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757A -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757A
KR20060028757A KR1020057011156A KR20057011156A KR20060028757A KR 20060028757 A KR20060028757 A KR 20060028757A KR 1020057011156 A KR1020057011156 A KR 1020057011156A KR 20057011156 A KR20057011156 A KR 20057011156A KR 20060028757 A KR20060028757 A KR 2006002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oice
infrared light
terminal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쿠이치 니시무라
히데유키 나카시마
이쿠코 야이리
세이지 이기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도꾸리츠 교세이 호징 죠우호 쯔우신 겐큐 기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도꾸리츠 교세이 호징 죠우호 쯔우신 겐큐 기코우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Publication of KR2006002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1), 상기 화상 표시 장치(1)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임의의 위치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2), 및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단말(3)을 구비하고, 영상을 보고 있는 유저 개개인에게 개별적으로 대응된 음성 정보 지원을 실현할 수 있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화상 표시 장치, 음성 출력 장치, 변환 수단, 음성 재생 수단, 음성 재생 단말

Description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AUDIO INFORMATION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크린 등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보고 있는 유저 개개인에게 개별적으로 대응된 음성 정보 지원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테이블 상부에 스크린을 조립하고, 그 배면 하방으로부터 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을 투사하도록 한 정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정보 시스템에 따르면, 테이블을 둘러싸서 다수의 유저가 동시에 영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7573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기재의 정보 시스템에서는, 유저는 테이블상에 비추어지는 영상을 볼 수 있을 뿐, 그 영상에 관련된 음성(음성이나 음악, 신호음 등. 이하 동일)에 대해서는 각 유저가 개별적으로 원하는 때에 원하는 음성 정보를 들을 수 있게는 되어 있지 않다. 물론, 영상과 함께 음성을 출력하는 실시형태도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제안되어 있지만, 테이블을 둘러싼 유저 전원에 대하여 음성 정보를 스피커로부터 나오게 하여, 항상 전원(全員)이 동일 음성을 듣는 것으로 되어 있을 뿐이다.
즉, 영상을 보고 있는 유저 개개인이 「지금, 여기서, 내가」 원하는 음성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한 각 유저에개 개별적으로 대응된 음성 정보 지원은 실현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스크린이나 각종 디스플레이상의 화상(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문제 삼지 않는다. 이하 동일)을 보고 있는 유저 개개인에게 개별적으로 대응된 음성 정보 지원을 실현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제 1로는, 도 1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1); 화상 표시 장치(1)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2); 및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31)과, 상기 변환 수단(31)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32)을 가지는 음성 재생 단말(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2로는, 도 2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1); 화상 표시 장치(1)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2);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31)과, 상기 변환 수단(31)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32)과, ID를 발신하는 ID 발신 수단(33)을 가지는 음성 재생 단말(3); 및, 음성 재생 단말(3)의 ID 발신 수단(33)에 의해 발신된 ID를 검출하는 ID 검출 장치(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3으로는, 도 3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1); 화상 표시 장치(1)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2);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31)과, 상기 변환 수단(31)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32)을 가지는 음성 재생 단말(3); 및 음성 재생 단말(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4로는, 도 4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1); 화상 표시 장치(1)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2);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31)과, 상기 변환 수단(31)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32)과, ID를 발신하는 ID 발신 수단(33)을 가지는 음성 재생 단말(3); 음성 재생 단말(3)의 ID 발신 수단(33)에 의해 발신된 ID를 검출하는 ID 검출 장치(4); 및 음성 재생 단말(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 5로는, 도 5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상기 화상 표시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수단(11), 및 상기 스크린 수단에 대하여 화상을 투사하는 화상 투사 수단(12)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6으로는, 상기 스크린 수단(11)은 그 화상 표시면이 평면 형상, 곡면 형상 또는 요철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7로는, 상기 스크린 수단(11)은 그 화상 표시면이 투광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8로는, 상기 화상 투사 수단(12)은 상기 스크린 수단(11)에 대하여 그 화상 표시면측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9로는, 상기 화상 투사 수단(12)은 상기 스크린 수단(11)에 대하여 그 화상 표시면과는 반대면측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 10으로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1)는 브라운관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11로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1)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12로는, 상기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전자 발광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형광 표시관 디스플레이, 전해 방출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 13으로는, 도 6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상기 음성 출력 장치(2)는 음성 정보를 기초로 전자파를 변조하는 변조 수단(21), 및 변조 수단(2l)에 의해 변조된 전자파를 상기 화상중의 위치를 향하여 조사하는 전자파 조사 수단(22)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14로는,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22)은 전자파를 출력하는 전자파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15로는, 상기 전자파원은 상기 화상중의 복수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16으로는, 상기 전자파원은 상기 화상중의 복수 위치를 향하여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17으로는, 상기 전자파원은 전자파로서의 광을 출력하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18로는,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19로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 20으로는,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의 상기 변환 수단(31)은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의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광전 변환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21로는, 상기 광전 변환 수단은 태양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22로는,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의 상기 변환 수단(31)은 단말 유저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23으로는, 