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588A - 구강 케어 방법 및 제품 - Google Patents

구강 케어 방법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588A
KR20060015588A KR1020057021154A KR20057021154A KR20060015588A KR 20060015588 A KR20060015588 A KR 20060015588A KR 1020057021154 A KR1020057021154 A KR 1020057021154A KR 20057021154 A KR20057021154 A KR 20057021154A KR 20060015588 A KR20060015588 A KR 20060015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re
oral
alkyl
physiologically acceptable
chela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엘. 유클
데이비드 바-오알
Original Assignee
디엠아이 바이오사이언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엠아이 바이오사이언시스, 인크 filed Critical 디엠아이 바이오사이언시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1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2Amines having two or more amino groups, e.g. spermidine, putres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구강 케어 제품 및 키트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구강 조직내에 위치한 세포로부터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 8 분비를 저해할 수 있으며, 상기 조직에서의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더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엔틴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용하거나 포함하는 방법, 구강 케어 제품 및 키트를 제공한다.
치아, 미백, 반응성 산소종 생성 저해

Description

구강 케어 방법 및 제품{ORAL CARE METHODS AND PRODUCTS}
본 발명은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구강 케어 제품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구강 조직내에 위치한 세포로부터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 8 분비를 저해할 수 있으며, 상기 조직에서의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더 바람직하기로는 트리엔틴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용하거나 포함하는 방법, 구강 케어 제품 및 키트를 제공한다.
반응성 산소종(ROS)으로는 자유 라디칼(예,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하이드록시 라디칼, 페록시 라디칼 및 알콕시 라디칼) 및 비라디칼 종(예, 하나의 산소 및 과산화수소)가 있다. 반응성 산소종은 넓은 범위의 분자적, 세포적 및 조직상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질병과 증상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반응성 산소종은 100종 이상의 질병과 병원성 증상과 연루되어 있으며, 반응성 산소종은 모든 인간 질환과 관련된 공통 병원성 기작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Stohs,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6, 205-228 (1995). 반응성 산소종, 이들의 생성, 분자적, 세포적 및 조직상의 손상을 초래하는 기작 및 수많은 질병과 질환과의 이들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문헌으로, 예컨대 Manso, Rev. Port. Cardiol., 11, 997-999(1992); Florence, Aust. NZJ. Opthalmol., 23; 3-7(1992); Stohs,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6, 205-228(1995); Knight, Ann. Clin. Lab. Sci., 25, 111-121(1995); Kerr et al., Heart & Lung, 25, 200-209(1996); Roth, Acta Chir. Hung., 36, 302-305(1997)을 참조한다.
금속 이온, 주로 전이 금속 이온들은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과 축적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저장 부위에서 방출된 구리 및 철 이온은 허혈성/재관류성 상해 및 열, 감기, 외상, 과잉 운동, 독소, 방사능 및 감염으로 인한 상해를 포함한, 상해 이후의 반응성 산소종 생성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이다. Roth, Acta Chir. Hung., 36, 302-305(1997). 구리 및 철 이온과 그외 전이 금속 이온들은(예, 바나듐, 크롬 이온)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을 촉매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예, Stohs,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6,205-228(1995); Halliwell et al.,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pages 1-19(Oxford University 1989); Marx et al., Biochem. J., 236, 397-400(1985); Quinlan et al., J. Pharmaceutical Sci., 81, 611-614(1992)를 참조한다. 그외 전이 금속 이온(예, 카드뮴, 수은 및 니켈 이온)과 그외 금속 이온(예, 비소 및 납 이온)은 자연적인 항산화 방어 시스템의 일부 분자들을 고갈시켜 반응성 산소종의 축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예, Stohs,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6, 205-228(1995) 참조한다.
반응성 산소종은 여러가지 이유로 구강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성 산소종은 담배 흡연, 환경 물질 노출, 방사능 노출 및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 수소를 유리시키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한 구강 케어 제품의 사용의 결과로, 구강내에 존재한다. 예, 미국 특허 5,906,811, 6,228,347 및 6,270,781을 참조한다. 반응성 산소종은 또한 치은염, 치주염, 상처, 수술, 치아 발치, 입가의 발진(cold sore), 구강 궤양(canker sores) 및 궤양을 포함한, 염증 및/또는 감염을 수반하는 질병과 증상의 결과로서 구강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예, 미국 특허 6,228,347 및 6,270,781을 참조한다. 마지막으로, 타액의 정상 pH는 7.2이지만, 음식물 분해의 결과로, 특히 탄수화물에 의해 구강내 상태가 산성인 경우가 종종 있다. 예, 미국 특허 6,177,097 참조한다. 산성 상태는 결합되어 있는 단백질로부터 구리 이온의 방출을 촉진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자유 구리 이온은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을 초래할 수 있다. 구강내의 반응성 산소의 존재는 구강 조직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증성 치주 질환의 치주낭에서 반응성 산소종과 증가된 수치의 유리 철 및 구리 이온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치주 조직 파괴에 ROS이 중요한 역할을 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예, Waddington et al., Oral Dis., 6: 138-151(2000) 참조한다.
인터루킨 8(IL-8)은 전염증성(pro-imflammatory) 사이토카인이며, 강력한 화학물질유인제이며 호중구의 활성자이다. 또한 인터루킨 8은 T-림프구와 호산구의 화학물질유인제 및 활성자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인터루킨 8은 면역세포(림프구, 호중구, 단핵구 및 대식세포를 포함함), 섬유아세포 및 상피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인터루킨 8은 치은염 및 치주 질환을 포함한 다수의 염증성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Sfakianakis et al., J. Periodontal Res., 37(2):l54-160 (April 2002), Fitzgerald et al., Oral Microbiol. Immunol., 1O(5):297-303 (October 1995), 및 Takigawa et al., J. Periodontol., 65(11):1002-1007 (November 1994). 최근에는 생리학적 상응 농도의 구리에 노출된 후 내피세포에서 현저히 증가된 수준으로 인터루킨 8이 분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계류중인 미국 출원 10/186,168, 출원일: 2002년 6월 27일, 신규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번호 20030130185, 공개일:2003년 7월 10일, PCT WO 03/043518, 공개일: 2003년 5월 30일, 및 Bar-Or, Thomas, Yukl, Rael, Shimonkevitz, Curtis and Winkler, "Copper Stimulates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Interleukin-8 in Human Endothelial Cells: A Possible Early Role in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Shock, 20(2): 154-158 (August 2003) 참조). 또한, 구리는 다른 세포종에서의 인터루킨 8 분비를 야기하는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을 촉매한다. 예, Kennedy et al., Am. J. Respir. Cell. Mo!. Biol., 19(3):366-378 (1998) 참조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동물의 구강 조직에 위치한 세포로부터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 구강 조직의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성 산소종에 의해 생긴 동물 구강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동물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1개 이상의 치아, 그외 동물 구강 조직 또는 이들 모두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트리엔틴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약 0.002 mg 내지 약 2.20 mg을 상기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의 구강 조직의 질환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트리엔틴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약 0.002 mg 내지 약 2.20 mg을 상기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케어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기구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약 0.0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제품을 포함한다. 상기 구강 케어 제품은 구강 케어 기구 또는 구강 케어 조성물일 수 있다.
본원에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i) 펩티드 또는 단백질이 아니고; (ii)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개 또는 3개의 탄소 원자(C)에 의해 분리되어지는 질소(N)를, 3개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4개 이상 함유하며, (iii) 구리 이온, 철 이온 또는 둘 다를 킬레이트하며, 특히 전이 금속 이온을 포함한 그외 금속 이온을 킬레이트 할 수 있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질소와 탄소는 치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질소 또는 탄소는 금속 이온의 킬레이트화를 방해하지 않으며 조합시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배위를 생성하지 않는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다. 다수의 선형 또는 환형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거나 또는 공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5,101,041, 5,422,096, 5,906,996 및 6,264,966과, 국제 출원 WO 00/21941 및 WO 99/39706를 참조하며, 상기 문헌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되기 위한, 바람직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아래 식을 가지는 화합물이다:
NR1R2 [-(CR3R4)x-NR1]y-(CR3R4)x-NR1R2.
상기에서, 각 R1, R2,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 R1, R2, R3 및 R4는 수소, 알킬(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다. 또한 각 R1 및 각 R2 아래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CR5R6-(CR7R8)z-R9.
각 R5,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 R5, R6 또는 R7은 수소, 알킬(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다.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아미노, 알킬(질쇄 또는 분지쇄),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알콕시,아릴, 아릴옥시알킬 또는 알콕시아릴일 수 있다.
R9는 다음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COOR10, -CON(R10)2, -OR10, -C(OR10)3, -COR10, -N(R10)2, 알키아릴 또는 알킬헤테로아릴.
