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535Y1 - 튜브형화장품용기의공기유입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튜브형화장품용기의공기유입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35Y1
KR200226535Y1 KR2019980019638U KR19980019638U KR200226535Y1 KR 200226535 Y1 KR200226535 Y1 KR 200226535Y1 KR 2019980019638 U KR2019980019638 U KR 2019980019638U KR 19980019638 U KR19980019638 U KR 19980019638U KR 200226535 Y1 KR200226535 Y1 KR 200226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air
neck
discharg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052U (ko
Inventor
이우정
Original Assignee
유상옥,송운한
주식회사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옥,송운한, 주식회사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유상옥,송운한
Priority to KR2019980019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3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3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배출공의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을 통해 내용물이 나오면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분할 안내하고 배출이 완료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네크의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공기가 배출공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를 구성하고, 배출안내부재의 중심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를 고정시키고 밸브를 통과하여 배출된 내용물을 내측 중심을 향해 분할 안내하는 고정관을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네크의 내주벽을 견고하게 폐쇄시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용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출구를 통해 나오는 내용물을 방사상으로 분산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이 산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원할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특히 내용물의 점도가 유동, 반유동, 완전유동 등 모든 종류의 화장품(스킨, 밀크로션, 크림, 에센스 등)에 적용이 가능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장치{device for air interception in tube type 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공기유입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주름살 제거용 화장품과 같이 공기와 반응하면 쉽게 산패하는 특성의 화장품은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고, 밀폐 상태로 보관된 내용물을 필요한 량 외부로 배출시킨 후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장치를 구비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된 원통형 용기(10)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캡(C)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네크(20)가 구성되고, 이러한 네크(20)의 상부에는 내용물을 외부로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30)가 착탈식으로 구성되며, 이 배출안내부재(30)와 네크(20)의 하부 중심에 통공된 배출공(21) 사이에는 도 1(a)와 같이 용기(10)가 가압되어 용기로부터 밀려 나오는 내용물에 의해 배출공(21)을 강제로 개방시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도 1(b)와 같이 용기의 가압력이 해제된 후 배출안내부재(30)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그 압력에 의해 복원되어 배출공(21)을 폐쇄시킴으로서 외부 공기가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공기유입 밸브(40)가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밸브(40)는 일측을 중심으로 상승 및 복원되어 배출공(21)의 상면을 개폐시키는 개폐편(42)이 경질 플라스틱으로 된 원통(41)의 바닥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배출공(21)을 통해 나오는 많은 량의 내용물에 의해 밀려나 있던 개폐편(42)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 후 천천히 복원되어 배출공(21)을 신속하게 폐쇄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복원이 완료된 후에도 배출공(21)의 상면에 긴밀하게 면접촉되지 못함으로서 배출안내부재(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을 산패시키게 된다. 또한 화장품의 사용횟수가 많게 되면 원통(41)과 개폐편(42)을 연결하는 경질의 리브(43)가 절단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키지 못하게 되는 결함이 있다.
또한 출구의 내부면 하부 중앙에 배출공을 가진 차단판을 형성하고, 그 상부 내부면에는 걸림홈을 마련하는 한편, 상기 출구에 결합되는 밀폐캡을 형성하되 그 외주면에 플랜지 및 걸림턱을 마련하고, 하면에는 "+"자형의 배출통로를 천공하며, 상기 출구의 차단판에 밸브판을 안착한 화장품 포장용 튜브가 실용신안등록출원 89-688호로 출원된바 있는데, 이는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밸브판이 밀폐캡의 하부와 차단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개재되어 있어 개폐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결함이 있다. 즉, 내용물의 점도가 일정 수준 이하(액상에서 반유액까지의 범위)의 경우에는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지 못하여 밀폐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네크의 내주벽을 견고하게 폐쇄시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용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출구를 통해 나오는 내용물을 방사상으로 분산시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공기유입 차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출공의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을 통해 내용물이 나오면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분할 안내하고 배출이 완료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네크의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공기가 배출공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와; 배출안내부재의 중심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를 고정시키고 밸브를 통과하여 배출된 내용물을 내측 중심을 향해 분할 안내하는 고정관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유입 차단 장치를 보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공기 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 20: 네크
21: 배출공 30: 배출안내부재
50: 밸브 51: 안내블록
511: 제1안내홈 512: 제2안내홈
52: 차단편 53: 고정블록
60: 고정관 61: 안내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통상에서와 같이 원통형 용기(10)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캡(C)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네크(20)가 구성되고, 이러한 네크(20)의 상부에는 내용물을 외부로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30)가 착탈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네크(20)의 하부 중심에 통공된 배출공(21)의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21)을 통해 나오는 내용물을 외측 방사상으로 분할 안내하고 배출이 완료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네크(20)의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공기가 배출공(21)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50)가 구성되고, 상기 배출안내부재(30)의 중심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50)를 고정시키고 밸브(50)를 통과하여 배출된 내용물을 내측 중심을 향해 분할 안내하는 고정관(60)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밸브(50)는, 연질의 실리콘을 소재로 하여 하부의 중심을 배출공(21)과 수직으로 대응하도록 소정 깊이 요입시킨 제2안내홈(511)을 형성하고 이 제2안내홈(511) 둘레를 적어도 2개소 이상 방사상으로 절개한 제2안내홈(512)을 형성한 안내블록(51)이 구성되고, 상기 안내블록(51)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네크(20)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상부 외향으로 만곡지게 확장시킨 차단편(52)이 구성되며, 차단편(52)의 바닥면 중심에 소정 직경의 고정블록(53)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60)은 배출안내부재(30)의 출구(31)와 수직으로 통하고 상기 고정블록(53)을 끼워 수용하도록 하향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2개소 이상 방사상으로 절개한 제3안내홈(61)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 과정과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배출안내부재(30)의 고정관(60) 하부에 밸브(50)의 고정블록(53)을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밸브(50)가 결합된 배출안내부재(30)는 통상에서와 같이 내용물이 충진된 용기(10)의 네크(20) 상부에 압입하여 형합시킨 후 캡(C)으로 복개한다. 