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255A -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255A
KR20050119255A KR1020040044306A KR20040044306A KR20050119255A KR 20050119255 A KR20050119255 A KR 20050119255A KR 1020040044306 A KR1020040044306 A KR 1020040044306A KR 20040044306 A KR20040044306 A KR 20040044306A KR 20050119255 A KR20050119255 A KR 2005011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timer
time
object movem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205B1 (ko
Inventor
장지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2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제품에 있어서, 특히 기기 외부의 물체 이동 여부에 따라 전원 스위치의 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는, 기기 내에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 사용자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기기 외부의 물체 이동을 감지하는 물체 이동 감지수단; 상기 물체 이동 감지수단의 감지결과, 물체 이동이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전원 스위치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power off of power switch}
본 발명은 전자 제품에 있어서, 특히 기기 외부의 물체 이동 여부에 따라 전원 스위치의 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전자제품에는 전원 스위치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전자제품에는 항상 전원코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전원이 항상 공급되고 있으며, 전자제품의 동작 여부에 따라 외부의 전원 스위치로 온/오프 제어하게 된다.
일반적인 전자제품에는 사용자의 실수로 전원 스위치를 온 시켜 놓고 외출하는 경우, 전력 낭비 및 화재 발생 위험이 존재하게 되므로, 전원 스위치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주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종래 전자제품의 전원 오프 장치는 도 1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장치는 전원 스위치(11), 타이머(13), 입력부(15), 그리고 제어부(17)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11)는 전원 코드와 연결되며 일정 전압을 공급받아 기기에 전원을 공급해 주도록 온/오프 제어되며, 타이머(13)는 사용자가 입력부(15)를 통해서 전원 스위치(11)의 전원 온 시간 설정시 시간을 계수하며, 제어부(17)는 상기 타이머(13)의 시간 계수 값과 전원 스위치(11)의 온 설정 시간 값을 비교하여 전원 스위치(11)의 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스위치의 오프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전원 스위치(11)의 온 시간 값에 따라 타이머(13)가 계수하고, 계수된 시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면 자동으로 전원 스위치(11)를 오프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전자제품에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일정 시간 뒤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뒤에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켜 주는 타이머 기능이 제공된다.
그러나, 전원 스위치의 제어를 위해 전자제품 내에 타이머가 탑재되어야 하지만, 일정 이하의 크기 예컨대, 인두기와 같은 소형 전기 제품에는 타이머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전원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리고, 타이머 기능이 탑재된 제품에서는 타이머를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체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물체의 이동이 없을 경우 전원 스위치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장치는,
기기 내에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
사용자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를 위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기기 외부의 물체 이동을 감지하는 물체 이동 감지수단;
상기 물체 이동 감지수단의 감지결과, 물체 이동이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전원 스위치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체 이동 감지수단은 적외선 센서이며, 일정 이상의 변위에 대해서 물체 이동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방법은, 전원 스위치의 동작 타이머가 설정되고,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자 기기 외부의 물체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결과, 물체 이동이 없을 경우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상기 물체 이동이 없는 시간이 상기 타이머 설정 시간이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물체 이동이 없는 시간이 타이머 설정 시간 이상이면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타이머 설정 시간 이하이면 타이머를 재 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스위치(21)와, 전원 온 시간 설정을 위한 타이머(23)와, 타이머 설정 및 각종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부(25)와, 물체 이동이 일정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전원 스위치(21)를 오프시키는 제어부(27)와, 기기 내에서 외부의 물체 이동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29)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스위치(21)는 전원 코드에 연결되어 기기에서 필요한 전원전압을 공급받고, 스위치가 온 되면 기기 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고, 스위치가 오프되면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타이머(23)는 사용자가 입력부(25)를 통해서 전원 스위치(21)의 온 시간을 설정해 준다. 즉, 현재 전원 스위치(21)가 온 되어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물체 이동이 없는 시점부터 타이머가 시작되어 계수된다.
