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258A -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258A
KR20050122258A KR1020057019616A KR20057019616A KR20050122258A KR 20050122258 A KR20050122258 A KR 20050122258A KR 1020057019616 A KR1020057019616 A KR 1020057019616A KR 20057019616 A KR20057019616 A KR 20057019616A KR 20050122258 A KR20050122258 A KR 20050122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data
transmitter
recei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2987B1 (ko
Inventor
겐지 사까모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1727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91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18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3621407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와이어리스 센터(송신기)의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는, EPG를 기초로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고, 검출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함과 함께, 식별된 콘텐츠 종별에 기초하여, MPEG 레이트를 참조하여 설정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하는 전송 레이트 변경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가능한 한 데이터 전송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TRANSMITTER, RECEIVER, WIRELESS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본 발명은,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폭발적인 보급에 수반하여, 사무실, 가정 등에서, LAN(Local Area Network)을 구축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무선 통신 기술의 진보의 영향도 있고, 케이블 배선의 번거로움 때문에, 무선으로 LAN을 구축하는, 소위 와이어리스 LAN의 수요도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노트북 컴퓨터로 대표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이동 환경하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으로부터, 앞으로는, 상당한 수의 보급 대 수가 기대되고 있다. 이 와이어리스 LAN의 대표적인 기술로서는, 이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표준화되어 있는 IEEE802.11이 있다. 이 표준화된 기술은, OSI 모델에서의, 물리층으로부터, 데이터 링크의 하위층인 MAC(Media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제어)층까지를 규정하고 있으며, 유선의 LAN 전송로인, 이더넷(등록상표)과 바꿔놓을 수 있고, 또한, 와이어리스이기 때문에 부가 기능으로서, 로밍(roaming)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사양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신기, 수신기가 있는 특정한 주파수(전송 채널(통신 채널)) 통신하고 있는 경우, 동일한 전송 채널을 다른 송신기, 수신기의 쌍이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의 대역이 감소하기 때문에, 나중에 전송 채널을 사용하는 기기는, 비어 있는 전송 채널로 자동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전송 채널을 변경하는 무선 통신 기기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에서는, 무선 통신부가, 2.4GHz대의 프론트 엔드 회로와 5GHz대의 프론트 엔드 회로를 설치하여, 2.4GHz대와 5GHz대의 2개의 주파수대에 대응한 것으로 함으로써, 무선 LAN 시스템으로, 동일 에리어 내에서 동시에 설정 가능한 전송 채널 수를 대폭 증가시키고, 방해 전파에 의해서 통신 링크가 도중에 끊길 우려를 저감시키고자 한다.
또한, 특허 문헌2에는, 정보 통신 가능한 정보 단말기기를 검색하여 정보 통신을 확립하고, 해당 정보 단말기기가 갖는 자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콘텐츠를 판별·수집하고, 콘텐츠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정보 처리 시스템은, 표시부에, 압축 포맷 정보, 비트 레이트 정보, 샘플링 레이트 정보, 확장자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표시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1〕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개2002-33676호 공보(공개일: 2002년 1월 31일)" (도 1)
〔특허 문헌2〕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개2003-50589호 공보(공개일: 2003년 2월 21일)" (도 1)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선 통신 기기에 있어서는, 통신 상태가 나빠졌을 때, 데이터의 에러율이 증가하여 재송 요구가 늘어나기 때문에, 한정된 대역에서는 충분히 에러를 해소할 수 없고, 복원할 수 없는 블록 노이즈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 전송 레이트(비트 레이트)를 낮추면 에러율이 감소하고, 블록 노이즈를 감소할 수 있지만 화질은 나빠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가능한 한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유지할 수 있는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기인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기인 TV 본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의 전송 레이트 변경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AV 데이터 송신 시에 참조되는 MPEG 레이트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에서, AV 데이터 송신 시에 참조되는 콘텐츠마다의 설정치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TV 본체에서의 통신 상태의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와이어리스 센터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TV 본체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의 와이어리스 센터 및 TV 본체 사이에서의 신호의 교환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SS 송수신 유닛(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제2 SS-CPU(통신 상태 검출 수단)와, 상기 제2 SS-CPU(통신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하는 SS 송수신 유닛(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수신기에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가능한 한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 전체에서 최적의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콘텐츠 식별 수단)와,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결과인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뉴스"와 같이 음성 정보의 전달성을 중시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화질이 나빠도 상관없으며, 에러율 억제를 중시하기 위해, 충분히 전송 레이트를 낮춘다. 또한, "영화"와 같이 영상의 전달성을 중시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화질 악화를 억제하기 위해, 전송 레이트를 저하시키는 폭을 억제한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유지함으로써,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콘텐츠 식별 수단)와,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콘텐츠 정보 부가 수단)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SS 송수신 유닛(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와,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송신기는,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결과인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부가하여, 수신기에 전송한다. 또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한다.
따라서, 송신기는, 수신기에서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유지함으로써,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송신기는,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해도 되며,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각 부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송신기를 컴퓨터로 실현시키는 송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든다.
또한, 수신기는,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해도 되며,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각 부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수신기를 컴퓨터로 실현시키는 수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기재에 의해서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송 레이트 변경 방법을 실행하는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무선 TV 수신기에 적용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구성에서는, 송신기(100)가 와이어리스 센터(2)에, 수신기(200)가 TV 본체(3)에 각각 상당한다(도 2).
도 1에서, 송신기(100)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이하, AV 데이터라고 한다)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110), AV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120), 수신 데이터로부터 전송 레이트를 판정하는 전송 레이트 판정 수단(130), 송신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AV 데이터 출력 수단(140), 수신 데이터에 부가된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하는 전송 레이트 변경 수단(150), 송신 AV 데이터에, 상기 송신 AV 데이터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는 콘텐츠 정보 부가 수단(160), 및 콘텐츠 정보가 부가된 AV 데이터로부터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 수단(17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수신기(200)는, AV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210), 결정된 전송 레이트에 따라서 AV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220), 수신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230), 디코드된 수신 데이터의 에러율을 판정하는 에러율 판정 수단(240), 송신 AV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250), 전파 상태를 판정하는 전파 상태 판정 수단(260), 및 전파 상태 판정 수단(260)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전송 레이트를 결정하는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신기(100)는, 후술하는 액정 TV의 와이어리스 센터, 수신기(200)는, TV 본체이다.
