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018B1 - 기록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018B1
KR100740018B1 KR1020000026977A KR20000026977A KR100740018B1 KR 100740018 B1 KR100740018 B1 KR 100740018B1 KR 1020000026977 A KR1020000026977 A KR 1020000026977A KR 20000026977 A KR20000026977 A KR 20000026977A KR 100740018 B1 KR100740018 B1 KR 10074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ransport stream
data
predetermined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338A (ko
Inventor
하마다이치로
이노우에히라쿠
아오키데추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obtained from a local external medium, e.g. a c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copy control information is used, e.g. for indicating whether a content may be copied freely, no more, once, or never, by settin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43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ATRA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ATRAC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지 않고 그대로 기록한다.
제어부(81)는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 내지 ATRAC 데이터 추출부(88)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에 대응하여, PID 검출부(82) 처리를 제어한다. PID 검출부(82)는 입력되는 TS 패킷 중, 소정의 PID(ATRAC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는 TS 패킷을 나타내는 PID)를 갖는 TS 패킷만을 추출하며, 후단의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 내지 ATRAC 데이터 추출부(88)에 출력한다. ATRAC 데이터 추출부(88)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되는 TS 패킷의 제 30 바이트번째 내지 제 188 바이트번째에 배치되어 있는 ATRAC 데이터를 추출하여 후단에 출력한다.
기록 장치, 방송 수신 장치, 기록 매체

Description

기록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Recording apparatus,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EMD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송신 장치(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의 종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의 구입 제한 시각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ATRAC 데이터가 배치되는 TS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ATRAC 데이터가 배치되는 TS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ATRAC 데이터가 배치되는 TS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ATRAC 데이터가 배치되는 TS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TS 패킷의 ATRAC 데이터 체크 섬(sum)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IRD(5)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IRD(5)의 시청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챠트.
도 12는 GUI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IRD(5)의 구입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챠트.
도 14는 IRD(5)의 다운로드 순서 결정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챠트.
도 15는 다운로드 순서 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IRD(5)의 병행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챠트.
도 17은 도 1의 MD 레코더(9)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도 17의 IEEE 1394 인터페이스(6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IEEE 1394 인터페이스(62)의 ATRAC 데이터 추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챠트.
도 2O은 매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송신 장치 5: IRD
8: IEEE 1394 버스 9: MD 덱
21: 인코더 22: 다중화기
23: 스크램블러 24: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
25: 스크램블 제어 시스템 26: 관련 정보 송출 장치
27: 시청 정보 수집 처리 시스템 31: 프론트 엔드부
32: 디스크램블러 33: MPEG 비디오 디코더
34: 표시 제어부 35: MPEG 오디오 디코더
36: 음성 제어부 37: IEEE 1394 인터페이스
38: 입력부 39: 제어부
4O: IC 카드 41: 모뎀
61: 제어부 62: IEEE 1394 인터페이스
63: 기록 재생부 68: ATRAC 인코더/디코더
71: MD 81: 제어부
82: PID 검출부 83: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
84: 패킷 카운터 검출부 85: 에러 검출부
86: 포맷 검출부 87: 저작권 정보 검출부
88: ATRAC 데이터 추출부
본 발명은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매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운로드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한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스카이 퍼펙트 TV(상표)와 같은 디지털 위성 방송이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고품질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다채널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위성 방송에서는, 스포츠, 영화, 음악, 뉴스 등의 전문 채널이 준비되어 있으며, 이들 전문 채널 중에서 음악 채널은 인기 있는 채널중 하나이다.
그러한 음악 채널을 시청하고 있을 때, 시청자는 방송되고 있는 악곡이 마음에 들어, 그 악곡의 CD(Compact Disc) 등을 구입하고 싶다고 생각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음악 채널을 시청 중에 그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음악 채널의 주 방송 신호(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에, ATRAC(Adaptive Tranform Acoustic Coding)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된 악곡 데이터를 다중화시켜 배신(配信)하며, ATRAC 데이터를 구입한(다운로드한) 시청자에 대해 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시스템을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제(평) 10-201731호로서 제안하고 있다.
또한, ATRAC 방식이란 MD(Mini Disc)(상표)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에 채용되고 있는 압축 부호화 방식이다.
그런데, 상술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MD 기록 장치, 즉, 이미 ATRAC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지 않고서 그대로 MD에 기록하는 장치에 관해서는, 그 구체적인 제안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ATRAC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지 않고서 그대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는 입력되는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PID를 갖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추출 수단이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이 검출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추출 수단의 추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추출 수단이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이 취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는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은 입력되는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와,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PID를 갖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판정 단계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추출 단계의 추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프로그램은 입력되는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와,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PID를 갖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양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판정 단계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추출 단계의 추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되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PID를 갖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이 추출된다. 또, 추출되어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소정의 정보가 검출되며, 검출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양부가 판정되어, 그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추출 처리가 제어된다. 더욱이,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가 취득되며, 취득된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발명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EMD(Electric Music Distribution) 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EMD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국 측 송신 장치(1) 는 예를 들면, 음악 프로그램의 주 방송 신호(MPEG2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와, 음악 프로그램에 관련되는 악곡의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MPEG 오디오 데이터 및 ATRAC 데이터) 등을 다중화하여 스크램블을 실시한 후, 오류 정정 등의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여, 얻어지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하, TS라 기술한다)을 예를 들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하여, 안테나(2)로부터 전파로서 송신한다.
안테나(2)로부터 송신된 전파는 통신 위성(3)에서 중계되며, 안테나(4)로 수신되어 IRD(5)에 공급된다. IRD(5)는 안테나(4)가 수신한 전파를 QPSK 복조하여, 오류 정정 등의 필요한 처리를 실시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TS 패킷을 추출하여 스크램블을 해제한다. 또, IRD(5)는 추출한 TS 패킷에 배치되어 있는 주 방송 신호를 MPEG 복호하여, 얻어진 영상 신호를 모니터(6)에 출력하고, 음성 신호를 스피커(7)에 출력한다.
또, IRD(5)는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ATRAC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는 TS 패킷을 추출하여, IEEE 1394 버스(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MD 덱(9)에 공급한다. 더욱이, IRD(5)는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MPEG 오디오 데이터)를 MPEG 복호하여, 스피커(7) 또는 음성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MD 덱(10)에 출력한다.
또, IRD(5)는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이력을 내장하는 IC 카드(40)(도 10)에 기록하여, 정기적으로 다운로드한 이력 정보를 공중 전화 회선망(11)을 통하여 송신 장치(1)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 장치(1)에 송신된 다운로드의 이력 정보는 IRD(5) 사용자에 대한 요금부과 자료로서 사용된다.
MD 덱(9)은 IEEE 1394 버스(8)를 통하여 IRD(5)로부터 공급되는 악곡 데이터(ATRAC 데이터)를 MD에 기록하고, 또 재생한다. MD 덱(10)은 IRD(5)로부터 공급되는 악곡 데이터(MPEG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ATRAC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MD에 기록하고, 또 재생한다.
