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259A -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259A
KR20050122259A KR1020057019629A KR20057019629A KR20050122259A KR 20050122259 A KR20050122259 A KR 20050122259A KR 1020057019629 A KR1020057019629 A KR 1020057019629A KR 20057019629 A KR20057019629 A KR 20057019629A KR 20050122259 A KR20050122259 A KR 20050122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content
buffer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이와츠
마나부 기무라
다카시 고이케
다카시 고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99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64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99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26922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2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2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콘텐츠를 하나의 단위로서 취급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처리방법이며, 콘텐츠 데이터를 연속하여 재생출력시켜야 할 경우에는, 현재 재생대상인 현재 콘텐츠 데이터의 다음에 재생대상이 되는 다음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수정(改竄) 체크 처리를, 현재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종료 후가 되는 타이밍에서 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현재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다음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수정 체크 처리가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되는 기간은 없어지고, 수정 체크 처리와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동시에 실행됨으로써 처리부담의 증가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하나의 콘텐츠가 하나의 단위로서 취급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 있어서 2003년 4월 2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 출원번호 2003-119946, 일본특허 출원번호 2003-119947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근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AV(Audio, Video)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한층 더 어떠한 부호화를 행하여 기입하는 것이 실시된다. 이러한 부호화의 하나로서 소정 방식에 의한 압축 형식으로 하기 위한 압축부호화가 널리 알려지고 있다. 콘텐츠 데이터를 압축부호화 하면, 콘텐츠 단위의 데이터 사이즈도 작아지기 때문에, 유한의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를 통한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도, 보다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 부호화로서는, 암호화를 행하는 일도 실시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암호화는, 일반적으로 저작권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실시된다. 즉, 암호부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있어서는, 이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허가되는 경우에 따라서만, 암호 해독을 위한 열쇠가 주어지도록 된다. 그리고, 이 열쇠를 이용해 암호화에 대한 복호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재생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 사이에서 내용이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단지, 연속하는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했던 것에서는, 각각 콘텐츠 데이터마다 완전히 끝이 난 재생 출력이 되어 버리고, 콘텐츠 데이터의 전후에 있어서 재생 출력의 연속성을 부여할 수 없다. 그래서, 재생 순서적으로 전후가 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재생 출력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부호화를 행하도록 된 기술로서 특개2002-11234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 사이에서의 재생 출력의 연속성이 주어지도록 한 부호화 기술의 구성을 채용했다고 해도, 이하와 같은 상황의 경우에는, 재생 출력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근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암호화 및 압축부호화에 대한 복호처리를, 소프트웨어 처리로서 실행하도록 실행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즉, CPU 등이, 복호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현재 재생 출력해야 할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 CPU가, 이 복호화 처리와 병행하여 다른 처리를 실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AV콘텐츠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는, CPU의 점유율이 높게 되는, 과중한 처리이다. 그리고, 이 복호화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처리로서도, 상당히 CPU의 점유율이 높은, 과중한 처리였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CPU에 상당한 부하가 걸리고, 재생 출력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복호화 처리가 늦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 내에 있어서도, 재생 출력이 중단되어 버리는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난처한 상황에 대응하여, 1개에는, 보다 고성능으로 처리 능력의 높은 CPU를 채용하면 좋게 되지만, 현상황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용의 문제 때문에, 시스템에 알맞은 처리 능력의 CPU를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재생 출력의 연속성을 완전하게 보증할 수 있는 레벨의 처리 능력이, 실제의 시스템에 대응하여 과잉인 경우에는, 성능 보증과 비용적인 밸런스가 무너지므로,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입재생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 순서의 일반적인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5는, 통상의 버퍼용량 설정에 의해, 통상 재생시간의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통상의 버퍼용량 설정에 의해, 짧은 재생시간의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단시간 연속 재생용 버퍼용량의 설정에 의해, 짧은 재생시간의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암호화 콘텐츠 재생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은, 통상의 버퍼용량 설정에 의해, 통상 범위 내의 처리 시간에 의한 프린지 복조처리를 포함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은, 통상의 버퍼용량 설정에 의해, 통상 범위 외의 처리 시간에 의한 프린지 복조처리를 포함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는,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의 설정에 의해, 통상 범위 외의 처리 시간에 의한 프린지 복조처리를 포함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의 재생처리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신규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어느 일정한 처리 능력의 CPU를 사용하고 있는 조건하에서 복호화 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CPU의 점유율이 일정 이하가 되는 바와 같은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정보처리장치는, 부호화된 단위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처리와, 이 복호처리에 앞서 실행되는,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복호 전 처리를, 적어도 실행하는 처리수단과, 복호처리에 의해서 얻어지는 복호 데이터가 기입되어 일시적으로 축적되는 축적수단과, 이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복호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독출하여, 재생 출력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갖추고, 처리수단은,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복호 전 처리의 종료 후에, 단위 데이터의 복호처리를 개시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정보처리방법은, 부호화된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복호 전 처리와, 복호 전 처리의 종료 후에, 단위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처리와, 복호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복호 데이터를 일시 축적하는 축적처리와, 축적처리에 의해 일시 축적된 복호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독출하여, 재생 출력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출력처리를 갖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본 발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형태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처리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동(起動)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기입재생장치(1)의 전체의 제어,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CPU(Centralprocessing Unit)(11)를 갖춘다. CPU(11)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개입시킨 통신 동작,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 동작, 미디어로부터의 콘텐츠 재생이나 리핑, HDD(21)로의 콘텐츠 기억이나 그것을 위한 관리 등을 실시한다. 이 CPU(11)는, 버스(12)를 개입시켜 각 회로부와의 사이에 제어 신호나 데이터의 교환을 실시한다.
ROM(13)은, CPU(11)가 실행해야 할 동작 프로그램, 프로그램 로더나, 각종 연산 계수, 프로그램으로 이용하는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RAM(20)에는, CPU(11)가 실행해야 할 프로그램이 전개된다. 또,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할 때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영역, 태스크 영역으로서도 이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영역, 태스크 영역의 하나로서 버퍼영역(20a)으로서의 영역이 확보되는 경우가 있다. 이 버퍼영역(20a)는, 예를 들면, 미디어 드라이브(19)에 장전된 미디어 또는 HDD(21) 등에서 독출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출력시킬 때에 있어서, 디코드 처리 후의 콘텐츠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축적되는 영역이 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입재생장치(1)에 있어서 기입 재생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로서, 오디오의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조작 입력부(15)는, 기입재생장치(1)의 케이스에 설치된 조작 키나 죠그 다이얼, 터치 패널 등의 각종 조작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또한 GUI(Grapbical User Interface) 조작을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가 조작 입력부(15)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또, 조작 입력부(15), 리모트 컨트롤러로 되어도 좋다.
조작 입력부(15)에서 입력된 정보는, 입력 처리부(14)에 있어서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며, CPU(11)에 대해서 조작 커멘드로서 전송된다. CPU(11)는 입력된 조작 커멘드에 응답한 기기로서의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실시한다.
표시모니터(17)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각종 정보 표시를 한다.
CPU(11)가 각종 동작 상태나 입력 상태, 통신 상태에 따라 표시 정보를 표시 처리부(16)에 공급하면, 표시 처리부(16)는 공급된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모니터(17)에 표시 동작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경우이면, 리핑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 관리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오디오 파일을 관리, 재생하기 위한 GUI 화면이 표시된다.
이 경우의 미디어 드라이브(19)는, 소정의 미디어에 대응하여 적어도 재생이 가능한 드라이브로 된다. 여기서 이용하는 미디어 드라이브(19)는, 소정 미디어에 대응하여, 재생만이 아니고, 기록이 가능한 드라이브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의 미디어 드라이브(19)가 대응하는 미디어로서는, 특히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CD, DVD, 미니 디스크 등의 각종 광학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 되어도 좋다.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소자에 의해 구성된 미디어로 되어도 좋다.  또, 미디어 드라이브로서는, 예를 들면 이러한 각종 미디어에 대응한 각종 드라이브가 개개에 설치되어 버스(12)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도 좋은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5)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미디어 드라이브(19)에 의한 재생 지시를 실시했을 경우는, CPU(11)는, 미디어 드라이브(19)에 대해서 미디어에 대한 재생을 지시한다. 이것에 따라서, 미디어 드라이브(19)는, 장전되어 있는 미디어로부터, 지정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독출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독출된 데이터가, 오디오 콘텐츠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CPU(11)의 처리에 의해서 디코드 처리 등이 실시된 후, 오디오 입출력처리부(24)에 전송된다. 오디오 입출력처리부(24)에 있어서는, 이퀄라이징 등의 음장 처리나 음량조정, D/A변환, 증폭 등의 처리가 실시되며, 스피커(25)로부터 출력된다.
또, 미디어 드라이브(9)에서 재생된 데이터는, CPU(11)의 제어에 의해, HDD(21)에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서 축적할 수도 있다. 즉, 이른바 리핑에 의해 얻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콘텐츠로서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형식으로서는, CD포맷에 있어서의 샘플링 주파수 44.1KHz에서 16비트 양자화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되어도 좋고, HDD(21)의 용량을 절약하기 위해서, 소정 방식에 따라서 압축처리가 실시된 형식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로 되어도 좋다. 또, 압축 방식이라고 해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방식이나 MP3(MPEG Audio Layer III)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튜너(27)는, 예를 들면 AMㆍFM라디오 튜너로 되며, CPU(11)의 제어에 의거하여, 안테나(26)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물론 텔레비전 튜너나 위성방송 튜너, 디지털 방송 튜너 등으로서의 튜너라도 좋다.
복조된 방송 음성 신호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 있어서 필요한 처리가 실시되며, 스피커(25)로부터 방송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통신 처리부(22)는, CPU(11)의 제어에 의거하여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 수신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실시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는, 통신 처리부(22)에서 부호화된 송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개입시켜 소정의 외부 네트워크 대응 기기에 송신한다. 또 네트워크를 개입시켜 외부 네트워크 대응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를 통신 처리부(22)에 주고 받는다. 통신 처리부(22)는, 수신한 정보를 CPU(11)에 전송한다.
또한 기입재생장치(1), 도 1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각종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 Bluetooth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한 주변기기와의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에 의해 네트워크를 개입시켜 다운로드 한 오디오의 콘텐츠 데이터나, USB, IEEE1394 등의 인터페이스를 경유해 전송되어 온 오디오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도, HDD(21)에 대해서 기억시킬 수 있다.
