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695A -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695A
KR20060017695A KR1020040066158A KR20040066158A KR20060017695A KR 20060017695 A KR20060017695 A KR 20060017695A KR 1020040066158 A KR1020040066158 A KR 1020040066158A KR 20040066158 A KR20040066158 A KR 20040066158A KR 20060017695 A KR20060017695 A KR 20060017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flag
identification
data
broad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443B1 (ko
Inventor
조범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443B1/ko
Priority to US11/124,829 priority patent/US20060039482A1/en
Publication of KR20060017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0Arrangements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typ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에서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부의 TS다중화부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에 하이라이트 방송이 시작될 경우 그 방송의 시작이나 종료를 알리는 식별 플래그를 삽입하는 플래그 삽입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의 TS역다중화부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 또는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래그 식별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시작 플래그, 종료 플래그

Description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AVING BROADCASTING DATA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 TRANSMITTING AND RECEIVING}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 송신부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 수신부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TS다중화되는 데이터들의 예시도,
도 4는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TS다중화된 데이터 흐름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TS다중화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TS역다중화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요약된 뉴스가 저장되는 예시도.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의 저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서 방송 데이터를 방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는 것은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음성과 영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과거에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한 방송과는 달리 영상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위성을 이용한 위성 디지털 방송과 VHF 채널을 사용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중에서 위성 디지털 방송의 가장 큰 특징은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휴대용 디지털 방송수신기 또는 차량용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이 아무리 장소의 제약이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사정에 따라 시청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이미 방송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은, 과거의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한 방송에서의 녹화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즉, 사용자의 직접적인 저장 장치 제어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예약하여 예약된 시간동안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이었다. 그런데 이 방법은, 비록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지는 않았지만,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된 방송 데이 터를 모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데이터가 방송되는 중간 중간마다, 광고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치 않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또는 사용자가 저장을 원하는 부분이 저장되는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모두 저장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만약 사용자가 타이머를 잘못 설정하였거나 시간을 잘못 알았을 경우, 또는 방송국의 사정상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송 데이터만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저장 장치에서 방송 데이터의 저장 시작과 종료를 직접 제어하여야만 했다. 이러한 방법은 비록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송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사정상 방송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때도 많았다. 그리고 설사 사용자가 직접 저장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상황이라고 하여도 사용자가 방송 데이터의 저장 시작과 종료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용 디지털 방송과 같이 이동하는 중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충분히 즐길 시간적 여유가 없을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간추린 뉴스 또는 하이라이트(Highlight)만을 보는 것으로 이를 대체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하이라이트라는 것은 방송, 연극, 스포츠등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중요 장면들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방송되는 많은 프로그램들이 방송 내용 속에 전체 내용을 요약하고 있는 하이라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뉴 스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시청할 경우 시청자는 뉴스 전체를 보지 않아도 그 뉴스의 중요한 기사는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를 미처 시청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그 스포츠 경기의 결과는 어떤지, 또 득점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등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시청자는 이러한 하이라이트 내용을 보는 것만으로도 전체 내용을 본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은 비교적 고정되어 있는 반면, 방송 프로그램 내의 하이라이트는 방송 내용의 전개에 따라 시작 시간 또는 그 방송되는 시간 등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통상적인 저장 방법으로는 이러한 하이라이트 방송 데이터만을 저장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직접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외에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자의 직접적인 제어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 하이라이트 방송의 방송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 중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알리는 플래그를 상기 방송 시작과 상기 방송 종료에 해당되는 방송 데이터의 전송 패킷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전송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패킷의 식별 플래그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은,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 중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지시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방송 데이터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송출 단계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플래그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식별 플래그 확인 단계와, 상기 식별 플래그가 확인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구간의 방송 데이터 저장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하는 저장 확인 단계와, 상기 저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식별 플래그가 상기 방송 시작인지 상기 방송 종료인지 식별하는 식별 플래그 식별 단계와, 상기 방송 시작인 경우 수신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시작 단계와. 상기 방송 종료인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는 저장 종료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데이터 또는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 중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부와 수신부에서 기 설정된 식별 플래그(Flag)를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부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가 송출될 때, 또는 하이라이트 방송 데이터가 송출될 때 그러한 데이터들의 송출을 수신부에 알릴 수 있는, 식별 플래그를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한다.
