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776B1 -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776B1
KR100874776B1 KR1020070064809A KR20070064809A KR100874776B1 KR 100874776 B1 KR100874776 B1 KR 100874776B1 KR 1020070064809 A KR1020070064809 A KR 1020070064809A KR 20070064809 A KR20070064809 A KR 20070064809A KR 100874776 B1 KR100874776 B1 KR 10087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switch
comparator
signa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학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조건 하에서 정확하게 동작하여 스위칭 소자를 보호하는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는 공진부와, 구동신호에 따라 공진부로의 구동전압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인버터와, 기준전위를 기준으로, 인버터의 컬렉터-이미터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와, 기준전위를 기준으로, 공진부로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와, 제1판단부와 제2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인가받는 오픈 컬렉터 단자와, 오픈 컬렉터 단자로부터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구동 제어부와, 인버터 구동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은 인버터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인버터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PROTECTING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가 구비된 유도 가열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버터 제어부 20: 판단부
30: 인버터 동작 제어부
본 발명은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조건 하에서 정확하게 동작하여 스위칭 소자를 보호하는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가열조리기는 워킹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이 솥을 통과할 때 와전류가 흘러 솥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에 의해서 취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유도가열조리 기의 기본적인 가열원리를 살펴보면, 워킹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성체인 오븐은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하여 열이 가해지면서, 오븐 내부에서는 취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유도가열조리기의 경우에는 자력선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정크기의 고주파전압을 워킹코일에 인가해야 한다. 이때 인가되는 고주파전압에 의해서 워킹코일은 약 1300W의 강한 화력을 갖게 된다. 상기 워킹코일로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가 인버터회로이다. 종래의 펄스폭변조회로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인버터회로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스위칭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로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가열기기의 구성도이다.
유도가열 기기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BD1)와,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하는 캐패시터(C1)와, 캐패시터(C1)에 연결된 LC여파기(L1, C2)와, 평활된 직류전압을 공급받는 공진부(L과 C3)와, 평활된 직류전압이 공진부(L과 C3)에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Q1)로 이루어지는 공진 인버터회로부를 구비하여, 취사 중에서 가열 공정 등의 고열이 용기(K)에 이르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Q1)의 Vce(컬렉터-이미터 간 전압)(공진전압)을 인가받아 일정 크기의 전압으로 감압하는 제1 전압 분배기(R1', R2')와, 공진부(L과 C3)의 입력전압(Vin)을 인가받아 일정 크기의 전압으로 감압하는 제2 전압 분배기(R3', R4')가 구비된다.
또한, 제1전압 분배기(R1', R2')에 의한 전압은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비교기(CP1')의 반전단자에 입력되고, 제2전압 분배기(R3', R4')에 의한 전압은 다이 오드(D2')를 통하여 비교기(CP1')의 반전단자에 입력된다.
비교기(CP1')의 비반전단자는 인가전원(Vcc)에 대한 제3전압 분배기(R6', R7')에 의해 감압된 전압이 인가된다. 비교기(CP1')의 출력은 래치회로(1)에 인가된다.
래치회로(1)는 비교기(CP1')으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인버터 제어부(2)로 동작 신호 또는 정지(inhibit) 신호를 인가한다.