가정 내 AV 네트워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2000년 1월에 표준화가 완료된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Architecture라고 불리는 표준 사양이 있다. 이 사양은, HAVi V1.O Specification판의 개요 부분(1 Genera1의 1.1 Scope)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정용 전기 제품이나 컴퓨터를 접속하여, 유저가 임의의 기기를 사용하여 다른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실현하고 있다. HAVi 사양서에서는, 일례로서 IEEEl394와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61883 준거의 가정용 전기 제품에 의한 네트워크의 구축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동 사양서의 동 개요 부분에 있는 바와 같이, HAVi에 의해 실현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를 모든 유저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정 내에 임의의 AV 기기를 접속하여 AV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유저는 멀리 떨어진 방에 있는 기기라 하더라도 자유롭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정 내 AV 네트워크 이외에, 송신기(100), 수신기(200)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휴대 전화기/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등록상표)나 휴대 정보 단말기(이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라 한다)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어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통신 상태가 나빠졌을 때, 전송 레이트(비트 레이트)를 낮추면 에러율이 감소하고,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화질은 나빠진다. 본 발명자들은, 송출하는 데이터의 콘텐츠에 주목하고, 콘텐츠 내용에 따라서 비트 레이트를 가변하는 것을 생각했다. 블록 노이즈가 다소 중첩되어도 허용할 수 있는 콘텐츠(예를 들면, 정지 화상이나 정지 화상에 가까운 화상 데이터, 뉴스 데이터 등), 화질이 거칠더라도 매끄럽게 움직이는 쪽이 좋은 콘텐츠(예를 들면, 스포츠 프로그램 데이터)가 있으며, 콘텐츠 내용에 따라서 비트 레이트를 가변한다.
이와 같이, 통신 상태가 변화했을 때(특히, 악화됐을 때), 일률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송신 AV 데이터의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비트 레이트를 가변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했다. 도 1에서는, 송신기(100)의 전송 레이트 변경 수단(150), 또는 수신기(200)의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이 상기 콘텐츠 내용에 기초하는 전송 레이트 변경 제어를 실행한다.
도 2는, 상기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기초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으로서,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무선 TV 수신기에 적용한 예이다. 또한, 도 8은,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와이어리스 TV 수신기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개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은, 베이스 기기로서의 와이어리스 센터 유닛(이하, 와이어리스 센터라고 한다)(2)과, 포터블 단말기(무선 단말기)로서의 텔레비전(TV) 본체 유닛(이하, TV 본체라고 한다)(3)으로 구성되고, 와이어리스 센터(2)(무선 통신 장치, 센터 장치)와 TV 본체(3)(무선 통신 장치, 표시 장치)는 쌍으로 되어 무선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가 송신기(100)(도 1)에 상당한다. 또한, TV 본체(3)가 수신기(200)(도 1)에 상당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본체(3)는, 배터리 내장이고 와이어리스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비디오데크 등의 리모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는, BS나 U/V 등의 안테나나 DVD 플레이어나 비디오데크 등의 AV 기기 등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리스 센터(2)로부터 TV 본체(3)에,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와이어리스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센터(2)는, BS 단자(11), U/VHF 안테나 단자(12), 다이버시티 단자(13)의 각 안테나 단자와, 디지털 VTR, DVD 플레이어 등의 기기를 접속하는 비디오1 입력 단자(S 단자 부착)(l4), 비디오2 입력 단자(디코더 입력)(15), 비디오3 입력 단자(모니터/BS 출력 겸용)(16), AC 전원부(17) 및 Car-DC 전원부(18)를 구비한다.
TV 본체(3)는, 디지털 VTR,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의 기기를 접속하는 비디오4 입력 단자(TV 출력 겸용)(21), AC 전원부(22) 및 Car-DC 전원부(23)를 구비한다.
TV 본체(3)는, 와이어리스 센터(2)와 분리 가능하고 배터리 내장에 의해 휴대 또는 운반할 수 있는 박형 표시 장치이며, 예를 들면 액정 텔레비전(이하, 액정 텔레비전이라고 한다), 무기 EL/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여러가지의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고, 표시 기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TV 본체(3)는, 주로 표시 기능이나 음향 기능 등을 가지며, 한편, 와이어리스 센터(2)는, 주로 튜너부나 TV 본체(3)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 등을 수용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TV 본체(3)는, 박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텔레비전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 사이는, IEEE 802.11 규격에 준거하는 SS(Spread Spectrum: 스펙트럼 확산) 무선 방식에 의해 데이터(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최근, 주파수대로서 5 GHz대가 개방되고, 2.4 GHz대 대신에 5 GHz대를 이용하는 양태이어도 된다. 와이어리스 센터(2)로부터 TV 본체(3)에의 데이터 전송은,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2)의 영상 압축 포맷을 이용하여, 동화상 전송이나 DVD-Video, 디지털 방송을 1O Mbps를 초과하는 통신 회선으로 전송한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 간의 커맨드(제어 커맨드) 전송은, SS 무선 방식에 의해 행한다.
MPEG 비디오나 MPEG 오디오의 부호화된 스트림(비트 열), 또 다른 부호화 스트림도 포함하여 실제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동기를 포함해서 부호화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통합하여 일원화함과 함께, 그 스트림을 축적 미디어나 네트워크 등을 갖는, 고유의 물리 포맷이나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형식으로 할 필요가 있다.
MPEG2 시스템에는, MPEG1과 마찬가지로 1개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스트림(MPEG2-PS, PS:ProgramStream)과, 복수의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2-TS, TS:Transport Stream)이 있다.
MPEG 스트림은, 1 비트의 플래그도 다수 있지만 헤더 등의 각 단위마다 바이트 정렬된 바이트 스트림이다. MPEG 시스템 전체에 공통된 구조로서 고정 길이가 아닌 데이터 부분에는,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선행되어 놓이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 부분을 스킵하거나, 다음의 데이터군의 선두를 확인하여 신뢰성이 높은 분리 처리를 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MPEG2 부호화 방식에 준거하고, 압축된 영상,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복호화 측에서 영상, 음성 데이터의 오버 플로우, 언더 플로우의 방지하기 위해, 부호화 측에서의 영상, 음성 샘플링 주파수와, 복호화 측에서의 영상, 음성 샘플링 주파수 또는 STC(System Time C1ock)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복호화 장치에서는 MPEG2 시스템 규격(ISO/IEC 규격 13818-1)으로 규정된 PCR(Program Clock Reference: 프로그램 시각 기준 참조치) 또는 SCR(System C1ock Reference: 시스템 시각 기준 참조치)을 이용함으로써, 부호화 측의 영상, 음성 샘플링 주파수와 복호화 측의 영상, 음성 샘플링 주파수를 일치시키고 있다.
도 3은,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와이어리스 센터(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와이어리스 센터(2)는, BS 단자(11)에 접속되어 선국 신호에 의해 BS 방송을 수신·선국하는 BS 튜너(31)와, U/VHF 안테나 단자(12)에 접속되어 선국 신호에 의해 U/VHF 방송을 수신·선국하는 U/VHF 튜너(32)와, BS 튜너(31) 또는 U/VHF 튜너(32)로 수신·선국된 영상·음성(AV) 신호를 복조하는 영상·음성 복조부(33)와, 음성 절환 신호에 의해 수신한 음성과 EPG(Electrical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절환하는 음성 절환부(34)와, 소스 선택 신호에 의해 수신한 영상·음성 정보,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비디오1 입력 단자(외부 입력1)(14), 비디오2 입력 단자(디코더 입력)(외부 입력2)(15), 비디오3 입력 단자(모니터/BS 출력 겸용)(외부 입력3)(16)로부터의 외부 입력 정보를 선택하는 제1 셀렉터(35)와, TV 커맨드 신호(44)를 송수신하여 제1 셀렉터(35)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MPEG2의 영상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고, SS 무선 방식에 의해 TV 본체(3)에 송신하는 SS 송수신 유닛(36)(통신 수단)과, 선국 신호(41), 음성 절환 신호(42), 소스 선택 신호(43) 등을 송신함과 함께, TV 커맨드 신호(44)를 송수신하여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크로컴퓨터라 한다)(37)(콘텐츠 식별 수단,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와,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의 제어 프로그램, 통신 제어 데이터, 또한 콘텐츠마다 설정된 MPEG 레이트의 여러가지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38)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와이어리스 센터(2)는, 방송 수신용 튜너를 복수(여기서는 2대) 구비하고, 복수의 BS 튜너(31), U/VHF 튜너 중 적어도 1개는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튜너이어도 된다.
