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449A - 튜브 클램프 장치 및 튜브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클램프 장치 및 튜브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449A
KR20060026449A KR1020057025204A KR20057025204A KR20060026449A KR 20060026449 A KR20060026449 A KR 20060026449A KR 1020057025204 A KR1020057025204 A KR 1020057025204A KR 20057025204 A KR20057025204 A KR 20057025204A KR 20060026449 A KR20060026449 A KR 2006002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lamp
hook
wafer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911B1 (ko
Inventor
신지 이시다
사또시 야마누시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4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for connecting tubes having sealed ends
    • A61M39/14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for connecting tubes having sealed ends by cutting and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29C65/200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elding mirror
    • B29C65/2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elding mirror being several single mirrors, e.g. not mounted on the sam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29C65/204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using a welding mirror which also cuts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steril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29C65/205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 B29C65/206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by sliding
    • B29C65/2069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by sliding with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ne comprising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207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characterised by special ways of bringing the welding mirrors into position by sliding with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lane comprising the parts to be joined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comprising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30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01Joining in special atmospheres
    • B29C66/0012Joining in specia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nvironment
    • B29C66/0018Joining in specia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nvironment being ste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7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73Joining soiled or oxidis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6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67Quick change joining tools o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8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57Medical tube wel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 B29C66/912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joi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29C66/914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joi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29C66/914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being kept constant over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6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i.e. the heat flux
    • B29C66/9165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i.e. the heat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heat generated by Joule heating or indu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 B29C66/9121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with special temperature measurement means or methods
    • B29C66/9121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with special temperature measurement means or methods involving measurement means being part of the welding jaws, e.g. integrated in the welding jaws
    • B29C66/91213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with special temperature measurement means or methods involving measurement means being part of the welding jaws, e.g. integrated in the welding jaws and measur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a resistive element belonging to said welding jaws, said element being, e.g. a thermis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6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controlling of the joining process
    • B29C66/96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controlling of the joining process involving a feedback loop mechanism, e.g. comparison with a desir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5Hoses, i.e. flexible
    • B29L2023/007Medical tubes other than cath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높고 조작자가 로크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킨 튜브 클램프 장치 및 튜브 접합 장치를 제공한다. 튜브 접합 장치는 2개의 가요성 튜브(8, 9)를 보유 지지 및 압박하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갖고 있다. 튜브가 제2 클램프의 아래턱부에 적재되고, 튜브에 대해 화살표 F방향으로 가해진 압박력에 의해 튜브는 압박되어 편평 상태가 된다. 제2 클램프의 위턱부에는 복수로 분할된 후크 부위를 갖는 후크부(310)가 부착되어 있고, 후크 부위(B)(312)는 일측에 인접하는 다른 후크 부위보다 돌출된 돌출부(314)를 갖는 POM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위턱부에 압박력이 가해지면 인접한 다른 후크 부위보다 돌출된 후크 부위(B)(312)가 탄성 변형되어 POM제 롤러(B)(317)에 결합하여 후크부(310)의 역복귀를 방지한다.
튜브 램프, 튜브 접합 장치, 가요성 튜브, 후크부, POM제 롤러

Description

튜브 클램프 장치 및 튜브 접합 장치{TUBE CLAMP DEVICE AND TUB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튜브 클램프 장치 및 튜브 접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요성 튜브를 편평 상태로 압박하여 보유 지지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 및 가요성 튜브끼리를 접합하는 튜브 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혈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혈 백 및 혈액 성분 백의 튜브 접합이나 지속적 복막 투석(CAPD)에 있어서의 투석액 백과 폐액 백의 교환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튜브의 접합을 무균적으로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고 소61-30582호 공보에는 접속해야 할 2개의 튜브를 평행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홀더와, 양 홀더 사이에 배치되어 튜브를 가로지르도록 이동할 수 있는 절단판(판 형상의 가열 소자, 웨이퍼)을 구비한 튜브 접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튜브 접합 장치에서는 양 홀더에 형성된 홈 내에 2개의 튜브를 평행하고 또한 반대 방향으로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절단판을 가열, 이동시켜 튜브를 용단(溶斷)하고, 계속해서, 한쪽 홀더를 튜브의 직경 방향(늘어 세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접합하는 튜브의 절단 부분끼리를 일치시키는 동시에, 절단판을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발취하여 양 튜브를 융착한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6-91010호 공보에는 상기 튜브 접합 장치와 같은 튜브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튜브 접합의 확실성을 높이기 위해, 2개의 튜브를 평행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는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갖고, 제1 클램프를 제2 클램프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튜브 접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튜브 접합 장치에서는 후퇴 및 전진의 전후의 움직임만을 행하는 제1 클램프 이동 기구와, 제2 클램프를 제1 클램프에 대해 근접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제2 클램프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4-308731호 공보에는 절단판을 이용하여 튜브끼리를 가열, 용융하여 무균적으로 접합하는 기본적 원리는 마찬가지이지만, 튜브의 절단 전에 그 내부에 액체가 남아 있는 경우에 튜브 내액을 밀봉한 상태에서 누설되지 않고 튜브를 접합하는 튜브 접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튜브 접합 장치에서는 한 쌍의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튜브 홀더에 의해 2개의 튜브(제1 튜브, 제2 튜브)를 동일 선회 궤적 상에 각각 보유 지지하여 가열된 절단판에 의해 양 튜브를 홀더 사이에서 절단한 후, 제1 튜브의 일측의 절단 단부면을 제2 튜브의 타측의 절단 단부면에 정렬시키기 위해 튜브 홀더를 회전시키고, 절단판을 퇴피시켜 양 튜브를 융착한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154920호 공보에는 튜브 내액을 밀봉한 상태에서 누설되지 않고 튜브를 접합할 수 있는 등의 목적 외에, 튜브를 접속할 때의 튜브의 이동량이 적고, 장치 및 장치의 구성 부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튜브 접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튜브 접합 장치에서는 U자 형상의 홈을 갖는 2개의 튜브 보유 지지구(제1, 제2 튜브 보유 지지구) 에 접속해야 할 2개의 튜브끼리를 접촉한(포갬) 상태에서 수용 보유 지지하여 가열된 절단판에 의해 양 튜브를 절단한 후, 제1 튜브 보유 지지구에 대해 제2 튜브 보유 지지구를 상대적으로 180°회전시켜 양 튜브의 절단 단부면끼리가 서로 교환 및 정렬하도록 작동시키고, 절단판을 퇴피시켜 양 튜브를 융착한다.
이들 종래의 튜브 접합 장치에서는 튜브의 접합 동작 중에 튜브를 압박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는 클램프의 커버나 덮개 등이 부주의하게 개방됨으로써 튜브의 고정이나 클램프에 의한 튜브로의 압박 동작이 해제되어 튜브의 절단 또는 접합 처리가 불완전해진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154920호 공보에 개시된 튜브 접합 장치는 튜브 보유 지지구의 덮개의 선단부에 힌지에 의해 덮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판부재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갈고리 부재와, 덮개를 폐쇄한 상태에서 판부재를 회전시켜 갈고리 부재를, 튜브를 적재하는 홀더의 선단부에 형성된 피계지부에 계지시킴으로써 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로크(보유 지지)하는 로크 기구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로크 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갈고리 부재 등의 후크 부재 및 후크 부재를 계지하는 계지 부재를 강성이 큰 금속 부재로 형성하거나, 후크 부재의 선단부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양자를 병용하여 로크된 후크 부재가 부주의하게 역복귀되어 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덮개에 대한 보유 지지력을 크게 하는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튜브 접합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보유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어도 조작자가 후크 부재에 의해 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로크할 때에 큰 압박력(하중)이 필요해져 조작성 및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있었다. 또한, 후크 부재 및 계지 부재가 강성이 큰 금속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결합 동작 시에 마모(부품의 깎임)가 생겨 사용을 거듭함에 따라 양자간의 로크력(튜브에 대한 압박 상태를 유지하는 힘)이 약해지고, 나아가서는 튜브의 적절한 편평 상태에서의 압박 유지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안에 비추어 내구성이 높고 조작자가 로크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킨 튜브 클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튜브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가요성 튜브를 편평 상태로 압박하여 보유 지지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이며, 상기 튜브가 적재되는 적재 클램프부와, 상기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를 압박하는 방향 및 상기 튜브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클램프부와, 상기 가동 클램프부에 부착되어 상기 적재 클램프부와 결합하고 상기 가동 클램프부의 상기 튜브에 대한 압박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복수로 분할된 후크 부위를 갖고, 상기 후크 부위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에 다른 후크 부위보다 돌출된 돌출 부분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적재 클램프부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에서는 가요성 튜브가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되고, 튜브에 대해 압박하는 방향으로 가동 클램프부에 가해진 압박력에 의해 튜브는 압박되어 편평 상태가 된다. 