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086A -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 Google Patents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086A
KR20060011086A KR1020040059766A KR20040059766A KR20060011086A KR 20060011086 A KR20060011086 A KR 20060011086A KR 1020040059766 A KR1020040059766 A KR 1020040059766A KR 20040059766 A KR20040059766 A KR 20040059766A KR 20060011086 A KR20060011086 A KR 2006001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construction stone
construction
cover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623B1 (ko
Inventor
이용헌
정순우
손석희
지홍기
Original Assignee
이용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211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1108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헌 filed Critical 이용헌
Priority to KR102004005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6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립형 철망과 연결유니트를 이용하여 호안, 사면 보호공, 하면 보호공 등에 시공석을 고정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토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사용할 경우 하천의 경사면 등에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시공석을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모듈화 되어 있어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 구조물의 내구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덮개철망 위로 시공석의 일부가 돌출되어 미관상 뛰어나고, 식생의 도입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구조물에 하천의 오물이 걸리는 문제가 개선된다.
시공석, 시공석 고정구조물, 조립형 철망, 고정 유니트

Description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FIXING METHOD OF A CONSTRUCTION STONE AND FIXING STRUCTURE OF THE SAME FOR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각 철망을 결합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밑철망과 연결유니트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측면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철망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철망이 시공석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철망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유니트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니트의 철망 연결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이 모듈별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방법을 고정단계별로 나타낸 단계도이다.
본 발명은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립형 철망과 연결유니트를 이용하여 호안, 사면 보호공, 하면 보호공 등에 시공석을 고정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토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호안, 사면 보호공, 하면 보호공 등에는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고 물의 범람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호안공작물이 시설되는데, 최근들어, 자 연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한 자연형 하천 조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친화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자연석이나 인공석(이하 '시공석')을 호안 구조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시공석을 호안의 하상보호공이나 사면보호공에 사용하는 경우 시공석 자체의 무게와 빠른 물의 흐름에 의한 외력에 구조물이 견딜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돌망태 및 스톤네트 등이 시공석의 고정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사각형의 지지부재를 사용한 돌망태의 경우, 철망 일부의 단절로 인해 호안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등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고, 철망에 이물질 등이 자주 걸려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식생을 위한 복토가 이루어질 수 없는 등 친환경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량하고자 개발된 육각형의 지지부재를 사용한 돌망태의 경우는 견고성면에서는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미관적인 면과 친환경성에 문제가 있음은 여전하였다.
