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790Y1 -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 - Google Patents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790Y1
KR200443790Y1 KR2020080014049U KR20080014049U KR200443790Y1 KR 200443790 Y1 KR200443790 Y1 KR 200443790Y1 KR 2020080014049 U KR2020080014049 U KR 2020080014049U KR 20080014049 U KR20080014049 U KR 20080014049U KR 200443790 Y1 KR200443790 Y1 KR 200443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tone
wire
landscap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범
Original Assignee
신생중상이용사촌 주식회사
남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생중상이용사촌 주식회사, 남상범 filed Critical 신생중상이용사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4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7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경석에 고정장치를 구비시키고,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을 와이어로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조경석의 고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조경석에 와이어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판과 상기 클램핑판을 상기 조경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판은 평판형 본체의 외측단에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4개의 조임편이 와이어를 감싸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클림핑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조경석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경석, 고정장치, 클램핑판, 고정수단, 조임편

Description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APPARATUS FOR FIXING LANDSCAPE ARCHITECTURE STONES AND ARCHITECTURE STONES STRUCTURE}
본 고안은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경석에 고정장치를 구비시키고,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을 와이어로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조경석의 고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 수로 및 도심을 흐르는 하천의 하상보호공, 저수로 비탈면, 도로나 채석장의 절개지 등에는 침식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옹벽, 계단공, 호안 공사 등의 다양한 토목구축물이 시공되는데, 최근에는 자연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한 자연형 하천 조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친화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자연석이나 시공석(본 고안에서는 "조경석"이라 함)을 하상보호공, 호안 구조물, 계단공과 같은 토목구축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도로나 채석장의 절개지 등에는 구조적 안정성과 경관미를 동시에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시공석을 호안공, 하상보호공, 사면보호공 및 계단공에 사용하는 경우 시공석 자체의 무게와 물의 흐름에 의한 외력에 구조물이 견딜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돌망태를 이용하여 시공석을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철망에 접착제 및 앵커 등을 이용하여 시공석을 고정시킨 스톤네트(stone net)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돌망태의 경우, 단순히 철망에 시공석이나 기타의 내용물을 채움함으로써 상기 철망이 시공석이나 기타 내용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쉽게 손상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등 안전성 및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자연친화성을 높이기 위한 식생의 도입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물질이 걸리기 쉬워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돌의 쏠림에 의한 배부름 현상 등이 일어나 돌망태의 모양이 변형되고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스톤 네트(stone net)의 경우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식생의 도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기본적인 제작 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시공자가 직접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사석이나 시공석을 사용하여 쌓기나 덮기를 하는 경우 시공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기초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부수적인 보호공 등의 추가적인 부자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 제2004-0118245호의 "시공석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를 첨부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공석 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공석 고정방법에 의해 시공석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공석 고정유닛은, 고리지 지대와 고리부로 구성되어 상부 시공석(60)을 연결하는 고리고정와셔(20)와, 고리고정와셔 상부에 설치되어 시공석(60)을 지지하는 기초망(30)과, 기초망(30)의 격자에 고정 설치되어 시공석(60)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고리고정와셔(20)와 체결되는 연결유닛(5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공석 고정유닛을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은, 시공석 