도 2는 송신 장치(1)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송신 장치(1)의 인코더(21)는 프로그램 소스(주 방송 신호로서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MPEG2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여 다중화기(22)에 출력한다. 다중화기(22)는 인코더(21)로부터의 주 방송 신호와, 스크램블 제어 시스템(25)으로부터 공급되는 개별 정보(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관련 정보 송출 장치(26)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 정보(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ATRAC 데이터 및 MPEG 오디오 데이터),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부가 정보, 수신 측에 있어서 다운로드하는 악곡을 선택할 때의 인터액티브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실현하는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 스크립, 주 방송 신호나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 등이 TS 중 어느 TS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 테이블(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을 시분할 다중화하여 MPEG2 방식의 TS를 생성한다. 생성된 TS는 스크램블러(23)에 공급된다.
단,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에는 MPEG2 방식의 TS에 대해 정합성이 좋지 않은 ATRAC 데이터(후술)가 포함되기 때문에, 다중화 시에는 연구가 필요해진다(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 테이블(PSI)은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및 SIT(Selection Information Table) 등으로, 이들을 순차 참조함으로써, 원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TS 패킷의 패킷 ID를 알 수 있다. 또한, 그 상세함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ETS 300468, Digital Video Broadcasting(DVB);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SI) in DVB system 등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으로,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프로그램 A의 주 방송 신호로 다중화되는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는 프로그램 A에 관련되는 다수의 악곡(A, B, C) 데이터로, 악곡마다 MPEG2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MPEG 오디오 데이터 및 ATRAC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ATRAC 데이터 2종류가 존재한다. 각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 및 ATRAC 데이터는 프로그램 A의 방송 시간 중 반복 송신된다.
또한, MPEG 오디오 데이터의 1회 송신에 걸리는 시간은 그 MPEG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시간(연주 시간)과 동등하며, ATRAC 데이터의 1회 송신에 걸리는 시간은 해당 ATRAC 데이터가 재생되는 시간의 1/4이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A의 방송 시간이 1시간이고, 악곡 A의 연주 시간이 8분간일 경우, 악곡 A의 MPEG 오디오 데이터(악곡 A.mpg)의 1회 송신에 걸리는 시간도 8분간이고, 프로그램 A의 방송 시간 중, 악곡 A의 MPEG 오디오 데이터는 최대 7(=60/8)회 반복 송신된다. 한편, 악곡 A의 ATRAC 데이터의 1회 송신에 걸리는 시간은 2(=8/4)분간이고, 프로그램 A의 방송 시간 중, 악곡 A의 ATRAC 데이터는 최대 30(=60/2)회 반복 송신된다. 또, 악곡 B의 연주 시간이 9분간일 경우, 악곡 B의 MPEG 오디오 데이터(악곡 B.mpg)의 1회 송신에 걸리는 시간도 9분간이고, 프로그램 A의 방송 시간 중, 악곡 B의 MPEG 오디오 데이터는 최대 6(=60/9)회 반복 송신된다. 한편, 악곡 B의 ATRAC 데이터의 1회 송신에 걸리는 시간은 2.25(=9/4)분간이고, 프로그램 A의 방송 시간 중, 악곡 B의 ATRAC 데이터는 최대 26(=60/2.25)회 반복 송신된다.
도 2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스크램블러(23)는 관련 정보 송출 장치(26)로부터 공급되는 스크램블 키(Ks)를 사용하여, 다중화기(22)로부터 입력되는 TS에 스크램블을 실시하여 후단에 출력한다.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24)은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인코더(1)를 제어한다. 또, 프로그램 제어 시스템(24)은 인코더(21)에서 압축 부호화되는 주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나 채널 ID 등의 정보를 관련 정보 송출 장치(26)에 출력한다. 스크램블 제어 시스템(25)은 계약 키(Kw)를 관련 정보 송출 장치(26)에 공급함과 동시에, IRD(5)에 대응하는 고유 개별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한 계약 키를 포함하는 개별 정보(EMM)를 생성하여 다중화기(22)에 출력한다.
또한, 생성되는 개별 정보(EMM)에는 카드 ID, 계약 키 번호(Kw_no), 계약 키(Kw), 계약 채널 ID(service_id, series_id), 계약 번호 ID(event_id), 계약 타이프(authorize_type), 프로그램 구입 상한(Over_view), SMS 호출 발생 일시(polling_date) 및 SMS 호출 발생 금액(upkink_fee) 등의 항목이 있지만, 그들 상세에 대해서는 적당히 후술한다.
관련 정보 송출 장치(26)는 스크램블 키를 스크램블러(23)에 공급한다. 또, 관련 정보 송출 장치(26)는 스크램블 제어 시스템(25)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약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한 스크램블 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정보(ECM)를 생성하여 다중화기(22)에 출력한다.
또한, 생성되는 프로그램 정보(ECM)에는 계약 키 번호(Kw_no), 암호화된 스크램블 키(Ks_Odd, Ks_Even), 채널 ID(service_id, series_id, event_id), 번호 ID(event_id), 페이퍼 뷰 요금(PPV_fee), 프리뷰(시청) 시간, 프리뷰(시청) 제한 회수, 현재 시각 및 구입 제한 시각 등의 항목이 있지만, 그들 상세에 대해서는 적당히 후술한다.
시청 정보 수집 처리 시스템(27)은 IRD(5)로부터 공중 전화 회선망(11)을 통하여 입력되는 시청 이력 정보 등을 처리하여, 계약 정보로서 스크램블 제어 시스템(25)에 출력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정보(ECM)에 포함되는 각 악곡 데이터의 시청 시간 및 시청 제한 회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악곡 데이터는 프로그램 정보(ECM)에 포함되는 시청 시간 및 시청 제한 회수에 기술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시청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악곡 데이터에 대해 설정되는 시청 시간으로서는, 악곡의 전연주 시간보다도 짧고, 또한, 그 악곡을 충분히 음미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을 설정한다. 또, 다수의 악곡 데이터를 반복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시청 제한 회수를 다수로 설정한다. 또한, 악곡 데이터의 시청 시간 및 시청 제한 회수는 각 악곡 데이터마다 다른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정보(ECM)에 포함되는 각 악곡 데이터의 구입 제한 시각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악곡의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MPEG 오디오 데이터 및 ATRAC 데이터)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중 반복 송신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A의 방송 시간 중, 악곡 A의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는 15회 반복 송신되며, 악곡 B의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는 13회 반복 송신되며, 악곡 C의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는 11회 반복 송신된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IRD(5)에 대해 악곡 C의 구입을, 그 제 6회째의 악곡 데이터 송신중인 타이밍(t0)에 있어서 지시한 경우, 통상, 그 직후의 제 7회째에 송신되는 악곡 데이터가 다운로드되지만,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제 7회째에 송신되는 악곡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실패한 경우, 제 8회째에 송신되는 악곡 데이터에 대해 다운로드가 재이행된다. 그래서, 각 악곡에 대해서, 악곡 데이터 송신의 최종회를 재이행용으로 하여, 최종회의 1회 전에 송신되는 악곡 데이터에 대해 다운로드를 지시할 수 있는 타이밍을 구입 제한 시각으로 하여 프로그램 개시 시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사용하여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악곡 A, B, C의 구입 제한 시각을 각각 타이밍 tl, t2, t3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구입 제한 시각을 설정함으로써, 구입이 지시됨에도 불구하고, 다운로드할 수 없는 사태 발생을 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ATRAC 데이터를 MPEG2 방식의 TS로 다중화시키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MPEG2 방식의 TS 전송 단위인 TS 패킷은 188 바이트의 고정 길이로 정 해져 있다. 이에 대해 ATRAC 데이터의 전송 단위인 사운드 그룹은 424바이트이며, 이 ATRAC 데이터를 그대로 MPEG2 방식의 TS로 하기에는 정합성이 나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TS 패킷에 159바이트의 ATRAC 데이터를 배치하여, 8개의 TS 패킷(TSP1 내지 TSP8)에 의해 1개의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는 패킷을 구성시키고 있다. 따라서, 1개의 PES 패킷에는 1272(=159×8)바이트의 ATRAC 데이터가 포함되게 된다. 그런데, 1272바이트의 ATRAC 데이터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TRAC 데이터의 전송 단위인 사운드 그룹의 3개분에 상당하기 때문에, 1개의 PES 패킷으로 3개의 사운드 그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1개의 PES 패킷으로 정수 개의 사운드 그룹이 전송되면, ATRAC 데이터와 MPEG2 방식의 TS와의 정합성이 양호해진다.