SS 송수신 유닛(36)은, 제1 셀렉터(35)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51), 데이터를 MPEG2의 영상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는 MPEG2 인코더(52), 송신 데이터를 SS 무선 방식에 의해 송신하는 SS 무선기 및 무선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SS 무선 송수신 엔진(53), 및 SS 송수신 유닛(36)의 각 부를 제어함과 함께, 전파 상태를 검출하는 제1 SS-CPU(54)(통신 상태 검출 수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EEPROM(38)은, 후술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마다 설정된 MPEG 레이트를 테이블에서 기억한다. EEPROM(38)에 기입하는 프로그램을 바꾸는 것에 의해 와이어리스 센터(2) 및 TV 본체(3)에서의 각종의 사양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최근에는 시스템 개발의 디버그마다 마스크 ROM을 변경하는 시간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프로그램 ROM을 불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EPROM, EEPROM으로 하고, 프로그램 개발·수정 시간의 단축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EEPROM의 프로그램 내용을 다시 쓰도록 하면 기능의 업그레이드나 기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SS 무선 송수신 엔진(53)은, TV 본체(3)의 SS 송수신 유닛(61)(도 4에서 후술한다)에, MPEG2 스트림이나 커맨드 등을 송신하는 송신 기능과, SS 송수신 유닛(61) 사이로부터 커맨드 등을 송수신하는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다.
특히, 제1 SS-CPU(54)는, 수신 전파의 전계 강도,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에 의해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 간의 통신 상태(전파의 강약, 통신로의 방해)를 검출하는 전파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다. 검출된 전파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TV 커맨드 신호(44)로서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에 보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의 제1 SS-CPU(54)가 상기 전파 상태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TV 본체(3)의 제2 SS-CPU(84)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고, 검출한 전파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TV 본체(3)로부터 TV 본체(3)에 커맨드 전송하는 양태이어도 된다. 혹은, 제1 SS-CPU(54) 및 제2 SS-CPU(84) 쌍방이 전파 상태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전파 상태 검출 기능을 TV 마이크로컴퓨터(64) 또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가 행하는 양태이어도 된다.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는,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함과 함께, EPG를 기초로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고, 검출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함과 함께, 식별된 콘텐츠 종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하는 전송 레이트 변경 제어를 행한다. 전송 레이트 변경 제어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도 5에 의해 후술한다.
도 4는,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TV 본체(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TV 본체(3)는, TV 커맨드 신호(71)를 송수신하여 와이어리스 센터(2)의 SS 송수신 유닛(36)으로부터 송신된 MPEG2 스트림이나 커맨드 전송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MPEG2 스트림 등을 원 데이터로 디코드(복원)하는 SS 송수신 유닛(61)(통신 수단)과, SS 송수신 유닛(61)에 의해 복원한 데이터와 비디오4 입력 단자(TV 출력 겸용)(2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V 신호를 선택하는 제2 셀렉터(62)와, 영상 신호를 표시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TV부(63)와, TV 커맨드 신호(71)를 송수신함과 함께, 소스 선택 신호(72), OSD(온 스크린 디스플레이)(73) 등을 송신하여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TV 마이크로컴퓨터(64)와, TV 마이크로컴퓨터(64)의 제어 프로그램, 통신 제어 데이터, 또한 전송 채널 변경 프로그램 등의 여러가지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65)과, 도시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이하, 리모콘 장치라고 한다)로부터의 제어 커맨드를 수광하는 리모콘 수광부(66)와, 배터리(67)와, 배터리(67)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챠저 마이크로컴퓨터(6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SS 송수신 유닛(61)은, SS 무선 방식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SS 무선기 및 무선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SS 무선 송수신 엔진(81), 수신한 MPEG2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MPEG2 디코더(82), 디코드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83), 및 SS 송수신 유닛(61)의 각 부를 제어함과 함께, 전파 상태를 검출하는 제2 SS-CPU(84)(통신 상태 검출 수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SS 무선 송수신 엔진(81)은, 와이어리스 센터(2)의 SS 송수신 유닛(36)으로부터의 MPEG2 스트림이나 커맨드 등을 수신하는 수신 기능과, SS 송수신 유닛(61)으로부터 커맨드 등을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구비한다.
TV 마이크로컴퓨터(64)는, 내부에 OSD 발생 기능부를 가지고, 프로그램의 채널, 시각, 음량 등의 정보를 텔레비전 등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TV 등의 영상 장치, 텔레비전 회의 시스템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프로그램의 채널, 시각, 음량 등의 정보를 텔레비전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OSD의 데이터는 화상이 아니며, 비트맵이라고 불리는 형식으로 유지되어 있고, 이 비트맵으로부터 Y, Cb, Cr으로 표시되는 YUV 형식의 화소치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화소가 텔레비전 방송 등의 원화상의 위에 중첩된다. 또한, 비디오4 입력 단자(TV 출력 겸용)(21)에 도시하지 않은 DVD 등의 화상 재생 장치를 접속하면, 표시 화면상에 재생 화상에 중첩하여 OSD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텔레비전 방송 등의 원화상과 OSD 표시의 화상 중첩 처리는, OSD 합성부(69)(도 4)가 행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TV 본체(3)는, 스피커, 키 입력부, 카드형 외부 확장 기억 매체를 삽입하고 탈락하기 위한 슬롯 등을 구비하고, 카드형 외부 확장 기억 매체를 상기 슬롯에 장착하여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카드형 외부 확장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전원 백업에 의해 기입된 정보를 보유하는 SRAM(Static RAM) 카드나 전원 백업이 불필요한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컴팩트 플래시(CF)(등록상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스틱, 나아가서는 컴팩트 플래시(등록상표)와 같은 정도의 크기 또는 PC 카드 TypeII에 장착 가능한 초소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이다.
리모콘 수광부(66)는, IR(Infrared Rays: 적외선)을 사용하는 광통신 포트부이고, TV 본체(3) 또는 와이어리스 센터(2)에 대하여 각종 조작을 행하는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광신호를 수광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ASK 등에 준거하여 광통신을 행하기 위한 I/O 포트, 또는 전파에 의한 무선 통신 포트이다.