가동 클램프부에는 복수로 분할된 후크 부위를 갖는 후크부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후크 부위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에 다른 후크 부위보다 돌출된 돌출 부분을 갖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클램프부에 압박력이 가해지면 다른 후크 부위보다 돌출된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다른 후크 부위와 공동하여 적재 클램프부에 결합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의 돌출 부분이 가동 클램프부와의 결합을 유지하여 후크부의 역복귀를 방지하여 튜브에 대한 압박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가동 클램프부에 튜브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력과는 역방향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적재 클램프부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튜브에 대한 압박 상태가 해제된다. 제1 형태에 따르면,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돌출 부분이 가동 클램프부와 결합하므로, 적재 클램프부와 가동 클램프부의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가동 클램프부에 가하는 압박력이 종래의 튜브 클램프 장치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조작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를 외적 압력에 의해 자기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휘는 요곡성(撓曲)을 가진 수지로 하면, 적재 클램프부와 결합하는 돌출 부분이 수지에 의해 탄성 부재가 요곡되므로, 종래와 같이 강성이 큰 금속 부품끼리를 재질로 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의 깎임이 방지되어 조작자가 가동 클램프부에 가하는 압박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적재 클램프부 및 후크부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나아가서는 튜브 클램프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크부를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복수로 분할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이 상기 후크부에 고정되면 탄성 부재에 스프링 기능이 부여되어 탄성 부재의 요곡성이 조장된다. 따라서, 조작성 및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 때, 탄성 부재는 병설된 후크 부위의 중앙에 배치되는 동시에, 다른 후크 부위의 재질을 금속으로 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는 적재 클램프부에 탄성 부재의 돌출 부분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갖고, 이 결합 부재의 재질을 수지로 함으로써 결합하는 돌출 부분 및 결합 부재의 양자가 수지가 되어 부품의 깎임이 적어지므로, 내구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 부재는 회전 가능한 롤러이고, 탄성 부재의 돌출 부분이 롤러의 주위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롤러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결합 유지 위치에 위치 부여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탄성 부재는 외적 압력에 대해 탄성 변형(휨)될 때의 반력이, 가동 클램프부가 튜브를 편평 상태로 압박할 때의 후크부에 의한 후크 부위의 압박력보다 작고, 또한 결합 부재의 돌출 부분에 대한 부하력보다 크거나 또는 동등한 부하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조작성 및 내구성상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가요성 튜브끼리를 접합하는 튜브 접합 장치이며, 상기 튜브가 적재되는 적재 클램프부와, 상기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가 편평 상태가 되도록 압박하는 방향 및 상기 튜브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클램프부와, 상기 가동 클램프부에 부착되어 상기 적재 클램프부와 결합하여 상기 가동 클램프부의 상기 튜브에 대한 압박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를 갖는 보유 지지 유닛과, 상기 보유 지지 유닛에 의해 편평 상태로 보유 지지된 튜브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과,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절단된 튜브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켜 접합되는 단부끼리가 밀착되도록 상기 보유 지지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 유닛은 상기 후크부에 복수로 분할된 후크 부위를 갖고, 상기 후크 부위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에 다른 후크 부위보다 돌출된 돌출 부분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적재 클램프부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 유닛이 제1 형태의 튜브 클램프 장치에 상당한다. 즉,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돌출 부분이 적재 클램프부와 결합함으로써 보유 지지 유닛에 의해 튜브가 편평 상태로 보유 지지되고, 절단 유닛에 의해 보유 지지 유닛으로 보유 지지된 튜브가 절단되고, 이동 유닛에 의해 절단 유닛으로 절단된 튜브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켜 접합되는 단부끼리가 밀착되도록 보유 지지 유닛이 이동되어 튜브끼리가 접합된다. 제2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 클램프부에 가하는 압박력이 작아지므로, 조작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동작 시에 부품의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빈번한 사용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 유닛이 튜브의 적절한 편평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절단 유닛, 이동 유닛에 의한 튜브의 절단, 접합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있어서, 보유 지지 유닛은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1 보유 지지부와 제2 보유 지지부를 갖고, 절단 유닛은 제1 보유 지지부와 제2 보유 지지부 사이에서 튜브를 절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동 유닛은 제1 보유 지지부 및 제2 보유 지지부 중 적어도 한쪽을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의 길이 방향 내지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때, 탄성 부재는 외적 압력에 의해 자기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휘는 요곡성을 가진 수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 부재는 병설된 후크 부위의 중앙에 배치되는 동시에, 다른 후크 부위의 재질이 금속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가동 클램프부의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돌출 부분이 적재 클램프부와 결합하므로, 적재 클램프부와 가동 클램프부의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가동 클램프부에 가하는 압박력이 종래의 튜브 클램프 장치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조작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의 효과 외에 결합 동작 시에 부품의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빈번한 사용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 유닛이 튜브의 적절한 편평 상태를 유지하므로, 절단 유닛, 이동 유닛에 의한 튜브의 절단, 접합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적용 가능한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튜브 접합 장치의 클램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튜브 접합 장치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4는 웨이퍼 홀더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5는 구동 전달 기구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6의 (A) 내지 도6의 (C)는 구동축에 고정 부착된 회전반 및 투과형 센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7은 튜브 접합 장치의 주요부의 제1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의 덮개를 폐쇄하기 시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8의 (A) 및 도8의 (B)는 튜브 접합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8의 (A)는 제2 동작, 도8의 (B)는 제3 동작을 도시한다.
도9의 (A) 내지 도9의 (C)는 튜브 접합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9의 (A)는 제4 동작, 도9의 (B)는 제5 동작, 도9의 (C)는 제6 동작을 도시한다.
도10의 (A) 내지 도10의 (C)는 튜브 압박 부재의 퇴피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10의 (A)는 튜브 압박 부재의 선단부 부분이 튜브를 편평 상태로 압박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10의 (B)는 튜브 압박 부재의 선단부 부분이 튜브를 편평 상태로 압박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0의 (C)는 웨이퍼가 편평 상태로 보유 지지된 튜브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1은 웨이퍼를 보유 지지한 유지 부재를 하강시키고 웨이퍼를 절단 위치로부터 퇴피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2는 2개의 튜브가 적재된 제2 클램프의 개방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13의 (A) 내지 도13의 (C)는 제2 클램프의 로크 기구의 동작을 후크 부위(B) 및 롤러(B)를 측단면으로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13의 (A)는 클램프 제1 동작, 도13의 (B)는 클램프 제2 동작, 도13의 (C)는 로크 기구의 로크가 완료된 상태 를 도시한다.
도14의 (A) 내지 도14의 (C)는 제2 클램프의 로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14의 (A)는 클램프 제1 동작, 도14의 (B)는 클램프 제2 동작, 도14의 (C)는 로크 기구의 로크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5의 (A) 내지 도15의 (D)는 제2 클램프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 근방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15의 (A)는 초기 상태, 도15의 (B)는 접합 동작 완료 상태, 도15의 (C)는 절결부가 베어링에 대향한 상태, 도15의 (D)는 제2 클램프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16의 (A) 내지 도16의 (C)는 제1 클램프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 및 웨이퍼 홀더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의 측면도이고, 도16의 (A)는 초기 상태, 도16의 (B)는 절단 동작 상태, 도16의 (C)는 절단 종료 내지 접합 개시 상태를 도시한다.
도17은 튜브 접합 처리 공정에서의 튜브 접합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혈액이 봉입된 2개의 튜브를 절단, 접합하는 튜브 접합 장치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구성)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는 2개의 가요성 튜브(8, 9)를 대략 평행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보유 지지 유닛의 제1 보유 지지부)로서의 제1 클램프(6) 및 튜브 클램프 장치(보유 지지 유 닛의 제2 보유 지지부)로서의 제2 클램프(7)와, 제1 클램프(6)와 제2 클램프(7) 사이에 제1 클램프(6)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튜브(8, 9)를 편평 상태로 압박하는 튜브 압입 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튜브 접합 장치(1)는 도1에 도시하는 돌기 형상 부재가 가려지도록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 있다(도3 참조).
제1 클램프(6)는, 아래턱으로 되어 튜브(8, 9)가 적재되는 적재 클램프부로서의 제1 아래턱부(70)와, 위턱으로 되어 제1 아래턱부(70)에 적재된 튜브(8, 9)에 대해 압박하는 방향(도2의 화살표 F의 방향) 및 튜브(8, 9)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2의 화살표 F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튜브(8, 9)를 편평 상태로 압박하는 가동 클램프부로서의 제1 위턱부(50)를 갖고 있다. 한편, 제2 클램프(7)도 제1 클램프(6)와 마찬가지로 아래턱이 되어 튜브(8, 9)가 적재되는 적재 클램프부로서의 제2 아래턱부(80)와, 위턱이 되어 제2 아래턱부(80)에 적재된 튜브(8, 9)에 대해 압박하는 방향 및 튜브(8, 9)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튜브(8, 9)를 편평 상태로 압박하는 가동 클램프부로서의 제2 위턱부(60)를 갖고 있다.
튜브(8, 9)는, 예를 들어 연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연질 열가소성 수지를 재질로 하여 가요성(유연성)을 갖고, 튜브 내에는 혈액이 봉입되어 있다. 이들 튜브(8, 9)는 혈액 봉입 전의 상태에서 내경, 외경 및 길이에 대해 대략 동일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클램프(6)는 제1 아래턱부(70)의 일부로서 튜브(8, 9)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21)와, 제1 위턱부(50)의 일부로서 힌지(25)에 의해 홀더(21)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개폐 가능한 덮개(24)를 갖고 있다.
홀더(21)에는 2개의 튜브(8, 9)가 각각 장전되는 서로 평행하고 횡단면 형상이 U자 형상인 한 쌍의 홈(22, 23)이 형성되어 있다. 홈(22, 23)의 폭은 튜브(8, 9)의 자연 상태에서의 외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퍼레이터(조작자)가 튜브(8, 9)를 홈(22, 23)의 안측(도2에 도시하는 하부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홈(22, 23) 내에 장전한다. 덮개(24)는 폐쇄된 상태일 때에 홈(22, 23)을 덮고, 홈(22, 23) 내에 장전된 튜브(8, 9)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클램프(6)는 덮개(24)가 폐쇄된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갖고 있다. 로크 기구는 제1 위턱부(50)측에 설치되어 제1 위턱부(50)의 튜브(8, 9)에 대한 압박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300)와, 제1 아래턱부(70)측에 설치되어 후크부(300)와 계지 래치 기능을 갖는 롤러(20)로 구성되어 있다.
