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442A -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442A
KR20050121442A KR1020040046571A KR20040046571A KR20050121442A KR 20050121442 A KR20050121442 A KR 20050121442A KR 1020040046571 A KR1020040046571 A KR 1020040046571A KR 20040046571 A KR20040046571 A KR 20040046571A KR 20050121442 A KR20050121442 A KR 20050121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ll collection
displaying
worker
t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상
김태성
서기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1442A/ko
Publication of KR2005012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4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차종 정보, 차종에 해당하는 통행 요금 및 통행 요금의 징수 수단을 표시하는 단계; 정당한 근무자에 의해 요금이 처리되도록 근무자의 근무 식별 카드 및 주민번호를 기초로 인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근무자가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요금 징수 시스템의 기기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근무자는 통행 요금 징수 과정을 실시간으로 검증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Screen configuration method for toll collection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oll collection screen}
본 발명은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 통행 요금 징수를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근무자로 하여금 통행 요금 징수 과정을 실시간으로 검증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통행 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은 크게 개방식 요금 징수 시스템 및 폐쇄식 요금 징수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개방식 요금 징수 시스템은 일정구간별 차종별 요금징수를 하는 시스템으로, 입구 영업소 또는 출구 영업소에서 일정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을 차종별로 구분하여 징수하는 시스템이다.
폐쇄식 요금 징수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자가 입구 영업소에서 발권받은 통행권을 출구 영업소에 제시하면 출구 영업소는 통행권의 확인을 통해 이용 구간에 대한 통행 요금을 징수하는 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의 통행 요금 징수를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행 요금 징수 화면(100)의 첫째 줄에는 차종(105), 입구 영업소 번호(110) 및 통행 요금(115)이 표시되고, 둘째 줄에는 화물차, 견인1, 견인2, 특영, 분실 및 파손 처리를 나타내는 아이콘(120)이 표시되고, 셋째 줄에는 카드, 정액권 처리 내용(125)이 표시되며, 넷째 줄에는 처리명령(카드/정액권/통행권?)(130)이 표시된다.
화면의 아래쪽 왼편에는 전원상태(135), 근무상태(140) 및 통신 상태(145)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의 아래쪽 중앙(150)에는 회사 상호(또는 아이콘), 차종 변경 표시(예:1종 -> 3종), 차종 불일치 표시 및 일변경 근무종료유도표시가 표시되고, 근무번호, 근무자번호(155)와 날짜 및 시간(160)이 각각 화면의 아래쪽 오른편에 표시된다.
폐쇄식 요금 징수 시스템은 통행권 처리에 의해 차종, 입구영업소 번호 및 통행요금을 표시하고, 요금징수수단으로 정액권, 전자지불카드, 할인카드 및 면제카드등의 요금징수 정보를 표시한다.
개방식 요금 징수 시스템은 통행권 처리가 아닌 차종 감지 장치로부터 차종을 판별하고 차종에 따른 지정된 요금을 표시하며 요금징수수단으로 정액권, 전자지불카드, 할인카드 및 면제카드 등의 요금 징수 정보를 표시한다.
차량 한대에 대한 처리를 한 후에도 첫째 줄과 둘째 줄의 처리 내용은 남는다. 다음 차량 처리로 진행하거나, 처리 대기 차량이 없는 상태에서 차량 진입이 발생할 경우에는 첫째 줄과 둘째 줄의 이전 처리 내용은 지워진다.