배터리(67)는, TV 본체(3) 각 부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 챠저 마이크로컴퓨터(68)는, 배터리(67)가 충전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 예를 들면 TV 본체(3)가 와이어리스 센터(2)나 그 밖의 크레들 등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고, 배터리(67)의 충전 매체에 대하여 전력 공급 단자(모두 도시 생략)를 통하여 충방전의 제어를 행한다. 배터리 챠저 마이크로컴퓨터(68)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팩의 방전 전류를 적산하고, 배터리팩의 잔존 용량이 소정치 이하로 되었다고 판단했을 때에 충전을 개시함과 함께, 충전 시에는 배터리팩에의 충전 전류를 적산하고 배터리팩이 만충전 상태로 되었다고 판단했을 때에 충전을 정지시킨다. 충전된 배터리(67)는, TV 본체(3)가 상용 전원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휴대 TV의 주전원으로 되어, 본체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전송 레이트 변경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고,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에 의해 실행된다. 도면 중, S는 플로우의 각 단계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AV 데이터 송신시에 참조되는 MPEG 레이트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MPEG 레이트의 예이고, 도 7은 콘텐츠마다의 설정치의 예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EG 레이트는, 콘텐츠 종별마다 설정된 설정치에 대하여 MPEG 레이트(Mbps)와 최대 재송 횟수가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전송 레이트 및 최소 전송 레이트가 콘텐츠마다 설정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콘텐츠는, 영화, 뉴스, 드라마, 음악 프로그램, 스포츠, 애니메이션, 버라이어티의 종별이 있으며, 각 종별마다 최대/최소 전송 레이트의 설정치와 MPEG 레이트(Mbps)를 갖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가 "영화"일 때의 최대 전송 레이트의 설정치는 "Ox11"이고 최대 전송 레이트는 6.67(Mbps), 최소 전송 레이트의 설정치는 "0x0B"로 최소 전송 레이트는 5.63(Mbps)이다. 최대 전송 레이트는 통신 상태 양호일 때의 레이트이고, 최소 전송 레이트는 통신 상태가 나빠졌을 때의 레이트이다.
또한, 도 6의 MPEG 레이트 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치에 따라서 MPEG 레이트(Mbps)와 최대 재송 횟수가 각각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가 "영화"와 "뉴스"인 경우는, 통신 상태가 좋은 경우에 사용되는 최대 전송 레이트의 설정치는 "Ox11" 최대 재송 횟수는 "3"으로 공통이지만, 통신 상태가 나빠졌을 때, 콘텐츠 "영화"의 최소 전송 레이트의 설정치는 "0x0B" 최대 재송 횟수는 "5", 콘텐츠 "뉴스"의 최소 전송 레이트의 설정치는 "0x05" 최대 재송 횟수는 "15"가 설정된다. 이것은 "영화"의 경우는, 통신 상태가 나빠진 경우, 영상 품질을 대폭 저하시키서까지 전송할 의미가 없기 때문에 전송 레이트를 소정 레벨 5.63(Mbps)로 유지하여 전송하는데 반해, "뉴스"의 경우는 영상 품질보다도 정보 전달성을 중시하여 최소 전송 레이트를 3.48(Mbbs)로 대폭 떨어뜨리는 대신에 최대 재송 횟수를 "15"로 하여 가능한 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드라마" "음악 프로그램"은, "영화"와 "뉴스"의 중간적인 전송 레이트로 된다. 또한, 콘텐츠 종별과 MPEG 레이트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통신 상태의 변화에 의해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비트 레이트를 가변으로 하는 것이다.
도 5의 플로우에서, 먼저, 단계 S1에서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간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고, 단계 S2에서 송신하는 AV 데이터의 콘텐츠를 식별한다. 이 콘텐츠는, 도 3의 영상·음성 복조부(33)에 의해, AV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기초로 식별한다. 여기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화, 뉴스, 드라마, 음악 프로그램, 스포츠, 애니메이션, 버라이어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한다. 이어서, 단계 S3에서 검출된 전파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 레이트와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하고, 단계 S4에서 설정된 전송 레이트와 최대 재송 횟수를, 도 6의 MPEG 레이트를 참조하여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변경한다. 다음으로, 단계 S5에서 송신 AV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이 패킷을 설정·변경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하여 본 플로우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9는,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에서의 통신 상태의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동 도면을 이용하여, 통신 상태의 판정 처리의 일례, 구체적으로는 에러율 등에 기초하여 통신 상태를, "양호", "열화", "악화", "권외"로 분류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검출 처리는, TV 본체(3)의 제2 SS-CPU(84)가 실행하지만, TV 마이크로컴퓨터(64)가 실행해도 된다.
먼저, 패킷 에러율로 미리 정한 임계치(제1 임계치) Th1을 비교한다(S160 l). 패킷 에러율이란,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에러율을 말한다. 패킷 에러율이 임계치 Th1보다 작을 때(S1601에서 '예'), 통신 상태를 "양호"라고 판정한다(S1602). 또한, 임계치 Th1은, 예를 들면 0.001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값을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킷 에러율이 임계치 Th1보다 큰 경우(S1601에서 '아니오'), 재송 횟수로 미리 정한 임계치(제2 임계치) Th2를 비교한다(S1603). 재송 횟수란, 패킷 에러율이 높고, 패킷의 복원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에, 패킷의 재송신을 행하는 횟수이다. 재송 횟수가 임계치 Th2보다 작은 경우(S1603에서 '예'), 통신 상태를 " 열화"라고 판정한다(S1604). 여기서, 임계치 Th2는, 영상이 흐트러지지 않는 상한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통신 상태의 "열화"란, 영상이 흐트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임계치 Th2는, 예를 들면 3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값을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 횟수가 임계치 Th2보다 큰 경우(S1603에서 '아니오'), 권외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S1605). 권외의 판정은, 예를 들면, 와이어리스 센터(2)가 통신 상대인 TV 본체(3)의 존재를 확인하는 위해 송신하는 "확인 신호"나, 확인 신호를 수신한 TV 본체(3)가 송신하는 "ACK 신호"를, 수신 측에서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판정의 결과, 권외가 아니면(S1605에서 '아니오'), 통신 상태를 "악화"라고 판정한다(S1606)로 된다. 한편, 권외이면, 통신 상태를 "권외"로 최종적으로 판정한다(S1607).
또한, 도 9에서는, 패킷 에러율과 재송 횟수를 이용하여 판정했지만(S1601, S1603), 패킷 에러율만을 이용하여, 그것과 2단계의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통신 상태를 판정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재송 횟수만을 이용하여, 그것과 2단계의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통신 상태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2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임계치과 비교하면, 보다 상세한 판정이 가능해짐은 물론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패킷 에러율을 이용한 2단계의 판정과, 재송 횟수를 이용한 2단계의 판정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에러율",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 횟수"에 의해 검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그 밖에, "전계 강도", "에러율의 시간적 변화", "전계 강도의 시간적 변화", "재송 요구 횟수의 시간적 변화" 등을 파라미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한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전계 강도에 의해서 전파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콘텐츠를, AV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은, AV 데이터에 EPG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AV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TV 디지털 방송의 경우이면,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EPG가 포함되어 있지만, 종래의 방송의 경우에는, 이들의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하, 방송국으로부터의 신호에 EPG가 포함되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1) 방송국으로부터의 신호에 EPG가 포함되는 경우
와이어리스 센터(2)에서는, EPG의 프로그램 장르(영화, 뉴스, 스포츠, 애니메이션, 버라이어티 등)에 따라서 설정된 전송 레이트 범위에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한다. TV 본체(3)가 와이어리스 센터(2)에 송신하는 "전송 레이트 변경 요구"에는, 프로그램 장르에 따라서, 결정한 전송 레이트의 정보를 포함해도 되고, 전송 레이트를 내릴지 올릴 지의 정보만 송신하여, 전송 레이트의 결정을 와이어리스 센터(2)에서 행해도 된다.
