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540A -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540A
KR20060011540A KR1020040060427A KR20040060427A KR20060011540A KR 20060011540 A KR20060011540 A KR 20060011540A KR 1020040060427 A KR1020040060427 A KR 1020040060427A KR 20040060427 A KR20040060427 A KR 20040060427A KR 20060011540 A KR20060011540 A KR 20060011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unique number
portable terminal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578B1 (ko
Inventor
정종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578B1/ko
Priority to CNB2005100075579A priority patent/CN100341366C/zh
Publication of KR2006001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에 기록저장되는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비정상규격을 식별하고, 내부차단을 통하여 폭발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와 직접 접속하고 충방전에 의한 전원을 입출력하는 충방전 단자부; 충방전 단자부와 접속하여 과충전과 과방전을 차단 제어하는 보호회로부;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충전으로 전류를 저장하고, 방전으로 전류를 출력하는 배터리셀부;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배터리부에 할당된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에이직부;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배터리부의 사용시간을 누적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롬부; 에이직부에 접속하여 고유번호와 사용시간 정보를 입출력하는 데이터 단자부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가 접속되면 충방전단자부를 통하여 배터리셀부에 충전된 전류를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전원과정; 고유번호 출력을 요청하면 에이직부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출력하는 고유번호 과정; 사용시간 누적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롬부에 누적 사용시간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사용시간 과정; 내부차단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보호회로부가 동작하여 배터리셀부의 전원이 방전되어 출력되지 못하도록 하는 내부차단과정을 특징 등등으로 하고, 비정격 배터리를 식별M 휴대단말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METHODS AND APPARATUS OF DISCRIMINATION POOR BATTERY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식별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방법 순서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장치 기능 구성도,
도6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배터리부 110 : 배터리셀부 120 : 보호회로부
130 : 에이직부 140 : 롬부 150 : 충방전단자부
160 : 데이터 단자부 200 : 제어부 210 : 디비부
220 : 시간부 230 : 아이디부 240 : 정합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정상규격 배터리 식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에 기록저장되는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비정상 규격의 배터리를 식별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므로 과충방전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배터리의 폭발 및 발열 등으로부터 사용자와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UE)는 이동상태에서 통신하는 것으로, 일반 상용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할 수 없고, 탈부착과 교환이 용이한 구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에 사용하는 시간이 실질적으로 작으므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일 예로, 카메라, 티비,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게임 및 문자와 영상 메시지, 무선인터넷 접속 등등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 추가되며, 상기 부가서비스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응용범위가 확대된다.
상기 휴대단말기(MS)의 응용 범위가 확대되므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충방전배터리의 수요와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 중에서 배터리(BATTERY)가 비교적 가격이 비싸고 제일 무거운 부품인 동시에 유일하게 소모성 부품이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휴대성과 이동성을 위하여 배터리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면서 용량을 늘이는 고용량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 충방전배터리는 고용량이 될 수록에 각종 충격에 민감하여 폭발 및 불안정한 상태가 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히거나 휴대단말기 자체에 복구 불능의 피해를 준다.
특히, 상기와 같이 소모성인 충방전배터리는, 가격이 비싼 만큼 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비정규품 또는 비정격품이면서 저가인 불량품이 대량 유통되며, 상기와 같은 불량품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손상을 주고 사용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가 정격 규격을 갖는 정품인지의 여부를 휴대단말기에서 확인하고, 정격규격이 아닌 경우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식별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식별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를 설명하면, 상기 배터리부(10)는 배터리셀부(20)와 보호회로부(30)와 충방전단자부(40)로 구성된 다.
상기 배터리셀부(20)는 충전(CHARGING)에 의하여 전류를 저장하고, 방전(DISCHARGING)에 의하여 전류를 출력하는 것으로, 무게를 줄이고 소형이면서 용량을 늘리기 위하여, 최근에는 리튬이온 셀(CELL)을 사용한다.