그리고, 입력부(25)는 기기 내의 각종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체 이동 감지수단의 동작 여부 및 타이머(23)의 설정 여부를 설정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물체 이동 감지수단으로서 적외선 센서(29)는 기기 내에서 외부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즉, 적외선 센서(29)는 소정의 변위 이상의 값을 갖고 물체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이는 바람 등에 의해 움직이는 미세한 움직임 등에 대한 값을 배제하고 사람 등의 큰 변위에 대해서 감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변위 이상의 값을 갖게 된다. 또한 반복되는 변위에 대해서는 변위 판단 대상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29)는 기기 내에 설치되어 현재 기기가 놓여 있는 위치에서 전방 또는 어느 일측에 대해서 기기 외부의 물체 이동을 감지하게 되며, 감지 여부에 대해서는 제어부(27)에 전달해 준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외선 센서(27)의 설치 위치는 도 3과 같은 가라오케 시스템(30)에 설치될 경우, 세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LD는 프로그램 로직 디바이스로서 제어부로 기능한다.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적외선 센서(29)에 의해 감지된 결과 값에 따라 타이머(23)를 재 시작 여부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7)는 사용자가 설정한 전원 스위치 온 시간 동안 물체 이동이 있을 경우 다시 타이머(23)를 재 기동시켜 주게 된다.
이때 타이머(25)의 물체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적외선 센서(29)에 의해 감지된 물체 이동 정보를 이용하게 되는데, 물체 이동의 감지결과 한 번의 물체 이동 또는 두 번 이상의 물체 이동이 있을 경우 타이머(23)를 재 기동시켜 준다. 또는 일정 시간 내에 물체 이동이 적어도 두 번일 경우 타이머(23)를 재 기동시켜 준다.
이와 같이 제어부(27)는 물체 이동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타이머(23)의 설정 시간 동안 적외선 센서(29)에 의해 감지된 물체 이동 정보에서 물체 이동이 없을 경우 전원 스위치(21)를 오프시켜 준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서 타이머에 전원 스위치의 온 시간을 설정해 준다. 이후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제어부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체 이동 정보를 수신받게 된다. 그리고 물체 이동이 없다고 판단되면 타이머를 기동시켜 주어 계수하게 된다.
이때, 물체 이동이 없는 시간이 타이머 설정 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제어부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하게 된다. 그러나 타이머 설정 시간 동안 물체 이동이 있을 경우 타이머를 재 기동시켜 주고 전원 스위치는 계속 온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도 4는 전원 오프 스위치를 인두기에 적용한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두기(40)에는 타이머 셋업 설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동 타이머 입력 기능을 구비한 구성이다.
여기서, 인두기 손잡이(41) 내부에 적외선 센서(42)가 설치하는데, 상기 적외선 센서(42)는 기기의 바닥면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두기 손잡이(41)의 배면(42)에는 타이머 설정부(45)를 구비된다. 상기 타이머 설정부(45)를 30분, 60분, 90분 등으로 구분되며, 사용자가 타이머 스위치(46)를 일정 타이머 설정위치에 이동시켜 줌으로써, 타이머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타이머 설정 시간이 일정 시간(예: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적외선 센서(42)에 의해 감지된 물체 이동 감지 결과, 물체 이동이 30분 동안 없을 경우 자동으로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 준다.
여기서,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의 오프 시간을 조정하는 데 불편하므로, 디폴트 값으로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이머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으로 설정하고(S21),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S23) 적외선 센서는 물체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S25).
상기 적외선 센서의 물체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 물체 이동이 없으면 타이머는 계수를 시작하게 된다(S27,S29). 여기서, 타이머가 시작되는 시간은 물체 이동이 없는 시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 대기 시간을 둘 수도 있다.
