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388B1 -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388B1
KR101716388B1 KR1020160089069A KR20160089069A KR101716388B1 KR 101716388 B1 KR101716388 B1 KR 101716388B1 KR 1020160089069 A KR1020160089069 A KR 1020160089069A KR 20160089069 A KR20160089069 A KR 20160089069A KR 101716388 B1 KR101716388 B1 KR 10171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ortion
ground
anchor member
wing
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운
Priority to KR102016008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지반 위에 설치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는, 지반 속에 매립 설치되는 앵커부재와,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와 앵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한다. 앵커부재는, 하단이 지표면을 뚫고 지반 속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헤드부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단이 헤드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날개부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단이 헤드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헤드부에 대해 제 1 날개부와 대칭을 이루는 제 2 날개부를 구비한다. 연결 와이어는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중간 및 제 2 날개부 중간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NET FOR GROUND PROTECTION CONSTRUCTION}
본 발명은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속에 매설되어 스톤네트 공법이나 개비온 공법 등 지반 보호 공사에 이용되는 망체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하천 유역의 토지 이용 역시 증대됨에 따라 홍수를 방지하는 치수 목적이나 하천 주변의 경관을 위한 목적 등의 하천 주변 사면에 대한 사면보호 공사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종래의 사면보호를 위한 시공으로는 인공 콘크리트 구조물을 사용하여 하천의 사면 전체를 콘크리트 블럭화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콘크리트 블럭화 방식은 하천수가 토양층에 침투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시켜 자연하천의 식생 환경을 변질시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천변식생이 제공하는 그늘을 사라지게 함으로써 극심한 수온 변화를 야기하며, 수중저서 생물, 어류의 서식처, 산란처를 파괴하고, 천변식생지 주변에서 먹이를 취하고 식생덤불에 은신하는 조류의 서식기반까지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연석이나 인조석 등의 스톤을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공법이 개발되었다. 스톤을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공법으로는 스톤네트 공법, 스톤매트 공법, 개비온 공법 등이 있다.
스톤네트 공법은 특수한 제조법에 의거하여 자연석과 철망이 일체화된 스톤네트를 하천 사면과 하상에 설치하는 공법으로서, 공사 후에는 자연석과 식생녹화가 어우러져 하천 사면과 하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자연친화적 공법이다. 스톤네트 공법은 자연석이 단독으로 유수력에 저항하는 것과는 달리 자연석 전체가 일체화 되어 유수력에 대응하며, 또한 자연석과 자연석 사이의 자연스러운 공극에 복토하여줌으로써 식물이 식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톤매트 공법은 특수 철망상자에 잡석이나 접촉재 등을 채우고 윗뚜껑을 스톤네트로 붙여 일체화시킨 스톤매트를 연약지반 또는 소류력이 큰 하천의 호안이나 하상에 설치하는 공법이다. 스톤매트 공법 역시 자연석 단독으로 유수력에 저항하는 것과는 달리, 채움재가 가득 담긴 철망상자와 스톤네트가 일체화되어 상당한 자중으로 사면보호에 뛰어난 효과를 발할 수 있다. 또한 스톤매트 공사 후에는 자연석과 식생녹화가 어우러져 하천 사면을 안정화시키며, 하상에는 세굴 방지와 수질정화 기능에 높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개비온(gabion) 공법은 철망에 쇄석을 채운 개비온을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개비온 공법은 배수성 및 안정성이 뛰어나 불안정한 사면의 보호용으로 많이 시공되고 있다. 하천 유역에 적용되는 개비온 공법은 하천 유역의 경사면을 개비온으로 덮음으로써 유속에 의한 토사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녹지가 형성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공법이다.