도 6은 ATRAC 데이터가 배치된 TS 패킷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88 바이트로 이루어지는 TS 패킷의 선두로부터의 4바이트는 TS 패킷 헤더가 되고, 다음 14바이트는 PES 패킷이 되며, 다음 2바이트는 데이터 헤더가 되며, 나머지 168바이트는 데이터 바디가 된다.
TS 패킷 헤더에는 그 선두 순으로, 1바이트의 싱크 바이트, 해당 TS 패킷 내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기술되는 TS 에러 인디케이터, 새로운 PES 패킷이 해당 TS 패킷의 패이 로드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기술되는 패이 로드 유닛 스타트 인디케이터, TS 패킷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TS 프라이어리티가 배치된다. 이에 연속해서, 이 TS 패킷의 개별 스트림의 속성을 나타내는 13비트의 스트림 식별 정보(PID), 패킷의 패이 로드의 스크램블 유무나 종별을 나타내는 TS 스크램블링 컨드롤, 어댑테이션 필드의 유무를 나타내는 어댑테이션 필드 컨트롤, 동일한 PID를 갖는 패킷에 부여되는 시리얼 번호를 나타내는 콘티니티 카운터가 배치된다.
TS 패킷 헤더에는, 그 선두 순으로 3바이트의 고정치로 이루어지는 패킷 스타트 코드 프리픽스, 스트림을 식별하는 1바이트의 스트림 ID, PES 패킷 길이를 나타내는 2바이트의 PES 패킷 렝스가 배치된다. 이에 연속해서, 2비트의 고정 패턴 「10」, 2비트의 PES 스크램블 컨트롤, 1비트의 PES 프라이어리티, 1비트의 데이터 얼라인먼트 인디케이터, 1비트의 카피라이트, 1비트의 오리지널/카피 식별, 2비트의 PTS 및 DTS 플래그, 1비트의 ESCR 플래그, 1비트의 ES 레이트 플래그, 1비트의 DMS 트릭 모드 플래그, 1비트의 어디셔널 카피 인포메이션 플래그, 1비트의 PES의 CRC 플래그, 1비트의 PES 익스텐션 플래그가 배치된다.
더욱이, 1바이트의 PES 헤더 데이터 렝스, 4비트의 고정 패턴 「1101」, 3비트의 타임 스템프(PTS(32) 내지 PTS(30)), 1비트의 마켓 비트, 15비트의 타임 스템프(PTS(29) 내지 PTS(15)), 1비트의 마켓 비트, 15비트의 타임 스템프(PTS(14) 내지 PTS(0)), 1비트의 마켓 비트가 배치된다.
데이터 헤더에는, 그 선두 순으로 1바이트의 데이터 타이프, 6비트의 데이터 트랜스미션 타이프, 2비트의 태그가 배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TS 패킷은 PES 패킷을 구성하는 8개의 TS 패킷 중 제 1번째 것으로, 8개의 TS 패킷 중 2번째 내지 8번째 패킷에는 제 1번째 TS 패킷(도 6)에 존재한 PES 패킷 헤더 및 데이터 헤더 대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 톱핑 데이터가 배치된다.
ATRAC 데이터가 배치되는 데이터 바디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두(TS 패킷의 제 21바이트번째) 순으로, FDF(Field Dependent Field)의 길이를 나타내는 4비트의 FDF 필드 렝스, 각 4비트의 오디오 데이터 타이프(1, 2)가 배치된다. 오디오 데이터 타이프(1)는 오디오 타이프(예를 들면, ATRAC)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오디오 데이터 타이프(2)는 데이터 타이프(1)에 있어서의 분류(예를 들면, ATRAC1 또는 ATRAC2)가 정의된다. 이에 연속해서, 카피라이트 및 오리지널/카피(CGMS(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에 대응하는 플래그), 스테레오/모너럴 식별, 엔퍼시스 정보, 데이터 스타트 인디케이터, 데이터 스톱 인디케이터, 3비트의 PES 데이터 카운터가 배치된다.
여기서, 데이터 스타트 인디케이터는 해당 TS 패킷이 악곡 데이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악곡 데이터의 선두인 TS 패킷의 데이터 스타트 인디케이터에는 「1」이 기술된다. 데이터 스톱 인디케이터는 해당 TS 패킷이 악곡 데이터의 최후미의 TS 패킷을 나타내는 플래그로, 악곡 데이터의 최후미인 TS 패킷의 데이터 스톱 인디케이터에는 「1」이 기술된다. PES 데이터 카운터는 해당 TS 패킷이 PES 패킷을 구성하는 8개의 TS 패킷 중 몇 번째 TS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더욱이, 이에 연속해서, 1비트의 카피라이트 모드 식별, 1비트의 EMI(Encryption Mode Information) 모드 식별, 1비트의 리저브 비트, 3바이트의 프리젠트 PES 넘버, 2바이트의 리저브, 1바이트의 ATRAC 데이터 체크 섬이 배치된 후, ATRAC 데이터가 배치된다.
여기서, 프리젠트 PES 넘버는 해당 TS 패킷이 악곡을 구성하는 다수의 PES 패킷 중 몇 번째 PES 패킷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순차 전송되는 TS 패킷의 프리젠트 PES 넘버와 PES 데이터 카운터를 검출하면, TS의 TS 패킷 단위에서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S 패킷의 제 29바이트번째에는 ATRAC 데이터 체크 섬이 배치된다. ATRAC 데이터 체크 섬과 제 30바이트번째 이후의 ATRAC 데이터 바디 관계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TRAC 데이터 체크 섬의 각 비트 값을 CS[0] 내지 CS[7]로 하고, 제 30바이트번째 내지 제 188바이트번째의 ATRAC 데이터 바디의 각 비트 값을 AT[0][0] 내지 AT[158][7]로 하면, CS[0]^AT[0][0]^AT[1][0]^AT[2][0]^·····^AT[158][0]=0CS[1]^AT[0][1]^AT[1][1]^AT[2][1]^·····^AT[158][1]=0···CS[7]^AT[0][7]^AT[1][7]^AT[2][7]^·····^AT[158][7]=0이 되도록, CS[0] 내지 CS[7] 값이 설정되어 있다. 단, ^는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의미하고 있다.
