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014A - 동전 분리기 - Google Patents

동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014A
KR20060029014A KR1020040077970A KR20040077970A KR20060029014A KR 20060029014 A KR20060029014 A KR 20060029014A KR 1020040077970 A KR1020040077970 A KR 1020040077970A KR 20040077970 A KR20040077970 A KR 20040077970A KR 20060029014 A KR20060029014 A KR 20060029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torage
container
coins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우대승
Original Assignee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9014A/ko
Publication of KR20060029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2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 G07D3/128Rotary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는 동전 분리 수단; 상기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동전의 낙하 동작이 가이드되는 낙하 가이드; 상기 낙하 가이드의 하측에 형성되어 회전 운동이 수행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에 이탈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낙하 가이드로부터 낙하되는 동전이 수용되는 동전 수납관이 포함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동전 분리기의 동작 시간이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저금통에 수용되는 전체 동전이 충분하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동전 분리기가 동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동전 분리기, 회전

Description

동전 분리기{Coin sort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에서 수납용기의 동력 전달 수단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Ⅱ-Ⅱ'의 단면도.
도 6은 제 2 수납용기의 회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 1 수납용기의 회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제어부 51 : 수납관 감지부 52 : 조작부
53 : 동전 감지부 54 : 디스플레이부 55 : 수납관 구동부
56 : 운반 용기 구동부 241, 242, 243, 244 : 수납용기
201, 202, 203, 204 : 동전 수납관
본 발명은 동전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많은 양의 동전이 편리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동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동전 수납관에 수용되는 동전이 한정적인 것을 감안하여, 동전 분리기가 한 차례 연속적으로 동작되는 중에 다수의 동전이 편리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동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동전은 작은 가치의 화폐가치를 가지는 물품으로서, 지폐와 더불어 시장에 통용되고 있다. 특히, 동전은 금속을 재질로 하여 그 크기가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편리하게 화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동전의 가치별로 그 크기가 다른 것을 감안하여 동전을 용이하게 분리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기기가 동전 분리기이다. 특히, 동전 분리기는 어린이들이 조금씩 모은 동전이 분리되도록 하는 기기로서 어린이의 교육을 위하여 각각의 가정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동전 분리기는, 동전의 크기별로 동전이 분리되도록 하는 동전 분리 수단과, 분리된 동전이 그 크기에 맞추어서 수납이 되는 동전 수납 수단으로 구분된다. 상세하게, 일반적인 동전 수납 수단은 각각의 동전의 크기에 맞는 동전 수납관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낙하되는 동전이 소정 직경의 동전 수납관에 적층되도록 하고, 하나의 수납관에 맞는 수의 동전의 적층이 종료된 뒤에는 소비자가 이를 집합된 상태에서 빼내어서 동전 집합의 가치를 편리하게 알 수 있도 록 한다.
다만, 일반적인 동전 분리기는 단일의 동전 수납관이 형성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에 수용될 수 있는 동전의 총량이 모두 찬 상태에서는, 동전 분리기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고, 비워져 있는 새로운 동전 수납관이 장착될 때까지, 동전 분리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종료해야 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동전의 종류 별로 형성되는 다수의 동전 수납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전에 대한 동전 수납관이 다 찬 상태에서는, 다 찬 동전 수납관을 교환하기 전까지는 동전 분리기를 가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물론, 동전 수납관의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에 수납될 수 있는 동전의 총량을 늘릴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동전 수납관이 크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동전 분리기의 크기가 커야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에 동전이 만 수용된 뒤에는 비워져 있는 다른 동전 수납관에, 자동적으로 동전이 더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전 분리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동전의 총량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될 수 있는 동전 분리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이 모두 찬 뒤에도, 만 수용된 동전 수납관을 제거함이 없이, 연속해서 동전 분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동전 분리기를 제안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는 