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414A - 유동체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유동체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414A
KR20060032414A KR1020040081360A KR20040081360A KR20060032414A KR 20060032414 A KR20060032414 A KR 20060032414A KR 1020040081360 A KR1020040081360 A KR 1020040081360A KR 20040081360 A KR20040081360 A KR 20040081360A KR 20060032414 A KR20060032414 A KR 20060032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fluid
container
valve membe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열
Original Assignee
백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열 filed Critical 백상열
Priority to KR102004008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2414A/ko
Publication of KR2006003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는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된 출입구를 가지며, 그 내부공간에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 가능한 유동체가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출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출입구에 결합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동체 수납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유동체가 용기본체의 출입구에 묻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출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의 외측면에도 묻지 않게 되어, 유동체 수납용기(100)를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의 출입구를 막는 별도의 뚜껑 없이도 용기본체의 유동체를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동체 수납용기{A receptacle for receiving fluid sub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동체 수납용기로부터 유동체가 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밸브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동체 수납용기로부터 유동체가 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밸브부재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유동체 10...용기본체
20, 21...밸브부재 100...유동체 수납용기
101...출입구 102...수나사부
201, 211...덮개부 202, 212...절개선
203, 214...결합부 204, 215...암나사공
213...오목부
본 발명은 유동체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되어 있는 헤어(hair)용 젤, 치약, 삼푸, 린스 등과 같은 유동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사용 후에도 유동체의 유출구가 유동체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동체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hair)용 젤, 치약, 삼푸, 린스 등과 같이 어느 정도의 점성을 가지는 유동체는 용기본체와, 뚜껑을 구비하는 수납용기에 수용된다. 상기 용기본체는 외부와 통하는 출입구를 가지고 있고, 그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동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출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동체 수납용기로부터 유동체를 유출시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본체의 출입구에 결합된 뚜껑을 제거하여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통하도록 만든다. 그 후에, 용기본체를 손으로 눌러서 변형시켜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의 체적을 줄인다. 이러한 용기본체 내부공간의 체적의 감소로 인해, 용기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유동체는 짜내어져서 출입구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필요한 양의 유동체를 유출시켜 사용한 후에는 뚜껑으로 출입구를 닫아서 용기본체의 유동체가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의 유동체를 외부로 유출시켜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출입구 주변에 유동체가 묻게 되어 그 출입구가 더러워져서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동체 수납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뚜껑이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동체가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되어 있는 헤어(hair)용 젤, 치약, 삼푸, 린스 등과 같은 유동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사용 후에도 유동체의 유출구가 상기 유동체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동체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는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된 출입구를 가지며, 그 내부공간에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 가능한 유동체가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출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출입구에 결합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동체 수납용기로부터 유동체가 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밸브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100)는 용기본체(10)와, 밸브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유동 가능한 유동체(1)를 그 내부공간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용기본체(10)에는 그 내부의 유동체(1)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개방된 출입구(101)가 마련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본체(1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밸브부재(20)는 상기 출입구(101)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출입구(101)에 결합된다. 상기 밸브부재(20)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부재(20)는 덮개부(201)와, 결합부(203)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201)는 상기 출입구(101)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출입구를 막고 있는 부분이다. 상기 덮개부(201)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쪽으로 움푹 들어간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201)에는 절개선(2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선(202)은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그 절개선(202)들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각각의 절개선(202)의 중앙부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201)의 중심에서 만난다. 상기 덮개부(201)는 상기 절개선(202)들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덮개부(201)의 중심에서 6개의 조각편들로 나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201)의 중심에 위치하는 6개의 조각편들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공간으로부터 짜내어지는 유동체(10)에 밀려서 그 조각편들의 단부들이 상기 유동체(1)가 용기본체(10)의 외부로 유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203)는 상기 덮개부(201)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03)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출입구(10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결합은 상기 용기본체(10)에 형성된 수나사부(102) 및 상기 결합부(203)에 형성된 암나사공(204)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20)는 상기 용기본체(10)에 착탈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1)는 헤어(hair)용 젤, 치약, 삼푸, 린스 등과 같이 어느 정도의 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출입구(101)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부재(20)의 절개선(202)을 통해서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유출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유동체 수납용기(100)로부터 유동체(1)를 유출시켜 사용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20)가 용기본체(10)의 출입구(10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용기본체(10)를 손으로 눌러서 용기본체(1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0)가 변형된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0) 내부공간의 체적이 그 변형 전보다 줄어들게 되므로, 유동체(1)는 가압된다. 이와 같이 가압된 유동체(1)는 출입구(101)를 폐쇄하고 있는 밸브부재(20)의 덮개부(201)를 상방으로 밀게 된다. 