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022A - 수술기구 - Google Patents

수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022A
KR20060030022A KR1020057021270A KR20057021270A KR20060030022A KR 20060030022 A KR20060030022 A KR 20060030022A KR 1020057021270 A KR1020057021270 A KR 1020057021270A KR 20057021270 A KR20057021270 A KR 20057021270A KR 20060030022 A KR20060030022 A KR 20060030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instrument
spacer
gripping
insertion member
inter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581B1 (ko
Inventor
요시노부 이와사키
카즈토시 히다
타케히코 나카지마
마사히로 코케츠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카즈토시 히다
요시노부 이와사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카즈토시 히다, 요시노부 이와사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간 스페이서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보다 간편한 조작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수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수술기구는, 인접하는 극돌기의 사이에 삽입해서 사용되고, 또한, 중공부를 갖는 통 형상의 극간 스페이서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수술기구로서, 극간 스페이서의 중공부에 삽입하는 삽입통과부를 갖는 삽입 부재와, 삽입 부재를 파지하는 파지 부재를 갖고, 삽입 부재의 일방의 단부를 제 1 단부, 타방의 단부를 제 2 단부로 하면, 삽입 부재를 극간 스페이서의 중공부에 삽입하고, 삽입 부재의 제 1 단부 부근에 설치된 피파지부를 파지 부재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 부재는, 제 1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제 2 단부에, 극간 스페이서를 삽입통과부에 삽입했을 때, 극간 스페이서가 삽입통과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갖는다.
Figure 112005064325177-PCT00001
극돌기, 극간 스페이서, 수술기구, 중공부, 삽입통과부, 삽입 부재, 파지 부재, 피파지부

Description

수술기구{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중공부를 갖는 통 형상의 형상을 이루고, 또한, 인접하는 극돌기(棘突起)의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극간(棘間) 스페이서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수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척주관 협착증에서는, 추체와 추체 사이에 개재하는 추간판의 변성이나, 변형성 추간 관절증, 추체의 이차적인 변형, 척주 변형과, 그것에 기인한 마미·신경근 장해가 병의 용태로서 확인된다.
이러한 척주관 협착증의 치료에는, 변성된 취간판을 추체간으로부터 적출하고, 이 취간판이 제거된 추체간에 자신의 뼈를 이식하여 추체를 고정하는 추체 고정술이 사용된다.
그러나, 추체간에 골이식 하는 것만으로는, 골유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이식골의 흡수에 의해, 척추에 불안정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불안정성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극돌기 사이에, 극간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극간 스페이서를 소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것과 같은 수술에서 사용되는 수술기구로서 여러가지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등록 실용신안 제2550758호 공보 참조.).
이 공보에 기재된 수술기구는, 협지부의 내면에 연질성의 수지체가 부착되어 있어, 직접, 극간 스페이서 등을 협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기구에서는, 직접, 극간 스페이서 등을 협지하기 위해서, 과도한 협지력 등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 등에 손상을 주고마는 경우가 있었다. 또, 결정된 위치에서 협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할 때마다, 극간 스페이서 등이 적정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지 아닌지 확인하지 않으면 안되어, 수술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극간 스페이서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보다 간편한 조작으로 삽입할 수 있는 수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수술기는, 중공부를 갖는 통 형상의 형상을 이루고, 또한, 인접하는 극돌기의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극간 스페이서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수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술기구로서,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하는 삽입통과부를 갖는 삽입 부재와, 상기 삽입 부재를 파지하는 파지 부재를 갖고,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에 의해 파지되는 피파지부를, 상기 삽입 부재의 일방의 단부인 제 1 단부 부근에 갖는 것이며, 상기 삽입 부재를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 통과시키고, 상기 피파지부를 상기 파지 부재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보다 간편한 조작으로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제 1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제 2 단부에, 상기 극간 스페이서를 상기 삽입통과부에 삽입했을 때, 상기 극간 스페이서가 삽입통과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가 삽입통과부로부터 빠지는(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단부 방향을 향하여 단면의 면적이 점감하는 점감부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일방의 단면이 맞닿는 제 1 맞닿음부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와 지지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파지부는, 상기 삽입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상기 피파지부의 단면의 면적이 동일 방향에서의 상기 삽입통과부의 단면의 면적보다도 작은 제 1 부위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파지 부재는 삽입 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부위보다도 상기 제 1 단부측에, 상기 삽입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상기 제 1 부위의 단면의 면적보다도, 동일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의 면적이 큰 제 2 부위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 부재가 파지 부재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재는, 기단측에 조작부, 선단측에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한쌍의 암 부재를, 지지점을 통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삽입 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기 위한, 상기 피파지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설치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삽입 부재나 극간 스페이서에 손상을 주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면서, 삽입 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일방의 단면이 맞닿는 제 2 맞닿음부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와 파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암 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 좁은 수술 부위에서의 수술기구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제 2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좁은 수술 부위에서의 수술기구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맞닿음부 및/또는 상기 제 2 맞닿음부는 적어도 표면 부근이 수지재료로 구성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접촉에 의한 극간 스페이서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간 스페이서와 맞닿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수지재료로 구성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접촉에 의한 극간 스페이서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재료는 주로 폴리아미드 수지로 구성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멸균 소독시와 같은 가혹한 조건(예를 들면, 고온고압 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부재를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뽑아내기 위한 뽑아내기 부재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좁은 수술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삽입 부재를 뽑아낼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뽑아내기 부재는, 기단측에 조작부, 선단측에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 부재의 상기 지지부를 협지하는 협지부를 갖는 한쌍의 암 부재를, 지지점을 통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좁은 수술 부위에서도, 용이하게 삽입 부재를 뽑아낼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지부는 적어도 표면 부근이 수지재료로 구성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접촉에 의한 극간 스페이서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보다 확실하게 삽입 부재를 협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재료는 주로 폴리아미드 수지로 구성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멸균 소독시와 같은 가혹한 조건(예를 들면 고온고압 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지부는 상기 삽입 부재의 상기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삽입 부재를 협지할 수 있어, 극간 스페이서로부터 삽입 부재를 뽑아낼 때, 삽입 부재가 뽑아내기 부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 부재의 상기 조작부와, 상기 뽑아내기 부재의 상기 조작부의 외관이 상이하다. 