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936A -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936A
KR20050118936A KR1020040044094A KR20040044094A KR20050118936A KR 20050118936 A KR20050118936 A KR 20050118936A KR 1020040044094 A KR1020040044094 A KR 1020040044094A KR 20040044094 A KR20040044094 A KR 20040044094A KR 20050118936 A KR20050118936 A KR 20050118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current
frequency
oscillation
igb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162B1 (ko
Inventor
이대교
Original Assignee
이대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교 filed Critical 이대교
Priority to KR102004004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16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13Switches using bi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IGBT 사용시 고가의 IGBT를 포함한 내부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버튼부(10); AC 전압을 DC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20);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감지부(30); 과전류가 감지되면 에러 홀딩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안정장치(40); 동일한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출력하고, 암 쇼트 또는 과전류가 감지되면 IGBT 구동펄스 공급 동작을 일시 중지시키는 마이컴(60);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통해 IGBT 발진 주파수(A, B)를 생성하는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 두 개의 IGBT 발진 주파수(A, B)에 따라 복수의 IGBT를 교호로 온시킴으로 워킹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가열부(80); 가열부(80)의 암 쇼트 또는 공진 전류 과대 현상을 마이컴(60)으로 통보하는 제 2 안정장치(90); 각 블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0); 및 시스템의 내부 상태 및 에러 상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의 IGBT를 포함한 내부 부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해주어 시스템의 안정화를 이룩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손실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IGBT(Insulated Gate Bypolar Trnasistor; 이하, "IGBT"라 칭함.)를 사용하는 가열기에서 고가의 IGBT를 포함한 내부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전자유도 가열기기는 기기특성상 많은 양의 전류를 워킹 코일에 공급해야 되기 때문에 대용량인 IGBT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현재에는 보다 효율적으로 다량의 전류를 워킹 코일에 공급하기 위해 전자유도 가열기기에 두 개 이상의 IGBT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출시된 복수의 IGBT를 사용하는 전자유도 가열기기들은 복수의 IGBT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펄스를 생성함에 있어 서로 다른 주기의 기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잡음으로 인해 어느 하나의 기준 주파수의 주기가 변동될 경우 복수의 IGBT가 동시에 온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가의 IGBT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곤 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전자유도 가열기기는 운용자의 작업중에 빈번히 일어나는 가열부의 암 쇼트(Arm Short), 워킹코일 쇼트 또는 히트 싱크 간 쇼트 현상, 전원 입력단의 과전력(과전류 또는 과전압) 유입 현상, 장치 내부 온도의 급상승으로 인한 과열 현상을 사전에 감지하여 대처해 주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고가의 IGBT를 포함한 부품들이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경제적 손실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자유도 가열기기에는 장치의 현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기능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운용자가 가열기기의 현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IGBT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펄스를 생성함에 있어 일정한 딜레이 타임만을 갖는 동일한 기준 주파수를 사용하여 생성해 줌으로써, 복수의 IGBT가 동시에 온되는 현상 자체를 없애주기 위한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운용자의 작업중에 빈번히 일어나는 가열부의 워킹코일 쇼트 또는 히트 싱크간 쇼트 현상, 전원 입력단의 과전류 유입 현상, 전원 단자 접촉 불안으로 인한 서어지 발생 현상, 장치 내부 온도의 급상승으로 인한 과열 현상을 신속히 감지한 후 이에 따른 대처 방안으로 복수의 IGBT를 자동으로 일시 정지시켜 주어 고가의 IGBT를 포함한 부품들의 파손현상을 없애주고, 또한 전류 상승을 감지한 후 전류 제어를 통해 IGBT 온도상승 현상을 방지하여 IGBT를 보호해 줌으로써, 운용자 및 소비자의 경제적 손실을 줄여주기 위한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가열장치의 현 운용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운용자에게 정확히 알려주는 기능을 부가해 줌으로써, 운용자로 하여금 가열기기의 현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손쉬운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주기 위한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전자유도 가열장치는, 복수개의 IGBT(대용량 TR)를 구비한 전자유도 가열장치에 있어서,
스타트 버튼 및 상태점검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
상용 AC 입력 전압을 DC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면 에러 홀딩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안정장치;
