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991B1 -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991B1
KR100627991B1 KR1019997011354A KR19997011354A KR100627991B1 KR 100627991 B1 KR100627991 B1 KR 100627991B1 KR 1019997011354 A KR1019997011354 A KR 1019997011354A KR 19997011354 A KR19997011354 A KR 19997011354A KR 100627991 B1 KR100627991 B1 KR 100627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pressed
output
digital data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3358A (ko
Inventor
사카오카츠토시
코가타다하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6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3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아날로그 입력 단자(Ain)만을 갖고 있는 기억 장치(13A)가 접속된 경우에는, MPEG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드 처리를 실시하며, 또한 D/A 변환되어 Aout로부터 출력된다. PCM 오디오 입력 단자(Din)를 구비하고 있는 기억 장치(13B)가 접속된 경우에는, MPEG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드 처리를 실시하여 Dout로부터 출력된다. IEEE1394 등의 양방향 디지털 인터페이스 단자(Dif)를 구비하고 있는 기억 장치(13C)가 접속된 경우에는, ATRAC 데이터가 Dif로부터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서, 콘텐츠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IRD에 접속된 기억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수신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1999016244276-pct00001
압축 디지털 데이터, 분배, 콘텐츠

Description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ce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위성 방송에 의해 음악 방송을 행하는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접속된 데이터 축적 장치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를 그 데이터 축적 장치에 송출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데이터나 음악 데이터 등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디지털방송이 주목되어 보급이 진행하고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의 이점으로서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같은 전송로에서 노이즈나 페이딩에 강하고, 고품질의 신호를 전송 가능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이용 효율이 향상되어 다채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위성 방송으로서는 하나의 위성에서 수백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지털 위성 방송으로서는, 스포츠, 영화, 음악, 뉴스 등의 전문 채널이 다수 준비되어 있으며, 이들 전문 채널에서는 각각의 전문 콘텐츠 프로그램이 방영되고 있다.
이들 전문 채널 중 음악 채널은 인기 있는 채널 중 하나이며, 주로 신곡이나 히트곡의 소개 등을 행하는 프로모션용의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다.
상술과 같이, 종래의 음악 채널에서는 신곡 소개나 히트곡의 프로그램이 동화상과 음성으로 이송되고 있다. 시청자는 이러한 음악 채널을 보고 마음에 든 악곡이 있으면, 소개되어 있는 악곡의 CD 등을 구입하여 즐기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그 악곡의 아티스트의 정보나, 그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앨범의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음악 프로그램을 보고, 그 악곡의 아티스트의 정보나 그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앨범의 정보를 알고 싶어지면, 그 자리에서 그 정보가 얻어지며, 또한 마음에 든 악곡이 있으면, 그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하다.
그런데 종래의 음악 채널로서는 악곡에 관한 동화상과 음성이 일방적으로 보내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요청에는 응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음악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음악에 관한 정보를 간단히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그 악곡 데이터를 데이터 축적 장치에 간단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 음악 콘텐츠 분배 시스템이 PCT 출원: PCT/JP98/0544(출원일 1998년 11월 10일)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 콘텐츠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축적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수신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는,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distributed)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종류가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를 출력 가능하게 하는 처리 수단과, 처리 수단에 의해서 처리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 수단과, 각 출력 수단과 외부의 축적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 복수의 출력 수단 중 하나로부터 출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은,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하여, 외부의 축적 장치에 출력하는 것으로서, 종류가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를 축적 장치에 출력할 수 있도록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여, 축적 장치와 데이터 수신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 복수의 출력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 축적 장치에 출력을 행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는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축적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은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하여, 외부의 축적 장치에 출력하는 것으로서,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축적 장치에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는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할 때마다 상기 다운로드의 이력 정보를 내부의 기억부에 기억하며, 또한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이력 정보 송신처에 송신함으로써 과금 처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택 또는 다운로드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기억부와, 제 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이력 정보 송신처와는 별도의 송신처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는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신장하는 제 1 데이터 신장 수단과,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신장하는 제 2 데이터 신장 수단과, 제 1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 또는 제 2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 중 한쪽을 모니터용으로 하며, 다른 한쪽을 데이터 축적용에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는 전송로를 통해서 반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축적 수단에 축적된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으로서는,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종류가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를 출력 가능하게 하며, 복수의 출력 수단과 외부의 축적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 복수의 출력 수단 중 하나로부터 출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으로서는,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축적 장치에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로서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 또는 다운로드할 때에, 선택 또는 다운로드된 콘텐츠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여, 기억된 정보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과금처리를 위한 이력 정보 송신처와는 별도의 송신처에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로는, 분배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신장하는 데이터 신장 수단을 복수 구비하여, 한쪽을 모니터용으로 하며, 다른 한쪽을 데이터 축적용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는 반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축적하여, 축적된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소정의 부분으로부터 판독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음악 콘텐츠 분배 시스템의 일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측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와 기억 장치와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IEEE1394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의 기록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음성 부가 정보를 다운로드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가 자기의 출력 단자와 기억 장치와의 접속 관계를 체크한 후, 접속되어 있는 기억 장치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행할 때의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가 자기의 출력 단자와 기억 장치와의 접속 관계를 체크한 후, 접속되어 있는 기억 장치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행할 때의 처리의 다른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IRD가 자기의 출력 단자와 기억 장치와의 접속 관계를 체크한 후, 접속되어 있는 기억 장치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행할 때 처리의 다른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처리에 있어서 GUI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IRD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IRD에 있어서의 시청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IRD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a, 17b는 도 16에 도시한 IRD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IRD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a, 19b는 도 18에 도시한 IRD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악 콘텐츠 분배 시스템의 일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1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IRD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은 디지털 위성 방송을 사용하여 음악 프로그램을 방송함과 동시에, 이 음악 프로그램과 관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에 의해, 시청자가 음악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시청하고 마음에 든 악곡이 있는 경우에, 그 자리에서 그 악곡을 간단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음악 콘텐츠 분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방송의 지상국(1)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소재 서버(6)로부터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의 소재와, 악곡 소재 서버(7)로부터의 악곡 데이터의 소재와, 음성 부가 정보 서버(8)로부터의 음성 부가 정보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 서버(9)로부터의 GUI 데이터가 이송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소재 서버(6)는 통상의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소재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소재 서버(6)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소재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이다. 통상의 음악 방송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신곡 소개의 프로모션 프로그램이거나, 최신의 히트곡의 랭킹 프로그램이다.
악곡 소재 서버(7)는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관련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요컨대 음악 방송 프로그램에서 소개하고 있는 아티스트의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나, 음악 방송 프로그램에서 방영되고 있는 랭킹 프로그램의 톱 10의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가 제공된다. 이 악곡 소재 서버(7)는 복수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어, 지상국(1)으로 그것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이송한다. 후술하지만, 각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 소정의 단위 시간 내에서 반복하여 방송된다.
음성 부가 정보 서버(8)는 악곡 소재 서버(7)로부터 제공되는 악곡의 부가 정보, 예를 들면 가사 정보, 아티스트의 콘서트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GUI 데이터 서버(9)는 분배되는 악곡의 리스트 페이지나 각 악곡의 정보 페이지의 화면을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 앨범 재킷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 EPG(Electric Program Guide)용 화면을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한 것은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으로서는 화면상의 GUI 조작에 의해, 분배되는 악곡의 가사, 아티스트의 콘서트 정보나 프로필 등을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화면상의 GUI 조작에 의해, 악곡의 선택, 다운로드 및 그 예약 등을 할 수 있다. 또, 이 GUI 데이터는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언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에 의해서 기술된다.
