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688Y1 -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 Google Patents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688Y1
KR200422688Y1 KR2020060012113U KR20060012113U KR200422688Y1 KR 200422688 Y1 KR200422688 Y1 KR 200422688Y1 KR 2020060012113 U KR2020060012113 U KR 2020060012113U KR 20060012113 U KR20060012113 U KR 20060012113U KR 200422688 Y1 KR200422688 Y1 KR 200422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inverter
pow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싸이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싸이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싸이버텍
Priority to KR2020060012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6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인버터로 다수의 패널을 점등시키는 인버터에 있어서, 전원입력부를 통해 상용전원인 AC 전원이 입력된 후 낙뢰 또는 유도성 전동기기의 역기전력에 의한 과도한 입력전압 유입시 패널 및 인버터를 보호하는 서지 보호회로부와 상기 서지 보호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노이즈 성분이나 인버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에 대해 노이즈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상용전원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입력 필터부와 상기 입력 필터부에서 노이즈가 필터링 된 상용전원을 인버터에 필요한 DC 성분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와 상기 정류회로부를 통해 유입된 맥류를 저장하는 리액터부와 상기 리액터부에서 안정된 전압을 생성하는 평활회로부와 상기 리액터부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며 PFC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펄스폭을 제어하는 PWM 방식의 PFC 스위칭부와 상기 입력 필터부와 정류회로부, 평활회로부로 인해 변형된 상용전원의 전류위상을 전압위상과 일치시켜 역률을 보상하는 PFC 제어부와 상기 정류회로부에서 정류한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인버터 내부의 각종 소자들의 직류전압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와 상기 보조 전원부에서 발생한 전압에 의해 패널의 점등형태를 제어하는 MCU부와 상기 MCU부의 제어로 패널의 미체결, 패널의 파손, 패널로 연결되는 라인단선 및 패널 쇼트 상태를 자동감지하는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와 상기 MCU부에서의 ON/OFF 신호에 의해 주파수 발생 여부의 동작을 하며 패널별 해당 주파수를 결정짓는 부분으로써 패널별로 공진 되어지는 포인트를 설정하는 패널 제어부와 상기 패 널 제어부에서 펄스 출력 신호를 받아 PFC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패널 스위칭부와 상기 패널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된 전력량을 해당 패널에 생성된 캐패시턴스 성분과 인가된 주파수 값에 맞춰 공진 동작 및 변압 동작을 수행하고 패널을 점등시키는 트랜스 포머부로 구성되어 있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이다.
인버터, 플라즈마, PFC, 역률보정회로, 패널

Description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High Efficiency plasma inverter}
도 1은 종래의 기본적인 인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의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에서 감지한 패널의 상태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와 패널을 연결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서지 보호회로부 110 : 입력 필터부
120 : 정류회로부 130 : 리액터부
140 : 평활회로부 150 : PFC 스위칭부
160 : PFC 제어부 170 : 보조 전원부
180 : MCU부 190 :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
200 : 패널 제어부 210 : 패널 스위칭부
220 : 트랜스 포머부
본 고안은 하나의 인버터로 다수의 패널을 점등시키며 또한 하나의 패널을 블록별로 구분하여 점등이 가능하도록 한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플라즈마 광고용 패널에 필요한 고주파 싸인 웨이브를 발생시키며 상기 인버터와 연결된 패널의 각종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패널을 보호하고 각 패널의 점등형태를 제어할 수 있는 대용량, 고전압 및 소비전력을 극대화시킨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이다.
일반적으로 인버터(Inverter)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Converter)와 구별되었지만, 최근에는 전력전자 부분이 발달하면서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장치가 값싸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인버터라고 하면 컨버터 기능과 인버터 기능을 함께 갖춘 것을 말하기도 하며 그 사용목적에 따라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또는 변환 시킬수 있는 기능도 있다.
인버터의 원리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 후, 다시 임의의 주파수와 전압의 교류로 변환시켜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사전 적 의미로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장치를 일컫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AC 전원의 전압 및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를 통칭한다.
