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760A -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가소성 경화 재료 및이의 생산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가소성 경화 재료 및이의 생산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760A
KR20060024760A KR1020047020141A KR20047020141A KR20060024760A KR 20060024760 A KR20060024760 A KR 20060024760A KR 1020047020141 A KR1020047020141 A KR 1020047020141A KR 20047020141 A KR20047020141 A KR 20047020141A KR 20060024760 A KR20060024760 A KR 20060024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eight
fillable
melt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093B1 (ko
Inventor
에밀 빌딩
마르쿠스 파트
슈테판 프라이
Original Assignee
비케이 기울리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케이 기울리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케이 기울리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2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087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6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17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20Compositions for hot melt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90Compositions for adhesives used in footw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8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3Cellulosic [e.g., wood, paper, cork, rayon, etc.]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또는 신발의 일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신규한 열가소성 경화 재료 및 이의 생산을 위한 환경 친화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료는 열융해성 접착제/충전제 화합물의 형태로 제공되고 하나 이상의 열융해성 접착제 및 50 내지 15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공급되며 열융해성 접착제에는 용해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충전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융해성 접착제/충전제 화합물은 동시에 다음의 파라미터를 충족한다: 1. MFFR 값이 2 내지 6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cm3/10min; 2. 10N/2c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N/2cm, 본원에서는 특히 20N/2cm을 가지는 65℃에서 DIN EN 14610에 따라서 측정된 표면 트랙; 3. DIN 53357 표준을 채택하여 측정된 30N/5cm 이상의 상부 재료 및 안감에 관한 결합 값/내탈피성; 4. 90℃의 온도에서 측정된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의 최대 길이 신장(length extension).

Description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가소성 경화 재료 및 이의 생산을 위한 방법 {THERMOPLASTIC STIFFENING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SHOES,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제조를 위한 환경 친화적인 생산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신발 또는 신발의 일부를 생산하기 위한 신규한 열가소성 경화 재료에 관한 것이다.
신발을 위한 경화 또는 강화 재료는 코 및 빳지심(toe and counter puffs), 내열성 밑창, 측면 강화 및 슬립 벨트, 힐 강화 및 다양한 코(cap) 조합을 포함한다. 최신 신발 생산 가공은 탑재된 구둣골의 최종 제거후에 편안한 형태 및 착용 안정성 뿐만 아니라 재도약 탄력성을 가지는 신발을 제공하기 위하여 최근에 이러한 구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익숙해졌다.
열가소성 신발 경화 재료는 이를 구둣골 모양에 적용시킨 후에, 이 재료를 신발 위(예를 들어 가죽) 또는 섬유 내부 안감에 결합/접착시키는 소위 활성화 가공에서 열 및 압력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 중에서 적용될 수 있다.
DE 26 21 195C는 시트 형성 경화 재료의 제조를 설명하고 있고, 여기서 지지 재료는 추가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용융성(meltalble) 분말 중합체 재료로 코팅되어 있다.
이러한 용융성 중합체는 다른 것들중에서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를 가지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허의 내용은 분말 중합체 및 충전제 재료 혼합물의 충전 재료양을 확대하고 여전히 재료의 통상적인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에 관한 해결책은 양 재료의 입자 크기 분포가 비교될 정도로 존재한다면 충전제의 양을 용융성 분말 중합체 재료의 양에 관한 100부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중합체 특성 및 이후에 실제 중합체와 같은 거동이 완전하게 생성된 경우, 단지 그때 충전제 입자가 전체적으로 용융성 중합체 재료로 코팅된다. 목재 분말 및 초크가 전형적인 충전제 입자 예로서 언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화 재료는 신발 생산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온도에서 결합시키거나 접착시키는 능력을 가지지 않아서 추가적인 접착 또는 결합 공정 또는 접착 재료의 응용이 필요하다.