후크부(300)는 덮개(24)의 선단부에 힌지(27)를 거쳐서 덮개(2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판부재(28)와, 판부재(28)의 내면에 돌출 설치된 갈고리 부재(29)를 갖고 있다. 또한, 판부재(28)에는 단부면으로부터 제2 클램프(7)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19)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갈고리 부재(29)의 선단부 부분, 즉 롤러(20)와 결합하는 측은 제1 위턱부(50)가 제1 아래턱부(70)에 적재된 튜브를 압박하는 방향, 환언하면 제1 아래턱부(70)에 적재된 튜브(8, 9)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갈고리 부재(29)는 후크 부위(A)(301), 후크 부위(B)(302) 및 후크 부위(C)(303)가 병설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롤러(20)와의 결합 전의 상태 에서는 이들 후크 부위가 형성하는 내측면(도2에 도시하는 종이면 전방의 면)은 대강 R형상의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또한, 후크 부위(A)(301) 및 후크 부위(C)(303)는 갈고리 부재(29)의 기초부와 일체인 단일 부재(스테인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후크 부위(A)(301) 및 후크 부위(C)(303)에 협지되어 중앙에 위치하는 후크 부위(B)(302)에는 후크 부위(B)(302)의 일측(선단부측)이며 후크 부위(B)(302)의 내측면의 반대면(이면)측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롤러(20)를 구성하는 결합 부재로서의 롤러(B)(307)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로크 기구로 로크된 판부재(28)의 역복귀(도2의 화살표 F와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를 방지하는 돌출 부분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돌기부(304)[돌기부(314)와 동일 형상, 도12 내지 도1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크 부위(B)(302)는 탄성 변형에 의한 판스프링 기능을 발휘하도록 제1 아래턱부(70)에 적재된 튜브(8, 9)와 교차하는 방향에 길게, 그 타측 단부가 내측면측으로부터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후크 부위(B)(302)의 재질에 POM(폴리옥시메틸렌 = 폴리아세탈 수지)이 이용되고 있고, 외적 압력에 의해 자기 형태를 변화시키도록(탄성 변형하도록) 휘는 요곡성 내지 탄성력을 가진 탄성 부재로서의 수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갈고리 부재(29)는 스테인레스제의 기초부, 후크 부위(A)(301), 후크 부위(C)(303) 및 요곡성을 갖고 타측 단부가 나사 고정된 수지제의 후크 부위(B)(30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롤러(20)는 샤프트가 삽통되어 직경이 대략 동등한 회전 가능한 복수 의 롤러(A)(306), 롤러(B)(307) 및 롤러(C)(308)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롤러(B)(307)는 후크 부위(B)(302)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304) 및 이 돌기부(304)에 연접하는 미끄럼 접촉면에 결합하는 래치 기능을 갖고 있다(도13, 도14도 참조). 롤러(B)(307)의 폭은 후크 부위(B)(302)와 대략 같은 폭으로 되어 있다. 롤러(B)(307)의 재질에는 후크 부위(B)(302)와 마찬가지로 POM이 이용되고 있다. 롤러(B)(307)에 인접하는 롤러(A)(306) 및 롤러(C)(308)는 각각 갈고리 부재(29)의 후크 부위(A)(301) 및 후크 부위(C)(303)에 대응하여 미끄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롤러(A)(306) 및 롤러(C)(308)의 재질에 후크 부위(A)(301) 및 후크 부위(C)(303)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동작을 계속적으로 확보[튜브(8, 9)로의 압박력을 적절하게 보유 지지]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덮개(24)가 폐쇄되어 튜브(8, 9)를 편평 상태로 압박할 때의 후크 부위(B)(302)의 외적 압력에 대해 휠 때의 반력이, 갈고리 부재(29)[후크 부위(A)(301), 후크 부위(B)(302), 후크 부위(C)(303)]가 롤러(20)[롤러(A)(306), 롤러(B)(307), 롤러(C)(308)]에 미치는 압박력(조작자에 의한 압박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후크 부위(B)(302)가 휠 때의 반력이 롤러(B)(307)의 돌기부(304)에 대한 부하력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후크 부위(B)(302)는 POM 제수지 중, 하기 식 (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요곡성이 설정되어 있다.
[수 1]
로크 시의 압박력 > 휨의 반력 ≥ 롤러(B)의 돌기부에 대한 부하력
따라서, 덮개(24)를 폐쇄한 상태에서 판부재(28)를 도2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갈고리 부재(29)를 롤러(20)에 계지시킴으로써 덮개(24)가 개방되지 않도록 로크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튜브 접합 중에 덮개(24)가 부주의하게 개방되어 튜브(8, 9)의 고정이나 후술하는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에 의한 압박이 해제되어 절단이나 접합이 곤란해지는 일이 방지된다.
제1 클램프(6)의 제2 클램프(7)측에는 튜브 압입 부재(10)가 접촉 상태로 연속 설치되어 있다. 제1 클램프(6)는 홀더(21)의 측면에 고정된 톱날 형상의 압박 폐쇄 부재(61)와, 덮개(24)의 측면에 고정되어 압박 폐쇄 부재(61)와 맞물리는 톱날 형상의 압박 폐쇄 부재(62)를 갖고 있다. 압박 폐쇄 부재(61)는 홈(22, 23)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경사면(63, 64)을 갖고, 압박 폐쇄 부재(62)에는 경사면(63, 64)에 대해 각각 평행하고, 또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경사면(65, 66)이 형성되어 있다(도11 참조). 이로 인해, 홈(22, 23)에 튜브(8, 9)를 장전한 상태에서 덮개(24)를 폐쇄하면 압박 폐쇄 부재(61, 62)가 맞물려 경사면(63, 65)에 의해 튜브(8)가 압박 폐쇄되고, 경사면(64, 66)에 의해 튜브(9)가 압박 폐쇄된다. 이와 같은 제1 클램프(6)의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튜브(8, 9)의 절삭 부분끼리를 접합할 때에 위치 어긋남이나 왜곡이 억제되어 용이하고 또한 적절한 접속이 확보된다.
한편, 제2 클램프(7)는 제1 클램프(6)의 측방에 튜브 압입 부재(10)를 거쳐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클램프(7)도 제1 클램프(6)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홈(32, 33)이 형성되어 튜브(8, 9)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31)와, 홀더(31)에 대해 회전하여 개폐하는 덮개(34)를 갖고 있고, 또한 로크 기구를 갖고 있다. 이들 구성은 제1 클램프(6)에 준하는 것이다. 또한, 판부재(38)의 제1 클램프(6)측 단부면에는 샤프트(19)가 삽입 가능한 긴 구멍(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40)은 후술하는 튜브 접합 동작에 있어서의 제1 클램프(6)의 이동에 수반하는 샤프트(19)의 이동을 허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2 클램프(7)의 로크 기구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면, 제1 클램프(6)의 로크 기구와 마찬가지로 제2 위턱부(60)측에 설치되어 제2 위턱부(60)의 튜브(8, 9)에 대한 압박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310)와, 제2 아래턱부(80)측에 설치되어 후크부(310)를 계지하여 래치 기능을 갖는 롤러(30)로 구성되어 있다.
후크부(310)는 덮개(34)의 선단부에 힌지(37)를 거쳐서 덮개(3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판부재(38)와, 판부재(38)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갈고리 부재(39)를 갖고 있다. 갈고리 부재(39)의 선단부 부분은 제2 아래턱부(80)에 적재된 튜브(8, 9)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갈고리 부재(39)는 후크 부위(A)(311), 후크 부위(B)(312) 및 후크 부위(C)(313)가 병설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롤러(30)와의 결합 전의 상태에서는 이들 후크 부위가 형성하는 내측면이 대략 R형상의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또한, 후크 부위(A)(311) 및 후크 부위(C)(313)는 갈고리 부재(39)의 기초부와 일체의 스테인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후크 부위(B)(312)에는 후크 부위(B)(312)의 일측이며 후크 부위(B)(312)의 내측면의 반대면측에 롤러(30)를 구성하는 결합 부재로서의 롤러(B)(317)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로크 기구로 로크된 판부재(38)의 역복귀를 방 지하는 돌출 부분으로서의 돌기부(314)(도12 내지 도1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크 부위(B)(312)는 탄성 변형에 의한 판스프링 기능을 발휘하도록 제2 아래턱부(80)에 적재된 튜브(8, 9)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그 타측 단부는 내측면측으로부터 나사(315)로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후크 부위(B)(312)의 재질에 POM이 이용되고 있고, 외적 압력에 의해 자기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휘는 요곡성 내지 탄성력을 가진 탄성 부재로서의 수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롤러(30)는 샤프트가 삽통되어 직경이 대략 동등한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A)(316), 롤러(B)(317) 및 롤러(C)(318)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롤러(B)(317)는 후크 부위(B)(312)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314) 및 이 돌기부(314)에 연접하는 미끄럼 접촉면에 결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도13, 도14 참조). 롤러(B)(317)의 폭은 후크 부위(B)(312)와 대략 동일 폭으로 되어 있다. 롤러(C)(313)에 인접하는 롤러(A)(316) 및 롤러(C)(318)는 각각 갈고리 부재(39)의 후크 부위(A)(311) 및 후크 부위(C)(313)에 대응하여 미끄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롤러(A)(316) 및 롤러(C)(318)의 재질에 후크 부위(A)(311) 및 후크 부위(C)(313)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동작을 계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덮개(34)가 폐쇄되어 튜브(8, 9)를 편평 상태로 압박할 때의 후크 부위(B)(312)의 외적 압력에 대해 휠 때의 반력이, 갈고리 부재(39)가 롤러(30)에 미치는 압박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후크 부위(B)(312)가 휠 때의 반력이 롤러(B)(317)의 돌기부(314)에 대한 부하력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 서, 후크 부위(B)(312)도 상술한 식 (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요곡성이 설정되어 있다.
제2 클램프(7)는 홀더(31)의 홀더(21)측의 측면에 고정된 톱날 형상의 압박 폐쇄 부재(71)(도시되지 않음)와, 덮개(34)의 덮개(24)측의 측면에 고정되어 압박 폐쇄 부재(71)와 맞물리는 톱날 형상의 압박 폐쇄 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압박 폐쇄 부재(71)는 홈(32, 33)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경사면(73, 74)을 갖고(도11 참조), 압박 폐쇄 부재(72)에는 경사면(73, 74)에 대해 각각 평행하고, 또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경사면(75, 7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는, 통상은 홈(22, 32)끼리 및 홈(23, 33)끼리가 일치하도록(일직선 상에 늘어섬) 배치되어 있다.
튜브 압입 부재(10)는 제1 클램프(6)에 일체적이고 또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튜브 압입 부재(10)는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와 마찬가지로 톱니 형상으로 경사면(15, 16)이 형성된 선단부 부분(12)[압박 폐쇄 부재(62, 72)에 상당]을 갖지만, 튜브(8, 9)를 협지하고 대치하여 맞물리는 압박 폐쇄 부재(61, 71)를 갖지 않는 점에서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는 상위하다. 또한, 튜브 압입 부재(10)의 선단부 부분(12)은 제1 클램프(6)의 압박 폐쇄 부재(62) 및 제2 클램프(7)의 압박 폐쇄 부재(72)에 대응하여 동일 형상의 톱니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제1 클램프(6)의 압박 폐쇄 부재(62)보다 약간 돌출된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튜브 압입 부재(10)에는 단면 L자 형상의 지지 부재(11)가 나사 고정되어 있 다. 지지 부재(11)는 하방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부재 돌출부(14)를 갖고 있다. 또한, 지지 부재(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역ㄷ자 형상의 슬라이더가 부설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가 도시를 생략한 레일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한 레일은 레일 지지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레일 지지 부재는 덮개(24)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튜브 압입 부재(10)는 제1 클램프(6)와 일체화되는 동시에, 제1 클램프(6)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튜브 압입 부재(10)의 선단부 부분(12)은 제1 클램프(6)의 압박 폐쇄 부재(62)보다 돌출되어 있으므로, 덮개(24)가 폐쇄되었을 때에 제1 클램프(6)에 앞서서 튜브(8, 9)를 압입하게 된다.