또, 마이크로폰이나 외부 헤드폰의 접속에 이용되는 단자나, DVD 재생시에 대응하는 비디오 출력 단자, 라인 접속 단자, 광디지털 접속 단자 등이 설치되어도 좋다.
게다가 PCMCIA 슬롯, 메모리 카드 슬롯 등이 형성되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나 오디오 기기와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상술한 도 1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입재생장치(1)는, 오디오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음성으로서 재생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미디어 드라이브(19)에 장전된 미디어에 콘텐츠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으면, 이 미디어로부터 독출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출력을 실시할 수 있다. 또, HDD(21)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독출을 실시하여 재생 출력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로서는, 소정의 압축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부호화된 다음, 한층 더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가 실시된 오디오의 콘텐츠 데이터(이하, 단지 「암호화 콘텐츠」라고도 말한다)에 대해서, 음성으로서 재생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암호화 콘텐츠를, 음성으로서 재생 출력하기 위한 처리 순서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1개의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또,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재생 대상의 암호화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는 것은 HDD(21)인 것으로 한다.
다만, 이하에 있어서 설명하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처리는, 예를 들면 미디어에 기입된 암호화 콘텐츠를 미디어 드라이브(19)에 의해 독출하여 재생하는 경우나, 네트워크를 개입시켜 취득한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등,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입재생장치(1)에 의해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HDD(21)에 기억된 재생 대상의 암호화 콘텐츠에 있어서는, 먼저, 부정한 데이터의 수정(改竄) 등이 실시되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검증을 행하기 위한, 수정 체크 처리가 실행된다. 이 수정 체크 처리는,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실행한다. 또,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은, HDD(21)에 인스톨 되도록 하여 기억되고 있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할 때에는, HDD(21)로부터 독출되어 RAM(20)에 전개되게 된다.
그리고, 상술의 수정 체크 처리가 완료하여, 부정한 데이터의 수정 등은 행해지지 않은 것이 인식되면, 이어서는, HDD(21)로부터 독출되어 순서대로 전송되어 오는 암호화 콘텐츠에 대해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를 실행해 나가도록 된다.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도,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실행하는 것으로, 전송되어 온 암호화 콘텐츠의 데이터에 대해서, 소정의 처리 데이터 단위마다 암호화에 대한 복호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 암호의 복호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암호화가 풀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압축부호화 방식에 따른 복조처리(신장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신장(伸長) 처리 후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데이터열은, 버퍼기입처리에 의해서, 차례차례, 버퍼영역(20a)을 분할하여 형성되는 버퍼에 대해서 기입을 해 간다.
여기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암호화 콘텐츠에 대해서, 실제로 암호화를 풀고, 신장 처리를 하는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복조하는 처리이다. 즉, 암호부호화 및 압축부호화에 대한 복호를 실시하는 처리이다. 이것에 대해서, 수정 체크 처리는, 이것 자체는 복호처리는 아니지만, 복호처리를 실행하는데 앞서 실행해야 할 것이 필수로서 요구되는 처리라고 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버퍼영역(20a)에 있어서, 복수의 버퍼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3개의 버퍼(1, 2, 3)를 갖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복수의 버퍼의 각각은, 같은 데이터용량이 분할되어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실제로는, 이러한 각 버퍼는, 링 버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버퍼기입처리로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한다.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기 이전의 단계에서는, 버퍼(1, 2, 3)는 모두 빈 상태로 있지만,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고, 버퍼에 데이터를 기입해야 할 타이밍이 되면, 예를 들면, 먼저 버퍼(1)에 대해서 데이터를 기입해 가도록 된다. 그리고, 버퍼(1)에 있어서의 데이터 축적량이 가득 찼다고 여겨지면, 이어서는, 버퍼(2)에 데이터를 기입하게 되며, 또한 버퍼(2)에 있어서의 데이터 축적량이 가득 차게 되었다면, 버퍼(3)에 데이터를 기입해 가도록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말해 두면, 버퍼로의 데이터 기입은, 버퍼에 대한 독출보다 고속의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이와 같이 하여, 버퍼(1, 2, 3)에 기입되어 축적된 데이터는, 통상이면, 시간축적으로 연속성을 가지고 있게 된다. 즉, 재생 출력음 연속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버퍼(1)로부터 기입이 개시되며, 다음의 버퍼(2, 3)로의 기입이 차례차례 실행되고 있는 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버퍼(1)에 대해서 일정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되는 상태가 되면, 버퍼영역(20a)에 대한 메모리독출로서, 이 버퍼(1)에 최초로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에 의한 독출이 개시된다.
그리고, 버퍼독출처리로서는, 버퍼(1)에 축적된 데이터를 모두 독출했다고 여겨지면, 이어서는, 버퍼(2)에 축적된 데이터의 독출을 실행하고, 또한 버퍼(2)에 축적된 데이터를 모두 독출했다면, 버퍼(3)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을 실시한다.
한편, 버퍼기입처리로서 버퍼(3)까지의 기입이 완료된 후는, 상기와 같이 하여 데이터의 독출이 완료하여 빈 상태가 된 버퍼(1)로 돌아오고, 기입을 실시해 가도록 된다. 이후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하여, 차례차례, 독출이 완료되어 빈 상태가 된 버퍼(2), 버퍼(3)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입을 실행해 나간다.
즉, 버퍼(1, 2, 3)에 대한 기입 처리로서는, 버퍼(1, 2, 3)의 순서대로 반복하도록 하고, 빈 상태의 버퍼에 데이터의 기입을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서 실시하도록 된다.
그리고, 버퍼(1, 2, 3)에 대한 독출처리로서는, 버퍼기입처리에 의해서 일정량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되는 것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하도록 하여, 버퍼(1, 2, 3)의 순서대로, 기입보다 저속인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서 독출을 실시하여 간다.
이러한 버퍼(1, 2, 3)에 대한 기입/독출의 처리에 의하면, 이른바 메모리의 오버플로, 언더플로가 생기지 않는 한은, 버퍼(1, 2, 3)의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로 있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 재생 데이터의 연속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러한 독출동작인 경우, 버퍼기입처리로서는, 모든 버퍼에 있어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데이터 기입을 대기하고, 기입 순서대로 기입을 실시하여야 할 버퍼가 빈 공간이 되면, 데이터 기입을 개시하도록 된다. 즉, 적어도 버퍼기입처리에 있어서는, 간헐적인 동작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버퍼에 대한 기입/독출의 처리에 대응하여, 버퍼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의 개시에 동기(同期)해서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게 된다.
이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도,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실행하는 것이며, 버퍼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재생 출력을 위해서, 재생 신호 처리계(재생 출력계)에 대해서 전송하기 위한 처리가 된다.
이 경우의 재생 신호 처리계(재생 출력계)는, 도 1에 나타내는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가 된다.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로서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 있어서 재생 출력해야 할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성이 보증되도록, 필요한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서, 버퍼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버스(12)를 개입시켜 전송해 나가게 된다.
여기서, 버퍼기입처리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에 기입하는 처리이며, 버퍼독출처리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의해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 전송된다. 따라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는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되고 있는 기간이 존재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버퍼로부터 독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D/A변환 처리를 포함한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스피커(25)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하도록 된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는 한, 스피커(25)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의 음성으로서도 연속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도 2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1개의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 출력하는데 있어서, CPU(11)가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행해야 할 기본적인 처리(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로서는,
수정 체크 처리
암호화 복호/복조처리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
의 3개라고 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정 체크 처리는, 데이터의 수정 등의 유무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데이터 내용에 대한 진성(眞性)을 체크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전 단계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것이 된다.  즉, 1 콘텐츠를 대상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수정 체크 처리와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동시에 실행되지 않고, 수정 체크 처리 ->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실행순서가 지켜져야 할 것이 된다. 다만,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있어서는, 상술도 한 바와 같이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버퍼영역(20a)의 버퍼에 대한 기입 처리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관련된 것인 것으로 하고, 또, 독출처리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관련된 것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해서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도 3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내는 실행 타이밍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암호화 콘텐츠로서 콘텐츠(A)로부터 콘텐츠 재생을 개시하고, 이어서 콘텐츠(B)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예를 들면, 콘텐츠(A)의 재생을 개시해야 할 지시가 얻어졌다고 여겨지면, 먼저, 시점(t1)에 있어서,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한 수정 체크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정 체크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암호화 콘텐츠의 내용 등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다만, 암호화 방식 등에 따라서는, 수정 체크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콘텐츠마다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시점(t1)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t2)에 있어서 콘텐츠(A)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가 종료했다고 여겨지면, 이 시점(t2)으로부터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를 개시하도록 된다.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실행 개시되는데 따라서는, 복조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영역(20a)의 버퍼에 축적시켜 가는 동작도 개시되며, 어느 정도의 시간을 경과하면, 버퍼에 있어서의 축적 용량이 일정 이상이 되고, 독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타이밍이 시점(t3)으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점(t3)으로부터,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된다. 즉, 버퍼로부터 독출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출력계인 오디오 데이터처리부(24)에 대해서 전송하는 처리이다.
콘텐츠(A)로서의 재생음의 출력은, 이 시점(t3)에 대응하여 개시되는 것이 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A)로서의 부호화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시점(t5)에서 완료한다. 이 시점(t5)에 있어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의해 얻어진 콘텐츠(A)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버퍼로의 기입도 종료하지만, 이때, 버퍼에는, 아직도 독출을 하지 않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로 있다.
이 때문에, 시점(t5) 이후에 있어서도,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가 모두 독출될 때까지,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는 계속된다. 그리고, 이 경우, 시점(t7)에 있어서,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종료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시점(t7)에 있어서 콘텐츠(A)로서의 재생 출력음도 종료하게 된다. 이 때문에, 콘텐츠(A)가 재생 출력되는 재생 출력 기간으로서는, 시점(t3)~ 시점(t7)의 기간이라는 것이 된다.
또, 콘텐츠(A)에 연속하여 다음에 재생되어야 할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한다.
콘텐츠(A, B)의 순서대로 연속 재생하려면,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의 개시 타이밍을,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의 종료 타이밍과 연속시킬 필요가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도시도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시점(t7)으로부터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를 개시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시점(t7)으로부터의 버퍼로부터 독출처리가 개시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시점(t7)을 기점으로서 소정량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축적에 필요로 하는 시간 배당의 타이밍의 시점(t6)으로부터 개시해야할 것이 된다.