상기 스타트 버튼이 온 되면 동일한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출력하되, 상기 전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소비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상승 조절하여 출력하고, 에러 홀딩신호 또는 암쇼트 에러신호가 입력되면 로우(Low) 상태이던 리셋 신호를 하이(High)로 출력함과 동시에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다시 리셋 신호를 로우(Low)로 출력함과 동시에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해제시키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딜레이 타임(DT)을 갖는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입력받은 후 소정의 논리 연산처리를 통해 두 개의 IGBT 발진 주파수(A, B)를 생성하되,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하이 상태의 리셋 신호와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주파수 발진 동작이 정지되는 IGBT 구동펄스 발진부;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로부터 두 개의 IGBT 발진 주파수(A, B)를 입력받음에 따라 소정 간격(t)을 두고 상기 두 개의 IGBT를 교대로 번갈아 온시킴으로 상기 정류부의 고주파 전압을 워킹 코일에 교호로 공급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두 개의 IGBT에서 암 쇼트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암쇼트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안정장치;
상기 각 블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마이컴의 제어하에 시스템의 내부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및
히트싱크의 과열을 감지하는 바이메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개의 IGBT(대용량 TR)를 구비한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IGBT(대용량 TR)를 구비한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마이컴이 전원이 온되면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이 아니면, 상기 마이컴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현재 입력 전압을 "UL(저전압)" 또는 "UH(고전압)"로 표시한 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함과 동시에 리턴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이면 상기 마이컴이 온도 센서를 통해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었는지 또는 바이메탈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었거나 또는 바이메탈이 작동중이면, 상기 마이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tH" 또는 "bo"로 표시한 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함과 동시에 리턴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지 않았거나 또는 바이메탈이 작동중이 아니면, 상기 마이컴이 스타트 버튼이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스타트 버튼이 온되면, 상기 마이컴이 회로잠김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0"이면 발진출력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서 발진출력 플래그가 "0"이면, 상기 마이컴이 스타트발진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0"이면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45㎑부터 발진 시작함과 동시에 팬을 작동시키는 제 7 단계;
상기 마이컴이 스타트발진 플래그를 "1"로 셋팅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 스타트발진 플래그가 "1"이거나 또는 상기 제 8 단계 이후, 상기 마이컴이 현재의 주파수값이 40㎑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주파수값을 "1"만큼 감소시키는 제 9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이 현 주파수가 최종목표 주파수(23㎑)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현시점의 소비전류값을 기준 전류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1"로 셋팅함과 동시에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출력한 후 리턴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스타트 버튼이 온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컴이 발진출력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0"이면 다시 리턴하는 한편, "1"이면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변경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이 소정시간(약 30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경과하면 팬을 정지시킨 후 리턴하는 한편, 경과하지 않으면 소정시간 경과 여부를 계속 확인하는 제 1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유도 가열장치는 버튼부(10), 정류부(20), 전류 감지부(30), 버퍼(40), 제 1 안정장치(50), 마이컴(Micom)(60),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 가열부(80), 제 2 안정장치(90), 전원 공급부(100), 디스플레이(Display)부(110), 온도 센서(120) 및 바이메탈(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10)는 스타트 버튼(Start Button)(11) 및 상태점검 버튼(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류부(20)는 상용 교류(AC : Alternating Current) 입력 전압을 필터링하는 라인 필터(Line Filter)(21)와, 상기 라인 필터(21)를 통해 필터링된 AC 입력 전압을 직류(DC : Direct Current)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정류기(22)와, 코일(L1) 및 커패시터(C1)로 이루어져 상기 AC/DC 정류기(22)를 통해 정류된 DC 고주파 전압을 필터링한 후 상기 가열부(80)로 공급하는 고주파 필터부(2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 감지부(30)는 변류기(CT1)를 통해 상기 정류부(20)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버퍼(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버퍼(40)는 상기 전류 감지부(30) 및 상기 마이컴(6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류 감지부(30)를 통해 감지된 소비 전류값을 전압 변동의 안정화를 위해 필터링한 후 상기 마이컴(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안정장치(50)는 상기 전류 감지부(30)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면 에러 홀딩신호를 상기 마이컴(6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지전압 감지부(51), 정류기(52), 제너 다이오드(ZD1) 및 비교기(5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안정장치(50)의 서지전압 감지부(51)는 상기 전류 감지부(30)로부터 서지 전압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정류기(5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정류기(52)는 상기 서지전압 감지부(51)로부터 서지 전압을 