또한, 튜브 접합 장치(1)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절단판)를 조출하는 웨이퍼 조출 기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튜브 접합 장치(1)의 케이싱에는 고정 부재(94)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고정 부재(94)에는 정역 회전 가능한 펄스 모터(110)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펄스 모터(110)의 출력축(111)에는 기어(112)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기어(114)와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113)가 가설되어 있다. 기어(114)는 튜브(8, 9)를 절단 가능한 웨이퍼(41)를 1매씩 조출하는 셔틀이라 불리우는 웨이퍼 조출 부재(115)를 그 축 상에 배치한 볼 나사(116)의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내부에는 볼 나사(116)에 결합하는 도시를 생략한 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펄스 모터(110)를 구동원으로 하는 기어(114)의 회전에 수반하여 볼 나사(116)의 회전에 의해 웨이퍼 조출 부재(115)는 볼 나사(116)를 따라서 이동한다. 웨이퍼 조출 부재(115) 의 일측은 로드 형상의 샤프트(117)에 지지되어 있고,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웨이퍼의 조출 시의 자세(동작)를 안정시키고 있다.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단부에는 웨이퍼(41)를 복수매(본 형태에 있어서는 70매) 수장하는 웨이퍼 카세트(120)로부터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이동에 수반하여 웨이퍼 카세트(120) 내의 웨이퍼(41)를 1매씩 조출하는 압입 부재(118)가 부설되어 있다.
웨이퍼 카세트(12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 스프링이 웨이퍼(41)를 압박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압입 부재(118)에 의해 웨이퍼(41)가 조출되면 인접하는 웨이퍼가 웨이퍼 조출 부재(115)측으로 차례로 대향함으로써 압입 부재(118)에 의한 웨이퍼(41)의 연속적인 조출 동작이 허용되고 있다. 또한, 웨이퍼 조출 부재(115)는 펄스 모터(110)의 역전에 의해 웨이퍼(41)의 조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웨이퍼(41)는 자기 발열형의 가열 절단판이고, 예를 들어 동판 등의 금속판을 폴더식으로 하여 그 내면에 절연층을 거쳐서 소망 패턴의 발열용 저항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항체의 양단부의 단자(44, 45)(도2 참조)가 각각 금속판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노출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펄스 모터(110)의 출력축(111)의 단부에는 기어(112)에 인접하여 복수의 슬릿을 갖고, 펄스 모터(11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회전반(回轉盤)(13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회전반(130)은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반(130)의 근방에는 기어(114)의 반대측에 회전반(130)을 걸치도록 회전반(13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투과형 센서(131)가 고정 부재(94)에 나 사 고정되어 있다.
볼 나사(116)를 거쳐서 웨이퍼 카세트(120)의 반대측에는 웨이퍼(41)의 조출 개시 위치에 위치 부여된 웨이퍼 조출 부재(115)를 검출하는 투과형 센서(132)와, 웨이퍼(41)의 조출 종료 위치에 위치 부여된 웨이퍼 조출 부재(115)를 검출하는 투과형 센서(133)가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고, 웨이퍼 조출 부재(115)에는 압입 부재(118)의 반대측에 대략 L자 형상의 피검 부재(119)가 부설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회전반(130)과 투과형 센서(131)에 의한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이동량의 검출은 투과형 센서(132, 133)의 양자 위치 사이에서 행해지는 것이다.
웨이퍼 조출 부재(115)에 의해 조출된 웨이퍼(41)는 웨이퍼 카세트(120)로부터 그 웨이퍼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웨이퍼(41)를 보유 지지하여 절단 유닛의 일부를 구성하는 웨이퍼 홀더(140) 내에 위치 부여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웨이퍼 홀더(140) 내에 2매의 웨이퍼(41)의 단부면끼리가 접촉하도록 보유 지지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고, 웨이퍼 카세트(120)로부터 먼저 조출된 웨이퍼(41a)가 새롭게 조출된 웨이퍼(41b)에 웨이퍼 홀더(140) 내의 반송로(105) 상에서 압박 이동됨으로써 웨이퍼(41)의 공급이 행해진다. 환언하면, 웨이퍼(41b)가 웨이퍼(41a)를 전방으로 압진(壓進)시켜 웨이퍼(41a)가 웨이퍼 홀더(140) 내에서 튜브(8, 9)의 절단 동작을 행하는 위치에 위치 부여된다.
웨이퍼 홀더(140)의 선방측에 위치 부여된 웨이퍼(41a)의 단자(44, 45)에는 도시를 생략한 하네스를 거쳐서 돌기 형상의 전극부(145, 146)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로부터의 통전(전력 공급)이 이루어진다. 전극부(145, 146)는 웨이퍼 홀 더(140)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웨이퍼 홀더(140)의 일측(도4 종이면 안측)의 벽면 단부에 대해 웨이퍼(41)를 거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웨이퍼 홀더(140)는 튜브(8, 9)를 절단할 때에 상하 이동(요동)하므로, 웨이퍼 홀더(140)에 일체로 부착된 전극부(145, 146)도 웨이퍼(41)에 대해 가열을 위한 급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전극부(145, 146)에 의한 급전에 의해 웨이퍼(41)의 내부의 저항체가 발열하여 웨이퍼(41)는 튜브(8, 9)를 용융, 절단 가능한 온도(예를 들어 260 내지 320 ℃ 정도)로 가열된다. 또한, 웨이퍼(41)는 1회의 튜브의 접합(접속)마다 사용하고 버리는 것(1회용)이 바람직하고, 웨이퍼 조출 기구(100)는 웨이퍼 홀더(140)에 장전되는 웨이퍼(41)를, 튜브(8, 9)를 접합할 때마다 교환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웨이퍼 홀더(140)는 후술하는 회전 지지판(184)에 부착된 히터(144)에 의해 가열된다(도3 참조). 히터(144)로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만, 튜브 접합 장치(1)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동안, 웨이퍼 홀더(140)는 항상 가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웨이퍼 홀더(140)에는 웨이퍼 홀더(140)의 온도를 검출하는 서미스터 등의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센서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웨이퍼 홀더(140)는 소정 온도(본 형태에 있어서는 70 ℃)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본 형태의 온도 제어에 대해 더 부언하면, 웨이퍼(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이 동판으로 덮여 있으므로, 그 재료(동) 특성으로부터 웨이퍼 홀더(140) 내에 삽입된 시점에서 웨이퍼 홀더(140)가 보유하는 온도의 영향을 받아 삽입 직후에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다. 후술하는 제어부(190)는 웨이퍼 홀더(140) 내에 웨이퍼 (41)가 삽입되었을 때를 기점으로 하여 전극부(145, 146)에 의해 통전되는 웨이퍼(41) 자체의 온도가 소정 시간 후에 소정 온도(예를 들어, 상술한 260 내지 320 ℃ 정도)에 도달하였다고 예측하여 웨이퍼(41)에 의한 튜브의 절단 동작[웨이퍼 홀더(140)의 상승 동작]으로 이행한다.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 접합 장치(1)는 제1 클램프(6), 제2 클램프(7)를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웨이퍼 홀더(140)를 이동(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전달 기구(200)를 구비하고 있다.
웨이퍼 홀더(140)의 측방 또한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하류측에는 튜브 접합 장치(1)의 케이싱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모터 고정 부재에 구동 전달 기구(200)의 구동원이 되는 정역 회전 가능한 펄스 모터(150)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펄스 모터(150)의 출력축(151)에는 기어(152)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기어(152)에는 기어(153)가 맞물려 있다. 기어(153)의 동축 상에는 기어(154)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 기어(154)에 기어(155)가 맞물려 있다. 기어(155)의 회전 중심에는 기어(155)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기어(155)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156)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축(156)의 축 상에는 제1 클램프(6)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157), 제2 클램프(7)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158) 및 웨이퍼 홀더(140)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159)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펄스 모터(150)로부터의 구동력은 구동축(156)으로 전달되어 캠(157, 158, 159)이 각각 회전 구동한다.
캠(157)의 내부에는 홈(1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61)의 모서리면에 결합하는 베어링(162)이 부착 부재(163)를 거쳐서 제1 클램프(6)를 고정 상태로 지지 하는 지지대(164)(도1도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캠(157)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162)이 캠(157) 내부의 홈(161)의 모서리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고, 제1 클램프(6)가 소정의 방향(도3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대(164)의 하방에는 지지대(164)[제1 클램프(6)]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165)가 지지대(164)의 바닥부에 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64)의 일단부에는 이 지지대(164)를 소정의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압축 스프링(166)이 걸쳐져 있다.
한편, 캠(158)의 표면에는 이 면에 결합하는 베어링(172)이 부착 부재(173)를 거쳐서 제2 클램프(7)를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174)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캠(158)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172)이 캠(158)의 표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고, 제2 클램프(7)가 소정의 방향(도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 베어링(172)은 캠(158)의 측면에 결합하는 동시에, 웨이퍼 홀더(140)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159)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77)의 표면에도 결합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베어링(172)은 캠(158)의 측면과 플랜지부(177)와의 사이에 위치 부여되어 양자에 결합 가능, 나아가서는 미끄럼 이동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고, 턱부(177)는 제2 클램프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158)의 기능의 일부에 포함되는 것이다. 캠(158)의 일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178)[도15의 (C), (D)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74)의 하방에는 지지대(174)[제2 클램프(7)]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175)가 지지대(174)의 바닥부에 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74)의 일단부에는 이 지지대(174)를 소정의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압축 스프링(176)이 걸쳐져 있다.
