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387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387A
KR20060021387A KR1020057024313A KR20057024313A KR20060021387A KR 20060021387 A KR20060021387 A KR 20060021387A KR 1020057024313 A KR1020057024313 A KR 1020057024313A KR 20057024313 A KR20057024313 A KR 20057024313A KR 20060021387 A KR20060021387 A KR 20060021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mage display
portions
rear substr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350B1 (ko
Inventor
다까유끼 마스나가
후지오 다까하시
쥰 모리모또
시노부 오오후찌
마사히로 요꼬따
히사까즈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6002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1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gas dischar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5Spac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화상 표시 장치의 케이싱을 구성한 직사각형 형상의 배면 기판에는 케이싱을 보강한 보강 프레임(30)이 부착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은, 각각 배면 기판의 긴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프레임부(32)와, 각각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제1 프레임부를 연결한 한 쌍의 제2 프레임부(34)를 갖고 있다. 배면 기판의 긴 변의 길이를 H,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각 제2 프레임부와의 간격을 ΔH라 하면, 각 제2 프레임부는 ΔH/H = (13) 내지 (33) %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보강 프레임, 전방면 기판, 배면 기판, 프레임 부재, 스페이서, 케이싱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 프레임을 구비한 평면형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이하, CRT라 칭함)에 대신하는 차세대의 경량 및 박형의 표시 장치로서 여러 가지 평면형의 화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에는 액정의 배향을 이용하여 빛의 강약을 제어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LCD라 칭함), 플라즈마 방전의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 칭함), 전계 방출형 전자 방출 소자의 전자 빔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이하, FED라 칭함),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의 전자 빔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표면 전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이하, SED라 칭함) 등이 있다.
예를 들어 FED나 SED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2매의 기판을 갖고, 이러한 기판은 주변부끼리 서로 접합함으로써 케이싱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FED나 SED에서는 케이싱의 두께를 수 ㎜ 정도로까지 얇게 할 수 있고, 현재의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고 있는 CRT와 비교하여 경량화 및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전력 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케이싱을 구성하는 기판도 대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대형화에 수반하여 케이싱의 강도 저하, 공진 주파수의 저하, 중량 증대 등이 문제가 된다. 그래서, 케이싱의 기계적 강도를 올리는 목적으로, 배면 기판의 이면측에 보강용의 프레임을 부착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0493호 공보에는 프레임으로서 배면 기판과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진 금속판을 배면 기판의 이면 전체에 부착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146305호 공보에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금속 프레임을 배면 기판의 외면 주연부에 따라서 고정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배면 기판의 이면 전체에 금속판을 부착한 구조인 경우, 표시 장치 전체가 무거우면서 두껍게 되고, 표시 장치 원래의 목적인 경량 및 박형화의 방해가 된다. 또한, 상기 구조인 경우 중량 등이 증가되는 비율에 비교하여 표시 장치의 강도 향상의 비율이 낮다.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금속 프레임을 이용한 경우, 표시 장치 중앙부의 강도를 충분히 올릴 수 없고, 표시 장치의 낙하시나 외적 부하가 작용하였을 때, 이 중앙부에 왜곡이 생기기 쉽다.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금속 프레임은 비틀림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최소한의 보강에 의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여 박형 및 경량화를 실현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면을 가진 전방면 기판 및 이 전방면 기판에 대향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배면 기판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싱을 보강한 보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긴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프레임부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프레임부를 연결한 한 쌍의 제2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배면 기판의 긴 변의 길이를 H, 상기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각 제2 프레임부와의 간격을 ΔH라 하면, 상기 각 제2 프레임부는 ΔH/H = 12 내지 32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면을 가진 전방면 기판 및 이 전방면 기판에 대향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배면 기판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싱을 보강한 보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긴 변과 간격을 두고 이 긴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프레임부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간격을 두고 이 짧은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부를 연결한 한 쌍의 제2 프레임부와, 각 제1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따라서 배면 기판의 긴 변측으로 연장되어 회로 기판을 실장 가능한 제1 실장부와, 각 제2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따라서 다른 쪽의 제2 프레임부측으로 연장되어 회로 기판을 실장 가능한 제2 실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화상 표시 장치에 따르면, 대화면화에 수반하여 케이싱이 대형 및 박형화한 경우라도, 보강 프레임을 마련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보강 프레임을 가늘고 긴 제1 및 제2 프레임부에 의해 구성하는 동시에, 케이싱에 대해 필요 최소한의 최적의 프레임으로 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장치의 기계적 강도 향상 및 공진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FED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선 II-II에 따른 FED의 단면도이다.