지상국(1)은 전술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소재 서버(6)로부터의 음악 프로그램 방송의 소재로 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악곡 소재 서버(7)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와 음성 부가 정보 서버(8)로부터의 부가 정보와 GUI 데이터 서버(9)로부터의 GUI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한다. 이때,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의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의 음성 데이터는 MPEG 오디오 방식에 의해 압축된다. 악곡 소재 서버(7)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는 두 개의 다른 방식, 예를 들면 MPEG 오디오 방식과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방식에 의해 압축된다. 또한, 이것들의 데이터는 다중화일 때, 키 정보 서버(10)로부터의 키 정보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지상국(1)으로부터의 신호는 위성(2)을 통하여 각 가정의 수신 설비(3)로 수신된다. 위성(2)에는 복수의 트랜스폰더가 탑재되어 있다. 하나의 트랜스폰더는 예를 들면 30Mbps의 전송 능력을 갖고 있다. 각 가정의 수신 설비(3)로서는 파라볼라 안테나(11)와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12)와 기억 장치(13)와 텔레비전 수상기(14)가 준비된다.
파라볼라 안테나(11)로 위성(2)을 통하여 이송되어 온 신호가 수신된다. 이 수신 신호가 파라볼라 안테나(11)에 장착된 LNB(Low Noise Block Downconverter) (15)로 소정의 주파수로 변환되어 IRD(12)에 공급된다.
IRD(12)는 수신 신호로부터 소정의 채널 신호를 선택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IRD(12)은 MHEG 디코드 엔진 기능을 갖고 있고, 방송 신호에 다중화되어 있는 MHEG 데이터를 처리하여, 악곡의 리스트 페이지나, 각 악곡의 정보 페이지나, EPG용 화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IRD(12)의 출력은 텔레비전 수상기(14)에 공급된다.
기억 장치(13)는 다운로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기억 장치(13)로서는, 미니 디스크 (MD, 소니사 상품명) 리코더/플레이어,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리코더/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데스크(DVD) 리코더/플레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13)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고, 그 하드디스크나 CD-R에 오디오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도 가능하다.
IRD(12)는 내부에 모뎀(63)(도 6)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 모뎀(63)을 통하여 전화 회선(4)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전화 회선(4)을 통하여 과금 서버(5)와 결부되어 있다. IRD(12)에는 각종 정보가 기억되는 IC 카드(65)(도 6)가 삽입되는 IC 카드 슬롯(62)(도 6)을 갖고 있다.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행하여지면, 그 정보가 IC 카드(65)에 기억된다. IC 카드(65)에 기억된 다운로드 이력 정보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화 회선(4)을 통하여 과금 서버(5)에 이송된다. 과금 서버(5)는 이 다운로드 정보로부터 적절한 과금을 행하여 시청자에게 청구한다. 이와 같이, 적절한 과금을 행하는 것에 의해, 다운로드되는 악곡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으로서는, 지상국(1)은 텔레비전 프로그램 소재 서버(6)로부터의 음악 프로그램 방송의 소재가 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악곡 소재 서버(7)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와 음성 부가 정보 서버(8)로부터의 부가 정보 데이터와 GUI 데이터 서버(9)로부터의 GUI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하고 있다. 그리고 각 가정의 수신 설비(3)로 이 방송을 수신하면, 음악 프로그램이 보여지는 것 외에, 이송되어 온 GUI 데이터에 근거하여 GUI 화면이 표시된다. 이 GUI 화면을 보면서 필요한 조작을 행하면, 각 악곡에 대한 정보 페이지를 볼 수 있으며, 또한 각 악곡에 대해서의 시청을 할 수 있다. 또한, GUI 화면을 보면서 필요한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원하는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억 장치(13)에 기억할 수 있다.
다음에 수신 설비(3)에 있어서의 시청자의 조작에 대해서, 또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가정의 수신 설비(3)로 음악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때는 텔레비전 수상기(14)의 화면 전체에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리모트 커맨더(64; 도 6)를 사용하여 소정의 조작, 예를 들면 리모트 커맨더(64)에 설치된 「대화식 프로그램」이라고 하는 버튼(도시 생략)을 누름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은 축소되어, 화면의 다른 부분에 여러 가지인 정보가 표시된다. 화면의 좌측 상부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표시 에어리어(21A)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소재 서버(6)로부터 제공된 음악 프로그램에 근거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화면의 우측 상부에는, 전송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악곡의 리스트(21B)가 표시된다. 또한, 화면의 좌측 아래에는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21C)와 재킷 표시 에어리어(21D)가 설정된다. 또한, 화면의 오른쪽에는 가사 표시 버튼(22), 프로필 표시 버튼(23), 정보 표시 버튼(24), 예약 녹음 버튼(25), 예약 일람 표시 버튼(26), 녹음 이력 표시 버튼(27), 및 다운로드 버튼(28)이 표시된다. 한편, 이것들의 화면의 표시 형태는 일례이며, GUI 데이터 서버(9)로부터 송출되는 MHEG 데이터를 IRD(12)내의 MHEG 디코드 엔진으로 표시 처리된 것이다. GUI 데이터 서버(9)로부터 송출되는 MHEG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인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청자는 이 리스트(21B)에 표시되어 있는 악곡명을 보면서, 흥미가 있는 악곡을 찾아간다. 그리고 흥미가 있는 악곡을 찾아내면, 리모트 커맨더(64)의 화살표 키를 조작하여 그 악곡에 커서를 맞춘 후, 리모트 커맨더(64)의 엔터 키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커서를 맞춘 악곡을 시청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소정의 단위 시간 중(관련하는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 중), 동일의 복수 악곡이 반복하여 방송되어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 프로그램 표시 에어리어(21A)의 화면은 그대로(단지 음성은 출력되지 않게 된다)에서, 지정된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가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되어,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드되는 것에 의해, 그 악곡을 들을 수 있다. 이때, 재킷 표시 에어리어(21D)에는 그 악곡의 재킷의 정지 화상이 표시된다.
이 상태로 가사 표시 버튼(22)에 커서를 맞추어, 리모트 커맨더(64)의 엔터 키를 누르면(이하, 버튼에 커서를 맞추어, 엔터 키를 누르는 조작을 버튼을 누른다고 한다),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21C)에 악곡의 가사가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한 타이밍으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프로필 표시 버튼(23) 또는 정보 표시 버튼(24)을 누르면, 악곡에 대응하는 아티스트의 프로필 또는 콘서트 정보 등이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21C)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시청자는 현재 어느 악곡이 분배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각 악곡에 대해서의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시청자는 시청한 악곡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다운로드 버튼(28)을 누른다. 다운로드 버튼(28)이 누르면, 선택된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가 다운로드되어 기억 장치(13)에 기억된다.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그 가사 데이터, 아티스트의 프로필 정보, 재킷의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악곡이 다운로드될 때마다 그 정보가 IRD(12)내의 IC 카드(65)(도 6)에 기억된다. IC 카드(65)에 기억된 정보는 모뎀(63)(도 6)을 통하여 예를 들면 1개월에 한 번씩 과금 서버(5)에 송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운로드되는 악곡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는 미리 다운로드의 예약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약 녹음 버튼(25)을 누른다. 이 버튼을 누르면, GUI 화면이 전환되어 예약이 가능한 악곡의 리스트가 화면 전체에 표시된다. 이 리스트는 1시간 단위, 1주간 단위, 장르 단위 등으로 검색한 악곡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청자는 이 리스트 중에서 다운로드의 예약을 행하고 싶은 악곡을 선택하면, 그 정보가 IRD(12)내에 등록된다. 그리고 이미 다운로드의 예약을 행한 악곡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예약 일람 표시 버튼(26)을 누름으로써, 화면 전체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예약된 악곡은 예약 시각이 되면 IRD(12)에 의해 다운로드되어 기억 장치(13)에 기억된다.
