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604A -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604A
KR20060028604A KR1020040077626A KR20040077626A KR20060028604A KR 20060028604 A KR20060028604 A KR 20060028604A KR 1020040077626 A KR1020040077626 A KR 1020040077626A KR 20040077626 A KR20040077626 A KR 20040077626A KR 20060028604 A KR20060028604 A KR 20060028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ble polymer
soluble
hydrogel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318B1 (ko
Inventor
김한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7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3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meth]acrylate, polyacrylamide, polystyren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lcohol or polystyrene sulfonic acid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semi-solid, e.g. an ointment, a gel, a hydrogel or a solidifying g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 A61K47/691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the form being a liposo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의 수용액을 지용성 계멸활성제를 이용하여 유기용제에 유화시키고, 에멀젼의 열역학적 평형을 조절하여 미셀의 크기를 수십 나노미터 수준으로 최소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 계면활성제

Description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NANO-HYDROGEL OF HYDROPHILIC POLYM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과정의 각 단계를 모식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고화된 상태의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 나노 하이드로겔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의 수용액을 지용성 계멸활성제를 이용하여 유화시키고, 이렇게 얻어진 에멀젼의 열역학적 평형을 조절하여 미셀 내지 입자의 크기를 나노미터수준으로 최소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 또는 화장품의 전달시스템으로 고분자의 겔 내지 입자가 사용된다. 즉 고분자의 초미세구립자와 같은 고분자 기질 내에 약물, 효소, 톡신, 조직, 세포,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화학적, 생물학적 물질을 봉입하여 생체 전달시스템으로 사용할 경우, 봉입되는 물질의 수분, 열, 산화에 의해 불활성화되거나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키고, 지속성 혹은 서방성 제형을 제조할 수 있어 이러한 전달시스템이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의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전달시스템에 사용되는 고분자 겔 내지 입자는 생체 내의 각 원하는 표적위치에 침투할 수 있어야 전달하고자 하는 약물 등의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들의 사이즈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뇌나 심장 등 나노 사이즈가 아니면 침투할 수 없는 기관에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분자의 겔 내지 입자를 나노 사이즈로 얻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의약품 또는 화장품 등의 유효성분을 전달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고분자의 미세 겔 내지 미세 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나노 사이즈의 겔 내지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성과는 그다지 보편적이지 않다.
이러한 연구들의 유형을 살펴보면, 먼저 중합방법을 이용한 것으로서 유화중합을 이용하여 지용성 고분자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보고된 바 있으며(Encyclopedia of Pharmacy Technology, 165, 1994), 계면중합법을 이용하여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도 보고된 바 있다(Int. J. Pharm. 28, 125, 1986). 다음으로 공중합체를 이용한 방법으로서 지용성 고분자인 폴리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유기 용제에 녹이고 물에 분산시켜 미셀을 형성한 다음, 다량의 물을 추가하여 유기 용제가 물에 용출되도록 하여 나노 및 마이크로겔을 제조하는 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Pharm. Res. 15, 1056, 1988; int. J. Pharm. 188, 155, 1999; Coll. Surf. A: Physicochem. Eng. Asp. 182, 123, 2001). 그러나 이들은 모두 지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나노입자 및 나노겔 형성에 관한 것으로, 친수성 내지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것은 아니다.
수용성 내지 수분산성을 갖는 화장품 또는 약제의 전달시스템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친수성 내지 수용성을 갖는 고분자의 하이드로겔 내지 입자를 제조할 필요가 있는데,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내지 나노 입자의 제조는 지용성 고분자의 경우보다 연구성과가 훨씬 적다.
