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627B1 -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627B1
KR101539627B1 KR1020130159185A KR20130159185A KR101539627B1 KR 101539627 B1 KR101539627 B1 KR 101539627B1 KR 1020130159185 A KR1020130159185 A KR 1020130159185A KR 20130159185 A KR20130159185 A KR 20130159185A KR 101539627 B1 KR101539627 B1 KR 101539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broadcast data
data
broadcast
digit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996A (ko
Inventor
양재성
Original Assignee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광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6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기능이 제어되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 및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와 스마트기기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 장치를 제어하고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AUDIO BROADCASTING RECEIVER CONTROLLED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와 스마트기기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 장치를 제어하고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는 현재 전세계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서비스로 CD 수준의 오디오와 데이터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기술이다. DAB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을 대체하면서 향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매체로서 성장하리라고 예상되며, 몇 년 전부터 북미를 제외한 세계 대다수의 국가에서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2004년경부터 DMB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DMB 서비스는 OFDM 전송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이동환경에서의 수신성능이 월등하다.
또한, 또 다른 라디오 방송의 형태로서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인터넷 라디오 방송은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라디오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인터넷 라디오 방송의 경우 인터넷 서버에서 제공하는 라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재생함으로써 청취가 가능하다. 인터넷 라디오 방송은 별도의 라디오 기기 없이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PC를 이용하여 청취가 가능하고 이동 중에도 비교적 깨끗한 음질을 보장하고 있어 그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방송의 경우 오디오 데이터 이외에, 슬라이드쇼(SLS), 문자정보서비스(DLS) 데이터나 방송관련 데이터들이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방송국가 청취자 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의 경우,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방송중인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정도의 입출력 수단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입출력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에, 종래의 라디오 수신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입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방송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 장치에 별도의 입출력수단을 구비할 경우 제품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판매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82056 : 디지털 오디오 방송망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와 스마트기기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 장치를 제어하고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기능이 제어되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 및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입출력 처리모듈;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모듈; 상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송데이터 처리모듈; 및 상기 방송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모듈; 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여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수신 처리하는 방송데이터 처리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튜너부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이동통신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NFC, RF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방송데이터를 무선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너부는, DAB/HD 라디오 튜너, AM 튜너, FM 튜너, 인터넷 라디오 튜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가 스마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설정을 동기화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가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설정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원격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택 데이터를 방송국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블루투스, NFC, RF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설정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와 스마트기기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 장치를 제어하고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의 입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를 저렴한 가격에 생산 및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은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무선 송신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 근거리 무선통신 망을 통해 동기화 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를 원격 제어하고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수신하여 저장, 관리 및 가공하는 스마트 기기(300)를 포함한다.
방송국 서버(100)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HD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 등의 방송을 위한 방송 데이터와, 슬라이드쇼(SLS), 문자정보서비스(DLS) 데이터 및 기타 컨텐츠 데이터 등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데이터를 할당된 채널을 통해 무선 송신한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인터넷 라디오,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HD 라디오 등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라디오 방송을 송출한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저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300)에 송신한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기 등록된 스마트 기기(300) 측에, 블루투스, RF,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원격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채널 탐색/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볼륨 조절기능, 온/오프 기능, 저장된 데이터 송신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 측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상태정보는 현재 수신 채널, 볼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300)상에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의 기능제어를 선택하면 스마트 기기(30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 측에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스마트 기기(30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방송국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이메일, 웹 사이트, SNS 주소, 혹은, 해당 방송국의 URL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300)에 표시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국 측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방송국 서버(100)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기기(300)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퀴즈 답변, 설문조사, 시청률 조사, 상품 구매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300)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단말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 스마트 기기(300)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300)를 통해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튜너부(220), 방송데이터 처리부(230),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 오디오 출력부(260), 메모리(27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튜너부(220)는 각기 다른 규격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튜너를 포함한다. 예컨대, DAB/HD 라디오 튜너, AM/FM 튜너, 인터넷 라디오 튜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국내용/유럽오디오용/유럽비디오용인 TDMB 튜너와 DVB-T 튜너 및 DAB/HD 라디오 튜너 등 다양한 데이터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데이터 처리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튜너부(220)를 제어하여 채널검색 기능을 수행하고 검색된 채널을 통해 방송데이터를 수신한다. 방송데이터 처리부(230)는 각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로 전달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는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스마트 기기(300)에 송신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는 블루투스, RF, NFC 등의 통신 방식으로 방송데이터를 스마트 기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6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처리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메모리(270)에는 오디오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오디오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스마트 기기(300)와 동기화를 수행하고, 동기화된 후에는 오디오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200)의 상태정보를 스마트 기기(300) 측에 송신한다. 이 후,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원격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250)는 해당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튜너부(22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260)를 통해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튜너부(22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데이터를 메모리(270)에 저장한 후,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스마트 기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기 설정된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메모리(270)에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300)의 제어블럭도이다.
스마트 기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 입력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메모리(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 설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블루투스, RF, NFC 등의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350)에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320)는 터치패널, 키패드, 음성센서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340)에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 동기화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를 원격 제어하고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400)이 저장된다.
제어부(350)는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애플리케이션(400)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와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3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 볼륨,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혹은, 특정 방송 데이터의 저장 및 제공을 요청하는 설정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 측에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35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방송국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이메일, 웹 사이트, SNS 주소, 혹은, 해당 방송국의 URL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메모리(34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하여 해당 메뉴를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부(320)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기능들을 실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를 제어하고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에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400)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400)은, 동기화 모듈(410), 입출력처리모듈(420), 원격 제어모듈(430), 방송데이터 처리모듈(440) 및 데이터 저장모듈(450)을 포함한다.
동기화 모듈(410)은 근거리 무선통신부(310)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를 검색하여 상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설정한다.
입출력처리모듈(420)은 사용자 입력 및 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을 처리한다.
원격 제어모듈(43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방송데이터 처리모듈(440)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 저장모듈(450)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로서,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를 제어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300)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상호 동기화를 수행한다(S110). 여기서, 스마트 기기(3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400)이 실행되어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2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스마트 기기(30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태정보는 현재 수신 채널, 볼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300)에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한 후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스마트 기기(30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 측에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S116).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제어한 후(S118), 제어 결과를 스마트 기기 측에 회신한다(S120).
스마트 기기(30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의 제어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122).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의 채널, 볼륨,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로서,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300)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상호 동기화를 수행한다(S210).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200)는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S212)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고(S214), 스마트 기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방송 데이터를 송신한다(S216). 여기서, 방송 데이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시간, 특정 프로그램, 특정 키워드 등에 부합되는 방송 데이터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218). 여기서, 방송 데이터는 슬라이드쇼(SLS), 문자정보서비스(DLS) 데이터나 방송관련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300)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디지털 방송수신장치(200) 측에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S220).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스마트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검색하고(S222), 검색된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300) 측에 송신한다(S224).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원하는 방송 데이터를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로서,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송신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300)와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는 상호 동기화를 수행한다(S310).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200)는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S312)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고(S314), 스마트 기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방송 데이터를 송신한다(S316). 여기서, 방송 데이터는 이메일, 웹 사이트, SNS 주소, 혹은, 해당 방송국의 URL 링크 등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318). 여기서, 사용자는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이메일, 웹 사이트, SNS 주소, 방송국의 URL 링크 등의 피드백 정보를 선택하여(S320), 방송국 서버(100) 측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322).
방송국 서버(100)는 스마트 기기(300) 측에 데이터 수신 결과를 송신한다(S324).
이에,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300)에 표시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국 측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방송국 서버(100)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기기(300)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퀴즈 답변, 설문조사, 시청률 조사, 상품 구매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장치와 스마트기기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방송수신 장치를 제어하고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방송국 서버 200 :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장치
220 : 튜너부 230 : 방송데이터 처리부
24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250 : 제어부
260 : 오디오 출력부 270 : 메모리
300 : 이동통신단말 31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320 : 입력부 330 : 디스플레이부
340 : 메모리 350 : 제어부
400 : 애플리케이션 410 : 동기화모듈
420 : 입출력 처리모듈 430 : 원격 제어모듈
440 : 방송데이터 처리모듈 450 : 데이터 저장모듈