따라서, 종래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는 이전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상세 처리 내역의 확인이 어려우며, 요금 징수 시스템의 기기 상태 현황 및 유지 보수 내역 확인이 어렵고, 한 차량에 대한 요금징수 확정처리를 할 경우에 근무자는 해당 차량에 대한 처리 내용의 전체 내역을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은 해당 요금소에서 감지한 차량과 처리한 차량의 대수 파악을 하지 않으므로 근무자의 근무과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요금 지불 수단, 기기이상 내역, 이전 처리 내역 및 현재 처리 현황 등의 다양한 근무 정보를 통행 요금 징수 화면에 표시하여 근무자의 근무 효율을 높이고 근무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수 있는 통행요금 징수를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요금 지불 수단, 기기이상 내역, 이전 처리 내역 및 현재 처리 현황 등의 다양한 근무 정보를 통행 요금 징수 화면에 표시하여 근무자의 근무 효율을 높이고 근무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수 있는 통행요금 징수를 위한 화면 구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의 일 실시예는, 유료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차종 정보, 상기 차종에 해당하는 통행 요금 및 상기 통행 요금의 징수 수단을 표시하는 요금 징수 정보 표시 단계; 정당한 근무자에 의해 상기 요금이 처리되도록 상기 근무자의 근무 식별 카드 및 주민번호를 기초로 상기 근무자를 인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근무자 정보 표시 단계; 상기 근무자가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기기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기기 상태 표시 단계; 및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는, 유료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차종 정보, 상기 차종에 해당하는 통행 요금 및 상기 통행 요금의 징수 수단을 표시하는 요금 징수 정보 표시부; 정당한 근무자에 의해 상기 요금이 처리되도록 상기 근무자의 근무 식별카드 및 주민번호를 기초로 상기 근무자를 인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근무자 정보 표시부; 상기 근무자가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기기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기기 상태 표시부; 및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근무자는 통행 요금 징수 과정을 실시간으로 검증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행 요금 징수 화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구성(200)은 요금 징수 표시 화면(210), 근무자 정보 표시 화면(220), 차량 흐름 정보 표시 화면(230),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 근무 상황 표시 화면(250), 보조 근무 화면(260), 기기 상태 표시 화면(270) 및 전처리 정보 표시 화면(280)으로 구성된다.
요금 징수 표시 화면(210)의 첫줄에는 차종, 입구 영업소 번호 및 통행 요금이 표시하고, 둘째줄에는 화물차, 견인1, 견인2, 특영, 분실 및 파손처리를 나타내는 아이콘(icon)이 표시된다. 도 2에서는 일 예로 특영이 표시되어 있다. 요금 징수 표시 화면의 셋째줄에는 요금 징수 수단(카드, 정액권 등)이 표시되고, 냇째줄에는 요금 징수 수단에 대한 처리 명령이 표시된다.
근무자 정보 표시 화면(220)에는 근무자 식별 카드 및 근무자 주민번호를 기초로 인증받은 근무자의 근무자 번호 및 근무 번호가 표시된다. 또한, 근무자의 사진도 함께 표시된다. 근무자 정보 표시를 위한 근무자 인증 방법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 흐름 정보 표시 화면(230)에는 근무자가 현재 요금징수를 해야 할 차량 대수 및 차종이 숫자 또는 그래픽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요금 징수 시스템의 차종분류장치는 차종(1종 내지 6종)을 분류하고 분류한 차종 정보를 근무자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보면서 근무하는 차선 제어기로 전송한다. 차선 제어기는 전송받은 차종 정보를 전송받은 순서대로 차량 흐름 정보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따라서, 근무자는 차선 제어기와 차종분류장치 사이에 위치한 현재 처리해야 할 다수의 차량에 대한 차종 정보를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차종변경을 해야 할 차량이 있는지 미리 판단할 수 있어서 신속한 요금 징수 처리가 가능한다.
또한, 요금 징수가 완료된 차량에 대하여는 다른 색깔로 차량 흐름 정보 표시 화면에 표시하여 근무자가 요금 징수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차선의 차선 제어기에서 감지한 차량 대수와 근무자의 요금 징수 처리 대수를 차량 흐름 정보 표시 화면에 표시하여 근무자로 하여금 항시 자신의 처리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에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는 차량 촬영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영상이 표시된다. 차량 촬영 장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진출측에 설치되거나 입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근무자는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또는 입력장치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에 표시된 차량 영상을 상황에 따라 영업소 컴퓨터로 전송하거나 차선 제어기에 저장/관리한다.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의 차량 영상은 차량 촬영 장치에 의해 새로운 차량 영상이 촬영될 때마다 갱신된다.
근무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 또는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상의 아이콘(미도시)을 누름으로써 저장된 이전 차량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은 해당 차량에 대한 상세 이미지(즉, 크기 및 해상도가 높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또는 입력 장치의 버튼)을 제공하며, 근무자가 아이콘(또는 버튼)을 누르면 팝업(pop up) 창을 통해 상세 이미지가 제공된다.
