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486A -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 Google Patents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486A
KR20060029486A KR1020040078452A KR20040078452A KR20060029486A KR 20060029486 A KR20060029486 A KR 20060029486A KR 1020040078452 A KR1020040078452 A KR 1020040078452A KR 20040078452 A KR20040078452 A KR 20040078452A KR 20060029486 A KR20060029486 A KR 20060029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a
digital audio
media player
data
audio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9486A/ko
Publication of KR2006002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2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audio 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8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디에이 디지털 오디오 방송모듈을 구비하는 피이에이에, 미디어 플레이어와 유무선으로 연결가능하도록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구비하여, 피디에이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서 가능하도록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으로 인해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피디에이(PDA),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AB 수신모듈

Description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A PDA and a streaming method of digital audio broadcasting service using the PD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을 위한 제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피디에이 110 : 피디에이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
120 : 피디에이 제어부 130 : 피디에이 컨텐츠 변형부
160 : 입출력수단 200 : 미디어 플레이어
140 : 피디에이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링 공간
150 : 피디에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
본 발명은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을 구비하지 않고도 피디에이에 수신가능한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을 가진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피디에이가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라디오 수신 신호를 받아서, 이를 본체의 입출력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디지털 오디오 수신모듈을 구비한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수신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미디어 플레이어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을 구비하지 않고도 미디어 플레이어의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는, 일반 미디어플레이어와 연결하여, 피디에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라디오 수신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피디에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과;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미디어 플레이에 전달하기 위한 피디에이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미디어 플레이에 출력되기에 적정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피디에이 컨텐츠 변형부와; 수신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전 피디에이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링 공간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일반 미디어 플레이에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피디에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디에이 제어신호를 입력 또는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입출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입출력수단은,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150)을 포함하는 피디에이로 수신된 데이터가 유무선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서 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됨에 있어서: 유무선 근거리 통신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스트리밍을 위한 버터링 공간으로 데이터를 이동하는 단계와; 버퍼링 공간으로 전달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부에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을 가진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모듈(150)이 없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모듈(150)이 없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선 피디에이(PDA)의 디지털 오디오 수신모듈로 수신된 컨텐츠를 적절하게 컨텐츠를 변형한다. 그리고 변형된 컨텐츠는 유무선 근거리 통신수단을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수신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전달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PDA) 및 상기 피디에이(PDA)를 이용해서 디지털 오디오 수신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PDA)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을 위한 제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PDA)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이다.
본 발명의 피디에이(PDA)의 제어구성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모듈(150)을 구비하지 않는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서비스의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피디에이(PDA)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모듈(150)과, 피디에이(PDA) 내부에 전체 제어과정을 조율하는 피디에이(PDA) 제어부(120), 컨텐츠 변형부(130),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링 공간(140), 입출 력수단(160), 피디에이(PDA)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110) 등으로 구성된다.
피디에이(PDA)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은,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라디오 수신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버퍼링 공간(140)은, 상기 피디에이(PDA)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을 통해서 입력된 신호의 스트리밍을 위한 공간이다.
입출력수단(160)은, 사용자가 피디에이(PDA)의 구동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즉 LCD화면을 들 수 있다.
컨텐츠 변형부(130)는, 피디에이(PDA)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을 통해서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을 구비하지 않는 미디어 플레이어(200)에 출력하기 위해서, 적정한 컨텐츠로 변형하기 위한 구성이다.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입출력수단(16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피디에이(PDA)의 동작을 제어하고, 피디에이(PDA)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을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를 적정하게 변환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을 구비하지 않는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출력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디에이(PDA)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을 구비하는 피디에이(PDA)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수신모듈(150)을 구비하지 않는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의 유선 근거리 통신모듈(210)은 피디에이(PDA)와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서로 유선 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가능하게 하는 제어구성임을 의미한다. 그 결과, 무선 근거리 통신모듈(110, 210)을 통해서 피디에이(PDA)와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서로 무선 상으로 연결된다.
이상 제어구성을 기초로 하여, 피디에이(PDA)로부터 미디어플레이어로 데이터를 출력함에 따른 제어구성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디에이(PDA)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모듈(150)을 통해서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라디오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데이터는,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링 공간(140)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디에이(PDA)의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링 공간(140)에 저장된 데이터(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라디오 수신신호)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입출력수단(160)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출력한다. 즉, 사용자가 입출력수단(160)을 이용해 재생 요청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요청신호는 피디에이(PDA) 제어부(12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버퍼링 공간(140)에 저장되고 있는, 피디에이(PDA) 스트리밍을 위한 데이터(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라디오 수신신호)를 리드한다. 상기 피디에이(PDA) 제어부(120)가 상기 데이터를 리드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컨텐츠를 파악한다.
그리고 피디에이(PDA)제어부(120)는, 해당 데이터를 입출력수단(160)(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피디에이(PDA)의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는 상기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피디에이(PDA)와 연결된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통해서 피디에이(PDA)와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기본 데이터율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미디어 플레이어(200)에 재생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재생 능력에 대해 피디에이(PDA)와 미디어 플레이어(200) 간의 메세지를 교환한다.
이후, 메세지 교환 결과 재생 능력에 대한 응답 신호가 미디어 플레이어(200)로부터 피디에이(PDA)의 제어부(120)로 입력되면,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이를 파악한다. 파악 결과 재생 가능하면, 피디에이(PDA) 컨텐프 변형부(130)를 통해서 컨텐츠를 적정하게 변환한다. 그리고 유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최상의 상태로 재 조정하여, 상기 피디에이(PDA)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통해서 미디어 플레이어(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모듈(150)을 장착한 피디에이(PDA)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모듈(150)을 구비하지 않는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도록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구비하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수신모듈(150)을 장착한지 여부에 따른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피디에이(PDA)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얼마든지 스트리밍 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PDA)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제어흐름도이다.
우선,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라디오 수신 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모듈을 통해서 피디에이(PDA)에 수신된다(제 300 단계). 그리고 상기 피디에이(PDA)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모듈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는,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링 공간(140)으로 이동된다(제 310 단계).
한편, 사용자가 피디에이(PDA)의 입출력 수단을 통해서 데이터의 재생을 요청하면(제 320 단계), 요청신호는 피디에이(PDA) 제어부(120)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입출력수단(160)은 LCD 화면을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사용자가 요청한 재생신호는 상기 LCD화면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디에이(PDA)와 연결된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수단은, 사용자가 지정한 출력수단으로 하며, 이하에는 피디에이(PDA)와 연결된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출력되는 과정에 대해 계속 설명한다.
상기 제 320 단계에 의해서, 상기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상기 버퍼링 공간(140)으로 이동된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제 330 단계).
상기 제 330 단계 결과,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피디에이(PDA)의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통해서 미디어 플레이와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피디에이(PDA)와 미디어 플레이어(200) 간의 메시지를 교환한다. 그리고 상기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상기 메세지 교환을 점검하여, 미디어 플레이어(200)로부터 데이터재생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한다(제 340 단계).
상기 제 340 단계에 의해서,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제 350 단계), 피디에이(PDA) 제어부(120)는, 버피링 공간에 저장된 데이터를 피디에이(PDA) 컨텐프 변형부(130)를 통해서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재생하기 적정하도록 변환한 후, 피디에이(PDA)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통해서 미디어 플레이어(200)에 전송한다. 그 결과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통해서 피디에이(PDA)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재생된다(제 360 단계).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150)을 통해서 수신된 컨텐츠(데이터)를 적정하게 컨텐츠 변형하고, 유무선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150)을 구비하지 않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전달하여,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리드/재생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으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디에이에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한다. 그 결과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Claims (3)

