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026A -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026A
KR20060022026A KR1020040070780A KR20040070780A KR20060022026A KR 20060022026 A KR20060022026 A KR 20060022026A KR 1020040070780 A KR1020040070780 A KR 1020040070780A KR 20040070780 A KR20040070780 A KR 20040070780A KR 20060022026 A KR20060022026 A KR 2006002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oofer
main speaker
phase difference
pha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005B1 (ko
Inventor
성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005B1/ko
Priority to US11/126,245 priority patent/US20060050896A1/en
Priority to NL1029808A priority patent/NL1029808C2/nl
Publication of KR2006002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04R3/14Cross-ov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7Generation or adaptation of the Low Frequency Effect [LFE] channel, e.g. distribution or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서브 우퍼 응답과 메인 스피커 응답간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발생하는 위상차를 보정하는 서브 우퍼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을 각각 측정하고,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를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상기 응답 특성들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위상차에 따라 상기 서브 우퍼의 딜레이값을 계산하는 과정, 서브 우퍼의 딜레이값을 바탕으로 상기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 차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ratus for compensating phase of subwoofer channel sig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장치를 보이는 전체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스피커 채널 및 서브우퍼 채널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위상 검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처리되는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차 검출 및 보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를 사용하는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브 우퍼 응답과 메인 스피커 응답간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발생하는 위상차를 보정하는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2.1 채널 또는 5.1 채널 이상의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는 저음 전 용 스피커에 해당하는 서브우퍼(subwoofer)를 구비한다.
서브 우퍼의 응답 특성은 메인 채널(satellite 혹은 스테레오 채널)의 스피커의 응답 특성과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교차하게 된다. 이때 서브우퍼와 메인 채널의 위상이 달라지면 크로스오버 포인트에서 노치(notch)가 발생한다.
따라서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에 위상의 매칭 상태를 검출하여 그 어긋난 위상을 보상해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에 크로스오버 포인트 지점에서 위상을 일치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그 위상 매칭 상태를 직접 청취하여 수동으로 신호 극성을 반전시키거나 놉(knob)을 돌려서 위상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간의 위상 매칭 상태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보정할 경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정확한 매칭 상태를 알아내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브 우퍼 채널의 신호와 메인 스피커 채널의 신호간의 크로스 오버 주파수에서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위상 차이를 검출하고, 그 위상차를 이용하여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을 보정하는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스피커 채널과 별도로 서브 우퍼 채널이 존재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있어서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위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을 각각 측정하고,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를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과정;
(b)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상기 응답 특성들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과정;
(c) 상기 검출된 위상차에 따라 상기 서브 우퍼의 딜레이값을 계산하는 과정;
(d) 상기 서브 우퍼의 딜레이값을 바탕으로 상기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 차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스피커 채널과 별도로 서브 우퍼 채널이 존재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있어서,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과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를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간의 차이값으로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그 위상차에 따른 서브우퍼의 지연값에 따라 서브 우퍼 오디오 신호를 딜레이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 출력되는 메인 스피커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딜레이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장치를 보이는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의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0), 제1,제2앰프(120,140), 메인스피커(160), 서브우퍼(180), 마이크로폰(190)를 구비한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신호발생부(114), 데이터 측정부(119), 위상 검출부(116), 딜레이 계산부(118), 딜레이부(112)를 구비한다.
신호 발생기(114)는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의 응답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톤(test tone)을 발생한다. 이때 테스트 톤은 임펄스 MLS, 화이트 또는 핑크 노이즈, 사인 스위프(sine sweep)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스위치,제2스위치(SW1,SW2)는 신호 발생기(114)에서 발생되는 테스트 톤 및 메인 오디오 신호 및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한다. 예를 들면, 서브우퍼채널의 신호와 메인 스피커 채널간의 위상차를 측정하기 위해 스위치1,2(SW1,SW2)의 접점(3)은 접점(2)으로 접속되어 신호 발생기(114)에서 발생되는 테스트 톤을 선택하고, 위상차 측정이 완료되면 스위치1,2(SW1,SW2)의 접점(3)은 접점(1)으로 접속되어 서브우퍼채널의 신호와 메인 스피커 채널 신호를 선택한다.