따라서,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는, 이 시점(t6)보다 전의 단계에 있어서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도 3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러한 경우의 당연한 처리 순서로서,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에 대해서, 콘텐츠(A)의 수정 체크 처리가 종료하는데 이어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3에 있어서는, 콘텐츠(A)의 수정 체크 처리가 시점(t2)에 있어서 종료하고 있지만,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에 있어서는, 이 시점(t2)으로부터 개시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콘텐츠(B)의 수정 체크 처리는, 시점(t4)에 있어서 종료시키고 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의 실제로서, 수정 체크 처리, 암호화 복호/복조처리 및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 가운데, 수정 체크 처리 및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있어서는, 각각, 비교적 CPU(11)의 점유율이 높은 과중한 처리가 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는, 버퍼로부터 독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버스(12)를 개입시켜 전송시키는 지시를 실시하는 것만이므로, CPU(11)의 점유율이 낮은 가벼운 처리가 된다.
여기서, 도 3에 예시한 처리 순서의 타이밍을 보면, 시점(t2)으로부터 시점(t4)의 기간에 있어서,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가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CPU(11)로서는, 모두 CPU 점유율이 높게 되는 2개의 처리를 동시에 실행하고 있는 것이 되며, 실제의 CPU 점유율로서도 상당히 높은 상태가 된다.
상기한 기간(t2~t4)에 나타내는 CPU(11)의 처리 상황이 될 때는, 예를 들면, CPU(11)의 성능에도 기인하지만, 동시에 실행되는 처리에 대해서 지연이 생길 가능성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3의 경우이면,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필요하게 되는 처리 속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버퍼에 언더플로를 일으키게 하여, 결과적으로 재생 출력의 음성이 중단되는 등의, 난처한 상황을 일으킬 가능성이 생긴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입재생장치(1)로서는, 예를 들면 암호화 콘텐츠 재생 이외에도,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기입재생장치(1)로서는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기능을 이용한, 예를 들면 Web브라우저이거나 전자 메일 송수신을 위한 메일러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HDD(21)에 인스톨 해 두는 것으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필요에 따라서 기동시켜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처리 프로그램과, 상술한 바와 같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에, 도 3의 기간(t2~t4)에 나타내는 CPU 점유율이 높은 상태가 발생했다고 하면, 이 경우에는,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재생 출력 음성의 중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혹은, 반대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이 과중해져서 완만(緩慢)한 상태가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를 위한 처리 순서에 대해서, CPU 점유율이 높게 되는 과중한 처리가 병행하여 실행되는 것은, 결과적으로 기기의 동작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쳐 버린다고 하는 좋지 않은 상태를 초래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의 처리 순서를 실행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처리 순서에 있어서도, 암호화 콘텐츠로서, 콘텐츠(A)로부터 재생을 개시하고, 이어서 콘텐츠(B)를 연속해서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이 경우에 있어서,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 암호화 복호/복조처리 및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의 타이밍에 있어서는, 도 3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 및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로서도, 콘텐츠(A)에 계속된 연속 재생이 요구되는 형편상, 도 3의 경우와 같은 타이밍이 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에 있어서는,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종료시점인 시점(t5)으로부터 개시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에 재생되어야 할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에 있어서는, 현재 재생 출력중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이어서 실행시키도록,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 순서에 의한 콘텐츠(8)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는,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완료한 후에 있어서, 같은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의해,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하고 있는 기간을 이용해 실행되게 된다.
도 4에서는,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는,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는 시점(t6)에 있어서 완료하게 되어 있지만, 이것은,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가, 늦어도 시점(t6)에 종료하면 좋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실제에 있어서는, 이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개시시점보다 전의 시점에서 종료되어도 좋다.
이러한 처리 순서라면,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해서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CPU 점유율의 높은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수정 체크 처리가 동시에 실행되는 기간을 없앨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에 대응한 CPU의 최대 점유율을, 지금까지보다 큰 폭으로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CPU 점유율이 높아지고, 재생 출력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난처한 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경우에도, CPU의 능력에 여유를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처리 순서에 있어서, 다음에 재생되어야 할 다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의 실행 타이밍은,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에 일시 축적한다고 하는 동작을 이용하고 있다.
즉, 현재 재생중의 현재 콘텐츠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종료시부터, 다음의 콘텐츠를 위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은, 즉,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하는 기간이 된다. 이 기간은, 현재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로서, 현재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만이 실행되며,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기간이기 때문에, 이 기간에 있어서, 다음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다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의 종료와 다음 콘텐츠의 연속 재생이 적정하게 행해지도록 하려면, 현재 콘텐츠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한 시점 이후에 있어서,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을 종료시킬 때까지의 시간 길이(時間長)로서, 수정 체크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되어 있으면 좋게 된다.
본 실시형태로서도, 통상 생각되는 재생시간을 가지는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다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의 종료와, 다음 콘텐츠의 연속 재생이 보증되는 것을 고려하여, 버퍼영역(20a)에 있어서의 각 버퍼의 용량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 암호화 콘텐츠의 음성 재생은, 수정 체크 처리의 다음에 있어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며, 버퍼에 일정량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된 후에, 버퍼독출처리를 포함한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는데 따라 개시된다. 즉, 버퍼에 소정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될 때까지의 기간은, 재생이 개시되지 않는 대기 기간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의 개시에 대응한 버퍼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의 개시는, 예를 들면 버퍼(1, 2, 3)의 3개의 버퍼가 갖춰져 있는 경우이면, 최초의 버퍼(1)의 전 용량에 데이터를 기입한 것으로서, 일정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되었다고 간주, 버퍼로부터의 독출을 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버퍼(1, 2, 3)의 용량을 많게 하면, 그만큼 축적량도 많아지지만,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도 길어지므로, 이 점으로 미루어 보아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 통상 생각되는 재생시간을 가지는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것을 전제로서, 다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의 종료와, 다음 콘텐츠의 연속 재생이 보증되는 것,
2.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이, 실제 사용상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로 하는 것,
이라고 하는, 이러한 2개의 조건을 고려하여, 통상의 버퍼(1, 2, 3)의 용량을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버퍼(1, 2, 3)의 용량에서는, 연속 재생되어야 할 암호화 콘텐츠가 매우 짧은 바와 같은 경우에는, 전자의 조건을 보증할 수 없게 되며, 현재 콘텐츠와 다음의 콘텐츠와의 사이에서의 재생 출력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는, 연속 재생되는 암호화 콘텐츠(A, B)에 있어서, 적어도 먼저 재생되는 콘텐츠(A)에 있어서는, 재생시간이 통상적으로 생각되는 길이로 되어 있고, 적정하게 콘텐츠(A, B)가 연속 재생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 독출처리로서 버퍼(1, 2, 3)에 있어서 백발(白拔)의 바(bar) 나타내는 부분이, 독출이 실행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또, 기입 처리로서 버퍼(1, 2, 3)에 있어서 흑색의 바(bar)로서 나타내는 부분이, 기입이 실행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먼저, 시점(t1)~ 시점(t2)의 기간에 의해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가 실행되며, 시점(t2) 이후부터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실행 개시되고 있다. 이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개시에 따라서는, 버퍼(1)에 대해서 기입을 한다. 이 버퍼(1)에 대한 기입이 시점(t3)에 있어서 완료하고 있다. 이후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수반해서는, 차례차례 버퍼(2, 3)에 대해서 기입을 실행해 나가고, 또 버퍼(1)로 돌아오고 기입을 반복해 간다고 하는, 버퍼기입처리의 순서가 된다.
또, 버퍼(1)에 대한 기입이 시점(t3)에 있어서 완료함에 따라서, 이 시점(t3)으로부터,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고 있고, 동일한 시점(t3)으로부터 버퍼(1)에 대한 독출처리가 실행된다. 버퍼독출처리로서는, 이미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버퍼(2, 3)에 대해서 차례차례 독출을 실행하고, 버퍼(1)로 돌아와 독출을 실행해 나간다.
다만, 상술도 하고 있는 바와 같이, 버퍼에 대한 기입속도는, 독출속도보다 고속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버퍼에 대한 기입/독출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어 가는 것에 의해서는, 예를 들면, 어느 버퍼에 대한 독출이 실행되고 있을 때는, 다른 버퍼에 데이터가 거의 정상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시점(t4)에 나타내는 타이밍에서,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하고, 콘텐츠(A)로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버퍼로의 기입도, 예를 들면 버퍼(3)로의 기입으로서 종료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시점(t4)에 있어서 버퍼(1)에 대한 데이터 독출이 실행되고 있었다고 하면, 시점(t4)을 경과한 후에 있어서는, 버퍼(2)와 버퍼(3)에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점(t4) 이후에 있어서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의해서는, 먼저, 버퍼(2)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재생 출력시키고, 이어서 버퍼(3)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재생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통상의 버퍼(2)의 기억용량에 대응하는 단위재생시간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여 Ts에 상당하는 것이다고 하면, 시점(t4)에서 콘텐츠(A)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한 후에 있어서, 이 단위재생시간(Ts X 2)에서 나타내지는 시간만큼,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의해서 콘텐츠(A)의 독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점(t4)에 있어서는,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했기 때문에, 시점(t4)에서는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가 개시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수정 체크 처리는, 대략 l개의 버퍼 축적 용량에 대응하는 단위재생시간(Ts)보다는 길지만, 단위재생시간(Ts ×2)보다 짧은 처리 시간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 단위재생시간(Ts×2)에 상당하는 시점(t4)~ 시점(t6)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시점(t5)에 있어서 종료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시점(t5)으로부터 콘텐츠(B)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를 개시시키는 것으로, 콘텐츠(A)의 재생기간이 종료하는 시점(t6)으로부터,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를 개시시키고 있다. 즉 시점(t6)으로부터 콘텐츠(B)의 음성 재생을 개시시키고 있고, 이것에 의해 콘텐츠(A, B)의 연속 재생동작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통상의 버퍼용량을 설정하여 콘텐츠(A, B)를 연속 재생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콘텐츠(A)가 매우 짧은 재생시간인 경우에는, 도 6과 같은 재생처리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먼저, 기간(t1~t2)에 의해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수정 체크 처리가 실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이어서, 시점(t2)으로부터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고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있어서는, 콘텐츠(A)의 재생시간이 짧은 것에 대응하여,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로서의 시간도 비교적 단시간에 종료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도 6에 있어서의,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실행기간(t2~t4)에 있어서의, 버퍼(1, 2, 3)에 대한 기입/독출처리에 의하면, 시점(t4)에 이른 단계에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것은, 버퍼만으로 되어 있다.