상기 신체의 일부가 손 또는 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24로는,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의 상기 변환 수단(31)은 단말 유저가 가지는 지시봉에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는 또는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25로는,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의 상기 음성 재생 수단(32)은 이어폰 또는 헤드폰 또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26으로는,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은 개별체의 구동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전원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제 27로는, 도 7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의 상기 ID 발신 수단(33)은 RF ID 태그(34)이며, 상기 ID 검출 장치(4)는 상기 RF ID 태그(34)와의 사이에서 ID 인증 통신을 행하는 리더 라이터(reader writer)(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28로는, 도 8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의 ID 발신 수단(33)은 광 ID 태그(35)이며, 상기 ID 검출 장치(4)는 상기 광 ID 태그(35)가 발생하는 ID용 적외광을 수광하여 ID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29로는, 도 9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상기 광 ID 태그(35)는 ID용 적외광의 적외선 광원(35a)과, ID 데이터를 기억하는 ID 기억 수단(35b)과, ID 데이터에 따라서 ID용 적외광을 변조하는 변조 수단(35c)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적외선 센서(42)는 상기 광 ID 태그(35)에 의해 변조되어 발신된 ID용 적외광을 수광하여 ID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 30으로는, 도 10에 그 기능 블록도를 예시한 바와 같은 상기 위치 검출 장치(5)는 위치용 적외광의 적외선 광원(51)과,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온 위치용 적외광을 촬상하는 적외선 촬상 수단(52)과, 적외선 촬상 수단(52)에 의해 촬상된 위치용 적외광상(像)에 기초하여 음성 재생 단말(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53)을 가지고 있고,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은 상기 위치 검출 장치(5)에 의해 발신된 위치용 적외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36)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제 31로는, 상기 위치 검출 장치(5)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1)의 화상 표시면에 제공된 터치 패널, 및 단말 유저가 접촉한 상기 터치 패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은 ID 인증을 행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ID 인증을 행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위치 인증을 행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은 ID 인증 및 위치 인증을 행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ID 인증 및 위치 인증을 행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9는 위치 인증을 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0은 구면 스크린체를 이용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1은 브라운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2는 액정 모니터를 이용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3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4는 전자 발광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 다.
도 25(a) (b)는 각각 평면체 및 구면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6은 적외선 광원을 상부 스크린부의 상방에 설치한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7은 적외선 광원을 상부 스크린부의 상방에 설치한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8은 지시봉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9는 화상 표시면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0은 위치 인증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1은 입체 스크린체의 일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상기 화상 표시 장치(1)로서, 상기 스크린 수단(11)에 상당하는 테이블 형상체(100)와 상기 화상 투사 수단(12)에 상당하는 프로젝터 장치(102)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블 형상체(100)는 평면에서 또한 투광성의 상부 스크린부(101)를 갖고, 프로젝터 장치(102)는 이 상부 스크린부(101)의 화상 표시면과는 반대의 배면측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도록 상부 스크린부(101)의 하방에 설치 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프로젝터 장치(102)를 1개 이용하여, 상부 스크린부(101) 일면에 화상을 투사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도 12에서는 프로젝터 장치(102)를 두개 설치하고, 상부 스크린부(101)를 두 화면에 분할하여 각각 화상 투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2에 있어서의 프로젝터 장치(102)는 프로젝터 본체(103) 및 그것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을 상방으로 굴절시켜서 상부 스크린부(101) 배면으로 안내하는 거울 등의 광학계(104)를 가지고 있다.
그 다음, 상기 음성 출력 장치(2)로서는,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22)에 상당하는 복수의 적외선 광원(201)으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광원 어레이(200)를 상부 스크린부(101)의 하방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 변조 수단(21)에 상당하는 기능을 가지는 음성 컨트롤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외선 광원 어레이(200)의 각 적외선 광원(201)은 상부 스크린부(10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어레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 스크린부(101)의 배면으로부터 화상중의 각 위치로 음성 컨트롤부(202)에 의해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된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상부 스크린부(101)에 분할 표시되어 있는 두개의 화상이 합해져 6×16의 스폿 위치를 설정하여, 이들 각 스폿 위치에 대응시킨 6×16의 적외선 광원(20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프로젝터 장치(102)[프로젝터 본체(103) 및 광학계(1O4)]에 의한 상부 스크린부(1O1)로의 화상 투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투사 영역을 비워두고 있다.
이러한 적외선 광원(201)으로부터 출사되는 적외광은 음성 컨트롤부(202)에 의해 출력되어야 할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된 것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음성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서 적외선 광원(201)의 구동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출사 적외광의 강도를 변조 제어하면 좋다.
한편, 이상과 같은 상부 스크린부(101)에 프로젝터 장치(102)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표시되며, 또한 그 화상중의 복수 스폿 위치에 적외선 광원 어레이(200)로부터의 음성 변조 적외광이 조사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 단말(3)의 상기 변환 수단(31) 및 상기 음성 재생 수단(32)(도 1 참조)을 이용함으로써, 음성 변조 적외광을 수신하여 광전 변환하고,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변환 수단(31)에 상당하는 태양 전지(302)를 구비한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를 단말 유저(600)의 손가락에 장착시켜, 그 태양 전지(302)에 케이블(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하여 결선시킨 음성 재생 수단(32)에 상당하는 이어폰(300)을 단말 유저의 귀에 장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있어서, 단말 유저(600)가 자신의 손가락을 화상중의 임의의 스폿 위치에 접근시키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에 장착되어 있는 태양 전지(302)를 스폿 위치에 접근시키면, 태양 전지(302)가 그 스폿 위치에 조사되어 있는 상기 음성 변조 적외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한다. 광전 변환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는 이어폰(300)에 전송되어 그대로 음성 출력되어, 단말 유저(600)는 그 음성을 듣게 된다. 이 음성은 당연히 원래의 음성 정보와 같은 것이다.