도3은 상기 FED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상기 FED의 보강 프레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상기 FED를 구성하는 케이싱과 보강 프레임과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6은 상기 케이싱의 변위율과, ΔH/H 및 ΔV/V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상기 케이싱의 변위율과, ΔV/V 및 ΔH/H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보강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9는 상기 변형예에 관한 보강 프레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FED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선 XI-XI에 따른 상기 FED의 단면도이다.
도12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FED의 보강 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은 상기 보강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4는 상기 보강 프레임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상기 보강 프레임과 배면 기판과의 접촉부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6은 상기 보강 프레임의 제1 및 제2 실장부에 각각 회로 기판을 실장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7은 가동 코마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의 실장부에 회로 기판을 실장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보강 프레임의 제1 및 제2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9는 도18에 도시한 변형예에 관한 보강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FED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1은 도20의 선 XXI-XXI에 따른 상기 FED의 단면도이다.
도22는 도20의 선 XXII-XXII에 따른 상기 FED의 단면도이다.
도2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 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하여 분해 사시도이다.
도24는 도20의 선 XXIV-XXIV에 따른 상기 FED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를 FED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FED는 절연 기판으로서 각각 직사각형 형상의 글래스로 이루어지는 전방면 기판(11) 및 배면 기판(12)을 구비하고, 이러한 기판은 1 내지 2 ㎜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전방면 기판(11) 및 배면 기판(12)은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부재(13)를 통해 주연부끼리가 접합되고,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된 편평한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싱(10)을 구성하고 있다. 전방면 기판(11)의 내면 주연부와 프레임 부재(13) 사이 및 배면 기판(12)의 내면 주연부와 프레임 부재(13) 사이는, 예를 들어 인듐 혹은 인듐 합금 등의 저융점 금속 밀봉 부착재 및 플리트 글래스 등의 저융점 밀봉 부착재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전방면 기판(11) 및 배면 기판(12)에 가해지는 대기압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판 형상의 스페이서(14)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4)는 케이싱(10)의 짧은 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긴 변과 평행한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4)는,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예를 들어 기둥 형상의 스페이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방면 기판(11)의 내면 상에는 표시면으로서 기능하는 형광체 스크린(15)이 설치되어 있다. 형광체 스크린(15)은 적색, 녹색, 청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층 (16) 및 매트릭스 형상의 흑색광 흡수층(17)을 갖고 있다. 형광체 스크린(15) 상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탈 백(20)이 형성되고, 또한 메탈 백에 거듭 도시하지 않은 게터막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 기판(12)의 내면 상에는 형광체층(16)에 전자를 충돌시켜 여기하는 전자 방출원으로서 다수의 전자 방출 소자(18)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방출 소자(18)는 화소마다 대응하여 복수열 및 복수행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형광체층(16)과 일대일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각 전자 방출 소자(18)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방출부, 이 전자 방출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한 쌍의 소자 전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 기판(12)의 내면 상에는 전자 방출 소자(18)를 구동하는 다수의 배선(21)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는 배면 기판의 주연부에 인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FED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형광체 스크린(15) 및 메탈 백(20)에 애노드 전압이 인가되고, 전자 방출 소자(18)로부터 방출된 전자 빔을 애노드 전압에 의해 가속하여 형광체 스크린(15)으로 충돌시킨다. 이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15)의 형광체층(16)이 여기되어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FED는 배면 기판(12)의 외면에 부착되어 케이싱(10)을 보강한 보강 프레임(30)을 구비하고 있다. 보강 프레임(30)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가늘고 긴 한 쌍의 제1 프레임부(32)와, 제1 프레임부와 직교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가늘고 긴 한 쌍의 제2 프레임부(34)를 갖고 있다. 제1 프레임부(32) 및 제2 프레임부(34)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진 중공의 막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제2 프레임부(34)의 양단부는 각각 제1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제1 프레임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보강 프레임(30)은 전체로서 거의 우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30)은 흔들림 강성을 향상시키는 보강 부재로서, 한 쌍의 제1 연결 로드(38) 및 한 쌍의 제2 연결 로드(40)를 갖고 있다. 즉, 보강 프레임(30)은 제1 프레임부(32)와 제2 프레임부(34)가 교차된 4개의 모서리부(36)를 갖고 있다. 각 제1 연결 로드(38)는 대각 방향에 대향하는 세트의 모서리부(36)끼리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제1 연결 로드(38)는 서로 교차하여 연장되고, 이 교차부에서 서로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연결 로드(38)는 일체로 형성되고, 거의 크로스 형상을 이루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로드(40)는 대각 방향에 대향하는 세트의 모서리부(36)끼리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제2 연결 로드(40)는 서로 교차하여 연장되고, 이 교차부에서 서로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제2 연결 로드(40)는 일체로 형성되고, 거의 크로스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연결 로드(38)는 보강 프레임(30)의 배면 기판(12)측에 고정되고, 제2 연결 로드(40)는 보강 프레임의 외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연결 로드(38) 및 제2 연결 로드(40)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보강 부재로서는 연결 로드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를 이용해도 좋다.
