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65Y1 -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 Google Patents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65Y1
KR200376965Y1 KR20-2004-0034845U KR20040034845U KR200376965Y1 KR 200376965 Y1 KR200376965 Y1 KR 200376965Y1 KR 20040034845 U KR20040034845 U KR 20040034845U KR 200376965 Y1 KR200376965 Y1 KR 200376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ncrete
present
head
inse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백
Original Assignee
강용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백 filed Critical 강용백
Priority to KR20-2004-0034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천정용 하수관등과 같은 배관밴드의 고정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인서트와 달리 소모품이 발생되지 않고 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콘크리트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사각연결부(12)를 매개로 차후 매몰될 머리부(11)와 개구될 바닥부(13)가 각기 형성되는 금속제 인서트몸체(11)에는, 바닥부(13)에 4 군데 못(14)이 각기 대각선으로 돌출되고 있고, 상기 인서트몸체(11)의 사각연결부(12)중앙으로 내부 일부관통되어 상기 바닥부(13)측으로 개구부(15)와 내경 상부로 나사부(16)가 각기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CONCRETE INSERT}
본 고안은 건축물천정용 하수관등과 같은 배관밴드의 고정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인서트와 달리 소모품이 발생되지 않고 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콘크리트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아파트나 고층빌딩과 같은 건축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건설공법을 동원하여 완성시키게 되는 바, 그 중 콘크리트내에 매설되는 종류의 인서트(INSERT)는 거푸집에 필요한 간격으로 미리 부착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인서트를 콘크리트 내에 매설하여 양생하게 된다. 양생후 고정된 거푸집을 뜯어내면 상기 인서트의 일부가 콘크리트면에 노출되게 되어 있으므로, 강도의 인장 내력을 얻기 위하여서는 인서트를 대형으로하여 콘크리트내에 매설되는 부분을 많게 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종래에 소개된 인서트는 콘크리트 내에 깊이 매설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대형으로 되어 인서트가 다수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축물등에 있어서는 인서트의 경비가 막대하게 되고, 또한 대형 인서트는 중량이 증대되어 다른 구축부재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다양하게 개발한 금속제 인서트나 합성수지제 인서트가 개발되어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거푸집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보조 수단이 동원되거나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점이 있어, 본 출원인은 현재 비효율적으로 인서트를 고정 설치하는 작업상의 어려운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인서트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망치로 압타하여 거푸집에 고정시킴에 있어 못이 형성된 금속제 인서트몸체나 금속못과 너트를 합성수지제 몸체로 성형인서트하여 일체화된 인서트몸체로 구성시켜 고정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공정이 줄일 수 있는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연결부(12)를 매개로 차후 매몰될 머리부(11)와 개구될 바닥부(13)가 각기 형성되는 금속제 인서트몸체(11)에는, 바닥부(13)에 4 군데 못(14)이 각기 대각선으로 돌출되고 있고, 상기 인서트몸체(11)의 사각연결부(12)중앙으로 내부 일부관통되어 상기 바닥부(13)측으로 개구부(15)와 내경 상부로 나사부(16)가 각기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 인서트를 도시해 놓은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 인서트를 건축물천정에 고정되어 배관밴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가 체결되는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건축물천정용 하수관등과 같은 배관밴드의 고정체결구인 바, 이는 종래의 인서트와 달리 소모품이 발생되지 않고 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콘크리트인서트인 것이다.
즉, 금속제 인서트몸체(11)는 사각연결부(12)를 매개로 차후 매몰될 머리부(11)와 개구될 바닥부(13)가 각기 형성되고, 이 바닥부(13)에는 4 군데 못(14)이 각기 대각선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몸체(11)의 사각연결부(12)중앙으로 개구되어 상기 바닥부(13)측으로 개구부(15)와 내경 상부로 나사부(16)가 각기 형성되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인서트는 금속제 인서트몸체(11)의 바닥부(13)에 있는 4 군데 못(14)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 양생후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이다(도 2 참조). 그러면, 상기 인서트몸체(11)의 사각형태와 이보다 더 큰 머리부(11)에 의해 양생된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밑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상태에서 거푸집이 제거되면 인서트몸체(11)의 못(14)가 남으면서 중앙의 개구(15)를 내경 상부의 나사부(16)에다 볼트(20)를 간편하게 체결하여 하수관로, 통신관로 등과 같은 배관밴드의 고정체결구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 인서트를 도시해 놓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 인서트가 완성되어 사용할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인서트는 도 1 에 도시된 콘크리트와 다른 점은 금속결합부(40)의 상하못(41, 42)과 상부의 너트(45)를 중앙내경이 관통된 합성수지제 몸체(33)로 성형 인서트하여 일체화된 인서트몸체(30)로 구성된 점이다.
즉, 상기 합성수지제 몸체(33)는 마름모꼴 또는 타원형 머리부(32)와 사각기둥이 상부 큰직경과 하부 작은직경으로 형성되고, 이 사각기둥의 머리부(32)에 중앙으로 너트(45)가 인서트될 개구부(31)가, 중앙내경을 관통하여 바닥의 개구부(34)가 각기 형성되어져 있다.
이렇게 형성된 합성수지제 몸체(33)의 개구부(31, 34)에 각기 나사부(46)의 너트(45)와 상하못(41, 42)의 금속결합부(40)가 성형 인서트됨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완성품인 인서트몸체(30)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금속결합부(40)의 상부 못(41)은 합성수지제 몸체(33)의 개구부(34)에 성형 인서트시 합성수지제와 금속을 일체화시키고 하부 못(42)이 밖으로 향하게 된다.
이와 더블어, 나사부(46)의 너트(45)는 합성수지제 몸체(33)의 머리부(32)에 있는 개구부(31)에 성형 인서트시 합성수지제의 머리부(32)와 금속너트(40)를 일체화시킴으로, 금속너트(40)의 나사부(46)와 금속결합부(40)의 개구부(43)를 연결해주는 합성수지제 몸체(33)의 관통구멍을 연결해준다.
이상과 같이 성형 인서트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인서트는 도 2 에 도시된 천정콘크리트에 적용하여 건설현장에서 간편하게 작업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을 줄여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망치로 압타하여 거푸집에 고정시킴에 있어 못이 형성된 금속제 인서트몸체나 금속못과 너트를 합성수지제 몸체를 성형 인서트하여 일체화된 인서트몸체로 구성시켜 고정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공정이 줄일 수 있는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 인서트를 도시해 놓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 인서트를 건축물천정에 고정되어 배관밴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가 체결되는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 인서트를 도시해 놓은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 인서트가 완성되어 사용할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서트몸체 11 : 머리부
12 : 사각연결부 13 : 바닥부
14 : 못 15 : 개구부
16 : 나사부 20 : 볼트