이상의 본 실시형태의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 유저 (60O)가 테이블 형상체(100)의 상부 스크린부(101) 상에 비추어지는 화상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유저(600) 개개인이 그 화상에 관련된 원하는 음성 정보를 원하는 때에 들을 수 있게 된다. 즉, 각 단말 유저(600)에 개별적으로 대응된 음성 정보 지원이 실현되어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형태]
이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유저에 대한 음성 정보 지원의 개별화[프라이빗(private)화로도 칭함)를 더 추진하기 위해, 단말 유저 또는 단말자체의 ID 및 위치에 기초한 음성 정보 지원도 행하도록 하여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우선, 도 13은 ID에 기초하는 음성 정보 지원에 관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태양 전지(302)와 상기 ID 발신 수단(33)(도 2, 7 참조)에 상당하는 RF ID 태그(303)가 일체로 배치된 손가락 장착 단말부(3O1)(도면중의 확대 개념도를 참조)를 이용하고 있으며, 한쪽에서 테이블 형상체(100)에는, 그 상부 상의 상부 스크린부(101)에서의 화상 표시가 방해되지 않는 4개의 구석부에 리더 라이터(401)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 리더 라이터(410)의 출력은 ID 인증부(400)에 결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리더 라이터(401) 및 ID 인증부(400)가 상기 ID 검출 장치(4)(도 2, 7 참조)에 상당한다.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에 있어서, 태양 전지(302)는 상기 적외선 광원 어레이(200)에 의해 상부 스크린부(101)의 배면으로부터 조사되는 음성 변조 적외광을 상부 스크린부 (101) 상에서 수광하기 위해서, 수광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RF ID 태그(303)는 리더 라이터(401)와의 ID 인증 통신이 가능하면 좋으므로, 예컨대 태양 전지(302)와는 반대측에 제공되어 있어도 동일 측에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도면중의 확대 개념도를 참조). 반대측 배치의 경우, 단말 유저(600)는 리더 라이터(401)상에서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를 뒤집으면 좋다.
이것에 있어서, 단말 유저(600)가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를 손가락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RF ID 태그(303)를 리더 라이터(401)에 접근시키면, RF ID 태그(303)와 리더 라이터(401) 사이에서 필요한 데이터 통신이 행해져, 리더 라이터(401)에서 판독된 ID 데이터가 ID 인증부(400)에 전송된다. 그리고, ID 인증부(400)에서 인증된 ID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와 같은 단말 유저(600)가 화상을 보고 있는 지 등을 자동 판별할 수 있고, 또는 그 판별에 따라서 음성 컨트롤부(202)를 통하여 단말 유저(600)에 적합한 음성 정보를 발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예컨대, 소정의 ID 데이터에 대응시킨 음성 정보를 기억한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ID 인증부(400)에 의해 인증된 ID 데이터에 대응된 음성 정보를 음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선출하는 음성 정보 선출 수단을 구축해 두면, 그 ID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 유저(600)에만 대응된 음성 정보에 의한 개별 지원을 실현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4는 ID에 기초하는 음성 정보 지원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는 상기 RF ID 태그(303) 대신에, 광 ID 태그(304)가 태양 전지(302)와 일체로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도면중의 확대 개념도를 참조). 이 광 ID 태그(304)는 상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ID용 적외광을 발생하는 적외선 LED 비컨(beacon) 등의 적외선 광원(35a)과, ID 데이터를 기억하는 ID 메모리 등의 ID 기억 수단(35b)과, ID 데이터에 따라서 ID용 적외광을 변조하는 변조 회로 등의 변조 수단(35c)을 가지고 있다. 한편, 테이블 형상체(100)의 상방에는, 광 ID 태그(304)로부터의 ID용 적외광을 수광하여 ID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402) 복수가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 적외선 센서(402)의 출력은 ID 인증부(4OO)에 결선되어 있다.
이것에 있어서는, 단말 유저(600)가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를 손가락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광 ID 태그(304)가 기억하고 있는 자기의 ID 데이터에 따라서 변조된 ID용 적외광을 발광하면, 적외선 센서(42)가 그것을 수광하고 복조하여 ID 비트 열을 인출한다. 다음은 상기 도 13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 ID 비트 열을 받은 ID 인증부(400)가 ID 데이터를 인증하고, 이 ID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 유저(600)에만 적합한 음성 정보가 음성 컨트롤부(202)를 통하여 발신된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도 15는 위치에 기초하는 음성 정보 지원에 관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는 상기 반사 수단(36)(도 10 참조)에 상당하는 재귀형 반사 시트(305)가 태양 전지(302)와 일체로 배치된 것 으로 되어 있다(도면중의 확대 개념도를 참조).