R10은 수소, 알킬(직쇄 또는 분지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일 수 있으며, y는 1-10(바람직하기로는 1-5이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2-4이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2 임)이고, z는 0-6이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될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일반적인 무독성 염, 예컨대 무기산(예,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등), 유기산(예, 아세트산, 프로피오닌산, 숙신산, 글리콜산, 스테아르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글루타민산, 벤조산, 살리실린산 등), 또는 무기 및 유기 염기(예,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 양이온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유래의 염을 포함한다. 염은 일반적인 방법, 예컨대 유리 염기 형태의 화합물을 산을 이용하여 중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및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의한 금속 이온, 특히 구리 및/또는 철 이온의 결합은, 상기 금속 이온에 의해 야기되는 반응성 산소종 생성 및/또는 이의 축적을 저해(즉 감소 또는 방지)한다. 그 결과, 금속 이온의 결합이 없는 경우에 반응성 산소종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손상이 감소된다. 또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및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의한 구리 이온 결합은, 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 8의 분비를 저해(감소 또는 방지)한다. 따라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및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동물 구강 조직의 염증, 염증성 질환 및 증상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R1, R2, R3 및 R4가 모두 수소이고,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이고, y는 1-5인 화합물이다. 이런 바람직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엔틴,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헥사에틸렌셉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테트라프로필렌펜타민, 펜타프로필렌헥사민, 헥사프로필렌셉타민, N,N'--bis(2-아미노에틸)프로판디아민 및 N,N'-bis(2-아미노프로필)에탄디아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매우 바람직한 것은 트리엔틴이다. 트리엔틴은 또한 트리에틸렌테트라민, N,N'-bis(2-아미노에틸)-1,2-에탄 디아민 및 그외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The Merck Index, page 1382, entry 9483(10th ed. 1983)를 참조한다. 이는 화학식 NH2-CH2-CH2-NH-CH2-CH2-NH-CH2-CH2-NH2을 가진다. 트리엔틴 및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간능한 염은, 예컨대 Merck & Co., Inc., USA, Research Diagnostics Inc., USA, Akzo Nobel Functional Chemicals, Sweden, Ciba Specialty Chemicals, USA, Diamines & Chemicals Ltd., India, Fluka Chemie AG, Switzerland, Guangzhou Chemical Reagent Factory, China, Huntsman Chemical Corp., USA, ITI International Trade Inc., USA, Seratec S.A.R.L., France, Dow Chemical Co., USA, Tosoh Corporation, Japan, and UniOn Carbide Corp., USA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또한 트리엔틴은 미국 특허 5,225,599, 4,980,507, 4,827,037, 4,720,588, 4,404,405 및 4,323,558과, The Merck Index, page 1382, entry 9483 (lOth ed. 1983)에 기재된 문헌에 기술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트리엔틴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일반적인 방법, 예 유리 염기 형태의 화합물을 산을 이용하여 중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트리엔틴 및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리 킬레이터이다. 이는 고친화성으로 Cu(ll)에 결합하며 또한 Cu(I)에도 결합한다. 또한 이는 Ni(II), Zn(II), Co(II), 및 Fe(III)에 결합한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및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의한 구리 및 철 이온 결합은, 이러한 금속 이온에 의해 야기되는 반응성 산소종 생성 및/또는 이의 축적을 저해(즉 감소 또는 방지)한다. 그 결과, 금속 이온의 결합이 없는 경우에 반응성 산소종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손상이 감소된다. 또한 트리엔틴에 의한 구리 이온 결합은, 세포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 8의 분비를 저해(감소 또는 방지)한다. 따라서, 트리엔틴은 동물 구강 조직의 염증, 염증성 질환 및 증상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트리엔틴은 치은염 및 치주염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은염 및 치주염에 대한 항미생물 화합물(클로헤시딘)(chlorhexidine) 및 콜라게나제 저해제(저투여량의 독시실린 히클레이트(doxycyline hyclate))를 포함한 치료제에 대한 공개 문헌과 트리엔틴을 이용한 데이타와의 비교를 통해, 트리엔틴이 그외 치료제보다 몇배 더 효과적이며, 짧은 치료기간내에 효과가 나타나며, 거의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추론된다. 더욱이, 트리엔틴을 이용한 치은염 및 치주염의 효과적인 치료는, 상기 화합물의 극히 소량의 투약을 통해서 실현되었다. 또한, 놀랍게도, 예비 데이타는 트리엔틴이 첨가된 미백제 없이 심하게 변색된 치아를 미백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구강 케어 제품에는 구강 케어 조성물 및 구강 케어 기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세척제, 헹굼제, 가글제, 용제, 점적제, 유제, 현탁제, 액제, 페이스트, 젤제, 연고제, 크림제, 분무제, 분제, 정제, 검제, 정제(lozenge), 민트제, 필름제, 패치제 및 치아 미백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소비자 및 환자용 조성물과 치아 전문가(예, 치위생상, 치과의사 및 구강 외과의)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혼합 형태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 0.0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약 2.5 중량% 내지 약 1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약 5.0 중량% 내지 약 6.0 중량%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그외 활성 화합물 및/또는 구강 케어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그외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담체 및 성분은 제형의 다른 성분들과 혼화가능하다는 점에서 "허용가능"하여야 하며, 동물에게 유해하지 않아야 한다.
구강 케어 조성물의 용도 및 구강 케어 조성물의 제조 및 이용 방법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적합한 성분들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그 예로, 미국 특허 4,847,283, 5,032,384, 5,043,183, 5,180,578, 5,198,220, 5,242,910, 5,286,479, 5,298,237, 5,328,682, 5,407,664, 5,466,437, 5,707,610, 5,709,873, 5,738,840, 5,817,295, 5,858,408, 5,876,701, 5,906,811, 5,932,193, 5,932,191, 5,951,966, 5,976,507, 6,045,780, 6,197,331, 6,228,347, 6,251,372 및 6,350,438와 국제 출원 WO 95/32707, WO 96/08232 및 WO 02/13775와, 유럽 출원 471,396를 참조하며, 이들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구강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으로는, 물, 알콜, 습윤제, 계면활성제, 증점제(thickening agent), 연마제, 감미료, 향료, 항미생물제, 항-충치제, 항-플라그제(anti-plaque agent), 항-치석제, pH- 조절제 및 그외 성분을 포함한다.
구강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는 물은 바람직하기로는 이온 함량이 낮아야 한다. 또한 유기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
알콜은 무독성이어야 한다. 바람직한 알콜은 에탄올이다. 에탄올은 용매이며 또는 항세균제 및 아스트린젠트(astringent)로 작용한다.
구강 케어 조성물에 적합한 습윤제로는 식용성 폴리하이드릭 알콜, 예 글리세롤, 소르비톨, 자일리톨,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만니톨 및 락티톨을 포함한다. 습윤제는 페이스트와 같은 구강 케어 조성물이 공기 노출시 딱딱해지지 않도록 보조하고 구강에서 수분감을 제공하며, 적합한 감미를 가미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양성이온성, 양이온성 합성 세정제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라디칼에 탄소수 8 내지 20개를 갖는 알킬 설페이트의 수용성 염(예, 소듐 알킬 설페이트), 탄소수 8-20개를 갖는 지방산의 설폰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수용성 염(예,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소듐 코코넛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사르코시네이트류(sarcosinate)(예,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미리스토일 사르코시네이트, 팔미토일 사르코시네이트, 스테아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및 올레오일 사르코시네이트의 소듐염 및 칼륨염), 타우레이트류(taurates), 고급 알킬 설포아세트류(higher alkyl sulfoacettes)(예, 소듐 라우릴 설포아세테이트), 이세티오네이트류(isethionates)(예, 소듐 라우로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레트 카르복실레이트, 소듐 도데실 벤젠설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사르코시네이트는 탄수화물 분해로 인해 구강내의 산 생성을 저해하므로, 사르코시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록사머(상표 플루로닉으로 판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류(상표 트윈으로 판매),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알킬 페놀류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에틸렌과 지방산, 지방 알콜, 지방 아미드, 폴리하이드릭 알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와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된 산물, 지방성 알콜류의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장쇄 3급 아민 옥사이드, 장쇄 3급 포스핀 옥사이드, 장쇄 디알킬 설폭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타인류(예,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지방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으며 지방성 치환체들 중 하나는 약 8-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하나는 음이온성 수용화기(예, 카르복실레이트,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지방성 2급 및 4급 아민류의 유도체들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으며, 지방성 치환체들 중 하나는 약 8-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하나는 음이온성 수용화기(예, 카르복실레이트,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지방성 4급 암모늄, 포스포늄 및 설포늄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약 8-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일 장쇄형의 지방성 4급 암모늄 화합물(예, 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디이소부틸페녹시에틸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코코넛 알킬트리메틸암모늄 나이트리트, 세틸피리디늄 플루오라이드)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항미생물제로도 작용할 수 있다.
증점제로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레이트, 카라기난, 셀룰로스 유도체(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메틸 설룰로스 및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라포나이트(laponite), 셀룰로스 에테르류의 수용성 염(예,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천연 검(예, 카라야 검, 잔탄 검, 아라빅 검 및 트라가칸트 검), 폴리머성 폴리에테르 화합물(예,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펜타에리트리톨의 알킬 에테르와 가교된 아크릴산의 호모폴리머, 슈크로스의 알킬 에테르, 카르보머(상표 카르보폴®)로 판매), 전분, 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 모노머들의 공중합체(평균분자량 약 1,000 -120,000의 공중합체), 콜로이달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미분된 실리카를 포함한다. 증점제는 구강 케어 조성물이 바람직한 일정 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함량으로 첨가될 것이다.
연마제로는 실리카(겔 및 침전물 포함), 알루미나, 칼슘 카르보네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디칼슘 포스페이트,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아파티트(hydroxyapatite), 칼슘 피로포스페이트, 트리메타포스페이트, 불용성 폴리메타포스페이트(예, 불용성 소듐 폴리메타포스페이트 및 칼슘 폴리메타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수지성 연마성 재료(예, 유레아와 포름알데하이드의 미립자 축합물), 열결화성 중합성 미립자 수지(적합한 수지로는, 멜라민, 페놀릭, 유레아, 멜라민-유레아,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유레아-포름알데하이드, 멜라민-유레아-포름알데하이드, 가교된 에폭사이드 및 가교된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실리카 연마제는 우수한 치아 세정과 치아 애나멜 또는 치골의 과도한 침식없이 광택 발생을 제공하므로, 실리카 연마제가 바람직하다.
향료로는, 페퍼민트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윈터그린 오일, 클로브, 멘톨, 디하이드로아네톨, 에스트라골, 메틸 살리실레이트, 유칼립톨, 카시아(cassia), 1-메틸아세테이트, 세이지, 유제놀, 파슬리 오일, 멘톤, 옥사논(oxanone), 알파-이리손(alpha-irisone), 알파-이오논(alpha-ionone), 아니스(anise), 마조람(marjoram), 레몬, 오렌지, 프로페닐 구아에톨(propenyl guaethol), 신나몬(cinnamon), 바닐린(vanillin), 에틸 바닐린, 티몰(thymol), 리나롤(linalool), 리모넨(limonene), 이소아밀아세테이트, 벤즈알데하이드, 에틸부티레이트, 페닐 에틸 알콜, 스위트 버치(sweet birch), 시나믹 알데하이드, 신남알데하이드 글리세롤 아세톨(CGA)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감미료로는, 슈크로스, 글루코스, 사카린, 덱스트로스, 레불로스, 락토스, 만니톨, 소르비톨, 프럭토스, 말토스, 자일리톨, 사카린염, 소마틴, 아스파르탐, D-트립토판, 디하이드로칼콘, 아세설팜, 사이클라메이트 염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또한 향료 및 감미료 뿐만 아니라,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택일적인 성분으로 냉각제(coolant), 타액분비제(salivating agent), 가열제(warming agent) 및 마비제(numbing agent)를 함유할 수도 있다. 냉각제로는 카르복사미드, 멘톨, 파라메탄 카르복사미드, 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케탈, 디올, 3-1-메톡시프로판-1,2-디올, 멘톤 글리세롤 아세탈, 멘틸 락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이 있다. 타액분비제로는 잠부(Jambu)®(제조사: Takasago)가 있다. 가열제로는, 캡시컴과 니코티네이스 에스테르류(예, 벤질 니코티네이트)가 있다. 마비제로는 벤조카인, 리도카인, 클로브 버드 오일 및 에탄올이 있다.
항미생물제 및 항-플라크제로는, 트리클로산(triclosan), 산구이나린(sanguinarine) 및 산구이나리아(sanguinaria), 4급 암모늄 화합물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데실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및 N-테트라데실-4-에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비스쿼니드류,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헥세티딘, 옥테니딘, 알렉시딘, 할로겐화된 비스페놀성 화합물류, 2,2'-메틸렌 비스-(4-클로로-6-브롬페놀), 5-클로로-2-(2,4-디클로로페녹시)-페놀, 살리실라닐리드, 도미펜 브로마이드, 델모피놀, 옥타피놀, 그외 피페라디노 유도체들, 니신, 제일주석 아연 이온 제제(zinc stannous ion agent), 항생제(예, 아기멘틴(augimentin), 아목시실린(amoxicill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독시사이클린(doxydcycline),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및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이들의 유사체 및 염류, 및 이들의 혼합이 있다.
