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141A -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 Google Patents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141A
KR20200072141A KR1020180159977A KR20180159977A KR20200072141A KR 20200072141 A KR20200072141 A KR 20200072141A KR 1020180159977 A KR1020180159977 A KR 1020180159977A KR 20180159977 A KR20180159977 A KR 20180159977A KR 20200072141 A KR20200072141 A KR 2020007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rve
insertion tube
tubular retractor
surgery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045B1 (ko
Inventor
이재원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너스
Priority to KR102018015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0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 A61B2017/0262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with a provision for protecting ner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61B2017/3482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inside
    • A61B2017/3484Anchoring means, e.g. spreading-out umbrella-like structure
    • A61B2017/3488Fixation to inner organ or inner body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침습적으로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미세 절제된 공간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부까지 수술 장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 부분이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할 때까지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일측이 개방된 둥근 관 형태를 형성하는 삽입관; 및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삽입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하는 신경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Tubular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본 발명은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침습적으로 작은 수술창 내로 견인기를 삽입한 후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 내부의 수술이 필요한 환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외과수술은 신체조직을 손상시키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시경이나 수술현미경 등으로 수술부위를 보면서 시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작은 수술창을 만든 후, 점차적으로 안쪽 내부의 수술부위를 확장하기 위해 원통형 확장기(dilator) 및 견인장치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퇴행성 추간반 질환(DDD, disc degenerative diseases)이나 척추강 협착증(spinal stenosis),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등과 같은 퇴행성 척추질환은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데, 상기 수술적 치료는 먼저 감압(decompression)을 한 뒤 골유합(fusion, ALIF, PLIF 또는 posterolateral fusion)을 하고, 상기 골유합이 종료된 후 척추를 고정시키는 고정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술 과정 중 일부의 경우 감압만 하거나 골유합술까지만 시술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고정술까지 하게 된다.
한편, 척추를 고정시키는 일반적인 수술방법은, 등의 중심선(midline)에 약 7 내지 13cm 정도로 절개(incision)한 다음, 배근(back muscle)의 가운데에서 극돌기(spinous process)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박리하여 견인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박리는, 후관절의 외곽 부분까지 노출되도록 박리하여 견인한다.
그 다음, 상기 박리 후 척추경 입구를 찾아 통상 척추경 스크류(pedicle screw)라고 지칭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척추 고정장치의 고정부재('척추경 나사못'이라 지칭하기도 함)를 삽입하여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다.
현재까지 이러한 수술은 용이한 수술을 위해 큰 수술창을 필요로 하므로, 척추 고정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등을 적어도 10 내지 15cm 절개한 후 척추유지에 중요한 배근(back muscle)을 자르거나 손상시키기 때문에 수술 후 환자의 회복이 늦고 통증에 시달리는 문제점 등이 있다.
최근 들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은 수술창으로 척추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침습적인 수술방법이 척추수술에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최소침습적인 수술방법이란,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술부위에 작은 상처를 낸 후 상기 상처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척추 고정장치의 고정부재를 척추에 고정한 후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를 특수한 기구로 연결하는 수술 방법 또는 상기 상처부위에 점진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형 확장기를 삽입한 후, 상기 원통형 확장기가 삽입된 부위에 근육을 견인할 수 있는 견인장치를 삽입하여 근육을 견인함으로써 시야를 확보하고,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내시경 또는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척추 고정장치의 고정부재가 삽입될 척추경의 위치를 찾은 다음, 척추 고정장치를 척추에 고정시키는 수술방법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최소침습적인 수술방법에서 사용되는 견인장치의 경우, 단순히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수술부위에서의 시야 확보 및 위치 고정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058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6611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기존의 일반적인 견인기를 통해 삽입할 수 없었던 추간 케이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를 제공한다.