한편, 테이블 형상체(100)의 상방에는, 적외선 LED(502) 및 적외선 카메라(501)를 일체로 구비한 것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적외선 LED(502)는 위치용 적외광을 발광하는 상기 적외선 광원(51)(도 10 참조)에 상당하고, 적외선 카메라(501)는 상기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반사 시트(305)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온 위치용 적외광을 촬상하는 상기 적외선 촬상 수단(52)(도 10참조)에 상당하는 것이다. 재귀형 반사 시트(305)는 수광된 광을 입사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반사하는 것이므로, 반사되어 되돌아온 적외광을 정확하게 촬상하기 때문에 적외선 카메라(501)와 적외선 LED(502)는 근접 배치되어 일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적외선 카메라(501)의 출력은 적외선 카메라(501)에 의해 촬상된 위치용 적외광상(像)에 기초하여 음성 재생 단말(3)의 위치를 검출하는 상기 위치 검출 수단(53)(도 10 참조)에 상당하는 위치 인증부(500)에 결선되어 있다. 위치 인증부(500)는 적외선 카메라(501)와 적외선 LED(502)의 일체형 하우징 내부에 조립되어 있어도, 외부 개별체로서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있어서, 적외선 LED(502)로부터는 위치용 적외광이 상부 스크린부(101)의 대략 전면에 대하여 항시 출사되고 있어, 이 출사 영역내에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가 들어가면, 즉 단말 유저(600)가 자기의 손가락에 장착한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을 상부 스크린부(l01)상에 가지고 가면, 그 재귀형 반사 시트(305)가 위치용 적외광을 수광하여 입사 방향과 거의 동일 방향으로 반사한다. 이 반사 적외광은 적외선 카메라(501)에 재귀된다. 적외선 카메라(501)는 가시광 컷 필터 (visible light cut filter)를 통하여 위치용 적외광을 휘점으로서 촬상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받은 위치 인증부(500)가 프레임 좌표로부터 휘점의 카메라 상대 위치를 화상 처리에 의해 검출한다. 이 검출 위치가 상부 스크린부(101)상에서의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위치로서 인증되어, 현재 화상중의 어느 위치에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가 있는 지를 자동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광원 어레이(200)가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하고 있는 상부 스크린부(101)상의 위치의 좌표를 미리 음성 컨트롤부(202)에 기억시켜 두고, 그 조사 위치 중에서 상기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위치 좌표와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사 위치에 대하여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하도록 하면, 단말 유저(600)가 그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에서 즉, 자신의 손가락으로 지시하고 있는 화상중의 위치에 대하여 음성 정보를 발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귀형 반사 시트(305)에 대해서는, 예컨대, 재귀형 코너 큐브(Cube)를 시트 형상으로 복수 배치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적외선 LED (502)에 의한 상방으로부터의 위치용 적외광을 수광하기 위해서, 적외선 광원 어레이(200)에 의한 하방으로부터의 음성 변조 적외광을 수광하는 태양 전지(302)와는 반대측에, 즉 수광 반사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실시형태]
이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에서는 더욱이, 상기 ID에 기초하는 음성 정보 지원 및 위치에 기초하는 음성 정보 지원을 조합시킴으로써, 보다 더 우수한 개별 음성 정보 지원을 실현할 수도 있다.
도 16은 상기 도 13 및 도 15의 실시형태를 조합시켜, ID 및 위치의 양방에 기초하는 음성 정보 지원을 행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7은 본 실시형태를 더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하기 설명에서 적당히 참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적외선 LED (502)로부터 위치용 적외광이 항시 출사되고 있어, 그것이 상부 스크린부(101)상의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반사 시트(305)에 의해 적외선 카메라(501)로 재귀 반사되어 촬상되며, 위치 인증부(5OO)에서 그 촬상 데이터에 기초한 위치 인증이 행해진다. 즉, 재귀 반사된 위치용 적외광을 촬상하고 있는 한,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를 추적 즉, 트래킹할 수 있는 것이다(도 17 참조).
한편, 단말 유저(600)가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RF ID 태그(303)를 상부상에 있는 하나의 리더 라이터(401)에 가까이 하면, 상기와 같이 ID 인증이 행해진다. 이 때, 적외선 카메라(501) 및 위치 인증부(500)에 의해 검출 인증된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위치 좌표는 리더 라이터(401)의 위치 좌표와 일치하게 되므로, 각 리더 라이터(401)의 설치 위치 좌표를 미리 기억시켜 두면, 어느 리더 라이터(401)에서 ID 인증이 행해졌는 지를 자동 판별할 수 있고, 트래킹하고 있는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와 ID 데이터를 대응시킬 수 있다(도 17 참조).
그리고, 상기 인증된 ID 데이터에 대응된 음성 정보를 검색 선택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변조된 적외광을 상기 인증된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위치 좌표와 일치하는 화상중의 위치로 조사시킴으로써, 상기 ID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 유저(600)가 확실히 흥미를 나타내고 있는 화상중의 위치에 대하여 그 단말 유저(600) 에만 적절한 음성 정보를 발신할 수 있고, 또한, 이 개별 음성 정보 지원을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트래킹 중 항상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도 17 참조).