이것에 의해, 상이한 수술기구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각 상기 조작부에 의해, 각 수술기구가 특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하는 수술기구를 착각하는 것과 같은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또는 그것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는,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블록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블록체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a), 측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삽입 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삽입 부재가 극간 스페이서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파지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파지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파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중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극간 스페이서에 삽입한 삽입 부재를 파지 부재로 파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뽑아내기 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뽑아내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디스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디스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극간 스페이서를 극간에 삽입할 때의 수술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극간 스페이서를 극간에 삽입할 때의 수술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적합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블록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평면도(a), 측면도(b)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삽입 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삽입 부재가 극간 스페이서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파지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8은 파지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9는 파지 부재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중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극간 스페이서에 삽입한 삽입 부재를 파지 부재로 파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뽑아내기 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뽑아내기 부재의 측면도, 도 14, 도 15는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디스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 7~도 10, 도 12~도 15중, 좌측을 「기단」, 우측을 「선단」으로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척주관 협착증의 치료용의 극간 스페이서로서는, 일본 특개평 8-52166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극간 스페이서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극간 스페이서는, 극돌기 사이에 고정할 경우, 귀부를 극돌기에 나사로 고정하기 때문에, 건전한 골조직을 상처입히고 만다는 문제가 있고, 또, 형상이 복잡하여, 수술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극돌기와 극돌기 사이에 확실하게 보유되어, 인접하는 극돌기의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뼈나 연부조직을 크게 절제하지 않고, 저침습 수술이 가능한 극간 스페이서, 즉,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극간 스페이서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1)는, 극돌기(101)와 극돌기(102) 사이(이하, 「극간」이라고도 한다.)에 삽입되는 것이다. 극간 스페이서(1)가 극간에 삽입된 상태(이하, 「삽입상태」라고도 한다.)에서, 극돌기(101)와 극돌기(102)와의 간격(이간 거리)이 적정하게 유지(보유)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극간 스페이서(1)(이하, 단지 「스페이서(1)」라고도 함)는 블록 형상의 블록체(2)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체(2)는 도시의 구성과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오목부(21)와, 중공부(22)를 갖고 있다. 또, 블록체(2)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극간에 스페이서(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의 극돌기의(인접하는 극돌기의) 각각 양쪽의 일부를 수납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1)를 구성하는 블록체(2)는, 극돌기 사이에 스페이서(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의 극돌기의 각각의 일부를 수납하는 오목부(21)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페이서(1)가 극간에 확실하게 보유되어, 극돌기와 극돌기와의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특히, 이러한 구성의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치료를 행할 때에, 뼈나 연부조직을 크게 절제하지 않고, 저침습 수술이 가능하게 된다.
오목부(21)는, 도시의 구성과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형상을 갖는 블록체(2)의 둘레면상의 축방향의 거의 중앙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스페이서(1)를 극간에 보유할 수 있다.
또, 오목부(21)는 오목부(21)의 바닥면의 형상이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스페이서(1)를 극간에 삽입할 때 및 삽입한 후 어디에 두어도, 주변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오목부(21)는, 적어도, 극돌기 사이에 스페이서(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의 극돌기의 일부를 수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되고, 스페이서(1)를 구성하는 블록체(2)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도시된 구성과 같이, 스페이서(1)를 구성하는 블록체(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스페이서(1)를 극돌기 사이에 보유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이면, 스페이서(1)를 극간에 삽입할 때에, 얼라인먼트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이러한 구성이면, 스페이서(1)를 제조할 때에, 용이하게 오목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21)의 도 2(a)중의 D1으로 표시되는 깊이는 0.5~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2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스페이서(1)를 극돌기 사이에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오목부(21)의 깊이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극돌기 사이에 스페이서(1)를 충분하게 보유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한편, 오목부(21)의 깊이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스페이서(1) 자체의 강도가 저하되고, 또, 극돌기와 극돌기와의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홈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부(21)의 도 2(a)중의 W로 표시되는 폭은, 1~1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스페이서(1)를 극간에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오목부(21)의 폭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오목부(21)에 적절하게 극돌기를 수납 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오목부(21)의 폭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극돌기 사이에 스페이서(1)를 충분하게 보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술기구가 적용되는 극간 스페이서(1)(블록체(2))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러한 형상이면, 극간에 삽입할 때 및 삽입한 후에도, 주변조직을 상처입히기 어렵게 된다.
또, 이러한 스페이서(1)는,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지만, 어느 정도 자유도를 갖도록 고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자유도가 있으면, 인체의 움직임(자세)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인체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 다.
중공부(2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23) 및 측면(24)의 중앙부근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중공부(22)는, 블록체(2)의 횡방향(원기둥의 축방향)에 대해 평행하고, 또한, 블록체(2)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중공부(22)는, 뒤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극간 스페이서(1)를 극간에 삽입하기 위한 수술기구를 삽입 통과시키는데 사용된다. 또, 이러한 중공부(22)는, 예를 들면 극간 스페이서(1)를 극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를 삽입 통과시키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스페이서(1)를 극간에 보유할 수 있다.