전송 레이트의 최저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화질의 우선 순위가, "영화 > 스포츠 > 음악 프로그램 > 드라마 > 뉴스 > 버라이어티 > 애니메이션"과 같이,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이 우선 순위는, 유저가 수시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영화 : 0 x 0B
스포츠 : 0 x 0A
음악 프로그램 : 0 x 09
드라마 : 0 x 07
뉴스 : 0 x 05
다양성 : 0 x 04
애니메이션 : 0 x 03
또한, 이 예는, 영화의 전송 레이트의 최저치를 "0 x 0B"로 한 경우이다.
(2) 방송국으로부터의 신호에 EPG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와이어리스 센터(2)에서, 영상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로부터, 영상을, 하기의 4종류로 분류한다.
(a)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높다,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 높다
(b)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높다,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 낮다
(c)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낮다,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 높다
(d)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낮다,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 낮다
또한,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의 "높다" "낮다"의 판정 기준,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높다" "낮다"의 판정 기준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상기의 정보를 콘텐츠 정보로서, 와이어리스 센터(2)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중, 저 주파수 성분을 fa, 고주파 수 성분을 fb로 하면, fb/fa > 1인 경우에,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이 높다"라고 판단한다. 또한,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임계치를 θd로 하면,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 > θd인 경우에,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가 높다"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전송 레이트의 최대치 및 최소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해 둘 수 있다.
(a) 최대: 0 x 11 최소: 0 x 0B
(b) 최대: 0 x 11 최소: 0 x 06
(c) 최대: 0 x 11 최소: 0 x 0A
(d) 최대: 0 x 11 최소: 0 x 05
예를 들면, 상기 (a)~(d)는, 프로그램 장르와 다음과 같이 대응한다.
(a) 영화, 음악 프로그램,
(b) 뉴스, 드라마
(c) 스포츠
(d) 버라이어티, 애니메이션
또한, 상기의 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실제로는 영상의 차이에 의해 분류도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영상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콘텐츠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무선 TV 수신기에 적용한 경우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상세한 구성과, 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도 11은, 와이어리스 센터(2), TV 본체(3)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지금까지 설명한 부재(도 1~도 4)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여 인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센터(2)에서는, 콘텐츠 정보 추출 수단(180)이, 방송국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되는 부가 정보(EPG 등)로부터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콘텐츠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콘텐츠 정보 부가 수단(160)이, AV 데이터 출력 수단(140)에 의해서 인코드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콘텐츠 정보를 부가한다. 또한, 와이어리스 센터(2)는, TV 본체(3)로부터 수신한 전송 레이트 변경 요구를, 전송 레이트 판정 수단(130)이 판정하고, 전송 레이트 변경 수단(150)에 전송 레이트의 변경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리스 센터(2)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AV 데이터)에 콘텐츠 정보를 부가한 콘텐츠 데이터를, TV 본체(3)로부터 요구된 전송 레이트로, TV 본체(3)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AV 데이터 출력 수단(140)은, 방송국 등으로부터의 신호로부터 TV 본체(3)에서의 출력에 필요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만을 추출하고, 여기에 상기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해도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본체(3)에서는, 와이어리스 센터(2)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콘텐츠 데이터)를, 디코드 수단(230)이 디코드하고, OSD 표시와 합성하여, TV부(63)에 영상 표시/음성 출력한다. 이 때, 에러율 판정 수단(240)이,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의 에러율을 판정한다. 또한, 전파 상태 판정 수단(260)이, 전파 상태를 판정한다. 그리고,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제2 SS-CPU(84), 혹은, TV 마이크로컴퓨터(64))이,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던 콘텐츠 정보와, 상기 에러율과, 상기 전파 상태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결정한다. 또한,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이 참조 가능하도록, 콘텐츠마다 설정된 MPEG 레이트의 테이블(도 6, 도 7)이 TV 본체(3)의 EEPROM(65)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은, 결정한 전송 레이트를 "전송 레이트 변경 요구"로서 와이어리스 센터(2)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기 구성의 와이어리스 센터(2) 및 TV 본체(3)의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리스 센터(송신기)(2)는, AV 데이터 및 콘텐츠 정보로부터 생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TV 본체(수신기)(3)에 송신한다(S501).
TV 본체(3)에서는, 전파 상태 판정 수단(260)으로 전파 상황을 검출하고(S502), 에러율 판정 수단(240)으로,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의 에러율을 검출한다(S503). 그리고,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으로, 전파 상황, 에러율,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의 전송 레이트를 구한다(S504).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이, 전송 레이트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송 레이트 변경 요구를 와이어리스 센터(2)에 송신한다(S505).
이 전송 레이트 변경 요구를 수신한 와이어리스 센터(2)에서는, 전송 레이트 판정 수단(130) 및 전송 레이트 변경 수단(150)에 의해, 이 변경 요구에 따라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한다(S506). 그리고, 콘텐츠 데이터를, 변경한 전송 레이트로 송신한다(S507).
또한, 콘텐츠 정보는, AV 데이터에 부가하여 항상 송신해도 되고, AV 데이터와는 별도로, 콘텐츠의 종별이 변화했을 때만, 커맨드 전송으로 송신해도 된다.