또한, 웨이퍼 홀더(140)의 바닥부에는 베어링(182)(도4도 참조)이 부착 부재(183)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고, 이 베어링(182)이 캠(159)의 회전에 수반하여 캠(159)의 표면 형상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웨이퍼 홀더(140)가 소정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웨이퍼 홀더(140)에 부착된 회전 지지판(184)의 돌기부(185)에 형성된 구멍부(186)에 관통하는 샤프트축(187)을 중심으로 하여 샤프트축(187)과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웨이퍼 홀더(140)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웨이퍼 홀더(140)는, 상부측에는 선단부에 금속제의 회전자(147)를 갖고, 경사져 설치된 돌기부(14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도4 참조), 회전자(147)는 지지 부재 돌출부(14)(도2 참조)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캠(159)의 표면 형상의 변화에 의해, 웨이퍼 홀더(140)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승(요동)할 때에 튜브 압입 부재(10)(도2 참조)는 밀어 올려지게 되고, 돌기부(148)는 튜브 압입 부재(10)를 퇴피 위치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구동축(156)에는 캠(157)과 기어(155) 사이에 절결부(198)가 형성된 회전반(197)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도6도 참조). 회전반(197)의 근방에는 회전반(197)을 걸치도록 투과형 센서(195, 196)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반(197)에 형성된 절결부(198)를 이용하여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의 위치 검출이 투과형 센서(195 및 196)로 행해진다. 즉, 회전반(197)은 구동축(156)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투과형 센서(195)로부터의 광선이 절결부(198)에 의해 투과된 상태[도6의 (A) 참조]일 때에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의 초기 위치로 되어 있다. 즉, 투과형 센서(195)는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의 초기 위치 검출 센서로서 사용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 홀더(140)의 하류측에는 사용 종료 웨이퍼(41)를 안내하는(반송 경로를 구성함) 가이드(141) 및 사용 종료 웨이퍼(41)를 수용하는 폐기 박스(142)가 배치되어 있다. 튜브 절단 동작 가능 위치에 위치 부여된 웨이퍼(41)는 튜브(8, 9)의 절단 및 접합 동작 후에 폐기 박스(142)에 폐기(수용)되지만, 이 폐기 동작도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퍼(41)의 단부면끼리의 압박 이동에 의해 행해져 사용 종료 웨이퍼(41)는 가이드(141)를 따라서 안내되어 폐기 박스(142)로 낙하 수용된다. 폐기 박스(142)의 측방에는 폐기 수용된 사용 종료 웨이퍼(41)의 가득 찬 상태를 검출하는 투과형 센서(143)가 폐기 박스(142)의 바닥부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튜브 접합 장치(1)는 장치 전체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90), 오퍼레이터에 장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192), 장치의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 버튼(193), 상업 교류 전원으로부터 펄스 모터 등의 작동기 및 제어부(190)를 구동/작동 가능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 전원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90)는 중앙 연산 장치로서 고속 클럭으로 작동하는 CPU(191), 튜브 접합 장치(1)의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가 기억된 ROM, CPU(191)의 워크 영역으로서 작용하는 RAM 및 이들을 접속하는 내부 버스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 (190)에는 외부 버스가 접속되어 있다. 외부 버스에는 표시 패널(192)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스타트 버튼(193)으로부터의 스타트 명령을 제어하는 스타트 버튼 제어부, 투과형 센서나 온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 펄스 모터에 구동 펄스를 송출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작동기 제어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 스타트 버튼 제어부, 센서 제어부, 작동기 제어에는 각각 표시 패널(192), 스타트 버튼(193), 상술한 각종 센서, 펄스 모터(110, 150)가 접속되어 있다.
(동작)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의 동작에 대해 튜브(8, 9)의 압박 및 압박 유지에 관한 클램프 동작, 제어부(190)의 CPU(191)가 실행하는 절단 및 접합 루틴의 순으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클램프 동작에 대해서는 제2 클램프(7)에 대해 설명한다.
<클램프 동작>
튜브 접합 장치(1)에서의 튜브 절단 및 접합 동작[CPU(191)에 의한 절단 및 접합 루틴의 실행]에 앞서서 오퍼레이터는 홀더(31)에 형성된 홈(32, 33)에 튜브(8, 9)를 압입한다. 이에 의해, 튜브(8, 9)는 홈(32, 33) 내에 적재된다(도12에 도시하는 상태). 이 상태에서는, 튜브(8, 9)로의 압박 동작 개진 전이므로, 튜브(8, 9)는 원형의 원통 형상(도시에서는 단면 원 형상)을 갖고 있다.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덮개(34)의 한쪽 단부에 힌지(37)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판부재(38)의 선단부 부분을 파지하고, 톱날 형상의 압박 폐쇄 부재 (72)가 튜브(8, 9)에 접촉하여 압박 동작을 행하도록 갈고리 부재(39)를 홀더(31)측(도12의 화살표 F방향)으로 밀어내려 이동시킴으로써 압박 폐쇄 부재(72)가 튜브(8, 9)에 접촉한 이후에는 갈고리 부재(39)가 힌지(37)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하고, 곧 갈고리 부재(39)의 선단부 부분이 롤러(30)에 충돌하는 상태로 이행한다[도13의 (A), 도14의 (A)에 도시하는 상태]. 이 상태에서 압박 폐쇄 부재(72)가 튜브(8, 9)를 어느 정도 압입하고 있으므로, 튜브(8, 9)는 도12에 도시하는 원통 형상으로부터 변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13의 (A)에서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구성 부위를 특징짓기 위해, 갈고리 부재(39)의 선단부에 돌기부(314)를 갖는 후크 부위(B)(312) 및 돌기부(314)와 결합 관계를 갖는 롤러(B)(317)를 부분 단면으로 하여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POM제의 후크 부위(B)(312)의 돌기부(314)는 롤러(B)(317)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오퍼레이터가 덮개(38)를 화살표 F방향으로 더 밀어내리면, 후크 부위(B)(312)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돌기부(314)가 결합 관계에 있는 롤러(B)(317)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정의 로크 위치 방향으로 진행하면서[후크 부위(B)(312)가 전방을 향하면서] 나사(315)에 의해 고정된 타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방측으로 압박되게 된다. 즉, 요곡성을 갖는 롤러(B)(317)가 수지제 롤러(B)(317)와의 결합에 의해 생기는 압력에 눌려 휘어진 상태가 된다[도13의 (B) 및 도14의 (B)에 도시하는 상태]. 이 상태에서 돌기부(314)의 정상부 부분은 여전히 롤러(B)(317)와의 결합(접촉) 관계를 갖고 있지만, 인접하는 후크 부위(A)(311), 후크 부위(C)(313)의 상면 부분과 대략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후크 부위(A)(311), 후크 부위(C)(313)의 상면 부분도 또한 롤러(B)(317)의 양측에 인접하는 롤러(A)(316), 롤러(C)(318)의 금속제 롤러의 주위면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부(310)의 롤러(30)에 결합하는 측의 폭방향 전체면[돌기부(314) 및 인접하는 후크 부위(A)(311), 후크 부위(C)(313)의 표면 부분]이 롤러(30)[수지제 롤러(B)(317) 및 그 양측에 인접하는 금속제 롤러(A)(316), 금속제 롤러(C)(318)]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한 덮개(38)의 화살표 F방향으로의 압입 동작을 계속함으로써 후크 부위(B)(312)의 돌기부(314)는 롤러(B)(317)의 주위면을 미끄럼 접촉하면서, 또한 인접하는 후크 부위(A)(311), 후크 부위(C)(313)의 상면 부분은 롤러(A)(316), 롤러(C)(318)의 주위면을 주위 접촉하면서 돌기부(314)는 곧 소정의 로크 위치(결합을 유지하는 결합 유지 위치)에 위치 부여된다[도13의 (C) 및 도14의 (C)에 도시하는 상태). 즉, 롤러(30)의 롤러(B)(317)가 후크 부위(B)(312)의 돌기부(314)를 타고 넘어 돌기부(314)가 그 로크 위치 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이 사이에, 즉 도13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13의 (C)에 도시하는 상태 및 도14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14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 이행하는 동안에 후크 부위(B)(312)의 휜 상태는 수복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압박력, 반력, 부하력 등의 상호의 역작용에 의해 돌기부(314)는 소정의 로크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판부재(38)의 역복귀가 방지되는 동시에, 후크 부위(A)(311), 후크 부위(C)(313)의 상면 부분이 금속 제 롤러(A)(316), 롤러(C)(318)의 주위면과의 결합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맞추어 갈고리 부재(39)에 의한 후크 작용, 환언하면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기능이 계속되어 압박 폐쇄 부재(72)에 의해 튜브(8, 9)로의 소정의 압박 상태가 유지되어 튜브(8, 9)는 소기의 편평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이상의 클램프 동작에서는 제2 클램프(7)를 예시하였지만, 제1 클램프(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절단 및 접합 루틴>
제어부(190)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면, CPU(191)는 ROM으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판독하여 RAM에 전개하는 초기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CPU(191)는,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형 센서(195)가 절결부(198)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가 초기 위치[튜브(8, 9)를 서로 평행하게 홈부(22, 23, 32, 33)에 보유 지지 가능한 위치]에 위치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정 판단일 때에는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가 초기 위치에 없어 정상적인 절단 및 접합 동작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표시 제어부를 거쳐서 표시 패널(192)에 도시하지 않은 리셋 버튼을 누를 필요가 있는 취지를 표시시킨다. 도시하지 않은 리셋 버튼이 눌렸을 때에는 작동기 제어부를 거쳐서 펄스 모터(150)를 구동시켜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를 초기 위치에 위치 부여한다. 긍정 판단일 때[또는,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가 초기 위치에 위치 부여되었을 때]에는, CPU(191)는 투과 센서(143)로 부터의 2치 신호에 의해 폐기 박스(142)가 가득 찼는지를 판단한다. 긍정 판단일 때에는 폐기 박스(142)에 폐기 수용된 웨이퍼(41)가 가득 차므로, 웨이퍼 조출 기구(100)에 의한 웨이퍼 카세트(120)로부터의 웨이퍼(41)의 조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표시 패널(192)에 폐기 박스(142)가 가득 찬 취지를 표시시키고, 투과 센서(143)로부터의 신호에 의한 폐기 박스(142)의 가득 참의 판단이 부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부정 판단일 때에는 튜브(8, 9)의 정상적인 절단 및 접합 동작이 가능하므로, 표시 패널(192)에 튜브(8, 9)의 세트를 재촉하는 취지를 표시시켜 스타트 버튼(193)이 눌릴 때까지 대기한다.
오퍼레이터는 제1 클램프(6)의 덮개(24) 및 제2 클램프(7)의 덮개(34)를 개방하고, 홈(22, 23)에 튜브(8, 9)를 장전한다. 제1 클램프(6)의 덮개(24) 또는 제2 클램프(7)의 덮개(34) 중 어느 한쪽을 개방하면 제1 클램프(6)의 샤프트(19)가 제2 클램프(7)의 긴 구멍(4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다른 쪽 제1 클램프(6)의 덮개(24) 또는 제2 클램프(7)의 덮개(34)도 연동하여 대략 동시에 개방된다. 상기 장전된 튜브(8, 9)에 대해 제1 클램프(6)의 덮개(24) 및 제2 클램프(7)의 덮개(34)를 폐쇄하는 조작을 행한다(도7 참조). 제1 클램프(6)의 덮개(24) 또는 제2 클램프(7)의 덮개(34) 중 한쪽을 폐쇄하면, 제1 클램프(6)의 샤프트(19)가 제2 클램프(7)의 긴 구멍(4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다른 쪽 제1 클램프(6)의 덮개(24) 또는 제2 클램프(7)의 덮개(34)도 연동하여 대략 동시에 폐쇄된다. 여전히 덮개(24) 및 덮개(34)의 폐쇄 조작을 계속하면, 튜브 압입 부재(10)의 선단부 부분(12)이 최초에 튜브(8, 9)에 접촉하여 접촉 위치의 제1 위치(P1)에서 평행(병렬) 상태로 적재된 튜브(8, 9)를 편평 상태로 변형시킨다[도8의 (A) 참조]. 이 시점에서 튜브(8, 9)의 튜브 압입 부재(10)에 의해 압입된 부분에 내재하고 있는 혈액은 도8의 (A)의 화살표 c 내지 화살표 d방향에 배제되도록 압출된다.