그런데, 덮개부(201)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심에는 절개선(202)들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조각편들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상기 6개의 조각편들의 단부들은 유동체(1)가 용기본체(10)의 외부로 유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러한 탄성변형에 의해서, 밸브부재(20)의 덮개부(2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출입구(101)를 개방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용기본체(10)의 유동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 외부로 짜내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밸브부재(20) 외부로 유출된 유동체(1)를 절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한번의 누름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동체(1)의 양은 용기본체(10)를 변형시키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체(1)를 짜내어서 사용하고 용기본체(1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용기본체(10)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므로, 출입구(101) 주변에 있는 용기본체(10)의 유동체(1)는 더 이상 밸브부재(20)의 덮개부(201)를 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밸브부재(20)의 덮개부(201)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유동체(10)가 유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형되고, 덮개부(201)의 내측면에 붙어있는 유동체(1)는 그 밸브부재(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20)는 용기본체(10)의 출입구(101)를 폐쇄하게 되고, 유동체(1)는 밸브부재(20)의 외측면에 묻지 않은 상태로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100)를 사용하게 되면, 유동체가 용기본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의 외측면에 묻지 않게 되어, 유동체 수납용기(100)를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의 출입구를 막는 별도의 뚜껑 없이도 용기본체의 유동체를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유동체 수납용기로부터 유동체가 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밸브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200)는 용기본체(10)와, 밸브부재(2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지시되고 다소 변경되었으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새로운 참조번호가 부가되어 지시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밸브부재(21)는 상기 출입구(101)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출입구(101)에 결합된다. 상기 밸브부재(21)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부재(21)는 덮개부(211)와, 오목부(213)와, 결합부(214)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211)는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덮개부(211)에는 절개선(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선(212)은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그 절개선(212)들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각각의 절개선(212)의 중앙부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211)의 중심에서 만난다. 상기 절개선 (212)들에 의해 상기 덮개부(2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덮개부(211)의 중심에서 6개의 조각편들로 나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211)의 중심에 위치하는 6개의 조각편들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공간으로부터 짜내어지는 유동체(10)에 밀려서 그 조각편들의 단부들이 상기 유동체(1)가 용기본체(10)의 외부로 유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기 오목부(213)는 상기 덮개부(211)로부터 연장된 부분이다. 상기 오목부(213)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부쪽으로 움푹 들어간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213) 및 상기 덮개부(211)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출입구(101)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101)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14)는 상기 덮개부(211)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14)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출입구(10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결합은 상기 용기본체(10)에 형성된 수나사부(102) 및 상기 결합부(214)에 형성된 암나사공(215)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21)는 상기 용기본체(10)에 착탈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유동체 수납용기(200)로부터 유동체(1)를 유출시켜 사용하는 과정의 일례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유동체 수납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유동체가 용기본체의 출입구에 묻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출입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의 외측면에도 묻지 않게 되어, 유동체 수납용기(100)를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의 출입구를 막는 별도의 뚜껑 없이도 용기본체의 유동체를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된 출입구를 가지며, 그 내부공간에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 가능한 유동체가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출입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출입구에 결합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수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입구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를 막고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공간으로부터 짜내어지는 유동체에 밀려서 상기 출입구가 개방 가능하도록 절개선을 가지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수납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쪽으로 움푹 들어간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수납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공간으로부터 짜내어지는 유동체에 밀려서 상기 출입구가 개방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틈새를 가지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부쪽으로 움푹 들어간 곡면형상을 가지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수납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출입구에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수납용기.
KR1020040081360A 2004-10-12 2004-10-12 유동체 수납용기 KR20060032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360A KR20060032414A (ko) 2004-10-12 2004-10-12 유동체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360A KR20060032414A (ko) 2004-10-12 2004-10-12 유동체 수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414A true KR20060032414A (ko) 2006-04-17

Family

ID=3714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360A KR20060032414A (ko) 2004-10-12 2004-10-12 유동체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241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046U (ja) * 1984-07-31 1986-02-26 サンポ−ル・クロロツクス株式会社 容器
JPS61107743U (ko) * 1984-12-19 1986-07-08
US4728006A (en) * 1984-04-27 1988-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 including self-sealing dispensing valve to provide automatic shut-off and leak resistant inverted storage
JPH1086961A (ja) * 1996-09-17 1998-04-07 Japan Crown Cork Co Ltd スクイズボトル用容器蓋
JPH11124153A (ja) * 1997-10-21 1999-05-11 Lion Corp 容器用キャップ装置
JP2002211599A (ja) * 2001-01-12 2002-07-31 Koichi Kitamura 既製のチューブ入り製品に取り付け可能な蓋つき絞り出し口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006A (en) * 1984-04-27 1988-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 including self-sealing dispensing valve to provide automatic shut-off and leak resistant inverted storage
JPS6132046U (ja) * 1984-07-31 1986-02-26 サンポ−ル・クロロツクス株式会社 容器
JPS61107743U (ko) * 1984-12-19 1986-07-08
JPH1086961A (ja) * 1996-09-17 1998-04-07 Japan Crown Cork Co Ltd スクイズボトル用容器蓋
JPH11124153A (ja) * 1997-10-21 1999-05-11 Lion Corp 容器用キャップ装置
JP2002211599A (ja) * 2001-01-12 2002-07-31 Koichi Kitamura 既製のチューブ入り製品に取り付け可能な蓋つき絞り出し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7039B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hiding/revealing pump outlet
US5950848A (en) Cap articulated to a connecting element
JP3492600B2 (ja) 逆流防止容器
WO2004069664A3 (en) Closure member
KR101023264B1 (ko)
KR101289483B1 (ko) 화장품 용기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KR20200095718A (ko)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60032414A (ko) 유동체 수납용기
KR20120077852A (ko) 튜브배출구내 공기역류방지기능을 갖춘 용기
JP4003937B2 (ja) 注出容器
WO2000078631A1 (en) Device for maintaining effervescence of a beverage within a container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KR102188511B1 (ko) 스퀴즈 용기
JP2008162673A (ja) 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る倒立可能な容器
CN210311595U (zh) 双向阀门塞及应用该双向阀门塞的包装容器
JP4145523B2 (ja) スリットバルブ構造体
KR200462593Y1 (ko) 유체 분배 헤드
JP3209605U (ja) 逆流防止容器
KR200226535Y1 (ko) 튜브형화장품용기의공기유입차단장치
JPH1029647A (ja) 逆止弁付きアルミチューブ容器
KR200485155Y1 (ko) 용기
CN217125641U (zh) 一种包装件
KR100891939B1 (ko) 액상용기
KR200213919Y1 (ko) 이중 출구 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