인버터 제어부(2)는 동작 신호 또는 정지 신호에 따른 출력을 생성하고, 인버터 구동부(4)는 이 출력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Q1)를 직접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복귀회로(3)는 마이컴(미도시)에 제어에 의해 스위치(Q1)의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래치회로(1)의 동작이 해제되도록 하여 인버터 제어부(2)가 스위치(Q1)를 온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칭 소자에 대한 보호기능을 구비한 유도가열 기기는 공진부(L과 C3)의 입력전압 및 스위치(Q1)의 Vce를 단일 비교기(CP1')에 인가하므로, 정확한 전압 감지가 어려우며, 그에 따라 스위칭 소자에 대한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의 다양한 불량 요인에 대한 감지를 통한 스위칭 소자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에 대한 보호 구동 시에, 일정 시간 이후에 스위칭 소자가 재가동되도록 하는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에 대한 보호 구동 후에, 스위칭 소자에 대하여 초기 동작 상태로 재가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는 공진부와, 구동신호에 따라 공진부로의 구동전압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인버터와, 기준전위를 기준으로, 인버터의 컬렉터-이미터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와, 기준전위를 기준으로, 공진부로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와, 제1판단부와 제2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인가받는 오픈 컬렉터 단자와, 오픈 컬렉터 단자로부터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구동 제어부와, 인버터 구동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은 인버터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인버터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호 장치는 인버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포함된 온 신호의 합에 대응하는 누적전위를 생성하는 적분회로와, 기준전위를 기준으로, 누적전위를 비교하여, 인버터의 온 시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오픈 컬렉터 단자로 출력하는 제3판 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장치는 기준전위와, 인버터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위를 비교하여, 인버터의 온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오픈 컬렉터 단자로 출력하는 제4판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장치는 인가전원에 따라기준전위를 생성하여 제1 내지 제4판단부에 인가하는 기준전위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버터 구동 제어부는 오픈 컬렉터 단자로부터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인버터 정지 신호를 생성하는 지연부와, 인버터 정지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인버터의 온 시간을 제어하는 출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장치는 마이컴으로부터의 스타팅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스위치부에 인가하는 제1신호 전송부를 구비하고, 스위치부는 신호 전송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장치는 지연부의 인버터 정지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제2신호 전송부를 구비하고, 마이컴은 인버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여, 유도 가열 기기를 초기 동작 상태로 재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전압공진형인버터를 채용한 유도가열기기에서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인 IGBT 의 불량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IGBT의 불량률이 높은 이유는 전압공진형인버터는 회로 구성이 간단한 반면 스위칭 소자에는 상용 전압보다 약 4배 정도의 고압이 걸리기 때문이다.
IGBT의 불량이 발생하는 이유로는 크게 3가지의 원인을 가진다.
첫째는 IGBT의 콜렉터-에미터간 전압(이하 Vce)이 규격을 초과하는 것이고, 둘째는 IGBT 전류(이하 Ic)의 규격 초과, 셋째는 IGBT의 동작 온도가 규격을 초과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IGBT의 불량 원인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 판단 수단 또는 감지 수단을 개별로 분리시키고, 판단 수단이 작동되면 일정 시간 동안 인버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입력전류 감지 및 인버터 제어부를 제어(Inhibit)하여 인버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인버터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가 구비된 유도 가열 기기의 구성도이다.
유도가열 기기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BD1)와,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하는 캐패시터(C1)와, 캐패시터(C1)에 연결된 LC여파기(L1, C2)와, 평활된 직류전압을 공급받는 공진부(L과 C3)와, 평활된 직류전압이 공진부(L과 C3)에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Q1)로 이루어지는 공진 인버터회로부를 구비하여, 취사 중에서 가열 공정 등의 고열이 용기(K)에 이르도록 한다.
유도 가열 기기는 인버터 구동 제어부(30)로부터의 출력(펄스폭 변조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치(Q1)의 구동 신호로 변환 생성하는 인버터 구동부(12)를 구비하고, 스위치(Q1)는 이 구동 신호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평활된 직류전압이 공 진부(L과 C3)로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한다.
보호 장치는 IGBT인 스위치(Q1)를 보호하기 위해 IGBT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20)를 구비한다. 이 판단부(20)는 비교기(CP1 내지 CP4)의 모든 출력을 인가받는 오픈 컬렉터 단자(OCT)를 구비한다. 이 오픈 컬렉터 단자(OCT)는 비교기(CP1 내지 CP4)의 출력을 모두 공통으로 묶어 비교기(CP1 내지 CP4)의 출력 중 어느 하나라도 LOW 상태가 되면, 오픈 컬렉터 단자(OCT)의 출력은 LOW 신호가 된다. 또한, 비교기(CP1 내지 CP4)의 출력이 모두 HIGH 신호인 경우에, 오픈 컬렉터 단자(OCT)는 Open 상태가 된다.
보호 장치는 오픈 컬렉터 단자(OCT)의 출력을 수신하여, 인버터 구동부(12)를 제어하는 인버터 동작 제어부(30)가 구비된다. 인버터 동작 제어부(30)는 오픈 컬렉터 단자(OCT)로부터의 판단 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받고, 기준 전위를 반전단자로 입력받는 비교기(CP5)를 구비하는 래치부(32)와, 기준 전위를 생성하여 비교기(CP5)에 인가하면서 비교기(CP5)의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지연부(34)로 이루어진 상태 지연부를 구비한다. 상태 지연부는 판단부(20)의 판단 결과에 따른 인버터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판단 결과에 어떠한 이상인 있는 것인 경우, 상태 지연부는 인버터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다.