보강 프레임(30)은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의 복수 부위를 배면 기판(12)의 외면에 접착함으로써, 케이싱(10)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10)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프레임부(32)는 각각 배면 기판(12)의 긴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한 쌍의 제2 프레임부(34)는 각각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각 제1 프레임부(32)는 배면 기판(12)이 대응하는 긴 변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여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각 제2 프레임부(34)는 배면 기판(12)이 대응하는 짧은 변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기판(12)의 긴 변의 길이를 H,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각 제2 프레임부(34)와의 간격(짧은 변으로부터의 오프셋량)을 ΔH라 하면, 각 제2 프레임부는 ΔH/H = 12 내지 32 %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면 기판(12)의 짧은 변의 길이를 V, 배면 기판의 긴 변과 각 제1 프레임부(32)와의 간격(긴 변으로부터의 오프셋량)을 ΔV라 하면, 각 제1 프레임부는 ΔV/V = 12 내지 32 %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술한 ΔH/H 및 ΔV/V의 값을 여러 가지 변경하여 케이싱(10)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도6 및 도7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케이싱(10)에 1G의 부하를 인가한 경우에 있어서의 배면 기판 변위율(AH = 0, ΔV = 0일 때를 1.0으로 하였음)과, ΔH/H 및 ΔV/V와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래 구조의 보강 프레임, 즉 배면 기판의 주연부에 따라서 고정된 직사각형 형상의 보강 프레임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배면 기판 중앙부의 변위율을 1로 하고 있 다.
도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부(34)가 ΔH/H = 12 내지 32 %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종래 구조의 보강 프레임을 이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배면 기판의 변위율이 60 내지 5 %로 저감한다. 제2 프레임부(34)가 ΔH/H = 16 내지 28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 배면 기판의 변위율은 40 내지 5 %로 저감한다. 또한, 제2 프레임부(34)가 ΔH/H = 18 내지 26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 배면 기판의 변위율은 30 내지 5 %로 저감한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프레임부(34)가 ΔH/H = 20 내지 24 %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배치함으로써, 배면 기판(12)의 변위율을 20 내지 5 %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32)에 관해서는 이 제1 프레임부가 ΔV/V = 12 내지 32 %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종래 구조의 보강 프레임을 이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배면 기판의 변위율을 50 내지 5 %로 저감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32)가 ΔV/V = 16 내지 28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 배면 기판의 변위율은 30 내지 5 %로 저감한다. 또한, 제1 프레임부(32)가 ΔV/V = 18 내지 26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 배면 기판의 변위율은 20 내지 5 %로 저감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프레임부(32)가 ΔV/V = 20 내지 24 %의 관계를 충족시킴으로써, 배면 기판의 변위율을 10 내지 5 %로 저감할 수 있다.
각 제1 프레임부(32)의 길이는 배면 기판(12)의 긴 변의 길이(H)와 동일하거 나, 그 이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부(32)의 각 단부와 배면 기판(12)의 짧은 변과의 간격은, 예를 들어 0 내지 30 ㎜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프레임부(34)의 각 단부는 제1 프레임부(32)를 넘어 배면 기판(12)의 긴 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는 독립하여 형성된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체 성형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 때, 제1 및 제2 프레임부는 알루미늄에 한정되지 않고, 철 등의 다른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FED에 따르면, 대화면화에 수반하여 케이싱(10)이 대형화한 경우라도, 보강 프레임(30)을 마련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보강 프레임(30)을 가늘고 긴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에 의해 구성하는 동시에, 케이싱에 대해 상술한 ΔH/H 및 ΔV/V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 및 배치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최적의 보강 프레임으로 하고, FED 전체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장치의 기계적 강도 향상 및 공진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30)의 모서리부끼리 연결한 제1 및 제2 연결 로드(38, 40)를 마련함으로써, 이러한 연결 로드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보강 프레임의 흔들림 강성을 약 5배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FED 전체의 기계적 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 세트의 연결 로드(38, 40)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1 세트의 연결 로드만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라도 흔들림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보강 부재로서는, 상술한 연결 로드에 한정 되지 않고,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판을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보강 프레임(30)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의 제1 보강판(44) 및 제2 보강판(46)을 구비하고, 각 보강판은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로 둘러싸인 영역과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보강판(44)은 보강 프레임(30)의 배면 기판(12)측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에 거듭 고정되고, 제1 및 제2 프레임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덮고 있는 동시에 4개의 모서리부(36)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제2 보강판(46)은 보강 프레임(30)의 외면측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프레임부에서 둘러싸인 영역을 덮고 있는 동시에 4개의 모서리부(36)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제1 및 제2 보강판(44, 46)은 간극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다.