고정유닛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기초를 정리한 후, 시공석(60)이 배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고리고정와셔(20)를 설치하는 고리고정와셔 설치단계와, 고리고정와셔(20) 상부에 기초망(30)을 설치하는 기초망 설치단계와, 기초망(30) 상부의 시공석(60)에 고정된 연결유닛(50)과 기초망(30) 하부의 고리고정와셔(20)를 체결하는 시공석 포설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호안 또는 비탈면의 경우 고리고정와셔 설치단계 이전에 기초 정리된 토사면 위에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기 위해 흡출방지재(10)를 도포하는 흡출방지재 도포단계를 더 포함하며, 기초망 설치단계 이후에 기초망(30)을 고정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기초망(30)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기초망 고정수단(40)을 설치하는 기초망 고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고안은 시공석(60)에 고정된 연결유닛(50)을 기초망(30)의 격자에 걸리는 고리고정와셔(20)에 연결시켜서 시공석(60)을 고정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시공석(60)을 고정시 기초망(30)의 격자 규격이 불변이므로 시공석(60)의 고정위치가 제한을 받게 되어 시공석(60)을 고리고정와셔(20)의 이동이 허용되는 범위 내로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시공석(60)을 연결유닛(50)을 사용하여 고리고정와셔(20)에 고정시키더라도 기초망(30)의 격자 내에서 유동하게 되어 시공석(60)의 고정위치가 외력이나 자중에 의해 변경됨으로써 특히 비탈면에서의 안정적인 설치를 어렵게 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초망(30)의 격자를 줄일 경우 기초망의 제작 비용을 증대시키는 다른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또한, 시공석(60)이 배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고리고정와셔(20)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시공석(60)의 위치 선정에 따른 불편을 초래하고, 시공석(60)에 고정된 연결유닛(50)을 고리고정와셔(20)에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시공석(60) 각각을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며, 이로 인해 시공석(60) 고정 작업에 따른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시공석(60)에 고정된 연결유닛(50)을 고리고정와셔(20)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 공간의 확보가 불가피하여 시공석(60)간의 간격을 최소화하도록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조경석(시공석)의 고정 작업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경석에 고정장치를 구비시키고,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을 하나 이상의 와이어로 연결 고정시켜, 이를 호안공, 하상보호공, 사면보호공, 계단공 등에 설치함으로써, 조경석의 고정 작업이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조경석 구조물의 시공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조경석을 와이어 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조경석의 고정위치에 제한이 없게됨으로써, 조경석의 고정 작업을 편리하도록 하고, 조경석의 유동을 억제하여 조경석이 외력이나 자중에 의해 고정 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되어 비탈면에서의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조경석을 지면에 간격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배열시켜서 상측에 놓여지는 와이어에 고정시킨 다음 이들을 뒤집어서 한꺼번에 설치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조경석 각각의 위치나 간격 선정에 따른 불편함과 조경석 각각을 설치면으로 이동시켜서 조경석의 하측을 어렵게 연결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은, 조경석에 와이어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판과 상기 클램핑판을 상기 조경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판은 평판형 본체의 외측단에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4개의 조임편이 와이어를 감싸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클림핑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조경석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편은 제1조임편과 제2조임편이 와이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조임편과 제2조임편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어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조경석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삽입하기 위해 타격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의 몸체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의 몸체 중앙부에는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중공부를 갖는 삽입고정부가 상기 조경석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삽입고정부의 중공부에 고정볼트가 상기 클램핑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볼트의 상단부에 고정너트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삽입고정부의 끝단에는 팁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널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널링부가 형성된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경석 구조물은,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이 하나 이상의 와이어에 의해 연결설치되어지되, 하나의 와이어가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의 대각선 방향 2개의 조임편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설치면의 지면에 닿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와이어가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의 