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857A -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857A
KR20110100857A KR1020100019912A KR20100019912A KR20110100857A KR 20110100857 A KR20110100857 A KR 20110100857A KR 1020100019912 A KR1020100019912 A KR 1020100019912A KR 20100019912 A KR20100019912 A KR 20100019912A KR 20110100857 A KR20110100857 A KR 20110100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apsule
calcium carbonate
alginate
microparticles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강미경
권택관
김종대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0857A/ko
Publication of KR2011010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물질을 함유하는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캡슐 내부에 함유하고; 캡슐 벽은,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알코올 수용액 및 계면활성제의 기제에 대해서 안정하고, 낮은 pH에서는 목적 물질을 비교적 적게 방출하고 높은 pH에서는 목적물질을 비교적 많이 방출하는 특징을 나타내기 때문에 pH 변화에 따라 방출하는 목적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바, 내부에 포집된 항암제, 항생제, 항진균제, 항박테리아제, 항산화제, 미백제, 소염제 등의 다양한 소수성, 친수성 생리활성 성분을 필요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부에 방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pH-sensitive microcapsules containing alginate microparticles and calcium carbonate microparticles,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에 관한 것으로, pH 변화에 따라서 목적물질의 방출을 제어하는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pH-sensitive microcapsule)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캡슐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는 기제에서도 안정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효성분(active-ingredient)의 생리활성(biological activ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도 변화 및 pH 변화와 같은 외부 자극에 대해서 민감하게 응답하여 목적물질을 방출하는“자극민감성 약물 전달체 (stimuli-sensitive drug carrier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하는 것은 외부자극이 pH 일 경우에 목적물질의 방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캡슐의 개발이다.
종래의 pH 민감성 약물 전달체로는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와 같은 이온화 그룹(ionizable group)을 가진 고분자로 리포솜 표면을 수식한 pH 민감성 리포솜이 있다(Progress in Lipid Research, Volume 39, Issue 5, September 2000, Pages 409-460 Daryl C. Drummonda, Monia Zignanib, Jean-Christophe Leroux). 리포솜의 표면 수식에 사용된 대표적인 고분자는 NIPAM(N-isopropylacrylamide)과 MAA(methacrylic acid)의 공중합체, (P(NIPAM-co-MAA))와 NIPAM과 DMAEMA(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의 공중합체(P(NIPAM-co-DMAEMA)가 있다.
이들 고분자는 pH 값에 따라서 이온화 경향이 변하기 때문에 pH의 변화에 따라서 고분자가 수축되거나 팽윤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고분자 사슬의 수축 및 팽윤 운동은 리포솜 막에 스트레스를 가하여 봉입되어 있던 목적물질이 방출됨으로 pH 변화에 따라 제어되는 방출 거동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분자들의 pH 의존성 수축 및 팽윤 운동은 알지네이트 비드(alginate bead), 하이드로 젤(hydrogel)에도 적용된바 있다(Reactive and Functional Polymers, Volume 59, Issue 2, May 2004, Pages 129-140 S. K. Bajpai, Shubhra Sharma),(Journal of bioactive and compatible polymers, Volume 19, Issue 3, 2004, Pages 197-208 P. Bonina, T. Petrova,N. Manolova, I. Rashkov, M. Naydenov).
하지만, 종래의 pH 민감성 약물 전달체는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는 기제(base)에서 붕해(disintegration)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는 기제(base)에서 안정하면서, pH 변화에 따라서 목적물질의 방출이 제어되는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pH-sensitive microcapsule)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목적물질을 함유하는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캡슐 내부에 함유하고; 캡슐 벽은,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목적물질을 물에 용해하여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물에 현탁하여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와, 유화제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과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을 상기 유상에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W/O 에멀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이다.
한편,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pH 변화에 따라 민감성 방출특성을 나타내는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pH가 산성인 경우에는, 칼슘 카보네이트는 용해되어 Ca2 +이온을 발생하고 이에 따라 알지네이트는 겔화된다. 즉 기제가 산성으로 되면 알지네이트 입자는 졸(sol)상태에서 겔(gel)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에 함유되어 있는 목적물질의 방출은 억제된다. 반면, 칼슘 카보네이트가 용해되지 않은 중성과 알카리에서는, Ca2 +이온은 생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알지네이트는 졸화되어,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에 함유되어 있는 목적물질은 비교적 많이 방출된다. 결과적으로, 칼슘 카보네이트가 용해되는 산성에서는 목적물질이 적게 방출되고, 칼슘카보네이트가 용해되지 않는 중성과 알칼리에서는 목적물질이 비교적 많이 방출된다.