우선 도 1과 도 2,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 송신부의 구성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100)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부호화시키고 이를 압축시키는 오디오 신호 부호화부(102)와, 아날로그 영상 신호(104)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부호화시키고 이를 압축시키는 영상 데이터 부호화부(106), 그리고 입력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채널에 실을 수 있도록, TS패킷(Transport Stream Packet : 전송 패킷) 사이즈에 맞게 쪼개어 다중화하는 TS(Transport Stream)다중화부(108), 그리고 TS다중화부(108)에서 입력되는 TS패킷을 반송파에 싣는 변조부(110), 그리고 변조부(110)에 의해 변조된 TS패킷을 RF(Radio Frequency)신호로 송출하는 RF부(112)를 구비한다.
도 2는 상기한 도 1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와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 수신부의 구성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러한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 보인 송신부로 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는 RF부(200), 그리고 수신된 RF신호에서 반송파를 제거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복조하는  복조부(202), 복조부(202)에서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역다중화 하여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과 영상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류하는 TS역다중화부(204),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그리고 TS역다중화부(204)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100)로 복호화하고 이를 출력하는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부(206)와, TS역다중화부(204)로부터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104)로 복호화하고 이를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08)를 구비한다.
그런데 도 1과 도 2에서 보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작업 뿐 아니라 이를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TS패킷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1에서 오디오 신호(100)와 영상 신호(104)가 각각 오디오 신호 부호화부(102)와 영상 신호 부호화부(106)로 입력될 경우 오디오 신호 부호화부(102)와 영상 신호 부호화부(106)에서는 양자화(Quantization)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들로 부호화한다. 그리고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들을 각각의 시간 간격마다 패킷화하여 이를 TS다중화부(108)로 입력한다.
도 3은 TS다중화부(108)에 입력된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오디오 데이터 패킷),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패킷(디지털 비디오 패킷), 그리고 정보 데이터 패킷들의 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정보 데이터 패킷이라는 것은, 방송 데이터가 아닌, 교통 정보 또는 일기 예보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TS다중화부(108)에 입력된 데이터 패킷들은 수신부로의 전송채널에 실려질 수 있도록 TS패킷 사이즈(184byte)에 맞게 잘게 나누어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예를 살펴보면 오디오 데이터 패킷1이 A0, A1, A2라는 3개의 TS패킷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오디오 데이터 패킷 2와 3,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 패킷들과 정보 데이터 패킷들 역시 184byte라는 TS패킷 사이즈에 따라 잘게 나누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잘게 나누어진 각 데이터 패킷들은 TS다중화부(108)에 의해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스트림으로 다중화 된다. 여기서 TS패킷 사이즈가 184byte라는 것은 MPEG-2 시스템에서 비디오, 오디오, 정보 데이터 패킷들을 동시에 한 스트림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따랐을 때의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만약 다른 프로토콜이 사용될 경우 TS다중화부(108)는 그에 따라 달라진 TS패킷 사이즈로 데이터 패킷들을 나누는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상기한 도 3에서 TS다중화된 패킷들의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그런데 도 4를 참조하여 TS다중화된 데이터 패킷들을 살펴보면 오디오 데이터 패킷 A2가 실제 데이터인 TS패킷 4번, 정보 데이터 D2가 실제 데이터인 TS패킷 6번,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 패킷 V3가 실제 데이터인 패킷 8과 같이 TS패킷 사이즈에 따라 나누어진 데이터 중 실제 데이터가 184byte에 미치지 않는 패킷들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실제 데이터가 포함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비어 있는 영역 을 스터핑(Stuffing) 영역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스터핑 영역에, 상술한 바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부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 데이터가 방송될 때와 각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될 때, 그러한 방송 데이터들의 방송 시작 또는 종료를 수신부에 알릴 수 있는 식별 플래그를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러한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 데이터가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될 경우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 하고,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될 때 그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가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될 경우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부의 구성도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부의 구성외에 TS다중화부(108)에 플래그 삽입부(500)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플래그 삽입부(500)는 제1 실시예인 경우에는 하이라이트 방송이 시작 또는 종료시에 그 하이라이트 방송의 제작자 또는 하이라이트 방송 데이터가 방송되도록 하는 하이라이트 방송 소프트웨어나 방송 장치로부터, 그 하이라이트 방송의 시작이나 종료시에 식별 신호를 입력 받고, 하이라이트 식별 플래그를 상기 TS다중화부에 의해 패킷화된 TS패킷들에 기록한다. 