또한,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척추에 고정되어 수술 중 견인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는, 미세 절제된 공간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부까지 수술 장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 부분이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할 때까지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일측이 개방된 둥근 관 형태를 형성하는 삽입관; 및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하는 신경 지지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경우 환자의 신체 조직의 압력에 의해 신체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신경 지지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은,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 및 상기 신경 지지대는,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중심 부분으로부터 양측 날개 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기 신경 지지대가 연장 형성된 타단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핀삽입홀; 및 상기 핀삽입홀을 통과하여 삽입되면서 일측이 상기 핀삽입홀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핀삽입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뼈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삽입홀은, 상기 고정핀의 타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경 지지대는, 말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일단으로부터 상기 신경 지지대가 연장 형성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신경 훼손 등의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거나, 견인기가 수술 중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술의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10)는, 삽입관(100) 및 신경 지지대(200)를 포함한다.
삽입관(100)은, 최소침습적으로 미세 절제된 공간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부까지 수술 장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 부분이 기 설정된 간격(약 7mm 내지 11mm, 예를 들어 9mm 등)을 두고 서로 대향할 때까지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일측이 개방된 둥근 관 형태를 형성되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신경 지지대(200)가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최소침습적'이라 함은, 수술부위에 대한 손상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환자의 수술부위에 약 10 내지 30㎜ 정도의 수술창을 만든 후, 점차적으로 안쪽 내부의 수술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원통형 확장기를 삽입한 다음, 원통형 확장기가 삽입된 부위에 본 발명을 삽입하여 수술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기존의 확장형 케이지(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확장시켜 주는 장치)는, 일반적인 견인기의 내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견인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환자의 척추체간으로 삽입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삽입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확장형 케이지의 경우에도, 확장형 케이지의 일부를 개방된 공간을 이용하여 삽입하도록 하여 기존의 견인기가 할 수 없었던 확장형 케이지 삽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관(100)은, 삽입되는 환부의 깊이 또는 절제된 공간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 또는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미세침습수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인기의 규격에 대응하여 길이가 약 65mm 내지 75mm, 예를 들어 70mm, 외경이 약 13mm 내지 19mm, 예를 들어 16mm, 약 내경이 11mm 내지 15mm, 예를 들어 13mm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관(100)은, 중심 부분으로부터 양측 날개 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후 신체조직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도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양측 날개 부분이 신체조직의 압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수축되어 신체조직의 압력에 대응하여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관(100)은, 절제된 환자의 신체부로의 삽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신경 지지대(200)가 연장 형성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예를 들어, 삽입관(100)의 일단의 외경이 상술한 바와 같이 16mm라고 할 경우, 타단의 외경이 13mm로 제작되는 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삽입관(100)은,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경우 환자의 신체 조직의 압력에 의해 신체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110)은, 신경 지지대(2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원뿔을 밑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잘라서 생기는 두 입체도형 중 원뿔의 꼭짓점을 포함하지 않는 쪽의 것과 잘린 면으로 이루어지는 도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후 신체조직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술 도중 신체 밖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관(100)는, 클립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 장치를 구비하지가 아니하고도, 걸림턱(110)에 의해 환자의 신체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수술 도중 환자의 신체 밖으로 밀려 나와 수술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110)은, 수술의 종류 또는 삽입되는 신체 분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간격(약 10mm 내지 14mm, 예를 들어 12mm 등)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걸림턱(110)이 3 개 형성되었으나, 수술의 종류 또는 삽입되는 신체 분위에 대응하여 3 개보다 적거나, 3 개보다 많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근육이 많아 삽입관(100)으로 강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신체부위의 경우에는 