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120A -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120A
KR20060031120A KR1020040080018A KR20040080018A KR20060031120A KR 20060031120 A KR20060031120 A KR 20060031120A KR 1020040080018 A KR1020040080018 A KR 1020040080018A KR 20040080018 A KR20040080018 A KR 20040080018A KR 20060031120 A KR20060031120 A KR 20060031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asing
discharge
oi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694B1 (ko
Inventor
박진성
신동구
김철환
박효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694B1/ko
Priority to DE102005000899A priority patent/DE102005000899B4/de
Priority to US11/034,821 priority patent/US20060078452A1/en
Priority to JP2005019779A priority patent/JP4680614B2/ja
Priority to CNB2005100548178A priority patent/CN100523511C/zh
Publication of KR2006003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6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5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of the electric motor in 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정량의 오일을 채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지지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과 맞물려 함께 연속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압축실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압축실로 흡입냉매를 안내하는 흡입구와 압축실의 압축가스를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한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흡입구에 직접 연통 설치하여 냉매를 압축실로 안내하는 가스흡입관과,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 설치하여 케이싱내 압축가스의 토출을 안내하는 가스토출관을 포함한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케이싱 내부의 토출가스와 오일을 흡입하여 원심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자 또는 구동축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가스안내유로를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함으로써, 냉매가스는 모터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모터를 냉각하고 오일은 하단에서 비산되면서 모터를 냉각하여 구동모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케이싱의 내부에 오일 잔류량을 높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스템으로의 오일 유출량을 줄여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APPARATUS FOR REDUCING OIL DISCHARGE OF HIGH PRESSURE SCROLL COMPRESSOR}
도 1은 종래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Ⅱ-Ⅱ"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 가스안내유로의 형성위치를 보인 그래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 가스안내유로의 형상들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고정스크롤 6a : 고정스크롤의 랩
6b : 흡입구 6c : 토출구
7 : 선회스크롤 7a : 선회스크롤의 랩
110 : 메인프레임 111 : 축구멍
112 : 보스수용홈 114 : 가스안내구멍
115 : 가스연통홈 120 : 구동모터
121 : 고정자 122 : 회전자
122a : 가스안내유로 130 : 구동축
131 : 오일유로 140 : 가스안내가이드
C : 권선코일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 회전자의 내주면에 가스안내유로를 형성하여 오일의 유출을 차단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식 압축기는 공조기 분야에 널리 적용하는 고효율 저소음 압축기로서, 두 개의 스크롤이 상대 선회운동을 하면서 스크롤 사이에 복수 개의 압축실을 쌍으로 형성하고, 이 압축실이 지속적으로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적이 작아져 냉매가스를 연속으로 흡입 압축하여 토출하는 방식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에 흡입가스가 채워지느냐 토출가스가 채워지느냐에 따라 크게 저압식과 고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상태를 유지하고 가스흡입관(SP)과 가스토출관(DP)을 구비하는 케이싱(1)과, 케이싱(1) 내부의 상하 양측에 각각 고정하는 메인프레임(2) 및 서브프레임(3)과, 메인프레임(2)과 서브프레임(3) 사이에 장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4)와, 구동모터(4)의 회전자(4B) 중심에 압입하고 메인프레 임(2)을 관통하여 구동모터(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5)과, 메인프레임(2)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한 가스흡입관(SP)을 직접 결합하는 고정스크롤(6)과, 고정스크롤(6)에 맞물려 복수 개의 압축실(P)을 형성하도록 메인프레임(2)의 상면에 선회 가능하게 얹히는 선회스크롤(7)과, 선회스크롤(7)과 메인프레임(2)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선회스크롤(7)의 자전을 방지하면서 선회시키는 올담링(Oldham's ring)(8)을 포함하고 있다.
가스흡입관(SP)은 케이싱(1)을 통과하여 고정스크롤(6)의 흡입구(6b)에 연통 설치하는 한편 가스토출관(DP)은 메인프레임을 중심으로 고정스크롤(6)의 반대쪽 케이싱(1)의 내부공간에 밀봉하도록 연통 설치하고 있다.
