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903A -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903A
KR20060027903A KR1020040076785A KR20040076785A KR20060027903A KR 20060027903 A KR20060027903 A KR 20060027903A KR 1020040076785 A KR1020040076785 A KR 1020040076785A KR 20040076785 A KR20040076785 A KR 20040076785A KR 20060027903 A KR20060027903 A KR 2006002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mage forming
tube
senso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강동주
유인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7903A/ko
Publication of KR2006002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센싱함으로써 잉크가 실제로 화상형성장치로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는 잉크카트리지와,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를 토출하는 펌핑모터와, 펌핑모터와 연결되며 잉크가 통과할 때는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수축하는 튜브와, 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센서 및 센서의 신호에 따라 펌핑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펌핑모터, 수축튜브, 센서, 잉크공급장치, 현상기, 튜브의 변위

Description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Ink supplying apparatus for image forming machin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에서 공급튜브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에서 튜브로 잉크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6은 도 4의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에서 튜브로 잉크가 흐르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잉크공급장치 110,210; 잉크카트리지
120,220; 펌핑모터 121,221; 모터부
122; 펌핑부 130,230; 튜브
140,240; 센서 150,250; 제어부
160,260; 화상형성장치(현상기) 222; 공급용 펌프
223; 회수용 펌프 231,232; 제1 및 제2공급튜브
233,234; 제1 및 제2회수튜브 241,242; 제1 및 제2센서
261; 감광체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로 잉크가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잉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기는 인쇄매체나 감광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습식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기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으로 만드는 화상형성장치로서 현상기와, 이 현상기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기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잉크공급장치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1)는 잉크카트리지(10), 펌핑모터(20) 및 튜브(30)를 포함하며, 현상기(60)로 잉크를 공급한다.
잉크카트리지(10)는 현상기(60)에서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잉크를 일정량 저장하고 있다.
펌핑모터(20)는 잉크카트리지(10)에 저장된 잉크를 현상기(60)로 공급하며, 현상기(60)에서 사용하고 남은 잉크를 다시 잉크카트리지(10)로 되돌린다. 이를 위해서 펌핑모터(20)는 1개의 모터부(21)에 연결된 2개의 펌핑부(22,23)를 갖는다. 1개의 펌핑부(22)는 공급용이고 다른 펌핑부(23)는 회수용으로 사용된다.
튜브(30)는 잉크카트리지(10)와 펌핑모터(20) 및 현상기(60)를 서로 연통시키며, 잉크카트리지(10)로부터 펌핑모터(20)의 공급용 펌핑부(22)를 통해 현상기(60)로 연결되는 잉크 공급로와 현상기(60)로부터 펌핑모터(20)의 회수용 펌핑부(23)를 통해 잉크카트리지(10)로 연결되는 잉크 회수로를 이룬다.
현상기(60)는 그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감광체(6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으로 만드는 화상형성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50)로부터 잉크공급신호가 있으면, 펌핑모터(20)가 회전하게 된다. 펌핑모터(20)가 회전하면, 공급용 펌핑부(22)가 동작하여 잉크카트리지(10)의 잉크가 잉크 공급로를 따라 현상기(60)로 공급된다. 이때, 펌핑모터(20)의 회수용 펌핑부(23)도 동시에 회전하므로 인쇄 후에 현상기(60)에 남은 잉크는 잉크 회수로를 따라 잉크카트리지(10)로 회수된다. 즉, 펌핑모터(20)의 회전에 따라 잉크카트리지(10)의 잉크는 현상기(60)로 공급되고 현상기(60)에 잔류하는 잉크는 다시 잉크카트리지(10)로 회수되는 잉크 순환 사이클이 원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화상형성기에 의해 인쇄가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이때, 제어부(50)는 펌핑모터(20)의 모터부(21)로 구동신호를 내보내고 펌핑모터(20)의 모터부(21)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받아 펌핑모터(20)에 의해 잉크공급이 제대로 수행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펌핑모터(20)의 모터부(21)로부터 구동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오면 잉크공급장치(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만일 펌핑모터(20)의 모터부(21)로부터 구동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없으면 잉크공급장치(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1)는 펌핑모터(20)의 모터부(21)는 정상적으로 회전하는데 펌핑부(22,23)나 튜브(30)의 관로가 막히는 등의 기구적인 문제 등으로 실제로는 잉크가 현상기(60)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펌핑모터(20) 모터부(21)의 피드백 신호만으로 잉크공급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0)는 잉크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쇄를 진행시키게 되나 실제로는 현상기에 잉크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출력된 인쇄물에는 정상적인 화상이 인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잉크 공급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나 잉크 회수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상기(60)에서 잉크가 넘쳐 흘러 화상형성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잉크가 화상형성장치로 실제로 공급되는지를 감지하여 펌핑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가 실제로 화상형성장치로 공급되는 경우에만 화상형성기가 인쇄를 수행하도록 하는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잉크가 실제로 회수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카트리지;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를 토출하는 펌핑모터; 상기 펌핑모터와 연결되며, 잉크가 통과할 때는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수축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펌핑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립(rip)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 잉크카트리지;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공급하는 공급용 펌프;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각각 상기 공급용 펌프와 연통시키며, 잉크가 통과할 때는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수축하는 공급튜브; 상기 공급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급용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잉크를 상기 잉크카트리지로 회수하는 회수용 펌프;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각각 상기 회수용 펌프와 연통시키며, 잉크가 통과할 때는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수축하는 회수튜브; 및 상기 회수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센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공급용 펌프 사이의 공급튜브와 상기 회수용 펌프와 상기 잉크카트리지 사이의 회수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60)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장치(100)는 잉크카트리지(110), 펌핑모터(120), 튜브(130), 센서(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60)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화상형성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에는 잉크헤드가 화상형성장치로 되고, 전자사진방식의 프린터나 복사기 등인 경우에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해당한다. 도 2에는 화상형성장치(160)로 감광체(161)를 구비한 현상기가 도시되어 있다.