4 개 내지 5 개 형성되는 반면, 근육이 많지 않아 삽입관(100)으로 작은 압력만이 가해질 수 있는 신체부위의 경우에는 1 개 내지 2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신경 지지대(200)는,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삽입관(10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경 지지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경이 위치하는 곳까지 충분히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삽입관(100)의 단부로부터 약 45mm 내지 55mm, 예를 들어 50mm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신경 지지대(200)는, 말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예를 들어, 신경 지지대(200)의 두께가 3.5mm라고 할 경우, 단부의 말단의 두께가 2.5mm로 형성되는 등)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210)를 포함함으로써,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을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퍼부(210)에 신경을 거치하여 신경이 수술 도중 움직이거나 수술 중인 환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척추 수술의 경우, 견인장치를 통해 환부로 현미경 등의 수술 장비를 삽입하여 수술하는 도중 척추를 지나는 신경이 수술 중인 환부로 접근하여 수술을 방해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신경 지지대(200)를 이용하여, 수술 중인 환부에 신경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지함으로써, 수술이 예상치 못하게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미세침습수술용 견인기는, 불투명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 등) 제작됨에 따라 수술 중인 부위를 수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견인기 자체가 지탱하고 있는 신체조직 역시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들어 수술 도중 신체조직의 상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10)의 삽입관(100) 및 신경 지지대(200)는,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기존 미세침습수술용 견인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10)은, 인체에 무해하고 강도가 높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무엇이든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재질의 신경 지지대(200)를 이용하여 신경의 위치 판독을 용이하도록 하고, 수술 도중 신경이 수술 중인 환부로 접근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10)는,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소침습적인 수술에 이용되어 수술부위의 시야확보 및 위치고정 등이 용이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퇴행성 추간반 질환, 척추강 협착증 또는 척추전방전위증 등과 같은 퇴행성 척추질환 및 척추외상 등의 모든 척추질환에 관련된 수술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20)는, 삽입관(100) 및 신경 지지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관(100)의 걸림턱(110) 및 신경 지지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삽입관(100)은, 핀삽입홀(120) 및 고정핀(130)을 더 포함한다.
핀삽입홀(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의 중심 부분(즉, 삽입관(100)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신경 지지대(200)가 연장 형성된 타단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고정핀(130)의 두께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핀삽입홀(120)은, 고정핀(130)의 타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삽입관(100)의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130)은, 핀삽입홀(120)을 통과하여 삽입되면서 일측이 핀삽입홀(120)에 체결되고, 타측이 핀삽입홀(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뼈에 삽입 체결된다.
본 발명의 신경 지지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경 손상의 염려가 없는 부분을 향하도록(즉, 신경 지지대(200)가 형성되지 아니한 삽입관(100)의 일측이 신경 방향에 위치하도록) 삽입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삽입관(10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신경 지지대(2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하면, 핀삽입홀(120)을 통해 고정핀(130)이 삽입된 후 환자의 척추 주변의 뼈, 근육 또는 피부 조직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삽입관(1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20)는, 수술이 필요한 환부로 고정 와이어 및 연속 확장기(serial dilation)를 삽입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삽입관(100) 및 신경 지지대(200)의 삽입 및 회전, 고정핀(130)의 체결 과정 후, 연속 확장기를 환부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견인장치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지 못하였는바, 환자의 신체로 삽입된 후에도 환부에 고정되지 아니하고, 절제된 환자의 신체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수술 도중 환자의 신체 내에서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등 수술자의 의도와 달리 움직이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삽입관(100)은, 고정핀(130)을 통해 환자의 환부에 고정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견인장치에서 발생되던 의도치 않은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삽입관
110: 걸림턱
120: 핀삽입홀
130: 고정핀
200: 신경 지지대
210: 테이퍼부

Claims (10)

  1. 미세 절제된 공간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부까지 수술 장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 부분이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할 때까지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일측이 개방된 둥근 관 형태를 형성하는 삽입관; 및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하는 신경 지지대를 포함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경우 환자의 신체 조직의 압력에 의해 신체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신경 지지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 및 상기 신경 지지대는,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중심 부분으로부터 양측 날개 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기 신경 지지대가 연장 형성된 타단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핀삽입홀; 및