또, 중공부(2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의 가장자리부가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 즉, 중공부(22)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형상을 갖는 블록체(2)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의 중공부(22)의 단면적이, 개구부(블록체(2)의 단부)를 향해서 점증하는 점증부(25)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고정부재(3)를 삽입 통과시켜서 스페이서(1)를 극간에 고정했을 때, 고정부재(3)의 느슨함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스페이서(1)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부재(3)가 손상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점증부(25)는, 고정부재(3)를 중공부(22)에 삽입 통과시킬 때의 가이드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 이러한 중공부(22)의 도 2(a)중의 D2로 표시되는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 지 않지만, 15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2~4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공부(22)의 직경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고정부재(3)를 삽입 통과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중공부(22)의 직경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극간 스페이서로서의 강도를 충분하게 보유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은 점증부(25)의 도 2(a)중의 D3로 표시되는 개구부 부근에서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8mm인 것이 바람직하고, 4~6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술의 효과가 보다 현저한 것으로 된다.
극간 스페이서(1)를 극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와이어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형상의 고정부재(3)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고분자 폴리에틸렌제 케이블, 폴리에스테르 봉합사, 티탄이나 스테인리스제 와이어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블록체(2)의 도 2(a)중 L1으로 표시되는 전체 길이는 10~4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2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L1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극돌기 사이에 스페이서(1)를 충분히 보유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L1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극돌기 사이에 스페이서(1)를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블록체(2)의 도 2(a)중 L2로 표시되는 단부 부근에서의 직경은, 5~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8~1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L2가 상기 하한값 미 만이면, 스페이서(1)의 강도를 충분히 보유할 수 있지 않고, 또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원하는 부위로부터 벗어나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 극간의 충분한 간격을 얻을 수 없어, 치료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L2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오목부(21)의 깊이에 따라서는, 극돌기와 소돌기와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블록체(2)는 그 각부가 둥그스름해진 형상을 하고 있다(모따기 되어 있음). 이것에 의해, 각 블록체(2)를 극간에 삽입할 때 등에, 주변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2)는 생체친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체친화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티탄 또는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강, Co-Cr계 합금, Ni-Ti계 합금 등의 생체 위해성이 작은 금속재료, 세라믹스 재료, 또는, 이것들의 복합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재료중에서도, 티탄 또는 티탄 합금을 사용한 경우, 강도가 높은 재료이기 때문, 반복 응력이 작용해도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또한 수술후에, X선 촬영 등의 영상을 어지럽히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재료중에서도, 세라믹스 재료를 주재료로서 사용한 경우, 세라믹스 재료는 생체친화성이 특히 우수하고, 또한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선반, 드릴 등을 사용한 절삭가공에 의해 그 형상, 크기 등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수술실에서, 블록체(2)의 치수를 극돌기(101, 102)의 크기나, 척추의 만곡도 등의 차이, 즉, 증례에 따라 미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세라믹스 재료로서는, 각종 세라믹스 재료를 들 수 있지만, 특히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인산 칼슘계 화합물 등의 바이오 세라믹스가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인산 칼슘계 화합물은 우수한 생체친화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2)의 구성재료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인산 칼슘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불소 아파타이트, 탄산 아파타이트 등의 아파타이트류, 인산 2칼슘, 인산 3칼슘, 인산 4칼슘, 인산 8칼슘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인산 칼슘계 화합물중에서도 Ca/P비가 1.0~2.0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인산 칼슘계 화합물중, 히드록시 아파타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히드록시 아파타이트는, 뼈의 무기질 주성분과 동일한 조성, 구조, 물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우수한 생체친화성(생체적합성)을 갖고 있다.
또, 블록체(2)를 제조할 때, 원료의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입자는, 500~1000℃로 가소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에서 가소성된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입자는, 어느 정도 활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소결이 급격하게 진행하는 것 등에 의한 소결 불균일이 억제되어, 강도에 불균일이 없는 소결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2)는, 그 공공율(기공율)이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공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블록체(2)의 강도를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2)는, 상기 세라믹스 재료와, 예를 들면 티탄 또는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강, Co-Cr계 합금, Ni-Ti계 합금 등의 생체 위해성이 작은 금속재료와의 복합 재료 등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전술한 바와 같은 극간 스페이서(1)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데 본 발명의 수술기구가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수술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극간 스페이서(1)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술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극간 스페이서(1)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수술에서 사용되는 수술기구로서, 삽입 부재(4)와, 파지 부재(5)를 갖고 있다.
삽입 부재(4)는, 도 5,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극간 스페이서(1)에 삽입 통과되는 삽입통과부(41)와, 삽입 부재(4)의 일방의 단부(제 1 단부)측에 피파지부(42)와, 타방의 단부(제 2 단부)측에 지지부(43)를 갖고 있다.
삽입통과부(4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극간 스페이서(1)의 중공부(22)에 삽입 통과되고, 극간 스페이서(1)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삽입할 때, 극간 스페이서(1)를 적정한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부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삽입통과부(41)는 극간 스페이서(1)의 중공부(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도시의 구성에서는, 삽입통과부(41)의 횡단면(삽입 부재(4)의 길 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단면)의 형상이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다.
삽입통과부(41)의 횡단면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극간 스페이서(1)의 중공부(2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고, 또한, 적정한 방향에서, 극간 스페이서(1)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삽입통과부(41)의 횡단면의 직경은, 구체적으로는, 1~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4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삽입통과부(41)의 횡단면의 직경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삽입 부재(4) 전체적인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 극간 스페이서(1)가 삽입 부재(4)에 확실하게 보유되지 않아, 극돌기 사이에 적정한 방향에서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삽입통과부(41)의 횡단면의 직경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극간 스페이서(1)의 중공부(22)에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삽입통과부(41)의 횡단면의 직경은, 삽입통과부(4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정하여도 일정하지 않아도 좋다.
삽입 부재(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통과부(41)의 전체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극간 스페이서(1)의 도 2(a)중 L1으로 표시되는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한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또한, 적정한 방향에서, 극간 스페이서(1)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삽입통과부(41)의 전체 길이는, 구체적으로는, 10~4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2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시의 구성에서는, 피파지부(42)는, 전술한 삽입통과부(41)보다도, 삽입 부재(4)의 제 1 단부측에 설치되어 있고, 뒤에 상술하는 파지 부재(5)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다.