상기와 같은 인버터의 실제 구성은 상용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Converter) 부분과 DC 전원을 재단하여 전압 및 주파수가 변화된 AC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 부분으로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통상적으로 인버터(Inverter)라 호칭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본적인 인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로,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되는 전원이 AC 전원으로 되어있으며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하여 콘덴서로 평활하여 DC 전원으로 만들어 주며, 이렇게 만들어진 DC 전원을 스위칭소자(주로 IGBT)에 의하여 +,-를 교번하여 극성을 바꾸어 변압기에 입력시킨다. 변압기 2차는 AC 전원이며, 스위칭 소자에 신호를 주는 드라이브 기판과 제어기판이 별도로 있어 원하는 방식으로 AC 전원 특성을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버터는 출력전압이 낮아 저용량의 장치에 적합하며 조도가 흐리고 크기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크기 때문에 대용량의 기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기기의 파손 및 미체결로 인한 단선으로 발생하는 상기 인버터를 포함한 회로기판의 손상을 초래하며, 누전이나 인체의 감 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점등시키는 인버터는 하나의 인버터로 다수의 패널을 점등시키거나 상기 패널을 블록으로 나누어 점등하지 못하였으며, 점등변화가 없어 심미적 만족도를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플라즈마 광고용 패널에 필요한 고주파 싸인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인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인버터 내부에 패널의 각종 상태를 감지하는 보호회로를 내장하여 패널의 파손, 패널의 미체결, 패널불량에 따른 과부하 상태를 감지하고 우선시 누전에 의한 인체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패널을 ON/OFF 시 패널의 백라이트 밝기가 어두운 것에서 밝은것으로 단계적으로 변하는 기능과 하나의 패널 또는 다수의 패널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인버터로 다수의 패널을 점등시키며 또한 하나의 패널을 블록별로 구분하여 점등이 가능하도록 한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인버터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플라즈마 광고용 패널에 필요한 고주파 싸인 웨이브를 발생시키며 패널의 각종 상태를 감지하는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상기 패널을 보호하고 각 패널의 점등형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역률보상회로를 적용하여 대용량, 고전압 및 소비전력을 극대화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이다.
이하,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인버터로 다수의 패널을 점등시키는 인버터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용전원인 AC 전원이 입력된 후 낙뢰 또는 유도성 전동기기의 역기전력에 의한 과도한 입력전압 유입시 패널 및 인버터를 보호하는 서지(Surge) 보호회로부(100)와;
상기 서지(Surge) 보호회로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노이즈 성분이나 인버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에 대해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를 사용하여 상기 상용전원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입력 필터부(110)와;
상기 입력 필터부(11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 된 상용전원을 인버터에 필요한 DC 성분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120)와;
상기 정류회로부(120)를 통해 유입된 맥류를 저장하는 리액터부(130)와;
상기 리액터부(130)에서 안정된 전압을 생성하는 평활회로부(140)와;
상기 리액터부(140)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며 PFC(Power Factor Collection)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펄스폭을 제어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의 PFC(Power Factor Collection) 스위칭부(150)와;
상기 입력 필터부(110)와 정류회로부(120), 평활회로부(140)로 인해 변형된 상용전원의 전류위상을 전압위상과 일치시켜 역률을 보상하는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제어부(160)와;
상기 정류회로부(120)에서 정류한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인버터 내부의 각종 소자들의 직류전압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170)와;
상기 보조 전원부(170)에서 발생한 전압에 의해 패널의 점등형태를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와;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의 제어로 패널의 미체결, 패널의 파손, 패널로 연결되는 라인(Line) 단선 및 패널전 쇼트 상태를 자동감지하는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190)와;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에서의 ON/OFF 신호에 의해 주파수 발생 여부의 동작을 하며 패널별 해당 주파수를 결정짓는 부분으로써 패널별로 공 진 되어지는 포인트를 설정하는 패널 제어부(200)와;
