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469A - 캔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캔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469A
KR20060023469A KR1020040072325A KR20040072325A KR20060023469A KR 20060023469 A KR20060023469 A KR 20060023469A KR 1020040072325 A KR1020040072325 A KR 1020040072325A KR 20040072325 A KR20040072325 A KR 20040072325A KR 20060023469 A KR20060023469 A KR 2006002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condary battery
fixing means
electr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425B1 (ko
Inventor
권택현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425B1/ko
Priority to JP2005239183A priority patent/JP4545067B2/ja
Priority to CNB2005101025492A priority patent/CN100423348C/zh
Priority to US11/223,437 priority patent/US7939194B2/en
Publication of KR2006002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425B1/ko
Priority to JP2009273748A priority patent/JP5208096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조립체의 절연플레이트 타측에 터미널플레이트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이차전지가 외부의 충격 또는 압력을 받는 경우에 터미널플레이트가 변형되어 전극조립체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캔형 이차전지, 절연플레이트, 터미널플레이트, 고정수단, 안전성

Description

캔형 이차전지{Can Type Secondary battery}
도 1은 종래의 캔형 이차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형 이차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의 밑면도.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 밑면도.
도 4b는 도 4a의 B-B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 밑면도.
도 5b는 도 5a의 C-C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 밑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구비한 절연플레이트가 장착된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
도 8은 도 7의 이차전지가 종축압을 받아 변형된 이차전지의 저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캔 220 - 캡조립체
230 - 전극단자 240 - 캡플레이트
250 - 절연플레이트 252 - 안착홈
255, 255a, 255b, 255c - 고정수단
260 - 터미널플레이트
본 발명은 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조립체의 절연플레이트 타측에 터미널플레이트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이차전지가 외부의 충격 또는 압력을 받는 경우에 터미널플레이트가 변형되어 전극조립체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전화, 휴대형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무선 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캔형 이차전지는 제2전극판(113), 제1전극판(115) 및 세퍼레이터(114)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112)를 전해액과 함께 캔(110)에 수납하고, 이 캔(110)의 상단개구부(110a)를 캡조립체(120)로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120)는 캡플레이트(140)와 절연플레이트(150)와 터미널플레이트(160) 및 전극단자(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조립체(120)는 별도의 절연케이스(170)와 결합되어 캔의 상단개구부(110a)에 결합되어 캔(110)을 밀봉하게 된다.
상기 캡플레이트(140)는 상기 캔(110)의 상단개구부(110a)와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통공1(141)이 형성되며, 단자통공1(141)에는 전극단자(130)가 삽입된다. 상기 전극단자(130)가 단자통공1(141)에 삽입될 때는 전극단자(130)와 캡플레이트(140)의 절연을 위하여 전극단자(130)의 외면에는 튜브형의 개스킷튜브(146)가 결합되어 함께 삽입된다. 한편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일측에는 전해액주입공(142)은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타측에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120)가 상기 캔(110)의 상단개구부(110a)에 조립된 후 전해액주입공(142)을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되고 별도의 밀폐수단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전극단자(130)는 상기 제1전극판(115)의 제1전극탭(117) 또는 상기 제2전극판(113)의 제2전극탭(116)에 연결되어 제1전극단자 또는 제2전극단자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1전극판(115)은 양극판 또는 음극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전극 판(113)은 반대로 음극판 또는 양극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50)는 개스킷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캡플레이트(140)의 하면에 결합된다. 절연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130)가 관통되는 단자통공2(1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50)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가 안착되도록 터미널플레이트(160)의 크기에 상응하는 안착홈(15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는 Ni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15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에는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130)가 삽입되는 단자통공3(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단자(130)가 상기 개스킷튜브(146)에 의하여 절연되면서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141)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는 상기 캡플레이트(14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상기 전극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내부 단락이나 외부 단락 또는 과충방전 등에 의하여 전압이 급상승하고, 이 때문에 전지가 파열되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차전지 내부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극조립체에서 제2전극판과 제1전극판의 종단부와 전극탭 용접 부위를 포함하여 단락의 위험이 있는 부분에 절연테입을 부착하게 된다. 또한 이차전지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써멀퓨즈(thermal fuse) 및 보호회로(protecting circuit) 등과 같은 안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는 전지의 전압이나 온도가 급상승할 때 전류를 차단하여 전지의 파열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러나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경우에는 보호회로나 보호소자가 전극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상기 제2전극판과 제1전극판이 서로 단락되는 경우에는 제2전극판에서 제1전극판으로 급격히 전류가 흐르면서 제2전극판과 제1전극판의 자체 저항에 의하여 발열이 진행되므로 발열의 정도가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열이 심하게 되면 이차전지가 폭발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차전지가 종축방향으로 압축을 받거나, 캡조립체 상단에서 하방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는 캡조립체의 하면에 형성된 터미널플레이트가 절연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전극조립체의 제2전극판과 제1전극판을 단락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캡조립체의 절연플레이트 타측에 터미널플레이트의 타측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이차전지가 외부의 충격으로 변형되는 경우에 터미널플레이트가 전극조립체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캔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캔형 이차전지는 제2 전극판과 제1전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과, 캡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와 전극단자 및 터미널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에 결합되어 캔을 밀봉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통공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하면에 장착되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하면에 상기 터미널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판상으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 