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499A -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499A
KR20070071499A KR1020050135006A KR20050135006A KR20070071499A KR 20070071499 A KR20070071499 A KR 20070071499A KR 1020050135006 A KR1020050135006 A KR 1020050135006A KR 20050135006 A KR20050135006 A KR 20050135006A KR 20070071499 A KR20070071499 A KR 20070071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tetrahydrocurcumin
skin whitening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948B1 (ko
Inventor
이광식
이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5013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948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효과를 갖는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동시에 함유함으로서 미백효과가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보다 향상된 미백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화장료에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이 있어 피부 자극이 거의 없고, 뛰어난 제형의 안전성을 나타낸다.
화장료, 미백, 상지 추출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Description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Extract of Ramulus mori and Tetrahydrocurcumin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분야에서 동아시아 여성들에게 가장 관심이 큰 분야 중에 하나는 피부 미백(皮膚美白)이다. 피부 미백이란 외부 자극에 의해 피부에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이 과하게 일어나 발색하는 피부색의 변화를 정돈하여 주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가 검게 변하게 되는 것은 피부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정상 상태에서는 멜라닌의 과다 생성이 일어나지 않지만 피부가 자외선, 환경오염,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 자극이나 호르몬, 염증 반응 매개 인자와 같은 내적 요인에 반응하게 되면 멜라닌 색소를 과다 생성하게 되고 이것이 피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피부 속에 남아 있게 되면 색소 침착이 일 어나게 된다.
인체내의 색소형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는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TRP (tyrosinase related protein)-1 및 TRP-2 등의 효소가 존재하여 생체내에 존재하는 티로신 (L-tyrosine)을 기질로 하여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도록 작용한다 (Cohen, T., et al. Nucleic Acids Res., 18:2807-2808(1990); Jackson, I. J., et al., EMBO J., 11:327-535(1992)). 이러한 효소반응은 색소형성세포 내의 소기관인 멜라노솜 (melanosome)에서 일어나며 새로이 생성된 멜라닌을 함유한 멜라노솜은 색소형성세포의 수지상 돌기 (dendrite)를 통하여 인접한 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로 분배되어 표피층의 피부색을 나타나게 한다.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노솜에 위치하는 막에 삽입되어있는 효소로 활성 부위에 구리 이온을 가지며 일련의 멜라닌 합성에 있어서 주요한 속도 한계 효소 (rate limiting enzyme)이다. 따라서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억제제들이 미백제로서 활발히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제의 예로, 코지산 (kojic acid), 알부틴 (arbutin),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비타민 C 또는 이의 유도체 및 감초 추출물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 자극 및 제형내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합성 과정의 주요한 속도 한계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으며 제형의 안정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혼합 조성물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중의 하나인 상지 (Ramulus Mori)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를 말린 것으로, 모양은 긴 원주형으로 드물게 분지가 있 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직경은 0.5 내지 1.5 cm이다. 표면은 회황색 혹은 황갈색으로 다수의 황갈색 점상 피공과 미세한 종문이 있으며, 회백색을 띤 반원형 잎 흔적과 황갈색의 액아가 있다. 절편의 두께는 0.2 내지 0.5 cm로 외피 부위는 비교적 얇고, 목질 부위는 황백색이며, 사선은 방사상이고, 수부는 백색 또는 황백색이다. 상지의 채취 시기는 늦은 봄과 초여름 사이이며, 잎을 제거한 후, 신선할 때 30 내지 60cm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린다. 상지는 약간 쓴 맛이 나며, 소염, 이뇨, 강장, 발한 및 풍을 제거하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53842호에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인 상지로부터 추출한 멜버린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30130호에는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60510호에는 상지 추출물과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상지 추출물"은 뽕나무의 어린 가지인 상지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통칭하여 나타낸다. 상기 상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상기 에탄올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상지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a) 상지에 5 내지 20배의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첨가하는 단계; (b) 단계 (a)의 용매 첨가된 상지를 15-35℃에서 1 내지 10일간 추출하여 여과하는 단계; 및 (c) 단계 (b)의 여과물을 5-10℃에서 7-10일간 숙성시키고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추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우선, 원료가 되는 뽕나무 어린 가지인 상지를 세척, 건조 및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다음 70% 에틸 알코올을 상지 건조중량의 10배 부피비로 첨가하여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5-10℃에서 7-10일간 숙성시키고 여과하여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상지 추출물을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의 범위에는 상지로부터 추출되어 가공된 "멜버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53842호) 및 기타 상지의 가공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또 다른 유효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은 울금(Curcuma Longa)에서 추출한 것이다. 울금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인도가 원산지이며, 대만, 인도네시아 및 일본 등에서 일부 재배하고 있다. 울금의 잎은 크고 길이 30 내지 90cm, 폭 10 내지 20cm로 잎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삼각형이며, 윗면은 푸른색이다. 울금은 약재와 향신료로 주로 사용되는데 주요 성분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포함한 커큐민 유도체, 투머론(Tumerone, 아줄렌(Azulene) 및 캄파(Kampfa) 등으로 간장의 해독촉진, 담즘의 분비작용 및 이혈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울금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으나,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2 내지 10.0 중량% 및 0.03 내지 5.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1.0 내지 6.0 중량% 및 0.1 내지 2.0 중량%이다.