동전 분리 수단; 상기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동전의 낙하 동작이 가이드되는 낙하 가이드; 상기 낙하 가이드의 하측에 형성되어 회전 운동이 수행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에 이탈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낙하 가이드로부터 낙하되는 동전이 수용되는 동전 수납관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동전 분리기는 분리 수단; 상기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동전의 낙하 동작이 가이드되는 낙하 가이드; 상기 낙하 가이드의 하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동전 수납관; 상기 동전 수납관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안착되고, 동전의 종류별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자전 운동이 수행되는 수납용기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동전 분리기는 투입되는 동전이 종류별로 분리되도록 하는 운반용기 구동부; 상기 운반용기 구동부에 의해서 분리되는 동전의 통과가 감지되는 동전 감지부; 상기 동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동전의 총 개수가 파악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이 만수용되었을 때, 동전 수납관이 수용되는 수납용기가 회전운동되도록 하는 수납관 구동부; 및 상기 수납관 구동부의 운동에 의해서, 상기 동전 수납관이 정위치에 놓인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납관 감지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동전 분리기에 의해서 대용량의 동전이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고, 동전이 분리되는 동작의 수행 중에는 사용자의 동작이 개입되지 않고도, 편리하게 동전 분리기가 동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동전 분리기의 한차례 동작에 의해서 대용량의 동전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 사상에 대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1)는, 동전 분리기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2)와, 동전 분리기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동전 투입구(4)와, 상기 동전 투입구(4)의 전방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6) 및 조작부(27)와, 소정의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각각의 크기별로 분리된 동전이 낙하되는 낙하 가이드(15)와, 상기 낙하 가이드(15)의 이격되는 하측에 형성되는 동전 수납관(201)(202)(203)(204)과, 상기 동전 수납관이 동전 분리기의 측면을 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전 분리기의 측면에 개구형성되는 개구부(5)와, 상기 동전 수납관(201)(202)(203)(204)이 이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수납용기(241)(242)(243)(244)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동전 분리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동전 투입 구(4)를 통하여 각종 크기로 섞여 있는 동전이 투입되면, 동전 분리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동전이 동전의 크기별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동전이 해당되는 낙하 가이드(15)를 통하여 낙하되면, 동전의 크기별로 해당되는 동전 수납관(201)(202)(203)(204)이 적층되어 포집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이 다 찬 다음에는, 해당되는 동전 수납관이 수납되는 수납용기(241)(242)(243)(244)가 회전됨으로써, 비어있는 새로운 동전 수납관이 상기 낙하 가이드(15)의 하측에 놓이게 됨으로써, 새로운 동전 수납관에 동전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동전이 만 수용된 동전 수납관이 개구부(5)를 통하여 외측으로 나온 뒤에는, 사용자가 수납용기(241)(242)(243)(244)에서 동전 수납관(201)(202)(203)(204)을 빼내어 동전이 소정의 랩(wrap)에 싸여진 상태에서 편리하게 이동/보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동전 수납관(201)(202)(203)(204)이 소정의 위치를 중심점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비어있는 동전 수납관이 새로이 낙하 가이드의 위치에 놓여질 수 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납용기(241)(242)(243)(244)의 각 중심점에는 어느 일측에는 발광부(40)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수납관 감지센서(38)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부(40)는 엘이디(LED)로 예시되는 발광 물품으로서 빛이 발광되고, 발광된 빛은 수납관(201)(202)(203)(204)을 경유하여 수납관 감지센서(38)에서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용기(241)(242)(243)(244)는 각각의 동전 수납관(201)(202)(203)(204)이 선택적으로 수납되는 상태로서, 동전 수납관이 수용되는 부분과, 소정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40)에서 방사되는 빛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홈을 통하여 수납관 감지센서(38)에 이를 수 있다. 상기 홈(도 3의 51참조)은 수납용기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수납용기가 회전될 때, 수납용기의 회전각도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 개의 동전 수납관(201)(202)(203)(204)이 일렬로 정렬된 상태에서, 발광부(40)에서 발광되는 빛은 지지부의 홈을 통하여 반대쪽에 있는 수납관 감지센서(38)에서 감지된다. 이때에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이 만 수용되어 새로운 동전 수납관이 이동되어야 할 때에는, 새로이 이동되어야 하는 동전 수납관이 수용되는 수납용기가 회전되도록 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홈(51)의 정렬이 틀어지게 되므로, 상기 수납관 감지센서(38)에는 상기 발광부(40)의 빛이 감지되지 못한다.