이렇게, ATRAC 데이터 바디에 대한 체크 섬을 설치함으로써, 이 TS 패킷을 수신한 측에 있어서, ATRAC 데이터 바디 중 에러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0은 IRD(5)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IRD(5)의 프론트 엔드부(31)는 안테나(4)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선국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QPSK 복조, 오류 정정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얻어진 TS(스크램블이 실시되고 있는 것)를 디스크램블러(32)에 출력한다.
디스크램블러(32)는 프론트 엔드부(31)로부터 입력되는 TS의 스크램블을 IC 카드(40)로부터 공급되는 개별 키 등을 사용하여 해제하고, 거기에 다중화되어 있는 주 방송 신호(MPEG 비디오 데이터 및 MPEG 오디오 데이터), 다운로드용 MPEG 오디오 데이터, 다운로드용 ATRAC 데이터 및 GUI용 MHEG 스크립 등 각각이 포함되는 TS 패킷으로 분리한다. 더욱이, 디스크램블러(32)는 얻어진 주 방송 신호의 MPEG 비디오 데이터의 TS 패킷을 MPEG 비디오 디코더(33)에 공급하고, 주 방송 신호의 MPEG 오디오 데이터의 TS 패킷 및 다운로드용 MPEG 오디오 데이터의 TS 패킷을 MPEG 오디오 디코더에 공급하며, 다운로드용 ATRAC 데이터의 TS 패킷을 IEEE 1394 인터페이스(I/F)(37)에 공급하며, GUI용 MHEG 스크립의 TS 패킷을 제어부(39)에 공급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33)는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 공급되는 MPEG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진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34)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34)는 예를 들면 제어부(39)로부터 입력되는 GUI 화면의 주 프로그램 표시 에어리어(51)(도 12)에, MPEG 비디오 디코더(33)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모니터(6)에 표시시킨다.
MPEG 오디오 디코더(35)는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 공급되는 주 방송 신호의 MPEG 오디오 데이터 또는 다운로드용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 제어부(36)에 출력한다. 음성 제어부(36)는 제어부(39)로부터의 제어에 근거하여 MPEG 오디오 디코더(3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면, 페이드 인/아웃 등, 적당히 처리한 후, 스피커(7)나 MD 덱(10)에 출력한 다.
IEEE 1394 인터페이스(37)는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 입력되는 ATRAC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는 TS 패킷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부가 정보 테이블(PSI)의 PAT로부터 악곡을 구입 가능한 해당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PMT를 삭제하고, 또,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PMT로부터 주 방송 신호, 다운로드용 MPEG 오디오 데이터 및 음성 부가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PID를 삭제하고, 새롭게 파셜 TS인 것을 나타내는 SIT를 부가하여, 얻어진 파셜 TS를 IEEE 1394 버스(8)를 통하여 MD 덱(9)에 출력한다.
입력부(38)는 사용자의 선국 조작이나 GUI 화면(도 12)에 대한 조작을 받아, 그 조작 정보를 제어부(39)에 출력한다. 제어부(39)는 입력부(38)로부터의 조작 정보나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IRD(5)의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9)는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 입력되는 GUI용 MHEG 스크립을 처리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34)에 출력한다.
IC 카드(40)에는 TS 패킷의 스크램블을 해제하기 위한 개별 키 등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며,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디스크램블러(32)에 공급한다. 또, IC 카드(40)에는 페이퍼 뷰 프로그램의 시청이나 악곡 데이터의 다운로드의 이력 정보가 기록된다. 모뎀(41)은 소정 기간마다 IC 카드(40)에 기록된 이력 정보를 공중 전화 회선망(11)을 통하여 송신 장치(1)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IRD(5)의 시청 처리에 대해서, 도 11의 플로챠트에 대해서 설명한 다. 이 시청 처리는 IRD(5)의 사용자(시청자)가 악곡 데이터를 구입(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송 프로를 시청 중, 악곡 구입용 GUI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행하여, 그 조작에 대응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GUI가 모니터(6)에 표시된 후에 실행된다.
단계(S1)에 있어서, 디스크램블러(32)는 TS로 다중화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ECM)를 추출하여, 그 속에 기술되어 있는 각 악곡 데이터의 시청 시간, 시청 제한 회수 및 구입 제한 시각을 제어부(39)에 출력한다. 단계(S2)에 있어서, 제어부(39)는 각 악곡마다 이미 시청한 회수를 시청 제한 회수와 비교함으로써, 시청 가능한 악곡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시청 가능한 악곡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S3)로 진행한다.
단계(S3)에 있어서, 제어부(39)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UI 화면에 악곡 리스트(53)를 표시시킨다. 또한, 이 악곡 리스트(53)에 기재되어 있는 곡목 중, 시청 및 구입이 가능한 악곡의 곡목 및 시청은 불가능(시청한 회수가 시청 제한 회수에 이르고 있는 악곡)으로 구입 가능한 악곡 곡목은 그 표시 방법이 구별된다. 예를 들면, 시청 및 구입이 가능한 악곡 곡목의 문자가 짙고, 시청은 불가능하고 구입 가능한 악곡 곡목의 문자가 엷게 표시된다.
이 악곡 리스트(53)를 본 사용자가 악곡 리스트(53)에 표시되어 있는 시청 가능한 악곡 중 1개를 선택하여 시청 버튼(54)을 누르면, 단계(S4)에 있어서, 그 시청하는 악곡의 선택 정보가 입력부(38)로부터 제어부(39)에 공급된다.
단계(S5)에 있어서, 디스크램블러(32)는 제어부(39)로부터의 제어에 근거하여, 단계(S4)에서 선택된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를 MPEG 오디오 디코더(35)에 출력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35)는 제어부(39)로부터의 제어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정보(ECM)에 기술되어 있는 시청 시간의 길이만큼,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의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 제어부(36)에 출력한다. 단계(S6)에 있어서, 음성 제어부(36)는 MPEG 오디오 디코더(35)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그 선두부에 있어서 페이드 인을 실행하고, 종료 부분에 있어서 페이드 아웃을 실행하여 스피커(7)에 출력한다.
또한, 페이드 인 및 페이드 아웃을 실행하는 대신, 오디오 데이터의 선두 부분 및 종료 부분에, 시청 취지의 음성을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 시청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음질을 필터 등을 사용하여 변화시켜도 된다.
단계(S7)에 있어서, 제어부(39)는 단계(S4)에서 선택된 악곡의 시청 회수를 1회만 인크리먼트한다.