메인프레임(2)은 그 중앙에 구동축(5)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축구멍(2a)을 형성하고, 축구멍(2a)의 상반부에는 선회스크롤(7)의 보스부(7b)가 선회운동을 하도록 보스수용홈(2b)을 확장 형성하며,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선회스크롤(7)의 배면과 함께 소정의 내부체적을 가지고 그 내부체적에 중간압측 압력의 냉매가스가 채워지도록 환형의 배압공간홈(2c)을 음형지게 형성하고 있다.
또, 메인프레임(2)은 그 외주면이 케이싱(1)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용접으로 고정 결합하되, 가스토출관(DP)이 메인프레임(2)을 중심으로 고정스크롤(6)의 반대쪽에 연통 설치됨에 따라 고정스크롤(6)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가스가 상기한 가스토출관(DP)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2)의 외주면을 따라 적당개소에 가스연통홈(2c)을 형성하고 있다.
구동모터(4)는 케이싱(1)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하는 고정자(4A)와, 고정자 (4A)의 안쪽에 소정의 공극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자(4B)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자(4B)는 도 2에서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상기한 구동축(5)을 압입할 수 있도록 진원형의 축삽입구멍(4b)을 형성하고 있다.
구동축(5)은 구동모터(4)의 회전자(4B)에 압입하여 상하 양측을 각각 메인프레임(2)과 서브프레임(3)으로 지지하고, 그 내부에는 케이싱(1)의 오일을 흡상하여 각 베어링면을 윤활하도록 축방향으로 길게 오일유로(5a)를 형성하고 있다.
고정스크롤(6)은 그 경판부 저면에 두 개 한 쌍의 압축실(P)을 이루는 랩(6a)을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경판부의 측면에는 상기한 가스흡입관(SP)을 연통하는 흡입구(6b)를 형성하며, 경판부 상면 중앙으로는 랩(6a)의 중앙에서 연통하여 압축가스를 케이싱(1)의 상측 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6c)를 형성하고, 경판부 가장자리에는 상기한 메인프레임(2)의 가스연통홈(2d)과 연결되도록 가스통과홈(6d)을 형성하고 있다.
선회스크롤(7)은 그 경판부 상면에 상기한 고정스크롤(6)의 랩(6a)과 함께 두 개 한 쌍의 압축실(P)을 이루는 랩(7a)을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경판부 저면 중앙에는 상기한 구동축(5)을 결합하여 구동모터(4)의 동력을 전달받는 보스부(7b)를 형성하고 있다. 선회스크롤(7)의 보스부(7b)는 메인프레임(2)의 보스수용홈(2b)에 삽입되어 선회운동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3a는 서브프레임의 축구멍, 9는 역지밸브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구동모터(4)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축(5)이 구동모터(4)의 회전자(4B) 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선회스크롤(6)이 올담링(8)에 의해 메인프레임(2)의 상면에서 편심 거리만큼 선회운동을 하고, 이와 함께 선회스크롤(7)의 랩(7a)은 고정스크롤(6)과의 랩(6a) 사이에서 한 쌍의 압축실(P)을 연속하여 형성하며, 이 압축실(P)은 선회스크롤(7)의 지속적인 선회운동에 의해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체적이 감소하여 냉매가스를 흡입 압축 토출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보면, 냉매가스는 가스흡입관(SP)을 통해 고정스크롤(6)의 흡입구(6b)로 직접 흡입되었다가 압축실(P)에서 압축되어 고정스크롤(6)의 토출구(6c)를 통해 케이싱(1)의 상측 내부공간으로 토출되고, 이 냉매가스는 고정스크롤(6)의 가스통과홈(6d)과 메인프레임(2)의 가스연통홈(2d)을 통과하여 케이싱(1)의 하측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였다가 구동모터(4)를 냉각하면서 상승하여 가스토출관(DP)을 통해 냉동사이클시스템으로 토출된다.