다른 대각선 방향 2개의 조임편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다수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도록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면의 지면에 닿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경석에 고정장치를 구비시키고,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을 하나 이상의 와이어로 연결 고정시켜, 이를 호안공, 하상보호공, 사면보호공, 계단공 등에 설치함으로써, 조경석의 고정 작업이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조경석 구조물의 시공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조경석을 와이어 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조경석의 유동을 억제하여 조경석이 외력이나 자중에 의해 고정 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되어 비탈면에서의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다수의 조경석을 지면에 간격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배열시켜서 상측에 놓여지는 와이어에 고정시킨 다음 이들을 뒤집어서 한꺼번에 설치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조경석 각각의 위치나 간격 선정에 따른 불편함과 조경석 각각을 설치면으로 이동시켜서 하측을 어렵게 연결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방사형의 클램핑판을 이용함으로써 와이어를 가로, 세로로 배열하여 고정할 시에도 별도의 와이어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시공상의 간편함과 시공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은 조경석(1)에 와이어 고정장치(2)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을 와이어(3)로 연결고정시켜, 설치면에 조경석 구조물로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이 와이어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에 변형된 고정수단을 적용한 도면이다.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2)는 와이어(3)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판(21)과 상기 클램핑판(21)을 상기 조경석(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클램핑판(21)은 평판형 본체(211)의 외측단에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4개의 조임편(212)이 와이어(3)를 감싸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평 판형 본체(211)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수단(22)이 삽입되는 관통공(213)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판(21)의 평판형 본체(211)는 단순히 상기 고정수단(22)에 의해 상기 클램핑판(21)이 고정되는 역할만 하면 족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원형으로서 도시하였지만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판(21)의 편팡형 본체(211) 외측단에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4개의 조임편(212)은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제1조임편(212a)과 제2조임편(212b)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제1,2조임편(212a)(212b)은 상기 와이어(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며, 상기 제1조임편(212a)과 제2조임편(212b)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어 와이어(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때 상기 상기 제1조임편(212a)과 제2조임편(212b)의 이격된 끝단을 통해 와이어(3)가 삽입되면, 상기 제1조임편(212a)과 제2조임편(212b)에 외력을 가하여 끝단의 이격을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3)와 상기 조임편(212)이 서로 고정되는 것인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임편(212)은 외력에 의하여 변경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평판형 본체(211)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수단(22)이 삽입되는 관통공(213)이 형성되는 데, 상기 고정수단(22)은 상기 관통공(213)을 관통하여 상기 조경석(1)에 박힘으로써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경석(1)에 도 4, 6, 8과 같이 고정홀(1a)을 먼저 천공하여 고정수단(22)을 삽입,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22)은 도 4 내지 5와 같이, 상기 조경석(1)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221)와, 상기 몸체를 삽입하기 위해 타격되는 헤드부(2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의 몸체(221) 외주면에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 또는 돌기 형태의 미끄럼방지부(221a)가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상기 미끄럼 방지부(221a)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22)의 몸체(221)가 상기 조경석(1)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고 더욱 강한 고정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222)가 상기 몸체(221)의 외주연둘레와 동일한 둘레를 가질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부(221a)와 함께, 상기 고정수단(22)의 몸체(221) 중앙부에는 벤딩부(221b)가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상기 벤딩부(221b) 역시 상기 고정수단(22)이 조경석(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이 와이어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장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은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2)는 앞서 설명한 클램핑판(21)과 삽입고정부(223), 고정볼트(224) 및 고정너트(225)로 되는 고정수단(22)으로 된다.