피파지부(42)는 피파지부(42)의 횡단면(삽입 부재(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단면)의 면적이 삽입통과부(41)의 횡단면의 면적보다도 작은 제 1 부위(421)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파지 부재(5)는 삽입 부재(4)를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 피파지부(42)는 제 1 부위(421)보다도 제 1 단부측에, 제 1 부위의 횡단면의 면적보다도 횡단면의 면적이 큰 제 2 부위(422)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피파지부(42)가, 제 1 부위(421)와 제 2 부위(422)를 가짐으로써, 삽입 부재(4)가 후술하는 바와 같은 파지 부재(5)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1 부위(421)의 횡단면의 직경은, 1~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4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부위(421)의 직경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피파지부(42)로서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제 1 부위(421)의 횡단면의 직경이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파지 부재(5)로부터의 빠짐방지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제 2 부위(422)의 횡단면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술한 삽입통과부(41)의 횡단면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삽입 부재(4)가 파지 부재(5)로부터 빠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1)의 중공부(22)로부터 삽입 부재(4)를 뽑아낼 때, 뽑아내기 쉬워진다. 이러한 제 2 부위(422)의 횡단면의 직경은 구체적으로는, 1~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4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부(43)는 삽입 부재(4)의 제 1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제 2 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전술한 삽입통과부(41)보다도 제 2 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43)는, 극간 스페이서(1)를 삽입통과부(41)에 삽입 통과시켰을 때에, 극간 스페이서(1)가 삽입통과부(41)로부터 빠지는(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지지부(43)는, 제 2 단부방향을 향하고, 그 횡단면(삽입 부재(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단면)의 면적이 점감하는 점감부(431)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1)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지지부(43)의 도 5중 D4로 표시되는 최대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8~1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삽입통과부(41)로부터 극간 스페이서(1)가 누락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극간 스페이서(1)를 극돌기 사이에, 보다 삽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지지부(43)는 극간 스페이서(1)의 일방의 단면이 맞닿는 제 1 맞닿음부(43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맞닿음부(432)가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에 의한 극간 스페이서(1)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실리콘 고무, 염화비닐,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멸균 소독시와 같은 가혹한 조건(예를 들면, 고온 고압 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삽입 부재(4)의 도 5중 L3로 표시되는 전체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4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삽입 부재(4)의 전체 길이 L3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극간 스페이서(1)의 전체 길이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파지 부재에 의해, 파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삽입 부재(4)의 전체 길이 L3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삽입 부재(4)를 삽입 통과한 극간 스페이서(1)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파지 부재(5)는, 도 7~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긴 암 부재(축부재)(51a, 51b)를 갖고, 그것들의 도중을 지지점(핀)(55)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암 부재(51a)와 암 부재(51b)는, 지지점(55) 부근의 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대칭의 형상을 하고 있다.
암 부재(51a)는 기단측에 조작부(파지 조작부)(52a), 선단측에 파지부(53a)를 갖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암 부재(51b)는 기단측에 조작부(파지 조작부)(52b), 선단측에 파지부(53b)를 갖고 있다.
양 암 부재(51a, 51b)는, 조작부(52a, 52b)를 닫으면 파지부(53a, 53b)도 닫히고(도 7 참조), 조작부(52a, 52b)를 열면 파지부(53a, 53b)도 열리도록(도 8 참조) 지지되어 있다.
조작부(52a, 52b)는, 파지 부재(5)를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부위이며, 각각, 손가락을 삽입하여 걸기 위한 링(54a, 54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52a, 52b)는, 암 부재(51a, 51b)의 회전운동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C자 형상(훅 형상)이나 L자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 조작부(52a, 52b)는, 각각, 삽입 부재(4)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521a, 521b)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수술중에 파지 부재(5)가 열려, 극간 스페이서(1)에 삽입된 삽입 부재(4)가 탈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파지부(53a, 53b)는 극간 스페이서(1)를 삽입시킨 삽입 부재(4)의 피파지부(42)를 파지하기 위한 부위이며, 각각, 극간 스페이서(1)와 맞닿는 쪽에, 제 2 맞닿음부(531a, 531b)를 갖고 있다.
파지부(53a, 53b)는, 도 7,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반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파지 부재(5)가 닫힌 상태, 즉, 파지부(53a)와 파지부(53b)가 합쳐진 상태에서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또, 파지부(53a, 53b)는 파지부(53a)와 파지부(53b)가 합쳐진(닫힌 상태) 상태에서의 원기둥의 축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의 형상은, 파지부(53a)와 파지부(53b)가 합쳐진 상태에서, 피파지부(42)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하고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53a, 53b)가 닫힌 상태에서, 구멍부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부재(4)나 극간 스페이서(1)에 손상을 주는 것을 충분하게 방지하면서, 삽입 부재(4)를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는, 구멍부는 직경이 작은 소경부(532)와 직경이 큰 대경부(533)를 갖고 있고, 소경부(532), 대경부(533)는 각각 피파지부(42)의 제 1 부위(421), 제 2 부위(422)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소경부(532)로 제 1 부위(421)를 파지하고, 대경부(533)로 제 2 부위(422)를 파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삽입 부재(4)나 극간 스페이서(1)에 손상을 주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면서, 삽입 부재(4)가 파지 부재(5)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파지 부재(5)는 암 부재(51a, 51b)의 회전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특히, 파지 부재(5)는, 도시된 구성과 같이, 제 2 맞닿음부(531a, 531b)가 설치되어 있는 쪽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지 부재(5)의 거의 중앙부근에서 굴곡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1)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 좁은 수술 부위에서의 수술기구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굴곡의 각도(도 9중, θ로 표시되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술한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발휘하기 위해서, 30~1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60~12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맞닿음부(531a, 531b)는 적어도 그 표면 부근이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접촉에 의한 극간 스페이서(1)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실리콘 고무, 염화비닐,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멸균 소독시와 같은 가혹한 조건(예를 들면 고온 고압 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파지 부재(5)의 평면시일 때의 전체 길이(도 9중 L4로 표시되는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2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22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파지 부재(5)의 취급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술기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삽입 부재(4)와 파지 부재(5) 이외에, 뽑아내기 부재(6)를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뽑아내기 부재(6)에 대해 설명한다.