입력받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는 상기 정류기(52)에 접속되어, 입력 전압이 상기 비교기(53)의 공급 전압보다 높지 않게 제한해 줌으로써 상기 비교기(53)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53)는 상기 정류기(52)를 통해 정류된 서지 전압과 5V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별한 후 과전류로 판별되면 에러 홀딩신호를 상기 마이컴(6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스타트 버튼(11)이 온(ON) 되면 도 4와 같은 동일한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로 출력하되, 상기 전류 감지부(30)를 통해 감지된 소비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상승 조절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2 안정장치(50, 90)로부터 에러 홀딩신호 또는 암쇼트 에러신호를 입력받으면 에러홀딩 제어신호와 함께 로우(Low) 상태인 리셋 신호를 하이(High)로 변환시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로 각각 출력함으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를 정지시키며, 이후 소정 시간(약 30초)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다시 리셋 신호를 로우(Low)로 출력함과 동시에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해제시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를 재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는 "23㎑"의 주파수를 의미하되 변경 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 간의 딜레이 타임(Delay Time)은 "2∼5㎲"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60)이 소비 전류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스타트 버튼(11)이 온된 후 상기 기준 주파수(OSC1, OSC2)의 발진이 끝나는 시점, 즉 기준 주파수가 "23㎑"가 되는 시점에서의 소비 전류값을 체크하여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온도 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본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이면, 로우(Low) 상태인 리셋 신호를 하이(High)로 변환시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로 출력함으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상태점검 버튼(12)이 연속해서 온되면, 이에 따라 시스템의 내부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는 상기 마이컴(60)으로부터 딜레이 타임(DT)을 갖는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입력받아 소정의 논리 연산처리를 통해 두 개의 IGBT 발진 주파수(A, B)를 생성한 후 상기 가열부(8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IC 연산부(71), 제 2 IC 연산부(72), 트랜지스터(Q1), 제 1 난드(NAND) 게이트(73), 제 2 난드 게이트(74), 제 3 IC 연산부(75), 제 4 IC 연산부(76), 및 오어(OR) 게이트(77)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제 1 IC 연산부(71)는 상기 마이컴(60)으로부터 제 1 기준 주파수(OSC1)를 입력받은 후 a 출력단으로는 상기 제 1 기준 주파수(OSC1)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반면에, b 출력단으로는 상기 제 1 기준 주파수(OSC1)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제 2 IC 연산부(72)는 상기 마이컴(60)으로부터 제 2 기준 주파수(OSC2)를 입력받은 후 c 출력단으로는 상기 제 2 기준 주파수(OSC2)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반면에, d 출력단으로는 상기 제 2 기준 주파수(OSC2)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 단자가 상기 마이컴(60)의 리셋 출력단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며 콜렉터 단자는 5V 전원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컴(60)으로부터 하이 상태의 리셋 신호를 입력받으면 턴-온(Turn-On)된다.
또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제 1 난드 게이트(73)는 각각의 입력단이 상기 제 1, 2 IC 연산부(71, 72)의 a, c 출력단, 5V 전원 입력단 및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2 IC 연산부(71, 72)의 a, c 출력단으로부터 제 1, 2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입력받으면 이를 난드(NAND) 연산하여 상기 제 4 IC 연산부(76)로 출력하다가, 상기 마이컴(60)으로부터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5V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동작이 정지되어 IGBT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제 2 난드 게이트(74)는 각각의 입력단이 상기 제 1, 2 IC 연산부(71, 72)의 b, d 출력단, 5V 전원 입력단 및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2 IC 연산부(71, 72)의 b, d 출력단으로부터 반전된 제 1, 2 기준 주파수(, )를 입력받으면 이를 난드(NAND) 연산하여 상기 제 3 IC 연산부(75)로 출력하다가, 상기 마이컴(60)으로부터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5V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동작이 정지되어 IGBT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제 3 IC 연산부(75)는 상기 제 2 난드 게이트(74)의 출력 주파수를 반전시킨 후 도 4와 같은 제 1 IGBT 발진 주파수(A)를 상기 가열부(8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제 4 IC 연산부(76)는 상기 제 1 난드 게이트(73)의 출력 주파수를 반전시킨 후 도 4와 같은 제 2 IGBT 발진 주파수(B)를 상기 가열부(8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의 오어(OR) 게이트(77)는 상기 마이컴(60)의 리셋 출력단에 e 입력단이 접속되고 f 입력단은 접지되어 있으며 g 출력단은 상기 제 1 내지 4 IC 연산부(71, 72, 75, 76)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컴(60)의 리셋 신호가 로우 상태일 경우 상기 제 1 내지 4 IC 연산부(71, 72, 75, 76)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다가, 상기 마이컴(60)의 리셋 신호가 하이 상태로 바뀌면 g 출력단으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 1 내지 4 IC 연산부(71, 72, 75, 76)의 동작을 모두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가열부(80)는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로부터 도 4와 같은 두 개의 IGBT 발진 주파수(A, B)를 입력받음에 따라 소정 간격(t)을 두고 상기 두 개의 IGBT(84, 