이러한 직사각형 판 형상의 보강판을 이용한 경우, 보강판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보강 프레임(30)의 흔들림 강성을 약 8배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2매의 보강판(44, 46)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어느 한 쪽의 보강판만을 마련하는 구성으로서도 흔들림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어느 한 쪽의 보강판 대신에, 전술한 연결 로드를 조합시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FED를 표시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케이싱(10) 및 보강 프레임(30)은 도시하지 않는 캐비닛에 수납된다. 이 경우, 캐비닛의 일부에 의해 상술한 제2 보강판(46)을 겸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0 내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30)을 구성하는 각 제1 프레임부(32) 및 제2 프레임부 (34)는 제1 실장부(48) 및 제2 실장부(50)를 일체로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진 중공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싱(10)의 배면 기판(12)에 대해 전술한 ΔH/H 및 ΔV/V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는 배면 기판(12)의 외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상승하여 마련되고, 케이싱(10)을 실질적으로 보강한 고강도부를 구성하고 있다. 배면 기판(12)에 대한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의 상승 높이(h)는, 예를 들어 40 내지 50 ㎜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실장부(48)는 제1 프레임부(32)로부터 배면 기판(12)의 긴 변까지 이 배면 기판의 외면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실장부(48)는 제1 프레임부(3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제1 실장부(48)의 외면은 회로 기판을 실장 가능한 평탄한 실장면(48a)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실장부(48)의 연장 단부에는 배면 기판(12)측으로 돌출한 중공의 리브(52)가 일체로 형성되고, 배면 기판의 긴 변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실장부(48)에는 제1 프레임부(32)의 연장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슬롯(54)이 형성되고, 실장면(48a) 및 리브(52) 내에 개구하고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장부(48)의 실장면(48a) 상에는 전자 부품으로서 FED 구동용의 회로 기판(53)이 설치되고, 예를 들어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실장부(50)는 배면 기판(12)의 외면에 따라서, 제2 프레임부(34)로부터 다른 쪽의 제2 프레임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실장부(50)는 제2 프레임부 (3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제2 실장부(50)의 외면은 회로 기판을 실장 가능한 평탄한 실장면(50a)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실장부(50)의 연장 단부에는 배면 기판(12)측으로 돌출한 중공의 리브(56)가 일체로 형성되고,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2 실장부(50)에는 제2 프레임부(34)의 연장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슬롯(57)이 형성되고, 실장면(50a) 및 리브(56) 내에 개구하고 있다. 제2 실장부(50)의 실장면(50a)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FED 구동용의 회로 기판이 설치되고, 예를 들어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10 내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제1 프레임부(32)에 있어서, 제1 실장부(48)와 반대측의 측벽에는 제1 가이드 슬롯(32a)이 형성되고,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 제2 프레임부(34)에 있어서, 제2 실장부(50)와 반대측의 측벽에는 제2 가이드 슬롯(34a)이 형성되고, 제2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제1 프레임부(32)와 제2 프레임부(34)의 각 단부와는,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32a, 34a)에 삽입 관통된 연결 부재(60)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있다.