즉, 콘텐츠(A)의 재생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실행기간도 매우 짧은 것이 되며, 이 결과,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실행기간에 있어서의, 버퍼기입처리에 의해 축적되는 데이터량과, 독출처리에 의해 독출되어 소비되는 데이터량과의 차분을 충분히 얻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시점(t4) 이후에 의한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의해서 벌 수 있는 시간은, 버퍼(3)에 축적된 데이터분에 상당하는 단위시간(Ts)이라고 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시점(t4) 이후에 있어서의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시점(t4)으로부터 거의 단위시간(Ts)을 경과한 시점(t4a)에서 종료하고, 이 시점에 따라서, 콘텐츠(A)의 재생음 출력도 정지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수정 체크 처리는, 단위시간(Ts)보다 긴 처리이기 때문에, 시점(t4)으로부터 개시된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는, 시점(t4a)을 경과해도 실행하고 있게 되며, 예를 들면 시점(t5)에 있어서 종료하게 된다.
이때의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이 시점(t5)으로부터 개시되게 되며, 이 시점(t5)으로부터, 예를 들면 버퍼(1)로의 데이터 기입이 거의 완료했다고 여겨지는 시점(t6)으로부터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어서, 콘텐츠(B)의 음성 출력도 개시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되는 결과, 콘텐츠(A)의 재생 음성의 출력이 종료하는 시점(t4a)과, 콘텐츠(B)의 재생 음성의 출력이 개시되는 시점(t6)과의 사이에는, 비재생기간(t4a~t6)이 생기게 된다. 즉, 콘텐츠(A, B)를 연속 재생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하여 매우 재생시간이 짧은 콘텐츠의 연속 재생이 필요한 경우로서는, 실제의 콘텐츠의 재생시간이 짧은 경우 외에, 콘텐츠의 연결 편집을 실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즉, 연결 편집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연결해야 한다고 하여 지정한 전후 콘텐츠의 종료 위치와 개시 위치의 연결 상태가, 사용자의 의도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받기 위해서, 전후 콘텐츠의 종단 부분과 개시 부분의 각 몇 초만을 골라내서, 연속 재생을 반복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러한 전후 콘텐츠의 종단 부분과 개시 부분을 연속 재생하는 재생동작, 정확히,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시간이 매우 짧은 콘텐츠(A)에 이어서 콘텐츠(B)를 재생하는 상황과 동등하게 되고, 따라서, 전후 콘텐츠의 종단 부분과 개시 부분은, 연속적으로 재생되지 않는 경우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것이 된다
연결 편집시, 그 연결 상태가 적정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후 콘텐츠의 종단 부분과 개시 부분은, 확실히 연속적으로 재생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연속 재생되어야 할 암호화 콘텐츠로서, 적어도 먼저 재생되어야 할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시간이 소정 이하이며, 통상의 버퍼용량 설정에서는 연속 재생을 보증할 수 없다고 여겨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통상보다 크다고 여겨지는 소요의 버퍼용량(이후, 「단시간 연속 재생용 버퍼용량」이라고도 말한다)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버퍼용량의 설정 변경은, CPU(11)의 제어에 의해서, RAM(20)내의 버퍼영역(20a)에 있어서의 버퍼(1, 2, 3)의 각 영역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즉, 통상의 버퍼용량으로서, 버퍼(1, 2, 3)의 각각에 대해서, 용량(A)분의 영역 할당을 실시한다고 하면, 단시간 연속 재생용 버퍼용량을 설정할 때, 버퍼(1, 2, 3)의 각각에 대해서, 용량(A)보다도 큰 소정의 용량(B)만큼의 영역 할당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의 타이밍 차트는, 단시간 연속 재생용 버퍼용량을 설정하여, 도 6의 경우와 동일하게, 재생시간이 짧은 콘텐츠(A)에 이어서 콘텐츠(B)를 재생했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기간(t1~t2)에 의한 콘텐츠(A)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에 이어서, 시점(t2)으로부터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된다. 그리고, 이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수반하여, 동일한 시점(t2) 이후에 있어서, 버퍼(1)로부터 기입이 개시되고 있다. 여기서 버퍼(1, 2, 3)의 각각은, 통상보다 큰 용량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버퍼(1)로의 기입 종료에 필요로 하는 시간도 길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제로, 시점(t2)으로부터,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는 시점(t3)까지의 시간 길이로서도, 도 6에 나타내는 기간(t2~t3)보다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재생 개시시에 있어 실제로 음성이 재생 출력 개시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은 길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한 시점(t4)의 단계에서는, 버퍼(1, 2, 3) 가운데, 버퍼(3)에게만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시점(t4) 이후에 있어서는,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수반하여, 버퍼(3)에 축적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시키는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그리고, 이 동작은, 버퍼(3)의 용량에 따른 재생시간(t1)의 기간 길이에 의해서 실행되게 된다. 여기서, 단위재생시간(t1)은, 단시간 연속 재생용 버퍼용량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버퍼용량에 대응하는 단위재생시간(Ts)보다 길어져 있다. 이것에 대해서, 수정 체크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콘텐츠의 재생시간 등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시점(t4)으로부터 실행되는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는, 도 6의 경우와 거의 같은 시간 길이를 경과한 시점(t5)에서 종료하게 된다. 이 시점(t5)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버퍼(3)에 축적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시키는 동작이 종료하는 시점(t6)보다 이전의 타이밍이다. 즉, 이 경우에는, 콘텐츠(A)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출력시키고 있는 동안에, 콘텐츠(B) 대상의 수정 체크 처리가 완료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 시점(t5)으로부터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실행된 다음, 시점(t5)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시점(t6)에 있어서, 콘텐츠(A)의 음성 재생 출력이 종료되는 대신,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적정하게 개시된다. 즉, 콘텐츠(A)의 음성 재생 출력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통상보다 큰 소요(所要)의 버퍼용량이 설정되는 것으로, 짧은 재생시간의 암호화 콘텐츠를 포함하여 연속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음성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것이 이해된다.
본 실시형태로서는, 통상시에 대응해서는, 통상의 버퍼용량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시의 경우,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할 때에도,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시간 길이는 일정 이상이기 때문에, 도 5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이때의 버퍼용량으로서도, 재생 개시시에 있어서 실제로 음성 재생이 개시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도 허용 범위 내로 되는 것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대기시간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은 없다.
이것에 대해서,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연결 편집에 있어서의 연결 위치의 확인 재생이나, 일정 이하의 재생시간이 되는 매우 재생시간이 짧은 암호화 콘텐츠에 이어서,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는, 단시간 연속 재생용의 버퍼용량으로 전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시간이 짧은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할 경우에도,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시점(t2)으로부터 시점(t3)의 기간으로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단시간 연속재생용의 버퍼용량은, 통상의 버퍼용량보다 크기 때문에, 재생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음성 출력 개시까지의 재생 대기 시간은 길어져 버린다. 그렇지만, 연결 편집 및 재생시간 매우 짧은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 등은, 통상의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과 비교하면, 특수한 재생으로 되는 것이며, 실행되는 빈도, 기회는 적다. 즉, 특수로 여겨지는 경우에 있어서만, 일시적으로 재생 대기 시간이 길어질 뿐이므로, 기입재생장치(1)를 실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특히 문제는 되지 않는다.
다음에, 오디오 데이터인 암호화 콘텐츠마다, 프린지 데이터라고 하는, 오디오 데이터 이외의 관련 데이터가 관련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암호화 콘텐츠에 관련 데이터로서 부수(付隨)되는 프린지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암호화 콘텐츠에 대한 앨범 재킷으로서의 화상 데이터, 아티스트의 프로필, 라이나노트, 가사 등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혹은 텍스트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린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인 암호화 콘텐츠와 대응이 실시되어 관리된 다음,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인 암호화 콘텐츠의 파일과는 개별의 파일로서 기억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프린지 데이터, 예를 들면 1개의 암호화 콘텐츠에 대해서, 앨범 재킷의 데이터, 가사의 데이터 등과 같이 하여, 복수가 대응되어도 좋은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프린지 데이터로서도,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라면, 소정의 화상 압축 방식에 의해서 압축된 형식으로 되어 있고, 또한 암호부호화도 행해지고 있다.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수반하여, 프린지 데이터를 디코드해 두면, 암호화 콘텐츠가 음성으로서 재생 출력될 때, 앨범 재킷의 화상이나, 가사 등의 화상을, 표시모니터(17)에 표시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프린지 데이터가 관련된 암호화 콘텐츠를, 음성으로서 재생 출력하기 위한 처리 순서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는, 1개의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또,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재생 대상의 암호화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는 것은 HDD(21)이다.
다만, 이후 설명하는 본 실시형태로서의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처리, 예를 들면, 미디어에 기입된 암호화 콘텐츠를 미디어 드라이브(19)에 의해 독출하여 재생하는 경우나, 네트워크를 개입시켜 취득한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등, 본 발명과 관련되는 상술한 도 1에 나타내는 기입재생장치(1)에 의해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HDD(21)에 기억된 재생 대상의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드하는데 앞서서는, 프린지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의 복호 및 압축부호화에 대한 복조(신장) 처리(이후, 프린지 복조처리라고 한다)를 실행한다.
이 프린지 복조처리는,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실행한다.   즉, 프린지 복조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한 것이 아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은, HDD(21)에 인스톨 되도록 하여 기억되고 있고, 이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할 때에는, HDD(21)로부터 독출되어 RAM(20)에 전개된다.
이때의 처리로서는, HDD(21)에 대해서, 목적의 프린지 데이터의 독출을 지시한다. 이것에 따라서, HDD(21), 프린지 데이터가 독출되어 버스(12)를 개입시켜 CPU(12)에 대해서 전송되어 오게 된다. CPU(12)는, 먼저,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대해서, RAM(20)를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하여, 암호화 복호를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암호화가 풀린 프린지 데이터는, 예를 들면 압축부호화된 화상 형식이 되어 있으므로, 이 압축부호화에 대응한 신장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복조된 상태의 프린지 데이터를 예를 들면 RAM(20)에 보관 유지하게 하도록 된다.