85)를 교대로 번갈아 온시킴으로 상기 정류부(20)의 고주파 전압을 워킹 코일(86)에 교호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IGBT 구동부(81), 제 2 IGBT 구동부(82), 제 1, 2 공진 커패시터(Cr1, Cr2), 및 팬(8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가열부(80)의 제 1 IGBT 구동부(81)는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에서 출력한 제 1 발진 주파수(A)에 따라 상기 제 1 IGBT(84)를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IGBT 구동부(82)는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70)에서 출력한 제 2 발진 주파수(B)에 따라 상기 제 2 IGBT(85)를 온/오프시키되, 상기 제 1 IGBT(84)와 소정 간격(t)을 두고 교대로 번갈아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공진 커패시터(Cr1, Cr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킹 코일(86)을 사이에 두고 제 1, 2 IGBT(84, 85)와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팬(83)은 도시치 않은 히트싱크(IGBT 방열판)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컴(60)의 스위치(SW1) 제어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어 내부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2 안정장치(90)는 상기 가열부(80)의 두 개의 IGBT(84, 85)에서 암 쇼트 또는 공진과대 전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60)으로 암쇼트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기(91), 제너 다이오드(ZD2), 비교기(92), 및 포토커플러(Photocoupler)(9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안정장치(90)의 정류기(91)는 상기 가열부(80)에서 암 쇼트 또는 공진과대 전류가 발생됨에 따라 과전압이 발생하면 이를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너 다이오드(ZD2)는 상기 정류기(91)에 접속되어, 입력 전압이 상기 비교기(92)의 공급 전압보다 높지 않게 제한하여 상기 비교기(92)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92)는 상기 정류기(91)를 통해 정류된 과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압 여부를 판별한 후 과전압으로 판별되면 암쇼트 발생신호를 상기 포토커플러(93)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포토커플러(93)는 상기 비교기(92)로부터 암쇼트 발생신호를 입력받으면 구동되므로 상기 마이컴(60)으로 암쇼트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00)는 도시치 않은 정류기와 SMPS(Swi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성되어, 교류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상용 AC 전원을 입력받아 해당 DC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술한 각 블록(10 내지 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각 블록의 전원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이다.
검색표시창 FC : 현재 주파수(20Khz∼45Khz)
AC : 소비전류
tC : 시스템 내부 온도
UC : 전압 레벨
에러표시창 UL : 전압 낮음(170V 이하)
UH : 전압 높은(242V 이상)
AH : 과전류
LS : 40Khz에서 소비전류 부족(발진구동 스타트시);HS : 소비전류과대
SL : 30분동안 연속 서지 5회 작동
tH : 온도센서 과열(60도 이상:시스템 내부 온도 과열)
bo : 방열판 과열
tE : 온도센서 불량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상태점검 버튼(12)이 단계적으로 온됨에 따라 상기 마이컴(60)의 제어하에 시스템의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내용은 상기의 [표 1]과 같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120)는 본 장치 내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 후 그 온도 측정값을 상기 마이컴(6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바이메탈(130)은 히트싱크의 과열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마이컴(60)은 전원이 온(ON)되면,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이 때, 상기 제 1 단계(S1)에서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이 아니면(NO),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현재 입력 전압을 "UL(저전압)" 또는 "UH(고전압)"로 표시한 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함과 동시에 리턴한다(S2). 반면에, 상기 제 1 단계(S1)에서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이면(YES),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온도 센서(120)를 통해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었는지 또는 상기 바이메탈(130)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이 때,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었거나 또는 바이메탈이 작동중이면(YES),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상기 [표 1]의 "tH" 또는 "bo"로 표시한 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함과 동시에 리턴한다(S4). 여기서, 상기 발진출력 플래그가 "1"로 셋팅된 경우에는 "발진출력중"인 상태를 나타내고, "0"인 경우에는 "발진출력 정지"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지 않았거나 또는 바이메탈이 작동중이 아니면(NO),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스타트 버튼(11)이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
이 때, 상기 제 5 단계(S5)에서 스타트 버튼(11)이 온되면(YES), 상기 마이컴(60)은 회로잠김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0"이면(NO) 발진출력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 여기서, 상기 회로잠김 플래그가 "1"로 셋팅된 경우에는 "회로잠김" 상태를 나타내고, "0"인 경우에는 "회로풀림"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 6 단계(S6)에서 발진출력 플래그가 "0"이면(NO), 상기 마이컴(60)은 스타트발진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0"이면(YES)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45㎑부터 발진 시작함과 동시에 상기 팬(83)을 작동시킨다(S7). 여기서, 상기 스타트발진 플래그가 "1"로 셋팅된 경우에는 "스타트발진 완료"인 상태를 나타내고, "0"인 경우에는 "스타트발진 완료가 아닌" 상태를 나타낸다.
그런후, 상기 마이컴(60)은 스타트발진 플래그를 "1"로 셋팅한다(S8).
