 검색하기 위한 여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06)에 연결되어 있으며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텍스트/음성 변환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호 흐름, 메시지 저장 및 메시지 디스플레이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도면(200)이다.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202)는 오디오 입력 및 출력 장치(112)의 마이크로폰(206)을 통해 구두로 된 메시지(204)를 녹음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이 구두로 된 메시지(204)를 디지털화하여 이 디지털화된 메시지를 메모리 회로(114) 내에 음성 메시지(208)로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의 입력 키들로부터 입력 신호를 허용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의 입력 키들 중 하나 이상의 키들을 눌러서 메모리 회로(114) 내의 대응 음성 메시지(208)를 식별하는 사용자 창의된 식별자(210)를 생성한다. 사용자(202)는 음성 메시지(208)의 간단한 설명(212)을 입력할 수 있으며, 식별자(210) 및 간단한 설명(212) 양쪽 모두가 디스플레이(108)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세 개의 식별자(210, 302, 304)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08)와, 메모리 회로(114) 내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인 세 개의 구두로 된 메시지(204, 310, 312)에 대한 예로서 세 개의 대응하는 간단한 설명(212, 306, 308)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첫 번째 구두로 된 메시지(204) "Hello, this is Joan"이 메모리 회로 (114) 내에 음성 메시지(208)로서 저장되며, 'Hello'의 대응 설명을 갖는 제1 식별자(212)를 갖는 "1"로서 식별된다. 두 번째 구두로 된 메시지 "Thank you for calling. Goodbye."는 메모리 회로(114) 내에 제2 음성 메시지로서 저장되며 'Goodbye'의 대응 설명을 갖는 제2 식별자(306)를 갖는 "2"로서 식별된다. 세 번째 음성 메시지 "I will be there in twenty minutes"가 메모리 회로(114) 내에 저장되며 'In 20 min'의 대응 설명을 갖는 제3 식별자(308)를 갖는 "3"으로서 식별된다. 사용자(202)는 원하는 음성 메시지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음성 메시지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음성 메시지는 전송기(118)에 의해 전송된다.
이하에는, 사용자(202) 및 발신자가 의사(pseudo) 대화를 가질 수 있게 해주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사용자(202)는 극장 내에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204, 310, 312)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100)로 발신자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받는다. 사용자(202)가 극장 내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걸려 오는 전화에 대해 음성으로 응답하는 것을 원하지는 않으면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는 것은 원한다. 통신 디바이스(100)로, 사용자는 우선 걸려 오는 전화를 허용하고, 그 후 숫자 키 1을 눌러 제1 음성 메시지(208)를 선택함으로써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다. 그 후, 통신 디바이스(100)는 전송기(118)를 통해 제1 음성 메시지(208)를 발신자에게 전송하고, 발신자는 제1 음성 메시지(208)인, "Hello, this is Joan"을 듣게 된다. 사용자(202)는, 통신 디바이스(100)를 이용함으로써, 즉 통신 디바이스를 자신의 귀에 갖다 댐으로써(혹은, 이어폰을 이용할 수도 있음), 자신의 주위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되지 않고 발신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 후, 발신자는 사용자(202)에게 "언제 극장 밖으로 나오게 될지 알려달라. 밖에서 만나자"라고 말한다. 그러면 사용자(202)는 숫자 키 3을 눌러 제3 음성 메시지를 선택하며 발신자는 제3 음성 메시지인 "I will be there in twenty minutes."를 듣게 된다. 그 후 사용자(202)는 숫자 키 2를 눌러 제2 음성 메시지를 선택하며, 발신자는 제2 음성 메시지인 "Thank you for calling. Goodbye."를 듣게 된다. 그 후, 사용자(202)는 통화를 종료한다.