이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지추출물의 함량이 0.002 중량% 미만인 경우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없고 제형상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함량이 0.0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 증가가 없고 제형상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지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지추출물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께 사용함으로써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상승적 (synergic)인 미백효과를 달성하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에 의해 피부 자극이 완화되고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적용이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상지 추출물의 제조
원료가 되는 뽕나무의 어린 가지인 상지를 세척, 건조 및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다음 70% 에틸 알코올을 상지 건조중량의 10배 부피비로 첨가하였다. 이를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5-10℃에서 7-10일간 숙성시키고 여과하여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상지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도 측정
티로시나아제는 버섯에서 분리 정제된 것으로 시그마사 (미합중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기질로서 L-티로신 (시그마사)은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 (pH 6.8)에 용해하여 0.1 ㎎/㎖ 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을 0.05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 (pH 6.8)에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용해한 사용하였다. 시험물질로서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SABINSA사(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상지 추출물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상지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L-티로신 용액 0.5 ㎖을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시료액 0.5 ㎖을 각각 가하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시료액에 200 unit/㎖ 티로시나아제 0.5 ㎖을 첨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이 시험관을 얼음 위에 놓아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킨 분광 광도계로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 0.5 ㎖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액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실험 결과는 하기 1,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78296146-PAT00001
상지 추출물 농도 (㎍/㎖)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5 23.5
10 42.8
20 65.1
50 75.8
100 95.4
200 95.7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농도 (㎍/㎖)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5 32.5
10 53.8
20 70.1
50 81.9
100 95.3
200 97.8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농도 (㎍/㎖) 상지추출물 농도 (㎍/㎖) 효소 활성 저해율 (%)
20 0 70.1
20 2.5 85.3
20 5 93.7
20 10 98.6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비교적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지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효소 활성 저해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제조예 2 : 크림 제형의 화장료 제조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지 추출물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적절한 혼합 비율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혼합 비율로 상지 추출물물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혼합한 크림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지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함유하는 크림 제형 화장료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상지추출물 5 - 1 3 5 7 9 11 5 5 5 - - - - 1 3
테트라하이드로 커큐민 1 - - - - - - - 0.5 1.5 2 0.5 1 1.5 2 1 1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아민 2.1
유동파라핀 5.3
스쿠알란 3.0
밀납 2.6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5.4
폴리솔베이트60 3.2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실험예 2: 안정성 시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각 화장료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각 화장료를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주일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완전히 차광 된 냉장고 내에서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나 있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하기 표 5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점수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시험시료 시험물질 변색정도
45℃ 4℃
실시예 0 0
비교예1 0 0
비교예2 0 0
비교예3 0 0
비교예4 0 0
비교예5 0 0
비교예6 0 0
비교예7 2 0
비교예8 0 0
비교예9 1 0
비교예10 2 1
비교예11 0 0
비교예12 0 0
비교예13 1 0
비교예14 2 1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지 추출물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모두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크림에서 변색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크림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상지 추출물을 11 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6 및 8의 크림제형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1.5 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8 및 11 내지 12의 크림 제형에서는 변색이 일어나지 않지만, 상지추출물을 11.0 중량% 함유한 비교예 7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1.5 중량% 이상 함유한 비교예 9, 10, 13, 14의 크림에서 변색이 일어나,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각각 11.0 중량% 및 1.5 중량% 이하로 화장료에 포함될때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미백효과 측정
피부색이 어두운 24-41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각 화장료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검자의 팔의 12군데를 가로 세로 1 cm씩 표시하고, 제조예 2의 각 화장료를 각각 도포한 다음, 나머지 1 곳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화장료는 2달 동안 하루에 2회 적용하였다. 측정 장비인 Minolta CR 300을 사용하여 2개월경과 후 피부색(L 값)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피부색의 변화도를 계산하여 하기 표 7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ΔL 값 = 화장료 적용 전의 L 값 - 2개월 경과 후 L 값
미백 임상시험 결과
구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ΔL 값 5.37 0.53 0.70 1.91 2.75 2.82 2.87 4.09 5.57 5.63 2.47 2.98 3.53 3.65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2-6의 크림 제형에서는 상지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ΔL 값이 증가하였으나 5.0 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ΔL 값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비교예 11-14의 크림 제형에서는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첨가 농도에 비례하여 ΔL 값이 증가하였으나, 1.5 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ΔL 값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아울러, 상기 표 6에서 보는바와 같이 1.5 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안정도가 좋지 않았다. 5.0 중량% 상지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비교예 8-10의 크림제형에서 ΔL 값은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아졌으나 1.5 중량% 이상의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농도에서는 ΔL 값의 변화가 적었다.
