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507A -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507A
KR20060021507A KR1020040070272A KR20040070272A KR20060021507A KR 20060021507 A KR20060021507 A KR 20060021507A KR 1020040070272 A KR1020040070272 A KR 1020040070272A KR 20040070272 A KR20040070272 A KR 20040070272A KR 20060021507 A KR20060021507 A KR 20060021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ntioxidant
seed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563B1 (ko
Inventor
김성우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4007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1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지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여지 씨앗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매우 뛰어나 항산화용 조성물로 유용하며,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광노화에 대해 노화 지연 효과가 뛰어나 항-노화 화장료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지, 씨앗, 항산화, 항-노화, 화장료

Description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from Litchi chinensis for Anti-oxidation}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유 라디칼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된다는 자유 라디칼 이론이 가장 타당성 있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유 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서, 인체 내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 즉, 자외선, 방사선, 배기가스, 담배연기 및 스트레스 등의 외부적 요인과 체내의 미토콘드리아 및 백혈구의 대사과정에 의해서 생성되어, 다단계의 연쇄 반응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 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피부 노화와 관련이 있는 자유 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Super oxide radical), 과산화수소 (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 (Hydroxy radical) 및 단일상태 산소 (Singlet oxygen)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해 일어나는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히드 (aldehyde) 및 에폭사이드 (epoxide)의 다양한 활성 산소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 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 들은 암, 조직 손상 및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Black HS, Photochemphotobiol. 46(2):213(1987)). 예를 들어, 세포를 구성하는 막지질의 과산화는 세포막의 구조와 유동성 변화, 세포질 물질의 투과성 증가, 라이소좀 효소의 누출, 막효소와 운반 단백질의 불활성화, 지질과 단백질의 공유 가교결합 생성, 단백질 사슬 절단, DNA 손상 및 돌연변이 등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이들 반응 중 피부 구성 세포막의 과산화와 진피 구성 단백질들의 변형이 피부 노화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기성 생물체들은 이러한 산화제의 생성과 지질 과산화를 막기 위한 보호 기구를 갖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구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super 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 (catalase) 등의 효소와 토코페롤 (tocopherol, vitamin E), β-카로틴 (β-carotene), 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vitamin C) 및 글루타치온 (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 들이 포함된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진 피부 항-노화 물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여 개발되었다: 첫째, 피부에 수분 공급. 둘째, 항산화 효능. 셋째, 피부세포의 활 성화에 관여하는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 넷째, 피부를 구성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주름의 생성 및 탄력 손실을 가속화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와 엘라스타아제의 활성 억제. 다섯째,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의 촉진 등.
상술한 바와 같이, 자유 라디칼형 산소 또는 활성 산소종은 피부 노화와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종래에는 화장료에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비타민 E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등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달성하려는 노력이 많이 있었으나 화장료에 상기 성분들을 배합하는 경우, 안전성 (safety) 및 안정성 (stability) 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항산화제로 BHT (2,6-Di-tert-butyl-4-methylphenol), BHA (2-tert-butyl-4-methoxyphenol) 및 PG (3,4,5-tri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 등의 물질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식생활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에 대해 소비자들이 거부감을 일으키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종래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는 50 mg/kg/day 이상 섭취시, 암이 유발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을 식품 등의 천연소재에서 찾고자 하는 연구가 왕성하게 수행되었지만 대부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항산화능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활성 산소 제거능이 우수한 제품 개발의 필요성이 계속하여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안정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물을 대상으로 탐색한 결과, 여지 추출물, 특히 여지 씨앗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여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지나무 (Litchi chinensis)는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의 상록 교목으로, 이 여지나무의 씨앗은 영어로 리치 (Litchi, Lichee 또는 Lychee)라고도 한다. 여지나무는 아열대 지방의 습윤한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고, 뿌리에는 뿌리혹박테리 아가 공생한다. 중국 화남이 원산지이며, 그밖에 복건, 광동, 광서, 운남, 사천과 대만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여지는 종기, 연주창, 혈당강하, 진통, 산기, 고환종통, 위통, 울체 및 진해약 등에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여지에는 사포닌과 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과육에는 포도당, 자당, 단백질, 지방, 엽산 (folic acid), 비타민 A, B, C, 구연산, 능금산 및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지 추출물은 여지 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 씨앗,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과실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여지 씨앗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다.
여지 씨앗 추출물의 재료가 되는 여지 씨앗은 이를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법으로는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법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여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여지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n-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헥산 및 (i)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한 추출용매는 에탄올이다. 또한, 상기 에탄올은 30-100% 에 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여지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여지 추출물에 포함된다고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여지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기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여지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여지 씨앗을 정제수에 세척하여 음지에서 자연 건조시킨다.
(b) 건조된 여지 씨앗은 용매 추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쇄기로 분말 형태로 분쇄한다.
(c) 분쇄된 여지 씨앗에 그 건조 중량의 1-10배의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한다.
(d)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40-100℃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40℃에서 1-15일간 추출한 뒤 회전 감압증발기로 완전히 건조시킨다.
상기 정제수란 세균 및 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 수지로 정제한 이온교환수를 자외선 램프에 비추어 멸균한 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여지 씨앗 추출물의 함량은 0.0001-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대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지 씨앗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1-5.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서 여지 추출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항산화"는 과량의 산화 유발 물질, 자유 라디칼형 산소 및 활성 산소종 등에 의해 세포, 특히 피부세포에서 과산화가 유발되는 현상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노화"는 다양한 인자에 의해 유발되는 과산화에 의한 피부 세포의 손상 및 피부 구성 단백질의 변형, 피부 탄력의 감소 및 주름 생성 등의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여지 추출물 이외에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 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여지 추출물, 특히 여지 씨앗 추출물의 뛰어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며, 콜라게나아제 및 엘라스타아제 활성의 억제 효과에 의해 피부 탄력 감소 및 주름 생성 억제 또는 지연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용도를 갖는다. 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은 광노화에 대해 현저한 노화 완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여지 씨앗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여지 씨앗 (Bioland, 한국) 1 ㎏을 정제수 5 ℓ에 넣고 4-40℃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그리고 난 뒤,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7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중량 16.4 g의 여지 씨앗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10 : 여지 씨앗 추출물의 제조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으며, 정제수 대신에 하기 표 1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여지 씨앗 추출물 (실시예 2-10)을 제조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추출물 추출 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 (g)
실시예 2 30% 에탄올 18.3
실시예 3 70% 에탄올 22.4
실시예 4 100% 에탄올 26.1
실시예 5 메탄올 15.0
실시예 6 n-프로판올 12.8
실시예 7 이소프로판올 13.6
실시예 8 2-부탄올 10.5
실시예 9 아세톤 19.7
실시예 10 클로로포름 10.5