그 뒤에, 계속해서 수납용기가 회전되면 일정 시간 뒤에는 다시금 홈(51)이 정렬되고, 다시 말하면, 네개의 동전 수납관이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놓여진다. 이때에는 발광부(40)로부터 방사된 빛은 수납관 감지센서(38)에서 감지되기 때문에, 수납용기의 회전이 멈추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새로운 동전 수납관은 상기 낙하 가이드(15)의 이격되는 하측편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고, 분리되는 동전이 수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에는 동전 분리 수단과 상기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되는 동전이 수납되는 동전 수납 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동전 분리 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동전 투입구(4)와, 상기 동전 투입구(4)로부터 투입되는 동전이 적절한 양씩 구분되어 동전 분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공급조절용기(7)와, 상기 공급조절용기(7)의 상측방을 막아 투입된 동전이 넘치지 않도록 하는 커버(6)와, 상기 공급조절용기(7)에 의해서 공급되는 적절한 양의 동전이 이송되도록 하는 운반용기(9)와, 상기 운반용기(9)가 안착되는 안착부(19)와, 상기 안착부(19)가 동전 분리기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전체 부품이 고정되도록 하는 내부 케이스(3)가 포함된다. 상기 공급조절용기(7), 운반용기(9), 및 안착부(19)는 동전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은 도면으로부터 자명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19)의 하측에는 상기 공급조절용기(7)와 운반용기(9)가 회전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2)와, 상기 모터(12)에 의해서 전달되는 구동력의 속도비가 조절되는 기어부(13)와, 상기 기어부(13)의 어느 한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운반용기(9) 및 공급조절용기(7)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14)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19)의 상측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분리되는 동전이 섞이지 않도록 하는 낙하 가이드(15)가 포함된다.
상기 동전 분리 수단의 동작 내지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모터(12)가 회전되면, 상기 공급조절용기(7) 및 운반용기(9)가 회전축(14)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동전이 소정량 만큼 분리되어 공급되는 동작이 시작된다.
상세하게, 상기 공급조절용기(7)의 바닥면 소정 위치에는, 공급조절용기(7)의 일 부분이 개구 형성되는 공급구(8)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구(8)는 공급조절용기(7)의 회전동작에 의해서 상기 공급구(8)가 하측방에 놓일 때, 소정량의 동전이 상기 운반용기(9)로 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공급구(8)의 크기는, 상기 운반용기(9)의 일회전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는 양 만큼의 동전이 한차례 떨어질 수 있을 정도로 크고, 동전이 걸리지 않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면 된다.
또한, 상기 운반용기(9)의 외주부에는 각종 크기의 동전이 수납될 수 있는 운반홀(10)이 형성된다. 상기 운반홀(10)은 상기 운반용기(9)의 본체로부터 함몰되어 단차져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운반홀(10)의 함몰되어 단차가 짐으로써, 동전은 단차부에 걸려서 운반용기(9)를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9)의 상측부에는 분리홀(11)이 가공된다. 상기 분리홀(11)은 분리되는 동전의 종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홀(11)은 상기 동전수납관의 개수와 마찬가지로 네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리홀(11)의 크기는 동전의 크기에 맞추어 동전이 낙하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운반홀(10)은 상기 분리홀(11)과 많은 부분이 겹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운반홀(10)과 분리홀(11)은 많은 부분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운반홀(1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이 상기 분리홀(11)을 통하여 낙하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운반용기(9)의 회전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운반홀(10)에는 각종 크기의 동전이 수용되어 운반용기(9)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이송된 특정 크기의 동전이 특정 크기의 분리홀(11)을 통하여 빠져나 갈 수 있을 때에, 특정의 분리홀(11)을 통하여 하측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크기가 다른 분리홀(11)은 상기 안착부(19)의 테두리부에 정렬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을 기준으로 해서는 지면의 상측방과 하측방으로 네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홀(11)을 통하여 낙하된 동전은 상기 낙하 가이드(15)에 의해서 안내되어 하측방으로 떨어진다. 상기 낙하 가이드(15)는 상기 분리홀(11)과 같은 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분리홀(11)에 의해서 분리되는 동전이 적절한 동전 수납관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낙하 가이드(15)에는 낙하되는 동전의 총량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더 형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낙하 가이드(15)의 소정 위치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공부(16)와, 상기 개공부(16)의 상측방과 하측방에 형성되는 발광부(17)와, 상기 발광부(17)에 의해서 발광되는 빛이 수광되어 동전의 통과가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18)가 형성된다.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발광부(17)에 의해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개공부(16)를 정상적으로 통과할 때에는 센서(18)에 의해서 동전의 통과가 없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동전이 개공부(16)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발광부(17)와 센서(18)의 상호 작용이 차단되는 때에는, 상기 낙하 가이드(15)를 통하여 하나의 동전이 낙하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낙하되는 동전의 총량이 카운트됨으로써, 분리되는 동전의 총량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동전이 분리된 뒤에는, 소정의 동전 수납 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특정의 동전에 맞는 특정의 동전 수납관(20)(21)(22)(23)에 동전이 연속적으로 수납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전 수납 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도면에는 제 1, 2 수납관(201)(202)과 제 1, 2 수납용기(241)(242)가 도시되어 이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지만, 제 3, 4 수납관(203)(240) 및 제 3, 4 수납용기(243)(24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용이 추고될 수 있다.
