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907A - 부품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907A
KR20060024907A KR1020040073771A KR20040073771A KR20060024907A KR 20060024907 A KR20060024907 A KR 20060024907A KR 1020040073771 A KR1020040073771 A KR 1020040073771A KR 20040073771 A KR20040073771 A KR 20040073771A KR 20060024907 A KR20060024907 A KR 2006002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rod
sensing
working surface
proximity senso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907A/ko
Publication of KR2006002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에 로딩되는 부품에 홀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봉과 감지봉지지블록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공구 및 로딩되는 부품 자체에 의해 근접센서가 파손되거나 오작동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부품 감지장치가 보다 내구성을 갖추고, 정확하게 부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부품 감지장치{machine parts sensing apparatus}
도 1과 도 2는 종래의 부품 감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품의 홀의 존부를 감지하는 상태를 서로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감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품의 홀의 존부를 감지하는 상태를 서로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품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작업면 3: 감지구멍
5: 작업대 7; 감지봉
9; 감지봉지지블록 11; 스프링
13; 근접센서 15; 돌출제한돌기부
17; 감지부 20; 부품
본 발명은 부품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홀의 존부로 기계 부품을 자동적으로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부품 감지장치는 작업대(500) 위에 감지대상 부품(502)이 위치하였을 때, 당해 부품(502)에 홀(504)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를 관통하여 설치된 근접센서(506)로 감지하였다.
즉, 작업대(500)에 올라오는 다양한 사양의 부품을 선별하기 위해 상기 근접센서(506)가 사용되는데, 작업대(500)에 부품(502)이 정해진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근접센서(506)가 위치한 곳에 상기 부품의 홀(504)이 위치하는가의 여부에 의해, 원하는 부품이 작업대에 올라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부품 감지장치는 상기 근접센서(506)가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의 작업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작업대(500)에 로딩되는 부품 또는 기타 작업공구나 이물질 등에 의해서 파손될 염려가 많다.
본 발명은 작업대에 로딩되는 부품을 부품 자체에 형성된 홀의 존부에 따라 식별함에 있어서, 보다 내구성을 갖추고, 정확하게 부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부품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부품 감지장치는 감지대상 부품과 접촉하는 작업면과, 상기 작업면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형성된 감지구멍을 구비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감지구멍에 삽입되어 작업면으로 돌출된 상태와 작업면으로부터 함몰된 상태 사이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감지봉이 작업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감지봉지지블록과;
상기 감지봉이 상기 작업대의 작업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감지봉이 작업면으로부터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봉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근접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감지대상 부품과 접촉하는 작업면(1)과, 상기 작업면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형성된 감지구멍(3)을 구비한 작업대(5)와; 상기 작업대(5)의 감지구멍에 삽입되어 작업면(1)으로 돌출된 상태와 작업면(1)으로부터 함몰된 상태 사이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감지봉(7)과; 상기 감지봉(7)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감지봉(7)이 작업대(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감지봉지지블록(9)과; 상기 감지봉(7)이 상기 작업대의 작업면(1)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1)과; 상기 감지봉(7)이 작업면(1)으로부터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봉(7)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근접센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봉(7)에는 상기 작업대(5)의 작업면으로 돌출되는 양을 제한하도록 감지봉(7)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제한돌기부(15)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11)은 상기 감지봉지지블록(9) 내에서 상기 돌출제한돌기부(15)를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11)은 상기 감지봉지지블록(9)과 상기 돌출제한돌기부(15) 사이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지봉지지블록(9)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봉(7)의 하측이 관통하여 하측으로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봉지지블록(9)의 하측으로 돌출된 감지봉(7)의 단부에는 감지봉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근접센서(13)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부(1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감지부(17)의 접근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근접센서(13)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되,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대상 부품에 홀이 없는 경우에 원하는 사양의 부품이 작업대에 로딩된 것으로 판단하기로 한다.
물론, 반대로 부품에 홀이 있는 경우에 원하는 사양의 부품이 로딩된 것으로 로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업대(5)의 작업면(1)에는 패널형의 부품(20)이 로딩되어 있고, 이 부품(20)에는 홀이 있어서, 상기 감지봉(7)은 상기 스프링(11)에 의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작업면(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이 때에는, 상기 감지봉의 감지부(17)가 상기 근접센서(13)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임의의 판단장치에서는 원하는 사양의 부품이 아님을 판단하게 된다.