항-충치제로는, 불화나트륨, 불화주석, 불화칼륨, 불화아민, 불화인듐, 일불소인산나트륨, 젖산칼슘,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스트론튬 염류, 및 스트론튬 폴리아크릴레이트류가 있다.
항-치석제로는, 디알칼리 금속 피로포스페이트 염류 및 테트라알칼리 금속 피로포스페이트 염류와 같은 피로포스페이트 염류(예, 디소듐 디하이드로겐 피로포스페이트,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및 테트라포타슘 피로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수화 및 무수화 형)이 있다. 그외 상기 피로포스페이트 염류 대신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항-치석제로는, 합성 음이온성 폴리머(예,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말레 무수물 또는 산과 메틸 비닐 에테르의 공중합체), 폴리아미노프로판 설포닌산, 아연 시트레이트 삼수화물, 폴리포스페이트류(예,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및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폴리포스포네이트류(예, 디소듐 에탄-1-하이드록시-1,1-디포스포네이트(EHDP), 메탄디스포스포닌산 및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르복실산), 및 폴리펩티드류(예, 폴리아스파르산 및 폴리글루탐산)이 있다.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산성인 경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및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의 pH는 산성이 아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상 케어 조성물의 pH는 약 6.5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약 7.0 내지 약 8.5, 더 바람직하기로는 약 7.2 내지 약 7.6이어야 한다. 따라서, pH 조절제 및/또는 완충화제 또는 제제가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에 필수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바람직한 pH를 이룰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pH로 적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경우, 적합한 pH 조절제로는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기 및 무기염기가 있으며, 예컨대 벤조산, 구연산,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이 있다. 완충화제로는, 아세트산염, 붕산염, 탄산염, 중탄산염(예, 중탄산나트륨(베이킹 소다)과 같은 알카리 금속 중탄산), 글루콘산, 주석산, 황산, 구연산(예, 구연산나트륨), 벤조산염, 질산염(예, 질산나트륨 및 질산칼륨), 인산염(예, 인산칼륨 및 인산나트륨)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뿐만 아니라 1종 이상의 항산화제, 항-염증성 화합물, 및/또는 금속 결합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항-염증성 화합물로는 이부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케토프로펜, 아스피린, 케르토롤락, 나프록센, 인도메탄신, 리폭시캄, 메클로페나민산, 스테로이드 및 이들의 혼합이 있다.
적합한 항산화제로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 카탈라제, 글루타티온 페록시다제, 엡셀린(ebselen),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N-아세틸 시스테인, 페니실라민, 알로푸리놀(allopurinol), 옥시푸리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트롤록스(Trolox)(수용성 α-토코페롤), 비타민 A, β-카로텐, 지방산 결합 단백질, 페노잔(fenozan), 프로부콜(probucol), 시아니다놀-3(cyanidanol-3), 디머탑토프로판올, 인다파미드(indapamide), 에목시핀(emoxipine), 디메틸 설폭사이드 및 그외 성분들이 있다. 예컨대, Das et al., Methods Enzymol., 233, 601-610 (1994); Stohs, J. Basic Cliii. Physiol. Pharmacol., 6, 205-228 (1995)을 참조한다.
적절한 금속 결합성 화합물로는, 금속 결합 펩티드 및/또는 비펩티드성 킬레이터, 예컨대 국제 출원 WO 01/25265 및 WO 02/64620와 계류중인 미국 출원 10/186,168, 출원일: 2002년 6월 27일에 기술된 금속 결합성 화합물이 있으며, 상기 출원들은 본원에 원용에 의해 포함된다. 그외 적절한 금속 결합성 화합물들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이롭게는 부가적인 치료 효과를 위해 효소 저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특정 단백질분해효소는 염증 기작에 관여하며, 그외 단백질분해효소는 구강내 조직 파괴와 관련되어 있다. 적합한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는 메탈로단백질분해효소와 세린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를 포함하며, 예컨대 미국 특허 6,403,633, 6,350,438, 6,066,673, 5,622,984 및 4,454,338에 개시된 저해제가 있으며, 상기 문헌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또한 페리오스테트®(Periostat) 저투여량의 옥시사이클린(CollaGenex)와 같은 콜라겐분해효소 저해제가 포함될 수 있다.
그외 다수의 성분들이 구강 케어 조성물내에 혼입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로는, 현탁제(예, 다당류- 미국 특허 5,466,437 참조), 활성 성분의 전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폴리머성 화합물(예, 폴리비닐메틸에테르와 말레 무수화물의 공중합체 및 DE 942,643와 미국 특허 5,466,437에 개시된 전달 증진성 폴리머), 오일, 옥스, 실리콘, 착색제(예, FD&C 염료), 색 변화계, 보존제(예,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벤조산나트륨), 불투명화제(예, 이산화티타늄), 식품 추출물, 가용화제(예, 프로필렌 글리콜, 미국 특허 5,466,437 참조), 효소(예, 덱스트라나제 및/또는 무타나제, 아밀로글루코시다제, 글루코스 옥시다제, 락토페록시다제 및 뉴라미니다제), 합성 또는 천연 폴리머, 치아 미백제(예,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페록시젠 화합물, 추가적인 치아 미백 조성물은 하기 참조), 알칼리 금속 중탄산(예, 중탄산나트륨(베이킹 파우다), 일반적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로 존재), 제감작제(desensitizer)(예, 칼륨염(예, 질산칼륨, 구연산칼륨, 염화칼륨, 주석산칼륨, 중탄산칼륨 및 옥살산칼륨), 및 스트론튬염), 진통제(예, 리도카인 또는 벤조카인),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등을 포함한다.
상당량의 구리 및 철 이온 사용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케어 조성물내 상당한 양의 구리 및 철 이온 존재시, 구강내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구리 및 철 이온 결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매우 다양한 여러가지 구강 케어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과 당업계에 공지된 그외 성분 또는 개발될 성분을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당업계의 인식과 본원에 기재된 사항으로, 특정 구강 케어 조성물내에 포함되는 적당한 성분과 성분들의 조합을 선택하고,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계에선 용이한 것이다.
이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혼입될 수 있는 구강 케어 조성물의 몇 가지 예이다. 당업자라면 구강 케어 조성물의 또다른 타입과, 다른 성분 및/또는 다른으로 성분을 포함하는 또다른 구강 케어 조성물을 당업계의 기술과 본원에 기재된 바에 따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치약(Dentrifice)으로는, 크림형의 치약(toothpaste), 치아젤, 치아분 및 액체형 치약이 있다. 크림형의 치약 및 치아젤은 일반적으로, 치아 연마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습윤제, 향료, 감미료, 착색제 및 물을 포함한다. 또한 크림형의 치약 및 치아젤은 불투명화제, 항-충치제, 항-치석제, 치아 미백제 및 그외 선택적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크림타입의 치약과 치아젤은 약 5% 내지 약 70%, 바람직하기로는 약 10% 내지 약 50%의 연마제, 약 0.5% 내지 약 10%의 계면활성제, 약 0.1% 내지 약 10%의 증점제, 약 10% 내지 약 80%의 습윤제, 약 0.04% 내지 약 2%의 향료, 약 0.1% 내지 약 3%의 감미료, 약 0.01% 내지 약 0.5%의 착색제, 약 0.05% 내지 약 0.3%의 항-충치제, 약 0.1% 내지 약 13%의 항-치석제 및 약 2% 내지 약 45%의 물을 포함할 것이다. 치아분은 또한 비-액상 구성 요소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며, 전형적으로 연마제를 약 70% 내지 약 99%로 함유한다. 액체형 치약은 물, 에탄올, 습윤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연마제(연마제가 포함된 경우, 현탁제(예, 고분자량 다당류)가 포함되어야 함, 미국 특허 5,466,437 참조), 항세균제, 항-충치제, 향료 및 감미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액체형 치약은 약 50% 내지 약 85%의 물, 약 0.5% 내지 약 20%의 에탄올, 약 10% 내지 약 40%의 습윤제, 약 0.5% 내지 약 5%의 계면활성제, 약 0.1% 내지 약 10%의 증점제를 포함할 것이며, 약 10% 내지 약 20%의 연마제, 약 0.3% 내지 약 2%의 현탁제, 약 0.05% 내지 약 4%의 항세균제, 약 0.0005% 내지 약 3%의 항-충치제, 약 0.1%% 내지 약 5%의 향료 및 약 0.1% 내지 약 5%의 감미료를 함유한다.
젤제는 치약젤(전술한 바 참조), 비연마성 젤 및 치은하 젤(subgingival gel)을 포함한다. 비-연마성 젤과 치은하 젤은 일반적으로 증점제, 습윤제, 향료, 감미료, 착색제 및 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젤은 하나 이상의 항-충치제 및/또는 항-치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젤은 약 0.1% 내지 약 20%의 증점제, 10% 내지 약 55%의 습윤제, 약 0.04% 내지 약 2%의 향료, 약 0.1% 내지 약 3%의 감미료, 약 0.01% 내지 약 0.5%의 착색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것이다. 상기 젤은 또한 약 0.05% 내지 약 0.3%의 항-충치제 및 약 0.1% 내지 약 13%의 항-치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크림제는 일반적으로 증점제, 습윤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향료, 감미료,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크림제는 약 0.1% 내지 약 30%의 증점제, 0% 내지 약 80%의 흡윤제, 약 0.1% 내지 약 5%의 계면활성제, 약 0.04% 내지 약 약 2%의 향료, 약 0.1% 내지 약 3%의 감미료, 약 0.01% 내지 약 0.5%의 착색제 및 약 2% 내지 약 45%의 물을 함유할 것이다.
