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488A -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488A
KR20060026488A KR1020040074932A KR20040074932A KR20060026488A KR 20060026488 A KR20060026488 A KR 20060026488A KR 1020040074932 A KR1020040074932 A KR 1020040074932A KR 20040074932 A KR20040074932 A KR 20040074932A KR 20060026488 A KR20060026488 A KR 20060026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detachable member
nail
s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057B1 (ko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희 filed Critical 이정희
Priority to KR102004007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0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 E04G15/068Re-usable forms for channels open towards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 못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거푸집을 제거하는 동시에 못도 함께 제거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 형성 작업의 능률을 촉진시키는, 중공 몸체부 측면의 일측 끝단에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못의 몸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된 착탈 부재가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끼움공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착탈 부재를 상기 끼움공에 끼워 넣는 반대측에는 정지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착탈부재의 통과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정지판에는 못의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스리브 또는 콘트리트 박스 등의 건축용 장치 또는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박스, 스리브, 못, 콘크리트, 거푸집

Description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A construction equipment and a method for forming concrete building}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자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건축용 자재 매설 콘크리트 공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자재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건축용 자재 매설 콘크리트 공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건축용 자재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에 파이프나 전기 배선등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건축용 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 그 용도에 따라 스리브 또는 콘크리트 박스 등의 용어로 불리는 건축용 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건축용 자재라고 함은 스리브나 콘크리트 박스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축용 자재가 사용되었다. 종래의 건축용 자재는 도관 형상의 중공 몸체부(100)와 상기 중공 몸체부 측면의 일측 끝단 부위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통상 90°각도를 이루는 4 개의 고정구(102)로 구성된다. 고정구에는 못을 박기 위한 통과공(104)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에 못을 박아서 목재 거푸집에 건축용 자재를 체결한다.
건축 공사에 있어서 파이프나 전선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은 스리브를 콘크리트 내에 형성하거나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박스를 콘크리트 내에 형성한다. 그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0) 상에 건축용 자재를 체결한다. 건축용 자재의 고정구(102)에 못(202)을 박음으로써 거푸집과 건축용 자재가 체결되는 것이다. 그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철근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204)를 타설하고 일정 시간 방치하여 콘크리트가 경화되게 한다. 그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와 건축용 자재만을 남겨 놓는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거푸집을 제거한 이후에 건축용 자재를 거푸집에 체결하기 위한 못이 돌출된 채로 남아 있게 된다. 즉,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못의 뾰족한 단부가 그대로 콘크리트 외부로 노출되게 됨으로써 향후 공사의 진행을 위하여 이를 제거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못을 제거하거나 끝을 꼬 부리는 등의 공정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의 능률을 해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 못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거푸집을 제거하는 동시에 못도 함께 제거될 수 있는 개량된 형태의 건축용 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공 몸체부 측면의 일측 끝단에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못의 몸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된 착탈 부재가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끼움공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착탈 부재를 상기 끼움공에 끼워 넣는 반대측에는 정지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착탈부재의 통과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정지판에는 못의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중공 몸체부 측면의 일측 끝단에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못의 몸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된 착탈 부재가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끼움공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착탈 부재를 상기 끼움공에 끼워 넣는 반대측에는 정지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착탈부재의 통과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정지판에는 못의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개구가 형 성되어 있는 건축용 자재를 목재 거푸집 상에 놓고 상기 건축용 자재의 복수의 고정구의 복수의 상기 통과공을 관통하도록 못을 박는 단계와, 거푸집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외력을 작용하여 제거하되 거푸집과 함께 상기 못 및 상기 고정구의 착탈 부재가 동시에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 결합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몸체부(300) 측면의 일측 끝단에 복수의 고정구(302)가 형성되어 있고, 못의 몸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304)이 형성된 착탈 부재(306)를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끼움공(도시되지 않음)에 끼워 넣는 것이다.
도 4a에는 고정구 및 착탈부재에 대한 부분 상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착탈 부재(406)를 끼움공(402)에 끼워 넣는 반대측에는 정지판(40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착탈부재의 통과공(408)에 대응하는 위치의 정지판에는 못의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개구(410)가 형성되어 있다. 정지판의 두께는 콘크리트 형성작업 후 거푸집을 뜯어 낼 때 손쉽게 파손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한다. 착탈부재를 끼움공에 넣은 상태로 건축용 자재를 목재 거푸집에 올려 놓고 개구(410) 및 통과공(408)을 못의 몸체가 관통하게 하여 거푸집에 건축용 자재를 체결한다.
도 4b에는 못(412)에 의하여 거푸집(414)에 건축용 자재가 체결된 상태의 부분 상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축용 자재의 고정구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이에 착탈부재를 끼워 넣고 목재 거푸집에 놓은 후 개구(410) 및 통과공을 통하여 거푸집에 못을 박음으로써 건축용 자재를 목재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원통형의 착탈 부재와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형성된 끼움공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각 기둥 형태의 착탈 부재 등 다른 형상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또한 파이프의 통과를 위한 스리브나 전기 배선 등의 통과를 위한 콘크리트 박스를 모두 포함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사각 형상이나 도 6에 도시된 육각 형상 등을 모두 포함한다. 몸체부의 모양이나 형상에 있어 제한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도 4c는 도 4b와 같이 건축용 자재를 거푸집에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416)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d는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부분 도면이다. 이에 도시되어 있듯이 거푸집에 외력을 가하여 콘크리트로부터 분리시키면 정지판이 일부 파손되면서 못과 착탈부재도 거푸집과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거푸집이 분리됨과 동시에 못도 함께 분리됨으로써 거푸집 분리 후 못을 처리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 못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거푸집을 제거하는 동시에 못도 함께 제거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 형성 작업의 능률을 촉진시킨다.

