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707B1 - 오링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오링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707B1
KR102272707B1 KR1020190148835A KR20190148835A KR102272707B1 KR 102272707 B1 KR102272707 B1 KR 102272707B1 KR 1020190148835 A KR1020190148835 A KR 1020190148835A KR 20190148835 A KR20190148835 A KR 20190148835A KR 102272707 B1 KR102272707 B1 KR 10227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isposed
insertion groove
sensor
contac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065A (ko
Inventor
양용환
문기석
김홍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9014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7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8Machines for placing washers, circlips, or the like on bolts or other members
    • B23P19/084Machines for placing washers, circlips, or the like on bolts or other members for placing resilient or flexible rings, e.g. O-rings, cir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링 검사장치는 작업대 상에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며, 전방측에는 오링이 결합된 상기 밸브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삽입홈부의 외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삽입홈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나사부에 상기 오링이 장착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오링 검사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링 검사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링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O-ring}
본 발명은 오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나사부에 오링이 장착된 상태를 반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압이나 유압장치 및 각종 기계장치 등에 사용되는 볼트에는 오링(O-ring)을 장착하여 밀폐력을 향상시켜 사용한다. 이런, 오링은 실린더, 밸브 등 기밀을 요구하는 부위에 장착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원형 고리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오링은 부피가 작고 탄성력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직접 볼트에 삽입시켜 장착시킨다.
또한, 밸브에 오링이 조립되었는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확인해야 되기 때문에 볼트의 오링 장착에 대한 자동화공정을 수행할 수 없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링이 장착되지 않은 밸브가 발생되어 완제품의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72181호(공고일: 2015.12.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나사부에 오링이 장착된 여부를 반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링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는 작업대 상에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며, 전방측에는 오링이 결합된 상기 밸브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삽입홈부의 외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삽입홈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나사부에 상기 오링이 장착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오링 검사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링 검사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 검사부는, 상기 삽입홈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오링과의 접촉에 의해 이동되는 접촉핀; 상기 접촉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센서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공간상에 배치되는 이동핀; 및 상기 공간상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핀과 연결되어 상기 접촉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는 밸브의 나사부에 오링이 장착된 상태를 반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오링이 설치되는 않은 상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오링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는 밸브의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된 상태를 반자동에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인 것으로써, 이러한 오링 검사장치는 본체(100), 오링 검사부(200) 및 센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작업대(T) 상에서 지지대(G)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에는 밸브(10)의 나사부(11)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하부측에는 후술하는 이동핀(2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접촉핀(210)과 오링(1)이 접촉되어 이동되면 이동핀(2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홀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제1 단턱(120), 제2 단턱(130) 및 위치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120)은 삽입홈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되 삽입홈부(11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20)은 삽입홈부(110)에 삽입되는 밸브(10)의 나사부(11) 중, 나사부(10)와 밸브 본체(12)가 연결되는 부위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3)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삽입홈부(110)에 나사부(11)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3)가 제1 단턱(120)에 접촉되어 나사부(11)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제2 단턱(130)은 제1 단턱(120)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삽입홈부(11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제1 단턱(120) 보다 더 돌출 형성되어 나사부(11)에 장착된 오링(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턱(130)에는 후술하는 접촉핀(2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단턱(130)에는 접촉핀(210)이 관통 설치되는 설치홀(13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삽입홈부(110)에 나사부(11)가 십입되는 과정에서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된 경우에는, 오링(1)이 제2 단턱(130)에 배치되면서 접촉핀(210)과 접촉되어 접촉핀(210)을 이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삽입홈부(110)에 나사부(11)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링(1)이 접촉핀(210)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접촉핀(210)이 이동되지 않는다.
위치홈(140)은 제2 단턱(130)의 안쪽에 형성되어 삽입홈부(110)로 삽입되는 나사부(11)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부(200)는 삽입홈부(1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오링 검사부(200)는 접촉핀(210), 이동핀(220) 및 탄성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핀(210)은 삽입홈부(11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제2 단턱(130)에 형성된 설치홀(13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접촉핀(210)의 일부는 설치홀(13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삽입홈부(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본체(100)의 공간(101) 상에 배치된다.