프린지 데이터의 표시 출력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암호화 콘텐츠의 음성 재생의 개시와 동시에 행해져야 할 것이 된다. 그렇지만, 프린지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는, CPU(11)에 있어서는 비교적 과중한 처리이기 때문에, 암호화 콘텐츠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동시에 실행했다고 해도, 이 복호화된 기호화 콘텐츠의 음성 재생 출력의 개시 타이밍 시간에 늦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드에 앞서 프린지 데이터를 디코드해 두도록 된다. 프린지 데이터가 디코드 처리 다음이라면, 이것을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표시 처리부(16)에 대해서 프린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만으로 좋다. 따라서, 암호화 콘텐츠의 음성 재생 출력 타이밍에 동기 시켜서, 디코드 후의 프린지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16)에 전송하면, 암호화 콘텐츠의 음성 재생 출력의 개시와 동시에 프린지 데이터를 표시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프린지 복조처리가 완료했다고 여겨지면, 이어서는, HDD(21)로부터 독출되어 순서대로 전송되어 오는 암호화 콘텐츠에 대해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를 실행해 나간다.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도,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실행하는 것으로, 전송되어 온 암호화 콘텐츠의 데이터에 대해서, 소정의 처리 데이터 단위마다 암호화에 대한 복호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 암호의 복호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암호화가 풀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압축부호화 방식에 따른 복조처리(신장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신장 처리 후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서의 데이터열은, 버퍼기입처리에 의해서, 차례차례, 버퍼영역(20a)을 분할하여 형성되는 버퍼에 대해서 기입을 해 간다.
여기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암호화 콘텐츠에 대해서, 실제로 암호화를 풀어, 신장 처리를 가하는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복조하는 처리이다.즉, 암호부호화 및 압축부호화에 대한 복호를 실시하는 처리이다. 이것에 대해서, 프린지 복조처리는, 이것 자체는, 오디오로서의 콘텐츠 데이터는 아니지만,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출력시키는데 있어서 부수하여 필요한 정보를 복조하기 위한 처리라고 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로서는, 상술한 기입재생장치와 동일하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퍼영역(20a)에 있어서 복수의 버퍼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3개의 버퍼(1, 2, 3)를 갖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여기에서는, 이러한 복수의 버퍼의 각각은 같은 데이터용량이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각 버퍼는, 링 버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버퍼기입처리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기 이전의 단계에서는, 버퍼(1, 2, 3)는 모두 빈 상태로 있지만,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고, 버퍼에 데이터를 기입해야할 타이밍이 되면, 예를 들면, 먼저 버퍼(1)에 대해서 데이터를 기입해 가도록 된다. 그리고, 버퍼(1)에 있어서의 데이터 축적량이 가득하게 되었다고 여겨지면, 이어서는, 버퍼(2)에 데이터를 기입해 가도록 되며, 또한 버퍼(2)에 있어서의 데이터 축적량이 가득하게 되면, 버퍼(3)에 데이터를 기입해 가도록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말해 두면, 버퍼로의 데이터의 기입은, 버퍼에 대한 독출보다 고속의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이와 같이 하여, 버퍼(1, 2, 3)에 기입되어 축적된 데이터는, 통상이면, 시간축적으로 연속성을 가지고 있게 된다. 즉, 재생 출력음으로서는 연속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버퍼(1)로부터 기입이 개시되어 다음 버퍼(2, 3)로의 기입이 차례차례 실행되고 있는 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버퍼(1)에 대해서 일정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되는 상태가 되면, 버퍼영역(20a)에 대한 메모리독출로서 이 버퍼(1)에 최초로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에 의한 독출이 개시된다.
그리고, 버퍼독출처리로서는, 버퍼(1)에 축적된 데이터를 모두 독출했다고 여겨지면, 이어서는, 버퍼(2)에 축적된 데이터의 독출을 실행하고, 또한 버퍼(2)에 축적된 데이터를 모두 독출했다면, 버퍼(3)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을 실시한다.
한편, 버퍼기입처리로서 버퍼(3)까지의 기입이 완료한 후는, 상기와 같이 하여 데이터의 독출이 완료되어 빈 상태가 된 버퍼(1)로 돌아오고, 기입을 실시하여 가도록 된다. 이후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하여, 차례차례, 독출이 완료되어 빈 상태가 된 버퍼(2), 버퍼(3)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입을 실행해 나간다.
즉, 버퍼(1, 2, 3)에 대한 기입 처리로서는, 버퍼(1, 2, 3)의 순서대로 반복하도록 하고, 빈 상태의 버퍼에 데이터의 기입을 소정의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서 실시하도록 된다.
그리고, 버퍼(1, 2, 3)에 대한 독출처리로서는, 버퍼기입처리에 의해서 일정량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되는 것에 대응한 시간만큼 지연하도록 하여, 버퍼(1, 2, 3)의 순서대로, 기입보다 저속인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서 독출을 실시하여 가도록 된다.
이러한 버퍼(1, 2, 3)에 대한 기입/독출의 처리에 의하면, 이른바 메모리의 언더플로가 생기지 않는 한은, 버퍼(1, 2, 3)의 적어도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로 있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 재생 데이터의 연속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러한 독출동작인 경우, 버퍼기입처리로서는, 모든 버퍼에 있어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데이터 기입을 대기하고, 기입 순서적으로 기입을 실시하여야 할 버퍼가 빈 상태가 되면, 데이터 기입을 개시하도록 된다. 즉, 적어도 버퍼기입처리에 있어서는, 간헐적인 동작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버퍼에 대한 기입/독출의 처리에 대응하여, 버퍼로부터의 데이터의 독출의 개시에 동기해서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게 된다.
이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도,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실행하는 것이며, 버퍼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재생 출력을 위해서, 재생 신호 처리계(재생 출력계)에 대해서 전송하기 위한 처리가 된다.
이 경우의 재생 신호 처리계(재생 출력계)는, 도 1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가 된다.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로서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 있어서 재생 출력해야 할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성이 보증되도록, 필요한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서, 버퍼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버스(12)를 개입시켜 전송해 가게 된다.
여기서, 버퍼기입처리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에 기입하는 처리이며, 버퍼독출처리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의해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 전송된다. 따라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는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되고 있는 기간이 존재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버퍼로부터 독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입력되어 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입력되어 오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D/A변환 처리를 포함한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스피커(25)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하도록 된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는 한, 스피커(25)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의 음성으로서도 연속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프린지 복조처리에 의해서 복조된 프린지 데이터를 재생 출력(표시 출력)하기 위한 표시 처리부(16)에 대한 데이터 전송처리는, 상기한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와 거의 동시가 되는 개시 타이밍에 의해 실행되면 좋다.
도 8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1개의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 출력하는데 있어서, CPU(11)가 암호화 콘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행해야 할 기본적인 처리(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로서는,
프린지 복조처리(여기에서는 표시 출력을 위한 전송처리를 포함한다)
암호화 복호/복조처리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
의 3개이다. 그리고, 프린지 복조처리는, 예를 들면 콘텐츠에 대응하는 앨범 재킷의 화상 등에 대표되는 프린지 데이터를 복조 하는 처리이지만, 이 경우의 사양으로서는, 콘텐츠로서의 음성의 재생 출력이 개시될 때까지는, 프린지 데이터에 대해서, 표시 등의 재생 출력이 가능한 상태로 디코드해 두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프린지 복호처리는, 필연적으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전 단계에 있어서 실행되어야할 것이 된다. 즉, 1 콘텐츠를 대상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프린지 복조처리와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는 없고, 프린지 복조처리 -> 복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실행 순서가 지켜져야 할 것으로 된다. 다만,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있어서는, 상술도 한 바와 같이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버퍼영역(20a)의 버퍼에 대한 기입 처리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관련된 것인 것으로 하고, 또, 독출처리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관련된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1개의 암호화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의 순서를 전제로서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해서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에 대해서, 도 9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암호화 콘텐츠로서 콘텐츠(A)로부터 콘텐츠 재생을 개시하고, 이어서 콘텐츠(B)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예를 들면, 콘텐츠(A)의 재생을 개시해야 할 지시가 얻어졌다고 여겨지면, 먼저, 시점(t1)에 있어서,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한 프린지 복조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프린지 복조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복조 대상이 되는 프린지 데이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지 데이터에 대한 화상 사이즈, 해상도는, 특별히 통일화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개개의 프린지 데이터에 있어서는, 그 화상 사이즈, 해상도 등에 따라 복조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달라진다.
또, 1개의 암호화 콘텐츠에 대응하여 부수되는 프린지 데이터의 수는, 복수의 경우도 있다라고 앞서 기술했지만, 1 콘텐츠에 대응시켜야 할 프린지 데이터의 수도 특히 규정되지는 않기 때문에, 관련된 프린지 데이터로서의 파일수도 암호화 콘텐츠마다 다르다. 따라서, 복조처리해야 할 프린지 데이터의 수에 의해서, 프린지 복조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 길이는 달라지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시점(t1)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t2)에 있어서 콘텐츠(A)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가 종료했다고 여겨진다. 이 시점(t2)으로부터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를 개시하도록 된다.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실행 개시되는데 따라서는, 복조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영역(20a)의 버퍼에 축적시켜 가는 동작도 개시되며, 어느 정도의 시간을 경과하면, 버퍼에 있어서의 축적 용량이 일정 이상이 되어, 독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타이밍이 시점(t3)으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점(t3)으로부터,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된다. 즉, 버퍼로부터 독출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출력계인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에 대해서 전송하는 처리이다.
콘텐츠(A)로서의 재생음의 출력은, 이 시점(t3)에 대응하여 개시되는 것이 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A)로서의 부호화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시점(t4)에서 완료한다. 이 시점(t4)에 있어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의해 얻어진 콘텐츠(A)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버퍼로의 기입도 종료하지만, 이때, 버퍼에는, 아직도 독출을 하지 않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로 있다.
이 때문에, 시점(t4) 이후에 있어서도,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가 모두 독출될 때까지는,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는 계속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시점(t6)에 있어서,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종료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시점(t6)에 있어서 콘텐츠(A)로서의 재생 출력음도 종료하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콘텐츠(A)가 재생 출력되는 재생 출력 기간으로서는, 시점(t3)~ 시점(t6)의 기간이라는 것이 된다.