또한, 인버터 동작 제어부(30)는 상태 지연부로부터의 인버터 구동 신호(인버터 정지 신호, 인버터 동작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부(Q2, Q3)를 구비하고, 스위치부(Q2, Q3)의 온/오프 동작에 따른 출력을 수행하는 인버터 제어부(10)를 구비한다.
자세하게, 판단부(20)는 공진부(L과 C3)의 컬렉터-이미터 전압(Vce)인 공진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기(CP1)와, 공진부(L과 C3)로의 입력전압(Vin)인 구동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기(CP2)와, 스위치(Q1)의 온 시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기(CP3)와, 스위치(Q1)의 온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기(CP4)를 구비하며, 이들 비교기(CP1 내지 CP4)에 인가전원(VCC)이 전압분배부(R5, R6)에 의해 감압 분배된 기준전위가 인가된다. 이 기준전위는 비교기(CP1 내지 CP4)를 통하여, 상술된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에 적합하게 조절된 값이다.
먼저, 공진부(L과 C3)의 공진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기(CP1)을 살펴본다.
비교기(CP1)는 비반전단자로 기준전위를 인가받고, 스위치(Q1)의 공진전압(Vce)이 전압분배부(R1, R2)에 의해 감압 분배된 전압을 인가받는다. 전압분배부(R1, R2)는 상당히 고전압인 공진전압(Vce)이 비교기(CP1)에 인가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진전압(Vce)을 분배하여 반전단자로 인가한다. 여기서의 전압 분배의 비는 기준전위와 관련되어 정해진다. 비교기(CP1)는 공진전압(Vce)의 분배 전압이 기준전위보다 작으면 HIGH 신호인 판단 결과(즉, 정상 상태)를 출력하고, 공진전압(Vce)의 분배 전압이 기준전위보다 크면, LOW 신호인 판단 결과(즉, 이상 상태)를 출력한다. 이 판단 결과는 공진전압(Vce)이 기준전위인 규격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것이다.
비교기(CP2)는 비반전단자로 기준전위를 인가받고, 반전단자로 스위치(Q1)의 구동전압의 전압분배부(R3, R4)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인가된다. 전압분배부(R3, R4)는 상당히 고전압인 구동전압이 비교기(CP2)에 인가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동전압을 분배하여 반전단자로 인가한다. 여기서의 전압 분배의 비는 기준전위와 관련되어 정해진다. 비교기(CP2)는 구동전압의 분배 전압이 기준전위보다 작으면 HIGH 신호인 판단 결과(즉, 정상 상태)를 출력하고, 구동전압의 분배 전압이 기준전위보다 크면, LOW 신호인 판단 결과(즉, 이상 상태)를 출력한다. 이 판단 결과는 구동전압이 기준전위인 규격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것이다.
비교기(CP3)는 비반전단자로 기준전위가 인가되고, 반전단자로 스위치(Q1)의 게이트의 신호(구동신호)를 저항(R9)와 캐패시터(C4)로 구성된 적분 회로에 의해 적분된 전위가 인가된다. 스위치(Q1)의 게이트의 구동신호 중에서 온 신호 또는 온 시간에 비례하여, 스위치(Q1)의 컬렉터 전류가 증가하게 되므로, 구동 신호 중에서 온 신호 또는 온 시간에 대응되는 적분 회로에 의해 적분된 전위를 사용하여, 스위치(Q1)의 컬렉터 전류가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비교기(CP3)의 반전단자에는 적분 회로와 함께, 다이오드(D1)와, 저항(R8, R10)으로 이루어진 방전회로가 구비되어, 인버터 구동부(12)가 오프 신호 또는 오프 시간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인가할 때, 캐패시터(C4)의 신속한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비교기(CP4)는 반전단자로 기준전위를 인가받고, 비반전단자로 인가전원(VCC)에 대한 저항(R7)과 서미스터(TH1)의 분배 전압을 인가받는다. 서미스터(TH1)는 스위치(Q1)에 부착된 히트싱크(미도시)에 부착되거나, 히트싱크에 근접하여 부착되어, 스위치(Q1)의 온도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면, 서미스터(TH1)로 부온도 계수(NCT)형이 사용될 경우, 스위치(Q1)의 온도가 정상 범위 이내인 경우, 서미스터(TH1)의 저항값이 증가하게 되어, 분배 전압이 증가하게 되어, 비교기(CP4)의 판단 출력은 HIGH 상태(즉, OPEN 상태)가 된다. 또한, 스위치(Q1)의 온도가 정상 규격 이상인 경우, 서미스터(TH1)의 저항값이 감소하게 되어, 분배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비교기(CP4)의 판단 출력은 LOW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래치부(32)에 대한 것으로서, 오픈 컬렉터 단자(OCT)로부터의 판단 신호가 HIGH 상태(즉, OPEN 상태)인 경우, 즉 비교기(CP1 내지 CP4)의 출력이 모두 HIGH 상태인 경우, 비교기(CP5)의 비반전단자로 인가전원(VCC)에 대한 전압분배부(R11, R12)에 의한 분배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비교기(CP5)의 반전단자는 인가전원(VCC)에 대한 전압분배부(R13, R14)에 의한 분배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전압분배부(R11, R12)에 의한 분배 전압이 전압분배부(R13, R14)에 의한 분배 전압보다 크도록 저항값들을 조절하여, 비교기(CP5)의 출력이 HIGH 상태(인버터 동작 신호)가 되도록 한다.