본 발명은 알코올 및 계면활성제에 용해되지 않고, pH에 변화에 따라 목적물질의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이하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1: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목적물질을 물에 용해하여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 1은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목적물질을 물에 용해하여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지네이트는 알긴산의 염 형태로서 수상에 잘 용해된다. 알지네이트 수용액에서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0.2~10%(w/w)인 것이 좋은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w/w), 가장 바람직하게는 1~3%(w/w)인 것이 좋다. 알지네이트의 농도가 0.2%(w/w)보다 낮을 경우는 하기 칼슘 카보네이트의 Ca2+이온에 의해서 겔화가 되지 않고, 10%(w/w)보다 높을 경우는 알지네이트 수용액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서 하기 단계 4에서 균일한 W/O 에멀젼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목적물질은 항암제, 항생제, 항진균제, 항박테리아제, 항산화제, 미백제, 소염제 등의 다양한 소수성, 친수성 생리활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2: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물에 현탁하여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 2는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물에 현탁하여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칼슘 카보네이트는 pH의 변화에 따른 용해성으로, pH 변화에 따라 알지네이트 입자의 상태를 변화시켜 마이크로 캡슐로부터 방출되는 목적물질의 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는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증류수에 첨가하여 균질기로 균질화하여 제조된다. 균질기로서 초고압 분쇄기(high pressure micronizer), 초음파 분쇄기(sonicator), 고속 혼합 균질기(high speed homo-mix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에서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1~20%(w/w),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w/w), 가장 바람직하게는 3~5%(w/w)인 것이 좋다. 칼슘 카보네이트 농도가 1%(w/w)보다 낮을 경우에는 산성에서도 Ca2 +이온이 적게 형성되어 pH 변화에 따른 목적물질의 방출 양을 제어하기 어렵고, 농도가 20%(w/w)보다 높을 경우에는 균일한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현탁액을 제조하기 어렵다.
단계 3: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와, 유화제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 3은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와, 유화제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특정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바람직하게 에틸셀룰로오스(ethylcellulose), 폴리ε-캡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코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트산-코-글루코산)(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좋다. 상기 고분자는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이 포함된 기제(base)와 접촉시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알코올이나 계면활성제을 함유하는 기제에서 안정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상에서 고분자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0.5~30%(w/w),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w/w), 가장 바람직하게는 3~10%(w/w)이다. 고분자의 농도가 0.5%(w/w)보다 낮을 경우에는 마이크로 캡슐을 수상에 분산시, 마이크로 캡슐 벽의 기계적 강도가 낮기 때문에 마이크로 캡슐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30%(w/w)보다 높을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높기 때문에 하기 단계 3에서 분무건조 수행시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는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넘버가 3.5~6인 것이 바람직한데, 제품명으로는 arlacel 83, span 80, span 6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4: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과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을 상기 유상에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단계 4는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과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을 상기 유상에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W/O 에멀젼을 제조할 때의 수상으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알지네이트 수용액과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칼슘 카보네이트 현탁액을 사용한다.
W/O 에멀젼에서,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알지네이트 수용액과 단계 2에서 제조된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1~1:3,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1:2,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 1:1이다. 상기 중량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때에는 알지네이트에 대한 칼슘 카보네이트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산성에서 생성된 Ca2 +양도 적기 때문에 알지네이트 겔이 형성되기 어렵고, 상기 중량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때에는 알지네이트에 대한 칼슘 카보네이트의 상대적인 양이 필요 이상으로 많기 때문에 산성조건에서 생성된 Ca2 +양도 과잉이 되어 알지네이트 겔이 형성되고도 Ca2 +가 남게 된다.
한편, W/O 에멀젼에서, 알지네이트 수용액 및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수상)에 대한 상기 유상의 부피비는 바람직하게 1:50~1:1, 더욱 바람직하게 1:30~1:2, 가장 바람직하게 1:10~1:3이다.
