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073A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073A
KR20060028073A KR1020040077070A KR20040077070A KR20060028073A KR 20060028073 A KR20060028073 A KR 20060028073A KR 1020040077070 A KR1020040077070 A KR 1020040077070A KR 20040077070 A KR20040077070 A KR 20040077070A KR 20060028073 A KR20060028073 A KR 20060028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gion
insulating layer
g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구
유춘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8073A/ko
Priority to US11/232,736 priority patent/US20060065894A1/en
Priority to TW094133146A priority patent/TW200622458A/zh
Priority to JP2005277336A priority patent/JP2006093714A/ja
Publication of KR2006002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7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88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employing particular masking sequences or specially adapted masks, e.g. half-tone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84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f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e.g.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r the shape of the insulator or the dimensions, the shape or the lay-ou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01L29/78621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 H01L29/78627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with a significant overlap between the lightly doped drain and the gate electrode, e.g. GOLD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절연 기판 위에 다결정 규소층을 형성하고, 이를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적층한다. 이어, 게이트 절연막 상부에 불순물이 도핑된 규소층 및 금속막을 적층하고, 그 상부에 금속막 위에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다음,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한 등방성 식각 공정으로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게이트선을 형성한다. 이어,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한 이방성 식각 공정으로 도핑된 규소층 및 게이트 절연막을 식각하여 불순물층 및 게이트 절연막 패턴을 형성한다. 다결정 규소층에 불순물층을 도핑 마스크로 도전형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을 정의한 다음,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다결정 규소층을 도핑하여 채널 영역의 양쪽에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한다. 이어, 게이트선을 덮으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드러내는 접촉구를 가지는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1 층간 절연막 위에 접촉구를 통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데이터선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한다.
불순물층, 게이트전극, 저농도영역, 구동부, 화소부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중 한 화소부의 배치도이고,
도 2는 각각 도 1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서 구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도 9, 도 12, 도 21, 도 24 및 도 27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화소부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의 중간 단계에서의 배치도로서, 공정 순서대로 나열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V-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제조 단계에서 구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V-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X'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III-X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화소부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화소부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XII-XX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7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19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XV-XX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23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XVIII-XXV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6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층으로 다결정 규소를 이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에서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으로써 사용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신호선 또는 게이트선과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화상 신호선 또는 데이터선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화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선의 일부인 게이트 전극과 채널을 형성하는 반도체층, 데이터선의 일부인 소스 전극과 반도체층을 중심으로 소스 전극과 마주하는 드레인 전극 등으로 이루어진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데이터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화상 신호를 화소 전극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소자이다.
이때, 반도체층은 비정질 규소 또는 다결정 규소 등으로 이루어지며, 게이트 전극과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는 탑 게이트(top gate) 방식과 바텀 게이트(bottom gate)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다결정 규소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경우, 게이트 전극이 반도체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게이트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다결정 규소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 속도는 비정질 규소 박막 트랜지스터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함께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를 같이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펀치 쓰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반도체층의 채널 영역과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사이에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농도 도핑 영역의 형성 방법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저농도 도핑 영역을 게이트 전극과 중첩시켜 배치하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누설 전류에 의한 오프 전류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층 사이에서 기생 용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저항이 증가하고 신호의 왜곡이 발생한다
또한, 제조 공정시 반도체층 위에 게이트 전극을 이중의 도전막으로 패터닝하되, 하나의 도전막은 저농도 도핑 영역을 정의하는 마스크로 사용하며, 다른 도전막은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한 다음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정의하는 마스크로 사용한다. 하지만, 한번의 사진 식각 공정으로 두 도전막을 다른 패턴으로 형성해야 하는 등 공정이 복잡해지고, 저농도 도핑 영역의 폭을 정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로 인하여 공정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제조 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불순물층을 형성하되, 게이트 전극을 패터닝하기 위한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이방성 식각으로 게이트 절연막과 함께 패터닝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 주입 마스크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는, 화소부와 구동부를 가지는 절연 기판 상부에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채널 영역 및 저농도 도핑 영역을 가지는 다결정 규소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 다결정 규소층의 일부 위에는 적어도 채널 영역과 중첩하는 게이트 절연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 패턴 상부에는 적어도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하고 있으며,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는 규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층이 형성되어 있다. 불순물층 상부에는 채널 영역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게이트 전극을 덮고 있으며 각각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는 제1 및 제2 접촉구를 가지는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층간 절연막 위에는 제1 접촉구를 통해 소스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과 제2 접촉구를 통해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이 형 성되어 있다.