이때 상기 삽입고정부(223)는 조경석(1)의 고정홀(1a)에 박히게 되는 부분이며, 상기 고정볼트(224)와 결합되는 것인 데,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고정부(223)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중공부(223a)를 가지고 상기 중공부(223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고정부(223)는 조경석(1)의 고정홀(1a)에 박히기 위하여 끝단에 팁(223d)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널링(knurling)부(223b)가 형성되며, 상기 널링부(223b)가 형성된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절개홈(223c)이 형성되어 복원력에 의한 고정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고정부(223)의 중공부(223a)에는 상기 고정볼트(224)가 상기 클램핑판(21)의 관통공(213)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223a) 전체에 걸쳐 고정볼트(224)가 나사결합되는 것이 아닌 일정 높이 이상에만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중공부(223a)의 하부는 상기 절개홈(223c)과 함께 복원력에 의한 고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삽입고정부(223)가 조경석(1)의 고정홀(1a)에 박히게 되고, 상기 고정볼트(224)가 상기 클램핑판(21)의 관통공(213)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고정부(223)의 중공부(223a)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224)의 상단부에는 고정너트(225)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너트(225)에 의해 상기 클램핑판(21)이 상기 삽입고정부(223)가 삽입된 조경석(1) 및 고정볼트(22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225)의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와셔(226)을 추가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이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은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조경석 구조물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렬 또는 다수열로 배열되는 다수의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의 고정장치(2)에 하나 이상의 와이어(3)를 설치하여 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3)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2)의 조임편(212)에 의해 클램핑되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와이어(3)는 하나의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에 대하여, 상기 고정장치(2)의 대각선 방향, 즉 서로 이웃하지 않는 두개의 조임편(2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고, 또 다른 와이어(3)가 상기 하나의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의 나머지 두개의 조임편(2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은 다수개 배열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와이어(3)에 대하여 다수개의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을 클램핑함으로써 조경석 구조물을 완성하고, 이를 뒤집어 와이어(3)가 설치면의 지면에 닿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3)를 가로 세로로 배열하거나 일렬로 배열하는 것만을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교차하거나 일부가 접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조경석(1)에 구비되는 고정장치(2)의 조임편(212)은 2개의 와이어(3)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클램핑될 경우는 4개 모두 사용되지만, 와이어(2)가 교차하지 않는 지점에서 클램핑될 경우는 2개의 조임편(212)만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서는 와이어(3)의 교차지점에 모두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여지만, 와이어(3)의 교차지점에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이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에 의하면, 하나의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을 통해 두개의 와이어(3)가 서로 교차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 어(3)의 교차지점에 별도의 와이어연결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의 설치방법, 즉 조경석 구조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경석(1)에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고정장치를 구비시켜,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을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고장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을 상기 고정장치(2)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다수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의 상부에 와이어(3)를 위치시키고, 상기 고장장치(2)를 와이어(3)에 클램핑시켜 다수개의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 각각을 와이어(3)에 고정시키고 나면, 포크레인이나 기중기 등과 같은 중장비를 사용하여 와이어(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A)을 뒤집어서 다수의 조경석(1)이 동시에 설치면에 설치되도록 하여 조경석 구조물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하면 조경석(1)의 하측에 고정장치(2)와 와이어(3)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설치면을 다수로 분할한 영역마다 조경석 구조물 각각을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조경석 구조물을 설치면 전 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조경석 구조물을 상하로 설치시 이들 경계에 단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단계별 경사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치면에 조경석 구조물이 설치되면, 설치면의 경사도 또는 설치면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와이어(3)를 파일(pile)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3)에 각각 고정되는 조경석(1) 간에 간격을 가지도록 한 경우 조경석(1) 사이에 식재는 물론 장식을 위한 석재 등을 채울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수단(22)으로서는 통상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앵커볼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경석 고정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이 와이어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 내지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에 변형된 고정수단을 적용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이 와이어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에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석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조경석 2: 고정장치 3: 와이어
21:클램핑판 22: 고정수단
211: 평판형 본체 212: 조임편 212a: 제1조임편
212b: 제2조임편 213: 관통공 221: 몸체
221a: 미끄럼 방지부 221b: 벤딩부 222: 헤드부
223: 삽입고정부 223a: 중공부 223b: 널링부
