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224A - 이동식 무대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224A
KR20060031224A KR1020040080173A KR20040080173A KR20060031224A KR 20060031224 A KR20060031224 A KR 20060031224A KR 1020040080173 A KR1020040080173 A KR 1020040080173A KR 20040080173 A KR20040080173 A KR 20040080173A KR 20060031224 A KR20060031224 A KR 20060031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auxiliary
main
frame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신기
Original Assignee
홍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신기 filed Critical 홍신기
Priority to KR102004008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224A/ko
Publication of KR2006003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8Shiftable or port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메인무대(M)가 구비된 이동식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무대(M)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 결합되도록 메인무대(M)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복수의 보조무대(A)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무대 자체를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공연상 전반적인 무대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보조무대를 메인무대에 연결하여 무대크기를 자유롭게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동식 무대장치, 메인프레임, 상부틀, 하부틀, 체결구

Description

이동식 무대장치{Moving sta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무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무대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무대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무대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무대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프레임 11 : 상부틀
12 : 하부틀 12a : 이동휠축착부
13 : 직립바 18 : 연결브라켓
18a : 체결공 19 : 배터리수납부
20 : 이동휠 22 : 휠구동모터
40 : 상판 50 : 보조프레임
51 : 상부틀 52 : 하부틀
53 : 보조휠 54 : 보조상판
58 : 연결브라켓 58a : 체결공
60 : 체결구 70 : 배터리
80 : 유선조정기 M : 메인무대
A : 보조무대
본 발명은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무대를 메인무대에 연결하여 무대크기를 자유롭게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 등에서 사용되는 이동식 무대는 대부분 일정크기를 갖는 시설물로 제작되며 이렇게 한번 제작되고 나면 무대의 크기 변경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해진 공간상에서만 공연 및 카메라 촬영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무대를 메인무대에 연결하여 무대크기를 자유롭게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무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는 소정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메인무대가 구비된 이동식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무대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 결합되도록 메인무대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복수의 보조무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무대는 직선형 테두리를 갖는 상부틀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무대는 메인무대의 상부틀과 동일 형상의 상부틀이 구비되어 이들 상부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무대와 보조무대의 상부틀 테두리에 각각 직립 하향되고 그 소정부위에 체결구로 체결할 수 있게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무대의 저면에 보조무대가 메인무대와 동일높이가 되도록 지지하는 보조휠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무대장치는 메인무대(M)와, 이 메인무대(M)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보조무대(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메인무대(M)는 메인프레임(10)과, 이 메인프레임(10)의 이동휠축착부(12a)에 축착되는 이동휠(2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를 덮어씌우는 상판 (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정사각형 테두리를 갖는 상부틀(11)과, 이 상부틀(11)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전, 후방으로 이동휠축착부(12a)가 구비된 하부틀(12)과, 상기 상·하부틀(11,12)을 연결하는 직립된 직립바(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테두리는 정사각형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외에 원형이나 다양한 다각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1)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보조프레임(50)의 형상도 대응해서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틀(11) 테두리에는 보조프레임(50)과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결브라켓(18)이 마련되어 있고, 이 연결브라켓(18)의 소정부위에는 체결구(60)로 체결할 수 있게 체결공(1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 이외에 이 메인프레임(10)과 동일 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보조프레임(50)의 상부틀(51) 테두리에도 상기 메인프레임(10)과 동일 구조의 연결브라켓(58)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50)의 테두리를 서로 밀착시키면 이들의 연결브라켓(18,58)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동일선상에 놓이게 되고, 이들의 체결공(18a,58a)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구(60)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50)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무대(M)와 보조무대(A)의 결합은 연결브라켓(18,58)으로 결합시키는 이외에 상기 메인프레임(10)과 보조프레임(50)을 볼트 등의 체결구로 직 접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측부의 직립바(13) 사이에는 휠구동모터(22)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70)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수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휠(20)은 메인프레임(10)의 하부틀(12)에 구비된 이동휠축착부(12a)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는 바퀴로서, 휠구동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 및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80은 상기 회전모터(17)와 휠구동모터(22)를 작동시키는 유선조정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상판(40)은 메인프레임(10)의 상부를 덮어씌우기 위한 판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무대(A)는 보조프레임(50)과, 이 보조프레임(50) 저면에 설치되는 보조휠(53)과,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상부를 덮는 보조상판(5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50)은 메인프레임(10)과 동일 형상의 상부틀(51)을 가지며, 이 상부틀(51)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틀(52)의 각 모퉁이에 보조휠(53)이 구비된 형상으로, 상기 상부틀(51)에는 메인프레임(10)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58)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5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50)의 상부를 덮어씌우기 위한 보조상판(54)은 보조프레임(50)의 크기에 맞는 사각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상판(54)은 보조프레임(5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데, 즉, 보조프레임(50)이 삼각 형상인 경우에는 삼각 형상의 보조상판이 보조프레임(50) 상면에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는 메인프레임(10)의 상부틀(11) 상에 상판(40)을 덮어씌워 메인무대(M)의 조립을 완성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유선조정기(80)를 통해 이동휠(20)을 회전시켜 메인무대(M)를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무대(M)의 상부틀(11) 각 테두리에 동일 형상의 상부틀(51)을 갖는 보조무대(A)를 밀착 배치시킨 후 이들의 연결브라켓(18,58)을 체결구(60)를 체결함으로써 메인무대(M)에 보조무대(A)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무대를 원하는 크기로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무대(A)에 또 다른 보조무대(A)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하여 무대의 크기를 계속해서 더욱 확장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확장된 무대는 중앙의 메인무대(M)의 구동력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무대장치는 보조무대를 메인무대에 연결하여 무대크기를 자유롭게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소정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메인무대(M)가 구비된 이동식 무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무대(M)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 결합되도록 메인무대(M)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복수의 보조무대(A)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무대(M)는 직선형 테두리를 갖는 상부틀(11)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무대(A)는 메인무대(M)의 상부틀(11)과 동일 형상의 상부틀(51)이 구비되어 이들 상부틀(11,51)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무대(M)와 보조무대(A)의 상부틀(11,51) 테두리에 각각 직립 하향되고 그 소정부위에 체결구(60)로 체결할 수 있게 체결공(18a,58a)이 형성된 연결브라켓(18,58)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무대(A)의 저면에 보조무대(A)가 메인무대(M)와 동일높이가 되도록 지지하는 보조휠(5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무대장치.
KR1020040080173A 2004-10-08 2004-10-08 이동식 무대장치 KR20060031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173A KR20060031224A (ko) 2004-10-08 2004-10-08 이동식 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173A KR20060031224A (ko) 2004-10-08 2004-10-08 이동식 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224A true KR20060031224A (ko) 2006-04-12