마이크로폰(190)는 메인스피커(16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서브우퍼(18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입력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측정부(119)는 마이크로폰(190)으로 부터 입력된 메인스피커(160) 및 서브우퍼(180)의 테스트 신호에 대한 응답 특성을 측정한다. 즉, 데이터 측정부(119)는 청취점에 해당하는 마이크(190)로부터 메인스피커(160)의 테스트 신호 응 답 특성(A), 서브우퍼의 테스트 신호 응답 특성(B), 메인 스피커 및 서브우퍼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테스트 신호의 응답특성(X)을 측정한다.
위상 검출부(116)는 서브 우퍼(180)와 메인 스피커(160)의 테스트 신호 응답 특성(A,B)과 서브우퍼(180)와 메인 스피커(160)를 합친 테스트 신호 응답 특성(X)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의 위상차를 검출한다.
제1,제2앰프(120,140)는 메인 오디오 신호 및 서브 우퍼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메인 스피커(160) 및 서브우퍼(180)로 출력시킨다.
도 2는 도 1의 메인 스피커 채널 및 서브우퍼 채널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 는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B 는 서브 우퍼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X 는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C 는 A와 B를 산술적으로 더한값으로 실제 측정치가 아니다. 도 2를 보면, 서브 우퍼의 주파수 응답 특성(A)은 메인 스피커의 주파수 응답 특성(B)과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교차하게 된다. 이때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로 동시에 신호가 입력될 경우 메인 스피커 채널 신호와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이 달라지면 크로스오버 포인트에서 노치(notch)가 발생한다.
도 3은 도 1의 위상 검출부(116)의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상 검출부(116)는 메인 스피커(160) 및 서브우퍼(180)의 출력 신호로부터 측정된 주파수 응답특성들(A,B,X)을 이용하여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청취점에서 위상차를 검출한다.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0)에서 처리되는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차 검출 및 보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마이크로폰(190)를 이용하여 메인 스피커 및 서브 우퍼 각각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고(410, 420 과정), 또한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테스트 신호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한다(430 과정). 각 주파수 응답 특성들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테스트 신호는 임펄스, 화이트 혹은 핑크 노이즈, 사인 스위프(sine sweep)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메인스피커 및 서브 우퍼의 응답 특성들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서브 우퍼 채널 신호와 메인 스피커 채널 신호간의 위상차를 검출한다(430 과정). 본 발명은 위상으로 인해 딜레이 시간이 1/2주기를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위상의 최대값을 180도로 제한하였다.
즉, 메인 스피커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측정된 응답 특성의 크기(magnitude)를 A라하고, 서브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측정된 응답 특성의 크기를 B라 하고,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측정된 응답 특성을 X 라고하면, 응답 특성(X)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e+ B =X
여기서 φ는 메인 스피커와 서브우퍼에서 출력되는 신호간의 위상차이다. 이때 위상 차이가 제로(0)라면 수학식 2가 성립한다.
A + B = X
이때 X 는 실제 측정한 각 A 및 B를 더함으로써 구해진다. 위상차는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 각 응답 특성의 산술적 합과 서브우퍼 및 메인 스피커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의 차이로 구해진다. 따라서 위상차는 A + B를 계산하여 얻은 값(수학식 3)과 실제 측정값(수학식 4)의 차이로부터 구해진다.
A + B = A + B
Ae+ B =X
이때 수학식 3에서 수학식 4를 빼면 수학식 5를 얻는다.
1 - e= (A + B - X)/A
따라서 최종적으로 위상차(φ)는 수학식 6 으로 나타낼 수 있다.
φ = cos-1 {1- (A + B - X)/A}
여기서, e= 1 - {(A + B - X)/A} 이다. φ 는 0°≤ φ ≤ 180°를 만족한다.
이어서, 검출된 위상차를 근거로 서브 우퍼의 딜레이값을 계산한다.
즉, 위상차(φ)가 90도 보다 적거나 같은가를 체크한다(450 과정). 이때 위상차가 90도보다 적거나 같으면 서브 우퍼 딜레이값(d)은 수학식 7과 같이 계산된다(460 과정).
d = φ/ω .....[ 0°≤ φ ≤ 90°], 여기서 ω 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이다.