수용성 고분자의 경우, 키토산과 지용성 고분자를 공중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는 보고가 있으나(Pharm. Res. 14, 1431, 1997; STP Pharm. Sci. 10, 77, 2000), 수용성이 극히 제한되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64462호 공보에는 수용성 고분자인 알긴산염의 수용액을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유기용매에 분산, 교반시켜 에멀젼을 만든 다음, 칼슘 용액을 이 에멀젼에 첨가하여 겔화하고, 탈수 용매를 가해 탈수시키고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알긴산염 초미세구립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할 경우, 얻어지는 알긴산염의 입자의 평균이 수백 나노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론 정도로 마이크로입자가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나노 사이즈를 요구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발명은 의약품 내지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수용성 물질의 전달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평균적인 입자 사이즈가 수십 나노미터 단위를 갖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은,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지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유기 용제와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이 열역학적 평형에 도달하도록 방치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을 교반하여 미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미셀이 형성된 혼합액에 상기 유기용제를 더 첨가하고 교반하여 미셀로부터 물을 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조된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에 가교제 내지 고화제 성분을 첨가하여 미셀을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표면을 가교/ 고화시켜 수안정성이 향상된 고화된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을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공정의 각 단계를 모식적으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과 지용성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유기 용제를 각각 준비하여(A), 이들을 혼합하고 교반하면, W/O형 에멀젼이 생성되고, 수용성 고분자는 미셀 내에 용해되게 된다(B). 이때, 상기 유기 용제로 물과 다소간(3~50%정도) 혼용성이 있는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의 정치시간을 거치면 물과 유기 용제는 부분적으로 서로 용해되어 열역학적 평형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 다시, 위에서 사용한 유기 용제를 다량 첨가하면, 물과 유기 용제간의 열역학적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미셀 내의 물이 유기용제 쪽으로 확산되어 나오게 되고 미셀은 축소된다(C). 이렇게 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의 물은 수용성 고분자로부터 분리되어 나오게 되어 미셀은 나노미터단위 수준으로 축소된다(D).
그리고, 여기에 칼슘이온과 같은 고화제 내지 가교제를 첨가하면 수용성 고분자는 가교/고화된 상태로 된다(E). 이 상태에서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유기용제를 분리해 내어 최종적으로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을 얻을 수도 된다. 유기용제의 분리방법에 관한 기술은 보편화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계면활성제는 HLB 값이 약 1~10범위에 있는 것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용 성 계면활성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L-α-포파티딜촐린, 수크로스, 아세틸화 수크로스 디에스테르, 라놀린 알코올, 올레산, 에틸렌글리콜 유도체, 아세틸화 글리세린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놀, 소르비탄 유도체, 소야 레시틴, 칼슘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 데가글리세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아민 등을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은 알긴산, 키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및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N-비닐피롤리돈),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수용성 고분자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평균분자량은 100~1,000,000사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700~200,000의 범위 내인 것을 선택한다. 상기 범위는 실험결과로 얻어진 경험치이지만, 상기 범위에서 다소 벗어나도 본 발명의 실시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에 고화제 내지 가교제를 첨가하여 수안정성이 향상된 표층이 고화된 형태를 얻을 수 있는데,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알긴산일 경우에는 얻어진 나노 하이드로겔에 염화칼슘 수용액과 같은 칼슘이온을 첨가하여 고분자 사이에 가교를 형성하여 고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 겔 내지 나노 입자는 제조 과정 중에 물과 유기 용제간의 열역학적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미셀 내의 물이 미셀 외부로 확산되어 가면서 미셀의 크기가 최소한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평균직경이 수십 나노미터 내지 수백 나노미터수준으로 얻어지게 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
알긴산 0.1g을 물 10㎖와 함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상온에서 용해하여 알긴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별도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L-α-포파티딜촐린 0.02g과 클로로포름 10㎖를 넣고 잘 흔들어 용해시켰다.