상기 리튬이온 셀은 과충전이 발생하거나 과전류 방전에 의한 과방전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폭발할 피해 위험성이 비교적 크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셀부(20)의 과충전과 과방전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호회로부(30)는 과방전 상태가 되면, 충방전단자부(40)와의 경로를 차단하는 내부차단을 하여 배터리셀부(20)를 보호하고, 과충전 상태가 되는 경우에도 충방전단자부(40)와의 경로를 차단하는 내부 차단을 하여 상기 배터리셀부(20)를 보호한다.
상기 배터리셀부(20)는 전기적 충격 이외에도 기계적 충격이 인가되면, 내부 화학반응이 급속하게 발생하여 발열하거나 폭발할 위험이 매우 크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부(10)는, 배터리셀부(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부(30)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보호회로부(30)의 가격이 비교적 비싸므로, 정상품이 아니고 유통가격이 싼 비규격 배터리부(10)에서는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규격 미달의 불량회로를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식별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는 배터리부가 접속되어 검출되는 경우(S10),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S20), 상기 배터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각 기능부를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는 컷오프(CUTOFF) 전압인지를 판단한다(S30).
상기 판단(S30)에서, 상기 배터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컷오프(CUTOFF) 전압이면 상기 배터리부(10)로부터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S4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기 배터리부가 출력하는 전압을 검출하여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에 보호회로부가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므로, 과방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행용 충전기(TC; TRAVEL CHARGER)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UE)에 정상품이 아닌 배터리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을 하는 경우에도, 과충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부에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번호를 기록저장하고 휴대단말기에서 확인하여 정격 규격의 배터리인지를 확인하며, 정격규격이 아닌 경우는 배터리부를 내부차단 제어하여 피해를 방지하고 정격규격이면 누적사용시간을 기록 확인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접속 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와 직접 접속하고 충방전에 의한 전원을 입출력하는 충방전 단자부와; 상기 충방전 단자부와 접속하여 과충전과 과방전을 차단 제어하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충전으로 전류를 저장하고, 방전으로 전류를 출력하는 배터리셀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배터리부에 할당된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에이직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배터리부의 사용시간을 누적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롬부와; 상기 에이직부에 접속하여 고유번호와 사용시간 정보를 휴대단말기에 입출력하는 데이터 단자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접속되면 충방전단자부를 통하여 배터리셀부에 충전된 전류를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전원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가 고유번호 출력을 요청하면 에이직부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출력하는 고유번호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사용시간 누적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롬부에 누적 사용시간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사용시간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내부차단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보호회로부가 동작하여 배터리셀부의 전원이 방전되어 출력되지 못하도록 하는 내부차단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접속된 배터리부의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정격규격이면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시간을 누적 기록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 여 정격규격 배터리의 고유번호 데이터 베이스 목록을 기록저장하고 검색으로 출력하는 디비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접속된 배터리부에 기록저장할 사용시간을 출력하는 시간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배터리부의 해당 고유번호와 디비부로부터 검색된 고유번호를 대비하여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아이디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배터리부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고유번호와 시간 정보를 정합된 상태로 입출력하는 정합부와; 상기 정합부에 접속하여 고유번호와 시간정보를 입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배터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배터리부 접속이 검출되면 