또한, 돌망태는 돌의 쏠림에 의한 배부름 현상 등이 일어나 돌망태의 모양이 변형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제적으로 시공석을 고정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하며,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식생도입이 용이한 시공석 고정을 위한 토목구조물 및 시공석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상황에 맞게 변형사용이 가능한 시공석 고정을 위한 토목구조물 및 시공석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은, 철선을 교차결합하여 구성되고 구조물의 맨하부에 설치되어 시공석을 지지하는 밑철망과, 일정간격으로 상기 밑철망의 격자에 고정설치되어 시공석의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밑철망과 후술할 덮개철망을 결속하여 시공석을 고정시키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연결유니트와, 철선을 교차결합하여 구성되고 시공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니트에 결속되어 시공석을 고정시키는 덮개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공석 고정구조물은 구조물 하단의 토사에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흡출방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공석의 측면이탈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상기 밑철망 및 상기 덮개철망과 결속되어 밑철망의 외곽 경계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옆철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밑철망, 덮개철망, 옆철망은 틀이 되는 골선을 기준으로하여 철선이 균일 또는 비균일 격자형으로 얽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유니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덮개철망이 시공석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은 밑철망을 고정하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밑철망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시공석 사이의 빈 공간을 흙으로 복토하여 복토된 흙에 식생을 식재하거나 파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은,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기초를 정리하는 기초정리단계; 일정크기의 밑철망 혹은 기초망을 포설하는 밑철망포설단계; 시공석이 배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연결유니트를 밑철망과 결합하는 연결유니트설치단계; 포설된 밑철망 위에 일정규격의 시공석 복수개를 올려놓는 시공석배치단계; 시공석위로 덮개철망을 덮고 밑철망과 덮개철망을 연결유니트로 연결하여 결속하는 덮개철망 설치 및 결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기초정리단계 다음에 정리된 토사면 위에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기 위해 흡출방지재를 설치하는 흡출방지재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밑철망포설단계 다음에 밑철망에 지지고정유니트 등의 밑철망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밑철망고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공석배치단계 다음에 일정크기의 옆철망 혹은 측면지지대를 설치하여 결속하는 옆철망설치 및 결속단계를 더 포함할수 있으며, 상기 덮개철망 설치 및 결속단계 이후에 시공석 사이의 빈 공간을 흙으로 복토하는 복토단계 및 복토된 흙에 파종 혹은 식생을 식재하는 식생식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석을 고정시킨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구조물은 하천이나 수로의 경사면에 고정석을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생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어 종래의 호안구조물 보다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구조물은, 구조물의 최 하단부에 설치되어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흡출방지재(100)와, 상기 흡출방지재(100)의 상부에 포설되어 시공석(400)을 지지하는 밑철망(200)과, 일정간격으로 밑철망(200)의 격자에 고정 설치되어 시공석(400)의 이동을 방지하고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을 연결하여 시공석을 고정시키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연결유니트(300)와, 상기 연결유니트(300)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시공석(400)과, 밑철망(200)의 외곽 경계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시공석(400)의 측면이탈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옆철망(500)과, 시공석(400)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니트(300)에 결속되어 시공석(400)을 고정시키는 덮개철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한 흡출방지재(100) 및 옆철망(500)은 본 발명을 위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생략이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토목구조물은 밑철망을 고정하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밑철망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시공석(400) 사이의 빈 공간을 흙으로 복토하여 복토된 흙에 식생체를 식재하거나 파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각 철망(200,500,600)을 연결하는 여러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밑철망(200), 옆철망(500), 덮개철망(600)은 각각 틀이되는 골선을 기준으로하여 철선이 균일 혹은 비균일하게 얽혀진 형태로 구성되며, 철망간의 연결은 각 골선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망간의 연결방법으로는 각 철망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철선(510)를 이용하는 방법과, 클립(540)을 이용하는 방법 및 스프링(550)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옆철망(500)과 밑철망(200)의 경우에는 스프링(550)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옆철망(500)과 옆철망(500) 또는 옆철망(500)과 덮개철망(600)은 클립(540)을 이용한 연결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밑철망(200)과 밑철망(200)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유니트(300) 및 상기 밑철망고정수단(210)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니트(300)는, 시공석을 놓을 위치를 고려하여 밑철망에 고정와셔(310)를 둔 후 연결유니트(300)의 하부연결부를 밑철망(200)의 격자철선에 고정시키는 형태로 밑철망에 설치된다. 