다결정 규소층은 화소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선, 소스 전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데이터선,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더 포함하고, 드레인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절연막 패턴과 불순물층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 패턴 및 불순물층은 채널 영역 및 저농도 도핑 영역과 중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결정 규소층은 구동부에 위치하는데, 게이트 절연막 패턴과 불순물층은 서로 동일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다결정 규소층은 구동부 및 화소부에 각각 위치하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제1 및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각각 도핑되어 있는 제1 및 제2 다결정 규소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불순물층은 제1 도전형으로 도핑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다결정 규소층과 각각 중첩하는 제1 및 제2 불순물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농도 도핑 영역은 제1 또는 제2 다결정 규소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또는 제2 도전형으로 도핑되어 있는데, 제1 다결정 규소층에만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 패턴은 제1 및 제2 불순물층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 패턴은 제1 및 제2 불순물층과 동일한 모양을 가지거나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절연 기판 위에 다결정 규소층을 형성하고, 다결정 규소층 위에 게이트 절연막을 적층한다. 이어, 게이트 절연막 상부에 불순물이 도핑된 규소층 및 금속막을 적층하고, 그 상부에 금속막 위에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다음,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한 등방성 식각 공정으로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게이트선을 형성한다. 이어,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한 이방성 식각 공정으로 도핑된 규소층 및 게이트 절연막을 식각하여 불순물층 및 게이트 절연막 패턴을 형성한다. 다결정 규소층에 불순물층을 도핑 마스크로 도전형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을 정의한 다음,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다결정 규소층을 도핑하여 채널 영역의 양쪽에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한다. 이어, 게이트선을 덮으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드러내는 제1 및 제2 접촉구를 가지는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1 층간 절연막 위에 제1 접촉구를 통해 소스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을 가지는 데이터선과 제2 접촉구를 통해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다.
데이터선 및 드레인 전극을 덮으며 제3 접촉구를 가지는 제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2 층간 절연막 위에 제3 접촉구를 통하여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서 화소부의 구조를 도시한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I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화소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서 PMOS와 NMOS를 가지는 CMOS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화소부는 다수의 화소가 배치되어 있으며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이며, 구동부는 신호선을 통하여 다수의 화소에 주사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PMOS, NMOS 또는 CMOS 등의 구동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절연 기판(110) 위에 산화 규소 또는 질화 규소로 이루어진 차단층(111)이 형성되어 있고, 차단층(111) 위의 화소부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소스 영역(153d)과 드레인 영역 (155d)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며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154d)이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규소층(150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에도 n형 및 p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각각 도핑되어 있는 소스 영역(153n, 153p)과 드레인 영역(155n, 155p) 및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154n, 154p)이 각각 포함된 PMOS 및 NMOS를 포함하는 CMOS의 다결정 규소층(150n, 150p)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결정 규소층(150d, 150n, 150p)을 포함하는 기판(110) 위에는 게이트 절연 패턴(140d, 143, 140n, 140p)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부에서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d, 143) 각각의 상부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으며, 채널 영역(154d) 및 유지 용량 영역(157)과 각각 중첩하는 불순물층(161d, 16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의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n, 140p) 상부에도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NMOS 및 PMOS의 채널 영역(154n, 154p)과 중첩하는 불순물층(161n, 161p)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불순물층(161d, 161n, 161p, 163)은 저농도 도핑 영역(152n, 152d, 152p)의 상부까지 확장되어, 이들(152n, 152d, 152p)과 중첩하고 있다.