배터리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검출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번호와 대비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배터리 고유번호를 대비하여 정격규격으로 확인되면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시간을 출력하여 누적 기록저장하는 누적과정과; 상기 과정의 배터리부 출력전압이 컷오프 전압으로 판단되면 배터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컷오프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 터리부의 식별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6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에 접속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0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100)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보호회로부(120)에 접속하여 충전으로 전류를 저장하며, 방전으로 전류를 출력하는 것으로, 리튬이온 등으로 구성되는 배터리셀부(110)와,
상기 배터리셀부(110)와 충방전 단자부(150)에 접속하여 상기 배터리셀부(110)의 과충전과 과방전 상태를 차단 제어하는 보호회로부(120)와,
상기 보호회로부(120)에 접속하여 배터리부(100)에 할당된 고유번호(ID)와 제조업체 고유번호(ID)를 기록저장하고 데이터 단자(160)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데이터 단자(160)를 통하여 접속된 휴대단말기(UE)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기록저장된 배터리 고유번호(ID)와 배터리부 제조업체의 고유번호(ID)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명령을 보호회로부(120)에 인가하는 에이직부(130)와,
상기 보호회로부(120)에 접속하여 배터리부(100)의 사용시간을 누적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입력되는 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배터리부(100)의 누적연산 사용시간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롬부(140)와,
상기 휴대단말기(UE)와 직접 접속하고 배터리셀부(110)의 전원을 충방전에 의하여 입출력하는 충방전 단자부(150)와,
상기 에이직부에 접속하여 고유번호와 사용시간 정보를 휴대단말기에 입출력하는 데이터 단자부(1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배터리부(100)는 배터리셀부(110)에 충전된 전류를 방전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충방전단자부(150)에 휴대단말기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접속된 휴대단말기(UE)에 동작전원을 출력하여 공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는, 배터리부(10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지만, 필요한 경우, 별도의 휴대용충전기(TC: TRAVEL CHARGER)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100)의 배터리셀부(110)에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충전(CHARGING)한다.
상기 배터리셀부(110)는, 일 예로, 리튬이온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적은 부피와 크기와 무게이지만, 많은 용량의 전류를 충전하고 방전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나, 전기적 충격 및 기계적 충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발열하거나 폭발하여 사용자 및 휴대단말기 본체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상기 전기적 충격은, 일 예로, 급속한 과방전 및 과충전 등이며, 상기 보호회로부(120)는 배터리셀부(110)의 급속한 과방전과 과충전을 감지하여 차단한다.
상기 배터리셀부(110)는 휴대단말기(UE)와 충방전단자부(150)를 통하여 접속하고 충전된 전류를 출력하는 동시에 충전을 위한 전류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 단자부(160)를 통하여 해당 제어명령 신호 입력과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충격 등에 의하여 폭발 발생의 위험이 있는 배터리부(1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보호회로부(120)를 일체로 구비하므로, 안전하게 동작하며, 상기 에이직부(130)에는, 상기 배터리부(100)를 안전하게 생산하는 제조업체 고유번호(ID)와 배터리부(100)의 형태 및 종류 등을 식별 및 구분하는 배터리 고유번호(ID)가 기록저장되고 출력되며, 상기 롬부(140)에는 배터리부(100)의 총 사용시간이 누적 연산되어 기록저장되므로, 노후화되어 성능을 제대로 발생하지 못하는 배터리부(100)를 식별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부(100)는 소모품으로, 일정횟수를 반복사용하면, 정상 상태의 출력을 발생하지 못하여 폐기하여야 하며, 일 예로, 정상 출력전력의 70 % 이하가 되기까지는, 제품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누적 사용시간이 약 6 개월 정도 되는 시점이다.
상기 롬부(140)는, 접속된 휴대단말기(UE)로부터 데이터 단자부(160)를 통하여 인가되는 시간정보를 보호회로부(120)를 통하여 입력하고 누적상태로 기록저장 및 출력한다.
상기 보호회로부(120)는, 상기 배터리셀부(110)의 내부전압을 감시하여 설정된 소정 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배터리셀부(110)의 보호를 위하여 더 이상 방전하지 못하도록 내부차단하고 충전만을 허용한다.
상기 충방전 단자부(150)와 데이터 단자부(16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UE)로부터 내부차단하는 해당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상기 보호회로부(120)는 내부차단을 한다.
상기 내부차단은 과방전에 의하여 배터리셀부(110)가 충전기능 상실 및 파괴되는 상태를 보호하는 것이고, 컷오프(CUTOFF)는 휴대단말기(UE)의 각 기능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전압을 배터리셀부(110)가 출력하는 상태이며 방전상태라고 한다.