소정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평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개방된 캡 형상으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단으로부터 소정폭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타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절연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절연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하면에 상기 터미널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안착홈의 장측변 양측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절연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V 형상의 막대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안착홈의 장측변 양측과 단측변의 상면에 접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측변에 접착되는 위치가 상기 절연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접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측변에 접착되는 위치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형 이차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 밑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구비한 절연플레이트가 장착된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이차전지가 종축압을 받아 변형된 이차전지의 저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캔형 이차전지는, 도 2를 참조하면, 캔(210)과, 캔(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212)와,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를 밀봉하는 캡조립체(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조립체(220)에는 캡조립체(220)를 구성하는 터미널플레이트(260)의 변형을 방지하는 고정수단(255)이 절연플레이트(250)에 형성된다.
상기 캔(210)은 대략 박스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연성이 있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되나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캔(210)은 그 일면이 개구된 상단개구부(210a)를 포함하며, 상단개구부(210a)를 통해 전극조립체(212)가 수용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12)는 제2전극판(213)과 제1전극판(215) 및 세퍼레이터(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전극판(213)과 제1전극판(215)은 세퍼레이터(214)를 개재하여 적층된 후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판(213)에는 리튬산화물로 형성되는 양극산화물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전극판(215)에는 탄소재로 형성되는 제1전극산화물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전극판 (213)에는 제2전극탭(216)이 용접되어 있으며, 이 제2전극탭(216)의 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전극판(215)에도 제1전극탭(217)이 용접되어 있으며, 이 제1전극탭(217)의 단부도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전극판(215)과 제1전극탭(217)은 각각 음극판과 음극탭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양극판과 양극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판(213)과 제2전극탭(216)은 양극판과 양극탭으로 사용되며, 음극판과 음극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캡조립체(220)는 캡플레이트(240)와 절연플레이트(250)와 터미널플레이트(260)와 전극단자(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조립체(220)는 별도의 절연케이스(270)와 결합되어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조립체(212)와 절연되면서 캔(210)을 밀봉하게 된다.
상기 캡플레이트(240)는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통공4(241)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전해액주입공(24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통공4(241)에는 전극단자(230)가 삽입되며, 상기 단자통공4(241)의 내면에는 전극단자(230)와 캡플레이트(240)의 절연을 위하여 튜브형의 개스킷튜브(246)가 조립된다.
상기 전해액주입공(242)은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일측에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220)가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조립된 후 전해액 주입공(242)을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되고 전해액주입공(242)은 별도의 밀폐수단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250)는 개스킷과 같은 절연물질이 사용되며,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가 안착되는 안착홈(2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플레이트(250)는 일측에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와 상기 캡플레이트(240)가 결합될 때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4(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단자(23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장측면에는 상기 제1전극탭(217)이 용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전극탭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용접홈(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250)는 타측의 하면에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타측 즉, 단자통공6(261)이 형성된 측의 반대측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5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255)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Ni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안착홈(252)에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는 캡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4(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통공6(2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단자(230)가 삽입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절연케이스(270)는 제2전극탭홀(271)과 제1전극탭홀(272)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조립체(2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조립체(220)와 전극조립체(212)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탭(216)은 상기 제2전극 탭홀(271)을 통과하여 상기 캡플레이트(24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전극탭(217)은 상기 제1전극탭홀(272)을 통하여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수단(255)은,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보면, 판상으로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에서 단자통공5(251)가 형성된 일측의 반대쪽인 타측단에서 상기 안착홈(252)의 상부에 소정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하면에 안착되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타측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255)의 폭은 상기 절연플레이트(250) 길이의 20% 이내가 되도록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 길이의 20% 이내가 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255)은 상기 터미널플레이(260)의 길이의 20% 이내와 접촉되어 터미널플레이트(26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255)의 폭이 상기 절연플레이트(250) 길이의 20%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하면에 제1전극탭(217)의 용접을 위한 영역이 부족하게 되어 용접작업이 불편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55)은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와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55)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와의 결합력이 강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를 보다 강한 힘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고정수단(255)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절연플레이트(250)의 성형과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55)은 별도의 판상을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에 용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결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55)을 절연플레이트(250)와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고정수단(255)의 형성 이 용이하게 된다. 