뽑아내기 부재(6)는 삽입 부재(4)를 삽입 통과시킨 극간 스페이서(1)를 극돌 기 사이에 삽입한 후에, 삽입 부재(4)를 뽑아내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뽑아내기 부재(6)는, 도 12,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긴 암 부재(축부재)(61a, 61b)를 갖고, 그것들의 도중을 지지점(핀)(65)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암 부재(61a)와 암 부재(61b)는, 지지점(65) 부근의 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암 부재(61a)는 기단측에 조작부(협지 조작부)(62a), 선단측에 협지부(63a)를 갖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암 부재(61b)는 기단측에 조작부(협지 조작부)(62b), 선단측에 협지부(63b)를 갖고 있다.
양 암 부재(61a, 61b)는, 조작부(62a, 62b)를 닫으면 협지부(63a, 63b)도 닫히고, 조작부(62a, 62b)를 열면 협지부(63a, 63b)도 열리도록 지지되어 있다.
조작부(62a, 62b)는, 뽑아내기 부재(6)를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부위이고, 각각, 손가락을 삽입하여 걸기 위한 링(64a, 64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62a, 62b)는 암 부재(61a, 61b)의 회전운동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C자 형상(훅 상)이나 L자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 조작부(62a, 62b)는, 각각, 삽입 부재(4)를 협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621a, 621b)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1)로부터 삽입 부재(4)를 뽑을 때, 뽑아내기 부재가 열려, 삽입 부재(4)가 탈락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협지부(63a, 63b)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삽입 부재(4)의 지지부(43)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고, 뽑아내기 부재(6)가 닫힌 상태에서의 협지부(63a)와 협지부(63b)의 이간 거리(도면중 X로 표시되는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부(43)의 최대직경 보다도 약간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삽입 부재(4)를 협지할 수 있어, 극간 스페이서(1)로부터 삽입 부재(4)를 뽑을 때, 삽입 부재(4)가 뽑아내기 부재(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협지부(63a, 63b)는 적어도 그 표면 부근이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접촉에 의한 극간 스페이서(1)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보다 확실하게 삽입 부재(4)를 협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실리콘 고무, 염화비닐,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멸균 소독시와 같은 가혹한 조건(예를 들면 고온 고압 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뽑아내기 부재(6)의 전체 길이(도 13중 L5로 표시되는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2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22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뽑아내기 부재(6)의 취급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술기구는, 상기한 삽입 부재(4), 파지 부재(5), 뽑아내기 부재(6) 이외에, 디스트랙터(10)를 갖고 있다.
디스트랙터(10)는, 전술한 극간 스페이서(1)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기 전에, 극간 인대를 확장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디스트랙터(10)는,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 형상의 본체(100)와, 본체(100)의 선단측에는, 극간(인대)에 삽입되는 삽입통과부(110)와, 본체(100)의 기단측에는, 디스트랙터(1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20)를 갖고 있다.
삽입통과부(110)는, 도시된 구성과 같이, 본체(100)의 짧은 방향중 일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체(100)의 길이 방향과, 삽입통과부(110)가 돌출해 있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면중 θa로 표시되는 각도)은, 5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디스트랙터(10)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삽입통과부(110)는 본체(100)의 두께(직경)보다도 두께가 얇은 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극간(인대)에 비교적 용이하게, 삽입통과부(110)를 삽입할 수 있다. 또, 삽입후에 삽입통과부(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극간 인대를 확장할 수 있다.
삽입통과부(110)의 평균 두께는, 구체적으로는, 2~8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극간(인대)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통과부(110)를 삽입할 수 있다.
또, 삽입통과부(110)의 도 14중 Xa로 표시하는 폭은, 8~1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삽입후에 삽입통과부(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극간 인대를 확장할 수 있다.
또, 삽입통과부(110)는, 본체(100)와 접속하고 있는 측으로부터 삽입통과부(110)의 돌출방향을 향해, 즉, 삽입통과부(110)의 선단부를 향해, 그 단면적이 점감하는 점감부(111)를 갖고 있다. 이러한 점감부(111)를 가짐으로써, 극간(인대)에 비교적 용이하게 디스트랙터(10)를 삽입할 수 있다.
또, 삽입통과부(11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 부근의 일부가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112)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통과부(110)를 극간에 삽입할 때에, 주변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파지부(120)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소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디스트랙터(10)의 조작성을 보다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트랙터(10)의 평면시일 때의 전체 길이(도 14중 L6로 표시되는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0~3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25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디스트랙터(10)의 취급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 도 14중 Xb로 나타내는 디스트랙터(10)의 선단부 부근의 폭은 20~4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극간(인대)에 삽입통과부(110)를 삽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수술기구에 대해 설명했지만, 전술한 파지 부재(5)로 뽑아내기 부재(6)에서는 각 조작부(조작부(52a 및/또는 52b)와, 조작부(62a 및/또는 62b))의 외관이 각각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다른 수술기구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조작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형상, 치수, 재질, 감촉, 색채 등을 바꾸는 방법, 문자(숫자), 기호, 도형과 같은 마커를 붙이는 방법 등 중 적어도 1개의 방법에 의해, 각 조작부의 외관을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파지 부재(5)의 조작부(52a)의 A1으로 나타내는 부분, 뽑아내기 부재(6)의 조작부(62a)의 A2로 나타내는 부분을, 각각, 다른 색채로 하거나, 각 부분 A1, A2에 각각 상이한 숫자를 붙이거나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조작부를 보는 것 만으로, 어느 수술기구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특정)할 수 있어, 사용할 수술기구를 착각하는 것과 같은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수술기구는, 주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SUS316, SUS304, SUS301 등), 티탄 또는 티탄 합금과 같은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고강도이고 충격에 강하고, 또한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기구를 멸균할 때의 열을 충분하게 견뎌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극간 스페이서(1)를 극간에 삽입할 때의 수술법의 일례에 대해,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먼저,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자를 우측으로 눕히고 구부린 자세로 하고, 국부마취를 행한다.