이 때, 상기 제 7 단계(S7)에서 스타트발진 플래그가 "1"이거나 또는 상기 제 8 단계(S8) 이후, 상기 마이컴(60)은 현재의 주파수값이 40㎑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으면(NO) 주파수값을 "1"만큼 감소시킨다(S9).
그런후, 상기 마이컴(60)은 현 주파수가 최종목표 주파수(23㎑)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YES) 현시점의 소비전류값을 기준 전류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1"로 셋팅함과 동시에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출력한 후 리턴한다(S10).
반면에, 상기 제 5 단계(S5)에서 스타트 버튼(11)이 온되지 않으면(NO), 상기 마이컴(60)은 발진출력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0"이면(NO) 다시 리턴하는 한편, "1"이면(YES)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변경한다(S11).
그런후, 상기 마이컴(60)은 소정시간(약 30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경과하면(YES) 상기 팬(83)을 정지시킨 후 리턴하는 한편, 경과하지 않으면(NO) 소정시간 경과 여부를 계속 확인한다(S12).
한편, 상기 제 6 단계(S6)에서 발진출력 플래그가 "1"이면(YES), 상기 마이컴(60)은 현재의 소비전류값이 기준 소비전류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
이 때, 상기 제 13 단계(S13)에서 현재의 소비전류값이 기준 소비전류값을 초과하면(NO), 상기 마이컴(60)은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기준전류값에 맞게 주파수 조절하여 출력한다(S14).
반면에, 상기 제 10 단계(S10)에서 현 주파수가 최종목표 주파수(23㎑)와 동일하지 않거나(NO), 상기 제 13 단계(S13)에서 현재의 소비전류값이 기준 소비전류값 이하이거나(YES), 또는 상기 제 14 단계(S14) 이후, 상기 마이컴(60)은 상기 제 1, 2 안정장치(50, 90)를 통해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가열부(80)로부터 공진과대 전류가 감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
이 때, 상기 제 15 단계(S15)에서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가열부(80)로부터 공진과대 전류가 감지되지 않으면(NO) 상기 마이컴(60)은 리턴하는 한편,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가열부(80)로부터 공진과대 전류가 감지되면(YES)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한 후 에러홀딩 카운트를 증가시킨다(S16).
그런후, 상기 마이컴(60)은 30분동안 연속 5회 이상 에러홀딩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에러홀딩이 되면(YES),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SL"을 표시함과 동시에 회로잠김 플래그를 "1"로 셋팅한 후 상기 제 12 단계(S12)로 진행한다(S17).
반면에, 상기 제 17 단계(S17)에서 30분동안 연속 5회 이상 에러홀딩이 되지 않으면(NO), 상기 마이컴(60)은 소정시간(약 30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경과하면(YES) 상기 제 5 단계(S5)의 스타트 버튼 온 판단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소정시간(약 30초)이 경과하지 않으면(NO) 다시 소정시간 경과 판단동작을 수행한다(S18).
한편, 상기 제 9 단계(S9)에서 현재의 주파수값이 40㎑와 동일하면(YES), 상기 마이컴(60)은 현재의 부하가 적정 부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적정부하이면(YES) 상기 제 9 단계(S9)의 주파수값 "1" 감소단계로 진행한다(S19).
이 때, 상기 제 19 단계(S19)에서 현재의 부하가 적정부하가 아니면(NO), 상기 마이컴(60)은 회로잠김 플래그를 "1"로 셋팅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상기 [표 1]의 "LS(저부하)" 또는 "HS(고부하)"를 표시한다(S20).