    상기 핀삽입홀을 통과하여 삽입되면서 일측이 상기 핀삽입홀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핀삽입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뼈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삽입홀은,
    상기 고정핀의 타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지지대는,
    말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일단으로부터 상기 신경 지지대가 연장 형성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KR1020180159977A 2018-12-12 2018-12-12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KR10221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77A KR102213045B1 (ko) 2018-12-12 2018-12-12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77A KR102213045B1 (ko) 2018-12-12 2018-12-12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41A true KR20200072141A (ko) 2020-06-22
KR102213045B1 KR102213045B1 (ko) 2021-02-05

Family

ID=7114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77A KR102213045B1 (ko) 2018-12-12 2018-12-12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8991A1 (ko) * 2021-06-10 2023-12-14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수술 통로 확보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563A (ko) * 1995-02-27 1998-07-15 개리 카린 미켈슨 사람의 흉추 및 요추 질병을 척추 외측부로부터 수술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
KR20030066111A (ko) 2002-02-04 2003-08-09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KR200360581Y1 (ko) 2004-06-15 2004-08-30 장태안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에 삽입하기 위한 견인장치
KR20080042861A (ko) * 2005-08-09 2008-05-15 트랜스1 인코포레이티드 축 방향 척추 시술을 위한 교체 시스템
KR200445693Y1 (ko) * 2007-07-12 2009-08-26 이명수 내시경 수술용 투관침
CN102370502A (zh) * 2010-08-24 2012-03-14 思邦科技脊柱智慧集团股份公司 用于撑开椎间盘腔的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563A (ko) * 1995-02-27 1998-07-15 개리 카린 미켈슨 사람의 흉추 및 요추 질병을 척추 외측부로부터 수술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
KR20030066111A (ko) 2002-02-04 2003-08-09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항암제로 사용되는 3-아미노-6-메틸-인다졸 유도체
KR200360581Y1 (ko) 2004-06-15 2004-08-30 장태안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에 삽입하기 위한 견인장치
KR20080042861A (ko) * 2005-08-09 2008-05-15 트랜스1 인코포레이티드 축 방향 척추 시술을 위한 교체 시스템
KR200445693Y1 (ko) * 2007-07-12 2009-08-26 이명수 내시경 수술용 투관침
CN102370502A (zh) * 2010-08-24 2012-03-14 思邦科技脊柱智慧集团股份公司 用于撑开椎间盘腔的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8991A1 (ko) * 2021-06-10 2023-12-14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수술 통로 확보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045B1 (ko)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3443B2 (en) Access assembly for anterior and lateral spinal procedures
US8252013B2 (en) Expandable surgical access device and methods of use
US9055936B2 (en) Over dilation
US9795771B2 (en) Expandable spinal access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e
JP5250632B2 (ja) 拡張システム
US9211140B2 (en) Dynamically expandable cannulae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surgical procedures employing same
US20120022575A1 (en) Laterally expanding surgical dilator
US7427264B2 (en) Instruments and methods for selective tissue retraction through a retractor sleeve
US20110144687A1 (en) Lateral Based Retractor System
US20090088604A1 (en) Vertebrally-mounted tissue retractor and method for use in spinal surgery
US20120296359A1 (en) Dilation instruments and methods
US2004013320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eating the spine through an access device
WO2006115955A1 (en) Instruments and methods for selective tissue retraction through a retractor sleeve
WO2007002251A2 (en) Surgical access instruments for use with spinal or orthopedic surgery
AU2007300727A1 (en) Minimally invasive retractor and methods of use
US20180289363A1 (en) Surgical access system, device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730463B2 (en) Malleable retractor for spinal surgery
KR101631908B1 (ko) 척추경에 스크류를 고정하기 위한 수술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스크류의 삽입 도구
KR102213045B1 (ko)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US8956284B2 (en) Minimally invasive retractor and posted screw
US10390968B2 (en) Device for spinal surgery, corresponding guide sleeve and kit with guide sleeve
KR200360581Y1 (ko)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에 삽입하기 위한 견인장치
ES2527731T3 (es) Instrumentos para la cirugía espinal mínimamente invasiva y sus aplicaciones
EP3503817B1 (en)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ystem
AU2013263733B2 (en) Minimally invasive retractor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