그 후, 단계(S2)에 있어서, 시청 가능한 악곡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때까지, 그 이후 처리가 반복되며, 시청 가능한 악곡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시청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각 악곡 데이터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시청자에게 있어서 유익함과 동시에, 구입을 재촉하는 효과도 있다. 또, 각 악곡 데이터의 시청 회수를 제한하고, 더욱이, 재생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페이드 인 및 페이드 아웃 등을 실행하면 시청한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악곡 데이터의 카피가 작성되 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다음으로, IRD(5)의 구입 처리에 대해서, 도 13의 플로챠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구입 처리는 사용자가 악곡 데이터를 구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시청중, IRD(5)에 대해 악곡 구입용 GUI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행하고, 그 조작에 대응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GUI가 모니터(6)에 표시된 후에 실행된다. 또한, 구입하는 악곡 데이터는 다운로드용 MPEG 오디오 데이터 또는 ATRAC 데이터 중 하나로, 그 선택은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에 의해 실행하도록 해도 되며, IRD(5)가 자기 음성 출력 단자 또는 IEEE 1394 인터페이스(37)에 접속되어 있는 기록 장치(MD 덱(9) 등)를 검지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S11)에 있어서,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 TS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ECM)를 추출하여, 그 중에 기술되어 있는 각 악곡 데이터의 시청 시간, 시청 제한 회수 및 구입 제한 시각을 제어부(39)에 출력한다. 단계(S12)에 있어서, 제어부(39)는 각 악곡마다 현재 시각을 구입 제한 시각과 비교함으로써, 구입 가능한 악곡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입 가능한 악곡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3)에 있어서, 제어부(39)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UI 화면에 악곡 리스트(53)를 표시시킨다. 또한, 이 악곡 리스트(53)에는 시청 및 구입이 가능한 악곡 곡목 및 시청은 불가능(시청한 회수가 시청 제한 회수에 이르고 있는 악곡)하고 구입 가능한 악곡 곡목이 구별되며, 예를 들면, 시청 및 구입 가능한 악곡 곡목은 짙고, 시청은 불가능하고 구입 가능한 악곡 곡목은 엷게 표시된다.
단계(S14)에 있어서, 제어부(39)는 이 악곡 리스트(53)를 본 사용자에 의해, 악곡 리스트(53)에 표시되어 있는 구입 가능한 악곡 중 몇 개가 선택된 후, 더욱이 구입 버튼(55)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구입 버튼(55)이 눌러졌다고 판정할 때까지 단계(S12)로 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이 반복 사이에 있어서, 구입 제한 시각을 초과한 악곡 곡목 표시는 변경된다. 구입 버튼(55)이 눌렸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S15)로 진행한다.
단계(S15)에 있어서, 제어부(39)는 단계(S14)에서 다수의 악곡 구입이 사용자로부터 지령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다수의 악곡 구입이 지령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S16)로 진행한다. 단계(S16)에 있어서, 제어부(39)는 구입하는 여러 악곡의 다운로드 순서를 결정한다. 이 다운로드 순서 결정 처리에 대해서, 도 14의 플로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21)에 있어서, 디스크램블러(32)는 제어부(39)의 제어에 의해, 구입이 지령된 다수의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현 시점의 음성 부가 정보(악곡 연주 시간과 연주 경과 시간, 다운로드용 MPEG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 시간과 송신 경과 시간에 상당한다)를 TS로부터 추출하여 제어부(39)에 출력한다.
단계(S22)에 있어서, 제어부(39)는 디스크램블러(32)로부터의 음성 부가 정보를 참조하여, 다수의 악곡 데이터의 다운로드 순서를 최적화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악곡(A, B, C) 3곡을 구입할 경우, 구입 지령이 행해진 시각(t0)에 있어서, 3곡의 악곡 데이터 중 송신 개시 타이밍이 가장 빠른 것(지금의 경우, 악곡 B)을 첫번째로 다운로드하는 악곡 데이터로 하고, 다음으로, 첫번째의 악곡 데이터의 송신 종료 시각에 있어서, 나머지 2곡의 악곡 데이터 중 송신 개시 타이밍이 가장 빠른 것(지금의 경우, 악곡 A)을 2번째로 다운로드하는 악곡 데이터로 하며, 나머지 1곡(지금의 경우, 악곡 C)을 3번째로 다운로드하는 악곡 데이터로 한다. 이렇게, 다운로드 순서를 최적화한 경우, 그 종료 시각은 t1이 된다. 이에 대해, 다운로드 순서를 최적화하지 않고서, 악곡(A, B, C) 순서로 다운로드한 경우, 그 종료 시각은 t1보다도 1곡분 느린 t2가 된다.
당연하지만, 3곡 이상의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다운로드 순서가 최적화된다.
단계(S23)에 있어서, 제어부(39)는 단계(S22)에서 결정한 다운로드 순서에 있어서, 구입 제한 시각에 걸리기 때문에 다운로드할 수 없는 악곡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다운로드할 수 없는 악곡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S24)로 진행한다.
단계(S24)에 있어서, 제어부(39)는 GUI의 정보 표시 에어리어(52)에 다운로드할 수 없는 악곡 데이터가 존재하는 취지와 그 곡목을 표시시킨다. 이 표시에 의해, 사용자는 다운로드할 수 없는 악곡 데이터를 알 수 있어, 필요에 따라서 구입하는 악곡 데이터를 재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계(S23)에 있어서, 다운로드할 수 없는 악곡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S24)은 스킵된다.
이상과 같이 다운로드 순서 결정 처리가 실행된 후, 도 13의 단계(S17)로 돌아간다. 단계(S17)에 있어서, 디스크램블러(32)는 제어부(39)의 제어에 의해, 단계(S16)에서 결정된 순서에 따라서 악곡 데이터를 추출하여 후단에 출력한다. 또한, 다운로드용 MPEG 오디오 데이터가 다운로드될 경우, MPEG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디코더(35)에서 MPEG 복호된 후, 음성 제어부(36) 및 음성 출력 단자를 통하여, 예를 들면, MD 덱(10)에 공급되어 기록된다. ATRAC 데이터가 다운로드될 경우, ATRAC 데이터는 IEEE 1394 인터페이스(37)를 통하여 MD 덱(9)에 공급되어 기록된다.
이렇게 다운로드 순서 결정 처리를 포함하는 구입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보다 많은 악곡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계(S11)에 있어서, 제어부(39)가 수신파 레벨을 검지하여, 그 레벨이 일정치 이하일 경우, 구입 가능한 악곡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단계(S14)에서 다수의 악곡이 선택되었을 때의 순서를 기억하도록 하여, 단계(S16)의 다운로드 순서 결정 처리를 스킵하여, 선택되었을 때의 순서에 따라서 다운로드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순서로 악곡 데이터가 다운로드된 경우라도, MD 덱(9, 10)에서는 표준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기능으로서, 임의의 순서로 악곡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용 악곡 데이터로서 MPEG 오디오 데이터와 ATRAC 데이터 2종류가 동시에 존재하며, 악곡 시청 시에는, 그들 중 MPEG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된다. 따라서, ATRAC 데이터를 다운로드하 고 있을 때, 그와 병행하여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병행 처리에 대해서, 도 16의 플로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병행 처리는 도 13의 단계(S17)에 있어서의 다운로드 처리와 동시에 실행된다. 단계(S31)에 있어서, 제어부(39)는 다운로드 중의 악곡 데이터가 ATRAC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다운로드 중 악곡 데이터가 ATRAC 데이터라 판정한 경우, 단계(S32)로 진행한다. 단계(S32)에 있어서, 제어부(39)는 상술한 시청 처리(도 11)를 실행한다. 단, 다운로드중인 ATRAC 데이터와 동일한 악곡이나 이미 다운로드가 끝난 악곡은 시청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단계(S31)에 있어서, 다운로드중인 악곡 데이터가 ATRAC 데이터가 아니라(다운로드중인 악곡 데이터는 MPEG 오디오 데이터이다) 판정한 경우, 단계(S32)은 스킵된다.