또, 콘텐츠(A)에 연속하여 다음에 재생되어야 할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한다.
콘텐츠(A, B)의 순서대로 연속 재생하려면,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의 개시 타이밍을,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의 종료 타이밍과 연속시킬 필요가 있다. 즉, 이 경우, 도시도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시점(t6)으로부터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를 개시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시점(t6)으로부터의 버퍼로부터 독출처리가 개시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시점(t6)을 기점으로서 소정량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축적에 필요로 하는 시간 배당의 타이밍 시점(t5)으로부터 개시해야할 것이 된다.
따라서,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는, 이 시점(t5)보다 전의 단계에 있어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도 9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러한 경우의 처리 순서로서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에 대해서, 콘텐츠(A)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하는데 이어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에 있어서는, 콘텐츠(A)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시점(t4)에 있어서 종료하고 있지만,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에 있어서는, 이 시점(t4)으로부터 개시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콘텐츠(B)의 프린지 복조처리는,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는 시점(t4)까지 종료되어야 할 것이 된다.
그런데,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를 실행 개시하는 타이밍, 예를 들면, 콘텐츠(A)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의 종료 직후로 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9에 있어서 파선으로 묶은 프린지 복조처리로서 나타내도록, 시점(t2)으로부터 개시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프린지 복조처리에 있어서는, 현재 재생 대상이 되고 있는 암호화 콘텐츠의 프린지 복조처리에 이어서,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암호화 콘텐츠의 프린지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프린지 복조처리의 처리 타이밍에 있어서도, 프린지 복조처리로서는, 그 암호화 콘텐츠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전 단계에서 완료시켜 둘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의 실제로서 프린지 복조처리, 암호화 복호/복조처리 및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 가운데, 프린지 복조처리 및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있어서는, 각각, 비교적 CPU(11)의 점유율이 높은 과중한 처리가 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는, 버퍼로부터 독출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버스(12)를 개입시켜 전송시키는 지시를 실시하는 것만이므로, CPU(11)의 점유율이 낮은 가벼운 처리가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재생 대상이 되고 있는 암호화 콘텐츠의 프린지 복조처리에 이어서,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암호화 콘텐츠의 프린지 복조처리를 실행해야 할 것으로 했을 경우, 시점(t2) 이후에 있어서,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가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되는 기간이 생겨 버린다. 이 기간으로는, CPU(11)로서는, 모두 CPU 점유율이 높게 되는 2개의 처리를 동시에 실행하고 있게 되며, 실제의 CPU 점유율이라고 해도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CPU(11)의 처리 상황이 될 때는, 예를 들면, CPU(11)의 성능에 의해서도, 동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해서 지연이 생길 가능성도 나온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필요로 하는 처리 속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버퍼에 언더플로를 일으키게 하며, 결과적으로 재생 출력의 음성이 중단되는 등의, 난처한 상태를 일으킬 가능성이 나온다.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기입재생장치(1)로서는, 예를 들면 암호화 콘텐츠 재생 이외에도,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기입재생장치(1)로서는,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기능을 이용한, 예를 들면 Web브라우저나, 전자 메일 송수신을 위한 메일러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HDD(21)에 인스톨 해 두는 것으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필요에 따라서 기동시켜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처리 프로그램과, 상기한 바와 같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있을 때에, 도 9의 기간(t2~t4)에 나타내는 CPU 점유율이 높은 상태가 발생했다고 하면, 이 경우에는,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재생 출력 음성의 중단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혹은, 반대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이 과중해져서 완만(緩慢)한 상태가 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를 위한 처리 순서에 대해서, CPU 점유율이 높게 되는 과중한 처리가 병행하여 실행되는 것은, 결과적으로 기기의 동작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쳐 버린다고 하는 난처한 상태를 초래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에 있어서는,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종료시점인 시점(t4)으로부터 개시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 다음에 재생되어야 할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에 있어서는, 현재 재생 출력중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이어서 실행시키도록,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 순서에 의한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는,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완료한 후에 있어서, 같은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의해,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하고 있는 기간을 이용하여 실행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처리 순서에서는,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는,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는 시점(t5)에 있어서 완료하게 되어 있지만, 이것은,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가, 늦어도 시점(t5)에 종료하면 좋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실제에 있어서는, 이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개시시점보다 전의 시점에서 종료되어도 좋다.
이러한 처리 순서이면,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해서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CPU 점유율의 높은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프린지 복조처리가 동시에 실행되는 기간을 없앨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암호화 콘텐츠의 재생에 대응한 CPU의 최대 점유율을, 지금까지보다 큰 폭으로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CPU 점유율이 높아져서, 재생 출력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바와 같은 부적절한 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경우에도, CPU의 능력에 여유를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도 9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로서의, 다음에 재생되어야 할 다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의 실행 타이밍의 설정,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에 일시적으로 축적한다고 하는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전제로 해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즉, 현재 재생중의 현재 콘텐츠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종료시부터, 다음의 콘텐츠를 위한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은, 즉,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하는 기간이 된다. 이 기간은, 현재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 콘텐츠 대응 재생처리로서, 현재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만이 실행되며,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기간이기 때문에, 이 기간에 있어서, 다음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다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의 종료와, 다음 콘텐츠의 연속 재생이 적정하게 행해지도록 하려면, 현재 콘텐츠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한 시점 이후에 있어서,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을 종료시킬 때까지의 시간 길이로서, 프린지 복조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되어 있으면 좋게 된다.
본 실시형태로서도, 통상 생각되는 프린지 데이터의 복조에 필요로 하는 시간 길이를 전제로 하면, 다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의 종료와, 다음 콘텐츠의 연속 재생이 보증되는 것을 고려하여, 버퍼영역(20a)에 있어서의 각 버퍼의 용량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암호화 콘텐츠의 음성 재생은, 프린지 복조처리의 뒤에 있어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며, 버퍼에 일정량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된 후에, 버퍼독출처리를 포함한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는데 따라 개시된다. 즉, 버퍼에 소정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될 때까지의 기간은, 재생이 개시되지 않는 대기 기간이 생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의 개시에 대응한 버퍼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의 개시는, 예를 들면 버퍼(1, 2, 3)의 3개의 버퍼가 갖춰져 있는 경우이면, 최초의 버퍼(1)의 전용량에 데이터를 기입한 것으로서, 일정 이상의 데이터가 축적되었다고 간주, 버퍼로부터의 독출을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버퍼(1, 2, 3)의 용량을 많게 하면, 그만큼 축적량도 많아지기는 하지만,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도 길어지므로, 이 점으로 미루어 보아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 통상 생각되는 프린지 복조처리의 처리 시간 길이를 전제로서, 다음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의 종료와, 다음 콘텐츠의 연속 재생이 보증되는 것,
2.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이, 실제 사용상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
라고 하는, 이러한 2개의 조건을 고려하여, 통상의 버퍼(1, 2, 3)의 용량을 설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프린지 데이터의 내용, 수에 따라서는, 프린지 복조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 길이가, 통상으로 여겨지는 범위를 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통상 버퍼(1, 2, 3)의 용량에서는, 전자의 조건을 보증할 수 없게 되며, 현재 콘텐츠와 다음의 콘텐츠와의 사이에서의 재생 출력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는, 암호화 콘텐츠(A, B)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 적어도, 콘텐츠(A)의 다음에 재생되는 콘텐츠(B)의 프린지 데이터에 있어서는, 처리 시간을 통상으로서 생각되는 길이로 여겨지고 있고, 적정하게 콘텐츠(A, B)가 연속 재생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 독출처리로서 버퍼(1, 2, 3)에 있어서 백발의 바(bar)로 나타내는 부분이, 독출이 실행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또, 기입 처리로서 버퍼(1, 2, 3)에 있어서 흑색의 바로서 나타내는 부분이, 기입이 실행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먼저, 시점(t1)~ 시점(t2)의 기간에 의해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가 실행되며, 시점(t2) 이후부터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실행 개시되고 있다. 이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의 개시에 따라서는, 버퍼(1)에 대해서 기입을 한다. 그리고, 이 버퍼(1)에 대한 기입이 시점(t3)에 있어서 완료하고 있다. 이후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수반하여, 차례차례 버퍼(2, 3)에 대해서 기입을 실행해 나가고, 또 버퍼(1)로 돌아와서 기입을 반복해 간다고 하는, 버퍼기입처리의 순서가 된다.
또, 버퍼(1)에 대한 기입이 시점(t3)에 있어서 완료했는데 따라서, 이 시점(t3)으로부터,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고 있고,동일한 시점(t3)으로부터 버퍼(1)에 대한 독출처리가 실행된다. 버퍼독출처리로서도, 이미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버퍼(2, 3)에 대해서 차례차례 독출을 실행하고, 버퍼(1)로 돌아와 독출을 실행해 나가도록 된다.
다만, 상술도 하고 있는 바와 같이, 버퍼에 대한 기입속도는, 독출속도보다 고속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버퍼에 대한 기입/독출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어 가는 것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어느 버퍼에 대한 독출이 실행되고 있을 때는, 다른 버퍼에 데이터가 거의 정상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예를 들면 시점(t4)에 나타내는 타이밍으로,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하여, 콘텐츠(A)로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버퍼로의 기입도, 예를 들면 버퍼(3)로의 기입으로서 종료했다고 한다.
이 경우, 시점(t4)에 이르기까지 있어서 버퍼(1)에 대한 데이터 독출이 실행되고 있었다고 하면, 시점(t4)을 경과한 후에 있어서는, 버퍼(2)와 버퍼(3)에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점(t4) 이후에 있어서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따라서는, 먼저, 버퍼(2)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재생 출력시키고, 이어서 버퍼(3)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재생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통상 버퍼(2)의 기억용량에 대응하는 단위재생시간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여 Ts에 상당하는 것이다고 하면, 시점(t4)에서 콘텐츠(A)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한 후에 있어서, 이 단위재생시간(Ts X 2)로 나타내지는 시간만큼,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의해서 콘텐츠(A)의 독출이 가능하게 되도록 된다.
그리고, 시점(t4)에 있어서는,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된 것이므로, 이 시점(t4)으로부터,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가 개시되게 된다.