Claims (2)

  1. 사각연결부를 매개로 차후 매몰될 머리부와 개구될 바닥부가 각기 형성되는 금속제 인서트몸체에는 바닥부에 4 군데 못이 각기 대각선으로 돌출되고 있고, 상기 인서트몸체의 사각연결부중앙으로 내부 일부관통되어 상기 바닥부측으로 개구부와 내경 상부로 나사부가 각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2. 마름모꼴 또는 타원형 머리부와 사각기둥이 상부 큰직경과 하부 작은직경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제 몸체에는 머리부에 중앙으로 금속너트가 인서트될 개구부가, 중앙내경을 관통하여 바닥의 개구부가 각기 형성되고; 합성수지제 몸체의 상하 개구부에 각기 나사부의 금속너트와 상하못의 금속결합부가 성형 인서트되어 일체화된 인서트몸체(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KR20-2004-0034845U 2004-12-08 2004-12-08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KR200376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45U KR200376965Y1 (ko) 2004-12-08 2004-12-08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45U KR200376965Y1 (ko) 2004-12-08 2004-12-08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65Y1 true KR200376965Y1 (ko) 2005-03-10

Family

ID=4367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845U KR200376965Y1 (ko) 2004-12-08 2004-12-08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4910A (en) Mold for forming pilot anchor holes in concrete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200376965Y1 (ko) 건축물천정용 콘크리트인서트
KR20200025633A (ko) 건축물 거푸집 조립구조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KR10102064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KR101841361B1 (ko) 거푸집 고정구
KR100679057B1 (ko)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KR20090096964A (ko)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KR100536430B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방법 및 그 구조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KR102469147B1 (ko) 선설치 앵커볼트 제공을 위한 슬래브 인서트 고정구
JPH0610500A (ja) 構築用パネル体
KR20090099383A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TWI770515B (zh) 建築預埋構件、建築物結構及固定和拆卸建築預埋構件之施工方法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KR200342269Y1 (ko) 거푸집 체결구조
KR200337016Y1 (ko) 갱폼측 폼타이
KR200421804Y1 (ko) 건물의 배관 고정용 인서트
JP3119083U (ja) ピーコン
KR100676490B1 (ko) 천장 마감패널 설치용 너트홀더 및 체결너트
KR100420941B1 (ko) 매설사다리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