도 17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어떤 한사람이 일본인이고, 어떤 한사람이 외국인이라고 ID 인증에 의해 판별된 경우, 각각이 ID 인증 통신을 행한 리더 라이터(401)의 위치로부터 트래킹을 행하고[ID 인증과 트래킹 개시(촬상 개시)를 동기시키면 좋다], 일본인에 대하여는 그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를 상부 스크린부(101) 상을 움직이고 있는 동안 항상 화상중의 어느 스폿 위치에서도 일본어 음성 정보가 제공되며, 외국인에 대하여는 마찬가지로 외국어 음성 정보가 제공되게 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18은 상기 도 14 및 도 15의 실시형태를 조합시켜서, ID 및 위치의 양방에 기초하는 음성 정보 지원을 행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가 광 ID 태그(304)로부터 ID용 적외광을 미리 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출사된다. 이 ID용 적외광은 별개의 경로를 통하여 2개의 상이한 센서 즉, 적외선 센서(402) 및 적외선 카메라(501)에 도달한다. 적외선 센서(402)에서는 상기와 같이 ID용 적외광을 복조하여 ID 비트 열을 인출하고, ID 인증부(400)에서 ID 인증이 행해진다. 적외선 카메라(501)에서는 가시광 컷 필터를 통하여 ID용 적외광을 휘점으로서 잡고, 위치 인증부(500)에서 위치 인증이 행해진다. 이 때, 적외광 발광은 상기 기설정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되고 있으므로, 휘점의 변화로부터 그 출력 타이밍을 알 수 있다. 즉, 적외선 센서(402)의 출력과 적외선 카메라(501)에 의한 카메라 화상을 동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적외선 LED(502)로부터는 위치용 적외광을 항시 출사하고 있고, 이것을 상부 스크린부(101)상의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반사 시트(305)가 적외선 카메라(501)에 재귀 반사시켜, 그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 인증부(500)에서 위치 인증이 행해진다. 이 위치용 적외광 즉, 반사 시트(305)의 휘점은 상기 ID용 적외광의 것과는 달리 로스트되기 어려우므로, 반사 시트(305)의 위치 즉,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위치를 항상 추적해 둘 수 있다. 따라서, 반사 시트(305)의 휘점의 근방에 광 ID 태그(304)의 휘점이 나타나면, 상기 적외선 센서(402) 및 ID 인증부(400)에 의해 인증된 ID를 상기 적외선 카메라(501) 및 위치 인증부(500)에 의해 인증된 위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를 항상 추적 즉, 트래킹하면서, 단속적으로 검출되는 ID 정보와 위치 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된 ID 데이터에 대응된 음성 정보를 검색 선택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변조된 적외광을 상기 인증된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위치 좌표와 일치하는 화상중의 위치로 조사시킴으로써, 상기 ID 데이터를 가지는 단말 유저(600)가 확실히 흥미를 나타내고 있는 화상중의 위치에 대하여 그 단말 유저(600)에만 적절한 음성 정보를 발신할 수 있고, 또한, 이 개별 음성 정보 지원을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트래킹 중 항상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그런데, 위치 인증에 대해서는, 상기 RF ID 태그(303)나 광 ID 태그(304) 이외에도,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9는 이 터치 패널을 이용한 위치 인증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 지원을 행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블 형상체(100)의 상부 스크린부(101)상에 터치 패널(503)을 제공하고 있다. 터치 패널(503)은 상부 스크린부(10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터치 패널(503)을 통해도 단말 유저(600)에 보이도록, 투명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있어서, 단말 유저(600)가 터치 패널(503)에 접촉하면, 그 위치가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의 위치로서 검출되게 된다.
다음에는, 그 터치 위치 좌표와 음성 변조 적외광의 조사 위치 좌표의 일치를 판단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일치된 조사 위치로의 개별 음성 정보 지원을 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ID 인증과의 조합도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기타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다양한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1] 예컨대, 상기 도 11∼도 19의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1)의 스크린 수단(11)으로서, 평면 형상의 상부 스크린부(101)를 가지는 테이블 형상체(100)를 이용하고 있지만, 곡면형상의 스크린부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서는 예컨대 구면이나 반구면 등의 스크린체에 그 배면으로부터 화상 투사하는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도 20은 투광성의 구면 스크린체(700)와 프로젝터 장치(701)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360도의 구면 스크린체(700)의 내부에 복수개의 프로젝터 장치(701)를 설치하고, 각 프로젝터 장치(701)가 각각에 할당된 구면 영역에 대하여 화상 투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외선 광원(201)은 화상중의 적절한 스폿 위치로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시켜 두면 좋다.