여기서 하이라이트 식별 플래그라는 것은 하이라이트 방송의 시작이나 종료를 알리는 하이라이트 시작 또는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들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인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자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가 방송되도록 하는 방송 소프트웨어나 방송 장치로부터, 그 방송 프로 그램의 시작이나 종료시에 식별 신호를 입력 받고, 방송 프로그램 식별 플래그를 상기 TS다중화부에 의해 패킷화된 TS패킷들에 기록한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 식별 플래그라는 것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이나 종료를 알리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또는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들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플래그 삽입부(500)는 제1 실시 예의 경우 기 저장된 하이라이트 시작 시의 식별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하이라이트 방송이 시작됨을 수신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이라이트 식별 플래그를, 상기 식별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TS패킷 중 어느 하나의 스터핑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제2 실시 예의 경우 기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시작 시의 식별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 플래그를 상기 영상 데이터 패킷이 TS패킷화된 TS패킷 중 어느 하나의 스터핑 영역에 기록한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 플래그 삽입부(500)에 의해 스터핑 영역에 삽입된 식별 플래그는 방송 데이터와 함께 송신부의 변조부(110)와 RF부(112)를 거쳐 수신부로 송출된다.
도 6은 이러한 플래그를 스터핑 영역에 기록하는 플래그 삽입부(500)를 구비하고 있는 TS다중화부(508)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실시 예의 하이라이트 식별 플래그와 제2 실시 예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 플래그를 스터핑 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나, 도 6에서는 편의상 제1 실시 예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다중화부(508)는 600단계에서, 방송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었음을 확인한다. 여기서 방송 데이터 패킷이라는 것은 영상 데이터 패킷 뿐 아니라 오디 오 데이터 패킷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601단계로 진행하여 TS패킷 사이즈에 맞도록 입력된 방송 데이터 패킷을 쪼개어 TS패킷화한다.
그리고 602단계에서는 플래그 삽입부(500)가 하이라이트 방송의 프로그램 제작자 또는 하이라이트 방송 소프트웨어나 방송 장치로부터 하이라이트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이나 종료, 또는 하이라이트 방송이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식별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602단계에서, 현재 입력되고 있는 방송 데이터 패킷과 함께 상기한 식별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616단계로 진행하여 601단계에서 TS패킷화된 방송 데이터 패킷(이하 TS패킷이라 한다)을 그대로 TS다중화하고 이를 변조부(110)로 출력한다.
그러나 만약 602단계에서 상기한 식별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TS다중화부(508)는 604단계로 진행하여 601단계에서 TS패킷화한 TS패킷들 중, 상기 식별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TS패킷에 스터핑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약 스터핑 영역이 없을 경우에는 606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TS패킷을 선택하여 다시 604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604단계에서 선택된 다른 TS패킷에서 스터핑 영역이 있는지를 다시 확인한다. 그런데 여기서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영역이 플래그를 기록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이는 스터핑 영역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606단계로 진행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604단계에서 TS패킷에 스터핑 영역이 확인되었다면 플래그 삽입부(500)는 608단계로 진행한다. 이 608단계에서는, 600단계에서 플래그 삽입부(500)에 입력된 식별 신호가 하이라이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것인지 아니면 종료를 나타 내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약 600단계에서 플래그 삽입부(500)에 입력된 식별 신호가 하이라이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610단계로 진행하여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를 상기 604단계에서 확인된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에 기록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600단계에서 플래그 삽입부(500)에 입력된 식별 신호가 하이라이트의 종료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612단계로 진행하여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를 상기 604단계에서 확인된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에 기록한다.