시청자는 다운로드를 행한 악곡에 대해서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녹음 이력 버튼(27)을 누름으로써, 이미 다운로드를 행한 악곡의 리스트를 화면 전체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수신 설비(3)로서는, 텔레비전 수상기(14)의 GUI 화면상에 악곡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 GUI 화면상의 표시에 따라서 악곡을 선택하면 그 악곡을 시청할 수 있으며, 그 악곡의 가사나 아티스트의 프로필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악곡의 다운로드와 그 예약, 다운로드의 이력이나 예약 악곡 리스트의 표시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음악 콘텐츠 분배 시스템으로서는 음악 방송 프로그램이 분배됨과 동시에, 복수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가 분배된다. 그리고 분배되어 있는 악곡의 리스트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악곡을 찾아, 그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 장치(13)에 간단하게 보존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서, 더욱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음악 콘텐츠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의 지상국(1)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소재 등록 시스템(31)(도 1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소재 서버(6)에 상당한다)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의 소재 데이터는 AV 서버(35)에 등록된다. 이 소재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이다. AV 서버(35)에 등록된 데이터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송출 시스템(39)에 이송되며,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MPEG2 방식으로 압축되며, 음성 데이터는 예를 들면 MPEG 오디오 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패킷화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송출 시스템(39)의 출력은 멀티플렉서(44)에 이송된다.
또한, 악곡 소재 등록 시스템(32)(도 1의 악곡 소재 서버(7)에 상당한다)으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인코더(36A) 및 ATRAC 인코더(36B)에 공급되어 각 인코드된 후, MPEG 오디오 서버(40A) 및 ATRAC 오디오 서버(40B)에 등록된다. MPEG 오디오 서버(40A)에 등록된 MPEG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송출 시스템(43A)에 이송되며,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에 이송된다. ATRAC 오디오 서버(40B)에 등록된 ATRAC 데이터는 ATRAC 오디오 송출 시스템(43B)에 이송되며, 패킷화된 후 4배속 처리되어 멀티플렉서(44)에 이송된다. 요컨대 ATRAC 오디오 데이터는 4배속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음성 부가 정보 등록 시스템(33)(도 2의 음성 부가 정보 서버(8)에 상당한다)으로부터의 부가 정보는 음성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37)에 등록된다. 음성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37)에 등록된 부가 정보는 음성 부가 정보 송출 시스템(41)에 이송되어,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에 이송된다.
또한, GUI용 소재 등록 시스템(34)(도 1의 GUI 데이터 서버(9)에 상당한다)으로부터의 GUI 데이터는 GUI 소재 데이터베이스(38)에 등록된다. GUI 소재 데이터베이스(38)에 등록된 GUI 소재 데이터는 GUI 저작 시스템(GUI authoring system)(42)에 이송되며, 여기서 GUI용 화면의 데이터가 처리되어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에 이송된다. 여기서, GUI 소재 데이터에는 재킷의 정지 화상 정보, 아티스트의 콘서트 정보, GUI 작성 프로그램 등이 포함되지만, 정지 화상 정보는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으로 압축된 640 ×480 화소, 텍스트 정보는 예를 들면 800문자 이내의 텍스트 데이터로 되어 각각 패킷화된다.
멀티플렉서(44)에 있어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송출 시스템(39)으로부터의 비디오 패킷 및 오디오 패킷과, MPEG 오디오 송출 시스템(43A)에서의 오디오 패킷과, ATRAC 오디오 송출 시스템(43B)에서의 4배속 오디오 패킷과, 음성 부가 정보 송출 시스템(41)으로부터의 음성 부가 정보 패킷과, GUI 저작 시스템(42)으로부터의 GUI 데이터 패킷이 시간축 다중화됨과 동시에, 키 정보 서버(10)(도 1)로부터의 키 정보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멀티플렉서(44)의 출력은 전파 송출 시스템(45)에 이송되며, 여기서 오류 정정 부호의 부가, 변조, 및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안테나로부터 위성(2)을 향하여 송신된다.
도 4는 지상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 이 도면에 도시하는 각 데이터는 실제로는 시간축 다중화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각(t1)으로부터 시각(t2)의 사이가 하나의 이벤트로 되어, 시각(t2)으로부터 다음의 이벤트로 된다. 이벤트란 악곡의 라인업을 변경하는 단위(예를 들면 하나의 음악 방송 프로그램)로서, 30분 또는 1시간을 단위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면, 최신 히트곡의 톱 20의 20위로부터 11위를 먼저의 이벤트로 방송하며, 1O위로부터 1위를 후의 이벤트로 방송하는 것 등이 고려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각(t1)으로부터 시각(t2)의 이벤트로서는, 소정의 내용(A1)을 갖는 음악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다. 또한, 시각(t2)으로부터 시작되는 이벤트로서는, 소정의 내용(A2)을 갖는 음악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다. 이들 음악 프로그램의 방송은 통상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영상과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으로 방송된다.
한편, 오디오 데이터는, 예를 들면 10곡 분량이 준비된다. 이 10곡 분량의 오디오 데이터가 반복하여 송신된다. 즉, 시각(t1)으로부터 시각(t2)의 이벤트로서는, 악곡(1)으로서 악곡(B1)이 반복하여 송신되며, 악곡(2)으로서 악곡(C1)이 반복하여 송신되고, 이하, 마찬가지로 악곡(10)으로서 악곡(K1)이 반복하여 송신된다. 시각(t2)으로부터 시작되는 이벤트로서는 악곡(1)으로서 악곡(B2)이 반복하여 송신되며, 악곡(2)으로서는 악곡(C2)이 반복하여 송신되고, 이하 마찬가지로, 악곡(10)으로서는 악곡(K2)이 반복하여 송신된다. 이것은 MPEG 오디오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및 ATRAC에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에 공통이다.
요컨대, 도 4에 있어서, MPEG 오디오 데이터와 4배속 ATRAC 오디오 데이터의 ( )내의 숫자가 같은 것은 같은 악곡에 대한 것이다. 또한, 음성 부가 정보의 ( ) 내의 숫자는 같은 번호를 갖는 악곡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 정보이다. 또한, GU1 데이터로서 전송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나 각종 버튼의 데이터, 그리고 GUI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도 반복하여 전송된다. 이것들의 데이터는 MPEG2의 트랜스포트 패킷으로 시분할 다중화되어 송신되며, IRD(12)내에서는 각 데이터 패킷의 헤더 정보를 사용하여 재구축된다.