[2] 또한, 상기 도 11∼도 19의 실시형태는 스크린 수단(11) 및 화상 투사 수단(12)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1)(도 5 참조)에 관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화상 표시 장치(1)로서는, 브라운관 디스플레이(=CRT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전자 발광 디스플레이(=EL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디스플레이), 형광 표시관 디스플레이(=VFD), 전해 방출 디스플레이(FED)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등, 다양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어느 것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상기 음성 변조 적외광을 대표로 하는 음성 전자파를 화상 표시면의 적절한 위치에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도 21은 브라운관 디스플레이(801)와 적외선 광원(800)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적외선 광원(800)은 브라운관 디스플레이(801)의 형광면(802)을 투과하여 화상중의 적절한 스폿 위치로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를 브라운관(803) 외측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시켜 두면 좋다. 이 때, 브라운관(803)에는 통상 외부 코팅 및 내부 코팅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적외광을 통과시키고 싶은 부분의 코팅을 삭감하거나, 또한 적외광 투과성의 재료를 이용 하거나 해서, 적외광이 양 코팅을 충분히 투과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필요해진다. 물론, 도 2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는 투과형의 액정 디스플레이(805)와 적외선 광원(804)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 중의 (806)은 백라이트 광원, (807)은 편광 필터, (808)은 유리 기판, (809)는 투명 전극, (810)은 액정 층, (811)은 컬러 필터, (812)는 유리 기판, (813)은 편광 필터, (814)는 표시면이다. 이 경우, 적외선 광원(804)은 각 층을 투과하여 표시면(814)상의 적절한 스폿 위치로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시켜 두면 좋다. 각 층의 적절한 부위에 적외광 투과성의 재료를 사용하거나 해도 좋다. 물론, 도 22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3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816)와 적외선 광원(815)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 중의 (817)은 배면의 유리 기판, (818)은 어드레스 전극(데이터 전극으로도 칭함), (819)는 형광체, (820)은 격벽, (821)은 표시 전극(주사 전극 및 유지 전극의 쌍), (822)는 유전체층, (823)은 전면의 유리 기판이다. 이 경우, 적외선 광원(815)은 화상 표시되는 유리 기판(823)상의 적절한 스폿 위치로 음성 변조 적외광을 각 층을 투과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시켜 두면 좋다. 각 층의 적절한 부위에 적외광 투과성의 재료를 사용하거나 해도 좋다. 물론, 도 23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4는 투명한 전자 발광 디스플레이(825)와 적외선 광원(824)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 중의 (826)은 유리 기판, (827)은 투명 전극, (828)은 절연층, (829)는 발광층, (830)은 절연층, (831)은 유리 기판이다. 이 경우, 적외선 광원(824)은 각 층을 투과하여 유리 기판(831)상의 적절한 스폿 위치로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시켜 두면 좋다. 각 층의 적절한 부위에 적외광 투과성의 재료를 사용하거나 해도 좋다. 물론, 도 24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5(a)(b)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 패널(834)을 복수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평면체 및 구체의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833)와 적외선 광원(832)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 패널(834)은 복수의 소형 LED(835)를 어레이 형상으로 가지는 패널체로 되어 있고, 이것을 복수개 연설시켜서 평면체 또는 구체의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833)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적외선 광원(832)은 각 발광 다이오드 패널(834) 자체에 다른 소형 LED와 함께 조립하거나, 발광 다이오드 패널(834) 끼리의 간극에 조립하거나 해서, 적절한 위치로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물론, 도 25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화상 표시면의 적절한 스폿 위치로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의 적외선 광원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시켜 두면 좋다.
또한, 상기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 하나가 개별체의 적외선 광원(800)(804)(815)(824)을 복수개 배치하고 있지만, 면발광 LED를 대표로 하는 면발광 광원을 적절한 위치에 제공하도록 해도 좋다.
[3]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적외선 광원은 조사해야 할 화상중의 각 위치와 동일 수로 설치하고 있지만, 각각의 적외선의 조사 방향을 화상중의 각 위치를 향하도록 변경 제어가능하면, 화상중의 조사 위치수와 광원수가 같지 않아도 좋고, 위치수보다 적은 광원수로서도, 하나만의 광원수로서도 대응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표시면의 배면 즉 화상 표시면과는 반대면측으로부터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하고 있지만, 화상 표시면측으로부터 조사하도록 해도 좋다. 도 26 및 도 27은 각각 이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부 스크린부(101)의 상방에 적외선 광원(20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26은 조사 위치수와 동일 광원수로 되어 있지만, 도 27은 상기와 같이 각 적외선 광원(201)이 팬(pan)ㆍ틸트(tilt) 구동되어 조사 방향을 변경 제어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고, 조사 위치수보다도 적은 광원수로 되어 있다.
[4] 적외선 광원(201)으로서는, 예컨대 적외 발광 다이오드(=적외 LED)를 이용할 수 있다.
[5]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면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광량을 보다 많게 하고 싶을 경우에는, 각각의 적외선 광원(201) 자체를 복수의 적외 LED를 모은 것으로 할 수도 있다.
[6] 음성 출력 장치(2)의 전자파 조사 수단(22)으로서는, 상기 적외선 광원(201) 이외에도, 가시광선 등의 다른 광을 출력하는 각종 광원을 이용할 수 있다.
[7] 또한, 광원에는, LED뿐만 아니라,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고, 더욱이, 이들로부터의 광을 광 파이버등의 광 케이블을 통하여 화상중의 각 스폿 위치에 조사하는 실시형태도 고려할 수 있다.
[8] 물론, 광 이외의 전파 등의 각종 전자파의 사용도 고려할 수 있고, 이 경우에서는 각각 대응된 전자파원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각 전자파에 대응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9] 또한, 상기 도 11로부터 도 19의 실시형태에서는, 태양 전지(302), RF ID 태그(303), 광 ID 태그(304), 반사 시트(305)을 가지는 손가락 장착 단말부(301)를 단말 유저(600)의 손가락에 장착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손가락이 아니어도, 손이나 발 등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한 신체 장착 단말부가 되는 것으로도 좋다.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스폿 위치에 접촉하는 또는 가까이 할 수 있는 것이면 좋은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한 것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 28에 예시한 바와 같은, 단말 유저(600)가 가지는 지시봉(900)에 장착가능한 것 또는 미리 조립된 것 등도 고려할 수 있다.
도 28에서는, 신축가능한 지시봉(900)의 선단에 봉 장착 단말부(901)가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봉 장착 단말부(901)는 지시봉(900)내를 통과한 도선(902)(외측을 통과해도 좋다)을 통하여 이어폰이나 헤드폰, 스피커 등의 음성 재생 단말부(903)에 결선되어 있고, 태양 전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출력 전기 신호가 음성으로서 재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음성 재생 단말부(903)로서의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단말 유저(600)의 귀에 장착가능하고, 스피커는 단말 유저(600)가 휴대가능하다.