EP 183 192 B2는 즉시 결합성 또는 접착성을 가지는 신발 경화에 적합한 재료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문헌은 용융성 접착 재료와 조합한 중합체, 예를 들어 대략 60℃의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 온도를 가지고 용융된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완전히 제조되거나 전체적으로 코팅된 불활성 충전제를 사용하고 있다. 접착 재료-바인더의 비율이 바인더에 대하여 70 내지 20중량%이고 충전제에 대하여 30 내지 80중량%이다. 충전제의 입자 크기 분포는 50 내지 500μm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충전제가 활성화 상태에서, 융해성 중합체 결합제 또는 접착 재료에서 불용성인 불활성 중합체를 포함한다는 사실에서 발견되고, 이 는 충전제가 결합 접착제의 용융 온도 범위에서 용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적합한 충전제중 하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즉 PVC이고, 입자 크기 기여 비교가능성의 전제조건을 여전히 혼합물의 내부 부착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진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결합제 또는 접착제의 다른 예는 폴리우레탄 및 개질된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이다. 제조 과정중에 적당하고 충분한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 재료를 적용시키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통상 부직물, 섬유 재료 이형지). 이러한 지지 재료는 제조 가공중에 필요하다. 본원에서 설명된 경화 재료는 더이상 추가 접착 재료 또는 결합 재료를 필요하지 않고 충전제의 80중량%까지가 구성 성분의 합리적인 선택과 함께 코팅 재료의 전체적인 양에 관련하여 사용되어질 지도 모른다. 절단 또는 스카이빙(skive)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코팅은 절단되지 않고 스카이빙되지 않은 완전한 재료와 같이 동일한 양질의 열가소성 및 접착 특성을 보여준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열융해성 접착제는 50 내지 80℃의 용융 온도 범위를 보여주고 충전 입자를 접착제에 의하여 이들의 표면에 결합시킨다.
신발 생산을 위한 강화 및 경화 재료는 일련의 추가 특허 문헌에서 설명되어 있다. 출원인이 영국 텍스톤인 WO 00/41585 A1 및 출원인이 영국 텍스톤인 WO 00/53146이 추가 평가를 제외하고 예시적인 기능을 나타낼 것이다.
EP 183 192에 따른 이러한 경화 재료를 적용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은 신발 쉐프트에 수동으로 위치시키기 전에, 개별적으로 열가소성 성형 또는 결합제 또는 접착제의 용융을 유도하는 경화 재료의 예열이다.
위치시킨 후에 동시에 접착 또는 결합과 함께 형성시키기 위하여 고온 또는 저온 가압된다.
이러한 예열 또는 활성화는 접촉 가열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다. 충분한 기계적인 안정성 및 고온 상태 조작을 위하여 제어될 수 있는 표면 접착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러한 생산물에 지지 섬유 재료가 공급된다. 이러한 섬유 재료는 양쪽에 표면적으로 덮여진 개구 섬유, 조직 또는 부직포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제어되고 감소된 표면 점착성으로 조합된, 충분한 기계적인 안정성을 수득할 수 있고; 압력하에서, 접착 재료가 제조 가공 중에 덮힌 섬유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고섬유재 비용의 주요한 단점을 가지고 섬유 지지재의 부분으로 인한 재활용 기회의 보다 중요한 손실을 가져온다. 최종 재료/시트 재료의 절단 및 스카이빙되는 "폐기물"은 초기 재료 중량의 30%일지도 모른다.