상기 패널 제어부(200)에서 펄스 출력 신호를 받아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패널 스위칭부(210)와;
상기 패널 스위칭부(210)로부터 전달된 전력량을 해당 패널에 생성된 캐패시턴스 성분과 인가된 주파수 값에 맞춰 공진 동작 및 변압 동작을 수행하고 패널을 점등시키는 트랜스 포머부(220);로 구성되어 있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에 대하여 각 구성요소 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에서 상기 인버터로 AC 90V ~ 264V / 47HZ ~ 63HZ 의 상용전원이 입력이 되면, 상기 입력된 상용전원에 대해서 서지(Surge) 보호회로부(100)는 낙뢰 또는 유도성 전동기기의 역기전력에 의한 과도한 입력 전압 유입시 패널 및 인버터를 보호하며, 상기 서지(Surge) 보호회로부(100)는 바리스터(Varistor)를 사용해 보호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서지(Surge) 보호회로부(100)를 통하여 유입된 상용전원은 입력 필터부(110)에서 노이즈 필터(Noise Filter)를 사용하여 노멀 모드 노이즈(Noraml Mode Noise)와 코먼 모드 노이즈(Common Mode Noise)와 같은 상용전원으로 유입되는 노이즈 성분이나 인버터 스위칭시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가 상용전원 측으로 넘어가 지 못하도록 그라운드로 돌려 회수하거나 발열을 통해 소진되도록 하여 공통으로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다른 기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입력 필터부(110)를 통해 전달된 상용전원은 정류회로부(120)에서 전파 정류하여 인버터 입력에 필요한 맥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주며, 파워 써미스터(Power Thermister)를 이용하여 상기 인버터에 상용전원이 입력되면 콘덴서에 충전되기 위해 순간적으로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발생 되어지는 과도한 순간 돌입전류(Inrush Current)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정류회로부(120)를 통해 유입된 120HZ의 맥류는 리액터부(130)에 저장이 된다. 또한 정류한 전압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에너지 탱크로써 상기 리액터부(130)는 충전 또는 방전을 시키는 스위칭부인 PFC(Power Factor Collection) 스위칭부(150)에서 PFC(Power Factor Collection) 스위칭 동작에 의해서 생성된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가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리액터부(130)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는 상기 평활회로부(140)로 유입되어 상기 인버터에 필요한 DC 380V ~ 400V로 평활한다.
여기서 상기 PFC(Power Factor Collection) 스위칭부(150)는 PFC(Power Factor Collection) 출력전압을 DC 380V ~ 400V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펄스폭을 제어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의 스위칭부로써 입력전압의 변동에도 항상 일정전압을 유지시켜준다.
일반적인 인버터나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으로 인가되어지는 상용전원의 전압 및 전류위상이 코일 성분 및 콘덴서 성분에 의해 위상편차가 발생하므로 상기 인버터도 상기 입력 필터부(110)와 정류회로부(120), 평활회로부(140)를 지나면서 위상편차가 발생하여 상용전원의 소비전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제어부(160)는 역률보정부로써 상기 상용전원의 전류위상을 전압위상과 일치시켜 역률을 보상하는 부분으로 두 위상의 편차를 줄여 상용전원의 소비전력 감소를 극대화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각종 전기 기기에 맞도록 변환시켜 주는 모듈형의 전원공급장치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나 인버터는 50% ~ 60% 정도의 에너지 효율을 갖는 반면에 PFC(Power Factor Collection) 회로, 즉 역률보정회로에 의해 90% 이상의 에너지 효율을 갖는다.
또한 상기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제어부(160)는 PFC(Power Factor Collection) 출력전압을 DC 380V ~ 400V의 일정한 전압을 만들어내기 위해 출력전압을 검출하고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전용 IC(Integrated Circuit) 내부의 기준전압과 비교증폭시켜 전압이 감소되면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의 펄스폭을 넓히고, 반대로 전압이 상승하면 펄스폭을 좁혀 항상 일정한 DC 전압을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제어부(160)는 PFC(Power Factor Collection) 출력전압이 필요이상 전압으로 상승이 되어지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과전압에 의해 보호기능을 가져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패널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정류회로부(120)에서 정류한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인버터 내부에 사용된 각종 IC(Integrated Circuit)들의 전원을 만들어 공급해주는 보조 전원부(170)는 상기 정류회로부(120)에서 입력받은 전압을 DC 10V ~ 15V 정도의 전압으로 공급하여준다.