그리고 TS다중화부(508)는 상기한 610단계 또는 612단계가 종료되면 616단계로 진행하여 하이라이트 시작 또는 종료 플래그가 스터핑 영역에 기록된 TS패킷을 다중화하여 변조부(110)로 출력한다. 그리고 변조부(110)로 입력된 TS패킷은 변조부(110)에 의해 변조되고, 이는 RF부(112)를 통해 송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TS패킷은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 수신부로 수신되게 된다. 도 7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부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통상적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부의 구성과 같이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부(200), 수신된 RF신호를 TS패킷으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202), 그리고 복조된 TS패킷을 다시 역다중화하는 TS역다중화부(702),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10), 그리고 TS역다중화부(702)에서 역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 패킷들을 복호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복호화부(206)와, TS역다중화부(702)에서 역다중화된 영상 데이터 패킷들을 복호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08) 를 구비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역다중화부(702)는,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에 기록된 하이라이트의 시작이나 종료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식별할 수 있는 플래그 식별부(600)를 더 구비한다. 이 플래그 식별부(600)에는 제1 실시 예의 경우 하이라이트의 시작 플래그와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가, 그리고 제2 실시예의 경우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와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는 제1 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가 하이라이트의 저장 기능을 활성화 시켰다면, 송신부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이 시작될 때, 수신부에서는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를 확인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이 시작됨을 인식한다. 그리고 수신된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송신부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이 종료될 때, 수신부에서는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를 수신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이 종료됨을 인식하고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는 제2 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방송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 저장 기능을 활성화 시켰다면, 송신부에서 사용자가 저장을 설정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 방송이 시작될 때, 수신부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를 확인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 방송이 시작됨을 인식한다. 그리고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송신부에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될 때, 수신부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를 수신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됨을 인식하고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게 된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플래그 식별부(700)가 구비된 TS역다중화부(702)의 동작을 보이고 있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래그 식별부(700)가 제1 실시 예의 하이라이트 식별 플래그와 제2 실시 예의 방송 프로그램 식별 플래그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나, 도 8에서는 편의상 제1 실시 예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TS역다중화부(702)는 복조부(202)로부터 TS패킷이 입력되면 802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을 확인한다. 그리고 804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에 하이라이트 시작 또는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스터핑 영역에 하이라이트 시작 또는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가 없는 경우에는 816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되는 TS패킷을 역다중화하고 이를 각각 오디오 데이터 패킷들과 영상 데이터 패킷들로 나누어 출력한다. 그리고 818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TS패킷을 입력받고 다시 802단계로 진행하여 새로 입력된 TS 패킷의 스터핑 영역 유무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한 804단계에서, 802단계로부터 확인된 스터핑 영역에 하이라이트 시작 또는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가 있을 경우에는 8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하이라이트 저장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만약 저장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TS역다중화부(702)는 816단계로 진행하여 TS패킷을 역다중화시키고, 이를 각각의 복호화부(206, 208)로 출력한다. 그리고 818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TS패킷을 입력받고 다시 802단계로 진행하여 새로 입력받 은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을 확인한다. 그러나 806단계에서 만약 저장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라면 808단계로 진행하여 플래그 식별부(700)가, 804단계에서 확인된 식별 플래그가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인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여기서 플래그 식별부(700)는, 기 저장되어 있는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와 상기한 804단계에서 확인된 식별 플래그가 동일할 경우에 810단계로 진행하여 TS역다중화부(702)에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가 확인되었음을 알리고, TS역다중화부(702)는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 패킷들을 저장부(210)에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한 808단계에서,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에 있는 식별 플래그가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인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가 아닐 경우에는 812단계로 진행한다. 이 812단계에서는 상기의 식별 플래그가 기 저장되어 있는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인지 아닌지 대한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약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일 경우에는 814단계로 진행하여 TS역다중화부(702)에 이를 알린다. 그리고 TS역다중화부(702)는 방송 데이터 패킷들의 저장을 종료한다. 그리고 TS역다중화부(702)는 816단계로 진행하여 TS패킷을 역다중화시키고 방송 데이터 패킷들을 오디오 데이터 패킷들과 영상 데이터 패킷들로 분류하여 각각의 복호화부(206, 208)로 출력한다. 그리고 818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TS패킷을 입력받고 다시 802단계로 진행하여 새로 입력받은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을 확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스포츠 경기의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저장하여 두고 싶을 경우 그 스포츠 경기가 방송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그 시간에 하이라이트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하 여 그 스포츠 경기의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저장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본 발명은 단지 하이라이트 뿐만아니라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기 설정된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와 이에 대응되는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이 시작될 때 송출되는 TS패킷에는 상기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가 포함된 TS패킷을 수신한 수신부에서는, 복조한 TS패킷에서 상기한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를 확인하고, 현재의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미리 선택하고 이를 저장 설정하여 둘 경우, 그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는 방송사의 사정으로 인한 방송 시간의 변경 등에 관계없이 쉽게 저장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그러한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와 이에 대응되는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의 예를 보이고 있다.