계속해서, 덮개(24) 및 덮개(34)의 폐쇄 동작을 계속하여 제1 클램프(6)의 로크 기구의 갈고리 부재(29)를 롤러(20)에 계지시켜 덮개(24)가 개방되지 않도록 로크가 이루어지면, 제1 클램프(6)가 제1 위치(P1)에 인접하는 제2 위치(P2)에 있어서, 튜브(8, 9)를 소정의 압박력으로 편평 상태로 압박 보유 지지한다. 이 때, 제1 클램프(6)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튜브 압입 부재(10)도 또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제1 클램프(6)와 마찬가지로 튜브(8, 9)를 거의 짓눌러 넣은 상태(거의 튜브 내부에 혈액이 없는 상태)로 압박하고 있다[도8의 (B) 참조].
도10의 (A)는 홈(22, 23)에 장전된 튜브(8, 9)에 대해 제1 클램프(6)의 덮개(24)가 폐쇄되고, 튜브 압입 부재(10)의 선단부 부분(12)이 튜브(8, 9)를 편평 상태로 압박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덮개(24)의 폐쇄 동작이 계속되면, 튜브 압입 부재(10)의 선단부 부분(12)은 튜브(8, 9)를 편평 상태로 압박한다. 이 때,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에 의한 튜브(8, 9)의 압박 동작도 연동, 계속해서 행해진다.
또한, 제2 클램프(7)는 샤프트(19)의 긴 구멍(40)으로의 삽입에 의해 제1 클램프(6)의 움직임으로 연동하므로, 제1 클램프(6)의 덮개(24)를 폐쇄하는 동작과 대략 동시에 제2 클램프(7)의 덮개(34)도 폐쇄하는 동작이 행해지고, 제2 클램프(7)의 로크 기구의 갈고리 부재(39)는 롤러(30)에 계지되어 덮개(34)가 개방되지 않도록 로크가 이루어지면, 제1 클램프(6)와 마찬가지로 튜브 압입 부재(10)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2 클램프(7)가 제1 위치(P1)에 인접하는 위치이며, 제1 위치(P1)를 협지하여 제2 위치(P2)에 대향하는 제3 위치(P3)에 있어서, 튜브(8, 9)를 소정의 압박력으로 튜브(8, 9)를 거의 짓눌러 넣은 상태(거의 튜브 내부에 혈액이 없는 상태)에서 편평 상태로 압박 보유 지지한다. 이에 의해, 제1 위치(P1)를 협지하여 제2 위치(P2)로부터 제3 위치(P3)에 도달하는 튜브(8, 9) 내, 환언하면, 튜브 압입 부재(10)를 협지하여 제1 클램프(6)에 의해 압박된 부위로부터 제2 클램프(7)에 의해 압박된 부위에 상당하는 튜브(8, 9) 내의 혈액은 거의 배제된 상태가 되어[도8의 (B) 참조], 튜브(8, 9)의 압박 보유 지지 동작이 완료된다. 도13의 (C), 도14의 (C)는 이 상태에서의 제1 클램프(6), 튜브 압입 부재(10) 및 웨이퍼 홀더(140)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15의 (A), 도16의 (A)는 캠(158) 및 캠(157, 159)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오퍼레이터가 장치(1)의 스타트 버튼(193)을 압박하면 CPU(191)는 스타트 버튼 제어부를 거쳐서 스타트 신호를 취입하여 웨이퍼 조출 기구(100)에 의한 웨이퍼 카세트(120)로부터의 웨이퍼(41)의 조출 동작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 모터(11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이동하는 웨이퍼 조출 부재(115)는 웨이퍼 조출 개시 위치와 웨이퍼 조출 종료 위치 사이를 펄스 모터(110)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왕복 운동한다. 이 때, CPU(191)는 펄스 모터(110)의 정회전 구동 시에 있어서의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웨이퍼 조출 개시 위치로부터 웨이퍼 조출 종료 위치까지의 사이를 펄스 모터(110)의 회전 구동에 직결 하고 있는 회전반(130)의 회전량으로부터 투과형 센서(131)에 의해 1 펄스마다 검출하고 있다. 즉, CPU(191)는 웨이퍼 조출 개시 위치에 위치 부여된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피검 부재(119)를 투과형 센서(132)에 의해 검출하고, 그것을 기점으로 하여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이동량을 회전반(130)의 회전량으로부터 투과형 센서(131)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웨이퍼 조출 부재(115)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CPU(191)는 웨이퍼 조출 부재(115)가 웨이퍼 조출 개시 위치로부터 웨이퍼 조출 종료 위치 방향으로 소정량[본 형태에서는 30 ㎜, 도15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웨이퍼 조출 부재(15) 참조] 이상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부정 판단일 때에는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위치 파악을 속행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웨이퍼(41)의 조출을 위한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이동량은 약 55 ㎜로 설정되어 있다.
긍정 판단일 때에는 미리 설정된 펄스 수와 실제로 검출된 펄스 수에 소정 펄스(예를 들어, 20 펄스) 이상의 차이가 생겼는지 여부, 즉 미리 설정된 펄스 수에 비해 실제로 검출된 펄스 수가 20 펄스 이상 적게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긍정 판단일 때에는 웨이퍼(41)의 조출 불량이라 판정하여 리셋 버튼이 눌릴 때까지 대기하고, 부정 판단일 때에는 조출 정상이라 판정한다.
CPU(191)는 웨이퍼(41)의 조출 불량이라 판정되면 펄스 모터(110)의 구동을 정지하여 표시 패널(192)에 에러 표시(웨이퍼 조출 불량)와 웨이퍼의 제거를 재촉하는 표시를 행하는 동시에, 펄스 모터(150)를 일련의 튜브 접합 동작을 행할 때의 정회전 구동과는 반대로 소정량 역전 구동시켜 캠(158)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 부여함으로써 캠(158)에 형성된 절결부(178)를 베어링(172)에 대향시킨다[도15의 (C) 참조]. 이에 의해, 베어링(172)은 절결부(178)에 진입 가능한 상태, 즉 제2 클램프(7)를 도3의 화살표 B의 우측 방향[튜브 접합 시의 제2 클램프(7)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방향]의 퇴피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본 형태에서는 약 4 ㎜의 이동이 허용되고 있음). 이 때, 회전반(197)은 투과형 센서(195, 196)의 양자가 차광된 상태가 된다[도6의 (C) 참조].
오퍼레이터는 제2 클램프(7)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클램프(6)와의 사이에 생기는 공간부에 억세스하여 웨이퍼(41)의 다중 급송 등에 의한 조출 불량을 일으킨 웨이퍼를 제거할 수 있고[도15의 (D) 참조], 에러 해제 동작을 종료한 후, 도시하지 않은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 CPU(191)는 그 신호를 취입하고, 펄스 모터(110, 150)를 구동하여 각종 기구부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CPU(191)는 조출 정상이라 판정되면 절단/접합 처리를 실행한다. 절단 처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퍼 홀더(140) 내에 웨이퍼(41)가 삽입된 시점으로부터 내부 시계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웨이퍼(41)가 튜브(8, 9)를 용단 가능한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부정 판단일 때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사이에서 대기하고, 긍정 판단일 때에는 펄스 모터(150)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캠(158) 및 캠(157, 159)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지만, 캠(158)은 도15의 (A)에 도시한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고 있다. 이 사이, 웨이퍼 홀더(140)는 캠(159)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여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 사이에서 소정 거리 상승한다[도16의 (B) 참조]. 이 상승 동장에 의해 회전자(147)도 상승하고, 회전자(147)에 접촉하는 지지 부재 돌출부(14)도 상승한다.
도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 홀더(140)의 일부를 형성하여 선단부에 금속제의 회전자(147)를 갖는 돌기부(148)가 제1 위치(P1)에서 튜브(8, 9)를 압박하고 있던 튜브 압입 부재(10)의 일부를 밀어 올리는 동시에, 웨이퍼(41)가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제1 클램프(6)와 제2 클램프(7) 사이]로 진출하여 웨이퍼 홀더(140)에 보유 지지되어 가열된 웨이퍼(41)가 2개의 튜브(8, 9)를 용단한다. 이 때, 튜브 압입 부재(10)는 웨이퍼(41)에 대해 퇴피 위치에 위치 부여된 상태가 된다[도10의 (C)도 참조]. 도13은 웨이퍼 홀더(140)가 상승(요동)하여 웨이퍼(41)가 소정 위치에 세트된 튜브(8, 9)를 절단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캠(157)은 도16의 (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회전하지만[도16의 (B) 참조], 제1 클램프(6)[지지대(164)]는 도15의 (A)에 도시한 제2 클램프(7)[지지대(174)]와 마찬가지로 부동이다.
CPU(191)는 여전히 펄스 모터(150)의 구동을 속행하지만, 웨이퍼 홀더(140)는 도16의 (B)에 도시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제1 클램프(6)[지지대(164)]는 캠(157)의 회전에 의해 도16의 (C)의 좌측의 도면의 화살표 a방향(도3의 화살표 A의 상방을 향하는 방향, 도17의 화살표 X방향)으로 소정 거리(8 ㎜) 이동한다. 이 시점에서 절단된 튜브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어 접합되는 단부끼리가 대향하게 된다. 이 때,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8, 9)를 절단한 웨이퍼(41)는 그 절단 위치 에 보유 지지되어 부동의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 때에 제1 클램프(6)의 샤프트(19)는 제2 클램프(7)의 긴 구멍(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긴 구멍(40) 내를 이동한다.