그리고 화소부의 게이트 절연 패턴(140n) 위에는 일 방향으로 긴 게이트선(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선(121)의 일부가 연장되어 다결정 규소층(150d)의 채널 영역(154d)과 중첩되어 있으며, 중첩되는 게이트선(121)의 일부분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124d)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소스 영역(153d)과 채널 영역(154d) 사이, 드레인 영역(155d)과 채널 영역(154d) 사이에는 n형 불순물 이 저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저농도 도핑 영역(152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소부의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q) 상부에는 화소의 유지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지 전극선(131)이 게이트선(121)과 평행하며,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다. 다결정 규소층(150n)과 중첩하는 유지 전극선(131)의 일 부분은 유지 전극(133)이 되며, 유지 전극(133)과 중첩하는 다결정 규소층(150n)은 유지 전극 영역(157)이 되며, 유지 전극 영역(157)의 양쪽에도 저농도 도핑 영역(152d)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 전극 영역(157)의 한쪽에는 고농도 도핑 영역(158)이 위치한다. 게이트선(121)의 한쪽 끝 부분은 외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해서 게이트선(121) 폭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출력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에는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n, 140p) 각각의 상부에 PMOS 및 NMOS 소자의 게이트 전극(124n, 124p)이 각각 형성되어 반도체층(150n, 150p)의 채널 영역(154n, 154p)과 각각 중첩하고 하고 있으며, 소스 영역(153n, 153p)과 채널 영역(154n, 154p) 사이, 드레인 영역(155n, 155p)과 채널 영역(154n, 154p) 사이에는 각각 n형 및 p형 불순물이 저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저농도 도핑 영역(152n, 152p)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화소부와 구동부의 CMOS 소자에서 게이트 전극(124d, 124n) 및 유지 전극(133)보다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d, 143, 140n)은 넓으며, 넓은 폭은 저농도 도핑 영역(152d, 152n)의 폭과 동일하다. 또한, 구동부에서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p) 및 불순물층(161p)은 다결정 규소층(150p)의 채널 영역(154p)과 동일한 폭 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 중 PMOS 소자는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p) 및 불순물층(161p)은 다결정 규소층(150p)의 채널 영역(154p)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화소부 및 구동부에서 게이트선(121), 유지 전극선(131), 게이트 전극(124n, 124p)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층(111) 및 반도체층(150d, 150n, 150p) 위에는 제1 층간 절연막(80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층간 절연막(801)은 소스 영역(153d, 153n, 153p)과 드레인 영역(155d, 155n, 155p)을 각각 노출하는 제1 및 제2 접촉구(143d, 143n, 143p, 145d, 145n, 145p)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층간 절연막(801) 위의 화소부에는 게이트선(121)과 교차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선(171)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의 일부분 또는 분지형 부분은 제1 접촉구(143d)를 통해 소스 영역(153d)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스 영역(153d)과 연결되어 있는 부분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173d)으로 사용된다. 데이터선(171)의 한쪽 끝 부분은 외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해서 데이터선(171) 폭보다 넓게 형성(도시하지 않음)할 수 있으며, 데이터 구동 회로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선(171)과 동일한 층의 화소부에는 소스 전극(173d)과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접촉구(145d)를 통해 드레인 영역(155d)과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175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층간 절연막(801)의 구동부에는 NMOS 및 PMOS 소자의 소스 전극(173n, 173p)이 형성되어 접촉구(143n, 143p)를 통하여 소스 영역(153n, 153p)에 각각 연 결되어 있으며, 채널 영역(154n, 154p)을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n, 173p)의 맞은편에는 접촉구(145n, 145p)를 통하여 드레인 영역(155n, 155p)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175n, 175p)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NMOS 소자의 드레인 전극(175n)은 PMOS 소자의 소스 전극(173p)과 연결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구동 소자를 독립적으로 배치할 경우 NMOS 소자의 드레인 전극(175n)과 PMOS 소자의 소스 전극(173p)은 분리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n, 173p), 드레인 전극(175n, 175d, 175p) 및 데이터선(171)을 포함하는 제1 층간 절연막(801) 위에 제2 층간 절연막(802)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부에서 제2 층간 절연막(802)은 드레인 전극(175)을 노출하는 제3 접촉구(185)를 가진다.
화소부의 제2 층간 절연막(802) 위에는 제3 접촉구(185)를 통해 드레인 전극(175d)과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190)이 각각의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도 9, 도 12, 도 21, 도 24 및 도 27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화소부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의 중간 단계에서의 배치도로서, 공정 순서대로 나열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V-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제조 단계에서 구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V-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의 다음 단계를 도 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X'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III-X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화소부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화소부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도 18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XII-XX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7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19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XV-XX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23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XXVIII-XXVI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6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절연 기판(110) 위에 차단층(111)을 형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투명 절연 기판(110)으로는 유리, 석영 또는 사파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차단층(111)은 산화 규소(SiO2) 또는 질화 규소(SiNx)를 증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차단층(111) 위에 비정질 규소를 증착하여 비정질 규소막을 형성한다.