[10] 또한, 이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은 시각 장애자용의 음성 가이드 시스템으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중의 어느 위치에 적외광 등의 전자파가 조사되고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예컨대 도 29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면의 각 조사 위치에 작은 구멍(1000)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따르면, 시각 장애자는 구멍(1000)에 접촉함으로써 조사 위치를 알 수 있고, 음성 정보 지원을 정확하게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ID 데이터에 시각 장애자인 것을 나타내는 비트 열을 끼워 넣으면, ID 인증시에 판별할 수 있고, 그 판별에 따라서 시각 장애자에게 적합한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예컨대, 위치 인증과 조합함으로써, 지금 접촉하고 있는 화상중의 조사 위치 또는 상기 구멍(1000)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손가락이나 지시봉등을 움직이면 다음 조사 위치 또는 구멍(1000)이 있는지 등을 네비게이션할 수도 있다. 예컨대, 「거기에서 조금 오른쪽으로 다음 구멍이 있습니다」 「거기에서 조금 전방에 ···에 대한 설명 음성을 유출하고 있는 구멍이 있습니다」등의 음성 지시를 출력하게 된다. 물론, 이 네비게이션은 숙달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11] 또한, 상기 도 15, 도 16, 도 18의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인증을 행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501) 및 적외선 LED(502)을 상부 스크린부(101)의 상방에 설치하고 있지만, 예컨대 도 30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방에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반사 시트(305)는 태양 전지(301)와 동일 측에 제공되고, 하방으로부터의 위치용 적외광을 수광하고 재귀 반사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중의 확대도 참조).
[12] 또한, 상기 도 11∼도 20의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1)의 스크린 수단(11)에 상당하는 것[상부 스크린부(101)를 가지는 테이블 형상체(100)나 구 면 스크린체(700)]이 전혀 요철이 없는 완전한 평면 형상 또는 곡면 형상의 화상 표시면을 가지고 있지만, 평면이나 곡면 등을 조합시킨 요철형상의 화상 표시면을 가지는 스크린 수단(11)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1은 이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요철 화상 표시면을 가지는 입체 스크린체(1100)에 대하여 프로젝터 장치(1101)로부터 화상 투사하여 입체 지도 등을 표시하고, 그 입체 지도중의 적절한 위치에 대하여 적외선 광원(1102)으로부터 음성 변조 적외광을 조사하고 있다.
[13] 또한, 화상 표시 장치(1)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각종의 스크린 수단(11) 및 화상 투사 수단(12)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면 좋으므로, 예컨대, 스크린체 자체에 화상이 도포나 인체 인쇄 등이 되어 있고, 상기 적외광을 대표로 하는 전자파를 투과할 수 있는 것 등도, 본 발명의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상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유저가 그 위치를 지시 또는 접촉 등을 하는 것만으로, 표시 화상에 관련되는 음성 정보를 용이하게 들을 수 있고, 화상을 보고 있는 유저 개개인에게 개별적으로 대응된 음성 정보 지원을 실현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31)

  1.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을 가지는 음성 재생 단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과, ID를 발신하는 ID 발신 수단을 가지는 음성 재생 단말; 및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ID 발신 수단에 의해 발신된 ID를 검출하는 ID 검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3.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 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을 가지는 음성 재생 단말; 및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4.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를 향하여 음성 정보를 기초로 변조한 전자파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서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를 음성 재생하는 음성 재생 수단과, ID를 발신하는 ID 발신 수단을 가지는 음성 재생 단말;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ID 발신 수단에 의해 발신된 ID를 검출하는 ID 검출 장치; 및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수단, 및 상기 스크린 수단 에 대하여 화상을 투사하는 화상 투사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수단은 그 화상 표시면이 평면 형상, 곡면 형상 또는 요철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수단은 그 화상 표시면이 투광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투사 수단은 스크린 수단에 대하여 그 화상 표시면측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투사 수단은 스크린 수단에 대하여 그 화상 표시면과는 반대면측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브라운관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전자 발광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형광 표시관 디스플레이, 및 전해 방출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음성 정보를 기초로 전자파를 변조하는 변조 수단, 및 상기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전자파를 상기 화상중의 위치를 향하여 조사하는 전자파 조사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조사 수단은 전자파를 출력하는 전자파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원은 상기 화상중의 복수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원은 상기 화상중의 복수 위치를 향하여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원은 전자파로서의 광을 출력하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화상중의 위치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변환 수단은 전자파 조사 수단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광전 변환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 수단은 태양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변환 수단은 단말 유저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일부가 손 또는 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변환 수단은 단말 유저가 가지는 지시봉에 장착가능 하게 되어 있는 또는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음성 재생 수단은 이어폰, 헤드폰 또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은 개별체의 구동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전원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ID 발신 수단은 RF ID 태그이며, ID 검출 장치는 상기 RF ID 태그와의 사이에서 ID 인증 통신을 행하는 리더 라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의 ID 발신 수단은 광 ID 태그이며, ID 검출 장치는 상기 광 ID 태그가 발생하는 ID용 적외광을 수광하여 ID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ID 태그는 ID용 적외광의 적외선 광원, ID 데이터를 기억하는 ID 기억 수단, 및 ID 데이터에 따라서 ID용 적외광을 변조하는 변조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광 ID 태그에 의해 변조되어 발신된 ID용 적외광을 수광하여 ID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3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검출 장치는 위치용 적외광의 적외선 광원, 음성 재생 단말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온 위치용 적외광을 촬상하는 적외선 촬상 수단, 및 상기 적외선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위치용 적외광상에 기초하여 음성 재생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음성 재생 단말은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발신된 위치용 적외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3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검출 장치는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면에 제공된 터치 패널, 및 단말 유저가 접촉한 상기 터치 패널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성 재생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KR1020057011156A 2002-12-16 2003-12-16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KR20060028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4471 2002-12-16