계속해서, 캠(159)의 회전에 수반하여 웨이퍼 홀더(140)는 요동하여 하강하지만[도16의 (C) 참조], 튜브 압입 부재(10)는 상술한 퇴피 위치에 보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도9의 (B) 참조]. 한편, 캠(158)에 인접하는 베어링(172)이 턱부(177)의 형상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제2 클램프(7)[지지대(174)]는 도15의 (B)의 화살표 b방향[도3의 화살표 B의 좌측을 향하는 방향, 도9의 (C)의 화살표 Y방향]으로 소정 거리(0.6 ㎜) 이동한다. 이에 의해, 튜브(8, 9)의 접합 동작이 완료된다. 이 때, CPU(191)는,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198)가 투과형 센서(196)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 부여되고, 소기의 상태[제1 클램프(6)와 제2 클램프(7)가 어긋난 상태로 위치 부여된 상태]를 확인하여 펄스 모터(1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오퍼레이터는 접합 처리가 완료된 튜브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덮개(34)의 선단부측에 위치하는 판부재(38)를 들어올리면 요곡성을 갖는 후크 부위(314)가, 휨 롤러(B)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덮개(34)는 개방 상태가 된다(도12 참조). 이 때, 덮개(34) 및 덮개(24)는 상대 위치가 변화된 상태이지만, 샤프트(19)가 긴 구멍(4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덮개(34)를 들어올리면 덮개(24)도 연동하여 대략 동시에 들어올려진다[덮개(24)를 들어올려도 덮개(34)도 연동하여 동시에 들어올려짐]. 또한, 덮개(34) 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튜브 압입 부재(10)에 의한 튜브(8, 9)의 압입도 해제된다.
(작용 등)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의 작용 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는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 사이에 선단부 부분(12)이 제1 클램프(6)의 압박 폐쇄 부재(62)보다 약간 돌출된 튜브 압입 부재(10)를 배치하고, 제1 클램프(6) 내지 제2 클램프(7)에 의한 압박에 앞서서 튜브(8, 9)를 압박하여 압박 부위에서의 튜브 내의 잔존 혈액을 압출하여 배제하도록 하였으므로, 절단, 접합 시에 튜브 내에 봉입된 혈액의 영향을 받지 않고 튜브끼리를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튜브(8, 9)를 압박 보유 지지하는 제1 위턱부(50), 제2 위턱부(60)에 부착된 후크부(300, 310)를 구성하는 갈고리 부재(29, 39)의 선단부를 복수의 부위로 분할하여 이 중 후크 부위(B)(302, 312)에 역 복귀 방지용 돌기부(304, 314)를 형성하는 동시에, 후크 부위(B)(302, 312)에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부재(POM)를 이용한 후, 판 스프링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튜브(8, 9)와 교차하는 방향에 길게 타측 단부를 나사(305, 315)로 고정]으로 하여 요곡성을 조장시켰으므로, 튜브(8, 9)로의 압박력을 보유 지지하면서도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식 (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튜브 접합 장치에 비해 로크 시 및 로크 해제 시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압박력(하중 및 부하)이 저감되므로, 튜브 접합 장치(1)의 조작성 및 작업성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식 (1)에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롤러(B)(307, 317)가 돌기부(304, 314)를 타고 넘어 돌기부(304, 314)를 그 로크 위치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고, 또한 후크 부위(B)(302, 312)의 외적 압력에 대해 휠 때의 반력이 롤러(B)(307, 317)의 돌기부(304, 314)에 대한 부하력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튜브(8, 9)로의 적절한 압박력을 확보하면서 돌기부(304, 314)는 로크 위치에 멈추도록 보유 지지되고,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동작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후크 부위(B)(302, 312)와 결합하여 래치 기능을 갖는 제1 아래턱부(70), 제2 아래턱부(80)의 롤러(B)(307, 317)에도 수지 부재(POM)를 이용하였으므로, 종래의 튜브 접합 장치와 같이 로크 시의 금속제 부재끼리의 결합 접촉 동작 시에 생기는 부품의 깎임에 기인하는 장기 사용에 있어서의 로크 기구의 로크력의 저하를 방지 가능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은 튜브 접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튜브 접합 시에 절단된 튜브의 단부끼리 웨이퍼(4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튜브의 접합해야 할 단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어긋나게 함) 동시에, 웨이퍼(41)의 하강 동작과 동시에 접합해야 할 튜브의 단부끼리를 밀착시켜 접합시키지만, 상술한 로크 기구의 구성을 채용하였으므로, 튜브(8, 9)의 원활한 절단 동작과 안정된 신뢰성이 높은 접합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덮개(24, 34)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튜브 압입 부재(10)도 개방하는 구성을 채용하였으므로, 오퍼레이터에 의한 다음의 튜브 접합 처리 개시 시에는 튜브 압입 부재(1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 둘 수 있고, 일련의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웨이퍼 조출 개시 위치에 위치 부여된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피검 부재(119)를 투과형 센서(132)에 의해 검출하고, 그 기점으로부터 웨이퍼 조출 부재(115)의 이동량을 회전반(130)과 투과형 센서(131)로 검출하고 있으므로, 정밀도 좋게 웨이퍼(41)의 이송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펄스 수에 대해 실제로 검출된 펄스 수가 소정 펄스 이상일 때에 조출 불량이라 판정하므로, 웨이퍼(41)의 반송 불량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웨이퍼(41)의 반송(조출) 불량이 생겼을 때에 베어링(172)이 절결부(178)에 진입 가능한 구조를 채용하였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제2 클램프(7)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켜 웨이퍼(41)의 반송 불량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에러가 생겼을 때에는 장치 불량이라 하여 장치를 공장으로 복귀시키고 분해 작업을 행하여 조출 불량을 일으킨 웨이퍼를 제거하고 있었지만, 튜브 접합 장치(1)에 따르면, 오퍼레이터가 웨이퍼의 조출 불량을 기초로 하는 에러 해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조작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투과형 센서(143)로 폐기 박스(142)의 가득 참 상태를 파악하여 웨이퍼 조출 기구(100)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웨이퍼의 자동 압진 구조를 채용해도 웨이퍼가 후속의 웨이퍼에 의해 반송 경로 상에서 막히는 것이 방지 가능하다. 또한,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투과형 센서(195)에 의해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가 튜브(8, 9)를 서로 평행하게 보유 지지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평행이 아닌(초기 위치가 아님) 경우에 장치를 그대로 동작시키지 않고, 리셋 버튼의 눌림으로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를 적절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 후 동작하므로, 항상 정상적인 절단 및 접합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제1 클램프(6)의 샤프트(19)가 제2 클램프(7)의 긴 구멍(4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튜브 장전 시)뿐만 아니라, 이들 상대 위치가 변화된 상태(튜브 접합 처리 종료 시)에 있어서도 제1 클램프(6)의 덮개(24) 또는 제2 클램프(7)의 덮개(34) 중 어느 한쪽을 개폐하면, 다른 쪽 제1 클램프(6)의 덮개(24) 또는 제2 클램프(7)의 덮개(34)도 연동하여 대략 동시에 개폐하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 접합 장치(1)에서는 종래의 제1 클램프(6) 및 제2 클램프(7)를 직접 X, Y방향으로 이동하는 X, Y테이블 등의 이동 기구 대신에, 캠 구조를 채용하였으므로, 장치 자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튜브 접합 장치(1)는 혈액이 봉입된 튜브(8, 9)를 홈(22, 23, 32, 33) 내에 장전하고 덮개(24, 34)를 폐쇄하여 로크 기구로 로크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튜브끼리의 무균적인 습식-대-습식(Wet-to-Wet) 접합이 간이하고, 똑같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튜브 접합 장치는 사회적으로도 실현이 요구되고 있고, 그 공업적 가치는 매우 높은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갈고리 부재(29, 39)의 기초부, 후크 부위(A)(301, 311), 후크 부위(C)(303, 301)에 스테인레스, 후크 부위(B)(302, 312) 및 롤러(B)(307, 317)에 POM을 각각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 부위(A)(301) 등에,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강성이 큰 금속제 부재를 이용해도 좋고, 또한 후크 부위(B)(302) 등에 강성이 작은 다른 수지제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148)를 웨이퍼 홀더(140)와 일체로 형성한 예를 게시하였지만, 돌기부(148)와 웨이퍼 홀더(140)를 별도의 부재로서 양자가 일체화되도록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본 형태와 같이 돌기부(148)가 경사져 설치되는 경우에는 양자를 별도의 부재로서 일체화함으로써 부품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 부분으로서 돌기부(304, 314)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돌출 부분으로서는 계지 부재로서의 롤러(307, 317)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으면 좋고, 그 형상이 돌기 형상이라도 돌기 형상보다 돌출 정도가 완만한 돌출 형상이라도 주위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혈액이 봉입된 튜브끼리의 접합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기술에서 행해지고 있는 혈액이 봉입된 튜브와 빈 튜브를 접합하는 경우나 혈액이 봉입되어 있지 않은 빈 튜브끼리를 접합하는 경우 등, 어떠한 용도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웨이퍼 조출 기구(100)에 의한 웨이퍼 카세트(120)로부터의 웨이퍼(41)의 조출 동작은 스타트 버튼(193)의 누름에 의해 개시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셋 버튼의 누름에 의해 개시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2 압박 부재에 홈부를 마련한 구성, 구체적으로는 제2 클램프(7)에 긴 구멍(40)을 마련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클램프의 판부재(38)의 하측에 오목 형상부를 마련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혈액이 봉입된 2개의 튜브를 접합하는 튜브 접합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튜브를 접합하는 튜브 접합 장치나 혈액 이외의 액체가 봉입된 튜브라도 튜브끼리를 적절하게 접합하는 튜브 접합 장치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웨이퍼 홀더(140)에 2매의 웨이퍼를 보유 지지 가능한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1매의 웨이퍼나 3매 이상의 웨이퍼를 보유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박 폐쇄 부재(61, 62, 71, 72) 및 튜브 압입 부재(10)를 톱날 형상으로 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튜브(8, 9) 내의 혈액을 밀어내고 배제할 수 있으면 되므로, 예를 들어 수평면에서 튜브(8, 9)를 압박 폐쇄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웨이퍼(41)는 자기 발열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열 히터와 같은 열원에 의해 절단판을 가열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부호의 설명]
1 : 튜브 접합 장치
6 : 제1 클램프(보유 지지 유닛, 제1 보유 지지부)
7 : 제2 클램프(보유 지지 유닛, 제2 보유 지지부)
8, 9 : 튜브
20, 30 : 롤러
28, 38 : 판부재(후크부의 일부)
29, 39 : 갈고리 부재(후크부의 일부)
41 : 웨이퍼(절단 유닛의 일부)
50 : 제1 위턱부(가동 클램프부)
60 : 제2 위턱부(가동 클램프부)
70 : 제1 아래턱부(적재 클램프부)
80 : 제2 아래턱부(적재 클램프부)
140 : 웨이퍼 홀더(절단 유닛의 일부)
150 : 펄스 모터(이동 유닛의 일부)
156 : 구동축(이동 유닛의 일부)
200 : 구동 전달 기구(이동 유닛의 일부, 절단 유닛의 일부)
300, 310 : 후크부
301, 311 : 후크 부위(A)(후크 부위의 일부)
302, 312 : 후크 부위(B)(후크 부위의 일부, 탄성 부재)
303, 313 : 후크 부위(C)(후크 부위의 일부)
304, 314 : 돌기부(돌출 부분)
306, 316 : 롤러(A)
307, 317 : 롤러(B)(결합 부재)
308, 318 : 롤러(C)

Claims (12)

  1. 가요성 튜브를 편평 상태로 압박하여 보유 지지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이며,
    상기 튜브가 적재되는 적재 클램프부와,
    상기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를 압박하는 방향 및 상기 튜브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클램프부와,
    상기 가동 클램프부에 부착되어 상기 적재 클램프부와 결합하여 상기 가동 클램프부의 상기 튜브에 대한 압박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복수로 분할된 후크 부위를 갖고, 상기 후크 부위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에 다른 후크 부위보다 돌출된 돌출 부분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적재 클램프부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외적 압력에 의해 자기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휘는 요곡성을 가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이 상기 후크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병설된 상기 후크 부위의 중앙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다른 후크 부위의 재질이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클램프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돌출 부분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갖고 있고, 이 결합 부재의 재질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회전 가능한 롤러이고, 상기 탄성 부재의 돌출 부분이 상기 롤러의 주위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롤러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결합 유지 위치에 위치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외적 압력에 대해 탄성 변형될 때의 반력이, 상기 가동 클램프부가 상기 튜브를 편평 상태로 압박할 때의 상기 후크부에 의한 상기 후크 부위의 압박력보다 작고, 또한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돌출 부분에 대한 부하력보다 크거나 또는 동등한 부하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클램프 장치.