방송 프로그램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
스포츠 중계석 0000 0000 1000 0000
9시 뉴스 0000 0001 1000 0001
주말의 명화 0000 0010 1000 0010
축구 경기(한국 : 일본) 0000 0011 1000 0011
연예가중계 0000 0100 1000 0100
상기한 표 1을 참조하여 보면, 축구 경기(한국 : 일본)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는 '0000 0011'이고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는 '1000 0011'임을 알 수 있 다. 이 경우에 축구 경기(한국 : 일본)의 중계방송이 시작되면, 그 중계 방송의 시작을 알리는 식별 신호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래그 삽입부에 입력된다. 그리고 그 플래그 삽입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축구 경기의 방송 데이터의 송출과 함께 경기의 시작 시점에서 송출되는 어느 하나의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에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 '0000 0011'이 기록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는 TS패킷을 TS역다중화하는 과정에서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 '0000 0011'을 확인하고, 현재 '축구 경기(한국 : 일본)'이 시작됨을 인식한다. 이 경우 수신부의 TS역다중화부(702)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약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라면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 '0000 0011'이 사용자가 저장을 설정한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와 동일한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동일한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 '1000 0011'이 확인될 때까지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패킷들을 계속 저장부(210)에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예로서 9시 뉴스가 방송될 경우, 그 뉴스의 전체 내용이 요약되어 있는 하이라이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헤드라인 뉴스'와 '간추린 뉴스'를 저장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9시 뉴스'의 하이라이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헤드라인 뉴스' 부분과 '간추린 뉴스' 부분의 방송이 시작될 때 수신부에서는 '0001 0000'이라는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가 수신되고, 이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의 수신이후에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패킷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헤드라인 뉴스'와 '간추린 뉴스' 부분의 방 송이 종료될 때 수신부에서는 '0001 0001'이라는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가 수신되고, 이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가 수신되면 동영상 패킷들의 저장을 종료한다. 따라서 만약 '간추린 뉴스'가, '9시 뉴스'가 방송되고 있는 도중에 방송된다고 하더라도 '9시 뉴스'의 전체내용을 저장할 필요없이 '간추린 뉴스'만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부의 TS다중화부가,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 데이터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플래그를 TS패킷에 삽입할 수 있는 플래그 삽입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 또는 하이라이트의 방송 시작과 방송 종료에 대응하는 각각의 식별 플래그들을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TS패킷에 삽입하여 송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부의 TS역다중화부가, 상기한 식별 플래그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또는 하이라이트의 방송 시작 또는 종료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래그 식별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을 설정한 방송 프로그램 또는 하이라이트 부분의 방송 데이터 패킷들 만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하이라이트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제2 실시 예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 역시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그 방송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따로 저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9시 뉴스'를 저장하면서, 그 '9시 뉴스'의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따로 저장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저장 장치에서 '9시 뉴스'의 저장과 하이라이트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함께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을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부에서는, 수신된 TS패킷의 스터핑 영역에서 '9시 뉴스'의 방송 시작을 알리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 뿐 아니라 하이라이트 동영상의 시작을 알리는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9시 뉴스'가 시작될 경우에는 '9시 뉴스'의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에 의해 '9시 뉴스' 전체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시작하고, 저장하는 도중 하이라이트 동영상이 시작되면 이을 알리는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에 의해 하이라이트 방송 데이터 역시 저장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9시 뉴스'와 '하이라이트' 부분은 후에 독립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서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9시 뉴스' 또는 '하이라이트' 부분의 시작 플래그에 대응되는 종료 플래그가 입력될 때에 해당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한다. 즉, '하이라이트' 부분의 시작을 알리는 하이라이트 시작 플래그에 대응되는 하이라이트 종료 플래그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하이라이트'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게 되고, '9시 뉴스'의 시작을 알리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플래그에 대응되는 '9시 뉴스' 방송 프로그램 종료 플래그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9시 뉴스'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 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 송신부의 TS다중화부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 또는 하이라이트 방송의 방송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TS패킷에 삽입할 수 있는 플래그 삽입부를 구비하고, 특정 방송 프로그램 또는 하이라이트의 방송 데이터의 시작과 종료에 대응하는 각각의 식별 플래그들을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TS패킷에 삽입하여 송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수신부의 TS역다중화부가, 상기한 식별 플래그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 프로그램 또는 하이라이트의 방송의 시작이나 종료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래그 식별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동영상만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 방송의 동영상만을 저장할 수 있다.