고온 상태에서 수동으로 양질의 응집성 또는 안정성을 가지는 신발 쉐프트로 위치시키는 양질의 접착성의 작업은 50 내지 100℃의 제조 가공의 온도 범위에서 일어나고 편리한 표면 점착성이 조화를 이루기에 용이하지 않다. 지금끼지는, 이러한 필요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었고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적합하고 이미 사용되는 경화 재료를 제공하는 섬유 또는 코팅으로 다중층 조합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의 주요한 단점은 고비용 및 재료의 결여된 재활용 가능성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층 재료 조합을 적용할 필요 없이, 게다가 확실하게 절단되고 스카이빙되어 생기는 생산 폐기물이 원료처럼 100% 재활용될 수 있는 상기 언급된 파라미터를 전적으로 만족시키는 제조 방법을 위한 적합한 열융해성/충 전성 조합 또는 화합물을 찾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목재, 목재 분말 또는 코르크와 같이 천연적으로 발생되는 충전제 또는 초크, 카올린 등과 같은 불활성 무기 충전제와 조합하여 경화성 및 접착성의 필요한 값을 수득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선택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상기 언급된 작업이 하기로 구성된 열융해성/충전제 화합물인 열가소성 경화 재료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1. 2 내지 300의 MMFR 값/융해 물질 흐름 속도(독일 DIN ISO 1133에 따라서 21.6kg, 100℃에서 측정됨),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cm3/10min인, 50 내지 95중량%의 하나 이상의 열융해성 접착제 및
2. 하기 파라미터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열융해성 접착제 및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에서 해결되지 않은 불용성인 50 내지 5중량%의 하나 이상의 충전제:
1. MFFR 값이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cm3/10min이고,
2. 표면 점착성(tack) 65℃에서 유럽 표준 DIN EN 14610에 따라 측정시 10N 이상 최대 60N까지, 바람직하게는 15N, 매우 바람직하게는 30N이며,
3. 표면 재료, 가죽 또는 안감에 대항한 내접착능(adhesive resistance)/내탈피성(peel off resistance)이 독일 DIN 53357 표준을 채택하여 측정시 30N/5cm 이상이며,
4. 최대 길이 신장율(length extension)이 90℃의 온도로 고온 캐비넷에서 5분 동안 저장한 후에 측정시 25%,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임.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에 의하여 신발 제조를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경화 재료는 특히 열융해성 성분 a가 하기로 제조된 혼합물에 의한 사실에 의하여 특징지워 진다:
1. 75 내지 95중량%의 선형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75 내지 95중량%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2. 1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을 가지는 0 내지 25중량%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조합하고, 충전제가 무기 및 광물성 충전제, 유기의 식물유래성 충전제, 중합체 및 10 내지 1000μm,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구형, 다중날(multi-edged) 입자 형태 또는 45 내지 1000μm,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0μm의 길이를 가지는 섬유 형태의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목재 분말은 45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바람직한 충전제로서 선택되어 진다. 충전제는 또한 초크, 특히 산업적으로 사용되는 10 내지 45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초크 또는 중합체, 예를 들어 45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65℃에서 DIN EN 14510에 따라서 측정된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의 표면 점착성은 10N이상(최대 60N), 바람직하게 15N, 특히 30N의 값을 보여준다. 60N보다 높은 점착성인 경우에 강하게 재료의 조작 특성을 최소화한다.
활성화된 상태에서 재료 안정성을 보이는 길이 신장율은 90℃에서 고온 케비넷에서 측정되었다. 폭 2cm 및 길이 10cm 및 깊이 0.95mm의 전시 시험지가 5분 가열후에 케비넷으로부터 수득되어 길이 크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래 적용된 시 료에 관하여 길이의 변화가 측정되고 %로 나타났다.
90℃의 온도에서 최대 20%의 길이 신축성을 증명하는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이 가장 적합한 재료이고, 다만 제 1 청구항에 따른 다른 파라미터가 만족되는 경우에 한한다.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에 의한 신발 생산을 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경화 재료의 제조에 적합하게 방법을 만드는 것은 열융해물이 최대 220℃의 온도에서 융해되고 충전제가 투약장치를 통하여 교반 및 혼합하에서 열융해물에 투약되고, 습기 및 발생 기체가 탈기 장치에 의하여 추출되며, 가단성 물질이 진공 탈기 장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가단성 물질은 구축된 신발 경화 가공에 따라서 추가 처리를 위하여 준비된다.
표 1은 발명의 열융해성/충전제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측정된 값은 신발 경화 재료와 같은 화합물의 적합성을 증명한다.
