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221A -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 Google Patents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221A
KR20060007221A KR1020040055997A KR20040055997A KR20060007221A KR 20060007221 A KR20060007221 A KR 20060007221A KR 1020040055997 A KR1020040055997 A KR 1020040055997A KR 20040055997 A KR20040055997 A KR 20040055997A KR 20060007221 A KR20060007221 A KR 20060007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lew rate
operational amplifier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218B1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2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2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dif amp being designed for improving the sle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출력 신호의 슬루율을 달리할 수 있는 연산 증폭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산 증폭기는 입력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이득부; 상기 이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복수의 비교전압과 상기 연산증폭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슬루율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슬루율 제어부; 및 상기 슬루율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슬루율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 증폭기, 슬루율, 제어, 비교, 전압

Description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AN OPERATIONAL AMPLIFIER TO CONTROL SLEW RATE OF AN OUTPUT SIGNA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루율 조절이 가능한 연산증폭기의 블럭도,
도 2는 도1의 구체 회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산증폭기의 출력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산증폭기에 적용하기 위한 슬루율 제어부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산증폭기의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10: 입력부 220: 이득부
230; 출력부 240: 슬루율 조절부
410: 슬루율 제어부
본 발명은 출력신호의 슬루율(slew rate)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달리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루율 조절이 가능한 연산증폭기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도1의 구체회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연산증폭기는 입력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부(210), 입력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이득부(220), 이득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30), 그리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슬루율 제어신호(ctrl, ctrlb)에 제어되어 출력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슬루율 조절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산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슬루율 조절에 특징이 있고, 입력부, 이득부 및 출력부의 동작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되는 수준에 불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피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슬루율 조절부(24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슬루율 제어신호(ctrl="L", ctrlb="H")가 인가되면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MN2)와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MP2)가 턴온(turn on)되어 출력부(230)의 상측(MP3, MP4) 및 하측(MN3, MN4)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동작할 수 있다.
반면, 슬루율 제어신호(ctrl="H", ctrlb="L")가 인가되면,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MN2)와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MP2)가 턴오프(turn off)되어 출력부(230)의 상측은 제3 피모스 트랜지스터(MP3)만이 동작하고, 출력부(230)의 하측은 제3 엔모스 트랜지스터(MN3)만이 동작하므로 슬루율이 감소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산증폭기의 출력 파형도이다. 계단파의 입력신호(in)가 연산증폭기에 인가될 때, 슬루율 제어신호(ctrl="H", ctrlb="L")가 인가되면 제1 출력(out1) 파형이 출력되고, 슬루율 제어신호(ctrl="L", ctrlb="H")가 인가되면 제2 출력(out2) 파형이 출력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입력 신호의 크기와 무관하게 인가되는 슬루율 제어신호에 따라 슬루율이 결정되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스윙(swing) 폭이 작더라도 슬루율 제어신호(ctrl="L", ctrlb="H")가 인가되면 출력부(230)의 상측(MP3, MP4) 및 하측(MN3, MN4)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동작하므로 불필요하게 동작 전류를 많이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출력 신호의 슬루율을 달리할 수 있는 연산 증폭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산 증폭기는 입력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이득부; 상기 이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복수의 비교전압과 상기 연산증폭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슬루율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슬루율 제어부; 및 상기 슬루율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슬루율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각기 상이한 레벨을 갖는 제1 내지 제3 비교전압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기 위한 배타적 비논리합부; 및 상기 비논리합부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비교전압을 반전단자에,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신호를 비반전단자에 인가받아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기; 상기 제2 비교전압을 비반전단자에,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반전단자에 인가받아 비교하기 위한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3 비교전압을 반전단자에,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신호를 비반전단자에 인가받아 비교하기 위한 제3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산증폭기에 적용하기 위한 슬루율 제어부(410)로서, 도 2의 구성에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루율 제어부(410)에 인가되는 제1 내지 제3 비교전압(V1, V2, V3)은 도 5에서 참조할 수 있듯이, 각기 레벨을 달리하며, 입력(in)과 출력(out)은 도 2의 연산 증폭기의 입력 및 출력신호를 사용하고, 슬루율 제어부(410)의 출력은 연산 증폭기의 슬루율 제어 신호(ctrl, ctrlb)로 사용된다.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계단 파형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및 제3 비교기(401, 403)는 각각 제1 및 제3 비교전압(V1, V3)을 입력신호(in)의 크기와 비교한다. 이 때, 입력신호(in)가 제1 및 제3 비교전압(V1, V3)보다 높으면 제1 및 제3 비교기(401, 403)는 모두 "H"를 출력한다. 반면, 입력신호(in)가 제1 및 제3 비교전압(V1, V3)보다 낮으면 제1 및 제3 비교기(401, 403)는 모두 "L"을 출력한다. 한편, 제2 비교기(402)는 제2 비교전압(V2)과 연산증폭기의 출력신호(out)의 크기를 비교하여 출력신호(out)가 제2 비교전압(V2)보다 낮으면 "H"를 출력하고, 높으면 "L"을 출력한다.
제1 내지 제3 비교기(401, 402, 403)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배타적 비논리합 소자(404)는 제1 내지 제3 비교기(401, 402, 403)의 출력이 동일한 경우 "H"를 출력하여 출력신호의 슬루율이 증가되도록 한다. 만일 입력신호가 제1 및 제3 전압(V1, V3)보다 큰 스윙 폭을 갖지 않으면 제1 내지 제3 비교기는 일치된 값을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배타적 비논리합 소자(404)의 출력은 "L"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산 증폭기의 출력부 내 제4 피모스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MP4, MN4)는 턴오프하고, 슬루율은 증가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비교전압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비교전압은 내부의 저항열에 의해 분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은 입력 신호의 스윙 폭에 따라 연산 증폭기의 슬루율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동작전류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슬루율 제어신호를 외부에서 인가할 필요 없이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5)