연결 부재(60)는 판재를 절곡하여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프레임부(32)의 제1 가이드 슬롯(32a)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코마부(60a)와, 제2 프레임부(34)의 제2 가이드 슬롯(34a)에 삽입 관통된 제2 코마부(60b)를 일체로 갖고 있다. 보강 프레임(30)을 조립하는 경우, 우선 연결 부재(60)의 제1 코마부(60a)를 제1 프레임부(32)의 제1 가이드 슬롯(32a)에 삽입한다. 제1 코마부(60a)를 제1 가이드 슬롯(32a)에 따라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제1 프레임부(32)로 나사 고 정한다. 이어서, 제2 프레임부(34)의 일단부를 제1 프레임부(32)에 대해 위치 맞춤하고, 제2 코마부(60b)를 제2 프레임부의 제2 가이드 슬롯(34a)에 삽입한다. 그 후, 제2 코마부(60b)를 제2 프레임부(34)로 나사 고정함으로써, 제1 프레임부(32) 및 제2 프레임부(34)를 연결한다. 마찬가지의 공정에 의해 제2 프레임부(34)의 각 단부를 제1 프레임부(32)에 연결하여 우물 형상의 보강 프레임을 얻는다.
도10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30)은, 각각 보강 부재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제1 연결 로드(38) 및 한 쌍의 제2 연결 로드(4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 로드(38)는 보강 프레임(30)의 배면 기판측에 마련되고, 보강 프레임의 대각 방향에 대향한 모서리부끼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각 제1 연결 로드(38)는 제1 프레임부(32)와 제2 실장부(50)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끼리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연결 로드(40)는 보강 프레임(30)의 외면측에 마련되고, 제1 프레임부(32)와 제2 프레임부(34)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끼리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강 프레임(30)은,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의 바닥면 및 제1 및 제2 실장부(48, 50)에 마련된 리브(52, 56)의 바닥면이 배면 기판(12)에 접촉한 상태에서 배면 기판의 외면에 접착되어 있다. 통상, FED의 작동시에 케이싱(10)이 가열되어 배면 기판(12)이 열 변형되는 경우, 배면 기판(12)은 그 중심부가 가장 크게 열 변형되고, 이 중심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방사 형상으로 열 변형량이 변화된다. 그로 인해, 배면 기판(12)의 열 변형을 보강 프레임(30)에 의해 구속하면, 배면 기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보강 프레임(30)에 있어서, 배면 기판(12)에 접착된 복수의 접착부 (62)는 배면 기판의 중심(C)과 동심의 원(D) 상 혹은 이에 가까운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접착부(62)는 원(D)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접착부(62)는, 각 제1 실장부(48)에 형성된 리브(52)의 길이 방향 중앙부 및 각 제2 프레임부(34)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접착부(62)의 길이(d)는 원(D)의 중심(C)을 통해 접착부에 수직인 선과, 중심(C) 및 접착부의 각 단부를 맺는 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약 2 내지 3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면 기판(12)의 열 변형을 구속하지 않고, 보강 프레임(30)을 배면 기판에 고정할 수 있어, 배면 기판을 포함하는 케이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FED에 따르면, 대화면화에 수반하여 케이싱(10)이 대형화된 경우라도, 보강 프레임(30)을 마련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FED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필요 최소한의 최적의 보강 프레임으로 하고, FED 전체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장치의 기계적 강도 향상 및 공진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는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32a, 34a)에 장착된 연결 부재(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된 코너 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부끼리 체결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개수 및 중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연결 부재(60)는 제1 가이드 슬롯(32a)으로 이동 가능 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를 임의의 위치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30)의 각 구성부는 고강도부로서 기능하는 프레임부와 실장부를 가진 L자형 구조로 하고, 프레임부에 의해 강도를 유지하면서, 실장부에 전자 부품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케이싱(10)의 배면측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표시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장부(48)의 실장면(48a)에 회로 기판(53)을 실장하는 동시에, 다른 회로 기판(64)을 제2 실장부(50)의 실장면(50a)에 실장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프레임부(32)에 배선용의 관통 구멍(66)을 마련하고, 이 관통 구멍(66)에 삽입 관통된 배선, 예를 들어 가요성 케이블(68)에 의해 회로 기판(53, 64)끼리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선을 크게 배치하는 일 없이 회로 기판끼리 접속할 수 있어 스페이스 효율의 향상 및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이 준비되지 않은 단선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장부(48)에 회로 기판(53)을 설치하는 경우,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코마(70)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을 고정해도 좋다. 이 가동 코마(70)는 제1 실장부(48)의 슬롯(54)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나사 구멍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가동 코마(70)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이 가동 코마(70)에 회로 기판(53)을 나사 고정함으로써, 회로 기판(53)을 제1 실장부(48)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제2 실장부(5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가동 코마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을 실장할 수 있다.