구강 용도로 적합한 연고제는 미국 특허 4,847,283, 5,855,872 및 5,858,408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연고제는 일반적으로 1종 이상의 하기 성분을 포함한다:지방, 오일, 왁스, 파라핀, 실리콘, 플라스티베이스(plastibase), 알콜, 물, 습윤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탈크, 벤토나이트, 아연 산화물, 알루미늄 화합물, 보존제, 항바이러스 화합물 및 그외 성분들. 예를 들어, 연고제는 약 80% 내지 약 90%의 페트로라툼 및 약 10% 내지 약 20%의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연고제는 약 10%의 페트로라툼, 약 9%의 라놀린, 약 8%의 탈크, 약 32%의어류 간 오일 및 약 40%의 아연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3번쩨 예로서, 연고제는, 약 30% 내지 약 45%의 물, 약 10% 내지 약 30%의 오일(예, 페트로라툼 또는 미네랄 오일), 약 0.1% 내지 약 10%의 유화제(예, 왁스 NF), 약 2% 내지 약 20%의 습윤제(예, 프로필렌 글리콜), 약 0.05% 내지 약 2%의 보존제(예, 메틸 파라벤 및 프로필 파라벤) 및 약 10% 내지 약 40%의 스테롤 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 세척제, 헹굼제, 가글제 및 분무제는 일반적으로 물, 에탄올 및/또는 습윤제를 포함하며,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계면활성제, 향료, 감미료 및 착색제를 포함하며, 증점제와 하나 이상의 항-충치제 및/또는 항-치석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형적인 조성물은 약 0% 내지 약 80%의 습윤제, 약 0.01% 내지 약 7%의 계면활성제, 약 0.03% 내지 약 2%의 향료, 약 0.005% 내지 약 3%의 감미료, 약 0.001% 내지 약 0.5%의 착색제와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다른 전형적인 조성물은 약 5% 내지 약 60%의, 바람직하기로는 약 5% 내지 약 20%의 에탄올, 약 0% 내지 약 30%의, 바람직하기로는 약5% 내지 약 20%의 습윤제, 약 0% 내지 약 2%의 유화제, 약 0% 내지 약 0.5%의 감미료, 약 0% 내지 약 0.3%의 향료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전형적인 조성물은 약 45% 내지 약 95%의 물, 약 0% 내지 약 25%의 에탄올, 약 0% 내지 약 50%의 습윤제, 약 0.1% 내지 약 7%의 계면활성제, 약 0.1% 내지 약 3%의 감미료, 약 0.4% 내지 약 2%의 향료 및 약 0.001% 내지 약 0.5%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또한 약 0.05% 내지 약 0.3%의 항-충치제 및 약 0.1% 내지 약 3%의 항-치석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용제는 일반적으로 물, 보존제, 향료 및 감미료를 포함하며, 증점제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용제는 약 85% 내지 99%의 물, 약 0.01% 내지 약 0.5%의 보존제, 약 0% 내지 약 5%의 증점제, 약 0.04% 내지 약 2%의 향료, 약 0.1% 내지 약 3%의 감미료 및 약 0% 내지 약 5%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강 케어 조성물들은 트리엔틴을 포함하는 구강 세척제, 헹굼제, 가글제, 분무제 및 용제이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트리엔틴을 약 1.0 μM 내지 약 1.0 mM로, 바람직하기로는 약 10 μM 내지 약 750 μM 로, 더 바람직하기로는 약 50 μM 내지 약 500 μM 로,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약 200 μM 내지 약 300 μM 로 포함하는, 구강 세척제, 헹굼제, 가글제, 분무제 및 용제이다.
정제(lozenge)와 민트제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향료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는 캔디 베이스(하드 설탕 캔디), 글리세린화된 젤라틴 및 이를 생성할 수 있는 충분한 점액성 물질( mucilage)이 함유된 설탕 혼합물일 수 있다. 미국 특허 6,350,438와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19th edition (1995)를 참조한다. 정제(lozenge) 조성물은 또한 전형적으로 1종 이상의 충진재(예, 압축성 설탕)및 윤활제를 포함한다.
츄잉 검, 츄잉성 정제 및 츄잉성 정제(lozenge)는 미국 특허 6,471,991, 6,296,868, 6,146,661, 6,060,078, 5,869,095, 5,709,873, 5,476,647 및 5,312,626와, 국제 특허 WO 84/04453 및 WO 99/02137, 그리고 Lieberman et al., Pharmaceutical Dosage Forms, 2 ed. (1990)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들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일 예로서, 츄잉성 압축 정제는 수-붕괴성 압축가능한 탄수화물(예, 만니톨, 소르비토르 말티톨,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자일리톨, 락토스 및 이들의 혼합물), 결합제(예, 셀룰로스, 셀루로스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스타치, 변형된 스타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윤활제(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탈크 및 왁스), 감미료, 착색제, 향료, 계면활성제, 보존제 및 그외 성분을 포함한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 상기 성분들 모두, 건식 혼합하여 정제로 압축된다.
다른 예로서, 츄잉 정제는 코어를 싸는 외층과 외층에 의해 둘러싸인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그외 젤리 베이스 또는 츄잉 베이스에 그외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층은 츄잉성 베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젤리 베이스는 펙틴, 소르비톨, 말티톨, 이소말트, 액상 글루코스, 설탕, 구연산 및/또는 향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코어나 외층의 츄잉성 베이스는 검, 연질 캔디, 누가, 카라멜 또는 경질 캔디일 수 있다. 상기 정제는 로프형으로 코어 및 외층을 압출 성형하고 이를 정제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츄잉 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검 베이스, 향료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적합한 검 베이스로, 젤루통(jelutong), 고무, 라텍스, 치클 및 비닐라이트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가소제 또는 연화제와 함께 포함한다. 가소제에는 트리아세틴, 아세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디에틸 셉아세테이트, 트리아텔 시트레이트, 디부틸 셉아세테이트, 디부틸숙시네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및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가 있다. 전형적으로, 츄잉 검 조성물은 약 50% 내지 약 99%의 검 베이스, 약 0.4% 내지 약 2%의 향료 및 약 0.01% 내지 약 20%의 감미료를 포함한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그외 활성 성분들은 이를 따뜻한 검 베이스에 투입하여 혼합하거나 또는 이를 이용하여 검 베이스의 외측을 코팅함으로써 검 베이스내로 혼입할 수 있다.
필름제, 시트제 및 구강내에서 고형으로 생성되는 젤제는, 미국 특허 5,198,220, 5,242,910 및 6.350,438에 기술된 락티드/글리콜리드 공중합체로 제조된다. 그외 경구 사용가능한 폴리머 필름은 국제 특허 WO 95/32707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들 모두 함유된 활성 제제를 구강내에서 서서히 방출한다. 활성 제제의 서방성을 제공하는 그외 조성물(예, 페이스트, 젤제, 연고제, 액제 및 필름제) 역시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5,032,384, 5,298,237, 5,466,437, 5,709,873 및 6,270,781를 참조한다.
치아 미백 조성물은 치아 미백제를 포함할 것이다. 치아 미백제에는, 과산화물,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과탄산염 및 과붕산염, 또는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복합체 화합물이 있다. 치아 미백제는 또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의 과산화물 염을 포함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아 미백제는 과산화요소이다. 그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아 미백제로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초산 및 과붕산나트륨이 있다. 이러한 치아 미백제는 활성 산소와 과산화수소를 유리시킨다. 치아 미백제는 약 0.1% 내지 약 90%의 농도로 치아 미백 조성물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치아 미백 조성물내 과산화요소의 농도는 약 10% 내지 약 25%이다.
많은 치아 미백 조성물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 수계 용제, 젤제, 페이스트, 액제, 필름제, 스트립제(strips), 액, 젤, 일당 시스템(one-part system), 양당 시스템(two-part system), 치아 미백제의 활성화에 필요한 조성물(예, 조사시 표백제를 활성화시키는 실질적으로 접합된 탄화수소와 같이 방사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 흡수 물질)등이 있다. 그 예로, 미국 특허 5,302,375, 5,785,887, 5,858,332, 5,891,453, 5,922,307, 6,322,773 및 6,419,906과, 국제 특허 WO 99/37236, WO 01/89463 및 WO 02/07695를 참조하며, 상기 문헌들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또한 그외 많은 구강 케어 조성물(예, 크림형의 치약) 및 기구(예, 플로스(dental flosses))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한다.
치아 미백 조성물, 또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는 다수의 경구 케어 조성물 및 기구들 중 하나의 용도들중 하나의 사용으로, 반응성 산소종 생성이 발생되고, 구강 조직에 염증을 초래할 수 있다.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조성물, 또는 그외 구강 케어 조성물 및 기구내에, 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혼입으로, 염증 및/또는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이 감소 또는 방지될 것이다. 상기 조성물내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포함시, 과산화수소 타입의 미백제에 의한 치아 미백을 초래하는 과산화수소가 하이드록시 라디칼로 변환되지 않고 장기간 활성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미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염증 및/또는 반응성 산소종 생성 감소 또는 방지를 위해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는 상기 치아 미백 조성물, 구강 케어 조성물 또는 기구를 사용하기 전 또는 이후에,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또는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로,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제를 치아틀 또는 치아통(dental trough)의 수단으로 치아에 적용함으로써 치아를 미백한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치아틀 또는 치아통에 사용하는 치아 미백 조성물내로 혼입될 수 있다. 또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개별 조성물을 치아 미백 조성물의 사용이 완료된 후 세척하거나, 다른 트레이 또는 통내에서 치아에 적용될 수 있다. 또다르게,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세척제 또는 헹굼제를 사용하여 치아 미백 조성물의 사용 이전 및/또는 이후에 구강내을 헹굴 수 있다.
현재 치아 미백 조성물을 치아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은, 유연성 스트립(flexible strip)이다. 그 예로 미국 특허 5,891,453 및 6,419,906호를 참조한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스트립상으로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치아 미백 조성물에 혼입되고, 제조 과정중이나 또는 환자가 사용하기 바로 전에, 스트립에 도포되거나, 또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용액, 젤 또는 그외 조성물을 스트립에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치아 미백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트립과,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스트립 둘다 모두 환자에게 적용되며, 순차적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비 결과는 트리엔틴이 심하게 변색된 치아의 미백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트리엔틴은 단독으로 치아를 미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두 단락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를 공지의 치아 미백제 사용전에, 동시에 또는 이후에 사용하여 공지의 치아 미백제에 의한 치아 미백에 기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은 단일상 또는 다중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중상은, 예컨대 일부 성분들이 비혼화적이거나, 일부 성분들이 불안정하거나 또는 성분들이 사용직전에 조합하는 것인 최상인 경우에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들중 하나는 일부 성분들을 함유할 것이며, 나머지 성분들은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상내에 함유될 것이다. 다중상이 복수개의 개별 용기내로 제공되거나 또는 단일 용기내 복수개의 구획내로 제공되는 경우, 다중상은 복수개의 개별 조성물일 수 있으며, 다중상들은 사용할때 조합될 것이다. 또한, 다중상이 단일 용기내에 모두 함유될 수 있는 경우에 일부 성분들을 캡슐화함으로써 또다른 다중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상 구강 케어 조성물은 예컨대 미국 특허 5,302,375, 5,906,811, 5,976,507, 6,228,347 및 6,350,438와, 국제 특허 WO 99/37236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펩디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기구는 소비자 및 환자용 기구와 치아 전문가(예, 치위생사, 치과의사 및 치과 외과의)용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강 케어 기구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부착된, 흡착된, 결합된, 접착된, 내부에 엔트랩된, 내부에 봉합된, 코팅된 또는 혼입된 수술 재료 (예, 봉합사 및 스폰지), 플로스(floss), 테이프, 칩, 스트립, 섬유, 이쑤시개 또는 고무치간(rubber tip), 시린지, 치아 인플란트 및 구강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이러한 구강 케어 기구 및 상기 기구에 화합물을 혼입하는 방법을 개시한, 미국 특허 5,709,873, 5,863,202, 5,891,453, 5,967,155, 5,972,366, 5,980,249, 6,026,829, 6,080,481, 6,102,050, 6,350,438 및 6,419,906과, 국제 특허 WO 02/13775, 그리고 유럽 특허 752833를 참조한다(이들 문헌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예컨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결합제(예, 왁스 또는 폴리머)와 혼합하여 치아 플로스에 코팅될 수 있으며, 치아 플로스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용액의 수조에 침지하여 상기 플로스에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스며들게 하거나 또는 코팅시킬 수 있으며, 고체 형태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치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폴리머 필름에 투입될 수 있으며, 액체 또는 젤 형태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치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유연성 스트립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봉합사 또는 그외 수술 재료를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한 용액에 침지하고 이후 용매를 제거하여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봉합사 또는 수술 재료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5,891,453, 5,967,155, 5,972,366, 6,026,829, 6,080,481, 6,102,050 및 6,419,906을 참조한다.