또한 위상차가 90도보다 크면 서브 우퍼 딜레이값(d)은 수학식 8과 같이 계산된다(480 과정).
d = (180°- φ)/ω .....[ 90°≤ φ ≤ 180°], 여기서 ω 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이다.
이어서, 딜레이값과 부호를 이용하여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을 보정한다. 즉, 위상차가 90도보다 적거나 같으면 서브 우퍼 신호 출력은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470 과정).
Ssub-out = Ssub(t-d) ......[ 0°≤ φ ≤ 90°]
또한 위상차가 90도보다 크면 서브 우퍼로 출력되는 신호는 수학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490 과정).
Ssub-out = - Ssub(t-d) ......[ 90°≤ φ ≤ 180°]
여기서 Ssub 는 소스 디코더 혹은 프리-앰플리파이어(pre-amplifier)로부터 발생되는 서브우퍼 입력 신호이다. 수학식 10을 보면, 딜레이값이 가장 큰 경우(180도) 서브 우퍼 입력 신호에 -1을 곱하여 위상을 반전시킨다.
최종적으로 서브우퍼의 출력 신호는 서브우퍼 입력신호에 딜레이와 부호가 반영됨으로써 메인스피커의 출력 신호와 위상이 매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 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우퍼 채널 신호와 메인 스피커 채널 신호간의 위상차이를 자동으로 체크하며, 이 위상차이를 이용하여 서브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을 보정해준다. 또한 OP 앰플를 여러개 사용해야하는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의 복잡성을 피하고 비교적 간단한 회로를 사용하여 매우 정밀한 보정도를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음질을 재생할 수 있다.

Claims (8)

  1. 메인 스피커 채널과 별도로 서브 우퍼 채널이 존재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있어서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위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을 각각 측정하고,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를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과정;
    (b)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상기 응답 특성들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과정;
    (c) 상기 검출된 위상차에 따라 상기 서브 우퍼의 딜레이값을 계산하는 과 정;
    (d) 상기 서브 우퍼의 딜레이값을 바탕으로 상기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 차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브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검출 과정은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 각각의 응답 특성의 산술적 합과 서브우퍼 및 메인 스피커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의 차이로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φ)는
    φ = cos-1 {1- (A + B - X)/A} 이며, 여기서, A는 메인 스피커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측정된 응답 특성의 크기(magnitude), B는 서브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측정된 응답 특성의 크기, X는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크로스오버 지점에서 측정된 응답 특성의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값 계산 과정은
    상기 검출된 위상차가 90도 보다 적거나 같으면 φ/ω 이고, 상기 위상차가 90도보다 크면 (180°- φ)/ω 로 계산되며, 여기서 ω 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보정 과정은
    상기 위상차가 90도보다 적거나 같으면 서브 우퍼 입력 신호에 상기 딜레이값을 반영하고, 위상차가 90도보다 크면 상기 서브 우퍼 입력신호를 위상 반전한 후 상기 딜레이값을 반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6. 메인 스피커 채널과 별도로 서브 우퍼 채널이 존재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있어서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의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 보정 장치에 있어서,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을 각각 측정하고,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를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부;
    상기 데이터 측정부에서 측정된 응답 특성들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부;
    상기 위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위상차에 따른 서브우퍼의 지연값을 바탕으로 입력되는 서브 우퍼 채널의 신호를 딜레이시키는 딜레이부를 포함하는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의 응답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톤을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장치.
  8. 메인 스피커 채널과 별도로 서브 우퍼 채널이 존재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있어서,
    서브 우퍼와 메인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과 서브우퍼와 메인 스피커를 동시에 출력되는 신호의 응답 특성간의 차이값으로 크로스오버 지점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그 위상차에 따른 서브우퍼의 지연값에 따라 서브 우퍼 오디오 신호를 딜레이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 출력되는 메인 스피커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딜레이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기기.