또한, 차량 번호 인식 프로그램은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의 차량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추출한다. 추출된 차량 번호는 블랙 리스트(black list) 조회를 위해 사용되며, 조회된 차량이 블랙 리스트에 존재하는 위반차량이면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 또는 별도의 팝업 화면을 통해 위반 차량임이 표시된다. 차량 영상 표시 화면을 위한 차량 촬영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근무 상황 표시 화면(250)에는 통행 요금 지불 수단이 표시되고, 통행 요금 지불 수단이 정액권(예를 들어, 도로공사 PET형 카드)이면 근무 상황 표시 화면에는 권종대응금액(정액권 구입 금액), 사용횟수, 전회사용정보(년월일, 출구영업소 번호, 근무번호, 잔액) 등이 표시된다.
통행 요금 지불 수단이 할인 카드이면 근무 상황 표시 화면(250)에는 할인카드 번호, 할인율 및 유효기간 등이 표시되며, 통행 요금 지불 수단이 면제 카드이면 면제카드 번호, 면제 차량 번호 및 유효기간 등이 표시되고, 통행 요금 지불 수단이 전자지불카드이면 카드번호, 전회사용정보(년월일, 입구영업소번호, 근무번호, 잔액(선불식 카드인 경우))가 표시된다.
통행 요금이 현금으로 지불된 경우에 근무 상황 표시 화면(250)에는 현금으로 처리 되었다는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근무 상황 표시 화면(250)에는 특수 영업소 처리 또는 정액권 2매를 사용하여 요금징수를 한 경우 등의 근무특이상황이 표시된다.
다시 말하면, 근무 상황 표시 화면(250)에는 지불수단의 상세정보가 표시되며, 예를 들어 할인카드 무효이면 어떠한 이유로 무효인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근무자로 하여금 운전자와 원활한 의사소통과 신속한 처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근무 화면(260)에는 근무자가 근무하는 차선 제어기의 전원이 주전원인지 보조 배터리인지를 나타내는 전원상태, 통행 요금 징수 상태 및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유지 보수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근무상태, 영업소 컴퓨터(호스트)와의 통신 상태 및 무인요금 징수처리를 위한 단말기의 통신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전자지불 통신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보조 근무 화면(260)에는 차종 변경 표시, 차종 불일치 표시 등이 표시되고 현재 날짜 및 시간이 표시된다.
기기 상태 표시 화면(270)에는 통행 요금 징수시스템의 각종 주변기기들, 즉 정액권 확인기, 영수증 발행기, 차종 분류 장치 및 SAM 보드 등의 이상 유무 상태가 표시된다. 기기 상태 표시 화면(270)에 모든 주변기기들에 대한 이상 상태를 표시하기에는 화면 크기가 작으므로, 기기 상태 표시 화면(270)에는 모든 주변기기들에 이상이 없으면 "모든 장치 이상 없음"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근무개시 후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이 발생한 장치명과 이상 내역 및 발생시간을 간단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정액권 확인기 걸림 13시 34분"과 같이 표시한다. 또한, 이상 내역을 누계한 내용을 최종 발생 시간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이상- 4회 발생(최종 12:34)"와 같이 표시한다.
기기 상태 표시 화면(270)에는 주변기기들의 상태에 대한 상세내역 확인을 위한 체크 버튼(미도시)이 있으며, 근무자에 의해 체크 버튼이 눌려지면 아래 표1 처럼 팝업창을 통해 상세 내역이 표시된다.
no 장비명 현재상태 내용 발생횟수 최종발생시간
1 정액권발행기 오류 정액권 커버 열림 2회 4/20 23:34
2 영수증발행기 정상 영수증 걸림 1회 4/20 20:30
3 차종분류장치 정상 차종 불일치 1회 4/20 20:20
4 SAM 보드 정상 초기화 1회 4/20 20:11
표 1의 상세 내역은 현재 이상이 발생되었으나 아직 조치가 안된 항목을 맨 윗줄부터 발생시간 순서대로 차례로 표시하고 다른 정상인 장치와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함으로써 근무자로 하여금 쉽게 인지하도록 한다.