한편, 밑철망(200)을 경사각이 급한 사면 등에 포설하는 경우 도시한 밑철망고정유니트(210)와 같은 밑철망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밑철망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철망(200)은 도시한 것과 같은 사각형 격자모양를 비롯하여 마름모형, 육각형형 등 다양한 격자 모양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균일한 형태의 격자를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하고자 하는 시공석의 크기가 큰 경우 비균일 격자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옆철망(500)은, 시공석(400)이 상부로 잘 도출되도록 시공성(4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시공의 경제적을 높이기 위하여 옆철망(500)의 상·하단부에 고정철선(510)을 두어 상기 밑철망(200)과 덮개철 망(600)에 연속적으로 이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철선(510)외에 도 3에 도시한 클립(540)이나 스프링(550) 등을 이용하여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에 결속할 수도 있다.
한편, 철망들간은 옆철망(500)의 잔여 철선을 이용하여 결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옆철망(500)은 가로로 형성되는 가로지지대(520) 및 세로로 형성되는 세로지지대(530)을 통해 일정틀을 유지하고 상기 가로지지대(520) 및 세로지지대(530)에 일정간격마다 고정철선(510)을 두어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을 결속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고정철선(510)대신 도 3에 도시한 클립(540)이나 스프링(550) 등을 이용하여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에 결속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의 덮개철망 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균일격자형 덮개철망(600) 또는 비균일격자형 덮개철망(600a)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균일격자형 덮개철망(600a)의 경우 큰 망목(610)에 시공석(400)이 놓여지고, 작은 망목(620,620a)에는 연결유니트(300)와 같은 체결수단이 연결된다. 상기 큰 망목(610)의 크기는 시공석의 직경보다 작도록 하여 망목으로 시공석이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
시공석의 크기가 다양한 경우 큰 망목(610) 사이에 보조철선(630)을 두어 시공석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의 덮개철망(600b,600c)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철선(630)은 시공석의 표면을 따라 감싸 않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석이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는 상기 비균일격자형 덮개철망(600a)이 시공석을 고정시킨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연결유니트(300)의 상부연결부가 덮개철망(600a)의 작은망목(620)에 위치한 고정와셔(310)를 통해 연결 고정되며 큰 망목(610)의 직경은 시공석(40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시공석을 고정시킨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큰 망목(610)위로 보조철선(630)을 두어 보조철선(630)이 시공석의 표면을 따라 감싸 않는 형태의 도 7에 도시된 덮개철망(600b,600c)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도 9는 덮개철망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것처럼, 덮개철망의 철선을 대각선으로 엇갈려 설치하는 경우 수리적으로 안정성이 높아져 풍수기나 홍수기에 시공석의 유실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다.
도 10은 밑철망과 덮개철망을 연결하는 연결유니트의 다양한 구성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장 기본적인 연결유니트인 [가]의 경우, 밑철망(200)의 하부에 고정와셔(310)를 두고 하부 너트형연결봉(330)을 상기 고정와셔(310)를 통해 고정시키며, 상부에는 덮개철망(600)위에 상부 고정와셔(310)를 두고 상부 볼트형연결봉(320)을 관통시켜 하부 너트형연결봉(330)과 나사결합시켜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부 고정와셔(310)위에는 고정너트(350)를 두어 상부 볼트형연결봉(320)의 회전을 통해 연결유니트(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유니트의 다른 실시예인 [나]의 경우, 중간부 너트형연결봉(330')을 중앙에 위치시킨 후 상하로 볼트형연결봉(320)을 나사결합시켜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을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고정와셔(310)위에는 [가]의 경우와 같이 고정너트(350)를 두어 1차로 너트형연결봉(330')의 회전을 통해 연결유니트(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2차로 고정너트(350)를 이용하여 연결유니트(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다]의 경우, 하부 고정와셔(310)를 밑철망(200) 밑에 두고 철선이나 와이어(340)를 중간고정와셔(310')에 연결시킨 후, 상부 볼트형연결봉(320)을 중간고정와셔(310')에 관통시켜 고정너트(350)로 고정시키며, 덮개철망(600) 위에 상부 고정와셔(310)를 두고 중간고정와셔(310')에 고정된 볼트형연결봉(320)을 관통시켜 상부 고정너트(350)에 연결하는 것으로, 상부 고정와셔(310)위에 있는 고정너트(350)의 회전을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인 [라]의 경우, 고정와셔(310)가 설치된 밑철망(200) 및 덮개철망(600)에 철선 또는 와이어(340)가 상·하로 결합되고 상기 상·하 와이어(340)에 중간고정와셔(310')를 설치한 후 볼트형연결봉(320)을 통해 결합 연결하는 형태로서, 시공석(400)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트형 연결봉에 고정너트(350)를 삽입하여 연결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연결유니트(300)의 또 다른 구성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형의 연결유니트는, 크게 머리쪽 갈고리를 통해 밑철망(200)과 결합하는 갈고리형연결봉(370)과, 상부 덮개철망을 관통하는 볼트형연결봉(320)과,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갈고리형연결봉(370)과 볼트형연결봉(320)과 나사결합되는 중간부 너트형연결봉(330')으로 구성된다. 상부 덮개철망(600)에는 고정와셔(310)가 설치되며 볼트형연결봉(320)에는 고정너트(350)가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형은, [가]형의 갈고리형연결봉(370) 대신 A고리형연결봉(380)을 사용하는 경우이며, [다]형은, 원형고리형연결봉을(390)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라]형은 갈고리부를 착탈할 수 있는 착탈식 갈고리형연결봉(370')을 사용한 경우이다.