상기 부피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에는 안정된 에멀젼을 제조할 수 없고, 상기 부피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알지네이트 및 칼슘 카보네이트 양이 적기 때문에 pH 민감성 방출 거동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계 5: 상기 W/O 에멀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
본 단계 5는 상기 W/O 에멀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무건조시 건조온도는 상기 유상의 유기용매의 끊는 점보다 높은 것이 좋다. 또한, 분무건조시 건조온도는 상기 수상의 물의 끊는 점보다 높은 것이 좋다. 분무건조시 건조온도가 유상의 유기용매의 끊는 점과 수상의 물의 끊는 점보다 낮을 경우에는 형성된 마이크로 캡슐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기 때문에 뭉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알지네이트와 목적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알지네이트 수용액(수상)과 칼슘 카보네이트가 분산되어 있는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수상)을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는 유상에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한 후, 제조된 에멀젼을 분무건조하면, 목적물질을 함유한 알지네이트 미립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립자가 캡슐 내부에 존재하고, 캡슐 벽(wall)은 고분자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이 형성된다.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5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은 알코올 또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기제(base)에 대해서 용해되지 않고 안정하며, pH 변화에 따라 방출되는 목적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음을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중성이나 염기성 기제와 접촉할 때는 칼슘 카보네이트가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Ca2 +가 생성되지 않고, 알지네이트 미립자는 졸(sol)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알지네이트 미립자에 있는 목적물질은 비교적 빠르게 방출된다. 한편, 마이크로 캡슐이 산성 기제와 접촉할 때는 칼슘 카보네이트가 용해되기 때문에 Ca2 +가 생성되고, 알지네이트 미립자는 가교되어서 겔(gel)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알지네이트 미립자에 있는 목적물질은 비교적 느리게 방출된다. 이와 같이 pH 변화에 따라서 방출하는 목적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특징이 있는 바, 내부에 포집된 항암제, 항생제, 항진균제, 항박테리아제, 항산화제, 미백제, 소염제 등의 다양한 소수성, 친수성 생리활성 성분을 필요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부에 방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는 기제에서도 붕해되지 않고 안정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입자의 크기는 수십 마이크론~수백 마이크론이다.
도 2는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알지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입자의 크기는 수십 마이크론~수백 마이크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 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1 및 2 : 알지네이트 수용액(수상 I) 제조
알지네이트와 불루 덱스트란을 증류수에 표 1과 같이 녹였다. 불루 덱스트란은 고분자량의 염료로서 본 발명에서는 모델 약으로 사용하였다.
단위: 중량%
구분 알지네이트 불루덱스트란 증류수
제조예 1 3.0 1.0 나머지
제조예 2 6.0 1.0 나머지
제조예 3 및 4 :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수상 II ) 제조
칼슘 카보네이트를 증류수에 표 2의 조성대로 초음파 분쇄기(sonicator)를 이용하여 분산 시켰다.
단위: 중량%
구분 칼슘카보네이트 증류수
제조예 3 1.0 나머지
제조예 4 2.0 나머지
제조예 5 및 6 : W/O 에멀젼의 유상 제조
에틸셀룰로오스와 span 80을 디클로로 메탄에 표 3과 같이 용해시켰다. 에틸셀룰로오스는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을 함유하는 기제에서 녹지 않는 고분자로서 마이크로 캡슐의 캡슐 벽을 형성하는 물질이고 span 80은 W/O 에멀젼을 안정화시켜 주는 유화제(emulsifier)이다.
단위: 중량%
구분 에틸셀룰로오스 span 80 디클로로메탄
제조예 5 4.0 0.5 나머지
제조예 6 8.0 0.5 나머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 : W/O 엘멀젼 제조
제조예 2와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수상을 제조예 6에서 제조한 유상에 표 4의 부피비가 되도록 첨가한 후, 균질 혼합기(homo-mixer)로 3000 rpm에서 균일화하여 W/O 에멀젼을 제조한다.
단위: 부피%
구분 제조예 2의 수상(수상 I) 제조예 4의 수상(수상 II) 제조예 6의 유상
실시예 1 10 10 80
실시예 2 15 5 80
비교예 1 10 0 80
비교예 2 15 0 80
실험예 1 : 에멀젼의 안정성 측정
실시예 1, 2 에멀젼, 비교예 1, 2 에멀젼의 안정성을 10시간 동안 상분리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측정결과, 실시예 1,2의 에멀젼, 비교예 1,2의 에멀젼 모두 상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고, 안정하였다.