또, 단계(32)에 있어서, 다운로드중인 ATRAC 데이터와는 다른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병행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어느 악곡을 다운로드 중에, 다른 악곡을 시청하는 것이나, 다른 2곡의 악곡 데이터(어느 악곡의 ATRAC 데이터와, 다른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IRD(5)와 IEEE 1394 버스(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MD 덱(9)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MD 덱(9)은 MD 덱(9)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1), IRD(5)로부터의 ATRAC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는 파셜 TS를 수신하는 IEEE 1394 인터페이스(62), MD(71)에 대한 ATRAC 데이터 기록과 재생을 제 어하는 기록 재생부(63) 및 기록 재생부(63)로부터의 ATRAC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DAC(69)에 출력하는 또는 DAC(69)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드하여 기록 재생부(63)에 출력하는 ATRAC 인코더/디코더(68)가 시스템 버스(70)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기록 재생부(63)에는 MD에 기록하는 ATRAC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버퍼(64), 기타, 자기 헤드(65) 광 픽업(66) 및 스핀들 모터(67)가 접속되어 있다. 기록 시에 있어서, 광 픽업(66)은 레이저 광을 MD(71)에 조사하여, 레이저의 조사 스폿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상승시킨다. 자기 헤드(65)는 광 픽업(66)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에 의해 온도가 소정의 값으로 상승되어 있는 MD(71) 상의 스폿에 기록 재생부(63)로부터 공급되는 ATRAC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 신호를 기록한다. 또, 광 픽업(66)은 재생 시에 있어서, MD(71)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얻어지는 ATRAC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63)에 출력한다. 스핀들 모터(67)는 기록 재생부(63)로부터의 제어에 근거하여, MD(71)를 회전시킨다.
ATRAC 인코더/디코더(68)에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서로 변환하는 DAC(69)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 시에 있어서, IEEE 1394 인터페이스(62)에서는, IRD(5)로부터의 파셜 TS로 다중화되어 있는 PSI 패킷에 근거하여, ATRAC 데이터가 배치된 PES 패킷이 검출되고, 더욱이, PES 패킷으로부터 ATRAC 데이터만이 추출된다. 추출된 ATRAC 데이터는 시스템 버스(70)를 통하여 기록 재 생부(63)에 공급된다. 기록 재생부(63)는 자기 헤드(65), 광 픽업(66) 및 스핀들 모터(67)를 제어하여, IEEE 1394 인터페이스(62)로부터 공급된 ATRAC 데이터를 MD(71)에 기록한다.
재생 시에 있어서, 기록 재생부(63)는 광 픽업(66) 및 스핀들 모터(67)를 제어하고, MD(71)로부터 ATRAC 데이터를 판독하여, ATRAC 인코더/디코더(68)에 공급한다. ATRAC 인코더/디코더(68)에서는, 기록 재생부(63)로부터 공급된 ATRAC 데이터가 디코드되어, DAC(69)를 통하여, 예를 들면, 스피커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도 18은 IEEE 1394 인터페이스(62)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81)는 제어부(61)나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 내지 ATRAC 데이터 추출부(88)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에 대응하여, PID 검출부(82) 처리를 제어한다.
PID 검출부(82)는 IRD(5)로부터 입력되는 파셜 TS를 MPEG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그들 TS 패킷 중 패킷 헤더에 기술되어 있는 13비트의 PID(도 13)가 제어부(81)로부터 지정되는 소정의 PID(ATRAC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는 TS 패킷을 나타내는 PID)와 동등한 TS 패킷만을 추출하여, 후단의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 내지 ATRAC 데이터 추출부(88)에 출력한다.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TS 패킷의 데이터 스타트 인디케이터(도 8에 도시한 TS 패킷의 제 23바이트번째)를 검출하며, 거기에 「1」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그 검출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이 검출 정보는 제어부(81)를 통하여 제어부(61)에 공급되며, MD(71)에 대한 ATRAC 데이터의 기록 개시의 트리거가 된다. 또,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는 TS 패킷의 데이터 엔드 인디케이터(데이터 스타트 인디케이터의 LSB 측에 인접하는 비트)를 검출하여, 거기에 「1」이 기술되어 있을 경우, 그 검출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이 검출 정보는 제어부(81)를 통하여 제어부(61)에 공급되어, MD(71)에 대한 ATRAC 데이터의 기록 종료의 트리거가 된다.
패킷 카운터 검출부(84)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데이터 엔드 인디케이터의 LSB 측에 인접하는 3비트) 및 프리젠트 PES 넘버(도 8에 도시한 TS 패킷의 제 24 바이트번째 내지 제 26 바이트번째)의 연속성을 검증한다.
그런데, PES 데이터 카운터는 0 내지 7의 값을 얻는 사이클릭 카운터로, 프리젠트 PES 넘버는 PES 데이터 카운터 값이 한 번 돌 때마다, 하나씩 인크리먼트되고 있다. 즉, 연속하고 있는 정상 TS(패킷 이탈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TS)의 PES 패킷을 구성하는 8개의 TS 패킷 중 제 1번째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에는, 1이 기술되어 있다. 이에 연속하는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에는, 순차, 하나씩 인크리먼트된 값이 기술되고, PES 패킷을 구성하는 제 8번째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에는 7이 기술되어 있다. 이상의 8개 TS 패킷의 프리젠트 PES 넘버는 공통이다. 이에 연속되는 8개의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에는, 다시 0 내지 7이 하나씩 인크리먼트된 값이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프리젠트 PES 넘버는 앞의 8개 TS 패킷의 프리젠트 PES 넘버에 기술되어 있는 값에 1이 가산된 값이다. 또한, 데이터 스타트 인디케이터에 1이 기술되어 있는 ATRAC 데이터의 선두 TS 패킷의 프 리젠트 PES 넘버 값은 0이다.