다음에, 각 가정의 수신 설비(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정의 수신 설비로서는 파라볼라 안테나(11)와 IRD(12)와 기억 장치(13)와 텔레비전 수상기(14)가 준비된다. 여기서는 IRD(12)로서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Aout)와, IEC958 규격에 준거한 광 케이블로 오디오 데이터를 이송하는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Dout)와, IEEE1394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단자(Dif)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억 장치(13)로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Ain)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 IEC958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Din)를 구비하고 있는 것, IEEE1394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단자(Dif)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기억 장치로서는 ATRAC에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 예를 들면 소위 미니 디스크 (MD, 소니사 상품명) 리코더/플레이어를 상정한다.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억 장치로서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Ain)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기억 장치(23A)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IRD(12)의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Aout)와, 기억 장치(13A)의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Ain)가 아날로그 케이블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억 장치로서 IEC958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Din)를 구비하고 있는 기억 장치(13B)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IRD(12)의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Dout)와 기억 장치(13B)의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Din)와의 사이가 광 케이블로 접속된다. 또한,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억 장치로서 IEEE1394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단자(Dif)를 구비하고 있는 기억 장치(13C)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IRD(12)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단자(Dif)와 기억 장치(13C)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단자(Dif)와의 사이가 디지털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접속된다.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억 장치로서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밖에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에 의해서 압축된 것이다. 다운로드 지시된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는 IRD(12) 내에서 MPEG 오디오의 디코드 처리를 실시하며, 또한 D/A 변환되어 아날로그의 오디오 출력 단자(Aout)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IRD(12)로부터 아날로그 케이블을 통하여 기억 장치(13A)에 이송된다. 또, 이 경우, IRD(12)와 기억 장치(13A)와의 사이에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 또는 케이블에 의한 유선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의 주고받기를 행하여, 접속 관계의 확인이나 다운로드 동작의 확인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억 장치로서 IEC958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Din)를 구비하고 있는 기억 장치(13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에 의해서 압축된 것이다. 다운로드가 지시된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는 IRD(12)내에서 MPEG 오디오의 디코드 처리를 실시하며,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광 케이블을 통하여 기억 장치(13B)에 전송된다. 이 경우도, IRD(12)와 기억 장치(13A)와의 사이에,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 또는 케이블에 의한 유선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의 주고받기를 행하여, 접속 관계의 확인이나 다운로드 동작의 확인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억 장치로서 IEEE1394 규격 준거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단자(Dif)를 구비하고 있는 기억 장치(13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는 ATRAC에 의해서 압축된 것이다. 다운로드가 지시된 악곡의 4배속 ATRAC 데이터는 디코드되지 않고서 그대로 IRD(12)로부터, 디지털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하여 기억 장치에 이송된다. 도 5b 및 도 5c의 경우, MPEG 오디오의 디코드 처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운로드는 실시간에서 실행된다. 한편, 도 5d의 경우 ATRAC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는 것과 동시에, ATRAC 데이터는 4배속으로 전송되어 오기 때문에, 다운로드는 악곡의 길이의 4분의 1 시간에서 완료한다. 요컨대 4분의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는 1분으로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억 장치(13)로서 사용되는 기기로서는 아날로그 입력인 것,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 ATRAC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의 3종류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IRD(12)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IRD(12)는 외부 단자 또는 인터페이스로서, 입력 단자(T1),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T2),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 T4),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 IEEE1394 인터페이스(60), 인간-기계 인터페이스(61), IC 카드 슬롯(62), 및 모뎀(63)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 단자(TI)는 LNB(15)에서 소정의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이다.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T2)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14)에 공급하는 단자이다.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14)에 공급하는 단자이다.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는 도 5의 Aout에 상당한다.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는 도 5의 Dout에 상당한다. 그리고 IEEE1394 인터페이스(60)는 도 5의 Dif에 상당한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61)는 시청자에게 의한 리모트 커맨더(64)로부터의 입력을 제어용 CPU(58)로 이송된다. IC 카드 슬롯(62)에는 IC 카드(65)가 삽입된다. 모뎀(63)은 전화 회선(4)을 통하여 과금 서버(5)와 접속된다.
튜너(51)는 제어용 CPU(58)로부터의 설정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단자(T1)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신호 중에서 소정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하며, 또한 복조와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하여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한다. 디스크램블러(52)는 튜너(51)로부터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받아, IC 카드(65)에 기억되어 있는 디스크램블용 키 데이터를 IC 카드 슬롯(62)과 제어용 CPU(58)을 통하여 수취하여, 이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디스크램블 처리를 행한다. 트랜스포트 IC(53)는 시청자가 리모트 커맨더(64)로부터 입력한 지령을 인간-기계 인터페이스(61)와 제어용 CPU(58)을 통하여 수취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의 MPEG 비디오 데이터와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55)는 트랜스포트 IC(53)로부터 공급되는 MPEG 비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압축 전의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MPEG 비디오 디코더(55)는 OSD(0n Screen Display)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 기능을 이용하여 관면 표시가 가능해지고 있다. NTSC 변환 블록(57)은 MPEG 비디오 디코더(55)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NTSC 신호로 변환하여 NTSC 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T2)에 출력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54)는 트랜스포트 IC(53)로부터 공급되는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압축 전의 오디오 데이터(PCM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DA 컨버터(56)는 MPEG 오디오 디코더(54)로부터 공급되는 PCM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스위치(SW1)는 DA 컨버터(56)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 T4)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제어용 CPU(58)는 IRD(12) 전체의 제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시청자가 리모트 커맨더(64)를 사용하여 입력한 지령을 인간-기계 인터페이스(61)를 통하여 수취한다. 또한, 제어용 CPU(58)에는 모뎀(63)이 접속되어 있다. 과금에 필요한 정보는 상술과 같이 IC 카드(65)에 기억된다. 이 IC 카드(65)의 정보는 모뎀(63)을 사용하여 전화 회선(4)을 통하여, 과금 서버(5)(도 1)에 이송된다. 또한, 제어용 CPU(58)는 MHEG 디코드 엔진 기능을 갖고 있으며,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도 4에 도시한 음성 부가 정보와 GUI 데이터를 넣는다. 그리고 이것들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에 의해, 리스트 페이지의 화면이나 각 악곡의 정보 페이지의 화면, 악곡의 가사의 표시 화면, 또는 EPG용 화면 데이터 등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화면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더(55)의 OSD 기능을 사용하여 표시 처리된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면상의 지정 에어리어에 방송되는 악곡의 리스트 페이지나 각 악곡의 정보 페이지의 화면, 가사의 화면, 또는 EPG용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한 IRD(12)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IRD(12)에 있어서, 상술한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을 시청자가 선택한다.
이때, 입력 단자(T1)에 입력된 수신 신호는 튜너(51)에 공급된다. 튜너(51)로서는 제어용 CPU(58)로부터의 설정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 신호 중에서 소정 수신 주파수의 신호가 선택되며, 또한 복조와 오류 정정 처리가 실시되어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출력된다.
튜너(51)의 출력은 디스크램블러(52)에 공급된다. 디스크램블러(52)로서는, IC 카드(65)에 기억되어 있는 디스크램블용의 키 데이터가 IC 카드 슬롯(62)과 제어용 CPU(58)를 통하여 입력되어, 이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디스크램블이 행하여진다. 디스크램블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트랜스포트 IC(53)에 이송된다.
트랜스포트 IC(53)로서는 시청자가 리모트 커맨더(64)로부터 입력한 지령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61)와 제어용 CPU(58)을 통하여 입력된다. 그리고 그 지령에 따라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MPEG 비디오 데이터와 MPEG 오디오 데이터(도 4 중 A1)가 추출되어, 각각 MPEG 비디오 디코더(55)와 MPEG 오디오 디코더(54)에 이송된다. MPEG 비디오 디코더(55)에 이송된 MPEG 비디오 데이터는 여기서 데이터 압축 전의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되며, 다음에 NTSC 변환 블록(57)으로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T2)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14)(도 1)로 출력된다. MPEG 오디오 디코더(54)에 이송된 MPEG 오디오 데이터는 여기서 데이터 압축 전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되며, 다음에 DA 컨버터(56)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14)로 출력된다.
이때 리모트 커맨더(64)를 사용하여 소정의 조작, 예를 들면 리모트 커맨더(64)에 설치된 「대화식 프로그램」이라는 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면, 트랜스포트 IC(53)는 GUI 데이터와 음성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추출하여 추출한 GUI 데이터를 제어용 CPU(58)에 공급한다. 제어용 CPU(58)는 공급된 GUI 데이터를 MHEG 디코드 엔진 기능을 사용하여 화면 데이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하여 형성된 화면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더(55)의 OSD 기능을 사용하여 표시 처리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14)에 출력된다. 이렇게 해서 텔레비전 수상기(14)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14)에 표시된 화면 중 가사 버튼(22)이 눌러진 경우에는, 음성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추출되며, 추출된 음성 부가 정보는 제어용 CPU(58)에 공급된다. 제어용 CPU(58)는 공급된 음성 부가 정보로부터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사 표시 화면 데이터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가사 표시 화면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더(55)의 OSD 기능을 사용하여 표시 처리되며,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14)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서, 텔레비전 수상기(14)의 스피커로부터 악곡의 음성이 흐르는 것과 동시에, 그 음성과 동기하여 화면의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21C)에 가사가 표시된다.