2. 환부의 피부를 5cm 정도 절개한다.
3. 극돌기의 양측으로부터 근을 박리하고, 개창기(reteactoe)(7)에 의해 쳐들어 올린다.
4. 극상 인대의 전방에 갈고리 형상의 프로브(다이레이터)(8)를 삽입한다(도 16(b) 참조).
5. 극간 인대에 디스트랙터(10)를 삽입한다(도 16(c) 참조). 그 후, 디스트랙터(10)의 삽입통과부(110)를 회전시켜, 극간 인대를 넓힌다.
5. X선 사진에 의해 위치를 확인하고, 극간 인대에 트라이얼(9)을 꽂아 넣어 가고, 극돌기 사이의 간격을 넓힌다(도 16(d) 참조).
6. 도 11과 같이, 극간 스페이서(1)에 삽입한 삽입 부재(4)를 파지 부재(5)로 파지하고, 고정부(521a)와 고정부(521b)를 맞물리게 하고, 파지 부재(5)가 닫힌 상태를 고정한 상태에서, 극간 스페이서(1)를 환자의 우측으로부터 극돌기 사이에 삽입한다(도 17(a) 참조).
7. 고정부(521a, 521b)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파지 부재(5)를 열어서, 파지 부재(5)를 제거한다(도 17(b) 참조).
8. 뽑아내기 부재(6)의 협지부(63a와 63b)로, 삽입 부재(4)의 지지부(43)를 협지하고, 극간 스페이서(1)로부터 삽입 부재(4)를 뽑아낸다(도 17(c), (d) 참조).
9. 극간 스페이서(1)의 중공부(22)에 고정부재(3)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 고정부재(3)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1)를 극돌기 사이에 고정한다(도 3 참조).
10. 창부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사용하면, 극간 스페이서를, 용이하고, 또한, 저침습 수술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특히, 삽입 부재(4)와 파지 부재(5)를 병용함으로써, 극간 스페이서(1)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삽입할 때, 극간 스페이서(1)의 측방을 파지 부재(5)의 제 2 맞닿음부(531a와 531b)로 가압할 수 있고, 즉, 극간 스페이서(1)의 삽입방향으로의 힘을 쉽게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극간 스페이서(1)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극간 스페이서(1)를 파지 부재(5)에 의해, 직접 파지할 필요가 없으므로(극간 스페이서(1)에 파지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과도한 파지력에 의해 극간 스페이서(1)를 치핑시킬 우려가 없다.
또한, 삽입 부재(4)의 제 1 단부(피파지부(42)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단부) 부근에 고정부재(3)의 일단을 부착해 놓아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삽입 부재(4)를 극간 스페이서(1)로부터 뽑아냄과 동시에, 고정부재(3)를 극간 스페이서(1)의 중공부에 삽입할 수 있어, 수술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술에 의하면, 다이레이터(8), 트라이얼(9)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 극간 인대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술기구는 디스트랙터(1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다이레이터(08), 트라이얼(9)을 생략한 경우라도, 극간 인대를 용이하게 넓힐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도시된 구성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부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지 부재나 뽑아내기 부재의 양 암 부재의 전체 형상이나, 그것에 속하는 부위(예를 들면, 조작부, 파지부, 협지부 등)의 형상은 비대칭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수술기구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재를 갖는 것이어도 좋고, 다른 부재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수술기구는,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각각 여러개 갖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삽입 부재(4)가 복수이고, 극간 스페이서(1)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맞추어, 적당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마찬가지로, 파지 부재(5), 뽑아내기 부재(6)도 복수이고, 극간 스페이서(1)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맞추어, 적당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파지 부재(5)의 양 암 부재(51a, 51b)는, 조작부(52a, 52b)를 닫으면 파지부(53a, 53b)가 닫히도록 지지된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그 반대의 구성이어도 좋다. 즉, 조작부(52a, 52b)를 닫으면 파지부(53a, 53b)가 열리도록 지지된 것 이어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뽑아내기 부재(6)의 양 암 부재(61a, 61b)는, 조작부(62a, 62b)를 닫으면 협지부(63a, 63b)가 닫히도록 지지된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그 반대의 구성이어도 좋다. 즉, 조작부(62a, 62b)를 닫으면 협지부(63a, 63b)가 열리도록 지지된 것이어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뽑아내기 부재(6)를 갖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러한 뽑아내기 부재(6)는 없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부재(4)의 제 1 맞닿음부(432)가 수지재료로 구성된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극간 스페이서(1)와 맞닿는 부분이고, 제 1 맞닿음부(432) 이외의 부분이 수지재료로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극간 스페이서(1)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제 1 맞닿음부(432) 이외의 부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삽입 부재(4)의 삽입통과부(41)나 파지 부재(5)의 파지부(53a, 53b) 등을 들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부재(4)가, 점감부(431)를 갖는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점감부(431)는 없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부재(4)의 피파지부(42)가, 횡단면적이 상이한 제 1 부위(421)와 제 2 부위(422)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2 부위(422)가 없어도 되고, 횡단면적이 상이한 부위가 없고, 삽입통과부(41)의 일부를 그대로 피파지부로 해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극간 스페이서로서, 원기둥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극간 스페이서의 형상은, 중공부를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대략 구 형상, 대략 삼각주 형상이나 대략 사각주 형상 등의 다각기둥 형상 등이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극간 스페이서를 인접하는 극돌기 사이에, 보다 간편한 조작으로 삽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술기구를 사용하면, 뼈나 연부조직을 크게 절제하지 않고, 저침습 수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건 출원은 일본 특허원 2003-149725에 기초한 것이며, 당해 출원의 번호를 명기함으로써, 그 개시내용 전체가 본건 출원에 편입된 것으로 한다.