실시예 3: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 제조
실시예 2의 W/O 에멀젼을 분무건조기(BUCHI B-290, Switzerland)에서 건조하여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분무온도(inlet temperature)는 120℃, 흡입률(aspiration)은 100%, 펌핑(pumping)은 15%로 하였다. 도 1은 실시예 3에서 분무건조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사진상에서 입자의 크기는 수십 마이크론~수백 마이크론이었다.
비교예 3: 알지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 제조
비교예 2의 W/O 에멀젼을 분무건조기(BUCHI B-290, Switzerland)에서 건조하여 알지네이트 미세입자만을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분무온도 (inlet temperature)는 120℃, 흡입률(aspiration)은 100%, 펌핑(pumping)은 15%로 하였다. 도 2는 비교예 3에서 분무 건조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입자의 모양과 크기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마이크로 캡슐과 비슷하였다.
실험예 2: 마이크로 캡슐의 안정성 시험
에탄올 수용액(10%)과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fate, SLS) 수용액(10%) 각각을 100 mL씩 계량하여 뚜껑이 있는 시약병에 넣었다. 시약병에 담겨진 각각의 수용액에 실시예 3의 마이크로 캡슐 2 g씩을 첨가하여 현탁시킨 후, 뚜껑으로 밀봉하였다. 이를 3개월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현탁액의 외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입자의 형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현탁액의 탁도가 그대로 유지되었고 입자의 형상도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에탄올 수용액(10%)과 계면활성제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수용액(10%)에서 붕해되지 않고 3개월 동안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pH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의 방출 % 측정
0.3g의 실시예 3 또는 비교예 3의 건조 마이크로 캡슐을 50 mL의 'Hydrion buffer'(pH 3.0, pH 4.0, pH 5.0, pH 7.0 또는 pH 9.0)에 넣고 교반자를 이용하여 교반시켜 주었다. 2 mL의 마이크로 캡슐 현탁액을 정해진 시간에 채취하여 주사기 필터(0.45 ㎛)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주었다. 방출되어 나온 불루 덱스트란의 양은 630 nm에서 여과액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표 5는 pH에 따른 방출 %를 관찰한 결과이다.
단위: 방출%
구분 pH3 pH4 pH5 pH7 pH9
실시예 3의 마이크로캡슐 8 12 16 60.8 59.5
비교예 3의 마이크로캡슐 65.5 66.3 64.7 62.2 62.5
상기 표 5에 의하면, 실시예 3의 마이크로 캡슐의 경우, 60분 동안 pH 7.0과 9.0에서 방출된 양은 각각 60.8%와 59.5% 이었다. pH가 5,4,3으로 감소하였을 때 방출은 억제되었고, 방출된 양은 각각 16%, 12%, 8% 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은 중성과 염기성에서는 목적물질의 방출%가 비교적 높았고, 산성에서는 목적물질의 방출% 가 비교적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3의 마이크로 캡슐의 경우, pH변화에 따른 방출%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마이크로 캡슐내부에 포접되어 있는 칼슘 카보네이트가 pH에 따른 방출 조절자(modulator)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 그리고 실험예로부터 본 발명의 알지네이트 미립자와 칼슘카보네이트 미립자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은 에탄올 수용액과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붕해되지 않고 안정하며, pH 민감성 방출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목적물질을 함유하는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캡슐 내부에 함유하고;
    캡슐 벽은,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에틸셀룰로오스, 폴리ε-캡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코산, 폴리(락트산-코-글루코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물질은,
    항암제, 항생제, 항진균제, 항박테리아제, 항산화제, 미백제 및 소염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을 하는 마이크로 캡슐.