상기 배터리부(100)는 접속된 휴대단말기(UE)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에이직부(130)에 기록저장된 배터리 고유번호(ID)와 제조업체 고유번호(ID)를 출력하며, 상기 고유번호(ID)를 확인한 휴대단말기(UE)가 배터리부(100)를 인증된 정상규격 제품으로 판단하면 배터리셀부(110)에 충전된 전류를 방전으로 공급하고, 충방전 누적 사용시간을 롬부(140)에 기록저장한다.
또한, 상기 에이직부(130)에 기록저장된 고유번호가 허용된 제조업체의 고유번호 및 배터리 고유번호가 아닌 것으로, 접속된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판단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내부차단 제어명령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명령 신호를 인식한 보호회로부(120)는 배터리셀부(110)가 전류를 출력하지 못하도록 해당 출력경로를 내부에서 차단한다.
따라서, 정상규격의 배터리부(100)는, 전류를 출력하여 휴대단말기(UE)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비정상규격의 배터리부(100)는 휴대단말기(UE)의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내부차단되므로, 충전 및 방전하지 못하게 차단하여, 폭발 등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와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방법을 설명한다.
휴대단말기(UE)에 접속한 상태에서 동작전원을 충방전하는 배터리부(100)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접속되면 충방전단자부(150)를 통하여 배터리셀부(110)에 충전된 전류를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배터리부(100)에 일체로 구비되는 보호회로부(120)에 의하여 충방전단자부(150)에 휴대단말기(UE)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휴대단말기(UE)가 충방전단자부(150)에 접속되었으면 배터리셀부(110)에 충전된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전원과정과,
상기 전원과정의 휴대단말기(UE)가 고유번호 출력을 요청하면 에이직부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접속된 휴대단말기(UE)가 데이터 단자(160)를 통하여 해당 고유번호(ID)의 출력을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고유번호(ID) 출력요청이 있으면 에이직부(130)에 기록저장된 배터리부 고유번호(ID)와 제조업체 고유번호(ID)를 출력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고유번호 과정과,
상기 고유번호 과정의 휴대단말기(UE)로부터 사용시간 누적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롬부(140)에 누적 사용시간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UE)로부터 사용시간 누적저장 제어신호가 데이터 단자(160)를 통하여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사용시간 누적저장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보호회로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누적연산 사용시간을 롬부(140)에 기록저장 및 출력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시간 과정과,
상기 사용시간 과정의 휴대단말기(UE)로부터 내부차단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 되면 보호회로부(120)가 동작하여 배터리셀부(110)의 전원이 방전되어 출력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UE)로부터 동작전원의 출력을 내부로부터 차단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에서 휴대단말기(UE)로부터 내부차단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보호회로부(120)를 제어하여 배터리셀부(110)의 충전전류가 충방전단자부(150)를 통하여 출력되지 못하도록 내부로부터 차단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차단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배터리부(100)는 휴대단말기(UE)가 충방전단자부(150)와 데이터 단자부(160)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에서 접속된 경우는 배터리셀부(110)에 충전된 전류를 방전하여 동작전원으로 출력한다(S110).
상기 데이터 단자부(160)에 접속된 휴대단말기(UE)로부터 고유번호(ID)를 요청하는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120), 상기 배터리부(100)는 에이직부(130)에 기록저장된 배터리 고유번호(ID)와 제조업체 고유번호(ID)를 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UE)로부터 사용시간 정보를 입력하여 누적된(ACCUMULATED) 총 사용시간 정보를 롬부(140)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한다(S150).