  8. 가요성 튜브끼리 접합하는 튜브 접합 장치이며,
    상기 튜브가 적재되는 적재 클램프부와, 상기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 가 편평 상태가 되도록 압박하는 방향 및 상기 튜브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클램프부와, 상기 가동 클램프부에 부착되어 상기 적재 클램프부와 결합하여 상기 가동 클램프부의 상기 튜브에 대한 압박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부를 갖는 보유 지지 유닛과,
    상기 보유 지지 유닛에 의해 편평 상태로 보유 지지된 튜브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과,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절단된 튜브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켜 접합되는 단부끼리가 밀착되도록 상기 보유 지지 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 유닛은 상기 후크부에 복수로 분할된 후크 부위를 갖고, 상기 후크 부위 중 적어도 하나는 일측에 다른 후크 부위보다 돌출된 돌출 부분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적재 클램프부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유닛은 상기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제1 보유 지지부와 제2 보유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제1 보유 지지부와 상기 제2 보유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튜브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보유 지지부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재 클램프부에 적재된 튜브의 길이 방향 내지 상 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외적 압력에 의해 자기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휘는 요곡성을 가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병설된 상기 후크 부위의 중앙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다른 후크 부위의 재질이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접합 장치.
KR1020057025204A 2003-06-30 2004-06-02 튜브 클램프 장치 및 튜브 접합 장치 KR101050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7723 2003-06-30
JP2003187723A JP4073371B2 (ja) 2003-06-30 2003-06-30 チューブクランプ装置及びチューブ接合装置
PCT/JP2004/007617 WO2005000564A1 (ja) 2003-06-30 2004-06-02 チューブクランプ装置及びチューブ接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449A true KR20060026449A (ko) 2006-03-23
KR101050911B1 KR101050911B1 (ko) 2011-07-20

Family

ID=3354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204A KR101050911B1 (ko) 2003-06-30 2004-06-02 튜브 클램프 장치 및 튜브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22848B2 (ko)
EP (1) EP1640142B1 (ko)
JP (1) JP4073371B2 (ko)
KR (1) KR101050911B1 (ko)
CN (1) CN100339207C (ko)
AT (1) ATE507059T1 (ko)
CA (1) CA2531158C (ko)
DE (1) DE602004032436D1 (ko)
HK (1) HK1090606A1 (ko)
WO (1) WO20050005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483A (ko) * 2014-09-15 2017-05-17 칼 짜이스 에스엠테 게엠베하 세라믹 구성요소의 논-포지티브 연결을 위한 연결 배열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508B2 (ja) * 2004-11-15 2011-06-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
US7935074B2 (en) * 2005-02-28 2011-05-03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Cassette system for peritoneal dialysis machine
FR2939348B1 (fr) * 2008-12-10 2014-10-10 Sartorius Stedim Biotech Sa Sectionnement d'un tube souple destine a des applications biopharmaceutiques
CN103037918B (zh) 2009-12-08 2015-06-24 泰尔茂比司特公司 具有旋转阀的多单元血液处理器
EP2420286A1 (de) 2010-08-18 2012-02-22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rilen Verbinden von Schläuchen
DE102010060401A1 (de) * 2010-11-08 2012-05-10 Sartorius Weighing Technology Gmbh Schweißvorrichtung, Verwendung derselben als Steuerventil und Dosiervorrichtung
US9376655B2 (en) 2011-09-29 2016-06-28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Filter systems for separating microcarriers from cell culture solutions
CN102444726B (zh) * 2011-11-02 2013-07-31 泸州北方化学工业有限公司 截止阀
CN103767741B (zh) * 2013-12-19 2015-08-19 武汉佰美斯医疗科技有限公司 血袋无菌接驳方法及该方法使用的设备
CN103847140B (zh) * 2014-01-03 2016-12-07 寿光市宁元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纸管对接机
US9440396B2 (en) 2014-06-19 2016-09-13 Fenwal, Inc. Sterile connection device for making multiple connections
US9533135B2 (en) 2014-06-19 2017-01-03 Fenwal, Inc. Method for forming, opening and/or evaluating a connection site
CA2946985C (en) * 2015-10-30 2018-09-25 Avery Wilson Pinch valve for dispensing liquid
IT201600071193A1 (it) * 2016-07-07 2018-01-07 Graf Synergy Srl Macchina per la saldatura di profilati in plastica
CN107297905A (zh) * 2017-05-26 2017-10-27 武汉佰美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无菌管接驳装置
US10919235B2 (en) 2017-06-07 2021-02-16 Fenw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chanically opening a connection site
WO2019016904A1 (ja) * 2017-07-19 2019-01-2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流路開閉機構及び該流路開閉機構を備える腹膜透析装置
CN115555061A (zh) * 2018-03-02 2023-01-03 生命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端口和管固定器组件附接装置的系统及使用方法
JP7290667B2 (ja) * 2019-01-25 2023-06-13 テルモ株式会社 チューブ接合装置
DE102019004542A1 (de) 2019-06-24 2020-12-24 Gert Löwe Dosendeckel mit einer dicht wiederverschließbaren Trinköffnung
CN110917421B (zh) * 2019-11-22 2022-09-02 江苏融医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血液透析管路连接装置
EP4035723A1 (en) 2021-01-25 2022-08-03 Fenwal, Inc. Sterile connection of tubing
CN115256169B (zh) * 2022-08-12 2024-07-05 北京金明祥泰管业有限公司 一种具有防止过度夹持功能的钢管加工用除锈设备
CN118269360B (zh) * 2024-05-31 2024-08-16 贵州玉蝶电工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度聚乙烯管件管材拼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77265A (en) * 1922-02-27 1923-12-11 Holstein William Sash lock
GB1019016A (en) * 1961-10-30 1966-02-02 Licentia Gmbh Improvements in door catches
GB1024716A (en) * 1964-06-03 1966-04-06 Sibrema R G Improved door latch
GB1443435A (en) * 1973-01-27 1976-07-21 Billingham Ltd Joseph Door catch
US4045063A (en) * 1975-12-18 1977-08-30 Nasa Load regulating latch
ZA814659B (en) 1980-07-11 1983-02-23 Du Pont Sterile docking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US4516971A (en) * 1982-07-06 1985-05-14 Spencer Dudley W C Sterile docking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US4610670A (en) * 1983-06-13 1986-09-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erile connection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DD237634A5 (de) 1983-06-13 1986-07-23 E. I. Du Pont De Nemours U. Co,Us Steriles verbindungs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US4619642A (en) * 1985-03-12 1986-10-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erile, cold cut connection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JPH04161579A (ja) 1990-10-22 1992-06-04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ドアロツク装置用ラツチ
JP3096086B2 (ja) 1991-04-05 2000-10-10 テルモ株式会社 チューブの接合方法及び装置
JP3093887B2 (ja) 1992-09-10 2000-10-03 テルモ株式会社 可撓性チューブ無菌的接合装置
JP3422452B2 (ja) * 1995-12-08 2003-06-30 テルモ株式会社 チューブ接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483A (ko) * 2014-09-15 2017-05-17 칼 짜이스 에스엠테 게엠베하 세라믹 구성요소의 논-포지티브 연결을 위한 연결 배열체
KR20210091362A (ko) * 2014-09-15 2021-07-21 칼 짜이스 에스엠테 게엠베하 세라믹 구성요소의 논-포지티브 연결을 위한 연결 배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07059T1 (de) 2011-05-15
EP1640142A4 (en) 2009-03-11
US20060145105A1 (en) 2006-07-06
KR101050911B1 (ko) 2011-07-20
WO2005000564A1 (ja) 2005-01-06
CA2531158A1 (en) 2005-01-06
DE602004032436D1 (de) 2011-06-09
HK1090606A1 (en) 2006-12-29
JP2005022126A (ja) 2005-01-27
JP4073371B2 (ja) 2008-04-09
US7922848B2 (en) 2011-04-12
CA2531158C (en) 2009-10-27
EP1640142B1 (en) 2011-04-27
CN1798648A (zh) 2006-07-05
EP1640142A1 (en) 2006-03-29
CN100339207C (zh)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911B1 (ko) 튜브 클램프 장치 및 튜브 접합 장치
KR100964057B1 (ko) 튜브 접합 장치 및 튜브 접합 방법
KR101065934B1 (ko) 튜브 접합 장치
EP1438982B1 (en) Tube connecting apparatus
EP1346749B1 (en) Tube connecting apparatus
US20060054613A1 (en) Tube bonder
EP4272778A1 (en) Infusion pump and infusion pump control method
JP4139202B2 (ja) チューブ接合装置
JP6082583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4115263B2 (ja) チューブ接合装置
JP4036565B2 (ja) チューブ接続装置
JP4115262B2 (ja) チューブ接合装置
JP4115353B2 (ja) チューブ接合装置
JP4223249B2 (ja) チューブ接合装置及びチューブ接合方法
JP2000308687A (ja) チューブ接続装置
KR20060052895A (ko) 스테이플 다리의 절곡 기구
JP2012148035A (ja) チューブ接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