계속해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A) 와이어리스 센터(2)에서, EPG를 기초로 송신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함과 함께, TV 본체(3)와의 통신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콘텐츠 종별 및 통신 상태에 따라서, 송신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전송 레이트의 설정은,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으로서의 제1 SS-CPU(54)(혹은,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에 의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이 참조 가능하도록, 콘텐츠마다 설정된 MPEG 레이트의 테이블(도 6, 도 7)이 와이어리스 센터(2)의 EEPROM(38)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송 레이트 변경을 위한 처리를, 모두 와이어리스 센터(2)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TV 본체(3)의 구성이 단순하게 된다. 또한, TV 본체(3)가,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의 에러율을 검출하여, 와이어리스 센터(2)에 커맨드 전송하게 하면, 와이어리스 센터(2)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파 상황, 에러율,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의 전송 레이트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B) 와이어리스 센터(2)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TV 본체(3)에 송신한다. 단, 이 구성에서는, AV 데이터에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지 않는다. 한편, TV 본체(3)는, 수신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TV 본체(3)와의 통신 상태 및 에러율을 검출하여, 그 결과를 와이어리스 센터(2)에 커맨드 전송한다. 와이어리스 센터(2)는, TV 본체(3)로부터 수신한 통신 상태 및 에러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식별한 콘텐츠 종별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전송 레이트의 설정은,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으로서의 제2 SS-CPU(84)(혹은, TV 마이크로컴퓨터(64))에 의해서 행해진다. 그리고,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270)이 참조 가능하도록, 콘텐츠마다 설정된 MPEG 레이트의 테이블(도 6, 도 7)이 TV 본체(3)의 EEPROM(65)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AV 데이터의 송신 처리시, 콘텐츠 종별의 식별이나 콘텐츠 정보의 부가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센터(2)의 구성이 단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은, 베이스 기기로서의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로 구성되고, 와이어리스 센터(2)는, BS 튜너(31) 및 U/VHF 튜너(32)에서 수신·선국된 영상·음성 신호를 복조하는 영상·음성 복조부(33), 음성 절환 신호에 의해 수신한 음성과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절환하는 음성 절환부(34), AV 데이터를 MPEG2의 영상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고, SS 무선 방식에 의해 TV 본체(3)에 송신하는 SS 송수신 유닛(36)과,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 콘텐츠마다 설정된 MPEG 레이트를 기억하는 EEPROM(38), 및 수신 전파의 전계 강도,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에 의해 와이어리스 센터(2)와 TV 본체(3) 간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제1 SS-CPU(54)를 구비하고, 와이어리스 센터 마이크로컴퓨터(37)는, EPG를 기초로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고, 검출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함과 함께, 식별된 콘텐츠 종별에 기초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MPEG 레이트를 참조하여 설정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하는 전송 레이트 변경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통신 상태가 변화했을 때(특히, 악화되었을 때), 종래예와 같이 일률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AV 데이터의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서 비트 레이트를 가변함으로써, 통신 상태가 악화한 경우라 하더라도,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뉴스 프로그램 등 정보 전달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데이터 전송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무선 AV 기기로서 휴대 TV로 하고 있지만, TV 수신기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또는 그 융합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AV 기기로서, VTR(Video Tape Recorder) 이외에, HDD나 DVD에 기록하는 기록 재생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로 대표되는 정보 기기 기능에 융합된 장치이어도 되고, 모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송수신 데이터의 내용은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TV 수신기로 설명햇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튜너와 퍼스널 컴퓨터나, 튜너를 사용하는 다른 AV 기기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각 장치를 구성하는 각 처리부 등의 종류, 설정 정보의 종류·형식 등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HAVi에 준거하는 기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AV 데이터는, MPEG2 부호화 방식에 준거한 MPEG 스트림에 의해 전송하고 있지만, 데이터 전송은 다른 MPEG 방식에 의한 MPEG 스트림이나 MPEG 스트림 이외의 데이터 전송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콘텐츠 종별과 MPEG 레이트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 및 무선 전송 방법이라는 명칭을 이용했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상이며, 무선 통신 기기, AV 기기, 정보 통신 방법 등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1)의 각 장치는, 이들을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도 실현된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기록 매체로서, 메인 메모리 그 자체가 프로그램 미디어이어도 되고, 또한 외부 기억 장치로서 프로그램 판독 장치가 설치되고, 거기에 기록 매체를 삽입함으로써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미디어이어도 된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CPU가 액세스하여 실행시키는 구성이어도 되고, 혹은 어떠한 경우에도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읽어내어진 프로그램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 기억 에리어에 다운로드되어,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방식이어도 된다. 이 다운로드용의 프로그램은 미리 본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미디어는,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 매체이고,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 등의 광 디스크의 디스크계, IC 카드/광 카드 등의 카드계, 혹은 마스크 ROM, EPROM, EEPROM, 플래시 ROM 등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 고정적으로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부의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통신 접속 수단을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에는, 그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미리 본체 장치에 저장해 두거나, 혹은 별도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으로서는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 레이트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통신 상태 검출 수단과,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과,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 및 상기 식별된 콘텐츠 종별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수신 전파의 전계 강도, 또는 에러율, 또는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 횟수에 의해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통신 링크가 확립된 무선 통신 장치간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양태로서, 상기 콘텐츠 식별 수단은, 영화, 뉴스, 드라마, 음악 프로그램의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1개 이상을 식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은, 콘텐츠 종별마다 설정된 비트 레이트와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은, 콘텐츠 종별마다 설정된 최대 전송 레이트에서의 비트 레이트와 최대 재송 횟수 및, 최소 전송 레이트에서의 비트 레이트와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MPEG 부호화 방식에 준거한 MPEG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SS 무선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와이어리스 AV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또한, 구체적인 양태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표시 장치와, 방송 수신용 튜너를 가지며,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센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텔레비전 수신기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전송 방법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 레이트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방법에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 검출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식별된 콘텐츠 종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갖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 레이트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방법에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 검출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식별된 콘텐츠 종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 레이트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방법에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 검출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식별된 콘텐츠 종별에 기초하여, 설정된 전송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이,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이, 콘텐츠 종별마다 설정된 비트 레이트 및/또는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콘텐츠 식별 수단이, EPG(Electrical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을 포함함과 함께,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이,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수신 전파의 전파 강도, 에러율,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 횟수 중 어느 1개 이상에 의해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통신 링크가 확립된 수신기와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 무선 방식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LAN, 또는 Bluetooth 및 UWB(Ultra Wide Band) 등의 소전력 근거리 쌍방향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MPEG 부호화 방식에 준거한 MPEG 스트림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외부로부터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방송 수신용 튜너로부터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상기한 송신기로부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한 송신기와, 상기한 송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한 전송 레이트에 의해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한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의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한 송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것으로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는 콘텐츠 정보 부가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콘텐츠 정보 부가 수단이,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콘텐츠 정보 부가 수단이, EPG(Electrical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이, 콘텐츠 종별마다 설정된 비트 레이트 및/또는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 무선 방식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LAN, 또는 Bluetooth 및 UWB(Ultra Wide Band) 등의 소전력 근거리 쌍방향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MPEG 부호화 방식에 준거한 MPEG 스트림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외부로부터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방송 수신용 튜너로부터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송 레이트를 결정하는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과,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전송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이, 전송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따라서, 전송 레이트를 결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상기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은, 콘텐츠 종별마다 설정된 비트 레이트 및/또는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전송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상기 콘텐츠 식별 수단이, EPG(Electrical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전송 레이트 결정 수단이,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에 따라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수신 전파의 전파 강도, 에러율,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 횟수 중 어느 1개 이상에 의해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통신 링크가 확립된 송신기와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한 송신기와, 상기한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한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의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한 송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송 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한 수신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의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한 수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수신기에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고, 송신기에서,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가능한 한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체에서 최적의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것으로,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이,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또한, 통신 상태의 변화에 의해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뉴스"와 같이 음성 정보의 전달성을 중시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화질이 나빠도 상관없으며, 에러율 억제를 중시하기 위해, 충분히 전송 레이트를 낮춘다. 또한 "영화"와 같이 영상의 전달성을 중시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화질 악화를 억제하기 위해, 전송 레이트를 저하시키는 폭을 억제한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에도,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유지함으로써,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이, 콘텐츠 종별마다 설정된 비트 레이트 및/또는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또한,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비트 레이트 및/또는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비트 레이트 및/또는 최대 재송 횟수를 유지함으로써,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또한,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상기 콘텐츠 식별 수단이, EPG(Electrical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또한,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송신기에,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와 일체로 방송 수신용 튜너 등으로부터 입력되어도 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상기 콘텐츠 식별 수단이,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또한,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콘텐츠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 무선 방식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송신기는, 또한, 스펙트럼 확산 무선 방식의 무선 통신 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LAN, 또는 Bluetooth 및 UWB(Ultra Wide Band) 등의 소전력 근거리 쌍방향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송신기는, 또한, 무선 LAN, 또는 Bluetooth 및 UWB(Ultra Wide Band) 등의 소전력 근거리 쌍방향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MPEG 부호화 방식에 준거한 MPEG 스트림에 의해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송신기는, 또한, MPEG2 부호화 방식에 준거한 MPEG 스트림에 의해,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방송 수신용 튜너로부터 입력되어도 된다.