또한 동물용 구강 케어 제품, 예컨대 식품, 츄잉제, 장난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적합한 제품은 미국 특허 6,350,438에 개시되어 있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사용하여,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할 수 있다. 본원에서 "구강(mouth)입"은 입술 외측과 혀, 잇몸, 치아를 포함한 인두 내측으로 경계지어지는 강(cavity)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강 조직에는 입술, 혀, 잇몸, 볼조직, 입천장 및 치아가 포함된다. 단일 조직, 복수개의 조직, 1종 이상의 조직의 일부분, 또는 구강 조직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구강 조직 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은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수 있다. 본원에서, "치료" 및 이와 유사한 형태는 질병 또는 증상, 징후 또는 이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의 효과를 치유, 개선, 완화, 예방하거나, 가능성 또는 심각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구강 조직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조직을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킨다. 예컨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과 조직을 접촉시킨다. 구강 케어 조성물을 구강 조직과 접촉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적절한 방법으로는, 용액(예, 구강 세척제, 헹굼제, 분무액, 액상 치약 또는 그외 용액)을 이용한 조직 헹굼, 치약(크립형 치약, 치아젤 또는 치아분)을 이용한 칫솔질, 조직에 비-연마성 용액, 젤, 페이스트, 크림 또는 연고 (도구 사용없이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의 직접 적용, 검 씹기, 정제(lozenge), 민트 또는 정제의 씹기 또는 빨기 및 그외 수많은 전형적인 응용법이 있다. 용제, 젤제, 페이스트, 크림제 및 연고와 같은 구강 케어 조성물 사용에 적합한 도구로는, 면봉, 막대기, 플라스틱 패들(paddle), 점적기, 시린지, 스트립(예, 미국 특허 5,89 1,453 및 6,419,906), 손가락, 또는 치아틀 또는 치아 및 선택적으로는 치주 조직을 예컨대 젤 또는 용액에 침지할 수 있게 하는 치아 기구(예, 미국 특허 5,863,202 및 5,980,249와, 유럽 특허 752833)가 있다. 또한, 구강 조직을 치료하기 위해, 조직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기구와 접촉될 수 있다. 구강 조직과 구강 케어 기구의 접촉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봉합선을 외상 또는 치아 발치후 상처를 봉합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치아 플로스는 치아 청소에 사용될 수 있다.
조직 치료는 예방적 측면의 치료일 수 있다. 예컨대, 조직은 예방학적 구강 케어 요법의 일부분으로써 치료될 수 있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요법에 사용되는 크림형의 치약, 치아젤, 구강 세척제 또는 헹굼제 또는 치아 플로스와 같은 린스 구강 케어 조성물이나 기구내로 혼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매일 적어도 1회 이상, 더 바람직하기로는 매일 2회 또는 3회 사용될 것이다. 또다르게,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예방 요법에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 및 기구와는 별개로 사용될 예정인 개별 구강 케어 조성물 또는 기구내에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세척제, 헹굼제, 검, 정제(lozenge), 씹는 정제에 혼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매일 적어도 1회 이상, 더 바람직하기로는 매일 적어도 2 또는 3회 이상 사용된다. 담배 제품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 담배 제품으로 인한 구강 조직에 가해진 손상을 완화하기 위한 시도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케어 예방 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이로울 수 있다.
크림형 치약은 금속 염, 특히 구리 염과 그외 구강 케어 조성물, 일반적으로 항세균제, 항-플라그제, 항-충치제 및 항-치은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예로, 미국 특허 5,286,479, 5,298,237 및 6,355,706, 유럽 특허 658,565, 국제 출원 WO 92/08441, 일본 특허 41 59211 및 Waerhaug et al., J. Clin. Periodontol., 11:176-180 (1984)를 참조한다. 구리 염을 함유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사용시 유리 구리 이온들이 반응성 산소종 생성을 촉매하므로, 구강 조직에 해로울 수 있었다. 따라서, 구리 함유 조성물(즉, 구리 염이 본인의 활성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는 조성물)의 사용 후 적절한 시기에서의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 사용은, 상기 조성물의 사용으로 인한 구강내 구리 이온에 의해 생성된 반응성 산소종으로 인한 손상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이로울 수 있었다. 예컨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편리하게도 구리 함유성 조성물의 사용후 씹거나 빨 수 있는 검, 정제(lozenge) 또는 씹는 검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조직은 수술 또는 치아 발치를 포함한 치과 처리 절차와 관련하여 예방학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술이 행해지는 조직, 수술이 행해지는 부위의 근처 조직 또는 치료를 위한 구강 조직 전체 또는 실질적인 구강 조직은, 수술전, 수술중에, 수술후에 또는 이들의 조합 시기에 치료될 수 있다. 치아 발치시와 유사하게, 발치 치아 주변 조직, 인접 조직, 각 치료를 위한 구강 조직 전체 또는 실질적인 구강 조직은, 수술전, 수술중에, 수술후에 또는 이들의 조합 시기에 치료될 수 있다. 예컨대, 수술전에 또는 치아 발치 전에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구강을 헹구거나 , 수술 또는 치아 발치로 인한 상처(들)을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혼입된 봉합사로 봉합하거나, 및/또는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수술 또는 치아 발치 후 즉시 및/또는 일정 간격 후에 입을 헹굴 수 있다.
또한 조직은 치아의 X-레이와 같은 조사와 관련하여 예방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직은 동물 치아 미백과 관련하여 예방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동물의 구강 조직의 질병 및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가능한 질병 및 증상으로는, 염증, 치은염 및 치주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및 증상과, 반응성 산소종이 관여하거나, 반응성 산소종에 의해 초래되거나 또는 반응성 산소종에 의해 악화되는 모든 질병 또는 증상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동물 구강 조직의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적용되는 구강 케어 조성물의 특정 타입, 상기 치료가 예방학적 치료인지 또는, 질병이나 증상의 치료인지에 따라, 치료되는 질병이나 증상의 병명에 따라, 질병이나 증상의 심강성에 따라, 치료 기간에 따라, 동물에 투여중인 그외 약물 종류에 따라, 동물의 나이, 신체 크기 및 종에 따라, 그리고 의학계 및 수의학계에 공지된 관련 인자에 따라 변경될 것임을 이해한다. 일반적으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적합한 1일 투여량은, 화합물의 치료 효과를 생성하데 유효한 가장 낮은 투여량일 것이다.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 0.0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약 2.5 중량% 내지 약 1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약 5.0 중량% 내지 약 6.0 중량%로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의, 1일 1회 이상의 실시로, 매일 유효한 투여약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실제 채택되는 매일 투여량, 1일 치료 횟수, 치료 기간은 내과의사, 치과의사 또는 수의자라면 의약적인 판단의 범위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케어 제품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구강 케어 제품이 구강 케어 조성물인 경우, 상기 키트는 또한동물 구강 조직에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을 가하기 위한, 면봉, 막대기, 플라스틱 패들, 점적기, 시린지, 스트립(예, 미국 특허 5,891,453 및 6,419,906) 또는 예컨대 젤 또는 용액내의 치아나 선택적으로는 치주의 침지를 제공하는 치아틀이나 치과 도구(예, 미국 특허 5,863,202 및 5,980,249, 유럽 특허 752833)와 같은 도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트는 컵, 바이얼 또는 의도된 용도에 필요한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을 조제하고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그외의 기구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키트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케어 조성물과 구강 케어 기구 둘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조성물 및/또는 기구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 조성물, 치아 미백체를 포함하는 스트립, 구강 케어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도구와 같은 다른 타입의 구강 케어 조성물 또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또한 키트 사용 안내서 및/또는 본 발명의 구강 케어 제품을 포함할 것이며, 그외 적절한 임의의 품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a)" 또는 "하나(an)"의 물질은 하나 이상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념하여야 한다. 예컨대 "하나의 세포"는 하나 이상의 세포를 의미한다.
도 1: 구리 유도성 탯줄 정맥의 내피 세포(HUVEC)에서의 인터루킨 8 분비에 대한 시프린(Syprine)® 염산 트리엔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실시예 1: 인터루킨 8 분비 저해
인터루킨 8(IL-8)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며, 강력한 화학물질유인제이며 호중구의 활성자이다. 또한 인터루킨 8은 T-림프구와 호산구의 화학물질 유인제 및 활성자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인터루킨 8은 면역세포(림프구, 호중구, 단핵구 및 대식세포를 포함함), 섬유아세포 및 상피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인터루킨 8은 치은염 및 치주 질환을 포함한 다수의 염증성 질환의 발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생리학적으로 상응하는 농도의 구리에 노출된 이후 내피세포에서 인터루킨 8을 현저히 증가된 수준으로 분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계류중인 미국 출원 10/186,168, 출원일: 2002년 6월 27일, 신규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번호 20030130185, 공개일:2003년 7월 10일, PCT WO 03/043518, 공개일: 2003년 5월 30일, 및 Bar-Or, Thomas, Yukl, Rael, Shimonkevitz, Curtis and Winkler, "Copper Stimulates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Interleukin-8 in Human Endothelial Cells: A Possible Early Role in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Shock, 20(2): 154-158 (August 2003) 참조). 본 실험에서는 트리엔틴의 내피세포로부터의 구리 유발성 인터루킨 8 분비에 대한 효과를 실험한다.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은 조직 배양판 상(Griener)에서 내피 세포 기재 배지-2(EGM2 배지)(Cambrex)를 이용하여 37℃ 및 10% CO2조건 하에서 컨플루언시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는 37℃의 혈청 무첨가 배지(혈청과 아스코르브산이 무첨가되었으며 ITTS(인슐린 트랜스페린 소듐 셀레나이트 배지 공급원(Sigma)이 첨가된 EGM2 배지)로 2회 세척하고, (i) 50 μM CuCl2, (ii) 50 μM, 100 μM, 150 μM 또는 250 μM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Merck & Co., Inc.), 또는 (iii)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혈청 무첨가 배지에서 24시간 처리하였다.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N,N'-비스(2-아미노에틸)1,2-에탄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윌슨 질병에서 페니실아민(Merck & Co., Inc. publication 7664604, issued January 2001)에 허용성이 나타내지 않는 환자에게 경구 투여함으로써 과잉의 구리를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현재 승인받은 약물이다. 이는 캡슐제로 판매되며, 한개의 캡슐의 내용물을 배양 배지에 용해하여 100 mM의 염산 트리엔틴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제공하였다. CuC12 및/또는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과 함께 배양한 후, 배지는 제거한 다음 ELIA로 인터루킨 8을 분석하였다.