접촉핀(210)은 제2 단턱(130)에 배치되는 오링(1)과 접촉되어 설치홀(131) 상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접촉핀(210)의 이동에 의해 후술하는 이동핀(220)을 이동하게 된다.
이동핀(220)은 접촉핀(210)의 일측으로부터 센서부(300)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본체(100)의 공간(101)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오링(1)과 접촉핀(210)의 접촉에 의해 접촉핀(210)이 이동되면 접촉핀(210)과 함께 이동된다.
이동핀(220)의 이동은 후술하는 센서(310)가 감지하고, 센서(310)가 이동핀(220)의 감지 여부에 따라 나사부(11)에 오링(1)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230)는 본체(100)의 공간(101)상에 배치되되, 일측은 접촉핀(210)과 연결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본체(100)의 벽면과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접촉핀(2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오링(1)과의 접촉에 의해 이동된 접촉핀(210)을 오링(1)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는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오링 검사부(200)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300)는 센서부 본체(320), 센서수용블록(330) 및 오목홈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 본체(320)는 본체(10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으며, 센서부 본체(320)에는 후술하는 센서와 연결된 회로부품들이 내장될 수 잇다.
센서수용블록(330)은 센서부 본체(320)의 일측단부로터 연장 형성되어 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수용블록(330)의 내부에는 오링(1)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핀(220)을 감지하는 센서(31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310)는 이동핀(220)이 이동되어 센서(310)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310)가 사용될 수 있다.
근접센서(310)는 검출대상물이 접근할 때 비접촉방식으로 검출대상물을 감지하는 것으로, 근접센서(310)는 크게 전자유도를 이용한 고주파 발진형과, 자석을 이용한 자기형, 및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형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오목홈부(340)는 센서수용블록(33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핀(220)이 이동되는 공간(10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오목홈부(340)에는 센서수용블록(33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센서(310)가 이동핀(220)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홀(3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310)는 오링(1)과 접촉된 접촉핀(210)이 이동하고, 접촉핀(210)의 이동에 의해 접촉핀(210)과 연결된 이동핀(220)이 이동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 오링(1)이 나사부(11)에 장착된 여부를 센서(310)와 연결된 컨트롤러(미도시)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된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체(100)의 일측에는 컨트롤러에 의해 판단된 오링(1)의 장착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람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알람부는 오링(1)의 장착 여부를 디스플레이 및 알림음 등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오링이 설치되는 않은 상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 오링이 설치된 상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여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오링 검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오링(1)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나사부(11)를 본체(100)의 삽입홈부(110)에 삽입하게 되면, 돌출부(13)가 제1 단턱(120)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고, 나사부(11)는 위치홈(14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접촉핀(210)이 이동지지 않고 접촉핀(210)이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핀(220)이 이동되지 않아 센서(310)는 이동핀(220)을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센서(310)가 이동핀(220)을 감지하지 않은 상태의 신호를 컨트롤러가 감지고, 컨트롤러는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하여 알람부를 통해 작업자에게 작업 불량신호를 알리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여 나사부에 오링(1)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오링 검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오링(1)이 장착된 상태의 나사부(11)를 본체(100)의 삽입홈부(110)에 삽입하게 되면, 돌출부(13)가 제1 단턱(120)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고, 나사부(11)는 위치홈(14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오링(1)은 제2 단턱(130)에 배치되면서 접촉핀(210)과 접촉되어 접촉핀(210)을 이동시킨다.
접촉핀(210)이 이동되면 접촉핀(210)과 함께 이동핀(220)이 오목홈부(340) 상에서 이동되어 검사홀(341)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센서(310)는 이동핀(220)을 감지하게 되고, 이동핀(220)의 감지신호를 컨트롤러에 송신하게 된다. 감지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는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된 상태라고 판단하여 알람부를 통해 작업자에게 작업 양호신호를 알리게 된다.