상기 송신기는, 또한, 방송 수신용 튜너로부터 입력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무선 TV 수신기의 센터 장치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통신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수신기에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가능한 한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 전체에서 최적의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수신 전파의 전파 강도, 에러율,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 횟수 중 어느 1개 이상에 의해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수신기에 따르면, 또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파라미터로서, 수신 전파의 전계 강도, 에러율,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 횟수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종의 파라미터를 조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통신 상태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통신 링크가 확립된 송신기와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또한, 통신 링크가 확립된 송신기와의 통신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신기는, 또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무선 TV 수신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상기한 송신기와, 상기한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수신기에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에서,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가능한 한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체에서 최적의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과,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결과인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뉴스"와 같이 음성 정보의 전달성을 중시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화질이 나빠도 상관없이, 에러율 억제를 중시하기 위해, 충분히 전송 레이트를 낮춘다. 또한, "영화"와 같이 영상의 전달성을 중시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화질 악화를 억제하기 위해, 전송 레이트를 저하시키는 폭을 억제한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유지함으로써,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과,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는 콘텐츠 정보 부가 수단과,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와,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송신기는, EPG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결과인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부가하여, 수신기에 전송한다. 또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한다.
따라서, 송신기는, 수신기에서 콘텐츠 종별에 따라 결정된 전송 레이트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경우라 하더라도,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전송 레이트를 유지함으로써,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송신기는,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송신기를 컴퓨터로 실현시키는 송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또한, 수신기는,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컴퓨터를 상기 각 수단으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수신기를 컴퓨터로 실현시키는 수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분명히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특허 청구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리스 시스템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분리형의 무선 TV 수신기와 같은 가정 내 AV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등록상표)나 휴대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무선 통신 기기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25)

  1.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은,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송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은, 콘텐츠 종별마다 설정된 비트 레이트 및/또는 최대 재송 횟수를 설정하는 송신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을 구비하는 송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 수단은, EPG(Electrical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송신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 수단은,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송신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 무선 방식에 의해 전송하는 송신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LAN, 또는 Bluetooth 및 UWB(Ultra Wide Band) 등의 소전력 근거리 쌍방향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는 송신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MPEG 부호화 방식에 준거한 MPEG 스트림에 의해 전송하는 송신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방송 수신용 튜너로부터 입력되는 송신기.
  11.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통신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수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수신 전파의 전파 강도, 에러율, 에러율에 기초하는 재송 요구 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수신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은, 통신 링크가 확립된 송신기와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수신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신기.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송신기와,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신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리스 시스템.
  16.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17.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통신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제어 방법.
  18.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과,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기.
  19.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종별에 따라서,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20.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 수단과,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는 콘텐츠 정보 부가 수단과,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전송 레이트 설정 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기.
  21. 복수의 콘텐츠 종별을 갖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내의 주파수 성분 및 프레임 간의 변화 정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식별하는 단계와,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에, 상기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콘텐츠 종별을 나타내는 콘텐츠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서 결정된 전송 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제어 방법.
  22. 제1항 내지 제10항, 제18항,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의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송신기의 제어 프로그램.
  23. 제22항의 송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4.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신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의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수신기의 제어 프로그램.
  25. 제24항의 수신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7019616A 2003-04-17 2004-04-15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92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2668 2003-04-17
JPJP-P-2003-00112668 2003-04-17
JP2004117276A JP3699105B2 (ja) 2004-04-12 2004-04-12 送信機、受信機、ワイヤレス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JP-P-2004-00117276 2004-04-12
JP2004118331A JP3621407B2 (ja) 2003-04-17 2004-04-13 送信機、受信機、ワイヤレス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JP-P-2004-00118331 2004-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258A true KR20050122258A (ko) 2005-12-28
KR100792987B1 KR100792987B1 (ko) 2008-01-08

Family

ID=3330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616A KR100792987B1 (ko) 2003-04-17 2004-04-15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36132B2 (ko)
EP (1) EP1617614A4 (ko)
KR (1) KR100792987B1 (ko)
CN (1) CN1774899B (ko)
WO (1) WO20040934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568B1 (ko) * 2006-12-26 2009-01-30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티브이 환경에서 신호세기에 따른 컨텐츠데이터 전송 방법
US8363606B2 (en) 2006-09-05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1153B3 (de) * 2004-04-29 2005-09-15 Infineon Technologies Ag Ultra-Breitband-Signalverstärker
JPWO2006046586A1 (ja) * 2004-10-28 2008-05-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再送制御方法
WO2006095717A1 (ja) * 2005-03-10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テレビ受信システム
KR100688666B1 (ko) * 2005-11-02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오프 송수신 발광부를 갖는 무선 송신기, 무선텔레비전, 그리고 무선 텔레비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EP1816776A1 (en) * 2006-02-07 2007-08-08 Alcatel Lucent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effects of impulse noise on data packet transfer
KR101177946B1 (ko) * 2006-02-17 2012-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CN101449525B (zh) * 2006-04-29 2016-08-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控制传感器网络节点能量消耗的方法及装置
JP2008079150A (ja) * 2006-09-22 2008-04-03 Canon Inc 通信機器及びデータ転送方法
JP4805081B2 (ja) * 2006-09-29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中継装置、無線中継方法および無線中継プログラム
US20080140941A1 (en) * 2006-12-07 2008-06-12 Dasgupta Gargi B Method and System for Hoarding Content on Mobile Clients
US8390688B2 (en) * 2007-08-15 2013-03-05 Amimon Ltd. Device, method and system of registering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JP2009100007A (ja) * 2007-10-12 2009-05-07 Alpine Electronics Inc 多重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情報転送方法
US8626079B2 (en) * 2007-12-12 2014-01-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nk adapt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54953A1 (en) * 2008-04-02 2009-10-08 Chung-Hung Lin Wireless video and audio broadcasting device
US9171221B2 (en) * 2010-07-18 2015-10-27 Spatial Cam Llc Camera to track an object