잉크탱크(110)는 화상형성장치(160)에서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잉크를 소정량 저장하는 것으로서 잉크카트리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펌핑모터(120)는 잉크카트리지(110)에 저장된 잉크를 화상형성장치(160)로 공급한다. 이때, 펌핑모터(120)는 잉크카트리지(110)와 일체로 부착되거나 별도의 튜브 등에 의해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펌핑모터(120)는 후술하는 튜브(130)로 화상형성장치(160)와 연통되어 잉크를 공급하는 펌핑부(122)와 펌핑부(12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121)로 구성된다.
튜브(130)는 펌핑모터 펌핑부(122)의 배출구와 화상형성장치(160)를 연통시켜 펌핑모터(120)로부터 공급되는 잉크가 화상형성장치(160)로 흘러들어가는 통로가 된다. 이때, 튜브(130)는 잉크가 통과할 때는 잉크의 압력에 의해 도 2와 같이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도 3과 같이 자중에 의해 수축되는 신축성을 갖고 있다.
센서(140)는 튜브(130)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튜브(130)가 수축하거나 팽창하면 튜브(130) 표면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센서(140)는 이와 같이 변화하는 튜브(130) 표면의 위치를 감지하여 on/off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센서(140)는 선단이 막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튜브(130)의 수축/팽창에 따라 막대가 동작하고 막대의 동작여부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립(rip)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레버의 일단으로 튜브(130)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레버형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를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센서로 튜브(130)의 수축과 팽창시의 튜브(130) 표면의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튜브(130)의 팽창시 센서(140)가 on 신호를 출력하고, 수축시 off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하면(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센서(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튜브(130)가 팽창되어 있는지 수축되어 있는지 그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화상형성기의 메인 컨트롤러로부터의 인쇄명령이나 잉크공급신호에 따라 펌핑모터(120)를 on/off시켜 화상형성장치(160)로 잉크를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센서(14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펌핑모터(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50)로부터 잉크공급신호가 출력되면 펌핑모터(120)가 동작하여 잉크카트리지(110)에 저장된 잉크를 토출한다. 토출된 잉크는 튜브(13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60)로 공급된다. 이때, 튜브(130)는 펌핑모터(120)로부터 토출된 잉크가 통과함에 따라 팽창한다. 튜브(130)가 팽창하면 센서(140)가 on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펌핑모터(120)의 펌핑부(122)가 동작하지 않거나 펌핑모터(120) 펌핑부(122)의 배출구가 막히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면, 튜브(130)가 팽창하지 않고 수축된 상태 그대로 있게 되므로 센서(140)는 동작하지 않는다(도 3 참조). 즉, 제어부(150)는 펌핑모터(120)의 모터부(121)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들어온 후 일정 시간내에 센서(140)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되면 잉크공급장치(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펌핑모터(120)를 계속 동작시킨다. 그러나 펌핑모터(120)가 동작된 후 일정 시간내에 센서(140)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 면, 제어부(150)는 잉크공급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펌핑모터(120)를 정지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펌핑모터(120)를 정지시킨 후 외부로 잉크공급장치(100)가 정지하였다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현상기에 설치된 잉크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잉크공급장치(200)는 잉크카트리지(210), 펌핑모터(220), 공급튜브(231,232)와 회수튜브(233,234)를 포함하는 튜브(230), 센서(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260)로 잉크를 공급한다.