상기 고유번호(ID)를 확인한 휴대단말기(UE)에 의하여 내부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S160), 상기 배터리부(100)의 보호회로부(120)는 배터리셀부(110)로부터 전류가 외부로 출력되지 못하도록 내부차단한다(S17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부(100)는, 에이직부(130)에 기록 저장된 고유번호(ID)가 허용된 제조업체의 고유번호와 허용된 배터리 고유번호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차단되어 배터리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불량 배터리 사용에 의한 폭발 및 발열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므로 사용자와 휴대단말기의 심각한 피해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식별장치를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에 접속된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ID)를 확인하고, 정격규격 제품이면 동작전원을 출력하여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시간을 누적 기록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정합부(240)를 통하여 접속된 배터리부(100)의 배터리 고유번호(ID)와 제조업체 고유번호(ID)를 입력하고, 아이디부(230)에 인가하며, 디비부(210)를 검색하여 기록저장된 정격규격의 고유번호(ID)를 순서대로 아이디부(230)에 인가하고, 아이디부(23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100)로부터 입력된 고유번호(ID) 들이 디비부(210)로부터 입력된 고유번호(ID)와 동일한 것인지를 대비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부(100)에 내부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에서 동일하면 상기 배터리부(100)에 사용시간을 출력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에 접속하여 정격규격 배터리의 고유번호(ID) 데이터 베이스(DB: DATA BASE) 목록(LIST)을 기록저장하고 검색으로 출력하는 디비부(210)와,
상기 제어부(200)에 접속하고 접속된 배터리부(100)에 기록저장할 사용시간 을 출력하는 시간부(220)와,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하여 배터리부(100)로부터 읽은 해당 고유번호(ID)와 디비부(210)로부터 검색된 고유번호(ID)를 대비하여 동일한 고유번호인지를 확인하는 아이디부(230)와,
상기 제어부(200)에 접속하고 배터리부(100)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해당 고유번호(ID)와 시간 정보를 정합(MATCHING)된 상태로 입출력하는 정합부(240)와,
상기 정합부(240)에 접속하여 고유번호(ID)와 시간정보를 입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배터리부(1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정합부(240)를 통하여 배터리부(100)가 접속된 경우, 상기 배터리부(100)에 저장된 해당 고유번호(ID)를 확인한다.
상기 배터리부(100)의 확인된 고유번호(ID)는 아이디부(230)에 인가하고, 상기 디비부(210)를 제어하여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관리되는 고유번호(ID)를 상기 아이디부(230)에 인가한다.
상기 아이디부(230)는, 배터리부(100)로부터 인가된 고유번호(ID)가 상기 디비부(210)로부터 인가되는 고유번호(ID)와 동일한지, 즉, 상기 디비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고유번호(ID)에 상기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ID)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대비하여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서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ID)가 상기 디비부(210)에서 관리 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저장된 것이면, 정상규격 제품으로 판단되므로,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휴대단말기(UE)의 각 기능부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시간부(220)를 제어하여 전원공급 받는 시간을 상기 배터리부(100)에 출력한다.