  4.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목적물질을 물에 용해하여 알지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물에 현탁하여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계면활성제와 알코올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와, 유화제를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과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을 상기 유상에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W/O 에멀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에서,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의 농도는 0.2~1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에서,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의 농도는 1~2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에틸셀룰로오스, 폴리ε-캡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코산, 폴리(락트산-코-글루코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넘버가 3.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아세테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에서, 고분자의 농도는 0.5~3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W/O 에멀젼에서,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과 상기 칼슘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의 중량비는 1:0.1~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W/O 에멀젼에서,
    상기 알지네이트 수용액 및 상기 칼슘카보네이트 수상 현탁액과, 상기 유상의 부피비는 1:5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건조시의 건조온도는 상기 유상의 유기용매의 끊는 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건조시의 건조온도는 상기 물의 끊는 점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물질은,
    항암제, 항생제, 항진균제, 항박테리아제, 항산화제, 미백제 및 소염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을 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KR1020100019912A 2010-03-05 2010-03-05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0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912A KR20110100857A (ko) 2010-03-05 2010-03-05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912A KR20110100857A (ko) 2010-03-05 2010-03-05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57A true KR20110100857A (ko) 2011-09-15

Family

ID=4495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912A KR20110100857A (ko) 2010-03-05 2010-03-05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08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2077A1 (de) * 2013-02-08 2014-08-14 Basf Se Herstellung von anorganisch-organischen kompositmaterialien durch reaktive sprühtrocknung
US9138381B2 (en) 2013-02-08 2015-09-22 Basf Se Production of inorganic-organic composite materials by reactive spray-drying
KR20200086867A (ko) 2019-01-10 2020-07-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입자의 제조 장치,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30009A (ko) 2019-09-09 2021-03-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으로 코팅된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입자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89815A (zh) * 2021-01-07 2021-06-04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海藻酸钠昆虫性信息素微胶囊及其制备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2077A1 (de) * 2013-02-08 2014-08-14 Basf Se Herstellung von anorganisch-organischen kompositmaterialien durch reaktive sprühtrocknung
US9138381B2 (en) 2013-02-08 2015-09-22 Basf Se Production of inorganic-organic composite materials by reactive spray-drying
CN105121559A (zh) * 2013-02-08 2015-12-02 巴斯夫欧洲公司 通过反应喷雾干燥的无机/有机复合材料的制备
KR20200086867A (ko) 2019-01-10 2020-07-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입자의 제조 장치,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30009A (ko) 2019-09-09 2021-03-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으로 코팅된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입자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89815A (zh) * 2021-01-07 2021-06-04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海藻酸钠昆虫性信息素微胶囊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kawy et al. Preparation of chitosan/gum Arabic nanoparticles and their use as novel stabilizers in oil/water Pickering emulsions
Lopes et al. Prepar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behind alginate-based particles
Machado et al. Preparation of calcium alginate nanoparticles using water-in-oil (W/O) nanoemulsions
Prata et al. Release properties of chemical and enzymatic crosslinked gelatin-gum Arabic microparticles containing a fluorescent probe plus vetiver essential oil
Kim et al. Chitosan–lignosulfonates sono-chemically prepared nanoparticles: characterisation and potential applications
Kaloti et al. Kinetics of coacervation transition versus nanoparticle formation in chitosan–sodium tripolyphosphate solutions
Ng et al. Novel microencapsulation of potential drugs with low molecular weight and high hydrophilicity: hydrogen peroxide as a candidate compound
DE60109732T2 (de) Beschichtung von ungeladen soliden teilchen durch polymermehrlagen
US20080038333A1 (en) Formulations For Poorly Soluble Drugs
Kokai et al. Protein bioactivity and polymer orientation is affected by stabilizer incorporation for double-walled microspheres
Gordon et al. In vitro and in vivo investigation of thermosensitive chitosan hydrogels containing silica nanoparticles for vaccine delivery
Sharipova et al. Polymer–surfactant complexes for microencapsulation of vitamin E and its release
Abdelmalak et al. A new topical fluconazole microsponge loaded hydroge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Meng et al. Chitosan-based Pickering emulsion: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ir stabilizers, bioavailability, applications and regulations
JP2003522781A (ja) コロイド系を含むミクロスフェアの調製のための方法
CN112048080B (zh) 一种微胶囊填充型海藻酸钠基水凝胶及其制备方法
KR20110100857A (ko) 알지네이트 미세입자와 칼슘 카보네이트 미세입자를 함유한 pH 민감성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Wang et al. Electrosprayed soft capsules of millimeter size for specifically delivering fish oil/nutrients to the stomach and intestines
Rodríguez-Contreras et 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doxycycline-loaded phb micro-and nano-spheres
CA2649967A1 (en) Hydrogel suspens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Li et al. Effect of soybean lipophilic protein–methyl cellulose complex on the stability and digestive properties of water–in–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vitamin B12
Gârea et al. Clay–polymer nanocomposites for controlled drug release
Hu et al. Fabrication and spray-drying microencapsulation of vitamin C-loaded W1/O/W2 emulsions: Influence of gel polymers in the internal water phase on encapsulation efficiency, reconstituted stability, and controlled release properties
JPH06211648A (ja) 徐放性多核マイクロスフェア製剤およびその製法
KR101114538B1 (ko) 온도 및 pH 민감성 고분자 코아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