반면, 오일은 구동축(5)의 고속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그 구동축(5)의 오일유로(5a) 흡입되어 상단으로 흡상되면서 일부는 서브프레임(3)의 축구멍(3a)을 윤활하는 한편 일부는 구동축(5)의 상단에서 비산되어 보스수용홈(2b)을 통해 메인프레임(2)의 축구멍(2a)을 윤활하면서 토출가스에서 분리되는 오일과 함께 케이싱(1)의 바닥으로 회수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실(P)에서 토출되는 토출가스가 구동모터(4)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스에서 오일이 분리되어야 하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토출가스와 오일이 메인프레임(2)의 가스연통홈(2d)을 통과한 후 곧바로 가스토출관(DP)으로 이동하면서 토출되어 오일의 배출량이 급증하고 이로 인해 케이싱(1) 내부에 오일부족이 발생하면서 각종 부품 사이에 마찰이 증가하여 마찰손실이나 마모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스크롤 압축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싱의 내부에서 토출가스와 오일의 분리 효과를 극대화하여 오일은 케이싱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량의 오일을 채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지지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과 맞물려 함께 연속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압축실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압축실로 흡입냉매를 안내하는 흡입구와 압축실의 압축가스를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한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흡입구에 직접 연통 설치하여 냉매를 압축실로 안내하는 가스흡입관과,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 설치하여 케이싱내 압축가스의 토출을 안내하는 가스토출관을 포함한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케이싱 내부의 토출가스와 오일을 흡입하여 원심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자 또는 구동축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가스안내유로를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 가스안내유로의 형성위치를 보인 그래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 가스안내유로의 형상들을 보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소정량의 오일을 채우고 고압상태를 유지하는 케이싱(1)과, 케이싱(1) 내부의 상하 양측에 각각 고정하는 메인프레임(110) 및 서브프레임(3)과,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3) 사이에 고정하고 회전자(122)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가스안내유로(122a)를 축방향으로 형성하는 구동모터(120)와, 양측 프레임(110)(3)에 지지하여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30)과, 메인프레임(110)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한 가스흡입관(SP)을 직접 결합하는 고정스크롤(6)과, 구동축(130)에 편심지게 결합하여 메인프레임(110)의 상면에 얹고 고정스크롤(6)에 맞물려 올담링(8)에 의해 선회하면서 두 개 한 쌍의 압축실(P)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7)을 포함한다.
가스흡입관(SP)은 케이싱(1)을 통과하여 고정스크롤(6)의 흡입구(6b)에 연통 설치하는 한편 가스토출관(DP)은 메인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케이싱(1)의 하반부 내부공간에 밀봉하도록 연통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메인프레임(110)은 그 중앙에 구동축(130)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축구멍(111)을 형성하고, 축구멍(111)의 상반부에는 선회스크롤(7)의 보스부(7b)가 선회 운동을 하도록 보스수용홈(112)을 확장 형성하며,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선회스크롤(7)의 배면과 함께 소정의 내부체적을 가지고 그 내부체적에 중간압측 압력의 냉매가스가 채워지도록 환형의 배압공간홈(123)을 음형지게 형성한다.
또, 메인프레임(110)은 그 외주면이 케이싱(1)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용접으로 고정 결합하되, 그 내부에는 고정스크롤(6)의 토출구(6c)를 통해 압축실(P)에서 토출되는 토출가스가 상기한 구동모터(120)의 고정자(121)와 회전자(122) 사이로 유도되도록 가스안내구멍(114)을 형성한다. 여기서 가스안내구멍(114)은 메인프레임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직접 관통 형성할 수 있으나, 도 3에서와 같이 고정스크롤(6)의 가스통과홈(6d)과 연통하도록 외주면에 저면이 막힌 가스연통홈(115)을 소정의 깊이로 형성하고 그 가스연통홈(115)에 연통하도록 가스연통구멍(114)을 형성하되 그 출구는 대략 회전자의 범위 내에 형성하는 것이 토출가스를 상기한 가스안내유로(122a)로 보다 쉽게 유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메인프레임(110)의 저면에는 상기한 가스안내구멍(114)을 통과한 토출가스가 케이싱(1)의 내부공간으로 확산되지 않고 회전자(122)의 가스안내유로(122a)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스안내가이드(140)를 설치하되, 이 가스안내가이드(140)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가스안내구멍(114)과 가스안내유로(122a)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스안내가이드(140)는 회전자(122)와의 충돌을 고려하여 회전자 높이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하거나 회전자(보다 정확하게는, 밸런스웨이트)(122)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120)는 케이싱(1)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자(121)와, 고정 자(121)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회전자(122)로 이루어진다. 회전자(122)는 통상 수 개의 알루미늄 바를 구비하는 농형 형상으로 형성하되 구동축(130)을 압입하는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한 가스안내유로(122a)를 형성한다.