US20110098083A1 (en) * 2008-05-19 2011-04-28 Peter Lablans Large, Ultra-Thin And Ultra-Light Connectable Display For A Computing Device
US10831093B1 (en) * 2008-05-19 2020-11-10 Spatial Cam Llc Focus control for a plurality of cameras in a smartphone
US20100037272A1 (en) * 2008-08-05 2010-02-11 Chung-Hung Lin Video and audio sharing device
JP4631945B2 (ja) 2008-08-0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映像送信装置、映像伝送システム、及び映像送信装置による再生制御方法
US20100122134A1 (en) * 2008-11-10 2010-05-13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configured, content-based retransmission scheme for dropped media access control frames
JP4668315B2 (ja) * 2008-12-02 2011-04-13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35827B1 (ko) * 2008-12-05 201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N101754004B (zh) * 2008-12-16 2013-06-12 浪潮乐金数字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3g可视电话及其工作方法
DE112009005110T5 (de) * 2009-08-27 2012-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Übertragen von Daten von einem Computer an eine Mehrzahl von Einrichtungen
KR20110024465A (ko) * 2009-09-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1082837A (ja) * 2009-10-07 2011-04-21 Sony Corp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9100815B2 (en) 2010-01-25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layer system prioritization and communication session management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198133B2 (en) * 2010-03-12 2015-11-24 Sunrise Micro Devices, Inc. Power efficient communications
JP5897792B2 (ja) 2010-12-10 2016-03-3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システム
JP5232319B2 (ja) 2011-10-20 2013-07-10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03310775A (zh) * 2012-03-15 2013-09-18 莱福科技(中国)有限公司 点唱系统以及点唱方法
JP5390667B2 (ja) 2012-06-11 2014-01-15 株式会社東芝 映像送信機器及び映像受信機器
EP2959693B1 (en) * 2013-02-21 2017-11-22 Altiostar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based on frame type detection in a base station
WO2015034405A1 (en) * 2013-09-05 2015-03-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multimedia codec parameter adaptation
JP6022076B2 (ja) * 2013-10-15 2016-11-0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10560555B2 (en) 2017-07-13 2020-02-11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High-speed interconnect solutions with support for co-propagating and counter-propagating continuous time back channel communication
US20190020511A1 (en) * 2017-07-13 2019-01-1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High-speed interconnect solutions with support for continuous time in-band back channel communication and proprietary communication speeds
US10511549B2 (en) * 2017-07-13 2019-12-17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High-speed interconnect solutions with support for continuous time in-band back channel communication and proprietary features
TW201924285A (zh) 2017-10-06 2019-06-16 日商日本電氣股份有限公司 資料通信裝置、通信系統、資料通信方法及程式
US11218632B2 (en) * 2019-11-01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Retractable panoramic camera module
JP7388453B2 (ja) * 2020-01-10 2023-11-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11627377B2 (en) * 2020-10-12 2023-04-11 Arris Enterprises Llc Set-top box ambiance and notification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756A (ja)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0222933A (ja) 1997-02-05 1998-08-21 Sony Corp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伝送装置および情報伝送方法
EP0936819A3 (en) 1998-02-13 2001-06-13 Hitachi, Ltd.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S2184430T3 (es) 1998-04-17 2003-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ositivo de comunicacion por radio y procedimiento que permite ajustar la velocidad de transmision.
JP3397780B2 (ja) * 1998-04-17 2003-04-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通信装置及び伝送レート制御方法
JP3953216B2 (ja) * 1998-12-25 2007-08-08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3588564B2 (ja) 1999-03-31 2004-11-10 株式会社東芝 映像データ記録装置
JP2001025013A (ja) 1999-07-12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受信方法及びその装置
US6493388B1 (en) * 2000-04-19 2002-12-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Rate control and buffer protection for variable bit rate video programs over a constant rate channel
US6999432B2 (en) 2000-07-13 2006-02-14 Microsoft Corporation Channel and quality of service adaptation for multimedia over wireless networks
JP4344904B2 (ja) 2000-07-17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
JP4348498B2 (ja) 2000-07-17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
JP4407017B2 (ja) 2000-07-17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
US6992990B2 (en) 2000-07-17 2006-01-31 Sony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6856954B1 (en) * 2000-07-28 2005-02-15 Mindspeed Technologies, Inc. Flexible variable rate vocod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U2001295923A1 (en) 2000-10-13 2002-04-22 Sony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quality control system, transmitter system and receiver
JP2002158992A (ja) * 2000-11-22 2002-05-31 Fujitsu Ltd 画像配信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カメラ
US20020071052A1 (en) 2000-12-07 2002-06-13 Tomoaki Itoh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US20020073136A1 (en) 2000-12-07 2002-06-13 Tomoaki Itoh Data reproduction method, data receiving terminal and data receiving method
JP2002288073A (ja) * 2001-03-27 2002-10-04 Toshiba Corp 無線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方法
US6909702B2 (en) * 2001-03-28 2005-06-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ut-of-band transmission of broadcast service o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91246B2 (en) * 2001-07-18 2007-03-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mission rate selection for a network of receivers having heterogenous reception bandwidth
JP4422930B2 (ja) 2001-08-07 2010-03-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7272658B1 (en) * 2003-02-13 2007-09-18 Adobe Systems Incorporated Real-time priority-based media communic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3606B2 (en) 2006-09-05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S9094969B2 (en) 2006-09-05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S9509478B2 (en) 2006-09-05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KR100880568B1 (ko) * 2006-12-26 2009-01-30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티브이 환경에서 신호세기에 따른 컨텐츠데이터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987B1 (ko) 2008-01-08
US20070032198A1 (en) 2007-02-08
WO2004093404A1 (ja) 2004-10-28
CN1774899A (zh) 2006-05-17
EP1617614A4 (en) 2008-07-09
US7636132B2 (en) 2009-12-22
EP1617614A1 (en) 2006-01-18
CN1774899B (zh)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987B1 (ko) 송신기, 수신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27508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와이어리스 av 시스템, 무선 전송 방법과 동작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131280B2 (en) Wireless terminal, base device, wireless system, wireless terminal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ame program
KR100703099B1 (ko) 단말 장치, 센터 장치, 통신 시스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센터 장치의 제어 방법, 단말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센터 장치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05523B1 (ko) 와이어리스 제어 시스템, 제어 기기, 피제어 기기, 기기의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4335060B2 (ja) 無線通信装置、送信機、受信機、無線通信システム、ワイヤレスavシステム、無線伝送方法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621407B2 (ja) 送信機、受信機、ワイヤレス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757164B1 (ko) 표시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표시 장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50121738A (ko) 무선 단말, 베이스 기기, 와이어리스 시스템, 무선 단말의제어 프로그램, 베이스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04343725A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343726A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無線伝送方法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699105B2 (ja) 送信機、受信機、ワイヤレス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024776B2 (ja) 無線端末、ワイヤレスシステム、無線端末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037384B2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無線伝送方法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642374B2 (ja) ワイヤレスav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データ通信装置
JP2004320769A (ja) 無線端末、ベース機器、ワイヤレスシステム、無線端末の制御方法、無線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320762A (ja) 無線通信装置、ワイヤレスavシステム並びに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336732A (ja) 表示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336731A (ja) 端末装置、センタ装置、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センタ装置の制御方法、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センタ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