상기 정합부(240)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200)와 배터리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신호가 정합(MATCHING)된 상태로 전송하며, 상기 정합부(240)를 통하여 시간정보를 인가받은 배터리부(100)는 해당 롬부(140)에 누적된 사용시간 정보를 기록저장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아이디부(230)의 대비 판단에서, 상기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가 디비부(210)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리하는 고유번호와 상이한 것이면, 내부차단 제어명령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정합부(240)를 통하여 배터리부(100)에 인가되고, 상기 내부차단 제어명령 신호를 인가받은 배터리부(100)는 일체로 내장된 보호회로부(120)를 제어하여 배터리셀부(110)로부터 충방전단자부(150) 사이의 경로를 내부적으로 차단하므로, 전원이 출력되지 못하도록 내부차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배터리부의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인증된 정격규격 제품이면 전원을 공급받는 동시에 사용시간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배터리부가 인증되지 못한 비정격 제품이면 내부차단 제어명령 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부로부터 전원이 출력되지 못하도록 하므로, 폭발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배 터리부 식별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E)에 배터리부(100) 접속이 검출되면 배터리 고유번호(ID)와 제조업체 고유번호(ID)를 검출하고 디비부(210)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번호와 대비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가 충방전단자를 통하여 배터리부 접속을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S200); 상기 과정(S200)에서 휴대단말기(UE)가 배터리부(100)의 접속을 검출하면,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ID)와 제조업체의 고유번호(ID)를 읽어 검출하는 과정(S210); 상기 과정(S210)에서 검출된 배터리부(100) 해당 고유번호가 디비부(210)의 데이터 베이스 검색한 것과 동일한지를 대비하는 과정(S220)으로 이루어지는 검출과정과,
상기 검출과정에서 배터리 고유번호(ID)를 대비하여 정격규격 제품으로 확인되면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시간을 출력하여 누적 기록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ID)와 디비부 검색에 의한 고유번호를 대비하여 동일 고유번호를 갖는 정격규격 제품 배터리부(100)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230); 상기 과정(S230)에서 정격규격 배터리부(100)로 판단되면 휴대단말기(UE)의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부(100)의 사용시간을 출력하여 누적 기록저장하는 과정(S240)으로 이루어지는 누적과정과,
상기 누적과정의 배터리부(100) 출력전압이 컷오프(CUTOFF) 전압으로 판단되면 배터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누적과정의 배터리부(100) 출력전압이 각 기능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컷오프(CUTOFF) 전압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250); 상기 과정(S250)에서 배터리부(100) 출 력전압이 컷오프 전압으로 판단되면 각 기능부에 상기 배터리부(100)의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과정(S260)으로 이루어지는 컷오프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UE)의 배터리부 식별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는, 정합부(240)를 통하여 배터리부(100)가 접속된 것이 검출되면(S200), 상기 접속된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와 제조업체의 고유번호 정보를 읽고(S210), 디비부(210)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리하는 고유번호를 검색 대비한다(S220).
상기 과정(S220)의 대비에서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가 상기 디비부(210)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정격 규격 제품의 고유번호와 동일하면, 즉, 상기 배터리부(100)가 정격품으로 판단되면(S230),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에 공급하는 동시에 사용시간을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누적 기록저장되도록 제어한다(S240).
상기 휴대단말기(UE)의 제어부(200)는, 배터리부(100)의 출력전압을 감시하여, 휴대단말기(UE)의 각 기능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컷오프 전압인지를 판단하고(S250), 상기 판단(S250)에서 배터리부(100)의 출력전압이 컷오프 전압이면, 상기 배터리부(100)로부터 휴대단말기(UE)의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이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휴대단말기(UE)의 오동작을 방지한다(S26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UE)의 배터 리부 식별방법은, 배터리부(100)가 정식 규격으로 정상적인 제조업체에 의하여 생산된 것이면 충방전에 의한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사용시간이 누적 관리되도록 하고, 배터리부(100)의 고유번호가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리하는 고유번호와 상이하여 비정규 제품으로 판단되면, 배터리부(100)를 내부차단 제어하므로,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폭발 및 발열 등으로부터 사용자와 휴대단말기 본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충방전용 배터리부가 정상적으로 제조된 것인지 아닌지를 휴대단말기에서 확인하여, 정상규격품의 배터리부 전원을 사용하며, 사용시간을 누적 기록하므로 수명을 예측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부가 정상규격 제품인지 아닌지를 해당 고유번호로 확인하므로, 정상품 판단 및 비규격품과의 구분이 용이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부가 비규격품으로 판단되면, 내부차단하므로, 과충전/과방전에 의한 배터리부의 폭발 및 발열을 차단하여 사용자와 휴대단말기 본체를 보호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휴대단말기에 접속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와 직접 접속하고 충방전에 의한 전원을 입출력하는 충방전 단자부와,
    상기 충방전 단자부와 접속하여 과충전과 과방전을 차단 제어하는 보호회로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충전으로 전류를 저장하고, 방전으로 전류를 출력하는 배터리셀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배터리부에 할당된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에이직부와,
    상기 보호회로부에 접속하여 배터리부의 사용시간을 누적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롬부와,
    상기 에이직부에 접속하여 고유번호와 사용시간 정보를 휴대단말기에 입출력하는 데이터 단자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직부는,
    상기 데이터 단자를 통하여 접속된 휴대단말기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기록저장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배터리부 제조업체의 고유번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단말 기의 해당 제어명령을 보호회로부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롬부는,
    상기 보호회로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해당 휴대단말기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배터리부의 누적연산 사용시간을 기록저장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장치.