메모리 회로(114) 내에 저장될 메시지는 구두로 된 메시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의 입력 키들을 이용하여 텍스트 메시지가 입력되어 메모리 회로(114)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각 텍스트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자 및 간단한 설명에 의해 마찬가지로 식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6)는, 텍스트/음성 변환기로서 기능함으로써 텍스트 메시지를 구두로 된 메시지로 변환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202)가 전송될 텍스트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선택된 텍스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구두로 된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구두로 된 메시지를 전송기(118)를 통해 전송한다. 혹은 이와 달리, 통신 디바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텍스트/음성 변환기(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적인 플로우차트(400)이다. 프로세스는 블럭 402에서 시작되며, 그 후 블럭 404에서 메모리 회로(114) 내에 원하는 메시지가 저장된다. 원하는 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의 입력 키들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 또는 마이크로폰(206) 을 통해 녹음된 구두로 된 메시지일 수 있다. 그 후, 블럭 406에서, 저장된 메시지는 식별자로 태깅된다. 다음에, 블럭 408에서 저장될 부가적인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럭 404부터 반복된다. 저장될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블럭 410에서 저장된 메시지로부터 원하는 메시지가 선택되며, 블럭 412에서 선택된 원하는 메시지가 전송된다. 선택된 원하는 메시지가 텍스트 메시지인 경우, 프로세서(106)는 텍스트 메시지를 블럭 412에서 전송하기 전에 구두의 메시지로 변환한다. 그 후, 블럭 414에서 전송될 부가적인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럭 410부터 반복된다. 전송될 메시지가 없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럭 416에서 종료된다.
걸려오는 전화에 응답하는 것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자(202)는 블럭 402 내지 블럭 408의 처리를 행하여 메모리 회로(114) 내에 기대되는 모든 응답을 저장하려고 한다. 블럭 408과 블럭 410 사이에 전화를 받으면, 사용자(202)는 저장된 모든 응답으로부터 원하는 응답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저장된 텍스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06)에 의해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 또는 합성된 음성인 저장된 구두의 메시지로 발신자와 통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택가능한 음성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500)의 예시적인 블럭도이다. 통신 디바이스(500)는, 안테나(502), 전송기(504), 수신기(506), 메시지 저장 모듈(508), 디스플레이(510), 메시지 선택기(512), 키패드(514), 마이크로폰(516), 디지타이저(518), 및 텍스트/음성 변환기(52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예시된다. 메시지 저장 모 듈(508)은 복수의 메시지들을 저장하는데, 이들 각각은 대응하는 식별자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저장된 메시지는 구두로 되어 있거나 텍스트로 된 메시지일 수 있다. 구두로 된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마이크로폰(516)으로 말하도록 하고, 디지타이저(518)에 의해 그 음성을 디지털화하여, 메시지 저장 모듈(508)과 호환가능한 디지털화된 음성으로 변환하고, 디지털화된 음성을 메시지 저장 모듈(508) 내에 저장함으로써 캡처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지는 키패드(514)에 의해 입력되어 메시지 저장 모듈(508)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키패드(514)는 또한 저장된 메시지들에 대한 식별자들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메시지 저장 모듈(508)에 결합되어 복수의 메시지들의 대응 식별자 세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시지 선택기(512)는 메시지 저장 모듈(508)에 결합되며, 키패드(514)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대응 식별자에 의해 복수의 메시지들 중 원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원하는 메시지가 일단 선택되면, 메시지 선택기(512)에 결합된 전송기(504)는 선택된 원하는 메시지를 안테나(504)를 통해 송신한다. 선택된 원하는 메시지가 텍스트 메시지인 경우, 텍스트/음성 변환기(520)는 선택된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알 것이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경, 수정, 대체를 행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각각이 고유의 입력 키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입력 키와,
    상기 복수의 입력 키에 결합되며 입력 키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며, 복수의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 상기 복수의 메시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 신호에 의해 생성된 고유의 식별자에 대응하며 이 고유의 식별자에 의해 선택가능함 ― 와,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 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의 메시지로부터 선택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 ― 상기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로서 전송됨 ―
    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구두로 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에 상기 복수의 메시지의 음성 메시지로서 저장될 구두의 메시지를 디지털화하도록 또한 구성된 통신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시지는 텍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텍스트/음성 변환기(text-to-speech converter)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며, 전화를 받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화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전화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통신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시지에 대한 고유의 선택가능한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7. 통신 디바이스에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메모리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복수의 입력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에 의해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의해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메모리 내에 사용자의 디지털화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메모리에 텍스트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텍스트/음성 변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의해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선택하기 전에 전화를 받는 단계와,
    상기 전화를 받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를 허용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선택된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통신 디바이스에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전화에 응답하는 방법으로서,
    메모리 내에 복수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복수의 메시지 각각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를 받는 단계와,