실험예 4 :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의 피부 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첩포 시험 (patch test)을 헤이즈 테스트 쳄버 (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 시킨 다음, 준비된 시험물질 15 ㎍ 또는 15 ㎕를 적하한 쳄버(Finn chamber, 100x10, EPITEST, 핀란드국)를 시험 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 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표시펜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였다. 각각 1시간 그리고 24시간 후(첩포 제거 후 1시간, 24시간 후 = 첩포 부착 포함 24시간, 48시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의 규정(표 8)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피부 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기호 점수 평가기준
- 0 무반응, 정상 피부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0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0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0 심한 홍반 및 소포형성
++++ 6.0 대수포 형성
Figure 112005078296146-PAT00002
시험 물질 24 시간 48 시간 평균 피부 반응도 (n=20)
± + ++ ± + ++
실시예 2 - - 1 - - 0.63
비교예 1 1 1 - 1 - - 0.84
비교예 4 2 1 - - - - 0.84
비교예 8 2 - - 1 - - 0.63
비교예 9 2 - - - - - 0.42
비교예 10 1 - - - - - 0.21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지추출물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모두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크림에서의 피부 반응도는 매우 낮아 크림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통상적인 화장품의 피부 자극 수준을 나타냄을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함유한 비교예 8-10의 크림에서는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농도에 비례하여 자극도가 낮아졌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상지추출물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지 추출물과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께 사용함 으로써 미백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하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에 의한 통상적인 화장품 피부 자극도 줄여주어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상지(Ramulus Mori)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Tetrahydrocurcum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지 추출물은 (a) 물, (b)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 글리콜, (h) 부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 추출물은 뽕나무의 가지로부터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2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은 울금(Curcuma Longa)으로부터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135006A 2005-12-30 2005-12-30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006A KR100744948B1 (ko) 2005-12-30 2005-12-30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006A KR100744948B1 (ko) 2005-12-30 2005-12-30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499A true KR20070071499A (ko) 2007-07-04
KR100744948B1 KR100744948B1 (ko) 2007-08-02

Family

ID=3850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006A KR100744948B1 (ko) 2005-12-30 2005-12-30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9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0881A (zh) * 2019-02-26 2019-09-06 四川省中医药科学院 一种含四氢姜黄素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0200890A (zh) * 2019-01-16 2019-09-06 四川省中医药科学院 一种含四氢姜黄素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896B1 (ko) 2007-10-31 2009-10-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A202092219A1 (ru) * 2018-04-03 2021-07-06 Сами Лабс Лимитед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959A (ja) * 1993-02-01 1994-08-16 Yakult Honsha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皮膚化粧料
KR100230130B1 (ko) * 1997-02-18 1999-11-15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0253842B1 (ko) * 1997-09-12 2000-07-01 유상옥 멀베린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AU3573399A (en) 1998-04-29 1999-11-16 Avon Products Inc. Skin whitening composition
AU7880700A (en) 1999-08-16 2001-03-13 Dung Pha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for skin conditions using extracts of turmeric
KR20050010093A (ko) * 2003-07-18 2005-01-27 한영환 울금 추출물 및 쿠르크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0890A (zh) * 2019-01-16 2019-09-06 四川省中医药科学院 一种含四氢姜黄素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0200881A (zh) * 2019-02-26 2019-09-06 四川省中医药科学院 一种含四氢姜黄素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948B1 (ko)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948B1 (ko)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5166A (ko) 바다수선화 추출물과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3902B1 (ko) 장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7364A (ko) 아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01806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반하 비극성 지질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533787B1 (ko)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16362A (ko) 상지추출물 및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6B1 (ko) 천궁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