실험예 1 : 항산화 작용
여지 씨앗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 시료로 사용한 여지 씨앗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10의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은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1,1-diphenyl-2-picrylhydrazyl, 이하 'DPPH'라 약칭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시그마사 (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400 μM 농도의 표준 DPPH 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여지 씨앗 추출물 (실시예 1-10)과 기준물질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200 ㎍/㎖의 농도로 시료를 만들었다. 그런 다음 상기 시료와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여지 씨앗 추출물 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율 (%)을 구하였다.
Figure 112004039993012-PAT00001
여지 씨앗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율
시료 자유라디칼 소거율(%)
아스코르빈산 41.5
실시예 1 48.0
실시예 2 67.6
실시예 3 72.4
실시예 4 75.8
실시예 5 69.1
실시예 6 60.7
실시예 7 62.8
실시예 8 51.9
실시예 9 44.6
실시예 10 57.3
실험농도 : 100 ㎍/㎖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지 씨앗 추출물 (실시예 1-10)은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빈산보다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모두 높음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3의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성분 함량 (중량%)
여지 씨앗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PEG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 20 향 유니사이드-유 13 그린 #13 증류수 1.0 5.0 3.0 1.0 0.1 0.3 0.02 0.04 5.0 10.0 0.2 0.2 0.02 0.01 0.001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 수렴화장수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3의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성분 함량 (중량%)
여지 씨앗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폴리솔베이트 20 위치하겔 추출물 구연산 향 유니사이드-유 13 그린 #13 증류수 1.0 2.0 2.0 0.2 0.2 0.02 0.04 3.0 15.0 0.3 2.0 미량 0.02 0.01 0.001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 영양화장수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3의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여지 씨앗 추출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세테아릴알콜 라놀린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광물유 스쿠알란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초산 토코페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향 유니사이드-유 13 그린 #3 증류수 3.0 1.5 1.5 1.5 1.3 0.5 1.0 5.0 3.0 2.0 0.8 0.5 0.12 5.0 3.0 5.0 0.12 0.01 0.02 0.003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 영양크림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3의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여지 씨앗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향 유니사이드-유13 그린 #3 증류수 3.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0.01 0.02 0.003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 맛사지 크림
하기 표 7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3의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여지 씨앗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스쿠알란 광물유 디메치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글리세린 트리에탄올아민 향 유니사이드-유13 그린 #3 증류수 3.0 1.5 1.5 1.0 1.5 0.6 5.0 5.0 35.0 0.5 0.12 6.0 0.7 0.01 0.02 0.003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 에센스
하기 표 8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3의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여지 씨앗 추출물 글리세린 베타인 PEG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16 에탄올 향 유니사이드-유 13 그린 #3 증류수 3.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0.02 0.01 0.001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 팩
하기 표 9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3의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여지 씨앗 추출물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 검 글리세린 PEG 1500 시이크데스트린 DL-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니코틴아미드 에탄올 PEG 40 경화피마자유 향 유니사이드-유13 그린 #3 증류수 1.0 15.0 0.15 3.0 2.0 0.15 0.4 0.1 0.3 0.5 6.0 0.3 미량 0.02 0.003 잔량
합계 100