이들 스톤을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지반 보호 공법은 스톤과 망체가 결합된 스톤 구조체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반 속에 매립되는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고정장치를 지반 속에 압입 설치하고 고정장치에 스톤 구조체의 망체를 연결함으로써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고정장치가 개발되어 있지만, 스톤 구조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138723호 (2012. 04. 2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지반 위에 설치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는, 지반 위에 놓이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와 연결되어 상기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에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것으로, 하단이 지표면을 뚫고 지반 속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헤드부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날개부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에 대해 상기 제 1 날개부와 대칭을 이루는 제 2 날개부를 구비하고, 지반 속에 매립된 설치되는 앵커부재; 및 상기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중간 및 제 2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어 상기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와 상기 앵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와이어는, 그 일부분이 상기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중간에 마련되는 제 1 결합구멍에 삽입되되,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상기 제 1 날개부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앵커부재의 제 2 날개부 중간에 마련되는 제 2 결합구멍에 삽입되되,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에 의해 상기 제 2 날개부의 결합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상기 제 2 날개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2 날개부의 구조는 동일하고, 상기 제 1 날개부의 제 1 결합구멍이 상기 제 1 날개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L)는 아래의 [수학식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16068113695-pat00001
(여기에서, h는 상기 제 1 날개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 a는 제 1 날개부의 상단 길이, b는 제 1 날개부의 하단 길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는, 상기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2 날개부 사이의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 벌이지지 않도록 상기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2 날개부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는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와이어는, 그 일부분이 상기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중간에 마련되는 제 1 결합구멍에 삽입되되,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상기 제 1 날개부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앵커부재의 제 2 날개부 중간에 마련되는 제 2 결합구멍에 삽입되되,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에 의해 상기 제 2 날개부의 결합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상기 제 2 날개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의 상기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과 상기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 사이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의 헤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삼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날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부의 상단 길이와 상기 제 1 날개부의 하단 길이 및 상기 제 2 날개부의 하단 길이는 모두 동일하고, 상기 헤드부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과 상기 제 1 날개부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 및 상기 제 2 날개부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 1 날개부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 1 결합구멍과 상기 헤드부의 중간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제 2 날개부의 중간에 구비되는 제 2 결합구멍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앵커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날개부의 제 1 결합구멍은 상기 제 1 날개부의 하단 중앙과 상단 중앙을 연결한 선 상에서 상기 제 1 날개부의 무게중심(G)보다 상기 제 1 날개부의 상단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날개부의 제 2 결합구멍은 상기 제 2 날개부의 하단 중앙과 상단 중앙을 연결한 선 상에서 상기 제 2 날개부의 무게중심(G)보다 상기 제 2 날개부의 상단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는 지반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의 날개부가 지반 속에서의 이동에 대해 저항함으로써 지반 속에서 쉽게 뽑히지 않고, 앵커부재가 연결 와이어를 통해 지반 위에 설치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와 연결됨으로써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를 움직이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는 앵커부재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끝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을 이루므로, 앵커부재가 그 뾰족한 끝단을 통해 원활하게 지표면을 뚫고 들어갈 수 있고, 앵커부재의 날개부들이 탄성 변형되어 접히면서 지반 속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구멍을 뚫지 않고도 앵커부재를 지반 속에 쉽게 매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는 연결 와이어가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 각각의 중간에 연결되므로, 지반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가 지표면 쪽으로 당김력을 받을 때,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가 쉽게 꺾이지 않는다. 따라서 앵커부재가 날개부들이 지반 속에서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당김력에 대한 양호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어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의 날개부에 마련되는 결합구멍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는 지반(G) 위에 놓이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와 연결되어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에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G) 속에 매립되는 앵커부재(110)와, 앵커부재(110)와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는 앵커부재(110)가 지반(G) 속에 박힌 상태에서 연결 와이어(120)가 앵커부재(110)와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연결함으로써,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지반(G)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로는 스톤네트, 스톤매트, 개비온 등 다양한 지반 보호용 구조체를 구성하는 망체일 수 있다.
앵커부재(110)는 헤드부(111)와, 헤드부(111)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날개부(112) 및 제 2 날개부(114)를 포함한다. 앵커부재(110)는 헤드부(111)와 제 1 날개부(112) 및 제 2 날개부(114)가 방사형으로 결합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헤드부(111)는 그 하단이 지표면을 뚫고 지반(G) 속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삼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헤드부(111)는 제 1 날개부(112) 및 제 2 날개부(114)와 연결된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하단이 뾰족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앵커부재(110)를 지반(G) 속에 매립할 때, 헤드부(111)의 끝단을 지표면에 대고 앵커부재(110)를 전동 해머 등의 공구(20; 도 6 참조)로 가압하면 헤드부(111)가 먼저 지표면을 뚫고 지반(G) 속으로 들어가면서 앵커부재(110)가 매립될 수 있다. 따라서 앵커부재(110) 매립 작업 시 지반(G)에 구멍을 뚫지 않고도 앵커부재(110)를 매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날개부(112)는 헤드부(111)에 대해 탄성 변형하여 헤드부(111)와의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헤드부(111)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 1 날개부(112)는 그 하단이 헤드부(111)의 상단에 연결되어 헤드부(111)와 둔각을 이룬다. 제 1 날개부(112)는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날개부(112)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은 헤드부(111)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과 같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앵커부재(110)를 측면에서 볼 때, 앵커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끝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제 1 날개부(112)의 중간에는 연결 와이어(120)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구멍(113)이 구비된다.