도 12는 연결유니트(300)의 또 다른 구성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형의 연결유니트는, 중간부 너트형연결봉(330')을 중심으로 A고리형연결봉(380)이 상하로 나사결합되며 A고리형연결봉(380)의 상·하 A고리를 이용하여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의 철선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중간부 너트형연결봉(330')의 회전을 통해 연결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고, [나]형은 하단의 A고리형연결봉(380)대신 갈고리형연결봉(370)을 사용한 것이며, [다]형은 하단에 원형고리형연결봉(390)을 사용한 경우이며, [라]형은 상·하단 모두에 갈고리형연결봉(370)을 사용한 경우이다.
도 13는 상기한 연결유니트의 갈고리형연결봉(370), A고리형연결봉(380), 원형고리형연결봉(390) 및 착탈식 갈고리형연결봉(370')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각 연결봉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결합용볼트형연결봉(360)에 각각 갈고리(371), A형고리(381), 원형고리(391), 착탈식갈고리(371')가 결합된 형태로 구 성된다. 상기 고리결합용볼트형연결봉(360)은 헤드부에 원형회전판(361)이 구비되어 상기 각 고리들과 결합한 상태에서 고리결합용볼트형연결봉(36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원형회전판(361) 하단의 목부위에는 다각형회전판(362)을 구비하여 공구를 활용하여 고리결합용볼트형연결봉(360)을 회전시켜 연결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연결유니트(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가]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와셔(310)를 장착한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에 철선 또는 와이어(340)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다],[라]의 경우 처럼 볼트나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곡선형고리(300a,300b,300c)를 이용하여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결유니트(300)는 시공석(400)의 크기가 작을 때 유용하다.
기타 시공석(400)의 크기가 일정한 경우에는 일정길이의 직선형 철선 또는 와이어를 중심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기한 각종고리를 결합한 끈형 연결유니트를 사용하여 밑철망(200)과 덮개철망(600)을 연결하여 시공석(40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길이조절이 불가능한 상기 끈형 연결유니트로 시공석을 1차적으로 고정한 후, 2차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유니트를 사용하여 덮개철망이 시공석표면을 따라 덮어지도록 하여 시공석을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이 모듈화 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각 모듈부분은 공장이나 기타 다른 곳에서 각각 생산될 수 있으며, 각 모듈에 구비된 다양한 연결수단을 통하여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 는 것이 특징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의 시공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방법은,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기초를 정리하는 기초정리단계(S10); 정리된 토사면 위에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기 위해 흡출방지재를 설치하는 흡출방지재설치단계(S20); 흡출방지재 위로 일정크기의 밑철망 혹은 기초망을 포설하는 밑철망포설단계(S30); 밑철망에 지지고정유니트 등의 밑철망고정수단을 박아 안정성을 높이는 밑철망고정단계(S40); 시공석이 배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밑철망위에 연결유니트를 설치하는 연결유니트설치단계(S50); 포설된 밑철망 위에 일정규격의 시공석 복수개를 올려놓는 시공석배치단계(S60); 일정크기의 옆철망 혹은 측면지지대를 설치하여 결속하는 옆철망설치 및 결속단계(S70); 시공석위로 덮개철망을 덮고 밑철망과 덮개철망을 연결유니트로 연결한 후 연결유니트를 수축시켜 덮개철망을 시공석에 밀착시키는 덮개철망 설치 및 결속단계(S80); 시공석 사이의 빈 공간을 흙으로 복토하는 복토단계(S90) 및 복토된 흙에 파종 혹은 식생을 식재하는 식생식재단계(S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단계 중 흡출방지재설치단계(S20), 밑철망고정단계(S40), 옆철망설치 및 결속단계(S70), 복토단계(S90), 식생식재단계(S100)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적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방법은 시공석을 배치하기 전에 연결유니트를 설치하지 않고 밑철망 위에 시공석을 배치하고 덮개철망을 시공석 위에 위치시킨 후에 배치된 시공석의 사이 공간을 이용하여 연결유니트를 설치하고 밑철망과 덮개철망을 설치된 연결유니트로 결속한 후 상기 연결유니트를 수축시켜 덮개철망을 시공석에 밀착시키는 과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함께 균등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고정용 구조물을 이용할 경우 하천의 경사면 등에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시공석을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모듈화 되어 있어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 구조물의 내구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덮개철망 위로 시공석의 일부가 돌출되어 미관상 뛰어나고, 식생의 도입이 용이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의 단점인 하천의 오물이 걸리는 문제가 개선된다.