JP2002364471A JP4228069B2 (ja) 2002-12-16 2002-12-16 音声情報支援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757A true KR20060028757A (ko) 2006-04-03

Family

ID=3258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156A KR20060028757A (ko) 2002-12-16 2003-12-16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73155B2 (ko)
EP (1) EP1583392A4 (ko)
JP (1) JP4228069B2 (ko)
KR (1) KR20060028757A (ko)
CN (1) CN1754404A (ko)
AU (1) AU2003289362A1 (ko)
WO (1) WO20040561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771B1 (ko) 2021-11-29 2022-09-29 (주) 케이앤지앰테크 조형용 풍력발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5927A (ja) * 2005-06-21 2007-01-11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音声情報提供方法
JP2007005926A (ja) * 2005-06-21 2007-01-11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音声情報提供方法
US9524047B2 (en) * 2009-01-27 2016-12-20 Disney Enterprises, Inc. Multi-touch detection system using a touch pane and light receiver
JP5448611B2 (ja) * 2009-07-02 2014-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10080894A (ko) * 2010-01-07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52372B1 (ko) * 2013-01-11 2019-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2958534B1 (en) * 2013-02-22 2023-09-27 Ashley Diana Black International Holdings LLC Fascia tissue fitness device
EP3179744B1 (en) * 2015-12-08 2018-01-31 Axis AB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ound image in an audio zo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5157A (en) * 1963-10-04 1966-04-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Audio visual teaching system
US3273260A (en) * 1964-10-06 1966-09-20 Tutortape Lab Inc Audio-visua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4336018A (en) * 1979-12-19 1982-06-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lectro-optic infantry weapons trainer
IL81146A (en) * 1986-01-26 1990-04-29 Avish Jacob Weiner Sound-producing amusement or educational devices
JP3298196B2 (ja) * 1992-12-25 2002-07-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この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楽器
JPH08263006A (ja) * 1995-03-23 1996-10-11 Unitec Kk 音声ガイド装置
JPH09214430A (ja) * 1996-01-31 1997-08-15 Sony Corp 赤外線式伝送装置
JPH10222108A (ja) * 1997-02-10 1998-08-21 Syst Sekkei:Kk 電波感知警告装置
US6445369B1 (en) * 1998-02-20 2002-09-03 The University Of Hong Kong Light emitting diode dot matrix display system with audio output
GB2361346B (en) * 1999-03-16 2002-03-27 Innomind Internat Ltd Display, and device having a display
EP1050793A3 (en) * 1999-05-03 2004-09-08 Symbol Technologies, Inc. Wearable communication system
US7099568B2 (en) 2000-03-21 2006-08-2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electronic pop advertising apparatus
JP2002116858A (ja) * 2000-10-06 2002-04-19 Sony Corp 電子pop広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771B1 (ko) 2021-11-29 2022-09-29 (주) 케이앤지앰테크 조형용 풍력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4404A (zh) 2006-03-29
US20080025548A1 (en) 2008-01-31
EP1583392A4 (en) 2008-12-03
EP1583392A1 (en) 2005-10-05
US8073155B2 (en) 2011-12-06
JP2004200815A (ja) 2004-07-15
WO2004056153A1 (ja) 2004-07-01
JP4228069B2 (ja) 2009-02-25
AU2003289362A1 (en) 2004-07-09
AU2003289362A8 (en) 200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197A (en) Two-way interactive system, terminal equip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matching lines of sight between interlocutors through transmission means
RU2670784C2 (ru) Ориентация и визуализация виртуального объекта
KR1019616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383374A (zh) 音频通信系统和方法
CN101911162B (zh) 用于扫描光束显示器的输入装置
US2007019501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KR101892013B1 (ko) 이동 단말기
KR20060028757A (ko) 음성 정보 지원 시스템
USRE38884E1 (en) Two-way interactive system, terminal equipment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matching lines of sight between interlocutors through transmission means
CN209707863U (zh) 电子设备及其背光单元和感测模组
US7474855B2 (en) Information support system
KR20190095632A (ko) 표시장치
US20230205271A1 (en) Housing Structures and Input-Output Device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6003840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9044429U (zh) 一种设备
JPH0653886A (ja) 個人用通信機
KR20160115603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N109407758A (zh) 一种设备
CN209707870U (zh) 电子设备及其背光单元和感测模组
CN109416741B (zh) 电子设备
CN209707850U (zh) 电子设备
JPH09130768A (ja) 伝送手段を介して対話者間の視線を一致させる機構を備えた双方向対話型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撮像装置
CN109887444A (zh) 一种讲解信息播放方法、讲解设备及讲解系统
KR201801288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213990948U (zh) 用于电子设备的发光麦克风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