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636B1 -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636B1
KR101539636B1 KR1020130159187A KR20130159187A KR101539636B1 KR 101539636 B1 KR101539636 B1 KR 101539636B1 KR 1020130159187 A KR1020130159187 A KR 1020130159187A KR 20130159187 A KR20130159187 A KR 20130159187A KR 101539636 B1 KR101539636 B1 KR 10153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 information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998A (ko
Inventor
양재성
Original Assignee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6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국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방송정보를 추출하며,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어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거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INFORMATION STORAGE}
본 발명은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서비스 장치를 통해 방송을 청취하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나 관심있는 내용이 나오면, 그 내용을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청취한 다수의 방송을 단말장치에 저장된 방송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방송은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방송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며, 사용자는 방송 서비스 장치를 통해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현재 서비스되는 디지털방송 방식은 크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방송은 하나의 주파수 채널에 복수의 서비스 채널들을 서비스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서비스 채널들은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디지털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채널들의 프로그램 정보 및/또는 방송정보들을 전송하는 채널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는 통상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리모콘'이라고도 한다)를 통해 디지털방송신호의 출력이 무선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청취자가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라도 운전 또는 대중교통 등을 통한 이동 중인 경우에 관심있는 방송이 제공되면, 관심있는 정보를 직접 기억하거나 메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8068호; 디지털방송 출력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클라우드서버, 디지털방송 제어방법 및 방송신호 데이터 저장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서비스 장치를 통해 방송을 청취하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나 관심있는 내용이 나오면, 그 내용을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쉽게 저장할 수 있는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을 청취한 사용자가 자신이 청취한 다수의 방송을 단말장치에 저장된 방송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방송 정보 목록에서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송국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방송정보를 추출하며,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어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거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는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장치로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방송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선택된 방송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 방송국 서버가 송출하는 방송신호를 방송망을 통해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출력부, 입력부, 상기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코딩된 방송 신호에서 방송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단말장치로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완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입력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선택된 방송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는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방송 서비스 장치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 방송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서비스 장치는 방송국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는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방송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정보에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방송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방송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후,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선택된 방송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서비스 장치를 통해 방송을 청취하면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나 관심있는 내용이 나오면, 그 내용을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쉽게 저장할 수 있으므로, 운전 또는 대중교통 등을 통한 이동 중인 경우라도 관심있는 방송에 관련된 정보를 일일이 기억하거나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방송을 청취한 사용자가 자신이 청취한 다수의 방송을 단말장치에 저장된 방송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방송 정보 목록에서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청취한 방송이 복수의 방송 채널일 경우, 관심을 가졌던 정보가 포함된 방송을 찾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정보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정보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되는 각 기능부는 본 발명 구현에 대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으로만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은 방송국 서버(100), 방송 서비스 장치(200),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
방송국 서버(100)는 방송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방송국 서버(100)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방식의 방송 신호, FM, AM과 같은 라디오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방송 서비스 장치(200)는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방송 서비스 장치(200)는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분석하여 방송 정보를 추출하고,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정보는 방송국 정보, 방송채널, 방송시간, 방송명, 방송 내용, 음악 정보, 출연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서비스 장치(200)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방식의 방송 신호, FM, AM과 같은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 장치(200)는 특정 채널의 라디오 온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채널의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라디오 신호는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 장치(200)는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 및 출력하는 장치로, 예컨대, 오디오 스테이션(audio station), DAB, 스마트 티브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 장치(200)는 DAB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애플리케이션으로 DAB, FM, MP3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방송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어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거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방송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수신된 방송 정보에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방송정보를 목록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기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고,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방송 정보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방송국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이메일, 웹 사이트, SNS 주소, 혹은, 해당 방송국의 URL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단말장치(300)에 표시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국 측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방송국 서버(100)에서는 이러한 단말장치(300)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퀴즈 답변, 설문조사, 시청률 조사, 상품 구매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된 오디오 스테이션 등과 같은 방송 서비스 장치(200)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동하고,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이동 중에 청취한 다수의 방송 정보를 순차적으로 누적 저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자신이 청취한 다수의 디지털 방송 정보 목록을 확인함은 물론 디지털 방송에 삽입된 URL 등을 통해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부(210), 방송 수신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 입력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와이파이, NFC, 블루투스, 지그비, UWB 등의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방송 수신부(220)는 방송국 서버가 송출하는 방송신호를 방송망을 통해 수신한다. 방송 수신부(220)는 튜너를 구비하고 있으며, 튜너를 통해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한 후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다운 컨버전하여 수신한다.