그런후, 상기 마이컴(60)은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시킴과 동시에 상기 팬(83)을 정지시킨 후 리턴한다(S21).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IGBT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펄스를 생성함에 있어 일정한 딜레이 타임만을 갖는 동일한 기준 주파수를 사용하여 생성해 줌으로써, 복수의 IGBT가 동시에 온되는 현상 자체를 없애주어 경제적 손실을 줄여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용자의 작업중에 빈번히 일어나는 가열부의 워킹코일 쇼트 또는 히트 싱크간 쇼트 현상, 공진과대 전류 현상, 전원 입력단의 과전류 유입 현상, 장치 내부 온도의 급상승으로 인한 과열 현상을 신속히 감지한 후 이에 따른 대처 방안으로 복수의 IGBT를 자동으로 일시 정지시켜 줌으로써, 고가의 IGBT를 포함한 부품들의 파손현상을 없애주어 시스템 안정화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장치의 현 운용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운용자에게 정확히 알려주는 기능을 부가해 줌으로써, 운용자로 하여금 가열기기의 현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손쉬운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장치에서 제 1 안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장치에서 제 2 안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4는 도 1의 각부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튼부 20 : 정류부
30 : 전류 감지부 40 : 버퍼
50 : 제 1 안정장치 60 : 마이컴
70 : IGBT 구동펄스 발진부 80 : 가열부
90 : 제 2 안정장치 100 : 전원 공급부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온도 센서
130 : 바이메탈

Claims (12)

  1. 복수개의 IGBT(대용량 TR)를 구비한 전자유도 가열장치에 있어서,
    스타트 버튼 및 상태점검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
    상용 AC 입력 전압을 DC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면 에러 홀딩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안정장치;
    상기 스타트 버튼이 온 되면 동일한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출력하되, 상기 전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소비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상승 조절하여 출력하고, 에러 홀딩신호 또는 암쇼트 에러신호가 입력되면 로우(Low) 상태이던 리셋 신호를 하이(High)로 출력함과 동시에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다시 리셋 신호를 로우(Low)로 출력함과 동시에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해제시키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딜레이 타임(DT)을 갖는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입력받은 후 소정의 논리 연산처리를 통해 두 개의 IGBT 발진 주파수(A, B)를 생성하되,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하이 상태의 리셋 신호와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주파수 발진 동작이 정지되는 IGBT 구동펄스 발진부;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로부터 두 개의 IGBT 발진 주파수(A, B)를 입력받음에 따라 소정 간격(t)을 두고 상기 두 개의 IGBT를 교대로 번갈아 온시킴으로 상기 정류부의 고주파 전압을 워킹 코일에 교호로 공급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두 개의 IGBT에서 암 쇼트 또는 공진과대 전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암쇼트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안정장치;
    상기 각 블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마이컴의 제어하에 시스템의 내부 상태 및 에러 상황을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및
    히트싱크의 과열을 감지하는 바이메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더 구비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일 경우 리셋 신호를 하이(High)로 출력하여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류 감지부 및 상기 마이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소비 전류값을 필터링한 후 상기 마이컴으로 공급하는 버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소비 전류 기준값을 설정함에 있어, 상기 스타트 버튼이 온된 후 상기 기준 주파수(OSC1, OSC2)의 발진이 끝나는 시점에서의 소비 전류값을 체크하여 기준값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정장치는,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서지 전압이 감지되면 이를 출력하는 서지전압 감지부;
    상기 서지전압 감지부로부터 서지 전압을 입력받아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 접속되어, 전압 안정화 역할을 수행하는 제너 다이오드(ZD1); 및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서지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별한 후 과전류로 판별되면 에러 홀딩신호를 상기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비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제 1 기준 주파수(OSC1)를 입력받은 후 a 출력단으로는 상기 제 1 기준 주파수(OSC1)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반면에, b 출력단으로는 상기 제 1 기준 주파수(OSC1)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1 IC 연산부;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제 2 기준 주파수(OSC2)를 입력받은 후 c 출력단으로는 상기 제 2 기준 주파수(OSC2)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반면에, d 출력단으로는 상기 제 2 기준 주파수(OSC2)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 2 IC 연산부;
    베이스 단자는 상기 마이컴의 리셋 출력단에 접속되고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며 콜렉터 단자는 5V 전원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하이 상태의 리셋 신호를 입력받으면 턴온되는 트랜지스터(Q1);
    각각의 입력단이 상기 제 1, 2 IC 연산부의 a, c 출력단, 5V 전원 입력단 및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2 IC 연산부의 a, c 출력단으로부터 제 1, 2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입력받으면 이를 난드(NAND) 연산하여 출력하다가,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5V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동작이 정지되는 제 1 난드 게이트;