상기 동전 수납 수단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동전 수납관(201)(202)(203)(204)과, 상기 동전 수납관이 수납되는 수납용기(241)(242)(243)(24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수납용기 중심축(35)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의 하측이 지지되도록 하는 베이스 패널(31)과 상기 발광부(40)에서 방사되는 빛이 통과되어 상기 수납관 감지센서(38)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홈(51)이 형성된다. 상기 홈(51), 발광부(40), 및 수납관 감지센서(38)의 동작은 이미 설명된 바가 있으므로, 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241)(242)(243)(244)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동력 전달 구조가 더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2 모터(34)와, 상기 제 2 모터(34)로부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축(36)과, 상기 구동축(36)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가동기어(37)와, 상기 가동기어(37)와 치합되는 피니언(도 4의 39참조)과, 상기 피니언(39)이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제 1 수납용기 기어부(32)와, 제 2 수납용기 기어부(33)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동력 전달 구조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수납용기의 회전작용을 설명 한다.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에 동전이 만 수용되었을 때에는, 모터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기어(37)가 회전되고, 상기 가동기어(37)가 회전됨으로써, 피니언(39)이 일방향으로 공전된다. 피니언(39)은 상기 제 1, 2 수납용기 기어부(32)(33) 중의 어느 하나에 닿을 때까지 공전 운동되고, 피니언(39)이 기어부(32)(33)에 닿고 난 다음에는 피니언(39)의 자전 운동에 의해서 수납용기 기어부(32)(33)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납용기 기어부(32)(33)가 회전되면, 수납용기는 자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수납용기의 회전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에서 수납용기의 동력 전달 수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모터(34)의 구동축(36)에 가동기어(37)가 결합되고, 가동기어(37)는 상기 피니언(39)과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기어(37)의 회전동작 초기에 피니언(39)이 가동기어(37)를 중심으로 공전 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기어(37)와 상기 피니언(39)이 서로 구속되도록 하는 기어 안착틀(41)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 안착틀(41)은 가동기어(37)에 미끄러짐이 가능한 상태에서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피니언(39)에는 미끄러짐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동기어(37)의 초기 동작 상태에서는 기어 안착틀(41)이 회전되어, 피니언(39)이 가동기어(37)를 중심으로 공전 운동되도록 하고, 초기 상태가 경과된 다음에는 가동기어(37)의 회전에 의해서 피니언(39)이 자전 운동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피니언(39)은 상기 가동기어(37)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제 1 수납용기 기어부(32)와 치합될 수도 있고, 제 2 수납용기 기어부(33)와 치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수납용기 기어부(32)와 치합될 때에는 제 1 수납용기(241)가 회전되고, 제 2 수납용기 기어부(33)와 치합될 때에는 제 2 수납용기(342)가 회전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 2 수납용기(33)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 2 모터(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피니언(39)은 기어 안착틀(41)에 의해서 가동기어(37)에 구속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공전되어, 상기 제 2 수납용기 기어부(33)와 치합된다. 그리고, 피니언은 가동기어(37)와 치합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납용기 기어부(33)는 상기 피니언(39)과 치합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자전 운동된다.