방송 수신부(220)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방식의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FM, AM과 같은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방송 수신부(212)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디코딩된 방송 신호에서 방송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저장한다. 여기서, 방송 정보는 방송국 정보, 방송채널, 방송시간, 방송명, 방송 내용, 음악 정보, 출연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입력부(250)를 통해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260)는 방송을 청취하는 중에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장치로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전송하며, 단말장치로부터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완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 제어부(260)는 검색된 단말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여, 단말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가 복수 개 검색된 경우, 제어부(260)는 검색된 단말장치들을 출력부(230)상에 출력하고, 출력된 단말장치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장치로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단말장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추출된 방송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출력부(23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0)에서 복조 및 디코딩된 방송 신호가 A/V 데이터이면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로 출력되고, 오디오 전용 데이터라면 스피커로만 출력될 수 있으며, 텍스트나 그래픽 데이터라면 디스플레이부로만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방송 서비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60)에 의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입력부(250)는 방송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25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50)를 통해 단말장치 저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근거리통신부(310), 무선 통신부(320), 입력부(330), 저장부(340), 표시부(350), 음성 처리부(360),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310)는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방송 정보를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와이파이, NFC, 블루투스, 지그비, UWB 등의 프로토콜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320)는 이동 통신망 접속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CDMA, WCDMA, GSM, LTE 등과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입력부(33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30)를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340)에는 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저장부(340)는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송 정보를 목록 형태로 저장한다.
표시부(35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소형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음성 처리부(36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에서 처리된 방송정보를 출력하거나,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는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거나, 입력부(330)를 통해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저장부(340)에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는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부(340)에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완료 신호를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방송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는 수신된 방송 정보에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방송정보를 목록형태로 저장한다. 예컨대, 방송 채널을 기준으로 한 경우, A채널, B채널 등의 방송채널과 그 방송 채널의 방송 시간을 함께 목록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방송명을 기준으로 한 경우, A프로그램, B프로그램 등의 방송명과 그 방송이 방영된 방송시간을 함께 목록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는 입력부(330)를 통해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340)에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방송 서비스 장치와 근거리 통신부(310)를 통해 연결한다. 그런 후,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는 입력부(330)를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방송 서비스 장치로 방송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는 수신된 방송 정보에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방송정보를 목록형태로 저장한다.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370)는 방송 정보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방송국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이메일, 웹 사이트, SNS 주소, 혹은, 해당 방송국의 URL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95)는 사용자 단말장치(300) 기능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정보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장치는 방송국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S402),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임시 저장한다(S404).
그런 후, 방송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S406),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장치를 검색하고(S408), 검색된 사용자 단말장치와 상호 동기화를 수행한 후(S409), 동기화된 사용자 단말장치로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전송한다(S410). 방송 서비스 장치와 사용자 단말장치간의 동기화가 수행되면, 방송 서비스 장치와 사용자 단말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장치가 복수 개 검색된 경우, 방송 서비스 장치는 검색된 사용자 단말장치들을 출력하고, 출력된 사용자 단말장치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단말장치로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장치는 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S412),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14).
이후, 사용자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고,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선택된 방송 정보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저장된 방송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방송 정보에 포함된 이메일, 웹 사이트, SNS 주소, 방송국의 URL 링크 등의 피드백 정보를 선택하여, 방송국 서버 측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정보 저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장치는 방송국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S502),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임시 저장한다(S504).