인터루킨 8 ELISA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항-인간 IL-8 항체(Pierce Endogen, Rockford, IL; catalogue number M801-E, lot number CK4 1959)를 pH 7.2-7.4의 포스페이트 완충화된 염수로 1 ㎍/ml로 희석하고, 희석 항체 100 ㎕을 Nunc Maxisorb ELISA 스트립 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온에서 하룻밤 두었다. 웰에서 액체를 제거하고, 플레이트는 페이터 타월상에 블롯하였다. 이후, 분석 완충액(포스페이트 완충화된 염수, pH 7.2-7.4, 4% 소 혈청 알 부민 함유(Sigma, St. Louis, MO; ELIS 등급 = 저지방산 및 IgG))을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는 상온에서 1시간 두었다. 액체는 웰에서 제거하고, 각 웰을 세척 완충액(50 mM Tris, 0.2% Tween-20, pH 7.9-8.1)으로 3회 세척한 다음 페이퍼 타월상에 블롯팅하였다. 표준물질 및 시료(50 ㎕/well; 표준물질은 저장 완충액으로 희석하였음)를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는 부드럽게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1시간 두었다. 액체를 제거하고, 웰을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다음, 플레이트는 페이퍼 타월로 블롯팅하였다. 이후, 분석 완충액으로 60 ng/ml로 희석한, 비오틴 표지된 항-인간 IL-8(Pierce Endogen, Rockford, IL; 카탈로그 번호 M802-E, 로트 번호 CE49513) 100 ㎕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는 상온에서 30분간 둔 다음, 액체를 제거하고, 웰을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플레이트는 페이퍼 타월로 블롯팅하였다. 분석 완충액내 HRP-접합된 스트렙타비딘(Pierce Endogen, Rockford, IL;. 카탈로그 번호 N100) 100 ㎕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는 상온에서 30분간 둔 다음, 액체를 제거하고, 웰을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플레이트는 페이퍼 타월로 블롯팅하였다. 마지막으로, TMB 기질 용액(Pierce Endogen, Rockford, IL; 카탈로그 번호 N301) 100 ㎕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는 30분간 상온에서 배양하였다. 반응은 0.18 M H2S04를 첨가하여 중지시켰다. 450 nm와 530 nm에서의 광학 밀도를 ELISA 플레이트 판독기로 확인하고, 차이(OD 450 - OD 530)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50 μM CuCl2와 함 께 24시간 배양한 HUVEC는, 물로 배양한 대조군에 비해 >2배 높게 인터루킨 8을 분비하였다. 모든 농도에서,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은 CuC12 (비교: CuCl2 단독 vs CuCl2 + 도 1의 여러가지 농도의 시프린® 트리엔틴)에 의해 초래된 인터루킨 8 분비를 저해하였다. 육안 검사에서, 모든 세포는 24시간째에 살아있는 것으로 보였다.
본 결과는, Cu(II) 이온이 산화적 스트레스와는 무관하게 인간 내피 세포로부터 인터루킨 8의 분비를 자극하며, 고친화성 Cu(II)-결합 화합물인 트리엔틴이 구리에 의한 내피세포의 인터루킨 8의 분비를 현저하게 저해함을 입증한다. Cu(I) 이온들은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을 촉매하여, 다른 세포종에서의 인터루킨 8의 분비를 발생시킨다. 트리엔틴은 Cu(I)과 Cu(II) 모두에 결합하므로, 여러가지 타입의 세포로부터의 두가지 상이한 기작에 의한 인터루킨 8을 감소시킬 수 있다.
Cu(II)-유발성 내피세포 IL-8 분비에 대한 가능성 있는 기작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보고된(Ostrakhovitch et al., Arch. Biochem. Biophys. 397, 232 (2002)),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Akt(단백질 키나제 b)의 활성화일 수 있다. 유사한 경로가 생체내 인간 내피세포에서 촉매된다면, 구리는 핵 인자-κB(NF-κB) 활성화에 의한 전신성 염증(systemic inflammation) 발병에 주된 요인일 수 있다. NF-κB는 혈관성 및 세포성 염증 반응을 현저하게 증폭(augment)시키는 사이토카인을 높은 농도로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염증 전사 인자이다.
실시예 2: 치은염 치료 효과
본 실험을 수행하여 치료용 구강 헹굼제를 사용하였을때 저 투여량의 트리엔틴의 인간의 치은염에 대한 치료 효과를 측정하였다.
트리엔틴을 함유하는 구강 헹굼제는 공인된 약사가 본 실험을 위해 제조하였다. 구강 헹굼제는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Merck & Co., Inc., USA) 캡슐 내용물을 구리 결핍성 유리 용기에서 탈이온수로 용해하여 최종 농도 250 μM(55 mg/L)의 염산 트리엔틴을 제조함으로써 준비하였다.
5명의 성인 지원자를 정하였다. 지원자의 연령은 18-65세이다. 남성 4명과 여성 1명이다. 지원자 모두 실험 개시전 3개월 이내에 1일 한 팩 이상의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 지원자 모두 구리 킬레이션이나 정상적인 염증 반응을 간섭할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다. 지원자 모두 정상적인 염증 또는 면역 반응을 간섭할 수도 있는 자가 면역 질병 또는 질환을 앓지 않았다.
치료 전, 치과의사에 의해 5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구강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강 병리학, 치아 개수, 치은염 부위 개수, 치은염 지수(GI), 플라그 지수(PI), 탐침후(probing) 출혈(BOP) 및 치주낭 깊이(PD)를 기록하였고, 치아 사진을 찍었다. 지원자 모두 최근 구강 수술을 한바 없거나, 구강 외상을 경험한적 없거나 또는 심한 구강 병리 이상이 없었다.
GI, PI, BOP 및 PD은 치주병학에서 그 의미가 잘 알려진 표준 용어이다. 특히, PI는 아래와 같이 계측한다:
0 - 플라그 없음
1 - 유리 치은연과 치아 주변부에 플라그판 부착. 플라그는 디스클로징 용액 적용후 또는 치아 표면에 탐침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생체내에서 확인될 수 있다.
2 - 치은낭 또는 육안으로 보이는 치아 및 치은연에 연질 침전물이 중간 정도로 축적되어 있음.
3 - 치은낭 및/또는 치아에 연질 물질 다량 존재.
GI는 아래와 같이 환산한다:
0 - 염증에 대한 가시적 신호 없음.
1 - 색 및 재질 일부 변질.
2 - 눈에 띄는 염증과 탐침후 출혈.
3 - 심한 염증과 자연 출혈.
Silness and Loe, Acta Odontol Scan, 22:292 and Lo and Silness, Acta Odontol Scan, 21:533-551를 참조한다.
각 지원자 치아의 반은 치은연을 건드리지 않게 조심하면서, 치은연상 플라그를 제거하였다. 지원자는 정상적인 구강 위생안을 따라 행하였고, 지원자 모두 아침 및 취침시(측정한 투여량 제공) 양치전, 후에 염산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염산 트리엔틴 0.55 mg 함유) 10 ml로 약 30초간 헹굼, 가글 및 뱉기를 수행하였다. 지원자들이 정상적으로 구강 헹굼제를 사용하였다면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를 대체하여 수행하였다. 이들 지원자 각각은 14일간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를 사용하였 고, 치주전문의에게서 반복적으로 구강 검사를 받았다. 치은염 부위 개수, GI, PT, BOP 및 PD는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로 14일간 처리한 후 기록하였고, 사진을 찍어두었다.
GI, PT, BOP 및 PD 결과는 표 1A-3C에 나타나 있다. 이들 표들에서, "6-포인트(point)"는 각 치아(내측 전방(inside anterior), 표면 내측( inside face), 내측 후방(inside posterior), 외측 전방(outside anterior), 표면 외측(outside face) 및 외측 후방(outside posterior))에서의 6 부위에서의 측정을 의미한다. "AVG"는 실행가능성에 따라 15개내지 30개의 치아에 대한 측정 값의 평균이며, "STD"는 표준 편차이다.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로 14일간 사용후, GI 및 BOP 각각은 60% 및 45%이상 감소하였다(표 3A-C). 이러한 개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1 및 p<O.Ol). P1 및 PD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역시 개선되었다(표 3A-C).
지원자 치아 사진에서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의 사용의 결과로서 치아 일부에서 미백 개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과다 변색된 지원자의 치아는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로 14일간 사용한 후 더 연하게 보였다. 그러나 사용전에 거의 변색되지 않았던 지원자의 치아는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로 14일간 사용한 후 일부 거무스름하게 된 것으로 보였다.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 10 ml은 0.55 mg의 염산 트리엔틴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각 환자는 매일 1.10 mg의 염산 트리엔틴을 처방받은 것이다.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은 윌슨 질환 치료시 성인 기준 권고 초기 경구 투여량 750 - 1250 mg/day의 분할 투약으로, 식의약청(FDA)으로부터 승인 받은 약물이다. 따라서, 각 지원자는 승인된 염산 트리엔틴의 초기 투여량의 약 1/682 내지 1/1136 을 처방받았으며, 저투여량의 트리엔틴 구강 헹굼제 사용시 치은염 및 치주의 탐침 후 출혈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항균 화합물(클로르헥시딘) 및 콜라게나제 저해제(저 투여량의 옥시실린 하이클레이트)를 포함한 그외 치은염 및 치주염 치료제에 대한 공개 문헌과 본 실험의 결과를 비교시, 트리엔틴이 이들 기타 치료제에 비해 수배 더 효과적이며, 치료 효과가 단기간에 나타나며, 부작용이 매우 낮다. 특히, 클로르헥시딘은 금 표준물에 의해 판단된 구강 케어 치료제로, 유사 조건 및 횟수를 채택한 클로르헥시딘 임상 실험 보고서Caton et al., J. Cliii.. Periodonto!., 20:172-178 (1993); Hase et al., J. Cliii.. Periodontol., 22:533-539 (1995); Borrajo et al., J. Periodontol., 73:317-321(2002))와 본 실험의 결과, 일관되게 트리엔틴이 클로르헥시딘보다 더 우수하였다.
표 1A: 치료전 수치
Figure 112005064011742-PCT00001
표 1B 치료전 수치
Figure 112005064011742-PCT00002
표 2A: 치료후 수치
Figure 112005064011742-PCT00003
표 2B: 치료후 수치
Figure 112005064011742-PCT00004
표 3A: 측정치의 변화%
Figure 112005064011742-PCT00005
표 3B: 측정치 변화에 대힌 P 값%
Figure 112005064011742-PCT00006
표 3C: 스켈링한 치아에 대한 평균 변화
Figure 112005064011742-PCT00007
실시예 3: 항세균 활성 결핍
헤모필러스 액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와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는 치주 질환의 개시 및 중증과 밀접하게 관련있는 세균이다. Morinushi et al., J. Periodontal. 71(3) :403-409 (March 2000).