오링 검사가 완료되어, 밸브(10)를 오링 검사장치로부터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접촉핀(21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밸브의 나사부(11)에 오링(1)의 장착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링 검사장치는 밸브(10)의 나사부(11)에 오링(1)이 장착된 여부의 검사를 반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오링 10: 밸브
11: 나사부 12: 밸브 본체
13: 돌출부 100: 본체
101: 공간 110: 삽입홈부
120: 제1 단턱 130: 제2 단턱
131: 설치홀 140: 위치홈
150: 장홀부 200: 오링 검사부
210: 접촉핀 220: 이동핀
230: 탄성부재 300: 센서부
310: 센서 320: 센서부 본체
330: 센서수용블록 340: 오목홈부
341: 감지홀

Claims (4)

  1. 밸브에 결합된 오링의 장착 유무를 검사하는 오링 검사장치에 있어서,
    작업대 상에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배치되며, 전방측에는 오링이 결합된 상기 밸브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삽입홈부의 외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삽입홈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나사부에 상기 오링이 장착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오링 검사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링 검사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 검사부는,
    상기 삽입홈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오링과의 접촉에 의해 이동되는 접촉핀; 상기 접촉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센서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공간상에 배치되는 이동핀; 및 상기 공간상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핀과 연결되어 상기 접촉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측에는,
    상기 본체의 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이동핀이 상기 센서부를 향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장홀부가 형성되는 오링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부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밸브의 나사부와 밸브본체가 연결되는 부위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의 이동을 제안하는 제1 단턱;
    상기 제1 단턱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내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단턱 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링이 배치되고, 상기 접촉핀이 설치되는 설치홀이 마련된 제2 단턱; 및
    상기 제2 단턱의 안쪽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로 삽입되는 상기 나사부가 위치되는 위치홈;을 포함하는 오링 검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센서부 본체;
    상기 센서부 본체의 일측단부로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오링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이동핀을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되는 센서수용블록; 및
    상기 센서수용블록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핀이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센서수용블록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센서가 이동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홀이 마련된 오목홈부;를 포함하는 오링 검사장치.
KR1020190148835A 2019-11-19 2019-11-19 오링 검사장치 KR10227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835A KR102272707B1 (ko) 2019-11-19 2019-11-19 오링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835A KR102272707B1 (ko) 2019-11-19 2019-11-19 오링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065A KR20210061065A (ko) 2021-05-27
KR102272707B1 true KR102272707B1 (ko) 2021-07-05

Family

ID=7613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835A KR102272707B1 (ko) 2019-11-19 2019-11-19 오링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7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181B1 (ko) * 2015-08-24 2015-12-04 송준석 오링이 조립된 볼트의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233B1 (ko) * 1995-04-29 1998-12-15 배순훈 회로기판의 자삽부품 미삽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181B1 (ko) * 2015-08-24 2015-12-04 송준석 오링이 조립된 볼트의 자동 검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065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8975B1 (en) Eddy current sensor
US7679379B2 (en) Detecting apparatus and detecting board thereof
CN201575883U (zh) 纱线张力传感器
GB2142473A (en) Pipeline pig passage indicator
KR102272707B1 (ko) 오링 검사장치
CN108899740A (zh) 一种pcb板的浮动导向检测连接装置
CN107499860A (zh) 一种电池生产线中的托盘防呆检测装置
CN210774108U (zh) 棒状接近式传感器快速换型装置
KR20160037564A (ko) 자석을 이용한 센서고정장치
CN212539124U (zh) 一种冲压产品快速测量装置
CN210533229U (zh) 一种电机轴伸尺寸检测装置
JPH0726646Y2 (ja) 穴深さ検査装置
CN205765265U (zh) 一种能防止小孔漏加工出厂的检漏气动夹具
CN205448879U (zh) 一种操纵杆总成后盖壳体检具
JP3072986U (ja) ワークの着座確認装置
KR101783180B1 (ko) 액상 또는 분립체 상태의 원료 투입량 확인용 레벨 스위치 설치구조
KR20150073804A (ko) 볼트사양 감지장치
CN209086452U (zh) 防止部品错装、漏装的检测机构
CN213240258U (zh) 一种接近开关高低温检验夹具
CN209197604U (zh) 一种l形电机端盖检测工装
CN219046139U (zh) 一种磁阻接近传感器
CN213238947U (zh) 一种感应传递装置、螺柱防漏焊感应装置及检验工装
KR20170042186A (ko) 보스 홀 막힘 판별 장치
CN219417765U (zh) 螺钉检测装置
CN219871742U (zh) 磁吸力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