223c: 절개홈 223d: 팁 224: 고정볼트
225: 고정너트

Claims (8)

  1. 조경석(1)에 와이어 고정장치(2)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2)는 와이어(3)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판(21)과 상기 클램핑판(21)을 상기 조경석(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판(21)은 평판형 본체(211)의 외측단에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4개의 조임편(212)이 와이어(3)를 감싸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평판형 본체(211)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수단(22)이 관통되는 관통공(21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22)은 상기 클림핑판(21)의 관통공(213)을 관통하여 상기 조경석(1)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편(212)은 제1조임편(212a)과 제2조임편(212b)이 와이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조임편(212a)과 제2조임편(212b)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어 와이어(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2)은 상기 조경석(1)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221)와, 상기 몸체를 삽입하기 위해 타격되는 헤드부(2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 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2)의 몸체(221)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부(2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2)의 몸체(221) 중앙부에는 벤딩부(22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2)은 중공부(223a)를 갖는 삽입고정부(223)가 상기 조경석(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삽입고정부(223)의 중공부(223a)에 고정볼트(224)가 상기 클램핑판(21)의 관통공(213)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볼트(224)의 상단부에 고정너트(225)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삽입고정부(223)의 끝단에는 팁(223d)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고정부(223)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널링부(223b)가 형성되며, 상기 널링부(223b)가 형성된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절개홈(223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7. 상기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와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A)이 하나 이상의 와이어(3)에 의해 연결설치되어지되,
    하나의 와이어(3)가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A)의 대각선 방향 2개의 조임편(2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와이어(3)가 설치면의 지면에 닿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석 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A)이 둘 이상의 와이어(3)에 의해 연결설치되어지되,
    상기 하나의 와이어(3)가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A)의 대각선 방향 2개의 조임편(2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른 와이어(3)가 상기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조경석(A)의 다른 대각선 방향 2개의 조임편(212)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둘 이상의 와이어(3)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설치면의 지면에 닿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석 구조물.
KR2020080014049U 2008-10-22 2008-10-22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 KR200443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049U KR200443790Y1 (ko) 2008-10-22 2008-10-22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049U KR200443790Y1 (ko) 2008-10-22 2008-10-22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790Y1 true KR200443790Y1 (ko) 2009-03-16

Family

ID=4134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049U KR200443790Y1 (ko) 2008-10-22 2008-10-22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7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776B1 (ko) * 2011-05-20 2011-12-22 대한이.이엔.씨(주) 하천 호안용 스톤 그리드
KR101723410B1 (ko) * 2017-03-02 2017-04-05 주식회사 석송 스톤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톤네트 시공방법
CN114701612A (zh) * 2022-03-17 2022-07-05 陈金达 一种景观结构单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776B1 (ko) * 2011-05-20 2011-12-22 대한이.이엔.씨(주) 하천 호안용 스톤 그리드
KR101723410B1 (ko) * 2017-03-02 2017-04-05 주식회사 석송 스톤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톤네트 시공방법
CN114701612A (zh) * 2022-03-17 2022-07-05 陈金达 一种景观结构单元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8093A1 (en) Retrofit reinforcing structure addition and method for wind turbine concrete gravity spread foundations and the like
KR200443790Y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조경석 및 조경석 구조물
KR101418998B1 (ko)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JP2017036592A (ja) 受圧板
KR100774880B1 (ko) 상하 철망을 직접연결하여 시공석을 고정하는 시공석고정구조물
KR100891507B1 (ko)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과 이를 이용한 조경석 어셈블리 및 와이어 고정장치
KR100625623B1 (ko)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CN111636375A (zh) 拼接砌块可嵌于十字形砌块角部的砌块单元、护坡及挡墙
KR200384167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의 고정장치
CN211872688U (zh) 一种陡坡桥墩防落石结构
JP7194627B2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KR101248761B1 (ko) 암반의 경사암반면용 옹벽구조체
KR200364575Y1 (ko) 시공석 고정구조물
KR200471401Y1 (ko) 성토부의 지오그리드 설치 장치
JP2005213735A (ja) 法面における階段ブロックの施工方法および法面における一体式階段ブロック
KR101303944B1 (ko) 식생 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12506111U (zh) 拼接砌块可嵌于十字形砌块角部的砌块单元、护坡及挡墙
KR102095061B1 (ko) 스톤네트 및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KR100601894B1 (ko)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JP4074532B2 (ja) 法面の保護工法と該工法で用いる保護構造物
KR20170102617A (ko) 사면보강공법 및 사면보강장치
JP4071664B2 (ja) 法面保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