  1. 연산증폭기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이득부;
    상기 이득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복수의 비교전압과 상기 연산증폭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슬루율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슬루율 제어부; 및
    상기 슬루율 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슬루율 조절부
    를 포함하는 연산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각기 상이한 레벨을 갖는 제1 내지 제3 비교전압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기 위한 배타적 비논리합부; 및
    상기 비논리합부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부
    를 포함하는 연산 증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 비교전압을 반전단자에,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신호를 비반전단자에 인가받아 비교하기 위한 제1 비교기;
    상기 제2 비교전압을 비반전단자에,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반전단자에 인가받아 비교하기 위한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3 비교전압을 반전단자에,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신호를 비반전단자에 인가받아 비교하기 위한 제3 비교기
    를 포함하는 연산 증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전압은 각각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연산 증폭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비교전압은 내부의 저항열에 의해 분압되어 제공되는 연산 증폭기.
KR1020040055997A 2004-07-19 2004-07-19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KR100616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97A KR100616218B1 (ko) 2004-07-19 2004-07-19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97A KR100616218B1 (ko) 2004-07-19 2004-07-19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221A true KR20060007221A (ko) 2006-01-24
KR100616218B1 KR100616218B1 (ko) 2006-08-25

Family

ID=3711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997A KR100616218B1 (ko) 2004-07-19 2004-07-19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998B1 (ko) * 2012-03-23 2013-07-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루 레이트 제어를 이용한 시간차이증폭기 및 시간차이증폭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5074B1 (en) * 1998-01-06 2001-08-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for propagating a digital signal through a slew-rate limited node and method of operation
JP3830339B2 (ja) * 1999-09-17 2006-10-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スルーレート差動増幅回路
JP2002158577A (ja) 2000-11-20 2002-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ルーレート調整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KR100807592B1 (ko) * 2001-12-24 2008-03-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기억장치의 안정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다운컨버터
KR100532414B1 (ko) * 2003-01-10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슬루율 제어기능을 갖는 출력 드라이버 및 이의슬루율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998B1 (ko) * 2012-03-23 2013-07-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루 레이트 제어를 이용한 시간차이증폭기 및 시간차이증폭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218B1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566B1 (ko) 전압 레귤레이터
US7453295B2 (en) Low-voltage detection reset circuit
KR102182026B1 (ko) 정전압 회로
KR100706239B1 (ko) 대기모드에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압레귤레이터
KR102255543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JP2010152451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4777861B2 (ja) コンパレータ回路
CN108432112B (zh) Dc-dc变换器以及负载驱动用半导体集成电路
US20190163220A1 (en)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JP2014197383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19185095A (ja) シリーズレギュレータ
CN108572683B (zh) 电压产生器
JP2006139673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20180224876A1 (en) Power supply device
KR20140109830A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JP2005301439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5806972B2 (ja) 出力ドライバ回路
KR100616218B1 (ko) 출력신호의 슬루율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증폭기
KR101247219B1 (ko) 전류제한회로
JP2005303830A (ja) 差動出力回路
US11025229B2 (en) Compensation for binary weighted divider
KR101089896B1 (ko)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
US6940329B2 (en) Hysteresis circuit used in comparator
KR100967029B1 (ko) 소프트 스타트를 갖는 레귤레이터
JP2008152690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