방송 서비스 장치가 방송을 출력하는 중에 사용자 단말장치가 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S506),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S508), 사용자 단말장치는 방송 정보 요청 신호를 방송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S510).
그러면, 방송 서비스 장치는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방송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512).
사용자 단말장치는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방송 정보를 저장한다(S514).
이후, 사용자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고,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선택된 방송 정보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정보 저장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방송국 서버 200 : 방송 서비스 장치
210, 310 : 근거리 통신부 220 : 방송 수신부
230 : 출력부 240, 340 : 저장부
250, 330 : 입력부 260, 380 : 제어부
300 : 사용자 단말장치 320 : 무선 통신부
350 : 표시부 360 : 음성 처리부
370 :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

Claims (11)

  1. 방송국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방송정보를 추출하며,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및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어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거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방송 서비스 장치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 방송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수신된 방송 정보에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방송정보를 목록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는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장치로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방송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선택된 방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4.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
    방송국 서버가 송출하는 방송신호를 방송망을 통해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출력부;
    입력부; 및
    상기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코딩된 방송 신호에서 방송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단말장치로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완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수신된 방송 정보에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방송정보를 목록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5. 삭제
  6.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입력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수신되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는,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방송 서비스 장치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 방송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는,
    수신된 방송 정보에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방송정보를 목록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처리부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선택된 방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8. 삭제
  9. 방송 서비스 장치는 방송국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는 단말장치 저장 명령이 입력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방송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방송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정보에서 방송 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방송채널, 방송명, 방송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방송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제어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방송 서비스 장치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며, 방송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 방송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정보 저장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후,
    방송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정보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방송 정보 목록중에서 선택된 방송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저장 방법.
KR1020130159187A 2013-12-19 2013-12-19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53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87A KR101539636B1 (ko) 2013-12-19 2013-12-19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87A KR101539636B1 (ko) 2013-12-19 2013-12-19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998A KR20150071998A (ko) 2015-06-29
KR101539636B1 true KR101539636B1 (ko) 2015-07-27

Family

ID=5351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187A KR101539636B1 (ko) 2013-12-19 2013-12-19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6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395A (ko) * 2003-10-28 2005-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콘텐츠에 대한 데이터파일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위한디지털 라디오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9486A (ko) * 2004-10-01 2006-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KR20100039946A (ko) * 2008-10-09 2010-04-19 주식회사 문화방송 모바일 ip 라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395A (ko) * 2003-10-28 2005-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콘텐츠에 대한 데이터파일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위한디지털 라디오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9486A (ko) * 2004-10-01 2006-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KR20100039946A (ko) * 2008-10-09 2010-04-19 주식회사 문화방송 모바일 ip 라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998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067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8261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EP2988523A1 (en) System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advertisement on basis of sound signal outputted from tv,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advertise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mim service program
CN109429097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CN102769724A (zh) 电子设备以及操作该电子设备的方法
RU2015110323A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для этого
EP3054698A1 (e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2378062A (zh) 提供应用于显示设备的应用功能的显示设备和方法
KR102088443B1 (ko)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390093B1 (en) Automatic on-demand navigation based on meta-data broadcast with media content
KR101161376B1 (ko) 방송관련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방송수신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539636B1 (ko) 방송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N104980807A (zh) 一种用于多媒体互动的方法及终端
JP5192300B2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携帯型機器
KR102617419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액세스 포인트, 그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 제공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86609A (ko) 컨텐츠 리스트를 정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0022A (ko) 휴대단말기의 알람 방법 및 장치
KR101523493B1 (ko) 영상출력장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및 이를 위한 핸드헬드 장치
JP6488565B2 (ja) データ放送情報制御装置、データ放送情報表示システム、データ放送情報制御方法およびデータ放送情報制御装置プログラム
KR101539634B1 (ko)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 검색시스템 및 방법
JP2009294579A (ja) 音声出力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39627B1 (ko)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4009894U (zh) 基于音频的数据标签发布系统
KR20120069908A (ko) 휴대단말기의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926081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