Claims (21)

  1. 중공부를 갖는 통 형상의 형상을 이루고, 또한, 인접하는 극돌기의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극간 스페이서를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수술에서 사용되는 수술기구로서,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하는 삽입통과부를 갖는 삽입 부재와,
    상기 삽입 부재를 파지하는 파지 부재를 갖고,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에 의해 파지되는 피파지부를 상기 삽입 부재의 일방의 단부인 제 1 단부 부근에 갖는 것이며,
    상기 삽입 부재를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 통과시키고, 상기 피파지부를 상기 파지 부재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제 1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제 2 단부에, 상기 극간 스페이서를 상기 삽입통과부에 삽입했을 때, 상기 극간 스페이서가 삽입통과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단부방향을 향하여 단면의 면적 이 점감하는 점감부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일방의 단면이 맞닿는 제 1 맞닿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부는, 상기 삽입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상기 피파지부의 단면의 면적이 동일 방향에서의 상기 삽입통과부의 단면의 면적보다도 작은, 제 1 부위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보다도 상기 제 1 단부측에, 상기 삽입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상기 제 1 부위의 단면의 면적보다도 동일 방향에서의 단면의 면적이 큰, 제 2 부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는, 기단측에 조작부, 선단측에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한쌍의 암 부재를 지지점을 통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기 위한, 상기 피파지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설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일방의 단면이 맞닿는 제 2 맞닿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암 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제 2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닿음부 및/또는 상기 제 2 맞닿음부는 적어도 표면 부근이 수지재료로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간 스페이서와 맞닿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수지재료로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재료는 주로 폴리아미드 수지로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를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뽑아내기 위한 뽑아내기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뽑아내기 부재는, 기단측에 조작부, 선단측에 상기 극간 스페이서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 부재의 상기 지지부를 협지하는 협지부를 갖는 한쌍의 암 부재를, 지지점을 통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적어도 표면 부근이 수지재료로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재료는 주로 폴리아미드 수지로 구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9. 제 16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상기 삽입 부재의 상기 지지부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의 상기 조작부와, 상기 뽑아내기 부재의 상기 조작부의 외관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조작부에 의해, 각 수술기구가 특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KR1020057021270A 2003-05-27 2004-05-26 수술기구 KR101089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9725 2003-05-27
JPJP-P-2003-00149725 2003-05-27
PCT/JP2004/007581 WO2004105656A1 (ja) 2003-05-27 2004-05-26 手術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022A true KR20060030022A (ko) 2006-04-07
KR101089581B1 KR101089581B1 (ko) 2011-12-05

Family

ID=3348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270A KR101089581B1 (ko) 2003-05-27 2004-05-26 수술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37912B2 (ko)
EP (1) EP1627616A4 (ko)
JP (1) JP4579827B2 (ko)
KR (1) KR101089581B1 (ko)
CN (1) CN100539967C (ko)
WO (1) WO2004105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7552A1 (en) * 1997-01-02 2008-01-31 Zucherman James F Spine distraction implant and method
US20080215058A1 (en) * 1997-01-02 2008-09-04 Zucherman James F Spine distraction implant and method
US7909853B2 (en) * 2004-09-23 2011-03-22 Kyphon Sarl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including a binder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9055981B2 (en) 2004-10-25 2015-06-16 Lanx, Inc.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241330B2 (en) 2007-01-11 2012-08-14 Lanx, Inc. Spinous process implants and associated methods
US7927354B2 (en) * 2005-02-17 2011-04-19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096994B2 (en) 2005-02-17 2012-01-17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20060184248A1 (en) * 2005-02-17 2006-08-17 Edidin Avram A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7998208B2 (en) * 2005-02-17 2011-08-16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096995B2 (en) * 2005-02-17 2012-01-17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029567B2 (en) 2005-02-17 2011-10-04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20070276373A1 (en) * 2005-02-17 2007-11-29 Malandain Hugues F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7993342B2 (en) 2005-02-17 2011-08-09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034080B2 (en) 2005-02-17 2011-10-11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092459B2 (en) * 2005-02-17 2012-01-10 Kyphon Sarl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JP2006253316A (ja) * 2005-03-09 2006-09-21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US8152834B2 (en) * 2005-04-13 2012-04-10 Synthes Usa, Llc Forceps and system using same
US8277487B2 (en) 2005-08-11 2012-10-02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obe University Method of percutaneously enlarging processus spinosus interspace using minimally invasive implant
FR2897771B1 (fr) * 2006-02-28 2008-06-06 Abbott Spine Sa Implant intervertebral
GB2436293A (en) * 2006-03-24 2007-09-26 Galley Geoffrey H Spinous processes insertion device
US7985246B2 (en) * 2006-03-31 2011-07-26 Warsaw Orthopedic, Inc. Methods and instruments for delivering interspinous process spacers
US20080177298A1 (en) * 2006-10-24 2008-07-24 S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Inc. Tensioner Tool and Method for Implanting an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Including a Binder
US7955392B2 (en) 2006-12-14 2011-06-07 Warsaw Orthopedic, Inc. Interspinous process devices and methods