    각각의 입력단이 상기 제 1, 2 IC 연산부의 b, d 출력단, 5V 전원 입력단 및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2 IC 연산부의 b, d 출력단으로부터 반전된 제 1, 2 기준 주파수(, )를 입력받으면 이를 난드(NAND) 연산하여 출력하다가,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에러홀딩 제어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5V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동작이 정지되는 제 2 난드 게이트;
    상기 제 2 난드 게이트의 출력 주파수를 반전시킨 제 1 IGBT 발진 주파수(A)를 상기 가열부로 공급하는 제 3 IC 연산부;
    상기 제 1 난드 게이트의 출력 주파수를 반전시킨 제 2 IGBT 발진 주파수(B)를 상기 가열부로 공급하는 제 4 IC 연산부; 및
    상기 마이컴의 리셋 출력단에 e 입력단이 접속되고 f 입력단은 접지되어 있으며 g 출력단은 상기 제 1 내지 4 IC 연산부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컴의 리셋 신호가 로우 상태일 경우 상기 제 1 내지 4 IC 연산부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다가, 상기 마이컴의 리셋 신호가 하이 상태로 바뀌면 g 출력단으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 1 내지 4 IC 연산부의 동작을 모두 정지시키는 오어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에서 출력한 제 1 발진 주파수(A)에 따라 상기 제 1 IGBT를 온/오프시키는 제 1 IGBT 구동부;
    상기 IGBT 구동펄스 발진부에서 출력한 제 2 발진 주파수(B)에 따라 상기 제 2 IGBT를 온/오프시키되, 상기 제 1 IGBT와 소정 간격(t)을 두고 교대로 번갈아 온/오프시키는 제 2 IGBT 구동부;
    상기 워킹 코일을 사이에 두고 제 1, 2 IGBT와 각각 병렬로 접속된 제 1, 2 공진 커패시터(Cr1, Cr2); 및
    상기 제 1, 2 IGBT 히트싱크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컴의 제어하에 스위칭 온/오프되어 내부 열을 식히는 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정장치는, 상기 가열부에서 암 쇼트 또는 공진과대 전류가 발생됨에 따라 과전압이 발생하면 이를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 접속되어 전압 안정화 역할을 수행하는 제너 다이오드(ZD2);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과전압과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여 과전압 여부를 판별한 후 과전압으로 판별되면 암쇼트 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로부터 암쇼트 발생신호를 입력받으면 구동되므로 상기 마이컴으로 암쇼트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태점검 버튼이 단계적으로 온됨에 따라 시스템의 현상태인 "FC : 현재 주파수(20Khz∼45Khz)", "AC : 소비전류", "tC : 시스템 내부 온도", 및 "UC : 전압 레벨"과;
    에러 상황인 "UL : 전압 낮음(170V 이하)", "UH : 전압 높은(242V 이상)", "AH : 과전류", "LS : 40Khz에서 소비전류 부족(발진 구동 스타트시)", "HS : 소비전류 과대", "SL : 30분동안 연속 서지 5회 작동", "bo : 방열판 과열", "tH : 온도센서 과열(60도 이상 : 시스템 내부 온도 과열)", 및 "tE : 온도센서 불량" 등과 같은 상태를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
  10. 복수개의 IGBT(대용량 TR)를 구비한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마이컴이 전원이 온되면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이 아니면, 상기 마이컴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현재 입력 전압을 "UL(저전압)" 또는 "UH(고전압)"로 표시한 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함과 동시에 리턴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AC 입력 전압레벨이 정상이면 상기 마이컴이 온도 센서를 통해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었는지 또는 바이메탈이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었거나 또는 바이메탈이 작동중이면, 상기 마이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tH" 또는 "bo"로 표시한 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함과 동시에 리턴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장치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값 이상으로 과열되지 않았거나 또는 바이메탈이 작동중이 아니면, 상기 마이컴이 스타트 버튼이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스타트 버튼이 온되면, 상기 마이컴이 회로잠김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0"이면 발진출력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서 발진출력 플래그가 "0"이면, 상기 마이컴이 스타트발진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0"이면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45㎑부터 발진 시작함과 동시에 팬을 작동시키는 제 7 단계;
    상기 마이컴이 스타트발진 플래그를 "1"로 셋팅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 스타트발진 플래그가 "1"이거나 또는 상기 제 8 단계 이후, 상기 마이컴이 현재의 주파수값이 40㎑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주파수값을 "1"만큼 감소시키는 제 9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이 현 주파수가 최종목표 주파수(23㎑)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현시점의 소비전류값을 기준 전류값으로 설정하고 이후 발진출력 플래그를 "1"로 셋팅함과 동시에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각각 딜레이 타임(DT)을 두고 출력한 후 리턴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스타트 버튼이 온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컴이 발진출력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0"이면 다시 리턴하는 한편, "1"이면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변경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이 소정시간(약 30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경과하면 팬을 정지시킨 후 리턴하는 한편, 경과하지 않으면 소정시간 경과 여부를 계속 확인하는 제 1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발진출력 플래그가 "1"이면, 상기 마이컴이 현재의 소비전류값이 기준 소비전류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3 단계;
    상기 제 13 단계에서 현재의 소비전류값이 기준 소비전류값을 초과하면, 상기 마이컴이 두 개의 기준 주파수(OSC1, OSC2)를 기준전류값에 맞게 주파수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0 단계에서 현 주파수가 최종목표 주파수(23㎑)와 동일하지 않거나, 상기 제 13 단계에서 현재의 소비전류값이 기준 소비전류값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제 14 단계 이후, 상기 마이컴이 제 1, 2 안정장치를 통해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거나 또는 가열부로부터 공진과대 전류가 감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5 단계;