이 경우의 콘텐츠(B) 대응의 프린지 복조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대체로 1개의 버퍼 축적 용량에 대응하는 단위재생시간(Ts)보다는 길지만, 단위재생시간(Ts X 2) 보다도 짧아지게 되는 처리 시간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상기 콘텐츠(B)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는, 상기 단위재생시간(Ts X 2)에 상당하는 시점(t4)~ 시점(t6)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시점(t5)에 있어서 종료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시점(t5)으로부터 콘텐츠(B)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를 개시시키는 것으로, 콘텐츠(A)의 재생기간이 종료하는 시점(t6)으로부터, 콘텐츠(3)를 대상으로 하는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를 개시시키고 있다. 즉, 시점(t6)으로부터 콘텐츠(B)의 음성 재생을 개시시키고 있고, 이것에 의해 콘텐츠(A, B)의 연속 재생동작을 얻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통상의 버퍼용량을 설정하여 콘텐츠(A, B)를 연속 재생하는데 있어서,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이 통상 범위를 넘어서 길어진 같은 경우에는, 도 11과 같은 재생처리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먼저, 기간(t1~t2)에 의해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가 실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이어서, 시점(t2)으로부터 콘텐츠(A)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고 있고, 도 10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시점(t4)에서 완료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시점(t4)에 이른 시점에서는, 버퍼(2)와 버퍼(3)에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가 얻어지고 있다. 그리고, 시점(t4) 이후에 있어서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따라서는, 먼저, 버퍼(2)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재생 출력시키고, 이어서 버퍼(3)로부터 독출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재생 출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시점(t4) 이후에 있어서의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는, 시점(t4)으로부터 단위재생시간(Ts X 2)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t6)에 있어서 종료한다. 그리고, 이 시점에 따라서, 콘텐츠(A)의 재생음 출력도 정지되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는, 도 10의 경우와 같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콘텐츠(B)에 대응하는 프린지 데이터의 복조처리는, 통상 범위를 넘는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점(t4)으로부터 개시되는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의 종료시점인 시점(t5), 이 경우에는,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종료하는 시점(t5)보다 나중이 되고 있다.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복조처리의 종료 후가 아니면 실행 개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는,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가 종료하는 시점(t5)으로부터 개시되게 되고,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는, 또한 이 시점(t5)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시점(t6a)으로부터 개시되게 된다. 즉, 콘텐츠(B)의 재생음의 출력은, 시점(t6a)으로부터 개시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되는 결과,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종료하는 시점(t6)으로부터,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는 시점(t6a)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비재생기간이 생기게 된다. 즉, 콘텐츠(A, B)를 연속 재생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린지 복조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통상 범위를 넘어 길어졌을 경우에는, 버퍼에 축적되고 있기 전의 콘텐츠 데이터의 독출이 종료하여 재생 출력이 정지해도, 프린지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상황이 되어, 콘텐츠의 연속 재생을 실시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사정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로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암호화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프린지 복조처리의 처리 시간이 통상 범위를 넘어 길기 때문에, 통상의 버퍼용량 설정에서는 연속 재생을 보증할 수 없다고 여겨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통상보다 크다고 여겨지는 소요의 버퍼용량(이후,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이라고도 말한다)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버퍼용량의 설정 변경은, CPU(11)의 제어에 의해서, RAM(20)내의 버퍼영역(20a)에 있어서의 버퍼(1, 2, 3)의 각 영역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즉, 통상의 버퍼용량으로서 버퍼(1, 2, 3)의 각각에 대해서, 용량(A)만큼의 영역 할당을 실시한다고 하면,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을 설정할 때에는, 버퍼(1, 2, 3)의 각각에 대해서, 용량(A)보다 큰 소정의 용량(B)만큼의 영역 할당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2의 타이밍 차트는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을 설정하여, 도 11의 경우와 동일하게, 재생시간이 짧은 콘텐츠(A)에 이어서 콘텐츠(B)를 재생했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기간(t1~t2)에 의한 콘텐츠(A)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에 이어서, 시점(t2)으로부터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된다. 그리고, 이때 암호화 복호/복조처리에 수반하여, 동일한 시점(t2) 이후에 있어서, 버퍼(1)로부터 기입이 개시되고 있다. 여기서 버퍼(1, 2, 3)의 각각은, 통상보다 큰 용량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버퍼(1)로의 기입 종료에 필요로 하는 시간도 길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제로, 시점(t2)으로부터,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는 시점(t3)까지의 시간 길이로서도, 도 12에 나타내는 기간(t2~t3)보다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재생 개시시에 있어서 실제로 음성이 재생 출력 개시될 때까지의 대기시간은 길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A)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한 시점(t4)의 단계에서는, 버퍼(1, 2, 3) 가운데, 버퍼(3)에만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시점(t4) 이후에 있어서는,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에 수반하여, 버퍼(3)에 축적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시키는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그리고, 이 동작은, 버퍼(3)의 용량에 따른 재생시간(t1)의 기간 길이에 의해서 실행되게 된다. 여기서, 단위재생시간(TL)은,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버퍼용량에 대응하는 단위재생시간(Ts)보다 길어지고 있다.
즉,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이 설정되는 것에 따라서는,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종료한 시점으로부터, 또한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이, 연장되게 된다. 즉, 도 12에 있어서의 기간(t4~t6)으로서의 시간 폭은, 도 11에 있어서의 기간(t4~t6)보다 긴 것이 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시점(t4)으로부터 실행되는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는, 도 11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시간 길이를 경과한 시점(t5)에서 종료하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기간(t4~t6)이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의 종료하는 시점(t5)은,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종료하는 시점(t6)보다 전으로 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콘텐츠(B) 대상의 프린지 복조처리가 종료한 시점(t5)으로부터, 콘텐츠(B) 대상의 암호화 복호/복조처리가 개시되고 있고, 이 시점(t5)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한 시점(t6)에 있어서,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고 있다. 즉, 콘텐츠(A)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의 종료 직후에 콘텐츠(B) 대상의 재생 출력계 전송처리가 개시되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콘텐츠(A, B)의 연속 재생이 가능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통상보다도 큰 소요의 버퍼용량이 설정되는 것으로, 프린지 복조처리에 통상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재생 음성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것이 이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의 버퍼용량과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과의 2개의 버퍼용량의 사이에서의 전환이 실시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버퍼용량의 전환은, 예를 들면 암호화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실행해야할 것으로 된다.
즉, CPU(11)가, 현재 재생 대상이라고 여겨지는 암호화 콘텐츠의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프린지 데이터에 대한 복조처리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이 통상 범위 내라고 인식했을 경우에는, 통상의 버퍼용량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때에는, 예를 들면 도 10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연속 재생되는 암호화 콘텐츠에 대한 재생음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암호화 콘텐츠의 프린지 데이터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통상 범위를 넘는 정도로 길다고 인식했을 경우에 있어서는,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으로 교체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시간이 짧은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할 경우에도,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린지 데이터의 처리 시간이 통상 범위 내인지, 혹은 통상 범위를 넘는 것인지의 판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프린지 데이터에 부가된 헤더 등에 격납되는 정보로부터, 프린지 데이터의 내용, 데이터 사이즈, 압축부호화 등의 형식 등을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 결과로부터, 그 프린지 데이터에 대한 처리 시간을 추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면 좋다.
또, 프린지 데이터의 처리 시간에 따른 버퍼용량의 변경은, 도 12로 나타낸 예에서는, 그 프린지 데이터가 대응하는 암호화 콘텐츠에 대해서 재생순서가 1개 전이 되는 암호화 콘텐츠의 데이터를 버퍼링 개시하는 타이밍에서 행해져야 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프린지 데이터의 처리 시간이 통상 범위를 넘는 경우에도 대응하여, 콘텐츠의 연속 재생을 가능하게 하려면, 늦어도, 예를 들면 전의 암호화 콘텐츠를 재생 중에 있어서도, 이 프린지 데이터의 처리를 개시하는 일정시간 전부터,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으로 전환되어 있으면 좋다고 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그래서, 프린지 데이터가 대응하는 암호화 콘텐츠에 대해서 재생순서가 1개 전이 되는 암호화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고 있는 도중에 있어서도, 프린지 데이터의 처리가 개시되는 소정 시간 전으로 되는 적당한 타이밍에서, 기억용량이 빈 상태가 된 버퍼로부터, 차례차례, 용량 전환을 실시하여 가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프린지 데이터의 처리 시간에 대해서 판정을 실시하는 타이밍에 있어서는, 버퍼용량을 변경해야 할 타이밍보다 이전에 있어서의 소정 타이밍에서 실행되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을 말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으로서는 상술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태의 형태로서의 설명에서는, 버퍼용량의 전환을 2 단계에서 실시하고 있는 것이 되지만, 예를 들면, 프린지 데이터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에 따라서, 3 단계 이상의 버퍼용량의 전환을 하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이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버퍼는, RAM(20)에 있어서의 버퍼영역(20a)으로서의 영역에 있어서, 버퍼(1, 2, 3)의 각 영역 사이즈의 할당을 실시하는 것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지만, RAM(20)과는 별도로, 버퍼로서 기능하는 메모리 소자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통상의 버퍼용량에 대응하는 버퍼(1, 2, 3)로서의 용량을 가지는 메모리 소자와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에 대응하는 버퍼(1, 2, 3)로서의 용량을 가지는 메모리 소자를 개별적으로 마련하도록 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기입/독출처리로서 통상의 버퍼용량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전자의 메모리 소자에 대한 기입/독출을 실행하고, 장시간 처리대응 버퍼용량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후자의 메모리 소자에 대한 기입/독출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본 발명으로서의 데이터축적수단의 용량을 변경하는 동작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대상이 되는 콘텐츠에 대해서 행해지는 부호화로서도, 압축부호화 및 암호부호화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것에 수반하여, 콘텐츠의 복호처리와 이 복호처리에 대응하는 복호 전 처리의 실제로서는,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또, 부호화 되는 콘텐츠로서는, 오디오 데이터 이외에도,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 등으로 되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동작을 실현하는 것은, CPU(11)가 실행해야 할 프로그램이라고 하여 설명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HDD(21), 또는 ROM(13)에 인스톨 되도록 하여 격납되는 것이다.