    상기 전화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화에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복수의 메시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시지는, 사용자가 구두로 된 복수의 메시지를 녹음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복수의 메시지 각각은, 고유의 태그를 상기 복수의 메시지 각각에 할당함으로써 고유하게 식별되며, 상기 고유의 태그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복수의 입력 키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 스트로크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복수의 메시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 내의 상기 복수의 메시지 중 원하는 메시지에 할당된 고유의 태그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복수의 입력 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 스트로크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고유의 태그들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메시지 세트를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입력 키중 적어도 하나로 대응하는 고유의 태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들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각각이 대응하는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저장 모듈과,
    상기 메시지 저장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메시지의 대응 식별자들의 세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메시지 저장 모듈에 결합되며, 대응하는 식별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메시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선택기와,
    상기 메시지 선택기에 결합되며 선택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
    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구두로 된 메시지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 및 상기 메시지 저장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구두로 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저장 모듈과 호환가능한 디지털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저장 모듈 및 상기 메시지 선택기에 결합되며, 상기 메시지 저장 모듈 내에 저장될 텍스트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메시지에 대한 식별자들을 생성하며, 상기 메시지 선택기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선택기에 결합되며, 선택된 텍스트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 환하도록 구성된 텍스트/음성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067000295A 2003-07-09 2004-06-17 선택적인 음성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KR20060035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16,343 US20050009568A1 (en) 2003-07-09 2003-07-09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electable voice message transmission
US10/616,343 2003-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728A true KR20060035728A (ko) 2006-04-26

Family

ID=3356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295A KR20060035728A (ko) 2003-07-09 2004-06-17 선택적인 음성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09568A1 (ko)
EP (1) EP1642394A2 (ko)
KR (1) KR20060035728A (ko)
CN (1) CN1830153A (ko)
MX (1) MXPA06000312A (ko)
RU (1) RU2006103795A (ko)
WO (1) WO20050111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7207B2 (ja) * 2004-04-06 2009-06-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tv電話の送受信方法および携帯型tv電話端末
US8364467B1 (en) 2006-03-31 2013-01-29 Google Inc. Content-based classification
US20120231850A1 (en) * 2011-03-08 2012-09-13 Southtouch Partners, Ll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 conveyance of a sou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6577B2 (en) * 2001-06-01 2004-11-09 James D. Logan Cellular telephone with audio recording subsystem
US6785363B2 (en) * 2001-01-02 2004-08-31 Soundbite Communications, Inc. Voice message delivery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2394A2 (en) 2006-04-05
WO2005011130A3 (en) 2006-04-20
MXPA06000312A (es) 2006-03-30
US20050009568A1 (en) 2005-01-13
WO2005011130A2 (en) 2005-02-03
CN1830153A (zh) 2006-09-06
RU2006103795A (ru) 200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9636A (en) Messaging terminal with voice notification
US657098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bly announcing an indication of an identity of a sender of a communication
US8224397B2 (en) Wireless headset with voice announcement
US20070072602A1 (en) Automated reply to voice call
KR20060035728A (ko) 선택적인 음성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JP2008258999A (ja) メール応答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100362526B1 (ko) 간접음성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기기용 단말기
EP0994615A1 (en) Mobile Telephone
KR100450137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61575B1 (ko) 음성사서함전환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JP2001251672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の通話方式
KR100496820B1 (ko) 문자메시지 송수신응답전화기
US201002220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n audio message by mobile phone during communication
JPH06141068A (ja) 無線端末及びその制御方式
KR100652683B1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JP3594508B6 (ja) 電話装置
KR100660119B1 (ko) 발신자 정보의 음성출력 선택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및시스템
KR100413270B1 (ko) 농아자의 의사소통을 위한 휴대전화기와 방법
JP2004179884A (ja) 通話機能付き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3047069A (ja) 無線端末の送信方法及び無線端末
KR20050121385A (ko) 휴대폰에서 음성 입력을 통한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및방법
KR20020012962A (ko) 전화번호 안내방법
KR20050029609A (ko) 센서키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응답메시지 제공 방법
US20090037178A1 (en) Answer an incoming voice call without requiring a user to speak
KR20040051918A (ko) 음성/문자 변환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음성/문자 변환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