제 2 날개부(114)는 제 1 날개부(112)와 대칭을 이루도록 헤드부(111)에 연결된다. 즉, 제 2 날개부(114)는 헤드부(111)에 대해 탄성 변형하여 헤드부(111)와의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헤드부(111)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 2 날개부(114)는 그 하단이 헤드부(111)의 상단에 연결되어 헤드부(111)와 둔각을 이룬다. 제 2 날개부(114)는 제 1 날개부(112)와 구조가 같은 것으로, 제 2 날개부(114)는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날개부(114)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은 헤드부(111)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과 같다. 따라서 앵커부재(110)를 좌측 측면이나 우측 측면에서 볼 때, 앵커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끝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제 2 날개부(114)의 중간에는 연결 와이어(120)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구멍(11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앵커부재(110)는 제 1 날개부(112)와 제 2 날개부(114)가 각각 헤드부(111)와 각각 둔각을 이루며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앵커부재(110)는 공구(20)의 타격으로 지반(G) 속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지반(G) 속으로 진입한 앵커부재(110)는 제 1 날개부(112) 및 제 2 날개부(114)가 헤드부(111)의 상측에 상호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지표면 쪽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커져 지반(G) 속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없다.
연결 와이어(120)는 앵커부재(110)의 제 1 날개부(112) 및 제 2 날개부(114)와 각각 결합되어 지반(G) 위에 설치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와 앵커부재(110)를 연결한다. 연결 와이어(120)는 그 일부분이 제 1 날개부(112)의 제 1 결합구멍(113)에 삽입되어 제 1 날개부(112)와 결합된다. 연결 와이어(120)의 일단부는 연결 와이어(120)가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121)에 의해 제 1 결합구멍(113)에서 빠지지 않게 제 1 날개부(11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와이어(120)는 다른 일부분이 제 2 날개부(114)의 제 2 결합구멍(115)에 삽입되어 제 2 날개부(114)와 결합된다. 연결 와이어(120)의 타단부는 연결 와이어(120)가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122)에 의해 제 2 결합구멍(115)에서 빠지지 않게 제 2 날개부(114)와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 와이어(120)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날개부(112)(114)의 결합구멍(113)(115)에 각각 삽입하고 연결 와이어(120)가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날개부 결합 매듭(121)(122)에 의해 결합구멍(113)(115)에서 빠지지 않게 함으로써, 연결 와이어(120)를 손쉽게 앵커부재(11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는 전동 해머 등의 공구(20; 도 6 참조)를 이용하여 앵커부재(110)가 지반(G) 속에 매립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의 설치 시, 연결 와이어(120)를 앵커부재(110)에 연결한 상태에서 앵커부재(110)의 헤드부(111) 끝단을 지표면에 대고 공구(20)로 제 1 날개부(112)와 제 2 날개부(114)의 연결 부분을 타격하면 헤드부(111)가 지표면을 뚫고 지반(G) 속으로 들어간다. 앵커부재(110)를 전체적으로 볼 때, 앵커부재(1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끝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을 이루므로, 앵커부재(110)는 그 뾰족한 끝단을 통해 지표면을 뚫고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날개부(112)와 제 2 날개부(114)는 지반(G) 속에서 저항력을 받아 탄성 변형되어 휘어지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지반(G) 속으로 들어가는 저항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앵커부재(110)는 원활하게 지반(G) 속에 매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앵커부재(110)를 지반(G) 속에 매립한 후,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앵커부재(110)를 연결 와이어(120)를 이용하여 지반(G) 위에 설치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와 연결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에 대한 고정력을 증가시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지반(G)에서 미끄러지거나 밀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가 지반(G)에서 미끄러지거나 지반(G) 위로 들뜨려는 외력을 받게 되는 경우, 그 힘이 연결 와이어(120)를 통해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110)에 전달된다. 