실장부에 회로 기판을 직접 나사 고정하는 경우, 회로 기판의 형상 변경 및 치수 변경 등에 따라서 실장부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의 형성 위치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동 코마(70)를 이용한 구성에 따르면, 회로 기판의 형상 혹은 치수에 따라서 가동 코마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회로 기판을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프레임(30)의 실장부에 나사 구멍을 가공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회로 기판을 용이하게 실장 가능해진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60)를 통해 제1 프레임부(32)와 제2 프레임부(34)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부(34)의 각 단부를 제1 프레임부(32)에 나사 고정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2 프레임부(34)의 내면에는 한 쌍의 통장의 비이드(71)가 일체로 성형되고, 제2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비이드(71) 내 구멍은 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제1 프레임부(32) 중, 제2 프레임부(34)의 단부를 연결하는 위치에는, 한 쌍의 관통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부(32)의 외측으로부터 이 관통 구멍(72)에 고정 나사(74)를 삽입 관통하고, 제2 프레임부(34)가 대응하는 비이드(71) 내 구멍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제2 프레임부와 제1 프레임부가 연결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FED에 대해 설명한다. 도20 내지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FED는 케이싱(10)을 보강한 보강 프레임(30) 및 케이싱을 입위 상태로 지지한 탈착 가능한 스탠드(76)를 구비하고 있다. 보강 프레임(30)은 우물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와, 각각 제1 및 제2 프 레임부에서 일체로 연장한 제1 및 제2 실장부(48, 50)를 갖고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프레임부(32, 34)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진 중공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싱(10)의 배면 기판(12)에 대해 전술한 ΔH/H 및 ΔV/V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의 제1 프레임부(3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76)의 다리부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한 쌍의 삽통 구멍(81)이 형성되고, 각각 제2 프레임부(34)의 일단부와 대향하고 있다.
보강 프레임(30)은, 각각 보강 부재로서 기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보강판(44) 및 한 쌍의 연결 로드(40)를 구비하고 있다. 보강판(44)은 보강 프레임(30)의 배면 기판측에 마련되고, 보강 프레임의 대각 방향에 대향한 모서리부끼리 연결되어 있다. 보강판(44)은 제1 프레임부(32)와 제2 실장부(50)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형상의 영역을 덮도록 제1 프레임부 및 제2 실장부에 고정되고, 4개의 모서리부끼리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로드(40)는 보강 프레임(30)의 외면측에 마련되고, 제1 프레임부(32)와 제2 프레임부(34)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끼리 연결되어 있다.
보강판(44)에는, 예를 들어 크로스 형상으로 연장된 보강 리브(7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78)를 마련함으로써, 평판으로 형성된 보강판(44)의 공진 주파수를 올릴 수 있다. 그에 의해, 보강판(44)의 공진을 억제하여 보강판의 진동에 기인하는 케이싱(1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강 리브(78)의 형상 및 연장 방향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도20 및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30)의 제1 실장부(48)에는 복수의 회로 기판(53)이 설치되고, 배면 기판(12)의 긴 변에 따라서 나열되어 있다. 각 회로 기판(53)은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77)을 통해, 배면 기판(12)의 주연부에 위치한 배선(21)(도1 참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은 제1 실장부(48) 외에, 제2 실장부(50) 및 보강판(44) 상에 실장해도 좋다.
스탠드(76)는 설치면에 적재 가능한 직사각형 판 형상의 베이스(80)와 이 베이스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다리부(82)를 갖고 있다. 각 다리부(82)는, 예를 들어 중공의 모서리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베이스(80)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20, 도22 내지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다리부(82)의 연장 단부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84)이 형성되고, 다리부의 연장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각 다리부(82)의 연장 단부에는 다리부의 높이 레벨을 나타내는 눈금(85)이 새겨져 있다.