이상 상태에 대한 조치가 완료된 항목은 최종발생시간이 이른 순서대로 표시한다. 발생횟수는 근무개시 후 해당 항목별 상황이 발생한 횟수이다.
예를 들어, 주제어부(차선 제어기)와 주변기기의 통신이상 상태의 내용에는 1)주제어부와 키보드와의 통신이상 상태, 2)주제어부와 전자지불 SAM보드와의 통신이상 상태, 3)SAM보드와 전자지불용 안테나와의 통신이상 상태, 4)주제어부와 마그네캑 카드리더와의 통신이상 상태, 5)주제어부와 접촉식 카드리더와의 통신이상 상태, 6)주제어부와 정액권확인기와의 통신이상 상태, 7)주제어부와 영수증발행기와의 통신이상 상태, 8)주제어부와 차종분류장치와의 통신이상 상태 등이 있다.
전처리 정보 표시 화면(280)에는 이전 요금 징수 처리 내용을 표시된다. 따라서 근무자는 이전 요금 징수 처리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처리 정보 표시 화면(280)에는 구체적으로 이전 요금 징수 처리한 차종, 통행요금 및 요금지불수단이 표시되며, 통행권을 사용하는 폐쇄식 요금 징수 시스템의 경우에는 입구 요금소, 입구 영업소의 진입 날짜 및 시간등이 추가로 표시된다.
요금 징수를 위한 화면(200)에서 각각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들(210 내지 280)의 배치는 도 2에 한정되지 않으며, 근무자의 사용 환경의 편의를 위해 배치 위치를 달리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정보 표시 화면들(210 내지 280)은 화면 크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각 작은 아이콘으로 표시된 후 근무자에 의해 클릭되면 활성화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료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차종 정보, 상기 차종에 해당하는 통행 요금 및 상기 통행 요금의 징수 수단을 요금 징수 표시 화면(210)에 표시한다(S300). 정당한 근무자에 의해 요금이 처리되도록 근무자의 근무 식별카드 및 주민번호를 기초로 근무자를 인증하고 그 결과를 근무자 정보 표시 화면(220)에 표시한다(S310).
차량 분류 장치를 통과한 차량의 차종 및 차량 수를 차량 흐름 정보 표시 화면(230)에 표시한다(S320).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에 표시한다(S330).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수단의 상세 내역을 근무 상황 표시 화면(250)에 표시한다(S340).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전원 상태, 근무자의 근무 상태, 영업소 컴퓨터와의 통신 상태 및 무인 요금 징수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를 보조 근무 화면 표시 화면(260)에 표시한다(S350).
근무자가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요금 징수 시스템의 기기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그 결과를 기기 상태 표시 화면(270)에 표시한다(S360). 이전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처리 정보를 전처리 정보 표시 화면(280)에 표시한다(S37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무자 정보 표시 화면(220)에 근무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전 단계인 근무자 인증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근무자 식별 카드(마그네틱 카드 또는 ISO14443 Type A/B를 만족하는 비접촉식 카드 또는 ISO 7816을 만족하는 접촉식 카드)를 이용하여 근무자를 인증한다(S400). 근무자 식별카드가 정상 인증되면(S400), 근무자로부터 주민 번호를 입력받는다(S405). 그리고, 주민 번호를 기초로 다시 한 번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410). 즉, 본 발명에 따른 근무자 인증 방법은 근무자 식별카드 및 주민번호를 이용한 2중 보안을 제공한다.
주민 번호가 인증되면(S410), 근무자 정보 표시 화면(도 2의 220)에 근무자 번호, 근무 번호, 근무자 이름 및 사진이 표시된다(S420). 인증받은 근무자는 근무를 개시한다(S425).
근무자 식별 카드의 인증이 실패한 경우(S400), 근무자 카드 이상임을 화면 및 소리 등을 통해 표시한다(S430). 만약 근무자 식별 카드의 인증이 3회 이상 연속 실패하면 근무자 카드 이상을 표시하고 이상 사실을 영업소 컴퓨터로 전송한다(S445). 또한, 더이상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시스템을 locking한다(S450). 시스템이 Locking된 경우에는 관리자 카드에 의해서만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무자 식별 카드 인증 후 주민 번호 인증이 실패한 경우(S410), 주민 번호 이상 사실을 표시한다(S435). 주민 번호 인증이 3회 이상 실패한 경우에는 주민 번호 이상 사실을 표시하고 그 이상 사실을 영업소 컴퓨터로 전송한다(S445). 또한, 시스템은 locking 되며, 관리자 카드에 의해서만 해제 가능한 상태가 된다(S45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을 구성하기 위한 차량 영상 촬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S500), 차량 촬영 장치는 진입한 차량을 촬영한다(S505). 촬영된 영상은 압축된 후(S510), 차선제어기로 전송된다(S515).