  1. 수신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전 피디에이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링 공간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에 출력되기에 적정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피디에이 컨텐츠 변형부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에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피디에이 제어부와;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에 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피디에이 유무선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디에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라디오 수신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피디에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디에이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는, 피디에이 유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일반 미디어 플레이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
  3.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피디에이로 수신된 데이터가 유무선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서 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됨에 있어서:
    유무선 근거리 통신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스트리밍을 위한 버터링 공간으로 데이터를 이동하는 단계와;
    버퍼링 공간으로 전달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디에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법.
KR1020040078452A 2004-10-01 2004-10-01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KR20060029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452A KR20060029486A (ko) 2004-10-01 2004-10-01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452A KR20060029486A (ko) 2004-10-01 2004-10-01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86A true KR20060029486A (ko) 2006-04-06

Family

ID=3713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452A KR20060029486A (ko) 2004-10-01 2004-10-01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94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627B1 (ko) * 2013-12-19 2015-07-27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39636B1 (ko) * 2013-12-19 2015-07-27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539634B1 (ko) * 2013-12-19 2015-07-27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 검색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627B1 (ko) * 2013-12-19 2015-07-27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39636B1 (ko) * 2013-12-19 2015-07-27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539634B1 (ko) * 2013-12-19 2015-07-27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 검색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429B2 (en)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of a wireless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CN102045468B (zh) 便携式电话机和来电报知系统
JP4478863B2 (ja) 表示装置、双方向通信システムおよび表示情報利用方法
US20120078400A1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US20080005440A1 (en) Streaming media cradle
CN104994440A (zh) 高速无线通信系统的多媒体信号显示的方法,系统和装置
RU2008107745A (ru) Допол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для приема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dmb, и способ для этого
JPWO2002056486A1 (ja) 受信機、携帯端末、および受信システム
JP2002330099A (ja) 情報出力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をもつシステム
JP4935385B2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82346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316875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60029486A (ko)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JP2004343600A (ja) 遠隔操作装置およびavcサーバ
KR100751859B1 (ko)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장치 및 방법
US20070195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using wireless terminal
KR100644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송, 수신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080161954A1 (en) Audio device and audio system receiving radio signal to reproduce sound
KR20080045395A (ko) 텔레비전 모니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단말기의 텔레비전 모니터 방법
JP2008017326A (ja) 携帯機器用無線通信装置、携帯機器、およびfm多重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携帯機器制御情報の表示方法
JP2003087704A (ja) 車載用光ディスク再生システム、車載用光ディスク再生装置、変換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3224801A (ja) 再生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5093001A (ja) 情報データ再生装置及び情報データ再生方法
JP2006148625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2354285A (ja) 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