앵커부재(110)가 연결 와이어(120)에 의해 당겨져 움직이면 제 1 날개부(112)와 제 2 날개부(114)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지반(G) 속에서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앵커부재(110)는 지반(G) 속에서 제 1 날개부(112)와 제 2 날개부(114)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으로 지반(G) 속에서 쉽게 뽑히지 않으며,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움직이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는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110)가 이에 구비된 한 쌍의 날개부(112)(114)가 지반(G) 속에서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반(G) 속에서 쉽게 뽑히지 않고, 연결 와이어(120)를 통해 지반(G) 위에 설치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움직이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는 앵커부재(110)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끝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을 이루므로, 앵커부재(110)가 그 뾰족한 끝단을 통해 원활하게 지표면을 뚫고 들어갈 수 있고, 한 쌍의 날개부(112)(114)가 탄성 변형되어 접히면서 지반(G) 속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구멍을 뚫지 않고도 앵커부재(110)를 지반(G) 속에 쉽게 매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는 연결 와이어(120)가 제 1 날개부(112) 및 제 2 날개부(114) 각각의 중간에 연결되므로,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110)가 지표면 쪽으로 당김력을 받을 때, 제 1 날개부(112) 및 제 2 날개부(114)가 쉽게 꺾이지 않는다. 즉, 연결 와이어(120)가 제 1 날개부(112) 및 제 2 날개부(114)를 지지함으로써 지반(G) 속에서 제 1 날개부(112)와 제 2 날개부(114) 각각의 탄성 변형량이 제한되고, 제 1 날개부(112)와 제 2 날개부(114) 사이의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앵커부재(110)의 날개부들(112)(114)이 지반(G) 속에서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앵커부재(110)가 당김력에 대한 양호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200)는 지반(G) 속에 매립되는 앵커부재(210)와, 앵커부재(210)와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220)와, 앵커부재(21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30)(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200) 역시 앵커부재(210)가 지반(G) 속에 박힌 상태에서 연결 와이어(220)가 앵커부재(210)와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연결함으로써,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지반(G)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앵커부재(210)는 헤드부(211)와, 헤드부(211)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날개부(212) 및 제 2 날개부(214)를 포함한다.
헤드부(211)는 제 1 날개부(212) 및 제 2 날개부(214)와 연결된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하단이 뾰족한 삼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날개부(212)는 헤드부(211)에 대해 탄성 변형하여 헤드부(211)와의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헤드부(211)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 1 날개부(212)는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날개부(212)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은 헤드부(211)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과 같다. 제 1 날개부(212)의 중간에는 연결 와이어(220)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구멍(213)이 구비된다.
제 2 날개부(214)는 헤드부(211)에 대해 탄성 변형하여 헤드부(211)와의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제 1 날개부(212)와 대칭을 이루며 헤드부(211)에 연결된다. 제 2 날개부(214)는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날개부(214)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은 헤드부(211)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과 같다. 제 2 날개부(214)의 중간에는 연결 와이어(220)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구멍(215)이 구비된다.