혹은, 프로그램, 플렉시블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격납(기록) 해 둘 수 있다. 이러한 리무버블 기록 매체는, 이른바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라면, 미디어 드라이브(19)가 대응하는 미디어 등에 프로그램을 기입하고,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미디어 드라이브(19)에 의해 미디어로부터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HDD(21)나 ROM(13)에 기억시키는 것으로 인스톨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패키지 소프트웨어로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인스톨 하는 것은 가능하게 된다.
또, 프로그램은, 상기와 같은 리무버블인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 하는 것 외에,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서버 등으로부터,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개입시켜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을 나중에 추가하기 위한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패키지 미디어로서 배포하거나 네트워크상에서 배포하도록 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입수하여, 기존의 시스템이 인스톨 되어 있는 환경에 대해서, 이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인스톨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의 것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당 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호처리(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이 복호처리의 개시 이전의 타이밍에 반드시 실행해야 한다고 여겨지는 복호 전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재생되는 단위 데이터(콘텐츠 데이터)를 정보처리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단위 데이터를 연속해서 재생 출력시켜야 할 경우에는, 현재 재생 출력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위 데이터의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 전 처리를, 현재 재생 출력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처리의 종료 후가 되는 타이밍에서 개시시킨다.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 전 처리는, 축적수단(축적영역)에 축적된 데이터의 독출에 의해서, 이 현재 재생 출력 대상으로 여겨지는 단위 데이터의 재생 출력이 계속되는 동안에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현재 재생 대상으로 여겨지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처리와,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 전 처리가 동시 병행하여 실행되는 기간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복호 전 처리와 복호처리가 동시 실행 있는 것에 의한 처리 부담의 증가는 없게 되고, 예를 들면 복호처리가 적정한 속도로 실행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단위 콘텐츠 재생 이외의 처리가 병행하여 실행될 때도, 복호 전 처리와 복호처리가 동시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처리 능력에는 여유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데이터의 재생 출력을 포함한, 현재 실행중으로 되어 있는 처리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정보처리로서 단위 데이터(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복호처리(암호화 복호/복조처리)와 이 복호처리의 개시 이전의 타이밍에 실행해야 할 처리이며, 그 단위 데이터의 재생에 관해서 필요하게 되는 복호 전 처리를 실행하고, 단위 데이터를 연속해서 재생 출력시켜야 할 경우, 현재 재생 출력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위 데이터의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 전 처리를, 현재 재생 출력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처리의 종료 후가 되는 타이밍에 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 전 처리는, 축적수단에 축적된 데이터의 독출에 의해서, 이 현재 재생 출력 대상으로 여겨지는 단위 데이터의 재생 출력이 계속되는 동안에 실행되게 된다.
이 구성에 따라서는, 먼저, 현재 재생 대상으로 여겨지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처리와, 다음에 재생 대상이 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 전 처리가 동시 병행하여 실행되는 기간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복호 전 처리와 복호처리가 동시 실행되는 것에 의한 처리 부담의 증가는 없게 되고, 예를 들면 복호처리가 적정한 속도로 실행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게다가, 현재 재생 출력 대상으로 되어 있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 데이터가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기간 내에 있어서, 다음에 재생 출력 대상이 되는 단위 데이터에 대한 복호 전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처리 시간 길이에 따라서, 축적수단의 데이터용량을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복호 전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처리 시간 길이에 따라서, 복호처리 종료 후에 있어서의 단위 데이터의 재생 출력 계속 시간도 변경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복호 전 처리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이 상당히 긴 듯한 경우에서도, 축적수단의 데이터용량의 변경에 의해서, 상기 처리 시간에 따른 단위 데이터의 재생 출력 계속 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단위 데이터의 연속 재생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17)

  1. 부호화된 단위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처리와, 이 복호처리에 앞서 실행되는, 상기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복호 전 처리를, 적어도 실행하는 처리수단과,
    상기 복호처리에 의해서 얻어지는 복호데이터가 기입되어 일시적으로 축적되는 축적수단과,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복호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독출하여, 재생 출력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갖추며,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복호 전 처리의 종료 후에, 상기 단위 데이터의 복호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위 데이터에 이어서 제 2단위 데이터를 재생 출력시킬 때는, 상기 처리수단은, 제 1단위 데이터의 복호처리의 종료 후에, 제 2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복호 전 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수단은 복수의 일시 축적영역을 갖추며,
    상기 처리수단은, 복호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복호 데이터를, 상기 일시 축적영역의 데이터용량마다 상기 복수의 일시 축적영역에 순차적으로 기입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일시 축적영역으로의 기입마다, 기입된 신호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 출력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단위 데이터에 대한 상기 복호처리는, 암호화 복호처리 및/또는 압축부호화 복조처리이며,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상기 부호 전 처리는, 상기 단위 데이터의 수정 체크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단위 데이터에 대한 상기 복호처리는, 암호화 복호처리 및/또는 압축부호화 복조처리이며,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상기 복호 전 처리는, 상기 단위 데이터에 관련지을 수 있는 관련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복호처리 및/또는, 압축부호화 복조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일시 축적영역을 가지고, 단위 데이터의 재생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일시 축적영역의 데이터용량을 변경하는 데이터용량 변경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수단은, 복수의 일시 축적영역을 가지고,
    상기 축적수단의 일시 축적영역의 데이터용량을 변경하는 데이터용량 변경수단을 갖추며,
    상기 데이터용량 변경수단, 상기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상기 복호 전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처리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일시 축적영역의 데이터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상기 복호 전 처리가, 단위 데이터에 관련지을 수 있는 관련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복호처리 및/또는 압축부호화 복조처리일 때, 상기 복호 전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처리 시간 길이는, 이 관련 데이터에 부가되는 부수 정보에 의거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수단은, 복수의 일시 축적영역을 그룹으로 하여, 각각 데이터용량이 다른 복수 그룹의 일시 축적영역을 가지고,
    상기 데이터용량 변경수단은, 상기 복호 전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처리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복수 그룹의 일시 축적영역 중 몇 개의 일시 축적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부호화된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복호 전 처리와,
    상기 복호 전 처리의 종료 후에, 상기 단위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처리와,
    상기 복호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복호 데이터를 일시 축적하는 축적처리와,
    상기 축적처리에 의해 일시 축적된 복호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독출하여, 재생 출력용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출력처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1단위 데이터에 이어서 제 2단위 데이터를 재생 출력시킬 때는,
    제 1단위 데이터의 복호처리의 종료 후에, 제 2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복호 전 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처리는, 암호화 복호처리 및/또는 압축부호화 처리이며,
    상기 복호 전 처리는, 상기 단위 데이터의 수정 체크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처리는, 암호화 복호처리 및/또는 압축부호화 복조처리이며,
    상기 복호 전 처리는, 상기 단위 데이터에 관련지을 수 있는 관련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복호처리 및/또는 압축부호화 복조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처리는, 적어도 하나의 일시 축적영역을 가지는 축적수단에 대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데이터의 재생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일시 축적영역의 데이터용량을 변경하는 데이터용량 변경처리를 한층 더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처리는, 복수의 일시 축적영역을 가지는 축적수단에 대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상기 복호 전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처리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일시 축적영역의 데이터용량을 변경하는 데이터용량 변경처리를 한층 더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단위 데이터에 관련되는 상기 복호 전 처리가, 단위 데이터에 관련지을 수 있는 관련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복호처리 및/또는 압축부호화 복조처리일 때, 상기 복호 전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처리 시간 길이는, 이 관련 데이터에 부가되는 부수 정보에 의거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수단은, 복수의 일시 축적영역을 그룹으로 하여, 각각 데이터용량이 다른 복수 그룹의 일시 축적영역을 가지고,
    상기 데이터용량 변경처리는, 상기 복호 전 처리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처리 시간 길이에 따라서, 상기 복수 그룹의 일시 축적영역 중 몇 개의 일시 축적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KR1020057019629A 2003-04-24 2004-04-07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KR200501222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9946A JP3846449B2 (ja) 2003-04-24 2003-04-24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JP-P-2003-00119947 2003-04-24
JPJP-P-2003-00119946 2003-04-24
JP2003119947A JP2004326922A (ja) 2003-04-24 2003-04-24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259A true KR20050122259A (ko) 2005-12-28

Family

ID=3331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629A KR20050122259A (ko) 2003-04-24 2004-04-07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617430A1 (ko)
KR (1) KR20050122259A (ko)
WO (1) WO20040954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74B1 (ko) * 2006-07-24 2008-03-27 하나로미디어(주) 그룹화된 복수의 독립된 컨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시스템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2626B (zh) * 2014-06-04 2016-09-28 暨南大学 一种光学条纹位相空域解调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9156A (ja) * 1997-07-22 1999-02-12 Fuji Xerox Co Ltd 暗号化データ復号装置
JPH11312364A (ja) * 1998-04-28 1999-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ディ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チェックコード生成方法
JP2000165844A (ja) * 1998-11-19 2000-06-16 Hewlett Packard Co <Hp> 連続メディア・ストリーム再生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2132257A (ja) * 2000-10-26 2002-05-09 Victor Co Of Japan Ltd Midi楽曲データ再生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74B1 (ko) * 2006-07-24 2008-03-27 하나로미디어(주) 그룹화된 복수의 독립된 컨텐츠를 연속 재생하는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95449A1 (ja) 2004-11-04
EP1617430A1 (en)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5695A1 (en) Contents Distributing System, Client, Server, Contents Distributing Method, and Contents Reproducing Method
KR100931843B1 (ko)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칩 및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US7356370B2 (en) Data processing circuit,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on which data processing program is store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data processing control program is stored
JP384644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KR20050122259A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EP1551024A2 (en) File access method for a storage medium in a wireless terminal
JP20043269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US20080084936A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Data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Reproducing Data
JP2009180972A (ja) オーディオレジューム再生装置及びオーディオレジューム再生方法
US200601985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536633B2 (ja) 記録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KR100262969B1 (ko) 인터넷 통신단말기용 디지탈 오디오 플레이어
WO2005104125A1 (ja) 記録再生装置、同時記録再生制御方法、および同時記録再生制御プログラム
JP4179021B2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
JP4610302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4326922A5 (ko)
JP6005910B2 (ja) 音響装置
KR1005589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역재생방법
JP2008140434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装置及びそのサンプルレート切り替え方法
JP2007101772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0683337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음악 파일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98683A (ko)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4610301B2 (ja) 記録再生装置
US200300585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 information capable of time-divisionally carrying out recording and reproducing operations
JP3944992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