도 2에 도시한 화면상에서 악곡의 리스트(21B)에서 악곡이 선택되어, 그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시청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가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추출된다. 이때, 그때까지 트랜스포트 IC(53)로 추출되고 있던 MPEG 오디오 데이터는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압축된 것이지만, 이 MPEG 오디오 데이터 대신에 선택된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가 추출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트랜스포트 IC(53)로 추출된,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디코더(54)로 디코드되어 DA 컨버터(56)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된 후, 스위치(SW1)를 통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14)에 출력되어 시청할 수 있도록 된다.
도 2에 도시한 화면상에서 다운로드 버튼(28)이 눌러져,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때는 트랜스포트 IC(53)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추출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 또는 IEEE1394 인터페이스(60)의 어느 것인가 하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된다.
즉,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에 기억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5b의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MPEG 오디오 디코더(54)로 디코드하며, 또한 DA 컨버터(56)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아날로그 케이블을 통하여 기억 장치에 송출한다.
또한,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에 기억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5c의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MPEG 오디오 디코더(54)로 디코드한 후, PCM 오디오 신호를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를 통하여 기억 장치에 송출한다.
또한, IEEE1394 인터페이스(60)에 기억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5d의 경우)에는, 트랜스포트IC(53)에 있어서 4배속 ATRAC 데이터를 추출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60)를 통하여 추출된 4배속 ATRAC 데이터를 그대로 기억 장치에 송출한다.
또한, 이때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JPEG 방식으로 압축되어 있는 재킷 데이터가 추출되어, IEEE1394 인터페이스(60)를 통하여 기억 장치에 송출된다. 또한, 이때,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가사나 아티스트의 프로필 등의 텍스트, 데이터가 추출되어 IEEE1394 인터페이스(60)를 통하여 기억 장치에 송출된다.
도 7은 IEEE1394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16)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16)로서는, 예를 들면 소위 미니 디스크 (MD, 소니사 상품명)를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16)는 IEEE1394 인터페이스(71)와, 광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72)와,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T12)와,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13)를 구비하고 있다. IEEE1394 인터페이스(71)는 기록 재생부(75)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72)는 ATRAC 인코더(74)를 통하여 기록 재생부(75)와 접속되어 있다.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T12)는 AD 컨버터(73)를 통하여 ATRAC 인코더(7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13)는 DA 컨버터(78)와 ATRAC 디코더(77)를 통하여 기록 재생부(75)와 접속되어 있다. 기록 재생부(75)에는 디스크(76)가 세트되어, 이 디스크(76)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행한다. 또,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이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16) 전체의 제어 등을 행하는 제어용 CPU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Ain)(T12)밖에 구비하지 않은 기억 장치(13A)에서는, 광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72)와 IEEE1394 인터페이스(71)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Din)를 구비하는 기억 장치(13B)에서는 IEEE1394 인터페이스(71)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다음에 이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16)의 기록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71)와 도 6에 도시한 IRD(12)의 IEEE1394 인터페이스(6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5d의 경우)에는, IEEE1394 인터페이스(60)로부터 송출된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가사 등의 텍스트 데이터 및 재킷 등의 정지 화상 데이터는 IEEE1394 인터페이스(71)로부터 입력되어, 그대로 기록 재생부(75)에 의해서 디스크(76)에 기록된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때, 디스크(76) 상에는 확장 MD 포맷에 의해 각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가 IEEE1394 인터페이스(71)를 구비하지 않고, 광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7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72)에 IRD(12)의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로부터 PCM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PCM 오디오 데이터는 ATRAC 인코더(74)로 인코드된 후, 기록 재생부(75)에 의해서 디스크(76)에 기록된다.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가 IEEE1394 인터페이스(71)와 광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72)를 구비하지 않고,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12)밖에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T12)에 IRD(12)의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 컨버터(73)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되어 ATRAC 인코더(74)로 인코드된 후, 기록 재생부(75)에 의해서 디스크(76)에 기록된다.
요컨대,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억 장치(13)와 IRD(12)와의 사이가 IEEE1394 인터페이스에서 접속되어 있는 경우만,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와 같이 그 가사 데이터나 재킷의 정지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한편, 광 디지털 오디오 입출력 단자에서의 접속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입출력 단자에서의 접속인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만이 기록된다.
재생시에는, ATRAC 디코더(77)에 의해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드되어, DA 컨버터(78)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13)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디스크(76)로부터 재생된 가사 데이터나 재킷 데이터는 IEEE1394 인터페이스(71)로부터 IRD(12)의 IEEE1394 인터페이스(60)에 공급되어, IRD(12)내의 CPU(58) 및 MPEG 비디오 디코더(55)로 표시 처리되어 텔레비전 수상기(14)에 표시된다. 한편, 텔레비전 수상기(14)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16)에 IEEE1394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나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디스플레이에 가사나 재킷을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프린터로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IEEE1394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16), 예를 들면 소위 미니 디스크 (MD, 소니사 상품명)에서는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그 가사 데이터나 재킷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다.
이 기록 재생은 도 8에 도시하는 확장 MD 포맷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능하게 된다. 이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는 ATRAC 방식으로 메인 데이터 에어리어에 기록된다. 이것은 현행의 MD 포맷과 동일하다. 그리고 확장 MD 포맷으로서는, 또한 2.8Mbyte의 보조 데이터(Aux Data) 에어리어에 전술한 재킷 데이터나 가사 데이터 등을 기록한다. 이 포맷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재킷 데이터나 가사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현행의 MD 포맷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수신 설비에 있어서,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음성 부가 정보인 재킷, 데이터나 가사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유저가 IRD(12)에 있어서, 지금까지 설명한 악곡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한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을 선택한다(스텝 S1). 구체적으로는, 텔레비전 수상기(14)에 표시되어 있는 EPG를 보면서, 도 6의 리모트 커맨더(64)를 사용하여 채널의 선택 지령을 준다. IRD(12)로서는, 제어용 CPU(58)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61)를 통하여, 유저의 채널 선택 지령을 수취하여, 튜너(51)에 채널 설정 신호를 이송하여 원하는 채널에 설정한다.
다음에 튜너(51)의 출력을 사용하여 제어용 CPU(58)은 전파 강도를 체크한다(스텝 S2). 그래서 전파 강도가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의 신뢰성이 낮게 되기 때문에, 이것 이후의 처리를 중지한다.
유저는 스텝 S1에 있어서 IRD(12)의 수신 채널의 설정을 지령한 후, 스텝 S11에 있어서,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16), 예를 들면 소위 MD에 디스크의 세트를 행한다. 또한, 유저는 IRD(12)과 MD가 IEEE1394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스텝 S3), 악곡의 선택과 그 다운로드를 결정하는 지령을 준다(스텝 S4). 이때, 선택된 악곡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제어용 CPU(58)내의 레지스터(도시 생략)에 격납된다.
IRD(12)의 제어용 CPU(58)는 다운로드 지령이 주어지면, MD(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16))에 세트되어 있는 디스크의 체크를 IEEE1394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행한다(스텝 S5). 구체적으로는, 기록 재생부(75)에 디스크(76)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디스크의 기록 용량이 충분할지 등의 커맨드를 발행하여, 그 응답을 감시한다. 혹시 디스크의 기록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유저는 디스크의 교환을 행한다(스텝 S12).
스텝 S5에 있어서, 디스크 체크를 행하여, 그 결과가 OK이면 다운로드를 개시한다(스텝 S6). 즉, 기술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4배속 ATRAC 데이터와 재킷 등의 JPEG 정지 화상 데이터와, 가사 등의 텍스트 데이터가 추출되며 IEEE1394 인터페이스(60)를 통하여 MD에 송출된다. 이것들의 데이터는 IEEE1394 인터페이스(71)로부터 입력되어, 그대로 기록 재생부(75)에 의해서 디스크(76)에 기록된다.