헤모필러스 액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TCC 29522) 및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ATCC 33277)를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하여 재수화한 다음 일반적인 혐기적 배양 배지에 도말하였다. 각 미생물에 대한 신선한 배양물로부터 0.5 MacFarland 표준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각 미생물 현탁액을 CDC 혐기 적 혈액 아가 및 쵸코렛 아가에 도말하였다. 하기 농도의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Merck & Co., Inc.)를 각 두가지 배지내의 각 미생물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27.5 mg/L, 55 mg/L 및 110 mg/L(시프린® 염산 트리엔틴 캡슐의 내용물은 탈이온수에 용해하고 0.45 ㎛의 필터로 여과하여 준비함). 테스트를 위해, 3가지 농도의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 각 0.25 ml을 각각의 플레이트위의 멸균 디스크에 가하였다. 플레이트는 혐기적 상태(Gas Pak Pouch system)하에 총 48시간 두었다. 어느 플레이트에서도 저해환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시프린® 염산 트리엔틴는 상기 농도에서 상기 두종의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았다.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구강 헹굼제는 염산 트리엔틴 55 mg/L를 함유한다.

Claims (101)

  1.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에 위치한 세포로부터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동물의 구강 조직에 위치한 세포로부터 인터루킨 8의 분비가 저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조성물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구강 세척제 또는 구강 헹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가글제, 분무제 또는 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젤제, 페이스트 또는 분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연고제 또는 크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검제, 정제(lozenge) 또는 민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치아 미백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기구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의 예방 요법의 일부로서 구강 조직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 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수술전에, 수술중에, 수술후에 또는 이들의 조합 시기에 구강 조직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치아 발치전에, 치아 발치중에, 치아 발치 후에 또는 이들의 조합 시기에 구강 조직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하는 방법.
  14.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의 예방 요법의 일부로서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조성물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기구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
  18.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또는 증상은 치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또는 증상은 치주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의 예방 요법의 일부로서 구강 조직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 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조성물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구강 세척제 또는 구강 헹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가글제, 분무제 또는 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젤제, 페이스트 또는 분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연고제 또는 크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검, 정제(lozenge) 또는 민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조성물은 치아 미백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기구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의 염증성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30.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동물 구강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은 구강의 예방 요법의 일부분으로서 치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동물 구강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산소종은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 수소를 유리시키는 치아 미백제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동물 구강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산소종은 담배 제품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동물 구강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조성물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동물 구강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기구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동물 구강 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
  36. 유효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1개 이상의 치아, 그외 동물 구강 조직 또는 이들 모두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동물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조성물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이상의 동물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
  38.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 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치아 미백 조성물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이상의 동물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 조성물은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 수소를 유리시키는 치아 미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이상의 동물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
  4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구강 케어 기구내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이상의 동물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시린지(syringe), 트레이(tray) 또는 통(troug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이상의 동물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스트립(str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이상의 동물 치아를 미백하는 방법.
  43. 제 1항 내지 42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아래 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NR1R2 [-(CR3R4)x-NR1]y-(CR3R4)x-NR1R2
    상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일 수 있으며,
    y는 1-10이며,
    각 R1, R2,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각 R1 및 각 R2는 하기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CR5R6-(CR7R8)z-R9
    각 R5,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 R5, R6 또는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 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아미노,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알콕시,아릴, 아릴옥시알킬 또는 알콕시아릴일 수 있으며,
    R9 -COOR10, -CON(R10)2, -OR10, -C(OR10)3, -COR10, -N(R10)2, 알키아릴 또는 알킬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R10은 수소, 알킬(직쇄 또는 분지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z는 0-6이다.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및 R4는 모두 수소이고,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이고, y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엔틴,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헥사에틸렌셉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테트라프로필렌펜타민, 펜타프로필렌헥사민, 헥사프로필렌셉타민, N,N'--bis(2-아미노에틸)프로판디아민 또는 N,N'-bis(2-아미노프로필)에탄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는 트리엔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약 0.002 mg 내지 약 2.20 mg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을 약 0.25 mg 내지 약 1.25 mg의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을 약 0.50 mg 내지 약 0.60 mg의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
  50.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을 1일 2회 이상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
  51.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을 구강 예방 요법의 일부로서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구강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
  52.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약 0.002 mg 내지 약 2.20 mg을 구강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구강 조직의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을 약 0.25 mg 내지 약 1.25 mg의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구강 조직의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54.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을 약 0.50 mg 내지 약 0.60 mg의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구강 조직의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55.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을 1일 2회 이상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구강 조직의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56.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직을 구강 예방 요법의 일부분으로서 트리엔틴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구강 조직의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57.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또는 증상은 치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구강 조직의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58.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또는 증상은 치주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구강 조직의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59. 제 1항 내지 5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인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 1항 내지 5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금속 결합성 화합물을 조직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기구.
  62.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기구:
    NR1R2 [-(CR3R4)x-NR1]y-(CR3R4)x-NR1R2
    상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일 수 있으며,
    y는 1-10이며,
    각 R1, R2,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각 R1 및 각 R2는 하기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CR5R6-(CR7R8)z-R9
    각 R5,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 R5, R6 또는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 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아미노,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알콕시,아릴, 아릴옥시알킬 또는 알콕시아릴일 수 있으며,
    R9 -COOR10, -CON(R10)2, -OR10, -C(OR10)3, -COR10, -N(R10)2, 알키아릴 또는 알킬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R10은 수소, 알킬(직쇄 또는 분지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z는 0-6이다.
  63.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및 R4는 모두 수소이고,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이고, y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기구.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엔틴,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헥사에틸렌셉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테트라프로필렌펜타민, 펜타프로필렌헥사민, 헥사프로필렌셉타민, N,N'--bis(2-아미노에틸)프로판디아민 또는 N,N'-bis(2-아미노프로필)에탄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기구.
  65.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트리엔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기구.
  66. 제 61항 내지 6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봉합사 또는 치아 플로스(flo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기구.
  67. 제 61항 내지 6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시린지(syringe), 트레이 또는 통(troug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기구.
  68. 제 61항 내지 6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트립(str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기구.
  69.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수소를 유리시키는 치아 미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기구.
  70.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약 0.001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71. 제 70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하기 식으로 표 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NR1R2 [-(CR3R4)x-NR1]y-(CR3R4)x-NR1R2
    상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일 수 있으며,
    y는 1-10이며,
    각 R1, R2,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각 R1 및 각 R2 하기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CR5R6-(CR7R8)z-R9
    각 R5,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 R5, R6 또는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아미노,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알콕시,아릴, 아릴옥시알킬 또는 알콕시아릴일 수 있으며,
    R9 -COOR10, -CON(R10)2, -OR10, -C(OR10)3, -COR10, -N(R10)2, 알키아릴 또는 알킬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R10은 수소, 알킬(직쇄 또는 분지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z는 0-6이다.
  72.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및 R4는 모두 수소이고,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이고, y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73.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엔틴,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헥사에틸렌셉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테트라프로필렌펜타민, 펜타프로필렌헥사민, 헥사프로필렌셉타민, N,N'--bis(2-아미노에틸)프로판디아민 또는 N,N'-bis(2-아미노프로필)에탄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트리엔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75. 제 70항 내지 7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 2.5% 내지 약 12.5%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76. 제 75항에 있어서,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 5.0% 내지 약 6.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77. 제 70항 내지 7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척제, 헹굼제, 가글제, 분무제 또는 용제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78. 제 70항 내지 7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제, 페이스트 또는 분말제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79. 제 70항 내지 7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고제 또는 크림제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80. 제 70항 내지 7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검, 정제(lozenge) 또는 민트제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케어 조성물.
  81.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 조성물.
  82.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조성물:
    NR1R2 [-(CR3R4)x-NR1]y-(CR3R4)x-NR1R2
    상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일 수 있으며,
    y는 1-10이며,
    각 R1, R2,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 일 수 있으며,
    각 R1 및 각 R2는 하기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CR5R6-(CR7R8)z-R9
    각 R5,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 R5, R6 또는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아미노,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알콕시,아릴, 아릴옥시알킬 또는 알콕시아릴일 수 있으며,
    R9 -COOR10, -CON(R10)2, -OR10, -C(OR10)3, -COR10, -N(R10)2, 알키아릴 또는 알킬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R10은 수소, 알킬(직쇄 또는 분지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z는 0-6이다.
  83. 제 82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및 R4는 모두 수소이고,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이고, y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조성물.
  84. 제 83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엔틴,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헥사에틸렌셉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테트라프로필렌펜타민, 펜타프로필렌헥사민, 헥사프로필렌셉타민, N,N'--bis(2-아미노에틸)프로판디아민 또는 N,N'-bis(2-아미노프로필)에탄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조성물.
  85.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트리엔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조성물.
  86. 제 81항 내지 8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수소를 유리시키는 치아 미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 조성물.
  87.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것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제품을 포함한 키트.
  88. 제 87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하기 식으로 표 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NR1R2 [-(CR3R4)x-NR1]y-(CR3R4)x-NR1R2
    상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일 수 있으며,
    y는 1-10이며,
    각 R1, R2,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각 R1 및 각 R2는 하기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CR5R6-(CR7R8)z-R9
    각 R5, R6 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 R5, R6 또는 R7은 수소,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알콕시, 알케녹시, 아릴옥시,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1개 이상의 질소 원자(-N-)에 의해 단절된 알케닐, 아릴옥시알킬, 알콕시아릴, 아미노알킬, 아미노알케닐, 아미노아릴, 아미노아릴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록시알케닐, 하이드록시아릴 또는 하이드록시아릴알킬일 수 있으며,
    R8은 수소, 하이드록시, 아미노, 알킬, 1개 이상의 산소 원자(-O-)에 의해 단절된 알킬, 알콕시,아릴, 아릴옥시알킬 또는 알콕시아릴일 수 있으며,
    R9 -COOR10, -CON(R10)2, -OR10, -C(OR10)3, -COR10, -N(R10)2, 알키아릴 또는 알킬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R10은 수소, 알킬(직쇄 또는 분지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z는 0-6이다.