Claims (29)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구비되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들 중 특정 구간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삽입하는 플래그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삽입부는,
    상기 방송의 제작자, 상기 방송의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상기 방송의 방송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알리는 식별 신호를 입력 받아서, 상기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삽입부는,
    상기 특정 구간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패킷으로 패킷화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상기 전송 패킷의 비어있는 영역인 스터핑(Stuffing) 영역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4.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구비되며, 상기 방송 데이터 중 특정 구간을 지시하는 플래그가 있을 경우 이를 식별하는 플래그 식별부와,
    상기 수신부에 구비되며, 상기 플래그 식별 결과에 따라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5.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 중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알리는 플래그를 상기 방송 시작과 상기 방송 종료에 해당되는 방송 데이터의 전송 패킷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전송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패킷의 식별 플래그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6.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구비되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들 중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플래그를 삽입하는 플래그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삽입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제작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알리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 신호를 입력 받아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삽입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플래그를,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에서 상기 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패킷으로 패킷화하는 과 정에서 생성되는, 상기 전송 패킷의 비어있는 영역인 스터핑(Stuffing) 영역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구비되며, 상기 방송 데이터에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알리는 플래그가 있을 경우, 이를 식별하는 플래그 식별부와,
    상기 수신부에 구비되며, 상기 플래그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식별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따라 각기 다른,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알리는 플래그들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1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 를 알리는 플래그를, 상기 방송 시작 또는 상기 방송 종료에 해당되는 방송 데이터의 전송 패킷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전송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패킷의 플래그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저장은,
    상기 플래그 식별 결과 상기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을 알리는 플래그가 식별되었을 경우 저장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저장은,
    상기 플래그 식별 결과 상기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를 알리는 플래그가 식별되었을 경우 저장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14.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데이터 중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지시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방송 데이터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송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플래그는,
    상기 방송 데이터가 전송 패킷으로 패킷화되는 과정에서, 패킷화된 방송 데이터가 패킷 사이즈의 크기보다 적을 경우 발생하게 되는, 상기 전송 패킷 내부의 비어있는 영역인 스터핑(stuffing) 영역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방송의 제작자 또는 상기 방송의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상기 방송의 방송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방송 시작과 방송 종료를 알리는 식별 신호를 입력 받는 식별 신호 입력 단계와,
    입력된 상기 식별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는 방송 확인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플래그는,
    상기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을 나타내는 시작 플래그와, 상기 특정 구간의 방송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단계는,
    상기 스터핑(Stuffing) 영역이 상기 식별 플래그를 삽입하기에 충분한지를 확인하는 스터핑 영역 확인 단계와,
    상기 스터핑 영역이 상기 식별 플래그를 기록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다른 스터핑 영역을 선택하는 스터핑 영역 선택 단계와,
    상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시작 플래그 또는 종료 플래그를 상기 스터핑 영역에 삽입하는 식별 플래그 삽입 단계와,
    상기 스터핑 영역이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송출하는 방송 데이터 송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9.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특정 구간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플래그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식별 플래그 확인 단계와,
    상기 식별 플래그가 확인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구간의 방송 데이터 저장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하는 저장 확인 단계와,
    상기 저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식별 플래그가 상기 방송 시작인지 상기 방송 종료인지 식별하는 식별 플래그 식별 단계와,
    상기 방송 시작인 경우 수신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시작 단계와.