실험예 2 : 항-노화 효과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각 실험군 당 생후 15 내지 20 주령의 무모 생쥐 (Hairless mouse) 20 마리씩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모 생쥐의 등부위에 자외선 조사기 (UV simulator, US)를 이용하여 2 mJ/㎠의 조사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주당 2회의 빈도로 4주 동안 실시함으로써 생쥐의 피부에 광노화를 유발시켰다. 그 후, 여지 씨앗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4의 화장료를 무모 생쥐 등부위의 한쪽 면에 1일 2회, 2주간 적량 도포해 주고, 다른 한쪽 면에는 비교를 위해 제형예 4에 함유된 여지 씨앗 추출물을 맥아 추출물로 대체한 화장료 (비교예)를 도포해 주었다. 2주 후에 노화 완화 효과를 육안 관찰하여 하기 판정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현저한 완화 효과 : ++, - 약간의 완화 효과 : +, - 완화 효과 없음 : 0
여지 씨앗 추출물 함유 제형의 항-노화 효과
화장료 등급
++ + 0
제형예 4 16 4 0
비교예 9 6 5
상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제형예 4)은 맥아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비교예)에 비해 노화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 를 통해 본 발명의 여지 씨앗 추출물은 노화 억제 작용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피부자극 평가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피검자 30명 (평균연령 27세, 연령분포 24세-34세)을 대상으로 피부자극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부자극 평가 시험물질로는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4의 크림, 상기 제형예 4에서 여지 씨앗 추출물을 0.5% 아스코르빈산으로 대체한 크림 (비교예) 및 상기 제형예 4에서 여지 씨앗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 (대조예)을 사용하였고, 이를 상박 (upper arm, brachium)의 피부에 첩포하는 시험 (patch test)을 수행하였으며, 이는 헤이즈 테스트 쳄버 (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단, 건선 (psoriasis), 습진 (eczema) 및 기타 피부 병변 보유자, 임산부, 수유부 또는 피임제나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할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준비된 시험물질 15 ㎍ 또는 15 ㎕를 적하 (drop, drip)한 쳄버를 시험 부위인 상박의 피부 위에 얹어 고정시킴으로써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및 48시간 후의 피부반응을 하기 표 11의 국제 접촉피부염 연구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판정결과는 표 14에 기재하였다.
국제 접촉 피부염 연구회 판정 기준
기 호 판정기준 평가 평균 점수
± + ++ +++ - 의심성 또는 미소한 반응 및 홍반 홍반 및 경결 홍반, 경결 및 소수포 홍반, 경결 및 수포 네거티브 미소자극 경자극 중자극 강자극 무자극 0-0.9 1.0-2.9 3.0-4.9 5.0 이상 0
제형의 피부 자극 정도
시간 시험물질의 피부자극 정도
제형예 4 비교예 대조예
30분 0.3 1.8 0
24시간 0.2 1.1 0
48시간 0 0.7 0
상기 표 1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형예 4)은 아스코르빈산-함유 크림 (비교예)에 비해 매우 미약한 자극 정도를 보였고, 유효성분을 제외시킨 크림 제형 (대조예)에서는 자극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다른 성분들은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험예 4 : 안정성 평가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험물질로는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 (제형예 4), 제형예 4에서 여지 씨앗 추출물을 0.5% 아스코르빈산으로 대체한 크림 (비교예 1), 제형예 4에서 여지 씨앗 추출물을 0.2% 레티놀로 대체한 크림 (비교예 2) 및 제형예 4에서 여지 씨앗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 (대조예)을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물질을 각각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은 뒤,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상기 시험물질을 각각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 변화 없음 1 : 극히 조금 변함 2 : 조금 변함
3 : 조금 심하게 변함 4 : 심하게 변함 5 : 극히 심하게 변함
온도 시험물질 변색 정도
제형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대조예
45℃ 0.3 3.2 2.6 0.2
4℃ 0.1 1.3 0.7 0.0
상기 표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제형예 4)은 거의 변색이 되지 않아 아스코르빈산이나 레티놀을 함유한 크림에 비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 (대조예)은 변색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여지 씨앗 추출물 이외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지 추출물, 특히 여지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존재하는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과산화 억제 및 이에 의한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여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2. 상기 제 1 항의 항산화용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지 추출물은 여지 씨앗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지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40070272A 2004-09-03 2004-09-03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117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272A KR101117563B1 (ko) 2004-09-03 2004-09-03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272A KR101117563B1 (ko) 2004-09-03 2004-09-03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507A true KR20060021507A (ko) 2006-03-08
KR101117563B1 KR101117563B1 (ko) 2012-03-08

Family

ID=3712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272A KR101117563B1 (ko) 2004-09-03 2004-09-03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107A (ko) * 2018-04-16 2018-04-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579A (ko) 2022-06-17 2023-12-27 주식회사 섬섬바이오 비자나무의 잎 및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107A (ko) * 2018-04-16 2018-04-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563B1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2009486B1 (ko)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4059A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45B1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9886B1 (ko)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000093A (ko) 발아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8321A (ko) 아피오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67081B1 (ko)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7563B1 (ko)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1499A (ko)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4021A (ko) 리포좀에 포획된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9191B1 (ko) 파우다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90725B1 (ko) 나도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