이때 밸브(50)의 차단편(52)은 네크(20)의 내주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벽을 형성시킴으로서 상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 차단장치에 의해 용기가 차단되는 과정을 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를 가압하여 배출공(21)을 통해 나오는 내용물은 밸브(50)의 제1안내홈(511)을 통해 방사상으로 절개된 제2안내홈(512)으로 분할되어 차단편(52)을 강제로 밀어 개방시키면서 배출되고, 차단편(52)을 밀고 배출된 배출안내부재(30)의 고정관(60)에 형성된 안내공(61)을 통해 내향으로 유입되어 중앙의 출구(31)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출과정이 종료되고 출구(3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밸브(50)의 차단편(52)은 외향으로 복원되면서 배출안내부재(30)의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배출공(21)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배출공의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을 통해 내용물이 나오면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분할 안내하고 배출이 완료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네크의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공기가 배출공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를 구성하고, 배출안내부재의 중심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를 고정시키고 밸브를 통과하여 배출된 내용물을 내측 중심을 향해 분할 안내하는 고정관을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네크의 내주벽을 견고하게 폐쇄시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용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출구를 통해 나오는 내용물을 방사상으로 분산시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이 산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원할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특히 내용물의 점도가 유동, 반유동, 완전유동 등 모든 종류의 화장품(스킨, 밀크로션, 크림, 에센스 등)에 적용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원통형 용기(10)의 상부에 네크(20)가 구성되고, 이 네크(20)의 상부에 내용물을 외부로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재(30)가 착탈식으로 구성 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네크(20)의 배출공(21) 상면에 안착되어 배출공(21)을 통해 나오는 내용물을 외측 방사상으로 분할 안내하고 배출이 완료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네크(20)의 내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공기가 배출공(21)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연질의 실리콘을 소재로 하여 하부의 중심을 배출공(21)과 수직으로 대응하도록 소정 깊이 요입시킨 안내블록(51)의 상단 둘레에 네크(20)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상부 외향으로 만곡지게 확장시킨 차단편(52)이 구성되며, 차단편(52)의 바닥면 중심에 소정 직경의 고정블록(53)이 돌출된 밸브(50)와;
    상기 밸브(50)를 고정시키고 밸브(50)를 통과하여 배출된 내용물을 내측 중심을 향해 분할 안내하도록 배출안내부재(30)의 출구(31)와 수직으로 통하고 상기 고정블록(53)을 끼워 수용하도록 하향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2개소 이상 방사상으로 절개한 안내홈(61)이 구비된 고정관(6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공기유입 차단장치.
KR2019980019638U 1998-10-14 1998-10-14 튜브형화장품용기의공기유입차단장치 KR200226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638U KR200226535Y1 (ko) 1998-10-14 1998-10-14 튜브형화장품용기의공기유입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638U KR200226535Y1 (ko) 1998-10-14 1998-10-14 튜브형화장품용기의공기유입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052U KR20000008052U (ko) 2000-05-06
KR200226535Y1 true KR200226535Y1 (ko) 2001-06-15

Family

ID=6970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638U KR200226535Y1 (ko) 1998-10-14 1998-10-14 튜브형화장품용기의공기유입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87Y1 (ko) * 2012-06-19 2014-03-14 (주)아모레퍼시픽 스퀴즈가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KR101433252B1 (ko) * 2013-03-08 2014-10-01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2381479B1 (ko) 2021-12-27 2022-04-01 주식회사 익스트림모션 친환경 화장품 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87Y1 (ko) * 2012-06-19 2014-03-14 (주)아모레퍼시픽 스퀴즈가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KR101433252B1 (ko) * 2013-03-08 2014-10-01 김기덕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2381479B1 (ko) 2021-12-27 2022-04-01 주식회사 익스트림모션 친환경 화장품 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052U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5482C2 (ru) Крышка с внутренним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тока для клапана, открывающегося под давлением, в выдвигающейся/задвигающейся насадке (варианты)
US5108007A (en) Valve controlled squeezable fluid dispenser
US4431326A (en) Paint applicator and container
US6874656B2 (en) Vented closure
AU541581B2 (en) Two-component packaging for pourable media
EP1375374B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EP2848551B1 (en) Mouth plug for liquid container
US4420100A (en) Dispensing apparatus
IE910773A1 (en) Squeezable dispenser apparatus
US20090302073A1 (en) Liquid Dispenser with Anti-Retraction Feature
CZ299571B6 (cs) Ukládací kontejner a uzáver opatrený dávkovacím ventilem a oddeleným, uvolnitelne usporádaným vnitrním utesnením pri preprave
JP2005503295A (ja) 注入可能な物質を保持する容器に用いるディスペンスクロージャー
KR20070037095A (ko)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상물 분배 용기
US5549224A (en) Liquid medicine container structure
US4096597A (en) Drain opening device
RU2225818C2 (ru)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0226535Y1 (ko) 튜브형화장품용기의공기유입차단장치
JP2572789B2 (ja) 容器からのビール注ぎ出し装置
EP0011394B1 (en) Dispensing apparatus
JP2004514615A (ja) 搾りディスペンサー
US20060278656A1 (en) Spout handle and nozzle assembly
WO2003093132A1 (fr) Recipient verseur
WO2002076845A1 (fr) Clapet et recipient de liquide a clapet
CN111183099A (zh) 带可断开隔膜的塑料封盖部件
JP3805516B2 (ja) 二液押出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