그래서, 패킷 카운터 검출부(84)는 입력되는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 값 및 프리젠트 PES 넘버 값을 판독하여 기억하며, 다음에 입력되는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 값 및 프리젠트 PES 넘버 값이 기억하고 있는 값의 연속이 손상되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그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에러 검출부(85)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TS 패킷의 제 2 바이트번째의 TS 에러 인디케이터를 검출하여, 거기에 1이 기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TS 에러 인디케이터에는 IRD(5)의 프론트 엔드부(31)에 있어서 에러 정정 처리를 처리할 수 없었을 때에 1이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TS 에러 인디케이터에게 1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그 TS 패킷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에러가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에러 검출부(85)는 TS 에러 인디케이터에 1이 기술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그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또, 에러 검출부(85)는 TS 패킷의 제 29바이트번째의 ATRAC 데이터 체크 섬을 사용하여, 제 30바이트번째 이후에 기술되어 있는 ATRAC 데이터를 검증하여, 에러를 검출한 경우, 그 검출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포맷 검출부(86)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TS 패킷의 데이터 타이프(도 6에 도시하는 TS 패킷의 제 19바이트번째), 데이터 트랜스미션 타이프(도 6에 도시하는 TS 패킷의 제 20바이트번째), FDF 필드 렝스(도 8에 도시하는 TS 패킷의 제 21바이트번째) 및 오디오 데이터 타이프(1, 2)(도 8에 도시하는 TS 패킷의 제 21, 22바이트번째)를 검출하여, 그들에 기술되어 있는 값이 ATRAC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소정의 값이 아니라 판정한 경우, 그 검출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저작권 정보 검출부(87)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순차 입력되는 TS 패킷의 카피라이트, 오리지널 또는 카피, 카피라이트 모드 및 EMI 모드(도 8에 도시하는 TS 패킷의 제 22, 23바이트번째)를 검출하여, 그들에 기술되어 있는 값이 해당 ATRAC 데이터는 카피가 허가되어 있는 것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소정의 값이 아니라 판정한 경우, 그 검출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ATRAC 데이터 추출부(88)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되는 TS 패킷의 제 30바이트번째 내지 제 188바이트번째에 배치되어 있는 ATRAC 데이터를 추출하여, 후단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IEEE 1394 인터페이스(62)의 ATRAC 데이터 추출 처리에 대해서, 도 19의 플로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ATRAC 데이터 추출 처리는 IRD(5)로부터 파셜 TS가 입력되었을 때에 개시된다.
단계(S41)에 있어서, PID 검출부(82)는 IRD(5)로부터 입력된 파셜 TS를 MPEG 스트림으로 변환한 후, 패킷 헤더에 기술되어 있는 13비트의 PID가 ATRAC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는 TS 패킷을 나타내는 PID와 동등한 TS 패킷만을 추출하여, 후단의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 내지 ATRAC 데이터 추출부(88)에 출력한다.
단계(S42)에 있어서, 저작권 정보 검출부(87)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카피라이트, 오리지널 또는 카피, 카피라이트 모드 및 EMI 모드를 검출하여, 그들에 기술되어 있는 값이 해당 TS 패킷에 배치되어 있는 ATRAC 데이터는 카피가 허가되어 있는 것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값으로, 카피가 허가되어 있는 것이라 판정된 경우, 단계(S43)로 진행한다.
단계(S43)에 있어서,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데이터 스타트 인디케이터를 감시하여, 거기에 「1」을 검출할 때까지 대기하여, 「1」을 검출한 경우, 그 검출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이 검출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부(81)는 ATRAC 데이터 추출부(88) 및 제어부(61)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S44)에 있어서, ATRAC 데이터 추출부(88)는 제어부(81)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제 30바이트번째 이후에 배치되어 있는 ATRAC 데이터를 추출하여, 후단의 기록 재생부(63)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61)는 제어부(81)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MD(71)에 대한 ATRAC 데이터의 기록 개시를 MD 덱(9)의 각 부에 지령한다. 이로써, MD(71)에 대한 ATRAC 데이터 기록이 개시된다.
단계(S45)에 있어서, 패킷 카운터 검출부(84)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 및 프리젠트 PES 넘버를 검출하여, 그들에 기술되어 있는 값의 연속성을 판정하며,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 값 및 프리젠트 PES 넘버 값은 각각 연속성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S46)로 진행한다.
단계(S46)에 있어서, 에러 검출부(85)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TS 에러 인디케이터를 검출하여, 거기에 「1」이 기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더욱이, 에러 검출부(85)는 TS 패킷의 ATRAC 데이터 체크 섬을 사용하여, 제 30바이트번째 이후에 기술되어 있는 ATRAC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TS 에러 인디케이터에 「1」이 기술되어 있지 않고, 또한, ATRAC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S47)로 진행한다.
단계(S47)에 있어서, 포맷 검출부(86)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데이터 타이프, 데이터 트랜스미션 타이프, FDF 필드 렝스 및 오디오 데이터 타이프(1, 2)를 검출하여, 그들에 기술되어 있는 값이 ATRAC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들에 기술되어 있는 값이 ATRAC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이라 판정된 경우, 단계(S48)로 진행한다.
단계(S48)에 있어서,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는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데이터 스톱 인디케이터를 감시하여, 거기에 「1」이 기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1」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S45)로 돌아가, 그 이후 처리가 반복된다. 반대로, 데이터 스톱 인디케이터에게 「1」이 기술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스타트·스톱 비트 검출부(83)는 그 검출 정보를 제어부(81)에 출력한다. 이 검출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부(81)는 ATRAC 데이터 추출부(88)및 제어부(61)에 소정 신호를 출력한다. ATRAC 데이터 추출부(88)는 제어부(81)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으로부터의 ATRAC 데이터 추출을 종료한다. 또, 제어부(61)는 제어부(81)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MD(71)에 대한 ATRAC 데이터의 기록 종료를 MD 덱(9)의 각 부에 지령한다. 이로써, MD(71)에 대한 ATRAC 데이터 기록이 종료된다.
또한, 단계(S42)에 있어서,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카피라이트, 오리지널 또는 카피, 카피라이트 모드 및 EMI 모드에 기술되어 있는 값이 해당 TS 패킷에 배치되어 있는 ATRAC 데이터는 카피가 허가되어 있는 것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이 아니라, 카피가 허가되고 있는 것이라 판정된 경우, 그 판정 결과가 저작권 정보 검출부(87)로부터 제어부(81)에 출력되어, 단계(S49)로 진행한다.
또, 단계(S45)에 있어서,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PES 데이터 카운터 및 프리젠트 PES 넘버에 기술되어 있는 값의 연속성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그 판정 결과가 패킷 카운터 검출부(84)로부터 제어부(81)에 출력되어, 단계(S49)로 진행한다.
또, 단계(S46)에 있어서,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TS 에러 인디케이터에 1이 기술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ATRAC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그 판정 결과가 에러 검출부(85)로부터 제어부(81)에 출력되어, 단계(S49)로 진행한다.
또, 단계(S47)에 있어서, PID 검출부(82)로부터 입력된 TS 패킷의 데이터 타이프, 데이터 트랜스미션 타이프, FDF 필드 렝스 및 오디오 데이터 타이프(1, 2)에 기술되어 있는 값이 ATRAC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이 아니라 판정된 경우, 단계(S49)로 진행한다.
단계(S49)에 있어서, 제어부(81)는 패킷 카운터 검출부(84) 내지 저작권 정보 검출부(87)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PID 검출부(82)에 TS 패킷의 추출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그 정보를 제어부(61)에 출력한다. 이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부(61)는 MD(71)에 대한 ATRAC 데이터의 기록 중지를 MD 덱(9)의 각 부에 지령함과 동시에, 기록을 중지한 취지를 IRD(5)에 통지한다.