도 7은 제 1 수납용기(32)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 2 모터(3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회전의 반대방향으로 모든 구성요소가 회전되어, 제 1 수납용기 기어부(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 2 모터(34)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DC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속도비의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 2 모터(34)와, 구동축(36)의 사이에는 소정의 기어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동전 분리기가 동작되는 중에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이 만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모터(34)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특정의 수납용기가 회전된다.
그리고, 수납용기가 회전되어 동전 분리기의 바깥쪽으로 나와서, 동전 분리기의 개구부(5)의 내측방향으로 들어가기 전에 동전 수납관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동전 수납관의 내부에 포집되는 동전이 집합체로서 소정의 랩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는 제어부(50)와, 동전 분리기의 온/오프등의 동작이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도록 하는 조작부(52)와, 상기 제어부(50)에 의해서 제어되어 동전 분리 동작이 개시되도록 하는 운반 용기 구동부(56)와, 동전 분리기의 동작 중에 분리되는 동전의 통과가 감지되어 제어부(50)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전 감지부(53)와, 상기 제어부(50)에 의해서 하나의 동전 수납관에 수용될 수 있는 동전이 다 찬 다음에 새로운 동전 수납관이 이동되어 상기 낙하 가이드(1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납관 구동부(55)와, 상기 수납관 구동부(55)의 이동거리가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동전 수납관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수납관 감지부(51)와, 동전 분리기의 동작 상태 및 분리된 동전의 총량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54)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운반용기 구동부(56)는 제 1 모터(12), 기어부(13), 운반용기(9)의 부분등이 지칭될 수 있고, 상기 구성요소에 의한 동전 분리 동작이 수행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동전 감지부(53)는 상기 개공부(16), 발광부(17), 및 센서(18) 의 부분등이 지칭될 수 있고, 상기 구성요소에 의해서 동전 통과의 감지 동작이 수행되는 부분이다. 또한, 수납관 구동부(55)는 상기 제 2 모터(34), 가동기어(37), 피니언(39), 수납용기 기어부(32)(33)의 부분등이 지칭될 수 있고, 그러한 구성요소에 의한 동작이 수행되는 부분이다. 또한, 수납관 감지부(51)는 상기 발광부(40), 수납관 감지센서(38), 및 홈(51)에 의해서 지칭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동전 수납관의 정확한 이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되는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전 분리기의 동작 내지는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52)를 조작하는 동작에 의해서 동전 분리기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전 분리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운반용기 구동부(56)의 동작이 개시됨으로써, 동전 분리 수단이 동작되어 동전이 분리되어 동전 수납관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동전 분리가 시작된 다음에는, 상기 동전 감지부(53)에 의해서 동전의 종류별로 분리되는 동전이 감지되어 제어부(5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50)에서는 누적되는 각 동전의 개수와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에 수납될 수 있는 동전의 총량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때에는 상기 수납관 구동부(55)가 구동되어 동전 수납관이 수용되는 수납용기가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납용기가 움직일 때에는 수납관 감지부(51)에 의해서 수납용기의 위치가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하고, 수납용기가 정위치에 이른 때에는 상기 제어부(50)에 정위치에 이른 사실을 통보하여, 제어부(50)에 의한 수납관 구동부(55)의 동작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수납용기의 이동동작은, 수납용기별로 개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수납용기가 이동되는 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운반용기 구동부(56)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여, 분리되는 동전이 낙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동전이 크기별로 분리되어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동전 분리 수단은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안되는 바와 같이 회전되는 형태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는 두 개 종류의 동전 수납관이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수납용기가 과대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개의 동전 수납관이 동심원으로 놓이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동전 분리기의 동작 중에, 다수의 동전 수납관이 연이어서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그 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물론, 동전 분리기가 동작될 때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된다. 또한, 많은 양의 동전이 연속적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한층 더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동전 분리기의 동작 시간이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저금통에 수용되는 전체 동전이 충분하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동전 분리기가 동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동전 수납관의 수납이 종료된 다음에는 만 수용된 동전 수납 관을 교체함이 없이, 연해서 설치되는 동전 수납관이 전체로서 만 수용된 다음에야 비로서 동전 분리기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이웃해서 설치되는 동전 수납관에 연속해서 동전이 수납되기 위한 사용자의 별도 동작이 요구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만 수용된 동전 수납관이 동전 분리기의 측면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하게 동전 수납관을 수납용기에서 제거하여 포집된 동전을 편리하게 취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동전 분리 수단;
    상기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동전의 낙하 동작이 가이드되는 낙하 가이드;
    상기 낙하 가이드의 하측에 형성되어 회전 운동이 수행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에 이탈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낙하 가이드로부터 낙하되는 동전이 수용되는 동전 수납관이 포함되는 동전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원형인 동전 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는 동전 분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적어도 두개 이상이 동심원으로 놓이는 동전 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동심원을 이루는 두 종류의 수납용기가, 각각 두개씩 병렬 형성되는 동전 분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하측에 형성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치합되는 가동기어; 및
    상기 가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수납용기의 기어부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피니언이 포함되는 동전 분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어와 상기 피니언이 상호간에 구속되도록 하는 기어 안착틀이 포함되는 동전 분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중심이 분리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이고, 각각의 중심점 중에서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발광부; 및
    다른 하나의 중심점에 형성되는 수납관 감지센서가 포함되어, 수납관의 이동위치가 감지되도록 하는 동전 분리기.