Claims (11)

  1. 철선을 교차결합하여 구성되고 구조물의 맨하부에 설치되어 시공석을 지지하는 밑철망과,
    일정간격으로 상기 밑철망의 격자에 고정설치되어 시공석의 이동을 방지하며 밑철망과 덮개철망을 결속하여 시공석을 고정시키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연결유니트와,
    철선을 교차결합하여 구성되고 시공석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니트에 결속되어 시공석을 고정시키는 덮개철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석 고정구조물은, 구조물 하단의 토사 위에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흡출방지재와,
    상기 시공석의 측면이탈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상기 밑철망 및 덮개철망과 결속되어 밑철망의 외곽 경계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옆철망 및,
    밑철망을 고정하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밑철망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시공석 사이의 빈 공간을 흙으로 복토하여 복토된 흙에 식생을 식재하거나 파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철망, 덮개철망 및 옆철망은 틀이 되는 골선을 테두리로 하여 철선이 균일 또는 비균일 격자형으로 얽혀있는 것과,
    상기 연결유니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덮개철망이 시공석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철망 및 덮개철망은 클립, 스프링, 상기 옆철망의 상·하단부에 구비되는 고정철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옆철망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철망은 큰망목과 작은 망목으로 구성되는 비균일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시공석은 덮개철망의 큰 망목에 위치하고 연결유니트는 작은 망목과 연결되며,
    상기 큰 망목은 시공석의 크기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상기 옆철망은 시공석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니트를 통해 밑철망과 덮개철망을 연결 수축함에 따라 상기 덮개철망이 시공석을 감싸안으며 밀착되어 시공석의 상부 돌출부분의 곡선모양 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철망은 큰 망목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외력에 따라 변형되는 보조철선을 구비하여 시공석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니트는, 볼트형 연결봉과 너트 또는 볼트형연결봉과 너트형연결봉을 포함하는 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트형 연결봉과 너트 또는 볼트형연결봉과 너트형연결봉의 나사결합을 통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니트는, 양말단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갈고리, A형고리, 원형고리, 착탈식 갈고리 등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상기 밑철망 및 상기 덮개철망과 연결되며,
    상기 갈고리, A형고리, 원형고리, 착탈식 갈고리 등은 고리결합용볼트형연결봉을 통해 결합 연결되고, 상기 고리결합용볼트형연결봉은 헤드부에 원형회전판을 구비하여 상기 각 고리들과 결합한 상태에서 고리결합용볼트형연결봉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형회전판 하단의 목부위에는 다각형회전판을 구비하여 이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공구를 이용하여 고리결합용볼트형연결봉을 회전시킴으로써 연 결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
  9.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기초를 정리하는 기초정리단계와,
    일정크기의 밑철망 혹은 기초망을 포설하는 밑철망포설단계와,
    시공석이 배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연결유니트를 밑철망과 결합하는 연결유니트설치단계와,
    포설된 밑철망 위에 일정규격의 시공석 복수개를 올려놓는 시공석배치단계 및,
    시공석위로 덮개철망을 덮고 밑철망과 덮개철망을 연결유니트로 연결한 후 연결유니트를 수축시켜 덮개철망을 시공석에 밀착시키는 덮개철망 설치 및 결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방법.
  10.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기초를 정리하는 기초정리단계와,
    일정크기의 밑철망 혹은 기초망을 포설하는 밑철망포설단계와,
    포설된 밑철망 위에 일정규격의 시공석 복수개를 올려놓는 시공석배치단계와,
    시공석위로 덮개철망을 덮고 시공석 사이 공간에 연결유니트를 설치하는 덮개철망 및 연결유니트 설치단계 및,
    밑철망과 덮개철망을 연결유니트로 결속한 후 연결유니트를 수축시켜 덮개철망을 시공석에 밀착시키는 덮개철망결속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방법.
  11.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리단계 이후에 정리된 토사면 위에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기 위해 흡출방지재를 설치하는 흡출방지재설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밑철망포설단계 이후에 밑철망에 지지고정유니트 등의 밑철망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밑철망고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공석배치단계 이후에 시공석의 높이보다 낮은 옆철망 혹은 측면지지대를 설치하여 결속하는 옆철망설치 및 결속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철망 설치 및 결속단계 이후에 시공석 사이의 빈 공간을 흙으로 복토하는 복토단계 및 복토된 흙에 파종 혹은 식생을 식재하는 식생식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석 고정방법.
KR1020040059766A 2004-07-29 2004-07-29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KR100625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766A KR100625623B1 (ko) 2004-07-29 2004-07-29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766A KR100625623B1 (ko) 2004-07-29 2004-07-29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693U Division KR200364575Y1 (ko) 2004-07-29 2004-07-29 시공석 고정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86A true KR20060011086A (ko) 2006-02-03
KR100625623B1 KR100625623B1 (ko) 2006-09-20