    상기 제 15 단계에서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지 않음과 동시에 가열부로부터 공진과대 전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컴이 리턴하는 한편,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거나 또는 가열부로부터 공진과대 전류가 감지되면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한 후 에러홀딩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제 16 단계;
    상기 마이컴이 30분동안 연속 5회 이상 에러홀딩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에러홀딩이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SL"을 표시함과 동시에 회로잠김 플래그를 "1"로 셋팅한 후 상기 제 12 단계로 진행하는 제 17 단계;
    상기 제 17 단계에서 30분동안 연속 5회 이상 에러홀딩이 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컴이 소정시간(약 30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경과하면 상기 제 5 단계의 스타트 버튼 온 판단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소정시간(약 30초)이 경과하지 않으면 다시 소정시간 경과 판단동작을 수행하는 제 18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에서 현재의 주파수값이 40㎑와 동일하면, 상기 마이컴이 현재의 부하가 적정 부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적정부하이면 상기 제 9 단계의 주파수값 "1" 감소단계로 진행하는 제 19 단계;
    상기 제 19 단계에서 현재의 부하가 적정부하가 아니면, 상기 마이컴이 회로잠김 플래그를 "1"로 셋팅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LS(저부하)" 또는 "HS(고부하)"를 표시하는 제 20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이 발진출력 플래그를 "0"으로 셋팅시킴과 동시에 팬을 정지시킨 후 리턴하는 제 21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 가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44094A 2004-06-15 2004-06-15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5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094A KR100559162B1 (ko) 2004-06-15 2004-06-15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094A KR100559162B1 (ko) 2004-06-15 2004-06-15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782U Division KR200361334Y1 (ko) 2004-06-15 2004-06-15 전자유도 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936A true KR20050118936A (ko) 2005-12-20
KR100559162B1 KR100559162B1 (ko) 2006-03-15

Family

ID=3729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094A KR100559162B1 (ko) 2004-06-15 2004-06-15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1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43B1 (ko) * 2007-01-26 2008-08-05 한국중부발전(주) 고주파가열기
CN113411927A (zh) * 2021-05-21 2021-09-17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设备工作控制方法及装置
WO2023234537A1 (ko) * 2022-05-31 2023-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전 가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87B1 (ko) 2008-02-12 2011-04-29 주식회사 파세코 전기쿡탑의 과열방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759B1 (ko) * 1995-11-22 1999-04-15 김광호 전자유도가열기기의 igbt 구동장치
KR100218473B1 (ko) * 1997-05-29 1999-09-01 구자홍 전자조리기의 스위칭회로
JP2002110330A (ja) 2000-09-29 2002-04-12 Zojirushi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20040018594A (ko) * 2002-08-23 2004-03-04 남병성 전자기유도가열장치
KR100574427B1 (ko) * 2004-02-16 2006-04-27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유도가열조리기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43B1 (ko) * 2007-01-26 2008-08-05 한국중부발전(주) 고주파가열기
CN113411927A (zh) * 2021-05-21 2021-09-17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加热设备工作控制方法及装置
WO2023234537A1 (ko) * 2022-05-31 2023-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전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162B1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8599B2 (en) Power transducer
JP6279192B1 (ja)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の異常検出方法
JP2012070573A (ja) インバータ装置の過電圧保護方法
KR100559162B1 (ko) 전자유도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61334Y1 (ko) 전자유도 가열장치
JPH06325866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のサージ発生防止回路
TWI465893B (zh) Cpu供電電路保護系統
JP658036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電子機器、液晶表示装置
KR101273530B1 (ko) 스위칭소자 보호 기능이 구비된 전압 공진형 유도가열장치
CN106793220B (zh) 电磁加热装置的电容放电方法、电路及电磁炉
KR100655245B1 (ko)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KR101093539B1 (ko) 유도 가열 코일의 연결 불량에 의한 회로 손상 방지 기능을 구비한 유도 가열 장치
KR200422688Y1 (ko)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EP3565119B1 (en) Thermal protection of smps switch
KR100771622B1 (ko) 피에프씨 과전압 차단장치
KR100486663B1 (ko) 전동 모터용 시동 회로
KR19980028572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과열 방지방법
KR101186217B1 (ko) 공진작용에 따른 악영향을 예방한 전압 공진형 유도가열장치
KR100874776B1 (ko)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CN216086141U (zh) 电源适配器
KR101380743B1 (ko) 파워소자가 단락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전원공급장치
KR200442150Y1 (ko) 필라멘트 과전압 감지 보호기능을 갖는 전자식 안정기
JP5619982B1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28084B1 (ko) 유도 가열조리기의 인버터 제어회로
JPH10225133A (ja) 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