한 쌍의 다리부(82)의 연장 단부는 보강 프레임(30)의 제1 프레임부(32)에 형성된 삽통 구멍(81)을 통해서 한 쌍의 제2 프레임부(34) 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다리부(82)의 연장 단부는 제2 프레임부(34)에 대해 임의의 위치까지 삽입되고, 고정 나사(86)에 의해 제2 프레임부(34)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고정 나사(86)는, 각 제2 프레임부(32)에 형성된 관통 구멍(86)을 통해 다리부(82) 중 어느 하나의 나사 구멍(84)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각 다리부(82)의 연장 단부는 제2 프레임부(34)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삽입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다리부(82)의 연장 단부를 소망 길이만큼 제2 프레임부(34)에 삽입하고, 고정 나사(86)에 의해 다리부(82) 중 어느 하나의 나사 구멍(84)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탠드(76)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그 때 다리부(82)에 형성된 눈금(85)을 대중적으로서 높이 조정할 수 있다. 스탠드(76)가 불필요한 경우, 고정 나사(86)를 느슨하게 한 쌍의 다리부(82)를 제2 프레임부(34)로부터 인발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스탠드(76)의 높이 조정 기구는, 상술한 나사 구멍과 고정 나사와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무단계로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FED에 따르면, 대화면화에 따른 케이싱(10)이 대형화된 경우라도, 보강 프레임(30)을 마련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FED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필요 최소한의 최적의 보강 프레임으로 하고, FED 전체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장치의 기계적 강도 향상 및 공진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30)의 제2 프레임부(34)를 이용하여 스탠드(76)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탠드 부착의 독립된 구성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부품 개수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의 다리부(82)를 중공의 제2 프레임부(34)에 삽입한 상태로 부착함으로써, 스탠드의 부착 강도를 충분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그 대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단 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가 적당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의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가지인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걸치는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방출 소자로서 표면 전도형의 전자 방출 소자를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pn형의 냉음극 소자 혹은 전계 방출형의 전자 방출 소자 등의 다른 전자 방출 소자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FED나 SED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PDP와 같은 다른 평면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의 보강에 의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고, 박형 및 경량화를 실현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8)

  1. 표시면을 가진 전방면 기판 및 이 전방면 기판에 대향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배면 기판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싱을 보강한 보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긴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프레임부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프레임부를 연결한 한 쌍의 제2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배면 기판의 긴 변의 길이를 H, 상기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각 제2 프레임부와의 간격을 ΔH라 하면, 상기 각 제2 프레임부는 ΔH/H = 12 내지 32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 프레임부는 ΔH/H = 16 내지 28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 프레임부는 ΔH/H = 18 내지 26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 프레임부는 ΔH/H = 20 내지 24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기판의 짧은 변의 길이를 V, 상기 배면 기판의 긴 변과 각 제1 프레임부와의 간격을 ΔV라 하면, 상기 각 제1 프레임부는 ΔV/V = 12 내지 32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프레임부는 ΔV/V = 16 내지 28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프레임부는 ΔV/V = 18 내지 26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프레임부는 ΔV/V = 20 내지 24 %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가 교차한 4개의 모서리부와, 대각 방향에 대향한 모서리부끼리 연결한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에 거듭 고정되 어 상기 4개의 모서리부를 연결한 보강판을 포함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보강 리브를 갖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4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배면 기판측에 위치한 직사각형 형상의 제1 보강판과, 상기 4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외면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보강판과 간극을 두고 대향한 직사각형 형상의 제2 보강판을 포함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대각 방향에 대향한 2 세트의 모서리부끼리를 각각 연결한 한 쌍의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 로드는 서로 교차하여 연장되고, 이 교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대각 방향에 대향한 2 세트의 모서리부끼리를 각각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배면 기판측에 위치한 한 쌍의 제1 연결 로드와, 상기 2 세트의 모서리부끼리를 각각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외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간극을 두고 대향한 한 쌍의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연결 로드는 서로 교차하여 연장되고, 이 교차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 로드는 서로 교차하여 연장되고, 이 교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4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에 고정된 직사각형 형상의 보강판과, 대각 방향에 대향한 2 세트의 모서리부끼리를 각각 연결한 한 쌍의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따라서 각 제1 프레임부로부터 배면 기판의 긴 변측으로 연장된 제1 실장부와,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따라서 각 제2 프레임부로부터 다른 쪽의 제2 프레임부측으로 연장된 제2 실장부를 갖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는 회로 기판을 실장 가능한 평탄한 실장면을 각각 갖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실장면에 개구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연장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슬롯과, 상기 슬롯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을 고정 가능한 가동 캠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제1 실장부에 실장된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실장부에 실장된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을 삽입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접착된 복수의 접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착부는 상기 배면 기판의 중심과 동심의 원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프레임부는 그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제1 가이드 슬롯을 갖고, 상기 각 제2 프레임부는 그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제2 가이드 슬롯을 갖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를 연결한 복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각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제1 가이드 슬롯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코마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제2 가이드 슬롯에 삽입 관통된 제2 코마부를 갖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실장면에 적재 가능한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세워 설치된 다리부를 갖고, 상기 케이싱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의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내부에 연통한 삽통 구멍을 갖고, 상기 지지 다리의 다리부는 상기 삽통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삽입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따라서 삽입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다리부를 상기 제2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6. 