이후 비정질 규소막을 레이저 열처리(laser annealing), 노 열처리(furnace annealing) 또는 고상 결정화 공정을 통하여 비정질 규소를 결정화한 후 사진 식각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화소부 및 구동부에 다결정 규소층(150d, 150n, 150p)을 형성한다.
이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결정 규소층(150d, 150n, 150p)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10) 상부에 질화 규소 또는 산화 규소의 절연 물질을 차례로 증착하여 게이트 절연막(140)을 형성한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140)의 상부에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도핑된 규소층(160)을 500-1,000Å 범위의 두께로 적층한 다음, 알루미늄, 크롬, 몰리브덴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다층막을 증착하여 게이트용 금속막(120)을 형성한다. 이어, 게이트용 금속막(120) 위에 감광막을 형성하고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사진 공정으로 감광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53, 54d, 54n, 54p)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용 금속막(120)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두 개의 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막은 게이트 신호의 지연이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도록 낮은 비저항(resistivity)의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Al)이나 알루미늄 합금[보기: 알루미늄-네오디뮴(AlNd)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다른 막은 다른 물질, 특히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O(indium tin oxide)와의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접촉 특성이 우수한 물질 , 이를테면 몰리브덴(Mo), 몰리브덴 합금[보기: 몰리브덴-텅스텐(MoW) 합금], 크롬(Cr) 등으로 이 루어진다. 하나의 예로 알루미늄-네오디뮴(AlNd)의 도전막은 알루미늄에 대해서 모두 측면 경사를 주면서 식각할 수 있는 알루미늄 식각액인 CH3COOH(8-15%)/HNO3(5-8%)/H3PO4(50-60%)/H2O(나머지)를 사용한 습식 식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식각액은 몰리브덴-텅스텐(MoW)의 도전막에 대해서도 동일한 식각 조건에서 측면 경사를 주면서 식각할 수 있어, 두 도전막을 연속하여 측면 경사를 주면서 식각할 수 있다.
다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53, 54d, 54n, 54p)을 마스크로 게이트 금속막(120)을 등방성 식각으로 언더 컷 구조가 되도록 패터닝하여 화소부에 게이트 전극(124d)을 가지는 게이트선(121) 및 유지 전극(133)을 가지는 유지 전극선(131)을 형성하고, 구동부에 NMOS 소자의 게이트 전극(124n)을 형성하고, PMOS 소자 영역에는 반도체층(150p) 상부에 도전체 패턴(124)을 남긴다. 이때, 도전체 패턴(124)은 반도체층(150p)을 완전히 덮어야 한다.
게이트선(121) 및 유지 전극선(131)의 절단면 측벽은 이후에 형성되는 상부층과의 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53, 54d, 54n, 54p)을 식각 마스크로 도핑된 규소층(160) 및 게이트 절연막(140)을 이방성 식각으로 차례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124d, 124n) 및 유지 전극(133)과 도전체 패턴(124)의 폭보다 조금 넓은 폭을 가지는 불순물층(161d, 163, 161p, 161n) 및 게이트 절연 패턴(140d, 140p, 140n, 143)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d, 143, 140n, 140p) 및 불순물층(161d, 163, 161p, 161n)은 다결정 규소층 (150d, 150n, 150p)과 게이트 전극(124d, 124n, 124p) 및 유지 전극(133)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다결정 규소층(150d, 150n, 150p)과 게이트 전극(124d, 124n, 124p) 및 유지 전극(133)을 각각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형 불순물을 도핑할 경우 이온 주입 마스크의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53, 54d, 54n, 54p)을 제거한 후 게이트 절연 패턴(140d, 143, 140n, 140p) 및 불순물층(161d, 161n, 161p, 163)을 마스크로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 또는 플라즈마 이머젼(plasma immersion) 방법을 이용하여 3~40eV의 저에너지로 n형 불순물 이온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화소부와 구동부의 반도체층(105d, 150n)에 소스 영역(153d, 153n)과 드레인 영역(155d, 155n) 및 채널 영역(154d, 154n)을 형성한다. 이때, 채널 영역(154d, 154n)은 게이트 전극(124d, 124n) 아래에 위치한 다결정 규소층(150d, 150n)으로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아 채널 영역(154d, 154n)이 정의하고, 소스 영역(153n, 153d)과 드레인 영역(155n, 155d)을 분리하며, 유지 전극 영역(157) 및 고농도 도핑 영역(158)도 형성된다.