Family

ID=3714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173A KR20060031224A (ko) 2004-10-08 2004-10-08 이동식 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2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380A4 (en) CONSTRUCTION EQUIPMENT
JP6466163B2 (ja) 仮設手すり
KR100635490B1 (ko) 이동식 무대장치
KR20060031224A (ko) 이동식 무대장치
US7000264B1 (en) Auxiliary spa module
JP4127765B2 (ja) ローラコンベヤ装置
KR200345737Y1 (ko) 이동식 실내 야구연습장
JP6466164B2 (ja) 仮設手すり
JP2002275830A (ja) 高架橋の付設工事用足場装置および付設工事方法
JPS6028250Y2 (ja) 器機用テ−ブル
KR100629294B1 (ko) 전동식 그네 침대
CN220173148U (zh) 可折叠式光伏板支撑架
JP4210905B2 (ja) 車椅子用の昇降機における組立構造
JP3968569B2 (ja) 昇降装置
CN111780267B (zh) 一种空调可拆卸安装架
JP2019078119A (ja) 作業機械
KR200306461Y1 (ko) 상하좌우 폭 조절이 용이한 협소 공간 탐사로봇
JP3214674U (ja) 仮設手すり
JP6591510B2 (ja) 仮設手すり
JP2001061907A (ja) 介護用リフト装置
KR102081895B1 (ko) 태양광발전 모듈의 다각 거치 장치
JPS6122497Y2 (ko)
JPH0438280A (ja) スクーターのプロップスタンド取付け装置
JP2003184351A (ja) フェンス
JP3731483B2 (ja) 床下収納ユニット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