연결 와이어(220)는 앵커부재(210)의 제 1 날개부(212) 및 제 2 날개부(214)와 각각 결합되어 지반(G) 위에 설치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와 앵커부재(210)를 연결한다. 연결 와이어(220)는 그 일부분이 제 1 날개부(212)의 제 1 결합구멍(213)에 삽입되어 제 1 날개부(212)와 결합된다. 연결 와이어(220)의 제 1 결합구멍(213)에 삽입된 부분의 양쪽에는 제 1 날개부(212)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221)(222)이 구비된다. 이들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221)(222)은 연결 와이어(220)가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것으로, 연결 와이어(220)는 이들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221)(222)에 의해 제 1 결합구멍(213)에서 빠지지 않게 제 1 날개부(21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와이어(220)는 다른 일부분이 제 2 날개부(214)의 제 2 결합구멍(215)에 삽입되어 제 2 날개부(214)와 결합된다. 연결 와이어(220)의 제 2 결합구멍(215)에 삽입된 부분의 양쪽에는 제 2 날개부(214)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223)(224)이 구비된다. 이들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223)(224)은 연결 와이어(220)가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것으로, 연결 와이어(220)는 이들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223)(224)에 의해 제 2 결합구멍(215)에서 빠지지 않게 제 2 날개부(214)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220)의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 즉, 제 1 날개부(212) 안쪽에 제 1 결합구멍(213)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221)과 제 2 날개부(214) 안쪽에 제 2 결합구멍(215)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223) 사이의 연결 와이어(220) 중간 부분은 하나의 지지부재(230)를 구성한다. 이러한 와이어 구조의 지지부재(230)는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 사이의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 벌이지지 않도록 제 1 날개부(212) 및 제 2 날개부(214)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가 당겨짐에 의해 지반(G) 속에서 저항력을 받아 헤드부(211)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호 벌어질 때, 지지부재(230)가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를 상호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는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210)는 지표면 쪽으로 당김력을 받을 때 그 날개부들(212)(214)이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당김력에 대한 양호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와이어(220)의 일부분을 지지부재(230)로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를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앵커부재(210)에 결합되는 또 다른 지지부재(2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판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지지부재(240)는 그 일단이 제 1 날개부(212)의 중간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날개부(214)의 중간에 결합됨으로써,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 사이의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 벌이지지 않도록 앵커부재(210)의 제 1 날개부(212) 및 제 2 날개부(214)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한다. 이러한 지지부재(240)는 와이어 구조의 지지부재(23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배치된다. 이들 한 쌍의 지지부재(240)는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210)가 지표면 쪽으로 당김력을 받을 때 앵커부재(210)의 날개부들(212)(214)이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앵커부재(210)가 지반(G) 속에서 당김력에 대한 양호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20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동 해머 등의 공구(20)를 이용하여 앵커부재(210)가 지반(G) 속에 매립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200)의 설치 시, 연결 와이어(220)를 앵커부재(210)에 연결한 상태에서 앵커부재(210)의 헤드부(211) 끝단을 지표면에 대고 공구(20)의 타격부(21)로 제 1 날개부(213)와 제 2 날개부(214)의 연결 부분을 타격하면 헤드부(211)가 지표면을 뚫고 지반(G) 속으로 들어간다. 앵커부재(210)를 전체적으로 볼 때, 앵커부재(2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끝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을 이루므로, 앵커부재(210)는 그 뾰족한 끝단을 통해 원활하게 지표면을 뚫고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는 지반(G) 속에서 저항력을 받아 탄성 변형되어 휘어지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지반(G) 속으로 들어가는 저항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앵커부재(210)는 원활하게 지반(G)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앵커부재(210)를 지반(G) 속에 매립한 후,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앵커부재(210)를 연결 와이어(220)를 이용하여 지반(G) 위에 설치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와 연결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200)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에 대한 고정력을 증가시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지반(G)에서 미끄러지거나 밀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가 지반(G)에서 미끄러지거나 지반(G) 위로 들뜨려는 외력을 받게 되는 경우, 그 힘이 연결 와이어(220)를 통해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210)에 전달된다. 앵커부재(210)가 연결 와이어(220)에 의해 당겨져 움직이면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지반(G) 속에서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앵커부재(210)는 지반(G) 속에서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으로 지반(G) 속에서 쉽게 뽑히지 않으며,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움직이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와이어(220)가 제 1 날개부(212) 및 제 2 날개부(214) 각각의 중간에 연결되어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를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부재(230)(240)가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 사이의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 벌이지지 않도록 앵커부재(210)의 제 1 날개부(212) 및 제 2 날개부(214)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하므로,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210)는 지표면 쪽으로 당김력을 받을 때 그 날개부들(212)(214)이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앵커부재(210)가 지반(G) 속에서 당김력에 대한 양호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반(G) 위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의 날개부에 마련되는 결합구멍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300)는 지반(G) 속에 매립되는 앵커부재(310)와, 앵커부재(310)와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3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300) 역시 앵커부재(310)가 지반(G) 속에 박힌 상태에서 연결 와이어(320)가 앵커부재(310)와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연결함으로써,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지반(G)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앵커부재(310)는 헤드부(311)와, 헤드부(311)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날개부(313) 및 제 2 날개부(315)를 포함한다.