위에서 얻은 알긴산 수용액과 클로로포름 용액을 상온에서 혼합하고, 10분간 방치하여 두 용액이 열역학적 평형에 도달하도록 한 다음,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13,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여 미셀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미셀이 형성된 상기 혼합액에 클로로포름 100㎖를 첨가하고 하룻동안 상온에서 약하게 교반하여, 미셀로부터 물이 용출되도록 하여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50,000배와 250,000배로 확대하여 얻은 사진을 도 2a 및 2b에 나타내었다. 도 2a 내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얻은 알긴산의 나노 하이드로겔은 입자 직경이 50㎚ 정도로 균일하게 얻어졌다.
실시예 2 :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의 분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 분산액을 제조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염화칼슘용액(100㎖, 5중량%)을 첨가하였다. 혼합액은 하룻동안 상온에서 서서히 교반하여 고화된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을 얻었다. 수율은 95% 이상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고화된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50,00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고환된 알긴산 나노 하이드로겔의 직경은 평균 100㎚ 정도로 균일하게 얻어졌다.
실시예 3 : 폴리비닐알코올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
폴리비닐알코올 0.2g을 물 10㎖와 함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상온에서 용해하여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또, 별도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L-α-포파티딜촐린 0.02g과 클로로포름 10㎖를 넣고 잘 흔들어 용해시켰다.
위에서 얻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과 클로로포름 용액을 상온에서 혼합하고, 10분간 방치하여 두 용액이 열역학적 평형에 도달하도록 한 다음,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13,0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여 미셀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미셀이 형성된 상기 혼합액에 클로로포름 100㎖를 첨가하고 하룻동안 상온에서 약하게 교반하여, 미셀로부터 물이 용출되도록 하여 폴리비닐알코올 나노 하이드로겔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나노 하이드로겔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60,00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나노 하이드로겔의 평균입자직경은 100㎚정도로 균일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입자 직경이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수준이고 평균 입경이 수십나노미터인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이 얻어지기 때문에, 특히 나노 수준의 입자 크기를 필요로 하는 수용성 및 수분산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및 약제분야의 전달시스템의 구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모든 친수성 고분자에 대해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선택하여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지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유기 용제와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을 방치하여 열역학적 평형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을 교반하여 미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미셀이 형성된 혼합액에 상기 유기 용제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미셀로부터 물을 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계면활성제는 HLB 값이 1~10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계면활성제는 L-α-포파티딜촐린, 수크로스, 아세틸화 수크로스 디에스테르, 라놀린 알코올, 올레산, 에틸렌글리콜 유도체, 아세틸화 글리세린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놀, 소르비탄 유도체, 소야 레시틴, 칼슘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 데카글리세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아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알긴산, 키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및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N-비닐피롤리돈),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제는 물과 약간의 혼용성이 있는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에 가교제 또는 고화제를 첨가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가교, 고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나노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KR1020040077626A 2004-09-25 2004-09-25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R10069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626A KR100690318B1 (ko) 2004-09-25 2004-09-25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626A KR100690318B1 (ko) 2004-09-25 2004-09-25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604A true KR20060028604A (ko) 2006-03-30
KR100690318B1 KR100690318B1 (ko) 2007-03-09

Family

ID=3713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626A KR100690318B1 (ko) 2004-09-25 2004-09-25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3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81B1 (ko) * 2005-10-11 2007-07-20 주식회사 지케이엘 유무기 복합 나노 하이드로겔 및 그 제조방법
