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873A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873A
KR20060000873A KR1020040049858A KR20040049858A KR20060000873A KR 20060000873 A KR20060000873 A KR 20060000873A KR 1020040049858 A KR1020040049858 A KR 1020040049858A KR 20040049858 A KR20040049858 A KR 20040049858A KR 20060000873 A KR20060000873 A KR 20060000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resist pattern
substrate
photoresist
scum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원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04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873A/ko
Publication of KR2006000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8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레지스트의 스컴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웨이퍼 및 롯마다 균일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복수의 게이트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기판 상에 상호 인접한 게이트들 사이의 기판을 일부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에치백 공정에 의해 일부 제거하여 기판에 잔류하는 스컴을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스컴, 디스컴, 포토레지스트, 에치백, 할로층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반도체 기판 21 : 게이트
22 : 포토레지스트 패턴
100 : 스컴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의 포토레지스트 스컴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회로 선폭이 1㎛ 이하로 감소되면서 정밀한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은 통상적으로 웨이퍼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고,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노광한 후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노광 및 현상을 진행한 후에도 제거되어야할 포토레지스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웨이퍼 상에 스컴(scum) 형태로 잔류하여 후속 공정, 예컨대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식각공정 또는 이온주입공정 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고집적화에 따른 회로 선폭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후속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스컴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이른 바 디스컴(descum) 공정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11)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고 할로층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노광 한 후 현상하여, 게이트(11) 사이의 기판(10)을 일부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2)을 형성한다. 이때, 노출된 기판(10) 표면에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포토레지스트의 스컴(100)이 존재하게 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컴 공정을 수행하여 기판(10) 표면에 존재하는 스컴(100)을 제거한다.
여기서, 디스컴 공정은 포토레지스트 패턴(12)에는 최소한의 로스(loss)가 가해지도록 하면서 스컴을 제거해야 하므로 다소 약한 플라즈마(plasma) 처리로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디스컴 공정에서는 스컴을 제거하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12)의 제거 정도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웨이퍼 및 롯(LOT) 마다 포토레지스트 패턴(12)의 폭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어떤 경우에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2)의 일부가 돌출된 형상으로 존재하여(도 1b의 도면부호 12a 참조) 심한 경우에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2) 붕괴 등을 유발함으로써, 후속 이온주입 공정에 악영향을 미쳐 재작업율이 증가하므로 쓰루풋(throughput)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포토레지스트의 스컴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웨이퍼 및 롯마다 균일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복수의 게이트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기판 상에 상호 인접한 게이트들 사이의 기판을 일부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에치백 공정에 의해 일부 제거하여 기판에 잔류하는 스컴을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에치백 공정은 게이트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21)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20)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하고 할로층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을 노광 한 후 현상하여, 게이트(21) 사이의 기판(20)을 일부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형성한다. 이때, 노출된 기판(20) 표면에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포토레지스트의 스컴(200)이 존재하게 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치백(etch-back) 공정에 의해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일부 제거하여 기판(20)에 잔류하는 스컴(100)을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의 표면을 평탄화한다. 이때, 에치백 공정은 게이트(21)의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디스컴 공정 대신 에치백 공정을 적용하게 되면 포토레지스트의 스컴(100)도 완전히 제거하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제거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 및 롯마다 균일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디스컴 공정 대신 에치백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의 스컴도 완전히 제거하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제거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 및 롯마다 균일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이온주입 및 식각공정 등의 수행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재작업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쓰룻풋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2)

  1. 상부에 복수의 게이트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호 인접한 상기 게이트들 사이의 기판을 일부 노출시키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에치백 공정에 의해 일부 제거하여 상기 기판에 잔류하는 스컴을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치백 공정은 상기 게이트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40049858A 2004-06-30 2004-06-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00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858A KR20060000873A (ko) 2004-06-30 2004-06-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858A KR20060000873A (ko) 2004-06-30 2004-06-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873A true KR20060000873A (ko) 2006-01-06

Family

ID=3710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858A KR20060000873A (ko) 2004-06-30 2004-06-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8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438B1 (ko) * 2006-04-28 2007-03-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438B1 (ko) * 2006-04-28 2007-03-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2727A (ko) 더블 패터닝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패턴형성방법
KR0156316B1 (ko) 반도체장치의 패턴 형성방법
KR100907887B1 (ko) 하프톤형 위상 시프트 마스크의 제조방법
JPH07209853A (ja) 位相反転マスクの製造方法
KR2006000087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33354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0516747B1 (ko)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1614410B1 (ko) 높은 선택비를 갖는 식각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KR100431991B1 (ko) 레티클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866681B1 (ko)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방법
KR101004513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100818395B1 (ko) 이중노광을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의 형성 방법
KR100584498B1 (ko) 포토레지스트 패턴 제거 방법
JP4267298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20030000475A (ko) 패턴 형성 방법
KR10079029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69538B1 (ko) 크롬리스 위상반전마스크의 형성방법
KR101096208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용 패턴 형성 방법
KR100358161B1 (ko) 반도체소자제조방법
KR101120167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US20060127820A1 (en) Method for forming photoresist pattern and method for triming photoresist pattern
KR101087785B1 (ko) 노광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9980048210A (ko) 반도체 장치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0128384B1 (ko)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KR970008268B1 (ko) 감광막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