    상기 방송 종료인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는 저장 종료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플래그 식별 단계는,
    기 저장된 방송 시작 플래그와, 상기 식별 플래그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방송 시작 플래그를 비교하는 방송 시작 플래그 식별 단계와,
    기 저장된 방송 종료 플래그와, 상기 식별 플래그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방송 종료 플래그를 비교하는 방송 종료 플래그 식별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21.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지시하는 식별 플래그를 상기 방송 데이터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송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플래그는,
    상기 방송 데이터가 전송 패킷으로 패킷화되는 과정에서, 패킷화된 방송 데이터가 패킷 사이즈의 크기보다 적을 경우 발생하게 되는 상기 전송 패킷 내부의 빈 영역인 스터핑(stuffing) 영역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제작자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소프트웨어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방송 시작과 방송 종료를 알리는 식별 신호를 입력 받는 식별 신호 입력 단계와,
    입력된 상기 식별 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과 상기 방송 종료를 식별하는 방송 확인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플래그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을 나타내는 시작 플래그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플래그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마다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플래그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마다 각기 다르며, 상기 시작 플래그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27.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단계는,
    상기 스터핑(Stuffing) 영역이 상기 식별 플래그를 삽입하기에 충분한지를 확인하는 스터핑 영역 확인 단계와,
    상기 스터핑 영역이 상기 식별 플래그를 기록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다른 스터핑 영역을 선택하는 스터핑 영역 선택 단계와,
    상기 방송 시작 종료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시작 플래그 또는 종료 플래그를 상기 스터핑 영역에 삽입하는 식별 플래그 삽입 단계와,
    상기 스터핑 영역이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송출하는 방송 데이터 송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28.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또는 방송 종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플래그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식별 플래그 확인 단계와,
    상기 식별 플래그가 확인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데이터 저장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하는 저장 확인 단계와,
    상기 저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식별 플래그가 상기 방송 시작인지 상기 방송 종료인지 식별하는 식별 플래그 식별 단계와,
    상기 방송 시작인 경우 수신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시작 단계와.
    상기 방송 종료인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는 저장 종료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플래그 식별 단계는,
    기 저장된 방송 시작 플래그와, 상기 식별 플래그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방송 시작 플래그를 비교하는 방송 시작 플래그 식별 단계와,
    기 저장된 방송 종료 플래그와, 상기 식별 플래그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방송 종료 플래그를 비교하는 방송 종료 플래그 식별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KR1020040066158A 2004-08-21 2004-08-21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송수신 방법 KR10068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58A KR100689443B1 (ko) 2004-08-21 2004-08-21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송수신 방법
US11/124,829 US20060039482A1 (en) 2004-08-21 2005-05-09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storing broadcast data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58A KR100689443B1 (ko) 2004-08-21 2004-08-21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695A true KR20060017695A (ko) 2006-02-27
KR100689443B1 KR100689443B1 (ko) 2007-03-08

Family

ID=3590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158A KR100689443B1 (ko) 2004-08-21 2004-08-21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39482A1 (ko)
KR (1) KR10068944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8855A1 (en) * 2007-08-24 2009-03-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705920B2 (en) 2007-08-24 2010-04-2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889695B2 (en) 2007-08-24 2011-02-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054906B2 (en) 2007-09-21 2011-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089929B2 (en) 2007-09-21 2012-01-0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583819B2 (en) 2010-11-25 2013-11-12 Nhn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er usage in peer-to-peer (P2P) based streaming service
KR101417890B1 (ko) * 2011-01-19 2014-08-0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2p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패킷타이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52167B1 (ko) * 2012-08-07 2014-10-21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개인화된 영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438669B2 (en) 2011-01-19 2016-09-06 Nav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izing data stream in peer-to-peer (P2P) based streaming service
USRE47183E1 (en) 2007-08-24 2018-12-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20491A2 (pt) * 2005-08-30 2009-05-12 Thomson Licensing otimização de camadas cruzadas para multidifusão de vìdeo escalável por redes de área local sem fio do ieee 802.11
KR100736051B1 (ko) * 2005-10-17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WO2008136608A1 (en) * 2007-05-02 2008-11-13 Pixtree Technologis, Inc. Method of processing media data and receiver, broadcasting system
KR101456002B1 (ko) 2007-06-26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05966B1 (ko) * 2007-06-26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N101785302B (zh) 2007-08-24 2013-07-17 Lg电子株式会社 数字广播系统和在数字广播系统中处理数据的方法
KR101556125B1 (ko) * 2007-08-24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MX2010001831A (es) 2007-08-24 2010-03-11 Lg Electronics Inc Sistema de difusion digital y metodo para procesar datos en sistema de difusion digital.