KR1020040070780A 2004-09-06 2004-09-06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608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80A KR100608005B1 (ko) 2004-09-06 2004-09-06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US11/126,245 US20060050896A1 (en) 2004-09-06 2005-05-11 Method and apparatus to compensate a phase of a subwoofer channel signal
NL1029808A NL1029808C2 (nl) 2004-09-06 2005-08-25 Werkwijze en inrichting om een fase van een subwooferkanaalsignaal te compense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780A KR100608005B1 (ko) 2004-09-06 2004-09-06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26A true KR20060022026A (ko) 2006-03-09
KR100608005B1 KR100608005B1 (ko) 2006-08-02

Family

ID=3621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780A KR100608005B1 (ko) 2004-09-06 2004-09-06 서브 우퍼 채널 신호의 위상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50896A1 (ko)
KR (1) KR100608005B1 (ko)
NL (1) NL1029808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9994A1 (en) * 2006-03-28 2008-12-10 Genelec OY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in an audio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4098B2 (en) 2012-05-08 2016-12-20 Sono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bwoofer calibration
JP6276402B2 (ja) 2013-06-18 2018-02-07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オーディオ・レンダリングのためのベース管理
US9501925B2 (en) 2013-12-23 2016-11-22 White Stagg, Llc Modular alert system
CN106211013B (zh) * 2016-07-18 2019-02-15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耳机音频测试工装的修正方法及耳机音频测试方法和系统
CN108495234B (zh) * 2018-04-19 2020-01-07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多声道音频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R3091632B1 (fr) * 2019-01-03 2022-03-11 Parrot Faurecia Automotive Sas Procédé de détermination d’un filtre de phase pour un système de génération de vibrations perceptibles par un utilisateur comprenant plusieurs transducteurs
TWI757729B (zh) * 2020-04-27 2022-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雙聲道平衡方法及應用其之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868A (en) * 1989-02-21 1990-03-13 Mctaggart James E Phase polarity test instrument and method
DE4419819A1 (de) * 1994-06-07 1995-12-14 Spang Linda Dipl Ing Tonfrequenzfilter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Filterfunktion eines Tonfrequenzfilters
US5784474A (en) * 1994-11-10 1998-07-21 Meyer Sound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and circuit for improving the polar response of a two-way horn-loaded loudspeaker system
JP3286603B2 (ja) * 1998-09-22 2002-05-27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の極性判別回路、スピーカの極性判別機能を備えたオーディオ回路、スピーカの極性判別および極性切換機能を備えたオーディオ回路
JP2002330499A (ja) * 2001-04-27 2002-11-15 Pioneer Electronic Corp 自動音場補正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9994A1 (en) * 2006-03-28 2008-12-10 Genelec OY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in an audio system
EP1999994A4 (en) * 2006-03-28 2011-12-28 Genelec Oy METHOD AND DEVICE FOR CALIBRATION IN AN AUDI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29808C2 (nl) 2009-10-13
NL1029808A1 (nl) 2006-03-07
US20060050896A1 (en) 2006-03-09
KR100608005B1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6453B2 (ja) 音響装置、時間遅延算出方法および時間遅延算出プログラム
US7949140B2 (en) Sound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8233630B2 (en) Test apparatus, tes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282419B2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audio processing apparatus
US7286946B2 (en) Transmission characteristic measuring devi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measuring method, and amplifier
US10469046B2 (en) Auto-equalization, in-room low-frequency sound power optimization
KR102475646B1 (ko) 크로스토크 처리 b 체인
JPH0787633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US2006005089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mpensate a phase of a subwoofer channel signal
CN104604254A (zh) 声音处理装置、方法和程序
JP2007043295A (ja) 増幅装置及び振幅周波数特性調整方法
US8831235B2 (en) Speaker polarity determination device
JP2002135897A (ja) 音場計測装置および音場計測方法
WO2019198314A1 (ja) 音響処理装置、音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148060B2 (ja) 聴取位置自動補正装置
TWI393453B (zh) 適用於自動控制裝置的音調偵測方法及音調偵測裝置
JP2713402B2 (ja) 音場補正装置
US5778087A (en) Method for stereo loudspeaker placement
US11689875B2 (en) Automatic spatial calibration for a loudspeaker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arfield response
US11558704B2 (en) Management server, audio testing method, audio client system, and audio testing system
KR100717051B1 (ko) 스피커 위치에 따른 음색 변화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06311107A (ja) スピーカ特性測定システム及びスピーカ特性測定方法
JP4830343B2 (ja) 自動音場補正システムおよび自動音場補正方法
JP2008011342A (ja) 音響特性測定装置および音響装置
JPH09215085A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受聴周波数特性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