그리고, 타이머의 계수가 시작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타이머 설정 시간 동안 물체 이동이 없는가를 확인하게 된다(S31). 여기서, 물체 이동 여부는 기기 외부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변위가 일정한 값 이상일 때 물체 이동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물체 이동 변위는 실험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물체 이동이 있으면 타이머를 초기값(=0)으로 하여 물체 이동이 없는 시점에서 타이머를 다시 시작해 준다(S33,S27). 즉, 기기 외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의미이므로 전원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시켜 주고, 타이머를 처음부터 다시 카운트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S33의 확인결과, 물체 이동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제어부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 준다(S35). 이때, 타이머가 설정한 시간 동안 물체 이동이 없으면 전원 스위치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비정상적으로 부재할 경우, 화재 위험 및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기기 내에 하나의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였으나, 상기의 적외선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기기의 각 측 방향 및 상 방향으로부터 감지된 감지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이를 기초로 물체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기기의 유동 즉, 마이크 또는 인두기 등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유동이 일정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전원 스위치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스위치으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전자 제품 내에 물체 이동 감지수단 및 타이머를 구비하여 물체 이동이 타이머 설정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자동으로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위험을 방지하면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원 스위치의 오프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장착 예를 나타낸 가라오케 시스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센서 및 타이머의 장착 예를 나타낸 인두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전원 스위치 23...타이머
25...입력부 7...제어부
29,37,42...적외선 센서

Claims (3)

  1. 기기 내에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
    사용자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를 위한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기기 외부의 물체 이동을 감지하는 물체 이동 감지수단;
    상기 물체 이동 감지수단의 감지결과, 물체 이동이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동안 없을 경우 전원 스위치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 자동 오프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이동 감지수단은 적외선 센서이며, 일정 이상의 변위에 대해서 물체 이동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3. 전자 기기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의 동작 타이머가 설정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자 기기 외부의 물체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결과, 물체 이동이 없을 경우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상기 물체 이동이 없는 시간이 상기 타이머 설정 시간이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물체 이동이 없는 시간이 타이머 설정 시간 이상이면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타이머 설정 시간 이하이면 타이머를 재 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방법.
KR1020040044306A 2004-06-16 2004-06-16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KR10108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306A KR101081205B1 (ko) 2004-06-16 2004-06-16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306A KR101081205B1 (ko) 2004-06-16 2004-06-16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255A true KR20050119255A (ko) 2005-12-21
KR101081205B1 KR101081205B1 (ko) 2011-11-07

Family

ID=3729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306A KR101081205B1 (ko) 2004-06-16 2004-06-16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2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212B1 (ko) * 2005-07-22 2007-06-27 주식회사 제이씨텍 수동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전력 절전용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732211B1 (ko) * 2005-07-20 2007-06-27 주식회사 제이씨텍 수동적외선센서를 이용한 아날로그 전력 절전용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1143950B1 (ko) * 2006-06-30 2012-05-09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전자식 누름 수축 출구장치
KR20200054764A (ko) * 2018-11-12 2020-05-20 김은태 대기 전원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13Y1 (ko) * 2003-12-10 2004-03-16 최광세 인체정지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 센서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211B1 (ko) * 2005-07-20 2007-06-27 주식회사 제이씨텍 수동적외선센서를 이용한 아날로그 전력 절전용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0732212B1 (ko) * 2005-07-22 2007-06-27 주식회사 제이씨텍 수동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전력 절전용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143950B1 (ko) * 2006-06-30 2012-05-09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전자식 누름 수축 출구장치
KR20200054764A (ko) * 2018-11-12 2020-05-20 김은태 대기 전원 제어 장치와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205B1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2301A (zh) 电器及其待机的电源控制方法和装置
CN105094015B (zh) 控制电路、控制方法及拍摄设备
KR100798830B1 (ko)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개선된 콘센트 장치
CN103081570B (zh) 设备控制系统
KR101081205B1 (ko)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KR101633297B1 (ko)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EP2755299A1 (en) Power-saving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power-saving manual control apparatus
CN107295125B (zh) 一种手持终端开关电路及控制方法
JP2008311202A (ja) 人体検知機能付負荷制御装置
KR101553954B1 (ko) 디밍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디밍 시스템
JP200508852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KR101736480B1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JP2008187319A (ja) テレビジョン用電源制御装置
JP3193732B2 (ja) 照明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205589A (ja) 省電力機器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930767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7244167A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KR100315809B1 (ko) 세탁기의 전원장치
JP2005033913A (ja) 電源装置
US6882903B2 (en) Electric device
JPH0623086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電源制御方式
KR20030017049A (ko) 프로젝터의 전원공급장치
KR101538651B1 (ko) 가전기기의 대기 전력 차단 모드로부터의 자동 복귀 방법
WO2013186853A1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4363712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