Family

ID=3712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766A KR100625623B1 (ko) 2004-07-29 2004-07-29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6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80B1 (ko) * 2006-06-13 2007-11-08 (주)리버앤텍 상하 철망을 직접연결하여 시공석을 고정하는 시공석고정구조물
KR100877723B1 (ko) * 2007-11-14 2009-01-0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CN105971393A (zh) * 2016-06-29 2016-09-28 皖西学院 一种快速堆垛可拆卸式围墙及其施工方法
KR102072070B1 (ko) * 2019-07-15 2020-01-31 주식회사 타이슨 스톤네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스톤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40B1 (ko) * 2007-11-16 2008-01-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자연석이 설치된 락매트의 고정장치
KR100817471B1 (ko) * 2007-11-23 2008-03-31 대한이.이엔.씨(주)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41792B1 (ko) * 2010-06-30 2011-06-20 주식회사 다인에스코 스톤 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257A (ja) * 1997-08-13 1999-04-27 Sanki Block Kk 護岸用ブロック
JP3580359B2 (ja) * 2000-07-21 2004-10-20 株式会社オキナヤ 自然石固定装置
KR100500660B1 (ko) * 2000-10-19 2005-07-11 주식회사 환경공학연구소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KR100465836B1 (ko) * 2002-12-30 2005-01-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JP5878094B2 (ja) * 2012-08-15 2016-03-08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住環境危険性対策案提供システム及び住環境危険性対策案提供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80B1 (ko) * 2006-06-13 2007-11-08 (주)리버앤텍 상하 철망을 직접연결하여 시공석을 고정하는 시공석고정구조물
KR100877723B1 (ko) * 2007-11-14 2009-01-0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CN105971393A (zh) * 2016-06-29 2016-09-28 皖西学院 一种快速堆垛可拆卸式围墙及其施工方法
KR102072070B1 (ko) * 2019-07-15 2020-01-31 주식회사 타이슨 스톤네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스톤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623B1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979B1 (ko)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KR100844925B1 (ko) 자연석 고정용 장치
KR101413262B1 (ko)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매트리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0625623B1 (ko)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KR100795040B1 (ko) 자연석이 설치된 락매트의 고정장치
KR100774880B1 (ko) 상하 철망을 직접연결하여 시공석을 고정하는 시공석고정구조물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64575Y1 (ko) 시공석 고정구조물
KR100525327B1 (ko) 시공석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
KR200443790Y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
KR101782157B1 (ko) 친환경 스톤네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91505B1 (ko) 친환경 하천변 보강구조물
KR100891507B1 (ko)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과 이를 이용한 조경석 어셈블리 및 와이어 고정장치
KR101197247B1 (ko) 전면식생을 고려한 식생블록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WO2006025657A1 (en) Vegetation type non woven fabric, revetment structure and 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716388B1 (ko)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KR100991849B1 (ko) 일괄 조립식 지주형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211228447U (zh) 一种防治水土流失的格栅
KR200403595Y1 (ko) 시공석 토목구축모듈을 이용한 토목구축물
JP4167915B2 (ja) 法面補強工法
CN213114502U (zh) 一种水利工程建设混凝土护坡墙
JP4237697B2 (ja) 河川の護岸装置及び河川の護岸工法
JP5211010B2 (ja) 垂直面崩落防止構造
KR200463548Y1 (ko) 사면 보호용 시공석 고정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913

Effective date: 201108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11107

Effective date: 20111221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ree format text: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OF CORREC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06

Effective date: 20120926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20704

Effective date: 20120926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07

Effective date: 20120926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21015

Effective date: 20140227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015

Effective date: 201402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320

Effective date: 201406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