WO2009039307A2 (en) * 2007-09-19 2009-03-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Hydrogel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WO2012050359A2 (ko) * 2010-10-14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리피드로 코팅된 하이드로겔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077620A1 (ko) * 2011-11-24 2013-05-30 (주)아모레퍼시픽 수불용성 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8803A (ko) * 2013-02-28 2014-09-15 아이큐어 주식회사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필름 및 그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28B1 (ko) 2009-01-22 2011-11-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H감응형 하이드로겔의 물성강화와 약물수용체로서의 활성탄소섬유의 응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4747A1 (en) 1995-07-27 1997-02-13 Dunn James M Drug delivery systems for macromolecular drugs
KR0164462B1 (ko) * 1995-12-15 1999-01-15 박원훈 알긴산염 초미세구립자의 제조방법
KR100186908B1 (ko) * 1996-05-23 1999-05-01 주식회사 삼양사 국소 투여형 치주염 치료제 조성물
AU1249001A (en) 1999-06-11 2001-01-31 Nektar Therapeutics Al, Corporation Hydrogels derived from chitosan and poly(ethylene glycol) or related polymers
KR100416646B1 (ko) * 2000-08-14 2004-02-05 구주제약주식회사 리도카인을 함유한 조루치료용 마이크로에멀젼 하이드로겔 제형의 약학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81B1 (ko) * 2005-10-11 2007-07-20 주식회사 지케이엘 유무기 복합 나노 하이드로겔 및 그 제조방법
WO2009039307A2 (en) * 2007-09-19 2009-03-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Hydrogel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WO2009039307A3 (en) * 2007-09-19 2009-05-28 Univ Colorado Hydrogel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WO2012050359A2 (ko) * 2010-10-14 2012-04-19 (주)아모레퍼시픽 리피드로 코팅된 하이드로겔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50359A3 (ko) * 2010-10-14 2012-07-05 (주)아모레퍼시픽 리피드로 코팅된 하이드로겔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9849089B2 (en) 2010-10-14 2017-12-26 Amorepacific Corporation Hydrogel particle coated with lipi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3077620A1 (ko) * 2011-11-24 2013-05-30 (주)아모레퍼시픽 수불용성 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9493636B2 (en) 2011-11-24 2016-11-15 Amorepacific Corporation Water insoluble ge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40108803A (ko) * 2013-02-28 2014-09-15 아이큐어 주식회사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필름 및 그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318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0542T2 (de) Herstellungsverfahren von kolloidale systeme enthaltenden mikrokugeln
Wang et al. Injectable PLGA based colloidal gels for zero-order dexamethasone release in cranial defects
Sinha et al. Chitosan microspheres as a potential carrier for drugs
Romero-Cano et al. Controlled release of 4-nitroanisole from poly (lactic acid) nanoparticles
US20080038333A1 (en) Formulations For Poorly Soluble Drugs
JPS63240936A (ja) 超微粒子状物質の分散コロイド系の製造方法
DE69729312T2 (de) Mikropartikel mit gesteuerter Freisetzung
Grazia Cascone et al. Poly (vinyl alcohol) hydrogels as hydrophilic matrices for the release of lipophilic drugs loaded in PLGA nanoparticles
Rodríguez-Contreras et 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doxycycline-loaded phb micro-and nano-spheres
KR100690318B1 (ko) 수용성 고분자 나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R101831417B1 (ko) 자발적 공극 폐쇄 기능성을 갖는 고분자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526503A (ja) ナノカプセルの形態にあるコロイド粒子の調製方法
Gârea et al. Clay–polymer nanocomposites for controlled drug release
KR20110100857A (ko)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EP0996426B1 (de) Multiphasensystem
KR20160019022A (ko) 생분해성 필러용 미립자의 제조 방법
KR101282131B1 (ko)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생체적합성 고분자 나노겔의 제조방법
Sohier et al. Release of small water-soluble drugs from multiblock copolymer microspheres: a feasibility study
KR20090107795A (ko) 서방성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마이크로캡슐
KR100973779B1 (ko) 피브로인 마이크로스피어, 이를 포함하는 에멀젼 및 이를포함하는 분산액의 제조 방법
Das et al. Study of the formation of biodegradable polycaprolactone particles using solvent evaporation method
KR0164462B1 (ko) 알긴산염 초미세구립자의 제조방법
Kaewsaneha et al. Stimuli-responsive Bio-based Polymeric Particles and their Use in Biomedical Applications
JP5996990B2 (ja) 薬剤溶出型フィルム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Bhatt et al. Effect of processing variables in formulation and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