또한, 오픈 컬렉터 단자(OCT)로부터의 판단 신호가 LOW 상태(인버터 정지 신호)인 경우, 즉 비교기(CP1 내지 CP4)의 출력 중의 적어도 하나가 LOW 상태인 경우, 비교기(CP5)로 LOW 상태가 인가되어 비교기(CP5)의 출력은 LOW 상태로 래치된다. 이때, 비교기(CP5)의 반전단자는 인가전원(VCC)에 대한 전압분배부(R13, R14)에 의한 분배 전압이 LOW 상태의 신호보다 높은 전위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기(CP5)의 출력은 저항(R15)에 의해 귀환되어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저항(R16)을 통하여 전압분배부(R13, R14)의 중간에 연결되며, 캐패시터(C6)가 저항(R14)에 병렬로 연결된다. 저항(R12)에 병렬로 캐패시터(C5)가 연결된다.
또한, 비교기(CP5)의 출력과, 인가전원(VCC)에 연결된 저항(R17)이 위치되고, 캐소드가 비교기(CP5)의 출력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입력전류 검출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와, 캐소드가 비교기(CP5)의 출력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스위치(Q2)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3)을 구비한다. 입력 전류 검출단자는 마이컴(미도시)에 연결되어, 비교기(CP5)의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입력전류 검출단자로 LOW 상태가 인가된다. 그 반대의 경우에, 입력전류 검출단자로 HIGH 상태가 인가된다. 이러한, 입력전류 검출단자의 상태에 따라, 마이컴은 입력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내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인버터 제어부(10) 등이 새로운 구동(재구동 또는 초기 동작 상태)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Q2, Q3)에서, 스위치(Q2)의 베이스는 다이오드(D3)에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는 인가전원(VCC)에 연결되고, 컬렉터 단자는 스위치(Q3)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Q3)의 컬렉터 단자는 인버터 제어부(10)에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는 접지된다.
또한, 스위치(Q3)의 베이스 단자에는 인가전원(VCC)가 저항(R18, R19)를 통하여 인가되되, 저항(R18)과 (R19) 사이에 스타팅 회로(또는 초기스타팅 회로)(36)가 연결된다. 스타팅 회로(36)는 마이컴에 연결되어, 유도 가열 기기의 초기 동작 상태에서 마이컴의 신호(스타팅 신호)에 따라 출력을 인가한다. 예를 들면, 스타팅 회로(36)의 출력이 HIGH(또는 OPEN) 상태인 경우, 인가전원(VCC)이 저항(R18, R19)을 통해 스위치(Q3)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되어, 스위치(Q3)가 온되어, 인버터 제어 부(1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스위치(Q1)의 정지된다. 반면에, 스타팅 회로(36)의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스위치(Q3)가 오프되어, 인버터 제어부(10)가 동작하여, 스위치(Q1)의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동작 과정이 설명된다.