표 1
조성물 N/5cm에서 결합/접착 길이 신장율[%](고온 상태에서 안정성) 100℃/21.6kg/점성/[cm3/ 10min]에서 MFFR 둥근 시료Ø 2cm[N] 접촉 틈 발생사유 적합성
1 76 14 3.6 39.8 NC/CF 있음
2 65 25 6.3 32.2 NC 있음
3 55 19 3.8 21.5 NC 있음
4 57 13 1.8 10.1 NC 없음
5 88 10 5.2 19.2 NC 있음
6 22 12 2.3 <5 NC 없음
7 49 ≥25 8.2 35.2 NC/CF 없음
8 59 <25 2.1 14.8 NC 있음
9 n.n 27 2.8 18.3 NC 없음
10 n.n(1) n.n(1) 16.2 36.4 CF 없음
11 n.n(1) n.n(1) 67.7 37.6 CF 없음
12 n.n(1) n.n(1) 319.6 31.6 CF 없음
13 0 n.g n.g 0 - 없음
14 n.g >5 n.n(2) 25 NC 없음
약자의 설명에 대하여는 하기 설명을 참조.
1 내지 15의 식은 하기의 성분을 함유한다:
1. 50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이는 개별적으로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75중량%의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및 30중량%의 목재 분말 또는 섬유질(피니아 소나무).
2. 150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이는 개별적으로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80중량%의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및 20중량%의 목재 분말 또는 섬유질(피니아 소나무).
3. 150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이는 개별적으로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70중량%의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및 30중량%의 목재 분말 또는 섬유질(피니아 소나무).
4. 150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이는 개별적으로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60중량%의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및 40중량%의 목재 분말 또는 섬유질(피니아 소나무).
5. 150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이는 개별적으로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65중량%의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5중량%의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30중량%의 목재 분말 또는 섬유질(피니아 소나무).
6. 150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보이는 개별적으로 10kg하중을 가지는 190℃에서 측정시 20 내지 35cm3/10min의 MFFR 값을 가지는 7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30중량%의 목재 분말 또는 섬유질(피니아 소나무).
7.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70중량%의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및 45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탄산분필로부터 수득된 시판되는 30중량%의 초크.
8.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70중량%의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및 150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충전제로서 30중량%의 그라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9. 10kg의 하중을 가지는 190℃에서 측정시, 20 내지 35cm3/10min의 MFFR 값을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10.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11. 4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12. 190℃/2.1kg에서 측정시 28중량%의 아세테이트 및 150g/10min의 융해 흐 름 지수를 가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3. DE 26 21 195C에 따른 재료.
14. EP 183 192 C1, 실시예 2에 따른 재료.
표는 하기 약자를 사용하였다:
n.n. 재료가 충분하게 안정하지 않기 때문에 감지불가, 측정불가를 의미한다. 이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예를 들어 고온 상태에서 불가능한 가공.
n.n.(2) 섬유 지지로 인한 측정불가
n.g. 측정 불가
NC 불완전한 증온- 화합물 및 표면 재료(가죽)사이를 의미하는 접착편 곁에 틈이 있는 재료를 의미함
CF 응집 균열-화합물내에 틈이 있는 것을 의미함
결과의 요약
원료, 생산물 9, 10 및 12, 뿐만 아니라 지지재 없는 EP 183 192 및 DE 26 21 195에 따른 재료 13 및 14가 한개 이상의 파라미터에서 벗어나 적합하지 않고 생산물 창 밖으로 설정됨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 3, 5에 따른 발명 재료는 이들이 모든 4개의 파라미터를 충족하고 이들이 소위 "생산물 창"내에 존재하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표 1은 일부 중합체의 적합성이 또한 제한되는 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상기 재료는 이들의 평활한 표면으로 인하여 낮은 응집력을 보여준다.
제조 방법
80,000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열융해성 접착제를 190℃에서 융해시켰다. 충전제, 즉 150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목재 분말 섬유 혼합물을 투약장치를 통하여 교반 및 혼합하에서 열융해물에 첨가시키고, 발생된 습기 및 기체를 탈기 장치에 의하여 제거하였다. 가단성 물질을 추가로 진공 탈기 장치로 탈기시켰다.