헤드부(311)는 제 1 날개부(313) 및 제 2 날개부(315)와 연결된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하단이 뾰족한 삼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헤드부(311)의 중간에는 연결 와이어(32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312)이 마련된다.
제 1 날개부(313)는 헤드부(311)에 대해 탄성 변형하여 헤드부(311)와의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헤드부(311)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 1 날개부(313)는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날개부(313)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은 헤드부(311)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과 같다. 제 1 날개부(313)의 중간에는 연결 와이어(320)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구멍(314)이 구비된다.
제 2 날개부(315)는 헤드부(311)에 대해 탄성 변형하여 헤드부(311)와의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제 1 날개부(313)와 대칭을 이루며 헤드부(311)에 연결된다. 제 2 날개부(315)는 상단에서 하단 쪽으로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날개부(315)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은 헤드부(311)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과 같다. 제 2 날개부(315)의 중간에는 연결 와이어(320)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구멍(316)이 구비된다.
연결 와이어(320)는 제 1 날개부(313)의 제 1 결합구멍(314)과 헤드부(311)의 관통구멍(312)과 제 2 날개부(315)의 제 2 결합구멍(316)을 차례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앵커부재(3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앵커부재(310)와 연결 와이어(320)의 연결이 용이하다.
이러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300)는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310)가 이에 구비된 한 쌍의 날개부(313)(315)가 지반(G) 속에서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반(G) 속에서 쉽게 뽑히지 않고, 연결 와이어(320)를 통해 지반(G) 위에 설치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움직이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와이어(320)가 제 1 날개부(313) 및 제 2 날개부(315) 각각의 중간에 연결되므로,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310)가 지표면 쪽으로 당김력을 받을 때, 제 1 날개부(313) 및 제 2 날개부(315)가 쉽게 꺾이지 않는다. 따라서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310)가 그 날개부들(313)(315)이 지반(G) 속에서 일정 각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당김력에 대한 양호한 저항력을 유지하여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 와이어(320)에 의해 지지되는 앵커부재(310)의 날개부들(313)(315)이 지반(G) 속에서 저항력을 받아 꺾이지 않도록 날개부들(313)(315) 각각의 결합구멍(314)(316)은 날개부들(313)(315) 각각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제 1 결합구멍(314)은 제 1 날개부(313)의 하단 중앙 부분과 상단 중앙 부분을 연결한 선(도 10의 y축) 상에서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보다 제 1 날개부(313)의 상단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제 2 결합구멍(316)은 제 2 날개부(315)의 하단 중앙 부분과 상단 중앙 부분을 연결한 선 상에서 제 2 날개부(315)의 무게중심(G)보다 제 2 날개부(315)의 상단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각 날개부(313)(315)에 마련되는 결합구멍(314)(316)의 형성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날개부(313)와 제 2 날개부(315)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날개부(313)의 제 1 결합구멍(314) 위치 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제 2 날개부(315)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지반(G) 속에 매립된 앵커부재(310)가 연결 와이어(320)에 의해 당김력을 받을 때 앵커부재(310)의 제 1 날개부(313)에 가해지는 힘을 나타낸 것이다. 제 1 날개부(313)가 상부 방향으로 당김력을 받을 때, 연결 와이어(320)의 당김력에 의해 제 1 날개부(313)를 회전시키는 힘은 제 1 날개부(313)에 대한 수직력(F)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날개부(313)의 안쪽 면에는 지반(G) 속에서 제 1 날개부(313)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에 따른 분포하중과 흙의 하중이 가해진다. 제 1 날개부(313)에 가해지는 힘들 중에서 제 1 날개부(313)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들은 제 1 날개부(313)를 굽힘 변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며, 그 힘은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에 집중되는 힘(F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연결 와이어(320)의 당김력에 의한 제 1 날개부(313)의 모멘트(M)는 M=F·L로 나타낼 수 있고, 연결 와이어(320)의 당김력에 반대 방향으로 제 1 날개부(313)에 작용하는 힘에 의한 모멘트(M1)는 M1=F1·L1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L은 제 1 날개부(313)의 하단에서 연결 와이어(320)가 연결되는 부분, 즉 제 1 결합구멍(314) 까지의 거리이고, L1은 제 1 날개부(313)의 하단에서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 까지의 거리이다.