US8570911B2 (en) 2007-09-24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st messaging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44290B2 (en) * 2007-09-24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Terminating a multicast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2009076172A (ja) * 2007-09-25 2009-04-09 Hitachi Ltd データ伝送方法、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100907613B1 (ko) * 2007-12-26 2009-07-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가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1500A (ko) 2013-01-21 2023-01-20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예약된 데이터 공간에 위치된 메타데이터 컨테이너를 갖는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디코딩
CN109036443B (zh) 2013-01-21 2023-08-18 杜比实验室特许公司 用于在不同回放设备之间优化响度和动态范围的系统和方法
US9357215B2 (en) * 2013-02-12 2016-05-31 Michael Boden Audio output distribu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4131B1 (en) * 1992-12-09 2006-11-07 Sedna Patent Services, Llc Digital broadcast program billing
US5485219A (en) 1994-04-18 1996-01-16 Depromax Limited Electric service to record transmissions without recording commercials
KR100211248B1 (ko) * 1996-09-25 1999-07-15 전주범 브이시알의 하이라이트 녹화처리 시스템 및 처리방법
AU761627B2 (en) * 1997-11-11 2003-06-05 Snaptrack, Inc.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editor and editing method,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information storage and storing method, and broadcasting system
US6792617B2 (en) * 2001-07-20 2004-09-1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recording of television programs using event notifications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9818B2 (en) 2007-08-24 2013-12-3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705920B2 (en) 2007-08-24 2010-04-2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777817B2 (en) 2007-08-24 2010-08-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889695B2 (en) 2007-08-24 2011-02-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948943B2 (en) 2007-08-24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7982808B2 (en) 2007-08-24 2011-07-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RE47183E1 (en) 2007-08-24 2018-12-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9028855A1 (en) * 2007-08-24 2009-03-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149754B2 (en) 2007-08-24 2012-04-0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199830B2 (en) 2007-08-24 2012-06-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300569B2 (en) 2007-08-24 2012-10-3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314891B2 (en) 2007-08-24 2012-11-2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860871B2 (en) 2007-08-24 2018-01-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154817B2 (en) 2007-08-24 2015-10-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089929B2 (en) 2007-09-21 2012-01-0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9717082B2 (en) 2007-09-21 2017-07-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542761B2 (en) 2007-09-21 2013-09-2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609520B2 (en) 2007-09-21 2020-03-3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054906B2 (en) 2007-09-21 2011-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885762B2 (en) 2007-09-21 2014-11-1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9137643B2 (en) 2007-09-21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472476B2 (en) 2007-09-21 2013-06-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10084568B2 (en) 2007-09-21 2018-09-25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9525512B2 (en) 2007-09-21 2016-12-2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385250B2 (en) 2007-09-21 2013-02-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583819B2 (en) 2010-11-25 2013-11-12 Nhn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er usage in peer-to-peer (P2P) based streaming service
US9736236B2 (en) 2011-01-19 2017-08-15 Nav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ffering in peer-to-peer (P2P) based streaming service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pplication for processing buffering in client
US9438669B2 (en) 2011-01-19 2016-09-06 Nav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izing data stream in peer-to-peer (P2P) based streaming service
KR101417890B1 (ko) * 2011-01-19 2014-08-0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2p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패킷타이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52167B1 (ko) * 2012-08-07 2014-10-21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개인화된 영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443B1 (ko) 2007-03-08
US20060039482A1 (en)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43B1 (ko)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송수신 방법
US73407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viewing, reserving and/or delayed viewing of digital television programs
KR100744210B1 (ko) 방송송신장치와, 이의 방송신호 송신방법 및방송수신장치와, 이의 예약녹화방법
KR101581354B1 (ko)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US20070110105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a multiplexed broadcast signal carrying a plurality of services
JP4891595B2 (ja) 移動式テレビジョン受信機
EP206123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video locations in a video stream using text data
US67142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independent channels
WO2008016213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KR100740018B1 (ko) 기록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US7260316B2 (en) Digital broadcast/analog broadcast receiving and recording apparatus
KR100659453B1 (ko) 수신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KR20060113523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JP3982923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7120163B2 (en)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image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20014875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JP524476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542232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KR101229896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609151B1 (ko) 디지털위성방송수신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135870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725928B1 (ko)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0627991B1 (ko)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US96418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oadcast programming content
KR10062695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채널 튜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