  4. 휴대단말기가 접속되면 충방전단자부를 통하여 배터리셀부에 충전된 전류를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전원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가 고유번호 출력을 요청하면 에이직부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출력하는 고유번호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사용시간 누적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롬부에 누적 사용시간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사용시간 과정과,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내부차단 제어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보호회로부가 동작하여 배터리셀부의 전원이 방전되어 출력되지 못하도록 하는 내부차단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과정은,
    배터리부의 보호회로부에 의하여 충방전단자부에 휴대단말기가 접속되었는지 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휴대단말기가 충방전단자부에 접속되었으면 배터리셀부에 충전된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번호 과정은,
    상기 전원과정에서 접속된 휴대단말기가 데이터 단자를 통하여 고유번호 출력을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고유번호 출력요청이 있으면 에이직부에 기록저장된 배터리부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시간 과정은,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사용시간 누적저장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사용시간 누적저장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보호회로부를 통하여 입력된 누적연산 사용시간을 롬부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차단 과정은,
    상기 과정의 휴대단말기로부터 동작전원의 출력을 내부로부터 차단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내부차단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보호회로부를 제어하여 배터리셀부의 충전전류가 충방전단자부를 통하여 출력되지 못하도록 내부로부터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배터리부의 식별방법.
  9. 휴대단말기에 접속된 배터리부의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정격규격이면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시간을 누적 기록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여 정격규격 배터리의 고유번호 데이터 베이스 목록을 기록저장하고 검색으로 출력하는 디비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접속된 배터리부에 기록저장할 사용시간을 출력하는 시간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배터리부의 해당 고유번호와 디비부로부터 검색된 고유번호를 대비하여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아이디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배터리부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고유번호와 시간 정보를 정합된 상태로 입출력하는 정합부와,
    상기 정합부에 접속하여 고유번호와 시간정보를 입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배터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합부를 통하여 접속된 배터리부의 배터리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아이디부에 인가하며, 상기 디비부를 검색하여 기록저장된 정격규격의 고유번호를 순서대로 상기 아이디부에 인가하고, 상기 아이디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입력된 고유번호들이 상기 디비부로부터 입력된 고유번호와 동일한 것인지를 대비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서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부에 내부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에서 동일하면 상기 배터리부에 사용시간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장치.
  11. 휴대단말기에 배터리부 접속이 검출되면 배터리 고유번호와 제조업체 고유번호를 검출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번호와 대비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배터리 고유번호를 대비하여 정격규격으로 확인되면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시간을 출력하여 누적 기록저장하는 누적과정과,
    상기 과정의 배터리부 출력전압이 컷오프 전압으로 판단되면 배터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컷오프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과정은,
    휴대단말기가 충방전단자를 통하여 배터리부 접속을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휴대단말기가 배터리부의 접속을 검출하면, 배터리부의 고유번호와 제조업체의 고유번호를 읽어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검출된 배터리부 고유번호가 디비부의 데이터 베이스 검색으로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대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과정은,
    상기 검출과정에서 배터리부의 고유번호와 디비부 검색에 의한 고유번호를 대비하여 동일 고유번호를 갖는 정격규격 제품 배터리부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정격규격 배터리부로 판단되면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부의 사용시간을 출력하여 누적 기록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컷오프 과정은,
    상기 누적과정의 배터리부 출력전압이 각 기능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컷오프 전압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배터리부 출력전압이 컷오프 전압으로 판단되면 각 기능부에 상기 배터리부의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부 식별방법.