MD에서는 에러가 없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13). 즉, IRD(12)로부터 MD에 대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IRD(12)내의 IEEE1394 인터페이스(60)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가 부가되어 있지만, MD내의 IEEE1394 인터페이스(71)로 에러 정정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디스크(76)에 바른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다. 그래서 MD에서는 IRD(12)으로부터 이송되는 데이터 중 에러를 감시하여, 에러의 정정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IRD(12)에 대하여 다운로드용 데이터의 재송부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하여 에러 체크를 행하면서 다운로드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하면(스텝 S7), 다음에 별도 곡의 다운로드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 여기서, 다운로드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한지의 여부는 스텝 S4에서 선택된 채널 번호를 갖는 ATRAC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JPEG 데이터가 트랜스포트 IC(53)로부터 모두 추출되었는지를 제어용 CPU(58)가 보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다운로드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로 레지스터에 격납한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별도 곡의 다운로드를 행하는지 여부는 스텝 S4로 선택된 악곡의 다운로드 데이터가 모두 MD에 송신되었는지를 보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선택된 모든 악곡의 다운로드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하면, 다운로드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9).
이상, 악곡의 선택과 동시에 다운로드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였다.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으로서는, 미리 다운로드의 예약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처리는, 예약 시각이 되었을 때에 스텝 S2의 처리를 행하여, 그 후 스텝 S6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 및 스텝 S3으로부터 스텝 S5의 처리는 예약 설정시에 행하여진다.
이하, 접속 기기의 판단과 데이터 선택시에 있어서의 제어용 CPU(58)의 처리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접속의 체크는 IEEE1394 인터페이스(60)→디지털 오디오 단자(59)(IEC958)→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의 순서로 행하여진다.
우선, IEEE1394 인터페이스(60)에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21). IEEE1394 인터페이스(60)에 IEEE1394 케이블을 통하여 IEEE1394 대응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그 접속되어 있는 기기와의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회하여(INQUIRY) 커맨드를 송신한다(스텝 S22). 이 커맨드는 접속되어 있는 기기(이하, 접속 기기라고 칭함)의 기능 등을 문의하는 커맨드이다.
접속 기기로부터 응답이 되돌아온 경우(스텝 S23에서 YES)에는, 그 응답의 내용으로부터, 그 접속 기기가 4배속 ATRAC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4). 4배속 ATRAC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하면(스텝 S24에서 YES),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4배속 ATRAC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것을 IEEE1394 인터페이스(60)를 통하여 접속 기기에 이송한다(스텝 S25).
다음에 접속 기기에 있어서 기록에 오류(에러)가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EEE1394 인터페이스(60)와 그 접속 기기와의 사이에서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속 기기는 정상으로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리는 응답을 IRD(12)에 송신할 수 있다. IRD(12)내의 제어용 CPU(58)는 이 응답을 보고, 기록에 오류가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6).
기록에 오류가 없던 경우에는, 지정된 악곡이 접속 기기에 있어서 기록 종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요컨대 악곡의 최후까지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유저가 복수 악곡의 다운로드를 지정한 경우, 모든 악곡의 다운로드가 종료했는지의 여부의 판단도 동시에 행하여진다. 제어용 CPU(58)은 시청자가 텔레비전 수상기(14)의 GUI 화면을 보면서 리모트 커맨더(64)를 사용하여, 다운로드하는 악곡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 모든 악곡이 다운로드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 S27). 그리고 지정된 악곡 모든 기록이 종료한 경우(스텝 S27에서 YES)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26 또는 스텝 S27에서 NO인 경우에는, 스텝 S25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텝 S23 또는 스텝 S24에서 NO인 경우에는,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에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다음에, 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에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28). IRD(12)의 광 디지털 출력 인터페이스(59)에 물리적인 케이블 센서가 장비되어 있는 경우는, 제어용 CPU(58)가 그 센서(1)의 출력을 본다. 또한, 센서가 장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청자가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GUI 화면을 보면서, 리모트 커맨더(64)를 사용하여 「IEC958 기기」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9). 스텝 S29에서 YES인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며(스텝 S30), 그것을 MPEG 오디오 디코더(54)로 디코드한 후, PCM 오디오 신호를 광 디지털 오디오 출력 단자(5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기기(이하, 접속 기기라고 칭함)에 이송된다(스텝 S31). 그리고 시청자에 의해 지정된 악곡 모든 오디오 데이터의 접속 기기에의 송신이 종료할 때까지, 스텝 S30 내지 S31의 처리를 반복한 후(스텝 S32에서 YES),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9에서 NO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에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처리로 이행한다. 다음에, 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에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33). 이때, 스텝 S29와 같이 IRD(12)의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에 물리적인 케이블 센서가 장비되어 있는 경우는, 제어용 CPU(58)가 그 센서의 출력을 본다. 또한, 센서가 장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가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GUI 화면을 보면서, 리모트 커맨더(62)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입력 기기」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4). 스텝 S34에서 YES인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IC(53)에 있어서,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스텝 S35), 그것을 MPEG 오디오 디코더(54)로 디코드하며, 또한 DA 컨버터(56)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를 통하여, 이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이하, 접속 기기로 칭함)에 이송된다(스텝 S36). 그래서 시청자에 의해 지정된 악곡 모두가 접속 기기에의 송신이 종료할 때까지, 스텝 S35 내지 S36의 처리를 반복한 후(스텝 S37에서 YES),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4에서 NO인 경우에는, IRD(12)의 출력 단자에는 기억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처리 불가능으로 한다.
이와 같이, IRD(12)는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기억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4배속 ATRAC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에 IRD(12)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상술의 도 6과 다른 점은, 버퍼 메모리(66)가 설치되어 있다. 버퍼 메모리(66)는 예를 들면 RAM에서 구성되어 있으며, 트랜스포트 IC에서 공급되는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이 오디오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는 시청시에 판독되어, 각각 MPEG 오디오 디코더(54) 및 MPEG 비디오 디코더(55)에 공급된다. MPEG 비디오 디코더(55)는 트랜스포트 IC(53)로부터 공급되는 MPEG 비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압축 전의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버퍼 메모리(66)로부터 공급되는 가사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더(55)의 OSD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화된다. MPEG 오디오 디코더(54)는 트랜스포트 IC(53) 또는 버퍼 메모리(66)로부터 공급되는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압축 전의 오디오 데이터(PCM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다음에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도 14에 도시한 IRD(12)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14에 도시한 IRD(12)에 있어서, 지금까지 설명한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을 시청자가 선택하면, 텔레비전 수상기(14)의 화면 상에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상이 표시된다(스텝 S41).
트랜스포트 IC(53)로서는, 이벤트의 갱신이 있었던 경우에(스텝 S42에서 YES),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도 4에 도시한 MPEG 오디오 데이터(1)∼(10)이 추출되어, 버퍼 메모리(66)에 축적된다(스텝 S43). 그래서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을 시청자가 선택하여, 그 수신을 개시한 경우에는 새롭게 이벤트가 검출되기 때문에, 이벤트의 갱신이 있는 것으로 하여 처리된다. 또, MPEG 오디오 데이터(1)∼(10)의 각 곡을 선두로부터 말미까지 축적해도 되지만, 버퍼 메모리(66)의 용량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일부, 예를 들면 선두로부터 30초만을 축적해도 된다. 예를 들면 3O분의 이벤트 단위마다 5분의 곡이 10곡 반복하여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 256Kbps의 MPEG 오디오 데이터의 전 1O곡을 풀로 축적하면,
256[Kbps] ×300[s] ×10[곡]= 768M 바이트이고,
전곡의 선두로부터 30초간만을 축적하면,
256[Kbps] ×30[s] ×10[곡]= 76.8M 바이트이고,
3곡만을 선두로부터 30초간 축적하면,
256[Kbps] ×30[s] ×3[곡]= 23.04M 바이트가 된다.