US9265532B2 (en) 2007-01-11 2016-02-23 Lanx, Inc. Interspinous implants and methods
US20090198245A1 (en) * 2008-02-04 2009-08-06 Phan Christopher U Tools and methods for insertion and removal of medical implants
EP3108834B1 (en) * 2008-03-26 2019-05-29 Synthes GmbH Universal anchor for attaching objects to bone tissue
EP2328520B1 (en) 2008-06-05 2014-06-04 Synthes GmbH Articulating disc implant
US8882838B2 (en) * 2008-06-05 2014-11-11 DePuy Synthes Products, LLC Articulating disc implant
US8114131B2 (en) 2008-11-05 2012-02-14 Kyphon Sarl Extension limit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for the spine
US9060808B2 (en) * 2008-12-05 2015-06-23 DePuy Synthes Products, Inc. Anchor-in-anchor system for use in bone fixation
KR101709357B1 (ko) 2008-12-05 2017-02-22 신세스 게엠바하 골 고정용 앵커-인-앵커 시스템
WO2010114925A1 (en) 2009-03-31 2010-10-07 Lanx, Inc. Spinous process implant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00286701A1 (en) * 2009-05-08 2010-11-11 Kyphon Sarl Distraction tool for distracting an interspinous space
US8147526B2 (en) 2010-02-26 2012-04-03 Kyphon Sarl Interspinous process spacer diagnostic parallel balloon catheter and methods of use
US9101409B2 (en) 2010-03-09 2015-08-11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obe University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CN103002822B (zh) * 2010-06-09 2016-03-30 斯恩蒂斯有限公司 用于在骨固定中使用的锚中锚系统
US8876866B2 (en) * 2010-12-13 2014-11-04 Globus Medical, Inc. Spinous process fusion devices and methods thereof
US20120215262A1 (en) * 2011-02-16 2012-08-23 Interventional Spine, Inc. Spinous process spacer and implantation procedure
US8496689B2 (en) 2011-02-23 2013-07-30 Farzad Massoudi Spinal implant device with fusion cage and fixation plates and method of implanting
US8425560B2 (en) 2011-03-09 2013-04-23 Farzad Massoudi Spinal implant device with fixation plates and lag screws and method of implanting
US11812923B2 (en) 2011-10-07 2023-11-14 Alan Villavicencio Spinal fixation device
US10478313B1 (en) 2014-01-10 2019-11-19 Nuvasive, Inc. Spinal fusion implant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139994A (en) * 1988-06-13 1995-01-03 Karli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of inserting spinal implants
US4976617A (en) * 1989-05-01 1990-12-11 Carchidi Joseph E Dental implant screw driver system
JP2550758B2 (ja) 1990-07-26 1996-11-06 日本電装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の圧力調整弁
JP2550758Y2 (ja) 1991-11-14 1997-10-1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金属製挟持具
FR2722980B1 (fr) * 1994-07-26 1996-09-27 Samani Jacques Implant vertebral inter-epineux
US5645549A (en) * 1995-04-24 1997-07-08 Danek Medical, Inc. Template for positioning interbody fusion devices
US6068630A (en) * 1997-01-02 2000-05-30 S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Inc. Spine distraction implant
US5860977A (en) * 1997-01-02 1999-01-19 Sain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Llc Spine distraction implant and method
CA2238117C (en) * 1997-05-30 2006-01-1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Method and instrumentation for implant insertion
EP1027004B1 (en) * 1997-10-27 2007-12-12 S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Inc. Spine distraction implant
US6524238B2 (en) * 2000-12-20 2003-02-25 Synthes Usa Universal handle and method for use
DE10065232C2 (de) * 2000-12-27 2002-11-14 Ulrich Gmbh & Co Kg Implantat zum Einsetzen zwischen Wirbelkörper sowie Operationsinstrument zur Handhabung des Implantats
US6719794B2 (en) * 2001-05-03 2004-04-13 Synthes (U.S.A.) Intervertebral implant for transforaminal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rocedure
US6451057B1 (en) 2001-10-29 2002-09-17 Chen Po-Quang Spinal plate element adjusting device having a threaded engagement
US20040267275A1 (en) * 2003-06-26 2004-12-30 Cournoyer John R. Spinal implant holder and rod reduc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7616A4 (en) 2010-12-01
EP1627616A1 (en) 2006-02-22
KR101089581B1 (ko) 2011-12-05
US7637912B2 (en) 2009-12-29
CN100539967C (zh) 2009-09-16
WO2004105656A1 (ja) 2004-12-09
JP4579827B2 (ja) 2010-11-10
CN1794956A (zh) 2006-06-28
US20070112354A1 (en) 2007-05-17
JPWO2004105656A1 (ja)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581B1 (ko) 수술기구
JP4274702B2 (ja) 脊柱ステープル
US8613772B2 (en) Lateral mount implant device
US6402756B1 (en) Longitudinal plate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length
AU2004275735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fixation of a spine
KR101146572B1 (ko) 극간 스페이서
US20090299479A1 (en) Suture guided implant
US20120010668A1 (en) Expandable surgical implant
EP2460482A1 (en) Rod holding device
JP2008518674A (ja) 椎体を整復するための機器および方法
WO2009039031A1 (en) Orthopedic implant system
US20100036434A1 (en) Rescue reduction bone anchor
JP2013529952A (ja) 骨固定ロッド及びその挿入のための埋込み器具
US8439952B2 (en) Connecting rod for bone anchors having a bioresorbable tip
US20180140341A1 (en) Implant for the fixation of bone elements
US11051863B2 (en) Curved plug for the fixing of bone elements
JP2009523045A (ja) プレートおよび椎弓根スクリューを備える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適用
KR20200072141A (ko)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US114196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edicle screw assembly with anchor deployment
US1110989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pinal vertebrae stabilization
JP2007516733A (ja) 脊椎の可撓固定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7516733A5 (ko)
KR200360581Y1 (ko)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에 삽입하기 위한 견인장치
RU1779359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него спондилодеза
WO2009105105A1 (en) Connecting rod for bone anchors having a bioresorbable t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