스위치(Q1)에 이상이 있는 경우, 비교기(CP5)의 출력은 LOW 상태가 되고, 저항(R15)에 의해 LOW 상태로 래치 된다. 저항(R13, R14)에 의해 분배된 전압이 반전단자에 입력되고, 비교기(CP5)의 출력이 LOW 상태로 래치 되는 동안, 캐패시터(C6)와 저항(R16)의 시정수를 가지고 방전하게 된다. 비교기(CP5)의 반전단자(-)로의 인가 전압이 비반전단자(+)의 전압보다 낮아지는 동안, 비교기(CP5)의 출력은 LOW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비교기(CP5)의 출력이 LOW 상태인 경우, 입력전류 검출단자가 LOW 상태가 되며, 스위치(Q2) 및 (Q3)가 온되어, 인버터 제어부(10)의 동작이 정지(inhibit)되어, 스위치(Q1)의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입력전류 검출단자가 마이컴에 연결되어, 마이컴에서 입력전류 상태 또는 내솥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마이컴에서 입력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내솥이 없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의 간격을 가지고 동작 신호가 나와 재 가동하게 된다. 일정 시간 이후에, 마이컴은 인버터 제어부(10) 등에 신규의 구동을, 즉 초기 동작 상태를 수행할 수 있는 신호를 인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의 다양한 불량 요인에 대한 감지를 통한 스위칭 소자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기의 사용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에 대한 보호 구동 시에, 일정 시간 이후에 스위칭 소자가 재가동되도록 하여, 스위칭 소자의 보호와, 신속한 취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에 대한 보호 구동 후에, 스위칭 소자에 대하여 초기 동작 상태로 재가동시켜서, 스위칭 소자를 보다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Claims (7)

  1. 공진부와;
    구동신호에 따라 공진부로의 구동전압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인버터스위치와;
    기준전위를 기준으로, 스위치의 컬렉터이미터 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기(CP1)와;
    기준전위를 기준으로, 공진부로 인가되는 구동전압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기(CP2)와;
    비교기(CP1)와 비교기(CP2)의 판단 결과를 인가받는 오픈 컬렉터 단자와;
    오픈 컬렉터 단자로부터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동작 제어부와;
    인버터 동작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은 스위치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인버터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인버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포함된 온 신호의 합에 대응하는 누적전위를 생성하는 적분회로와, 기준전위를 기준으로, 누적전위를 비교하여, 스위치의 온 시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오픈 컬렉터 단자로 출력하는 비교기(CP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기준전위와, 스위치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위를 비교하여, 스위치의 온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오픈 컬렉터 단자로 출력하는 비교기(CP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보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인가전원에 따라 기준전위를 생성하여 비교기(CP1 내지 CP4)에 인가하는 전압 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보호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버터 동작 제어부는 오픈 컬렉터 단자로부터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인버터 정지 신호를 생성하는 상태 지연부와, 인버터 정지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스위치의 온 시간을 제어하는 출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마이컴으로부터의 스타팅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스위치부에 인가하는 스타팅 회로를 구비하고, 스위치부는 스타팅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보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상태 지연부의 인버터 정지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입력전류 검출 단자를 구비하고, 마이컴은 인버터 정지 신호를 수신하여, 유도 가열 기기를 초기 동작 상태로 재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KR1020070064809A 2007-06-28 2007-06-28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KR10087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809A KR100874776B1 (ko) 2007-06-28 2007-06-28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809A KR100874776B1 (ko) 2007-06-28 2007-06-28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776B1 true KR100874776B1 (ko) 2008-12-19

Family

ID=4037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809A KR100874776B1 (ko) 2007-06-28 2007-06-28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77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7561B1 (en) Inverter control circuit and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device
JP6280975B2 (ja) リレーの誤作動検出装置
KR101911258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0629334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EP2999302B1 (en) Induction hob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cookware
KR100874776B1 (ko)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KR100865237B1 (ko) 유도 가열 기기
JP2013000203A (ja) 誘導加熱式炊飯器
KR200442900Y1 (ko) 유도 가열 기기의 보호 장치
KR950013318A (ko) 반도체 소자(igbt, mosfet)를 사용한 crt(tv 브라운관)제조용 유도 가열 전원장치
KR101093539B1 (ko) 유도 가열 코일의 연결 불량에 의한 회로 손상 방지 기능을 구비한 유도 가열 장치
JP2009064750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00010679A (ko) 전자유도 가열기의 구동회로
KR100904237B1 (ko) 유도 가열 회로의 오프 타임 제어 장치
RU2313924C2 (ru) Индукционная варочная панель
US7355348B2 (en) Ballast for a discharge lamp having a continuous-operation control circuit
JP58928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074485B1 (ko) 유도 가열 조리기의 스위칭 소자 보호 장치
KR101191298B1 (ko) 워킹 코일의 결속 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유도 가열 장치
KR100904236B1 (ko) 최소 스위칭 오프 시간을 보장하는 ih 회로 제어 장치
KR100712840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전류 제어방법
JP2005203176A (ja) 誘導加熱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KR20090116074A (ko)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보호회로 및 보호회로를 포함하는유도가열 조리기기
EP3432683B1 (en) Induction cooker, method of operation and computer program
KR100628084B1 (ko) 유도 가열조리기의 인버터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