가단성 물질을 40℃로 시작하여 20℃로 종료되는 감소 온도 프로파일을 보이는 캘린더의 각 단계의 온도를 가지는 다중 단계 로울러 캘린더로 유도할 것이다. 캘린더에서 가단성 물질이 평활하게 로울링되고 냉각후에 시트 재료의 형태로 캘린더로 방출될 것이다. 이 평평한 시트 재료가 코 및 빳지심에 대한 구축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절단되고 스카이빙될 것이다. 절개 가공 및 스키브 가공으로 수득된 폐기물이 수집되고 연삭 가공후에 이 기저물이 다시 가공되도록 유도되거나 경화 재료의 제조를 위한 분말 기술에서 분말형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은 또한 과립화될 수 있고 이러한 과립은 다시 융해될 수 있고 압출되거나 캘린더링되어 평탄 호일 또는 시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추가의 방법은 사출 성형 기술이다.
본 발명의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은 또한 50 내지 10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미세 분말을 위한 기초일 수 있고 경화부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평탄 호일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3차원 입체 경화 요소 또는 부분의 제조를 위한 분발 코팅 기술에서 열융해 성/충전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가능하다.
상이한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발명의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 또는 경화 재료 및 이를 함유하는 생산물은 매우 양질의 착용 특성을 보인다.

Claims (12)

  1. a. MFFR 값(DIN ISO 1133에 따라서 21.6kg, 100℃에서 측정됨)이 2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cm3/10min인, 50 내지 95중량%의 하나 이상의 열융해성 접착제 및
    b. 하기 파라미터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열융해성 및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에서 불용성인 50 내지 5중량%의 하나 이상의 충전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을 통한 신발 제조를 위한 열가소성 경화 재료:
    1.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cm3/10min의 MFFR 값,
    2. 65℃에서 DIN EN 14610에 따라 측정시 10N 이상 최대 60N까지, 바람직하게는 15N, 특히 30N의 표면 점착성(tack),
    3. 독일 DIN 53357 표준을 채택하여 측정시 30N/5cm 이상의 표면 재료에 대한 내접착능(adhesive resistance),
    4. 90℃의 온도로 고온 캐비넷(hot cabinet)에서 5분 동안 화합물을 유지한 후에 측정시 25%,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의 최대 길이 신장율(length extension).
  2. 제 1항에 있어서, 열융해성 성분 a가 1) 75 내지 95중량%의 선형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75 내지 95중량%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2) 1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을 가진 0 내지 25중량%의 에틸 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된 혼합물이고, 50 내지 5중량%의 충전제가 무기 및 광물성 충전제, 유기의 식물유래성 충전제, 중합체 및 10 내지 1000μm,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진 구형, 다중날(multi-edged) 입자 형태 또는 45 내지 1000μm,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0μm의 길이를 가진 섬유 형태의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을 통한 신발 제조를 위한 열가소성 경화 재료.
  3. 제 1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45 내지 5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진 목재 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재료.
  4. 제 1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45μm의 입자 크기를 가진 초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재료.
  5. 제 1항에 있어서,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의 표면 점착성이 25 내지 45N의 값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재료.
  6. 제 1항에 있어서,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의 길이 신축성(stretchiness)이 90℃에서 측정된 경우 20%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재료.
  7. 열융해성 접착제가 융해되고 충전제가 투약장치를 통하여 재료를 교반하고 혼합하여 열융해물에 첨가되고, 습기 및 발생 기체가 탈기 장치에 의하여 추출됨으로써, 이로 인하여 생성된 가단성 물질을 추가 가공을 위하여 작동중인 진공 탈기 장치로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을 통한 신발 제조를 위한 열가소성 경화 재료의 제조 방법.
  8. 열융해물이 과립화되고 다시 과립물이 융해된 후 압출 또는 캘린더링에 의하여 평탄 호일로 추가로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을 통한 신발 제조를 위한 열가소성 경화 재료의 제조 방법.