또한, 단계(S45 내지 S47)에 있어서의 처리는 그 순서를 교체해도 되고, 병행하여 처리하도록 해도 된다.
또, TS에 대한 전송로 상에서의 에러 발생이 적다(전송로의 품질이 좋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단계(S46)에 있어서의 체크 섬을 사용한 에러 검출을 실행하지 않고, TS 에러 인디케이터의 검증만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MD(9)의 IEEE 1394 인터페이스(62)에서는, TS 패킷에 배치되어 있는 ATRAC 데이터만을 추출하지만, 그 때, TS 패킷에 발생하고 있는 이상(데이터 이탈 발생 등)을 감시하여, 이상을 검출한 경우, ATRAC 데이터 추출을 중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이상한 ATRAC 데이터를 기록해버리는 다운로드의 실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인 EMD 시스템에 있어서는, 디지털 위성 방송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지만, 디지털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이나 디지털 지상 방송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의 배신 서비스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컴퓨터나 텔레비젼 게임기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IRD 또는 MD 덱에 인스톨하여, IRD 또는 MD 덱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IR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RD(101)(도 1의 IRD(5)에 상당한다)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 디스크(102)나 반도체 메모리(103)에 미리 인스톨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혹은 또, 프로그램은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피 디스크(111), CD-R0M(Compact Disc Read 0nly Memory)(112), MO(Magnet 0ptical) 디스크(113), DVD(Digital Versatile Disc)(114), 자기 디스크(115), 반도체 메모리(116) 등의 기록 매체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격납하여,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그램은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운로드 사이드(121)로부터, 무선으로 위성(122)을 통하여 IRD(123)에 전송하거나,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31)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IRD(123)에 전송하며, IRD(123)에 있어서,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 등에 격납시킬 수 있다.
또한, MD 덱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IR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매체란 이들 모든 매체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다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의 프로그램에 의하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PID를 갖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추출하여,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했기 때문에, ATRAC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지 않고서 그대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0)

  1. 소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버스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PID를 갖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이 추출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중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해당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추출 수단이 추출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기록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 수단의 추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추출 수단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추출 처리가 중지될 경우에, 기록을 중지한 취지를 디지털 버스를 개재시켜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소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식은 ATRAC 방식이며,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는 M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8.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디지털 방송 중에서 원하는 전송 채널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된 전송 채널에 의해 전송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복조하는 수단과,
    상기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다운로드용 데이터인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추출하고, 추출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디지털 버스를 통하여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중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되는 상기 기록 장치에서 기록이 중지된 경우에는,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기록이 중지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수단이 기록이 중지된 취지의 통지를 수신했을 때에는, 기록 중지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0. 소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의 기록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버스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PID를 갖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중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해당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추출 수단이 추출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기록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판정 단계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 단계의 추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추출 단계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추출 처리가 중지될 경우에, 기록을 중지한 취지를 디지털 버스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에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방법은,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소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식은 ATRAC 방식이며, 상기 소정의 기록 매체는 M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17. 소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용 프로그램이 격납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버스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PID를 갖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중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여, 해당 파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추출 수단이 추출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배치된 소정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기록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판정 단계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 단계의 추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00026977A 1999-05-19 2000-05-19 기록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40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38853 1999-05-19
JP13885399A JP4269409B2 (ja) 1999-05-19 1999-05-19 受信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338A KR20000077338A (ko) 2000-12-26
KR100740018B1 true KR100740018B1 (ko) 2007-07-18

Family

ID=1523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977A KR100740018B1 (ko) 1999-05-19 2000-05-19 기록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31781B1 (ko)
JP (1) JP4269409B2 (ko)
KR (1) KR100740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9501A (en) * 1994-04-22 1997-04-0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nditional access filter as for a packet video signal inverse transport system
CN100583239C (zh) * 2003-02-28 2010-01-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生装置及再生方法
TW200511860A (en) * 2003-05-14 2005-03-16 Nagracard Sa Duration computing method in a security module
KR100698620B1 (ko) * 2003-06-16 2007-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강건한 에러 정정 부호화 장치를 가지는 디지털 송/수신시스템 및 그의 에러정정부호화/정정방법
KR100999768B1 (ko) * 2003-09-17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부가정보 저장 및이용방법
US8693540B2 (en) 2005-03-10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temporal error concealment for P-frame
AU2006223287C1 (en) * 2005-03-10 2010-10-21 Qualcomm Incorporated A decoder architecture for optimized error management in streaming multimedia
JP2007213772A (ja) * 2006-01-11 2007-08-23 Sony Corp 記録転送プログラム、記録転送装置及び記録転送方法
JP2009081591A (ja) * 2007-09-26 2009-04-16 Hitachi Ltd 映像機器の内部情報の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042A (ja) * 1994-12-15 1996-06-25 Sony Corp 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復号化方法
KR970023304A (ko) * 1995-10-18 1997-05-30 김광호 문자정보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서브코드의 큐-채널 데이타 구조 형성방법
KR19980045092A (ko) * 1996-12-09 1998-09-15 김광호 디지탈 위성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KR19990075212A (ko) * 1998-03-18 1999-10-15 구자홍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26241T2 (de) * 1997-07-29 2005-10-13 Sony Corp.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und zum Empfang von Musik, Verfahren zur Übertragung und zum Empfang von Musik und System zur Übertragung von Musik
JP3465813B2 (ja) * 1997-10-29 2003-11-1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
JPH11225292A (ja) * 1998-02-04 1999-08-17 Sony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6650659B1 (en) * 1998-02-27 2003-11-18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tt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042A (ja) * 1994-12-15 1996-06-25 Sony Corp データ復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復号化方法
KR970023304A (ko) * 1995-10-18 1997-05-30 김광호 문자정보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서브코드의 큐-채널 데이타 구조 형성방법
KR19980045092A (ko) * 1996-12-09 1998-09-15 김광호 디지탈 위성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KR19990075212A (ko) * 1998-03-18 1999-10-15 구자홍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31424A (ja) 2000-11-30
US7031781B1 (en) 2006-04-18
JP4269409B2 (ja) 2009-05-27
KR20000077338A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47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transport stream containing a plurality of content data
KR100617890B1 (ko)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4877421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ならびに送受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方法
KR100568890B1 (ko) 송신 장치 및 방법, 정보 편집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정보 축적 장치 및 방법, 및 방송 시스템
JP4488086B2 (ja)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EP1209922A2 (en) Content supply method and content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40018B1 (ko) 기록 장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KR19990073006A (ko) 데이터전송방법및시스템
JP3915204B2 (ja) 送信装置及び方法、送信制御装置及び方法、受信装置及び方法、情報蓄積装置及び方法、並びに放送システム
JP4580473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情報蓄積システム
JP3901393B2 (ja) 放送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580474B2 (ja) 受信装置及び情報蓄積システム
JP4329157B2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0332706A (ja) 放送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2002064795A (ja) 画像伝送装置および方法、画像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887933B2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JP3714789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再生システム
KR100627991B1 (ko)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JP2000332822A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2003009078A (ja) ディジタル信号の受信方法及び装置
JP2003087736A (ja) 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2005354729A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