도 2에 도시한 화면상에서 악곡의 리스트(21B)로부터 악곡이 선택되어, 그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시청하는 경우에는(스텝 S44에서 YES), 선택된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66)로부터 판독되어, MPEG 오디오 디코더(54)로 디코드되어, DA 컨버터(56)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된 후, 스위치(SW1)를 통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14)에 출력된다. 또한, 그 악곡의 가사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66)로부터 판독되어, MPEG 비디오 디코더(55)에 공급된다. 그리고 여기서 OSD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로 되며, NTSC 변환 블록(57)으로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로 되어,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T2)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에 출력된다. 요컨대, 텔레비전 수상기(14)의 스피커로부터 악곡의 음성이 흐르는 것과 동시에, 그 음성과 동기하여 화면의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21C)에 가사가 표시된다(스텝 S45).
이때, 제어용 CPU(58)은 버퍼 메모리(66)에 축적되어 있는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그 가사 데이터를 각각 선두의 부분 또는 후렴 부분 등으로부터 판독하여, MPEG 오디오 디코더(54) 또는 MPEG 비디오 디코더(55)에 공급한다.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66) 중에 PES 패킷 형으로 축적되어 있고, 그 헤더에는 시간 정보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그것을 보는 것에 의해 악곡의 선두 또는 후렴 부분의 선두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버퍼 메모리(66)에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그 가사 데이터가 풀로 기억되어 있는 경우라도, 시청은 악곡을 풀로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일부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어떤 이벤트 악곡의 시청이 종료하면(스텝 S46), 스텝 S42로 되돌아간다. 스텝 S42에서는 이벤트의 갱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갱신이 있으면(스텝 S42에서 NO), 시청 지령의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44). 그래서 시청 지령이 있다는 것은, 하나의 이벤트 내에서 하나의 악곡의 시청이 종료한 후, 2곡 째의 시청 지령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시청의 지령이 있으면(스텝 S44로 YES), 시청의 개시(스텝 S45), 종료(스텝 S46) 후 재차 스텝 S42로 되돌아간다. 이 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이벤트 내에서 복수의 악곡을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가 갱신되면(스텝 S42에서 YES), 버퍼 메모리(66)가 클리어되어, 새롭게 이벤트 내의 악곡 오디오 데이터와 그 가사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66)에 기억된다.
요컨대, 이벤트가 변화할 때마다, 버퍼 메모리(66)에 그 이벤트 내에서 분배되는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그 악곡의 가사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66)에 기억된다. 그리고 GUI 화면을 보고, 시청자가 악곡의 리스트 중에서 시청하고 싶은 악곡을 선택하면, 그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 버퍼 메모리(66)로부터 판독되어, 그 악곡의 선두나 후렴의 부분으로부터 시청할 수 있다. 이런 시청인 때는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에 동기하여 가사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 시청용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축적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다음에 IRD(12)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상술의 도 6과 다른 점은, ATRAC 디코더(54B)와 DA 컨버터(56B)와 스위치(SW2, 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트랜스포트 IC(53)는 디스크램블러(52)로부터 공급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원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MPEG 비디오 데이터와 MPEG 오디오 데이터와 ATRAC 데이터를 추출한다. ATRAC 디코더(54B)는 트랜스포트 IC(53)로부터 공급되는 ATRAC 데이터를 데이터 압축 전의 오디오 데이터(PCM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DA 컨버터(56B)는 ATRAC 디코더(54B)에서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스위치(SW2)는 DA 컨버터(56A 또는 56B)에서 공급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 T4)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스위치(SW3)는 MPEG 오디오 디코더(54A) 또는 ATRAC 디코더(54B)에서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광 디지털 출력 인터페이스(59)에 공급한다.
IRD(12)내에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더로서 MPEG 오디오 디코더(54A)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6의 경우)에는, 이 MPEG 오디오 디코더(54A)가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의 오디오 데이터와 MPEG 오디오(1)∼(10)(도 4)의 어느 것인가 한쪽이다. 결국, 음악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을 때는, MPEG 오디오 디코더(54A)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에 점유되어 버리기 때문에, 동시에 MPEG 오디오(l)∼(10)을 시청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대로 MPEG 오디오(1)∼(10)내의 하나의 악곡 시청 중에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을 시청할 수는 없다.
IEEE1394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MD를 소유하고 있는 유저는 상술과 같이 ATRAC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76)에 다운로드하고 있는 한가운데에, MPEG 오디오 디코더(55)를 사용하여 음악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지만, 광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기억 장치(13A, 13B)를 소유하고 있는 유저는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있을 때에는 MPEG 오디오 디코더(55)가 다운로드 처리에 점유되어 버리기 때문에, 음악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도 16의 IRD(12)는 MPEG 오디오 디코더(54A)뿐만 아니라, ATRAC 디코더(54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광 디지털 오디오 입력 단자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단자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기억 장치(13A, 13B)를 소유하고 있는 유저라도 이와 같이 사용하기에 편리함이 가능해진다.
즉, 트랜스포트 IC(53)로부터 MPEG 오디오 데이터 및 ATRAC 데이터가 추출되어, 각각 MPEG 오디오 디코더(54A)와 ATRAC 디코더(54B)에 의해 디코드된다.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56A 및 56B)에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된 후, 스위치(SW2)를 통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과 T4)에 각각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면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에 텔레비전 수상기(14)를 접속하여 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을 텔레비전 수상기(14)의 스피커로부터 출력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4) 또는 광 디지털 출력 단자(59)에 기억 장치(13A 또는 13B)를 접속하여, ATRAC 데이터를 디코드한 악곡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MPEG 오디오 디코더(54A)에서 MPEG 오디오(1)∼(10) 내의 1곡을 디코드하여 시청함과 동시에, ATRAC 디코더(54B)에서 ATRAC 데이터(1)∼(10) 내의 1곡을 디코드하여 시청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한 IRD(12)로서는, 도 1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MPEG 오디오 디코더(54A)에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시청함과 동시에, ATRAC 디코더(54B)에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상태와, 도 1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MPEG 오디오 디코더(54A)에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함과 동시에, ATRAC 디코더(54B)에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시청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시청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다운로드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지, ATRAC 데이터는 4배속으로 전송되어 오기 때문에,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일단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도시 생략)가 필요하게 된다.
IRD(12)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IRD는 도 16에 있어서의 ATRAC 디코더(54B) 대신에 제 2 MPEG 오디오 디코더를 설치하는 것이다. 요컨대, 이 IRD는 제 2 MPEG 오디오 디코더(54A-1)와 제 2 MPEG 오디오 디코더(54A-2)를 구비하고 있다. 이 IRD에서도, 도 17a, 도 17b와 같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19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MPEG 오디오 디코더(54A-1)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시청함과 동시에, 제 2 MPEG 오디오 디코더(54A-2)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상태와, 도 1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MPEG 오디오 디코더(54A-1)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함과 동시에, 제 2 MPEG 오디오 디코더(54A-2)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시청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RD(12)에는 복수의 오디오 디코더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의 시청과 다운로드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6 및 도 18에 있어서의, MPEG 오디오 디코더 및 ATRAC 디코더는 하드 로직으로 구성하는 것도 소프트웨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6, 도 18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EEE1394 인터페이스(60)를 설치해도 상관없다.
IRD(12)의 제 5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악 콘텐츠 분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IRD(12)는 예를 들면 전화 회선(4)을 통하여 과금 서버(5) 및 서비스 이용 데이터 집계 센터(이하, 집계 센터라고 칭함)(80)와 결부되어 있다.