한편, 도 4의 경우에는 작업대의 작업면(1)에 로딩된 부품(20)에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 감지봉(7)은 상기 스프링(11)을 압축시키고 작업면(1)에서 함몰되어, 상기 감지부(17)가 상기 근접센서(13)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근접센서(13)가 상기 감지봉(7)이 근접한 것을 감지하여, 상기 근접센서(1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 임의의 판단장치가 상기 작업대(5)에 원하는 사양의 부품이 로딩되었음을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봉(7)과 감지봉지지블록(9) 및 스프링(11)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작업대(5)에 로딩된 부품의 홀의 존부를 감지하게 되면, 작업대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공구 및 로딩되는 부품 자체에 의해 근접센서가 파손되거나 오작동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대에 로딩되는 부품에 홀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봉과 감지봉지지블록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이나 공구 및 로딩되는 부품 자체에 의해 근접센서가 파손되거나 오작동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부품 감지장치가 보다 내구성을 갖추고, 정확하게 부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1. 감지대상 부품과 접촉하는 작업면과, 상기 작업면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형성된 감지구멍을 구비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감지구멍에 삽입되어 작업면으로 돌출된 상태와 작업면으로부터 함몰된 상태 사이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감지봉이 작업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감지봉지지블록과;
    상기 감지봉이 상기 작업대의 작업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감지봉이 작업면으로부터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봉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근접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에는 상기 작업대의 작업면으로 돌출되는 양을 제한하도록 감지봉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제한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감지봉지지블록 내에서 상기 돌출제한돌기부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의 단부에는 감지봉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근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부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감지장치.
KR1020040073771A 2004-09-15 2004-09-15 부품 감지장치 KR20060024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771A KR20060024907A (ko) 2004-09-15 2004-09-15 부품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771A KR20060024907A (ko) 2004-09-15 2004-09-15 부품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07A true KR20060024907A (ko) 2006-03-20

Family

ID=3713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771A KR20060024907A (ko) 2004-09-15 2004-09-15 부품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9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92B1 (ko) * 2006-03-29 2008-02-20 이동제 소자 제작기의 케이스 체킹장치
KR20160073214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신영 부품감지기능을 갖는 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감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92B1 (ko) * 2006-03-29 2008-02-20 이동제 소자 제작기의 케이스 체킹장치
KR20160073214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신영 부품감지기능을 갖는 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부품감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7045B2 (ja) 輪郭測定機
US10591268B2 (en) Feeler for workpieces being machined
KR20060024907A (ko) 부품 감지장치
KR100722225B1 (ko) 검사장치
KR101283815B1 (ko)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CN103697800A (zh) 一种圆环孔工件的底面平面度检测装置
JP3726927B2 (ja) シリンダ式ワーク押付け固定装置
KR20220081885A (ko) 리니어 가이드웨이의 상태감지장치
KR102130413B1 (ko) 바늘대 운동 감지용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틀
KR101224359B1 (ko) 핀 삽입장치
KR102272707B1 (ko) 오링 검사장치
JP7180960B2 (ja) 基板穴あけ装置及び基板穴あけ方法
KR102549877B1 (ko) 회전공구의 변위측정시스템
CN217155243U (zh) 一种通止规测量机构
CN205228349U (zh) 一种定位点在球心的汽车零部件的检测装置
CN210242604U (zh) 随线段差检测装置
CN217504729U (zh) 一种用于孔位置度传感检测治具
KR100936342B1 (ko) 완성품 홀 검사용 자동화장치
US20240066654A1 (en) Measuring device and program
KR101344458B1 (ko) 홀 위치 검사기구
KR101757141B1 (ko) 솔레노이드 성능검사기 및 성능검사방법
CN215952404U (zh) 一种用于检测柴油泵体上的机加工孔位置度的检具
KR200265330Y1 (ko) 자동조각기에서 가공물의 가공범위를 결정하는 방법 및그 장치
KR20240050800A (ko) 비접촉식 와류 측정기, 이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검사 시스템 및 비접촉식 검사 방법
KR930008125Y1 (ko) 슬리브 방향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