제 1 날개부(313)가 지반(G) 속에서의 저항력에 의해 꺾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반력 및 흙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M1)가 연결 와이어(320)의 당김력에 의한 모멘트(M)보다 작게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 1 날개부(313)의 하단에서 제 1 결합구멍(314)까지의 거리(L)는 제 1 날개부(313)의 하단에서 무게중심(G)까지의 거리(L1)보다 커야 한다(L > L1). 따라서 제 1 결합구멍(314)이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보다 바깥쪽 위치(P1)에 있을 때, 제 1 날개부(313)가 지반(G) 속에서의 저항력에 의해 꺾이는 것을 막는데 유리하다. 반면, 제 1 결합구멍(314)을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보다 안쪽 위치(P2)에 형성하면, 제 1 날개부(313)의 반력 및 흙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M1)가 연결 와이어(320)의 당김력에 의한 모멘트(M)보다 크게 작용하여 제 1 날개부(313)가 지반(G) 속에서 움직임에 대한 저항력에 의해 꺾일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결합구멍(314)은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보다 제 1 날개부(313)의 상단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날개부(313)의 하단에서 제 1 결합구멍(314)까지의 거리(L)는 아래의 [수학식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1]
Figure 112016068113695-pat00002
여기에서, h는 제 1 날개부(313)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 a는 제 1 날개부(313)의 상단 길이, b는 제 1 날개부(313)의 하단 길이이다. [수학식1]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날개부(313)의 하단을 x축으로, 제 1 날개부(313)의 하단 중앙 부분과 상단 중앙 부분을 연결한 선을 y축으로 한 좌표 상에서 등변 사다리꼴인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 위치를 유도함으로써 도출된 것이다. 위의 [수학식1]에서 L 우측의 수식은 y축 상에서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 좌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x-y 좌표에서 제 1 결합구멍(314)의 위치는 (0, L)로 나타낼 수 있고, L의 위치는 위의 [수학식1]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날개부(313)의 하단 중앙 부분과 상단 중앙 부분을 연결한 선 상에서 제 1 결합구멍(314)은 제 1 날개부(313)의 상단에서 제 1 날개부(313)의 무게중심(G)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 1 날개부(313) 상에서 제 1 결합구멍(314)의 위치는 제 2 날개부(31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날개부 상에서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의 위치, 또는 날개부 상에서 연결 와이어가 결합되는 부분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100)(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앵커부재(210)의 제 1 날개부(212)와 제 2 날개부(214)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부재(230)(240)로 연결 와이어(220)의 일부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태의 지지부재(230)와, 금속판 구조로 된 한 쌍의 지지부재(240)가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지지부재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와이어를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에 결합하기 위해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에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결합구멍에 연결 와이어를 삽입하는 방법 이외에,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에 돌기 등 연결 와이어가 고정될 수 있는 결합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 20 : 공구
100, 200, 300 :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110, 210, 310 : 앵커부재 111, 211, 311 : 헤드부
112, 212, 313 : 제 1 날개부 113, 213, 314 : 제 1 결합구멍
114, 214, 315 : 제 2 날개부 115, 215, 316 : 제 2 결합구멍
120, 220, 320 : 연결 와이어
121, 221, 222 :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
122, 223, 224 :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
230, 240 : 지지부재

Claims (12)

  1. 지반 위에 놓이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와 연결되어 상기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에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반에 박혀 고정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끝단이 지표면을 뚫고 지반 속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헤드부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날개부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에 대해 상기 제 1 날개부와 대칭을 이루는 제 2 날개부를 구비하고, 지반 속에 매립된 설치되는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중간 및 제 2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어 상기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와 상기 앵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2 날개부 사이의 각도가 일정 각도 이상 벌이지지 않도록 상기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및 제 2 날개부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2 날개부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재의 헤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삼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날개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의 상단 길이와 상기 제 1 날개부의 하단 길이 및 상기 제 2 날개부의 하단 길이는 모두 동일하고, 상기 헤드부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과 상기 제 1 날개부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 및 상기 제 2 날개부의 폭이 감소하는 비율은 모두 동일하며,
    상기 제 1 날개부와 상기 제 2 날개부의 구조는 동일하고, 상기 제 1 날개부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연결 구조 및 상기 제 2 날개부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연결 구조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제 1 날개부의 상기 연결 와이어가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 제 1 날개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L)는 아래의 [수학식1]을 만족하도록 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에 의한 모멘트가 상기 날개부들 무게중심점(G)에 가해지는 흙에 의한 저항력 및 하중에 의한 모멘트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수학식1]