또한, IRD(12)에는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청된 악곡에 관한 정보 및 다운로드된 악곡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는 불휘발성 메모리(70)가 설치되어 있다.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의 시청이나 다운로드가 행하여지면, IC 카드(65)에 과금 정보가 기억됨과 동시에, 그 정보가 불휘발성 메모리(70)에 기억된다. 그래서 악곡에 관한 정보에는 다운로드 또는 시청된 악곡명 및 일시 등이 있다. 이 불휘발성 메모리(70)에 기억된 정보는 정기적(예를 들면 1주간에 1회)으로 전화 회선(4)을 통하여 집계 센터(20)에 이송된다. 집계 센터(20)는 이 정보에 의해, 어떤 악곡이 언제 시청 또는 다운로드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이 정보를 가공하는 것에 의해, 잘 구입된 악곡, 흥미를 가진 악곡, 고객 개인의 취향, 구입된 일시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취득 정보를 다음 번의 프로그램편성, 악곡의 CD나 MD의 판매, 또는 개인에게의 다이렉트 마켓팅(티켓의 우선 안내, 다이렉트 메일의 배부 등)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IC 카드(65)에 기억된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과금 서버(5)에 이송되는 일시, 과금 서버(5)의 전화 번호, 버퍼 메모리(66)에 기억된 악곡에 관한 정보를 집계 센터(20)에 송신하는 일시, 및 집계 센터(20)의 전화 번호는 도 3의 키 정보 중에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데이터로서 전송되어, 이 정보에 근거하여, 과금 데이터 및 악곡 정보의 업 로드가 행하여진다.
또,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하여, 그것을 수신하여 다운로드하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정지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또는 소프트웨어 등을 분배하여, 그것들을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에 의해 데이터를 분배하는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의 설명에서는 기억 장치로서 미니 디스크 (MD, 소니사 상품명) 리코더/플레이어를 상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수신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축적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그 데이터 축적 장치에 축적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악곡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그 가사 데이터나 재킷 데이터 등의 부가 정보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Claims (46)

  1.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distributed)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종류가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를 출력 가능하게 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에 의해서 처리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 수단과,
    상기 각 출력 수단과 외부의 축적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출력 수단 중 하나로부터 출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수단에는, 적어도 수신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지 않고 출력하는 출력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단방향 통신 라인은 광 디지털 버스, HDMI 또는 DVI이고, 상기 양방향 통신 라인은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는 데이터 신장(伸張)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 수단으로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된 채로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을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의 출력을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부가 정보가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 수단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와 함께 상기 축적 수단에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 또는 상기 아날로그 출력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축적 수단에 출력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축적 장치와의 접속 상태가 우선적으로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의 콘텐츠(content)의 압축 디지털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고, 그 중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가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에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선택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복수의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 중, 제 1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는 데이터 신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 중, 제 2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된 채로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을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의 출력을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시간축 압축되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1.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하여, 외부의 축적 장치에 출력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종류가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를 상기 축적 장치에 출력할 수 있도록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축적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출력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 축적 장치에 출력을 행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가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는,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여 얻어지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얻어지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지 않고 압축된 채로의 압축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부가 정보가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 신호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 신호와 함께 상기 축적 수단에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 또는 상기 아날로그 출력 신호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축적 수단에 출력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신호 중,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 콘텐츠의 압축 디지털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그 중 임의의 콘텐츠가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가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에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선택이 행하여지는, 데이터 수신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는 각각 복수의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가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는,
    상기 복수의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 중, 제 1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여 얻어지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얻어지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와,
    상기 복수의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 중, 제 2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 그대로 출력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시간축 압축되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0.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축적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적어도 압축된 정지 화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방향 통신 라인은 광 디지털 버스, HDMI 또는 DVI이고, 상기 양방향 통신 라인은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적어도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악곡을 압축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는 디지털 방송에 의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는 복수 악곡분이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 수단에서 원하는 악곡이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원하는 악곡의 선택이 행하여지는, 데이터 수신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는, 또한,
    상기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는 데이터 신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을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의 출력을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된 채로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축적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와 함께 상기 축적 수단에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 수단 또는 상기 아날로그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축적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축적 수단에 출력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는, 또한,
    상기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는 데이터 신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과,
    상기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을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의 출력을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된 채로 상기 축적 수단에 대하여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 수단과,
    데이터 수신 장치와 축적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출력 수단, 아날로그 출력 수단, 압축 데이터 출력 수단 중, 하나로부터 출력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9.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데이터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하여, 외부의 축적 장치에 출력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압축 디지털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축적 장치에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적어도 압축된 정지 화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방향 통신 라인은 광 디지털 버스, HDMI 또는 DVI이고, 상기 양방향 통신 라인은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적어도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악곡을 압축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는 디지털 방송에 의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정보는 복수 악곡분이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 수단에서 원하는 악곡이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고,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원하는 악곡의 선택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6. 제 29 항에 있어서,
    종류가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를 상기 축적 장치에 출력할 수 있도록 수신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축적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 하여 얻어지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얻어지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와,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하지 않고 압축된 채로 출력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축적 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부가 정보를 압축 디지털 데이터와 함께 상기 축적 수단을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 신호 또는 상기 아날로그 출력 신호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축적 수단에 출력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8.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할 때마다 상기 다운로드의 이력 정보를 내부의 기억부에 기억하며, 또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이력 정보 송신처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과금 처리되도록 이루어진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 또는 다운로드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기억부와,
    상기 제 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이력 정보 송신처와는 별도의 송신처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억부에는, 선택 또는 다운로드된 콘텐츠의 식별 정보와 선택 또는 다운로드된 시각 정보가 기억되도록 하고,
    상기 단방향 통신 라인은 광 디지털 버스, HDMI 또는 DVI이고, 상기 양방향 통신 라인은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0. 전송로를 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신장하는 제 1 데이터 신장 수단과,
    상기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신장하는 제 2 데이터 신장 수단과,
    상기 제 1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 신장 수단의 출력 중 한쪽을 모니터용으로 하며, 다른 한쪽을 데이터 축적용으로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신장 수단 및 제 2 데이터 신장 수단은 동일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신장하고,
    상기 단방향 통신 라인은 광 디지털 버스, HDMI 또는 DVI이고, 상기 양방향 통신 라인은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신장 수단 및 제 2 데이터 신장 수단은 다른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신장 수단 또는 제 2 데이터 신장 수단의 적어도 한쪽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4. 전송로를 통하여 반복하여 분배되는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된 상기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단방향 통신 라인과 양방향 통신 라인 둘 다를 갖는 DTV/IRD(ST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수단에는, 상기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축적되고,
    상기 단방향 통신 라인은 광 디지털 버스, HDMI 또는 DVI이고, 상기 양방향 통신 라인은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복수 악곡분이 다중화되어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축적 수단으로부터의 판독은 상기 복수 악곡분 중에서 선택된 소정의 악곡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KR1019997011354A 1998-04-03 1999-04-02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KR100627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91255 1998-04-03
JP98-91257 1998-04-03
JP9125498 1998-04-03
JP98-91254 1998-04-03
JP98-91256 1998-04-03
JP98-91258 1998-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358A KR20010013358A (ko) 2001-02-26
KR100627991B1 true KR100627991B1 (ko) 2006-09-27

Family

ID=4175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354A KR100627991B1 (ko) 1998-04-03 1999-04-02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38B1 (ko) * 2002-04-04 2008-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데이터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358A (ko) 200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8086B2 (ja)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KR100617890B1 (ko)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30252B1 (ko)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수신 장치
US7076205B2 (en) Control method, control apparatus, data receiving and recording method, data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JP488219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媒体
KR100568890B1 (ko) 송신 장치 및 방법, 정보 편집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정보 축적 장치 및 방법, 및 방송 시스템
US20080109855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equipment
WO2000028737A1 (fr) Terminal de reception, procede de commande de ce dernier et support d'enregistrement de programmes
JP4016160B2 (ja) データ受信・記録方法及びデータ受信装置
KR100627991B1 (ko)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JP3991457B2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H11163808A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情報蓄積システム
JP4613446B2 (ja) 放送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4366742B2 (ja) 受信装置
JP4016159B2 (ja) 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方法
EP1098315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signal processing, method of input signal switching, and download system
JP4058810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データ受信方法
JP4499205B2 (ja) データ受信方法、データ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0408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