KR1020040060427A 2004-07-30 2004-07-30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 KR100631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27A KR100631578B1 (ko) 2004-07-30 2004-07-30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
CNB2005100075579A CN100341366C (zh) 2004-07-30 2005-02-05 一种便携终端电池部识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27A KR100631578B1 (ko) 2004-07-30 2004-07-30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40A true KR20060011540A (ko) 2006-02-03
KR100631578B1 KR100631578B1 (ko) 2006-10-09

Family

ID=3592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427A KR100631578B1 (ko) 2004-07-30 2004-07-30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1578B1 (ko)
CN (1) CN10034136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59A (ko) * 2014-06-27 2016-01-06 김유진 이동통신 장비의 배터리 이상으로 발생 가능한 위험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917B2 (en) * 2009-04-09 2016-04-19 Sony Corporation Electric storage apparatus and power control system
CN101924384B (zh) * 2010-08-17 2013-07-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充电保护方法和装置
JP5549479B2 (ja) * 2010-08-27 2014-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管理装置
CN104432534B (zh) * 2013-09-13 2019-02-12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池杆、电子烟及对雾化器进行识别的方法
JP6325251B2 (ja) * 2013-12-27 2018-05-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13270649B (zh) * 2020-02-17 2024-01-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池控制装置、电池控制方法、存储介质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8306A (en) * 1994-03-15 1997-03-04 Ericsson Inc.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identification circuit, real time clock and authentication capability
JPH11346443A (ja) * 1998-06-02 1999-12-14 Hitachi Ltd 蓄電装置用組電池制御装置
JP2001156888A (ja) 2000-09-25 2001-06-08 Seiko Epson Corp 携帯用情報機器
JP3498736B2 (ja) 2000-09-28 2004-02-16 株式会社リコー 充放電保護回路、該充放電保護回路を組み込んだバッテリーパック、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125540A (ja) * 2001-10-15 2003-04-25 Nec Tokin Tochigi Ltd 警告機能付き電池パック
CN1220295C (zh) * 2002-05-31 2005-09-21 北京六合万通微电子技术有限公司 充电电池防伪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59A (ko) * 2014-06-27 2016-01-06 김유진 이동통신 장비의 배터리 이상으로 발생 가능한 위험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8854A (zh) 2006-02-01
KR100631578B1 (ko) 2006-10-09
CN100341366C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1846B1 (en) Final discharge of a cell activated by a circuit that senses when a charging fault has occurred
KR100815019B1 (ko) 전지팩, 충전 제어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기기
EP2068420B1 (en) Secondary battery charging method and device
KR102335723B1 (ko) 단말 장치 및 배터리 이상 검출 장치
CN101740801B (zh) 电池组和控制电池组的方法
KR100669272B1 (ko) 전지팩, 충전 제어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기기
EP2651005B1 (en) Battery charg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2010200598A (ja) バッテリパックおよび過放電保護方法
KR101093982B1 (ko) 배터리 팩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631578B1 (ko) 휴대단말기 배터리부 식별장치 및 방법
KR101050469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캡 분해 방지 방법
KR1005844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20040062387A1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JP2003173825A (ja) 二次電池保護装置
WO2010055995A1 (ko) 만충전 용량 비교를 통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2222119B1 (ko) 배터리 팩
WO1999000863A2 (en) Battery charging system having lock-out circuitry
KR101610878B1 (ko)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JP4097422B2 (ja) 電池の深放電の検出方法と深放電の検出装置
JP2010011574A (ja) 充放電制御回路
KR20170006963A (ko) 배터리 보호 회로 장치
JPH06237536A (ja) 電池使用システム
KR100818468B1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JP2003164070A (ja) 充電器
KR20230122936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