표시면을 가진 전방면 기판 및 이 전방면 기판에 대향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배면 기판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싱을 보강한 보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긴 변과 간격을 두고 이 긴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프레임부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간격을 두고 이 짧은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부를 연결한 한 쌍의 제2 프레임부와, 각 제1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따라서 배면 기판의 긴 변측으로 연장되어 전자 부품을 실장 가능한 제1 실장부와, 각 제2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따라서 다른 쪽의 제2 프레임부측으로 연장되어 전자 부품을 실장 가능한 제2 실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7. 표시면을 가진 전방면 기판 및 이 전방면 기판에 대향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의 배면 기판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싱을 보강한 보강 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을 지지한 탈착 가능한 스탠드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긴 변과 간격을 두고 이 긴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프레임부와, 각각 상기 배면 기판의 짧은 변과 간격을 두고 이 짧은 변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부를 연결한 한 쌍의 중공의 제2 프레임부와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는 설치면에 적재 가능한 베이스와, 각각 상기 베이스에 세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다리부에 삽입된 단부를 갖는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28. 제1항, 제26항,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 기판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표시면을 구성한 형광면과, 상기 배면 기판의 내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형광면을 여기하는 복수의 전자 방출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57024313A 2003-06-20 2004-06-17 화상 표시 장치 KR100676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7044A JP2005011764A (ja) 2003-06-20 2003-06-20 画像表示装置
JPJP-P-2003-00177044 200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387A true KR20060021387A (ko) 2006-03-07
KR100676350B1 KR100676350B1 (ko) 2007-02-01

Family

ID=3353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313A KR100676350B1 (ko) 2003-06-20 2004-06-17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98136A1 (ko)
EP (1) EP1655705A1 (ko)
JP (1) JP2005011764A (ko)
KR (1) KR100676350B1 (ko)
CN (1) CN1809855A (ko)
TW (1) TWI256841B (ko)
WO (1) WO2004114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9093B2 (ja) * 2005-06-02 2011-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337973A (ja) * 2005-06-02 2006-12-14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709197B1 (ko) * 2005-10-18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보강 부재
US8240863B2 (en) 2007-06-13 2012-08-14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nt device
JP2009081012A (ja) * 2007-09-26 2009-04-16 Futaba Corp 電界放出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997059B2 (ja) * 2007-10-15 2012-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薄型表示装置用構造部材
US20100328556A1 (en) * 2008-02-27 2010-12-30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apparatus
JP2010081280A (ja) * 2008-09-26 2010-04-08 Hitachi Ltd 映像表示装置
US8350458B2 (en) * 2009-05-15 2013-01-08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0267541A (ja) 2009-05-15 2010-11-25 Canon Inc 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40029240A1 (en) * 2012-07-24 2014-01-3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System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KR20170011646A (ko) * 2015-07-23 2017-02-0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배수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710B2 (ja) * 1997-08-04 2000-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ネルを支持する支持構造、およびパネルと該パネルを支持する支持構造を有するパネル装置、および該パネル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0112370A (ja) * 1998-10-06 2000-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JP3069604B2 (ja) * 1998-12-14 2000-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用ダイカスト製部品
JP2002099218A (ja) * 2000-09-22 2002-04-05 Nec Corp 補強プレート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JP2003029643A (ja) * 2001-07-18 200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14258A1 (ja) 2004-12-29
KR100676350B1 (ko) 2007-02-01
US20060098136A1 (en) 2006-05-11
JP2005011764A (ja) 2005-01-13
TWI256841B (en) 2006-06-11
TW200503538A (en) 2005-01-16
EP1655705A1 (en) 2006-05-10
CN1809855A (zh)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429B2 (en) Panel support structure, display panel supported by panel support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display panel
US20060098136A1 (en) Image display device
US7598674B2 (en) Plastic chassis and plasm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6989817B2 (en) Image display unit
KR100670252B1 (ko)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적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KR1004125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US20060091773A1 (en) Plasma display device
EP2264735A2 (en)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6209008A (ja) 画像表示装置
US6933669B2 (en) Planar fluorescent lamp having particular electrode structure
JP2006215193A (ja) 画像表示装置
US6943487B1 (en) Vacuum fluorescent display having complex-type filament supports
KR100421915B1 (ko) 액정표시장치의 하부커버 결합구조
KR100749623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4881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1447B1 (ko) 샤시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6009893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332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509166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搬送治具及び搬送方法
KR100683765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에서의 보스 겸용 보강 부재
KR1006158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86642A (ja) 画像表示装置
KR100669798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샤시 베이스의 보강 구조
KR1005818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275123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