  9. 동전 분리 수단;
    상기 동전 분리 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동전의 낙하 동작이 가이드되는 낙하 가이드;
    상기 낙하 가이드의 하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동전 수납관;
    상기 동전 수납관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안착되고, 동전의 종류별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자전 운동이 수행되는 수납용기가 포함되는 동전 분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수납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납관의 배치 상태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동전 수납관의 배치 상태와 동심원으로 배치되는 동전 분리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수납관은 서로 다른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두개 이상의 동전 수납관이 포함되는 동전 분리기.
  12. 투입되는 동전이 종류별로 분리되도록 하는 운반용기 구동부;
    상기 운반용기 구동부에 의해서 분리되는 동전의 통과가 감지되는 동전 감지부;
    상기 동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동전의 총 개수가 파악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동전 수납관이 만 수용되었을 때, 동전 수납관이 수용되는 수납용기가 회전 운동되도록 하는 수납관 구동부; 및
    상기 수납관 구동부의 운동에 의해서, 상기 동전 수납관이 정위치에 놓인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납관 감지부가 포함되는 동전 분리기.
KR1020040077970A 2004-09-30 2004-09-30 동전 분리기 KR20060029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970A KR20060029014A (ko) 2004-09-30 2004-09-30 동전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970A KR20060029014A (ko) 2004-09-30 2004-09-30 동전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014A true KR20060029014A (ko) 2006-04-04

Family

ID=3713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970A KR20060029014A (ko) 2004-09-30 2004-09-30 동전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90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56Y1 (ko) * 2009-10-12 2011-03-31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동전 분배 저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56Y1 (ko) * 2009-10-12 2011-03-31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동전 분배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8558A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with ejecting member
ES2629059T3 (es) Aparato para suministro de ítem de moneda
US9189906B2 (en) Coin transport mechanism
JP4413803B2 (ja) 遊技機用台間機
WO2004023404A1 (ja) 硬貨釣銭機
KR20060029014A (ko) 동전 분리기
JP3679017B2 (ja) 硬貨釣銭機
JP3996091B2 (ja) メダル払い出し機
KR100586253B1 (ko) 동전 분리기 및 동전 분리기의 사용 방법
US20040222062A1 (en) Coin sorting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coin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coins
JP6317560B2 (ja) 硬貨処理装置
JP5210592B2 (ja) 硬貨処理機
JP3766130B2 (ja) 硬貨払出装置
JP2003190617A (ja) メダル貸出機
JPH0684037A (ja) 硬貨処理機
KR20060029013A (ko) 동전 분리기
KR100853302B1 (ko) 자동판매기
JP2791176B2 (ja) パチンコ用玉貸機の管理装置
US7661520B2 (en) Method of determining completion of coin insertion and coin recover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3190381A (ja) メダル搬送装置
KR100680435B1 (ko) 동전 거스름기
JP4216759B2 (ja) メダル自動投入装置及び媒体自動投入装置
JPH0330195B2 (ko)
JP2618055B2 (ja) 硬貨処理機
JP5922387B2 (ja) 遊技機のメダル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