다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액에 내성이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255)을 접착하는 접착제로 PI(polyimide)계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내며, 도 4b는 도 4a의 B-B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수단(255a)은,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플레이트(250a)가 평판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안착홈(252)이 없는 경우에는 일측이 개방된 캡 형상으로 상기 절연플레이트(250a)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55a)은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 타측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55a)은 상기 절연플레이트(250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절연플레이트(250a)의 하면에 용착 또는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내며, 도 5b는 도 5a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수단(255b)은,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보면, 소정폭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타측에서 장측변 양측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타측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255b)은 용착 또는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55b)은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255)의 형성위치가 상기 터미널플레이(260) 길이의 20%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하면에 제1전극탭(217)의 용접을 위한 영역이 부족하게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이 장착된 절연플레이트의 밑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수단(255c)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V자 형상의 막대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타측에서 장측변 양측과 단측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타측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255c)은 용착 또는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255c)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전극탭(217)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봉(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 접근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255c)이 상기 장측변에 접착되는 위치는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255c)이 상기 장측변에 형성되는 위치가 상기 터미널플레이(260) 길이의 20%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하면에 제1전극탭(217)의 용접을 위한 영역이 부족하게 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구비한 절연플레이트가 장착된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이차전지가 종압축을 받아 변형 된 이차전지의 저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캡조립체(220)가 하면에 제2전극탭(216)과 제1전극탭(217)이 용접되어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결합되면,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상기 캔(210)의 내벽 및 전극조립체(212)의 상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2전극탭(216)과 제1전극탭(217)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차전지가 외부의 압력 또는 충격을 받아 종압축과 같은 변형이 캔(210)에 일어나게 되면 캡조립체(22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극단자(230)를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변형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일측은 상기 전극단자(230)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수단(25)에 의하여 절연플레이트(26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캡조립체(220)와 수직방향으로는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 용접되어 있는 제1전극탭(217)도 전극조립체(212) 또는 제2전극탭(216) 방향으로 변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255)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가 상기 전극조립체(212)와 접촉되어 전극조립체(212)를 손상시키거나, 제2전극판(213)과 제1전극판(215)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 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캔형 이차전지에 의하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에 의하여 이차전지가 변형되는 경우에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터미널플레이트와 전극조립체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캔형 이차전지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과, 캡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와 전극단자 및 터미널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에 결합되어 캔을 밀봉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통공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하면에 장착되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하면에 상기 터미널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판상으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 소정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평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개방된 캡 형상으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단으로부터 소정폭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타측이 삽입 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절연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절연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플레이트는 하면에 상기 터미널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안착홈이 형성 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안착홈의 장측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단으로부터 상기 절연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V 형상의 막대로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안착홈의 장측변 양측과 단측변의 상면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측변에 접착되는 위치가 상기 절연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측변에 접착되는 위치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길이의 20% 이내의 위치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판은 음극판으로 형성되며, 제2극판은 양극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
KR1020040072325A 2004-09-09 2004-09-09 캔형 이차전지 KR10059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325A KR100591425B1 (ko) 2004-09-09 2004-09-09 캔형 이차전지
JP2005239183A JP4545067B2 (ja) 2004-09-09 2005-08-19 缶型二次電池
CNB2005101025492A CN100423348C (zh) 2004-09-09 2005-09-08 罐型二次电池
US11/223,437 US7939194B2 (en) 2004-09-09 2005-09-09 Can type secondary battery
JP2009273748A JP5208096B2 (ja) 2004-09-09 2009-12-01 缶型二次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325A KR100591425B1 (ko) 2004-09-09 2004-09-09 캔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469A true KR20060023469A (ko) 2006-03-14
KR100591425B1 KR100591425B1 (ko) 2006-06-21