Claims (2)

  1. 건축용 자재에 있어서,
    중공 몸체부 측면의 일측 끝단에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못의 몸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된 착탈 부재가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끼움공에 결합되고,
    상기 착탈 부재를 상기 끼움공에 끼워 넣는 반대측에는 정지판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정지판에는 상기 착탈부재의 통과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못의 몸체가 통과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
  2. 제 1 항에 기재된 건축용 자재를 목재 거푸집 상에 놓고 상기 건축용 자재의 복수의 고정구의 통과공을 관통하도록 못을 박는 단계와,
    거푸집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분리시키되 거푸집과 함께 상기 못 및 상기 고정구의 착탈 부재가 동시에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공법.
KR1020040074932A 2004-09-20 2004-09-20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KR10067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32A KR100679057B1 (ko) 2004-09-20 2004-09-20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32A KR100679057B1 (ko) 2004-09-20 2004-09-20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488A true KR20060026488A (ko) 2006-03-24
KR100679057B1 KR100679057B1 (ko) 2007-02-06

Family

ID=3713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932A KR100679057B1 (ko) 2004-09-20 2004-09-20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6790A (zh) * 2016-03-01 2016-06-22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双层连梁洞口模板系统及其应用于双层连梁的工法
CN105735635A (zh) * 2016-05-11 2016-07-06 北京城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墙面留槽施工装置及留槽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909B1 (ko) 2008-02-29 2010-06-17 (주)대교에이스 전선 인출용 호스 고정구
CN106284403A (zh) * 2016-08-12 2017-01-04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预留孔洞的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6790A (zh) * 2016-03-01 2016-06-22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双层连梁洞口模板系统及其应用于双层连梁的工法
CN105735635A (zh) * 2016-05-11 2016-07-06 北京城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墙面留槽施工装置及留槽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057B1 (ko)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9855B1 (en) Anti-torsion anchor bolt
KR100679057B1 (ko)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US4998705A (en) Apparatus for forming voids in concrete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1493249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CA31016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voids in concrete
JP2009150175A (ja) ひび割れ誘発目地部材、ひび割れ誘発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20120113095A (ko) 천장용 단자함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KR101000512B1 (ko) 후시공이 가능한 인서트
JP5817889B2 (ja) 配線ボックスの配設構造、配線ボックスを埋設したコンクリート壁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460050Y1 (ko) 콘크리트 형틀용 앵커볼트 커버
KR200349428Y1 (ko) 단열재용 인서트
JPH0343791Y2 (ko)
KR20090092977A (ko) 콘크리트 구조물 인발시험장치의 연결구 매설구조 및 그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866914B1 (ko) 건축공사용 고정클립
KR101047311B1 (ko) 천정등용 접속함의 고정장치
KR20100007864U (ko) 배관용 슬리브 고정수단
KR100899537B1 (ko)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KR200376965Y1 (ko)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JPH10300650A (ja) コンクリート供試体の採取方法
KR200306733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고정장치
JPH0119711Y2 (ko)
KR200330009Y1 (ko) 전선 배관용 아웃렛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