그리고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124d, 124n) 및 유지 전극(133)을 마스크로 고에너지를 사용하여 n형 도전형 불순물을 스캐닝 설비 또는 이온빔 설비를 이용하여 저농도로 도핑하여 저농도 도핑 영역(152d, 152n)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에 서는 게이트 전극을 패터닝하기 위한 감광막 패턴을 이용하여 도핑 마스크인 불순물층을 형성한다. 별도의 사진 식각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이러한 불순물층을 저농도 도핑 영역과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도핑 마스크로 이용함으로서 제조 공정을 단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진 식각 공정에서 언더 컷 구조로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124d, 124n)과 불순물층(161d, 161n)을 형성함으로써 저농도 도핑 영역(152d, 152n)의 폭을 균일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불순물층(161n, 161d)은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d, 140n, 143, 140p)과 동일하게 규소로 이루어져 있어, 동일한 식각 조건에서 식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는 불순물층(161d, 161n, 161p, 163)을 형성함으로써, 저농도 도핑 영역(152d, 152n)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PMOS 소자 영역의 반도체층(150p)에는 그 상부에 반도체층(150p)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p) 및 도전체 패턴(124)이 형성되어 있어, n형의 불순물을 주입되지 않는다.
이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110)의 상부에 감광막을 형성하고 광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공정으로 감광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64p, 64d)을 형성한 다음, 감광막 패턴(64p, 64d)을 식각 마스크로 도전체 패턴(124)을 식각하여 PMOS 소자의 게이트 전극(124p)을 형성한다. 이어, 감광막 패턴(64p, 64d) 또는 게이트 전극(124p)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드러난 게이트 절연막 패 턴(140p) 및 불순물층(161p)을 식각하여 PMOS 소자의 반도체층(150p) 일부를 드러낸 다음, 감광막 패턴(64p, 64d) 또는 게이트 전극(124p)을 이온 주입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 또는 플라즈마 이머젼(plasma immersion) 방법을 이용하여 3~40eV의 저에너지로 p형 불순물 이온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구동부의 PMOS 소자의 반도체층(150p)에 소스 영역(153p)과 드레인 영역(155p)을 형성하고, 채널 영역(154p)을 정의한다. 이때, 감광막 패턴(64p)은 NMOS 소자와 화소부를 함께 덮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64p)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도전체 패턴(124)을 식각할 때, 화소부에서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전극(124p)은 등방성 식각으로 언더 컷이 발생하도록 패터닝하고, 불순물층(161p)은 이방성 식각으로 패터닝하여 감광막 패턴(64p)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 패턴(140p)은 식각하지 않고 그대로 둘 수 있다.
다음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결정 규소층(150d, 150n, 150p)을 덮도록 기판(110) 전면 상부에 절연 물질을 적층하여 제1층간 절연막(801)을 형성한다. 이후 제1 층간 절연막(801)을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소스 영역(153d, 153n, 153p)과 드레인 영역(155d, 155n, 155p)을 노출하는 제1 접촉구(143d, 143n, 143p) 및 제2 접촉구(145d, 145n, 145p)를 형성한다.
이어,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층간 절연막(801) 위에 데이터용 금속막을 형성한 후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데 이터 선(171)과 드레인 전극(175d, 175b, 175p)과 소스 전극(173d, 173n, 173p)을 형성한다. 소스 전극(173d, 173n, 173p)은 제1 접촉구(143d, 143n, 143p)를 통해 소스 영역(153d, 153n, 153p)과 각각 연결하고, 드레인 전극(175d, 175b, 175p)은 제2 접촉구(145d, 145n, 145p)를 통해 드레인 영역(155d, 155n, 155p)과 각각 연결한다.