  89. 제 88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및 R4는 모두 수소이고, 각 x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이고, y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0.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엔틴,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헥사에틸렌셉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테트라프로필렌펜타민, 펜타프로필렌헥사민, 헥사프로필렌셉타민, N,N'--bis(2-아미노에틸)프로판디아민 또는 N,N'-bis(2-아미노프로필)에탄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1.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는 트리엔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2. 제 87항 내지 9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제품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케어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3.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기구는 봉합사 또는 치아 플로스(flo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4.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기구는 시린지(syringe), 트레이 또는 통(troug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5.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기구는 스트립(str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6. 제 9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수소를 유리시키는 치아 미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7. 제 95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수소를 유리시키는 치아 미백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8. 제 87항 내지 91항중 어느 한한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제품은 비펩티드성 폴리아민 킬레이트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구강 제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9. 제 9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아 미백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00. 제 9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01. 제 99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활성 산소 또는 과산화수소를 유리시키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057021154A 2003-05-07 2004-05-07 구강 케어 방법 및 제품 KR20060015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879703P 2003-05-07 2003-05-07
US60/468,797 2003-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588A true KR20060015588A (ko) 2006-02-17

Family

ID=3345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154A KR20060015588A (ko) 2003-05-07 2004-05-07 구강 케어 방법 및 제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50002876A1 (ko)
EP (1) EP1620066A4 (ko)
JP (1) JP2006528690A (ko)
KR (1) KR20060015588A (ko)
CN (1) CN1784212A (ko)
AU (1) AU2004238285A1 (ko)
BR (1) BRPI0410505A (ko)
CA (1) CA2523000A1 (ko)
WO (1) WO2004100884A2 (ko)
ZA (1) ZA2005089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4234A (zh) * 1998-09-25 2001-11-28 格利科克斯有限公司 果糖胺氧化酶,拮抗剂和抑制剂
US7592304B2 (en) 1999-10-01 2009-09-22 Dmi Life Sciences, Inc. Metal-binding compounds and uses therefor
US20030158111A1 (en) * 1999-10-01 2003-08-21 David Bar-Or Methods and products for oral care
US7632803B2 (en) 1999-10-01 2009-12-15 Dmi Life Sciences, Inc. Metal-binding compounds and uses therefor
EP2500018B1 (en) 2002-03-08 2017-07-19 PhilERA New Zealand Limited Preventing and/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or Associated Heart Failure
CA2496411A1 (en) 2002-08-20 2004-03-04 Protemix Corporation Limited Dosage forms and related therapies
AU2005281353A1 (en) 2004-07-19 2006-03-16 Philera New Zealand Limited Synthesis of triethylenetetramines
GB0502046D0 (en) * 2005-02-01 2005-03-09 Sinclair Pharmaceuticals Ltd Method
KR100816798B1 (ko) * 2006-09-08 2008-03-25 (주)팜스웰 의약용 트리에틸렌테트라민 이염산염의 제조방법
FR2916655B1 (fr) * 2007-06-01 2009-07-24 Coatex S A S Soc Par Actions S Procede pour formuler des principes actifs odorants afin de les proteger et d'augmenter leur remanence
US9724278B2 (en) * 2008-06-13 2017-08-0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2151554A1 (en) * 2011-05-04 2012-11-0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olyamines for treating biofilms
DE102011083324A1 (de) * 2011-09-23 2013-03-28 Henkel Ag & Co. Kgaa Mund- und Zahnpflege- und -reinigungsmittel mit Polyaminen
WO2017172955A1 (en) 2016-03-29 2017-10-05 Safewhite, Inc. Polyelectrolyte dental adhesives for whitening teeth and teeth components
KR101851979B1 (ko) * 2017-03-23 2018-06-07 (주) 에프엔지리서치 중금속 및 포름알데히드 제거능을 가지는 세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2833A (en) * 1973-02-14 1977-05-10 Sterling Drug Inc. N,N'-bridged-bis[2-alkyl-2-hydroxyethylamines]
US4323558A (en) * 1979-09-10 1982-04-06 Nelson Research & Development Co. Topical trien 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SE439011B (sv) * 1980-03-21 1985-05-28 Ferrosan Ab Morfolinoforeningar, kompositioner innehallande dessa och anvendning derav
US4461724A (en) * 1981-10-28 1984-07-24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Ltd. Peptide compounds,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m,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methods for treating ulcer and thrombus with them
US4816449A (en) * 1984-08-09 1989-03-28 Immunetech Pharmaceuticals Immunotherapeutic anti-inflammatory peptide agents
US5128122A (en) * 1984-03-19 1992-07-07 The Rockefeller University Method and agents for preventing staining of teeth
US4975423A (en) * 1984-06-27 1990-12-04 Colgate-Palmolive Company Inhibition of tumor development
ZA846192B (en) * 1984-08-09 1986-03-26 Merck Patent Gmbh Immunotherapeutic polypeptide agents
FI862881A (fi) * 1986-07-08 1988-01-18 Suomen Calcusan Oy Munskoeljningsloesning.
US5270447A (en) * 1988-05-20 1993-12-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Metalloproteinase peptides: role in diagnosis and therapy
US5288479A (en) * 1989-01-17 1994-02-22 Sterling Drug, Inc. Extrudable elastic oral pharmaceutical gel compositions and metered dose dispensers containing them and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032384A (en) * 1989-01-27 1991-07-16 Block Drug Company, Inc.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JP2527050B2 (ja) * 1989-10-27 1996-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用センスアンプ回路
DE4028957C2 (de) * 1990-09-12 1994-05-11 Oliver Bock Therapeutikum für den Mundbereich
US5147632A (en) * 1990-10-31 1992-09-15 Warner-Lambert Company Anti-plaque composition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morpholinoamino alcohol and chelating agent
US5171564A (en) * 1991-09-13 1992-12-15 Colgate-Palmolive Aqueous tooth whitening dentifrice
US5298237A (en) * 1992-01-24 1994-03-2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Gel composition for reduction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retardation of dental plaque
US5747296A (en) * 1992-05-11 1998-05-05 Corvas International, Inc. Method of detecting neutophil inhibitory factor mimics
IT1256702B (it) * 1992-12-17 1995-12-12 Giovanni Antonini Formulazione proteica coadiuvante nella prevenzione e cura delle parodontiti e di altre patologie batteriche del cavo orale.
US5476647A (en) * 1993-09-13 1995-12-19 American Dental Association Health Foundation Complex calcium and fluoride containing mouth rinses, dentifrices, and chewable tablets
US5529907A (en) * 1994-01-19 1996-06-25 Nierman; David M. Method of determining patient neutrophil activity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same
US5458777A (en) * 1994-03-23 1995-10-17 Shell Oil Company Distributor for liquid separator
US5538945A (en) * 1994-06-17 1996-07-23 Procyte Corporation Stimulation of hair growth by peptide copper complexes
JP3356289B2 (ja) * 1995-06-26 2002-12-16 コンキャット リミティド 第一遷移系列元素に対してキレート化親和性および選択性のある化合物とその医療および診断への使用
US5922307A (en) * 1995-09-25 1999-07-13 R. Eric Montgomery Tooth bleaching compositions
US5851514A (en) * 1995-09-26 1998-12-22 Colgate Palmolive Company Stable aqueous abrasive peroxide tooth whitening dentifrice
US6610821B1 (en) * 1996-07-12 2003-08-26 Mcgill University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endothelial cell adhesion
US5858332A (en) * 1997-01-10 1999-01-12 Ultradent Products, Inc. Dental bleaching composition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n peroxide
US6008205A (en) * 1997-04-04 1999-12-28 The Brigham & Women's Hospital, Inc. Polyisoprenyl phosphate stable analogs for regulation of neutrophil responses
US6096328A (en) * 1997-06-06 2000-08-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livery system for an oral care substance using a strip of material having low flexural stiffness
US5906811A (en) * 1997-06-27 1999-05-25 Thione International, Inc. Intra-oral antioxidant preparations
IL135258A0 (en) * 1997-09-26 2001-05-20 Noven Pharma Bio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active agents
US5922346A (en) * 1997-12-01 1999-07-13 Thione International, Inc. Antioxidant preparation
US6228347B1 (en) * 1997-12-01 2001-05-08 Thione International, Inc. Antioxidant gel for gingival conditions
US5932548A (en) * 1998-06-03 1999-08-03 Deghenghi; Romano Lysine containing peptides for treatment of heart disease
DE69922817T2 (de) * 1998-09-23 2005-06-16 Unilever N.V. Orale 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m bleichendem effekt
US6270781B1 (en) * 1999-01-08 2001-08-07 Maxim Pharmaceuticals, In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treatment of damaged tissue using reactive oxygen metabolite production or release inhibitors
US6355706B1 (en) * 1999-04-14 2002-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nture adhesives with mixed salt copolymers of terpolymers
US6610286B2 (en) * 1999-12-23 2003-08-26 Zymogenetics, Inc. Method for treating inflammation using soluble receptors to interleukin-20
US6264966B1 (en) * 2000-02-22 2001-07-24 Concat, Ltd. Compounds with chelation affinity and selectivity for first transition elements and their use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hibition of metalloenzymes, and inhibition of reperfusion injury
US6254857B1 (en) * 2000-05-24 2001-07-03 Colgate-Palmolive Company Effervescent whitening dentifrice having oxygen-derived sensory signal
US6572374B2 (en) * 2000-06-13 2003-06-03 Advantage Dental Products, Inc. Dental bonding formulation complexing calcified deposits associated with a dentinal tubule opening
US20020013331A1 (en) * 2000-06-26 2002-01-31 Williams Robert O.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ain of the mucous membrane
US20020091074A1 (en) * 2000-09-20 2002-07-11 Wooley Richard E. Medical compositions, dressings and methods for treating microbial infections of skin lesions
CA2429982C (en) * 2000-12-01 2010-07-13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opper chelators for treating ocular inflammation
US6610276B2 (en) * 2001-01-12 2003-08-26 Steven A. Melman Multi-functional dental composition
US6789546B2 (en) * 2001-06-26 2004-09-14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Filters for preventing or reducing tobacco smoke-associated injury in the aerodigestive tract of a su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3000A1 (en) 2004-11-25
BRPI0410505A (pt) 2006-06-20
JP2006528690A (ja) 2006-12-21
ZA200508952B (en) 2007-04-25
CN1784212A (zh) 2006-06-07
WO2004100884A2 (en) 2004-11-25
US20050002876A1 (en) 2005-01-06
AU2004238285A1 (en) 2004-11-25
EP1620066A4 (en) 2010-11-03
EP1620066A2 (en) 2006-02-01
WO2004100884A3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508952B (en) Oral care methods and products
JP2927850B2 (ja) 歯とその支持組織の症状の治療のための局所用製剤
JP6018059B2 (ja) 亜鉛化合物および抗微生物剤を含む口腔用組成物
US7115252B2 (en)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S2431957T3 (es) Dentífrico antibacteriano que muestra propiedades antiplaca y refrescantes del aliento
US20030158111A1 (en) Methods and products for oral care
WO2007064519A1 (en) Vehicles for oral care with magnolia bark extract
EP0206529A2 (en) Treatment of oral diseases
WO2006117029A1 (en) Use of polylysine in combination with either green tea or olive extracts or both for use against halitosis
RU2381021C2 (ru) Зубная паста, содержащая липосомы
JP7413465B2 (ja) 口腔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RU2353346C2 (ru) Кондитер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препятствующая образованию зубного налета
US833781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oral hygiene, the treatment of the periodontal illnesses and the halitosis
JPH01502111A (ja) 口腔衛生用医薬
KR20130060084A (ko) 치주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U2002348301B2 (en) Methods and products for oral care
US20040028623A1 (en) Formulations for the removal of dental plaque, tartar and dental stains
US20070020200A1 (en)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80055519A (ko) 살비아논산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6244A (ko) 코디세핀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04731A1 (en) Oral care product with cannabinoid compounds
WO2023039421A1 (en) Use of cannabinoid compounds to treat or prevent fungal growth of c. albicans
Gaffar Oral-care products
BRPI1103081A2 (pt) Composições de produtos para cuidado oral para eliminação e prevenção do mau hálito (halitose), com efeito antibafo, antisséptico e branqueador dos dentes
AU2008202759A1 (en) Methods and products for oral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