    Figure 112016126575287-pat00015

    (여기에서, h는 상기 제 1 날개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 a는 제 1 날개부의 상단 길이, b는 제 1 날개부의 하단 길이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는,
    그 일부분이 상기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중간에 마련되는 제 1 결합구멍에 삽입되되,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상기 제 1 날개부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앵커부재의 제 2 날개부 중간에 마련되는 제 2 결합구멍에 삽입되되,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에 의해 상기 제 2 날개부의 결합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상기 제 2 날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판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 1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날개부의 중간에 결합되는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는,
    그 일부분이 상기 앵커부재의 제 1 날개부 중간에 마련되는 제 1 결합구멍에 삽입되되,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상기 제 1 날개부와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앵커부재의 제 2 날개부 중간에 마련되는 제 2 결합구멍에 삽입되되, 부분적으로 꼬여 만들어진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에 의해 상기 제 2 날개부의 결합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상기 제 2 날개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 와이어의 상기 제 1 날개부 결합 매듭과 상기 제 2 날개부 결합 매듭 사이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는 상기 제 1 날개부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 1 결합구멍과 상기 헤드부의 중간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제 2 날개부의 중간에 구비되는 제 2 결합구멍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앵커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89069A 2016-07-14 2016-07-14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Active KR10171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069A KR101716388B1 (ko) 2016-07-14 2016-07-14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069A KR101716388B1 (ko) 2016-07-14 2016-07-14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88B1 true KR101716388B1 (ko) 2017-03-14

Family

ID=5846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069A Active KR101716388B1 (ko) 2016-07-14 2016-07-14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3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329B1 (ko) * 2023-12-05 2024-06-21 태흥산업주식회사 말림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매트리스형 개비온
WO2024243617A1 (en) * 2023-05-30 2024-12-05 Slumbertrek Australia Pty Ltd Anchor for portable shelter and a shelter assembly compris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925B1 (ko) * 2011-03-28 2011-08-09 제노젠(주) 앵커 시공 방법
KR101110039B1 (ko) * 2011-03-04 2012-02-29 제노젠(주) 앵커 헤드
KR101138723B1 (ko) 2010-02-01 2012-04-24 (주)대길산업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20120093537A (ko) * 2011-02-15 2012-08-23 제노젠(주) 앵커
KR20130015225A (ko) * 2011-08-02 2013-02-13 주식회사 석송 사면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23B1 (ko) 2010-02-01 2012-04-24 (주)대길산업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20120093537A (ko) * 2011-02-15 2012-08-23 제노젠(주) 앵커
KR101110039B1 (ko) * 2011-03-04 2012-02-29 제노젠(주) 앵커 헤드
KR101055925B1 (ko) * 2011-03-28 2011-08-09 제노젠(주) 앵커 시공 방법
KR20130015225A (ko) * 2011-08-02 2013-02-13 주식회사 석송 사면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43617A1 (en) * 2023-05-30 2024-12-05 Slumbertrek Australia Pty Ltd Anchor for portable shelter and a shelter assembly comprising same
KR102677329B1 (ko) * 2023-12-05 2024-06-21 태흥산업주식회사 말림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매트리스형 개비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13262B1 (ko)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매트리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950778B1 (ko) 녹화용 옹벽구조물 설치용 기구
KR101231176B1 (ko) 하천호안 및 법면보호용 스톤매트리스 및 스톤매트리스 시공방법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16388B1 (ko)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JP6192763B1 (ja)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EP3378993A1 (en) Protective construction for preventing erosion of a ground surface arranged adjacent to a body of water
KR101790249B1 (ko)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101413255B1 (ko) 하천 바닥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키 스톤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98237B1 (ko)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KR101772664B1 (ko) 스톤네트 구조물
CN213740870U (zh) 一种水利工程护坡防护加固装置
JP2011219919A (ja) 擁壁ユニット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KR100625623B1 (ko)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KR101018903B1 (ko)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KR101114521B1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8723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100944792B1 (ko)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KR101213986B1 (ko)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KR101035132B1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69891B1 (ko) 스톤네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