차선 제어기는 전송받은 압축 영상을 복원하고(S520), 차량 번호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원된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추출한다(S525). 차선 제어기는 복원된 영상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영상 표시 화면의 크기게 맞도록 재구성한 후 차량 영상 표시 화면(240)에 차량 번호와 함께 표시한다(S530, S535).
차선 제어기는 추출된 차량 번호를 기초로 블랙 리스트(black list)를 조회한다(S540). 차선 제어기는 차량이 블랙 리스트의 위법 차량에 해당하면(S545), 경고 메시지를 근무자의 요금 징수 화면에 표시하고 위법 차량이라는 사실을 영업소 컴퓨터로 전송한다(S55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상태 표시 화면(270)을 구성하기 위한 기기 상태 체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선 제어기는 주변 기기 상태를 점검하고(S600), 주변 기기 이상 상태 체크 버튼(미도시)을 활성화시킨다(S610). 근무자에 의해 체크 버튼이 눌러지면(S620), 주변 기기 이상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가 팝업 창을 통해 제공된다(S63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700)는 요금 징수 표시부(705), 근무자 정보 표시부(710), 차량 흐름 정보 표시부(715), 차량 영상 표시부(720), 근무 상황 표시부(725), 보조근무 화면 표시부(730), 기기 상태 표시부(735) 및 전처리 정보 표시부(740)로 구성된다.
요금 징수 표시부(705)는 유료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차종 정보, 상기 차종에 해당하는 통행 요금 및 상기 통행 요금의 징수 수단을 요금 징수 표시 화면(210)에 표시한다. 근무자 정보 표시부(710)는 정당한 근무자에 의해 통행 요금이 징수 처리되도록 근무자의 근무 식별 카드 및 주민번호를 기초로 근무자를 인증하고 그 결과를 근무자 정보 표시 화면(220)에 표시한다.
차량흐름 정보 표시부(715)는 차량 분류 장치를 통과한 차량의 차종 및 차량 수를 차량 흐름 정보 표시 화면(230)에 표시한다. 차량 영상 표시부(720)는 차량 촬영 장치(775)에 의해 촬영된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한 차량의 촬영 영상을 차량 촬영 표시부(725)에 표시한다. 또한, 차량 영상 표시부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번호를 기초로 블랙 리스트를 조회하여 차량이 위법 차량인지 판단하다. 만약 위법 차량이면, 차량 영상 표시부는 위법 차량이라는 사실을 영업소 컴퓨터로 전송하고 화면 및 소리 등을 통해 위법 차량임을 근무자에게 표시한다. 근무 상황 표시부(725)는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수단의 상세 내역을 근무 상황 표시 화면(250)에 표시한다.
보조근무 화면 표시부(730)는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전원 상태, 근무자의 근무 상태, 영업소 컴퓨터와의 통신 상태 및 무인 요금 징수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를 보조근무 화면(260)에 표시한다.