  9. 사출 성형 기계가 열융해성/충전성 원료 화합물로부터 경화부를 생산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따른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발 제조를 위한 열가소성 경화 재료의 제조 방법.
  10. 경화부를 구성하기 위하여 적용된 평탄 호일의 제조를 위한 50 내지 10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미세 분말 형태의 제 1항에 따른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의 용도.
  11. 3차원 입체 경화부를 생산하기 위한 50 내지 1000μ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는 미세 분말 형태의 제 1항에 따른 열융해성/충전성 화합물의 용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에 따른 경화 재료를 함유하는 신발.
KR1020047020141A 2003-04-11 2004-03-27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가소성 강화 재료 및 이의 생산을 위한 방법 KR100919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6617A DE10316617A1 (de) 2003-04-11 2003-04-11 Thermoplastisches Versteifungsmaterial für die Schuhherstellung und ein Verfahren für seine Herstellung
DE10316617.3 2003-04-11
DE1031617.3 2003-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760A true KR20060024760A (ko) 2006-03-17
KR100919093B1 KR100919093B1 (ko) 2009-09-28

Family

ID=3315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141A KR100919093B1 (ko) 2003-04-11 2004-03-27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가소성 강화 재료 및 이의 생산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7786193B2 (ko)
EP (1) EP1525284B1 (ko)
JP (1) JP4838584B2 (ko)
KR (1) KR100919093B1 (ko)
CN (1) CN1328347C (ko)
AT (1) ATE364669T1 (ko)
AU (1) AU2004227055B2 (ko)
BR (1) BRPI0405227A (ko)
CA (1) CA2488119C (ko)
DE (2) DE10316617A1 (ko)
DK (1) DK1525284T3 (ko)
EA (1) EA008431B1 (ko)
ES (1) ES2289502T3 (ko)
GE (1) GEP20084288B (ko)
IL (1) IL171255A (ko)
MA (1) MA27829A1 (ko)
MX (1) MXPA05002866A (ko)
NO (1) NO332989B1 (ko)
NZ (1) NZ542771A (ko)
PL (1) PL1525284T3 (ko)
PT (1) PT1525284E (ko)
SI (1) SI1525284T1 (ko)
TN (1) TNSN05228A1 (ko)
UA (1) UA77334C2 (ko)
WO (1) WO2004090061A1 (ko)
ZA (1) ZA2004091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7381A (zh) * 2015-06-18 2015-09-23 福建师范大学泉港石化研究院 一种聚氨酯增韧pe木塑复合材料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6660A1 (de) * 2006-11-29 2008-06-05 Henkel Kgaa Formteile aus Schmelzklebstoffen
JP2010511082A (ja) * 2006-11-29 2010-04-08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 ホットメルト接着剤からの成形品
DE102009020036A1 (de) * 2009-05-05 2010-11-11 Bk Giulini Gmbh Thermoplastische Versteifungsmaterialien
GB2474015B (en) * 2009-09-24 2012-07-04 Han-Ching Wu Method for manufacturing environmental protection insole
DE102010030437A1 (de) * 2010-06-23 2011-12-29 Henkel Ag & Co. Kgaa TPU-Kaschierklebstoff
DE102012013432B4 (de) * 2012-07-05 2015-05-07 Bk Giulini Gmbh Füllstoffmischung und deren Verwendung für die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Schuhversteifungsmaterialien
CN104594065B (zh) * 2015-02-04 2017-03-22 安安(中国)有限公司 一种花布伦合成革的生产方法
KR102244966B1 (ko) * 2015-06-19 2021-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DE102017002070A1 (de) 2017-03-06 2018-09-06 Rhenoflex Gmbh Kunststoff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von Versteifungsmatherialien
CN108316022A (zh) * 2018-03-16 2018-07-24 安安(中国)有限公司 一种采用真空吸花技术的超纤贾卡的生产方法
DE102019200741A1 (de) * 2019-01-22 2020-07-23 Rhenoflex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Versteifungselementen aus pulverförmigem Material
USD1010297S1 (en) 2021-06-30 2024-01-09 Puma SE Shoe