데이터선(171)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알루미늄 함유 금속 또는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합금의 단일층이나 알루미늄 합금층과 크롬(Cr)이나 몰리브덴(Mo) 합금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도전 물질을 증착하여 데이터용 금속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이때, 데이터용 금속막도 게이트용 금속막과 동일한 도전 물질 및 식각 방법으로 패터닝할 수 있으며,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d, 175n, 175p)의 절단면은 상부층과의 밀착성을 위해서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을 포함하여 제1 층간 절연막(801) 위에 평탄화 특성이 우수하며 감광성(photosensitivity)을 가지는 유기 물질 또는 플라스마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으로 형성되는 a-Si:C:O, a-Si:O:F 등의 저유전율 절연 물질 등을 적층하여 제2 층간 절연막(802)을 형성한다. 이후 제2 층간 절연막(802)을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화소부의 드레인 전극(175d)을 노출하는 제3 접촉구(185)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접촉구(185) 내부를 포함하는 제2 층간 절연막(802) 위에 투명한 물질인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등을 증착한 다음 이를 패터닝하여 화소 전극(190)과 다수의 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다. 화소 전극(190)은 제3 접촉구(185)를 통해 드레인 전극(175d)과 연결한다. 접촉 보조 부재는 제1 및 2 층간 절연층(801, 802)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제4 접촉구(도시하지 않음), 제1 및 제2층간 절연층(801, 802)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제5 접촉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각각 데이터선(171) 및 게이트선(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와 연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불순물이 도핑된 규소로 이루어진 불순물층을 게이트 전극의 하부에 추가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저농도 도핑 영역을 불순물층과 중첩하여 배치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진 식각 공정 없이 저농도 도핑 영역과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정의하는 도핑 마스크로 불순물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화소부와 구동부를 가지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채널 영역 및 저농도 도핑 영역을 가지는 다결정 규소층,
    상기 다결정 규소층의 일부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하는 게이트 절연막 패턴,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 상부에 형성되어 적어도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하고 있으며,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는 규소를 포함하는 불순물층,
    상기 불순물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고 있으며 각각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는 제1 및 제2 접촉구를 가지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촉구를 통해 상기 소스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촉구를 통해 상기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2. 제1항에서,
    상기 다결정 규소층은 상기 화소부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3. 제2항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소스 전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데이터선,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더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4. 제3항에서,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화소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5. 제1항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과 상기 불순물층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6. 제5항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 및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채널 영역 및 상기 저농도 도핑 영역과 중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7. 제1항에서,
    상기 다결정 규소층은 상기 구동부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8. 제7항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과 상기 불순물층은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9. 제7항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과 상기 불순물층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0. 제1항에서,
    상기 다결정 규소층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화소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제1 및 제2 도전형의 불순물로 각각 도핑되어 있는 제1 및 제2 다결정 규소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1. 제10항에서,
    상기 불순물층은 상기 제1 도전형으로 도핑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다결정 규소층과 각각 중첩하는 제1 및 제2 불순물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2. 제11항에서,
    상기 저농도 도핑 영역은 상기 제1 또는 제2 다결정 규소층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또는 제2 도전형으로 도핑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3. 제12항에서,
    상기 저농도 도핑 영역은 상기 제1 다결정 규소층에만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4. 제11항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층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 패턴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층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6. 제14항에서,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패턴은 상기 제2 불순물층과 다른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7. 절연 기판 위에 다결정 규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규소층 위에 게이트 절연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부에 불순물이 도핑된 규소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도핑된 규소층 상부에 금속막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금속막 위에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한 등방성 식각 공정으로 상기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게이트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한 이방성 식각 공정으로 상기 도핑된 규소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식각하여 불순물층 및 게이트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규소층에 상기 불순물층을 도핑 마스크로 도전형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상기 다결정 규소층을 도핑하여 상기 채널 영역의 양쪽에 저농도 도핑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선을 덮으며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드러내는 제1 및 제2 접촉구를 가지는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위에 상기 제1 접촉구를 통해 상기 소스 영역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을 가지는 데이터선과 상기 제2 접촉구를 통해 상기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데이터선 및 드레인 전극을 덮으며 제3 접촉구를 가지는 제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위에 상기 제3 접촉구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서,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PECVD 방법 또는 플라즈마 이머젼 방법을 이용하여 도전형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KR1020040077070A 2004-09-24 2004-09-24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028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070A KR20060028073A (ko) 2004-09-24 2004-09-24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232,736 US20060065894A1 (en) 2004-09-24 2005-09-22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094133146A TW200622458A (en) 2004-09-24 2005-09-23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277336A JP2006093714A (ja) 2004-09-24 2005-09-26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070A KR20060028073A (ko) 2004-09-24 2004-09-24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073A true KR20060028073A (ko) 2006-03-29

Family

ID=3713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070A KR20060028073A (ko) 2004-09-24 2004-09-24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80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49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박막 트랜지스터
US9478562B2 (en)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7913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7479416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0643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KR20050104953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KR10118886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93714A (ja)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28072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2681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7201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28073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1875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9213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53318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と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1108150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683142B1 (ko)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50081053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1875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KR102142477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631389A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20060032396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80008722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117055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81054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