화상형성장치(260)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감광체(26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이다. 현상기(260)는 잉크카트리지(210)로부터 새로운 잉크를 공급받고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남은 잉크를 잉크카트리지(210)로 되돌릴 수 있도록 공급구와 회수구가 마련되어 있다.
잉크카트리지(210)는 현상기(260)로 공급할 잉크를 일정량 보관하는 잉크탱크이다.
펌핑모터(220)는 전단에 설치된 펌핑부를 동작시켜 잉크카트리지(210)의 잉크가 화상형성장치(2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사용후 화상형성장치(260)에 잔류된 잉크가 잉크카트리지(210)로 회수되도록 한다. 펌핑모터(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모터부(221)에 2개의 펌핑부(222,223)가 동축상에 연결된 2헤드 모터를 사용한다. 이때, 2개의 펌핑부 중 1개(222)는 공급용 펌프이고, 다른 1개 (223)는 회수용 펌프이다. 이와 달리 펌핑모터(220)로 모터부에 한개의 펌핑부가 연결된 1헤드 모터를 2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1개의 펌핑모터는 공급용 펌프에 해당하고 다른 1개의 펌핑모터는 회수용 펌프의 역할을 한다.
튜브(230)는 잉크의 공급로를 이루는 공급튜브(231,232)와 잉크 회수로를 이루는 회수튜브(233,234)를 포함한다. 공급튜브(231,232)는 잉크카트리지(2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260)로 공급되는 잉크의 유로를 형성하며, 잉크카트리지(210)로부터 공급용 펌프(222)의 인입구까지 연결된 제1공급튜브(231)와 공급용 펌프(222)의 배출구로부터 화상형성장치(260)로 연결된 제2공급튜브(232)를 포함한다.
회수튜브(233,234)는 화상형성장치(260)로부터 잉크카트리지(210)로 회수되는 잉크의 유로를 형성하며, 화상형성장치(260)로부터 회수용 펌프(223)의 인입구까지 연결된 제1회수튜브(233)와 회수용 펌프(223)의 배출구로부터 잉크카트리지(210)로 연결된 제2회수튜브(23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공급튜브(231,232)와 회수튜브(233,234)는 잉크가 통과할 때는 잉크의 압력에 의해 도 6과 같이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수축되는 신축성을 갖고 있다.
센서(240)는 공급튜브(231,232)와 회수튜브(233,234)의 수축과 팽창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센서(240)는 제1 및 제2공급튜브(231,232)와 제1 및 제2회수튜브(233,234)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4개의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센서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공급튜브(231,232) 중 1곳과, 제1 및 제2회수튜브(233,234) 중 1곳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각 각 감지할 수 있도록 2개의 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공급튜브(232)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제1센서(241)와 제2회수튜브(234)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제2센서(242)를 설치하였다. 센서(240)의 종류에 관하여는 상술한 실시예의 센서(14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50)는 화상형성기의 메인 컨트롤러로부터의 인쇄명령이나 잉크공급신호에 따라 펌핑모터(220)를 on/off시켜 현상기(260)로 잉크를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센서(24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펌핑모터(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50)로부터 잉크공급신호가 출력되면 펌핑모터(220)가 동작한다. 펌핑모터(220)가 동작하면 공급용 펌프(222)가 동작하여 잉크카트리지(210)에 저장된 잉크가 제1공급튜브(231)와 제2공급튜브(232)를 통해 현상기(260)로 공급된다. 이때, 제1공급튜브(231)는 잉크카트리지(210)에 있는 잉크가 통과함에 따라 팽창하고, 제2공급튜브(232)는 펌핑모터(220)의 공급용 펌프(222)의 배출구로부터 토출된 잉크가 통과함에 따라 팽창한다. 제2공급튜브(232)가 팽창하면 제1센서(241)가 on 신호를 제어부(25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펌핑모터(220)의 공급용 펌프(222)가 동작하지 않거나 펌핑모터(220)의 공급용 펌프(222)의 배출구가 막히는 등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공급튜브(232)가 팽창하지 않고 수축된 상태 그대로 있게 되므로 제1센서(241)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 펌핑모터(220)가 동작하면 회수용 펌프(223)도 동시에 동작을 하여 감광 체(261)의 정전잠상을 현상한 후 현상기(260)에 남은 잉크가 제1회수튜브(233)와 제2회수튜브(234)를 통해 잉크카트리지(210)로 회수된다. 이때, 제1회수튜브(233)는 현상기(260)로부터 회수되는 잉크가 통과함에 따라 팽창하고, 제2회수튜브(234)는 회수용 펌프(223)의 배출구로부터 토출된 잉크가 통과함에 따라 팽창한다. 제2회수튜브(234)가 팽창하면 제2센서(242)가 on 신호를 제어부(250)로 출력한다. 그러나 펌핑모터(220)의 회수용 펌프(223)가 동작하지 않거나 회수용 펌프(223)의 배출구가 막히는 등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회수튜브(234)가 팽창하지 않고 수축된 상태 그대로 있게 되므로 제2센서(242)는 동작하지 않는다.