TW202328534A (zh) 2021-12-21 2023-07-16 德商雷諾福瑞克有限公司 用於紡織品之增強材料及其應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251A (en) * 1971-03-17 1973-12-11 Bixby Box Toe Co Inc Shoe stiffener materials
US4717496A (en) * 1984-12-03 1988-01-05 Giulini Chemie Gmbh Stiffening material with melt-adhesive properties
DE3633777C2 (de) * 1985-10-03 1996-08-22 Mitsubishi Gas Chemical Co Hot-melt-Kleberzusammensetzung
DE3539573A1 (de) * 1985-11-08 1987-05-14 Giulini Chem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reidimensionaler versteifungsteile aus schmelzbarem kunststoffpulver und aufbringen dieser teile auf substrate, insbesondere leder
US4939036A (en) * 1987-10-14 1990-07-03 Amoco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tufted pile carpet and adhesive therefor
GB9216775D0 (en) * 1992-08-07 1992-09-23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Orthopaedic splinting/casting material
US5525663A (en) * 1994-08-18 1996-06-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active hot-melt adhesive and/or seal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40101643A1 (en) * 1996-11-26 2004-05-27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Limited Adhesives containing FDA approved materials
US6391380B1 (en) * 2000-08-03 2002-05-21 Stanbee Company, Inc. Stiffener material with self adhesive proper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7381A (zh) * 2015-06-18 2015-09-23 福建师范大学泉港石化研究院 一种聚氨酯增韧pe木塑复合材料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409142B (en) 2006-02-22
DE10316617A1 (de) 2004-11-11
AU2004227055A1 (en) 2004-10-21
CN1328347C (zh) 2007-07-25
TNSN05228A1 (en) 2007-06-11
PT1525284E (pt) 2007-08-08
EA008431B1 (ru) 2007-06-29
IL171255A0 (en) 2009-02-11
NO20055241L (no) 2005-11-08
DE502004004072D1 (de) 2007-07-26
MXPA05002866A (es) 2006-03-16
EP1525284A1 (de) 2005-04-27
EP1525284B1 (de) 2007-06-13
NZ542771A (en) 2009-03-31
EA200500380A1 (ru) 2006-04-28
UA77334C2 (en) 2006-11-15
WO2004090061A1 (de) 2004-10-21
CA2488119C (en) 2010-12-14
ATE364669T1 (de) 2007-07-15
MA27829A1 (fr) 2006-04-03
JP2006515895A (ja) 2006-06-08
DK1525284T3 (da) 2007-10-01
SI1525284T1 (sl) 2007-10-31
BRPI0405227A (pt) 2005-03-15
KR100919093B1 (ko) 2009-09-28
AU2004227055B2 (en) 2008-04-03
GEP20084288B (en) 2008-01-10
PL1525284T3 (pl) 2007-10-31
US7786193B2 (en) 2010-08-31
CN1697867A (zh) 2005-11-16
ES2289502T3 (es) 2008-02-01
US20060154047A1 (en) 2006-07-13
JP4838584B2 (ja) 2011-12-14
CA2488119A1 (en) 2004-10-21
NO332989B1 (no) 2013-02-11
IL171255A (en)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093B1 (ko)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가소성 강화 재료 및 이의 생산을 위한 방법
US20090278272A1 (en) Method of making laminar materials suitabl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shoes
JP6038306B2 (ja) 熱可塑性靴補強材を製造するための充填剤混合物
US8324299B2 (en) Moisture-curable hot melt adhesive
TWI535804B (zh) 熱塑性補強材料
JPH0694537B2 (ja) 剛化材料
US6100328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 and thermoadhesive reinforcing material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footwear
GB2154899A (en) Stiffening materials,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 use thereof
TWI332972B (en) Thermoplastic stiffening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shoes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134453B1 (ko) 커피 슬러지 조성의 합성보드를 포함하는 가구용 판상 자재의 제작방법 및 가구용 판상 자재
JP2003147181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