기기 상태 표시부(735)는 근무자가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요금 징수 시스템의 갖종 주변기기(755,760,765,770)의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그 결과를 기기 상태 표시 화면(270)에 표시한다. 전처리 정보 표시부(740)는 이전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처리 정보를 전처리 정보 표시 화면(28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무자는 통행 요금 지불 수단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할인카드 무효이면 어떠한 이유로 무효인지를 화면을 통해 확인가능하여 운전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신속한 업무 처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근무개시 후 발생한 기기이상 내역을 실시간 확인가능하며, 발생된 기기 이상에 대해 우선순위별로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 통행 요금 징수 처리 내역을 근무자가 언제든지 확인가능하며, 현재의 통행 요금 처리 현황을 처음부터 끝까지 확인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흐름 표시와 감지 대수 및 처리 대수의 표시로 근무자의 실수를 사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행 요금 징수를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무자 정보 표시화면에 근무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전 단계인 근무자 인증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영상 표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차량 영상 촬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상태 표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기 상태 체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5)

  1. 유료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차종 정보, 상기 차종에 해당하는 통행 요금 및 상기 통행 요금의 징수 수단을 표시하는 요금 징수 정보 표시 단계;
    정당한 근무자에 의해 상기 요금이 처리되도록 상기 근무자의 근무 식별 카드 및 주민번호를 기초로 상기 근무자를 인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근무자 정보 표시 단계;
    상기 근무자가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기기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기기 상태 표시 단계; 및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전원 상태, 상기 근무자의 근무 상태, 영업소 컴퓨터와의 통신 상태 및 무인 요금 징수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보조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수단의 상세 내역을 표시하는 근무상황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이전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처리 정보를 표시하는 전 처리 정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분류 장치를 통과한 차량의 차종 및 차량 수를 표시하는 차량 흐름 정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자 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근무자 식별 카드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근무자 식별 카드가 인증되면, 상기 근무자의 주민번호를 입력받고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주민번호가 정상이면 상기 근무자의 이름 및 사진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근무자 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근무자 식별 카드의 인증이 소정 횟수 이상 실패하거나, 상기 주민번호의 인증이 소정 횟수 이상 실패하면, 오류를 표시하고 요금 징수 기능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상태 표시단계는,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액권 확인기, 영수증 발행기, 차종 분류 장치 및 SAM 보드를 각각 실시간으로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체크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차량 번호를 기초로 블랙 리스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화면 구성 방법.
  10. 유료도로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차종 정보, 상기 차종에 해당하는 통행 요금 및 상기 통행 요금의 징수 수단을 표시하는 요금 징수 정보 표시부;
    정당한 근무자에 의해 상기 요금이 처리되도록 상기 근무자의 근무 식별 카드 및 주민번호를 기초로 상기 근무자를 인증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근무자 정보 표시부;
    상기 근무자가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기기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기기 상태 표시부; 및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에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전원 상태, 상기 근무자의 근무 상태, 영업소 컴퓨터와의 통신 상태 및 무인 요금 징수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보조 근무 화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표시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수단의 상세 내역을 표시하는 근무 상황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표시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이전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처리 정보를 표시하는 전 처리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표시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차량 분류 장치를 통과한 차량의 차종 및 차량 수를 표시하는 차량 흐름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표시 장치.
  15. 제 1항의 화면 구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46571A 2004-06-22 2004-06-22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 KR20050121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571A KR20050121442A (ko) 2004-06-22 2004-06-22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571A KR20050121442A (ko) 2004-06-22 2004-06-22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42A true KR20050121442A (ko) 2005-12-27

Family

ID=3729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571A KR20050121442A (ko) 2004-06-22 2004-06-22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14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449B2 (en) Automatic integrated sensing and access control
JP720903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1319898A (ja) 料金徴収装置
CN101877150B (zh) 实名制火车票售验票系统的构造方法
JP54996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69938B1 (en) Video content analysis using point of sale data
US20150324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Electronics While Complying with Secondhand Transaction Reporting Laws
JP55406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739499B2 (en) Check anti-fraud security system
JP2004334402A (ja) 小切手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pos端末並びにposシステム
CN108010153A (zh) 公交车司机身份识别系统和方法
JP201812051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5447957A (zh) 冠字号采集方法和金融服务终端
CN210166825U (zh) 一种城市轨道交通的乘客服务系统
CN101165722A (zh) 车辆登记牌存档系统及其操作方法
JP5482079B2 (ja) レシートプリンター、レシートプリンター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303363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入出場管理方法及び装置
JP2003187279A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6072918A (ja) 紙幣確認方法および紙幣確認システム
KR20050121442A (ko)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화면 구성 방법 및 화면 표시 장치
JPS5848950B2 (ja) 料金収受装置
JP2005157776A (ja) 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装置、盗難車両捜索プログラム、盗難車両捜索方法および盗難車両捜索装置
JP7178200B2 (ja) 紙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99928B2 (ja) キャッシュセンタ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JP2021174482A (ja) 駐車管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