제어부(250)는 펌핑모터(220)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들어온 후 일정 시간 내에 제1센서(241)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되고, 제1센서(241)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제2센서(242)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되면 잉크공급장치(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펌핑모터(220)를 계속 동작시킨다. 그러나 펌핑모터(220)가 동작된 후 일정 시간내에 제1센서(241)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제1센서(241)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내에 제2센서(242)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250)는 잉크공급장치(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펌핑모터(220)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펌핑모터(220)의 모터부(221)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있은 후 제1센서(241)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간격과 제1센서(241)의 on 신호가 입력된 후 제2센서(242)로부터 on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간격은 펌핑모터(220), 튜브(230)의 배치 등에 따라 정해진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펌핑모터(220)를 정지시킨 후 외부로 잉크공급장치(200)가 정지하였 다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잉크공급장치(200)를 갖는 화상형성기는 펌핑모터(220)의 모터부(221)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공급용 펌프(222)가 동작하지 않아 현상기(260)로 잉크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상형성기가 인쇄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 공급용 펌프(222)는 동작하나 회수용 펌프(223)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잉크공급장치(200)가 가동되지 않으므로 잉크가 흘러넘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만일, 잉크공급장치에 4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4개의 센서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잉크공급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4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의 센서 중 어느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지에 따라 잉크공급장치 중 어느 곳에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에 의하면, 센서를 이용하여 실제로 공급튜브로 잉크가 흐르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펌핑모터는 동작하나 펌프의 고장 등으로 실제로 화상형성장치로 잉크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펌핑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는 잉크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에 의하면, 잉크가 화상형성장치로 실제로 공급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잉크가 실제로 화상형성장치로 공급되는 경우에만 화상형성기가 인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잉크공급장치는 회수되는 잉크가 흐르는 회수튜브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잉크가 실제로 회수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5)

  1. 잉크카트리지;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를 토출하는 펌핑모터;
    상기 펌핑모터와 연결되며, 잉크가 통과할 때는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수축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펌핑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립(rip)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3. 화상형성장치;
    잉크카트리지;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공급하는 공급용 펌프;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각각 상기 공급용 펌프와 연통시키며, 잉크가 통과할 때는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수축하는 공급튜브;
    상기 공급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급용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잉크를 상기 잉크카트리지로 회수하는 회수용 펌프;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잉크카트리지를 각각 상기 회수용 펌프와 연통시키며, 잉크가 통과할 때는 팽창하고 잉크가 통과하지 않을 때는 수축하는 회수튜브; 및
    상기 회수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공급용 펌프 사이의 공급튜브와 상기 회수용 펌프와 상기 잉크카트리지 사이의 회수튜브의 수축 또는 팽창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 치.
KR1020040076785A 2004-09-24 2004-09-24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KR20060027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85A KR20060027903A (ko) 2004-09-24 2004-09-24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85A KR20060027903A (ko) 2004-09-24 2004-09-24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03A true KR20060027903A (ko) 2006-03-29

Family

ID=3713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785A KR20060027903A (ko) 2004-09-24 2004-09-24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79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8805B1 (en) * 2016-07-27 2020-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rizontal interface for fluid supply cartridge having digital fluid level sen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8805B1 (en) * 2016-07-27 2020-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rizontal interface for fluid supply cartridge having digital fluid level sensor
US11230107B2 (en) 2016-07-27 2022-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rizontal interface for fluid supply cartridge having digital fluid level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792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7043050A (ja)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554840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インク漏れ検出方法
KR20060027903A (ko) 화상형성기의 잉크공급장치
JP2010082811A (ja) 液体吐出装置
JP6254211B2 (ja)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CN107073950B (zh) 具有初级墨罐和次级墨罐的喷墨打印机
JP547557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10199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29556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廃液回収方法
JPH044595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030263A (ja)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200612336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90802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07401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7178924B2 (ja) 印刷装置およびインク供給方法
JP7010092B2 (ja) 液体を吐出する装置
EP1564002B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clogging of nozzle discharging ink
JP2004330712A (ja) 画像形成装置
JP7427920B2 (ja) 液体吐出装置
JP20061847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03662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5219439A (ja) カートリッジ並びに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装置の制御方法
JP2021181191A (ja) 液体を吐出する装置および吐出制御方法
JP200523108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