Claims (8)

  1.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기능이 제어되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 및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스마트기기와 동기화를 수행하고, 동기화된 이후에 오디오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상태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에 송신하고, 기 설정된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와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입출력 처리모듈;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모듈;
    상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송데이터 처리모듈; 및
    상기 방송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모듈;
    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3.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를 제어하여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수신 처리하는 방송데이터 처리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방송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튜너부로 수신된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이동통신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고, 동기화된 이후에 오디오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상태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고, 기 설정된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NFC, RF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방송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부는,
    DAB/HD 라디오 튜너, AM 튜너, FM 튜너, 인터넷 라디오 튜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
  6. (a)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가 스마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설정을 동기화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가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설정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원격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스마트기기와 동기화를 수행하고, 동기화된 이후에 오디오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상태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에 송신하고, 기 설정된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요청받은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택 데이터를 방송국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블루투스, NFC, RF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설정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30159185A 2013-12-19 2013-12-19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39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85A KR101539627B1 (ko) 2013-12-19 2013-12-19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85A KR101539627B1 (ko) 2013-12-19 2013-12-19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996A KR20150071996A (ko) 2015-06-29
KR101539627B1 true KR101539627B1 (ko) 2015-07-27

Family

ID=5351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185A KR101539627B1 (ko) 2013-12-19 2013-12-19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885B1 (ko) 2018-11-18 2019-07-02 주식회사 유클리드소프트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라디오 방송의 자동 선국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486A (ko) * 2004-10-01 2006-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KR20100039946A (ko) * 2008-10-09 2010-04-19 주식회사 문화방송 모바일 ip 라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486A (ko) * 2004-10-01 2006-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에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의스트리밍 방법
KR20100039946A (ko) * 2008-10-09 2010-04-19 주식회사 문화방송 모바일 ip 라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885B1 (ko) 2018-11-18 2019-07-02 주식회사 유클리드소프트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라디오 방송의 자동 선국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996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6573A1 (en) Multi-representation media event handoff
EP2875645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device by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US20150100983A1 (en) Personal Mobile Device as Ad hoc Set-Top Box for Television
US9232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6508619A (ja) 一斉放送メディアブックマーク
CN103260079A (zh) 一种多屏互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6580132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に関連付けられた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30155318A1 (en) Audio Output Distribution
CN102523496B (zh) 进行节目推荐的方法、系统及终端
CN104284114A (zh) 显示装置和显示控制方法
CN105554588A (zh) 支持闭路字幕的内容接收装置和显示装置
CN105379291A (zh) 内容提供方法和装置
KR101439320B1 (ko) 방송 콘텐츠 정보 제공을 위한 복수의 단말의 정보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US10390093B1 (en) Automatic on-demand navigation based on meta-data broadcast with media content
CN104854874A (zh) 显示与预订的视频频道有关的事件消息的方法和系统
KR101539627B1 (ko) 스마트기기 상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5018384A (ja) 音声入出力装置
CN102196301A (zh) 多媒体文件播放系统和机顶盒
CN102857809A (zh) 电视控制装置、系统及方法
CN201571157U (zh) 网络电视机及多媒体即时播放系统
KR101539634B1 (ko)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라디오 방송데이터 검색시스템 및 방법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41871B1 (ko) 양방향 iptv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9294579A (ja) 音声出力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