가스안내유로(122a)는 도 5에서와 같이 구동각(crank angle)에 따라 압축부 부하가 변화할 때 고정자(121)에 대한 회전자(122)의 구동력(driving force)이 상기한 가스안내유로(122a)로 인해 순간적으로 약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 구동토오크가 많이 필요한 구동각에 해당하는 위치(θ) 이외의 부위(α)에 가스안내유로(12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스안내유로(122a)는 도 6의 (a)에서와 같이 축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오일을 분리하기 위하여는 도 6의 (b)에서와 같이 회전자(122)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도 6의 (c)에서와 같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가스안내유로(122a)는 회전자(122)의 내주면에 접하는 구동축(130)의 외주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가스안내유로는 전술한 일례들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3a는 서브프레임의 축구멍, 9는 역지밸브, C는 권선코일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인가한 전원에 의해 구동축(130)이 구동모터(120)의 회전자(122)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선회스크롤(7)이 편심거리 만큼 선회하고, 이와 함께 선회스크롤(7)은 고정스크롤(6)과의 사이에 연속으로 이동하면서 체적이 좁아지는 압축실(P)을 쌍으로 형성하여 냉매가스를 흡입 압축 토출한다.
여기서, 냉매가스에는 오일이 함유되어 함께 토출되고 이 토출가스와 오일은 메인프레임(110)의 가스안내구멍(114)을 통과하여 구동모터(120)의 회전자(122) 내주면과 구동축(130)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한 가스안내유로(122a)로 유입된다. 이때, 토출가스와 오일은 메인프레임(110)의 가스안내구멍(114)을 통과한 후 고정자(121)와 회전자(122) 사이를 차단한 가스안내가이드(130)에 의해 케이싱(1)의 내부공간 전체로 확산되지 않으면서 회전자(122)의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한 가스안내유로(122a)로 안내되어 신속하게 흡입된다.
다음, 가스안내유로(122a)의 내부로 흡입되는 토출가스와 오일은 회전자(122)가 고속으로 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가스안내유로(122a)의 내부에서 분리되어 그 중 오일은 원심력에 의해 가스안내유로(122a)의 외주면으로 밀려났다가 비산되면서 케이싱(1)의 바닥으로 회수되는 반면 토출가스는 상기 가스안내유로(122a)를 통해 케이싱(1)의 하반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상승하여 가스토출관(DP)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오일은 가스안내유로(122a)를 통과한 후 비산되어 상기한 고정자(21)의 권선코일(C)을 냉각하는 반면 토출가스는 가스안내유로(122a)를 통과하여 고정자(121)의 외주면을 통해 가스토출관(DP)으로 유도되면서 모터를 냉각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케이싱의 내부로 토출되는 냉매가스와 오일에 의해 구동모터가 소정의 온도로 냉각되어 모터 효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냉매가스와 오일이 분리되어 냉매가스는 원활하게 배출되는 반면 대부분의 오일은 케이싱의 내부에 잔류하게 되므로 케이싱 내부의 오일부족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으로 오일이 과다하게 유입되는 것을 막아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는, 회전자와 구동축의 사이에 가스안내유로를 형성하고 그 가스안내유로 근방으로 가스안내구멍의 출구를 형성하며 가스안내구멍을 수용하는 가스안내가이드를 설치하여 토출가스를 가스안내유로로 유도함으로써, 냉매가스는 모터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모터를 냉각하고 오일은 하단에서 비산되면서 모터를 냉각하여 구동모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케이싱의 내부에 오일 잔류량을 높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스템으로의 오일 유출량을 줄여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소정량의 오일을 채운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지지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과 맞물려 함께 연속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압축실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압축실로 흡입냉매를 안내하는 흡입구와 압축실의 압축가스를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한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흡입구에 직접 연통 설치하여 냉매를 압축실로 안내하는 가스흡입관과,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 설치하여 케이싱내 압축가스의 토출을 안내하는 가스토출관을 포함한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케이싱 내부의 토출가스와 오일을 흡입하여 원심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자 또는 구동축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가스안내유로를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에는 압축실에서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가스를 상기한 가스안내유로로 유도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스안내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에는 상기한 가스안내구멍을 수용하여 그 가스안내구멍을 통해 유도되는 토출가스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가스안내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스안내유로는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가스안내유로는 회전방향에 대해 순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가스안내유로는 하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안내유로는 회전자의 내주면 또는 구동축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20040080018A 2004-10-07 2004-10-07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60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018A KR100608694B1 (ko) 2004-10-07 2004-10-07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DE102005000899A DE102005000899B4 (de) 2004-10-07 2005-01-07 Spiralverdichter