Family

ID=3615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325A KR100591425B1 (ko) 2004-09-09 2004-09-09 캔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39194B2 (ko)
JP (2) JP4545067B2 (ko)
KR (1) KR100591425B1 (ko)
CN (1) CN100423348C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111B1 (ko) * 2006-04-25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29033B1 (ko) * 2007-10-05 2009-1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946578B1 (ko) * 2007-11-23 2010-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제조 공정성의 이차전지 팩
KR101219269B1 (ko) * 2010-06-25 2013-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50039020A (ko) * 2013-10-01 2015-04-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017842B2 (en) 2007-11-23 2015-04-28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providing excellent productivity and structural sta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29B1 (ko) * 2006-01-11 2009-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821857B1 (ko) * 2006-10-23 2008-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팩
KR100858788B1 (ko) * 2006-10-23 2008-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제조공정성과 구조적 안정성의 이차전지 팩
DE502008001851D1 (de) * 2007-07-03 2010-12-30 Schott Ag Substrat mit einer hochleitfähigen schicht
US8268478B2 (en) * 2009-08-17 2012-09-18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ti-vibration member
JP5525551B2 (ja) * 2010-02-05 2014-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角形電池
US8628878B2 (en) * 2010-04-12 2014-01-14 Samsung Sdi Co., Ltd. Hooked retainer for electrode body in rechargeable battery
KR101147174B1 (ko) * 2010-11-25 2012-05-2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5894934B2 (ja) 2010-12-28 2016-03-3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5885036B2 (ja) * 2013-01-24 2016-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WO2015024531A1 (en) * 2013-08-23 2015-02-26 Byd Company Limited Battery cover plate assembly and battery having the same
JP6295695B2 (ja) * 2014-02-07 2018-03-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電源モジュール
KR102221807B1 (ko) * 2014-08-11 2021-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812377B1 (ko) * 2014-11-20 2017-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6413976B2 (ja) * 2015-08-18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CN205724945U (zh) * 2016-03-02 2016-11-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移动电源
US11289780B2 (en) * 2016-09-30 2022-03-29 Sanyo Electric Co., Ltd. Squar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0311066A (zh) * 2018-03-20 2019-10-08 郑州深澜动力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箱的绝缘防护结构及新能源车辆
DE102020213433A1 (de) * 2020-10-26 2022-04-2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Deckelbaugruppe eines Batteriezellengehäuses, Verfahren zu de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883B2 (ja) * 1994-06-13 2002-01-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流路遮断機能付き電池
JP3787873B2 (ja) * 1995-11-24 2006-06-21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
KR19990031352A (ko) * 1997-10-10 1999-05-06 손욱 전지의 안전장치
JP4904618B2 (ja) * 2000-09-13 2012-03-28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2002343336A (ja) * 2001-05-10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電池用感熱スイッチ
JP4067820B2 (ja) * 2001-12-18 2008-03-26 三洋ジーエスソフト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859683B1 (ko) 2002-02-05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JP4507481B2 (ja) * 2002-02-20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角型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7871725B2 (en) * 2002-04-15 2011-01-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ability to prevent leakage
JP3891047B2 (ja) * 2002-06-10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
KR100449763B1 (ko) 2002-09-11 2004-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100477750B1 (ko) * 2002-09-23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0551050B1 (ko) 2003-11-24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상기억합금에 의한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111B1 (ko) * 2006-04-25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29033B1 (ko) * 2007-10-05 2009-1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7951486B2 (en) 2007-10-05 2011-05-31 Samsung Sdi Co.,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946578B1 (ko) * 2007-11-23 2010-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제조 공정성의 이차전지 팩
US9017842B2 (en) 2007-11-23 2015-04-28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providing excellent productivity and structural stability
KR101219269B1 (ko) * 2010-06-25 2013-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50039020A (ko) * 2013-10-01 2015-04-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23348C (zh) 2008-10-01
CN1747215A (zh) 2006-03-15
JP2010092871A (ja) 2010-04-22
US20060057459A1 (en) 2006-03-16
JP4545067B2 (ja) 2010-09-15
JP5208096B2 (ja) 2013-06-12
KR100591425B1 (ko) 2006-06-21
JP2006080062A (ja) 2006-03-23
US7939194B2 (en) 201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425B1 (ko) 캔형 이차전지
KR100614376B1 (ko) 캔형 리튬 이차전지
US7901809B2 (en) Can-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p assembly for reducing excessive heating
KR100561308B1 (ko) 이차전지
US7462416B2 (en) Secondary battery
KR100502337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094039B1 (ko) 전류차단소자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JP5374555B2 (ja) 二次電池
KR20060102751A (ko) 리튬 이차전지
KR100571272B1 (ko) 캔형 이차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0824896B1 (ko)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KR100646507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0561311B1 (ko) 이차전지
KR100490547B1 (ko) 보호 수단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01512B1 (ko) 리튬 이차전지
KR20070101566A (ko) 리튬 이차전지
KR20080035401A (ko) 리튬 이차전지
KR100515355B1 (ko) 이차 전지
KR20070101569A (ko) 리튬 이차전지
KR100949329B1 (ko) 이차전지
KR101094056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351723B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