US11/034,821 US20060078452A1 (en) 2004-10-07 2005-01-14 Oil discharge reducing device for scroll compressor
JP2005019779A JP4680614B2 (ja) 2004-10-07 2005-01-27 スクロール圧縮機のオイル吐出低減装置
CNB2005100548178A CN100523511C (zh) 2004-10-07 2005-03-18 用于涡旋式压缩机的油排放降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018A KR100608694B1 (ko) 2004-10-07 2004-10-07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120A true KR20060031120A (ko) 2006-04-12
KR100608694B1 KR100608694B1 (ko) 2006-08-09

Family

ID=3670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018A KR100608694B1 (ko) 2004-10-07 2004-10-07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8694B1 (ko)
CN (1) CN1005235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4036B (zh) * 2007-06-29 2010-10-13 上海汉钟精机股份有限公司 半封闭螺杆式制冷压缩机导流罩
CN101216035B (zh) * 2008-01-04 2011-01-19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涡旋式的压缩机及其控制方法
US8177534B2 (en) * 2008-10-30 2012-05-15 Advanced Scroll Technologies (Hangzhou), Inc.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improved cooling system
KR101682252B1 (ko) * 2010-12-06 2016-12-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101474466B1 (ko) 2012-09-24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마모성 표면처리제,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압축기
JP5984787B2 (ja) * 2013-12-04 201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WO2018130134A1 (zh) * 2017-01-10 2018-07-19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压缩机
JP6735239B2 (ja) * 2017-01-24 2020-08-0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319014B (zh) * 2019-03-20 2020-07-31 浙江华荣电池股份有限公司 电动车用涡旋式空调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94A (ja) 1982-07-07 1984-01-14 Hitachi Ltd 密閉形スクロ−ル圧縮機
JPS60228787A (ja) 1984-04-25 1985-11-14 Daikin Ind Ltd スクロ−ル形流体機械
JPS60243389A (ja) 1984-05-18 1985-12-03 Hitachi Ltd 密閉形スクロ−ル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3511C (zh) 2009-08-05
KR100608694B1 (ko) 2006-08-09
CN1757924A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933B2 (en) Scroll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70093638A (ko) 스크롤 압축기의 유분리 장치
US8152503B2 (en) Baffle member for scroll compressors
US10781817B2 (en) Compressor having centrifugation and differential pressure structure for oil supplying
KR10067752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유분리 장치
KR100834018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608694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620999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575811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724386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모터 냉각 장치
KR100608867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냉매유로구조
KR101254169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575699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CN101205910A (zh) 具有降低润滑油阻抗功能的涡旋式压缩机
KR101964961B1 (ko) 점차적 유로 면적 변화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0575816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모터 냉각 장치
KR100565258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1386468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724377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531832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모터 냉각 장치
KR100575701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20060035495A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504913B1 (ko) 차압 분리판을 갖는 횡형 압축기
KR101199233B1 (ko) 유토출 저감 기능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KR100619742B1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