상기 보조 전원부(170)에서 발생한 전압을 입력받는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는 인버터 내부의 핵심소자로써 패널의 점등형태를 제어한다.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는 패널을 ON/OFF 시키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상기 패널이 점등될 시에 단계적으로 명도가 변하는 효과를 가지는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능의 프로그램을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에 내장하여 상기 패널에 광택감과 함께 은은한 변화감을 주는 등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며, 한 개의 패널 내에서 각각 블럭별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고 또한 패널#1 ~ 패널#N 까지 다수의 패널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유영을 결정하는 드라이브 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며, 라디오의 볼륨처럼 돌려서 빛을 조절하여 각 각의 패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를 정확하고 섬세하게 조절을 할 수 있어 볼륨의 조절상태에 따라 다양한 점등 프로그램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는 인버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인버터를 보호하는 보호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는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190)와 연결되어 상기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190)에서 감지한 상태신호에 따라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보호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의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에서 감지한 패널의 상태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버터의 출력으로 공급되어지는 전류를 감시하여 상기 전류가 O ↔ I1 구간으로 감지가 되면 상기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190)는 패널 미체결 상태로 인식하여 상기 패널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매 초마다 상기 인버터 출력을 다시 내보내 공급된 출력에 대한 전류를 감지하여 동일구간의 전류이면 매 초마다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감시하는 HICCP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HICCP 동작을 반복하다가 I1 ↔ I2 구간의 전류가 감지되어지면 패널의 정상 체결로 인식해 정상적인 출력상태임을 나태내고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에 전송시켜 패널 점등을 정상화시킨다.
또한 상기 패널 상태 김지회로부(190)의 감지신호가 I2 ↔ I3 구간으로 나타나면 패널의 파손 및 쇼트와 같은 이상상태로 인식하여 과전류가 출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차단하며 상기 O ↔ I1 구간의 HICCUP 동작을 반복하여 패널이 정상화되는지를 판별한다.
그러므로 상기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190)는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인하여 패널의 미체결(무부하), 패널의 파손(무부하 또는 과부하), 패널로 연결되는 라인(Line) 단선 및 패널의 쇼트 상태를 자동감지하며, 상기 상태가 감지되며 전력을 차단하여 우천시 누전 및 인체의 감전사고 또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누전 현상을 억제시킨다.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180)에서의 ON/OFF 신호에 의해 주파수 발생 여부의 동작을 하는 패널 제어부(200)는 패널별 해당 주파수를 결정짓는 부분으로써 패널별로 공진 되어지는 포인트를 설정한다.
상기 패널 제어부(200)에서 펄스 출력 신호를 받아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패널 스위칭부(210)의 회로구성은 클램프모드(Clamp Mode)의 스위칭 구조를 하고 있으며 상기 스위칭된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전원을 트랜스 포머부(220)로 전달한다.
상기 패널 스위칭부(210)로부터 전달된 전력량을 해당 패널에 생성된 캐패시턴스 성분과 인가된 주파수 값에 맞춰 공진 동작 및 변압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트랜스 포머부(220)는 상기 패널을 실질적으로 점등을 시킨다.
그리고 상기 패널 제어부(200), 패널 스위칭부(210)와 트랜스 포머부(220)는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패널 수와 동일한 갯수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와 패널을 연결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버터와 연결되는 각각의 패널을 패널 제어부(200), 패널 스위칭부(210)와 트랜스 포머부(220)를 하나만 구비하여 상기 패널의 점등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는 PFC(Power Factor Collection) 회로를 사용하여 각 부품에 보다 더 안정된 전류를 공급하며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류가 열로 전환되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는 상기 인버터 내부에 패널의 각종 상태를 감지하는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패널의 파손, 패널의 미체결, 패널불량에 따른 과부하 상태를 감지하고, 우천시 누전으로 인한 인체의 감지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는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능과 한 개의 패널 내에서 각각 블럭별로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고 또한 여러 개의 패널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드라이브 회로를 내장하여 상기 패널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으며 심미적으로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하나의 인버터로 다수의 패널을 점등시키며 또한 하나의 패널을 블록별로 구분하여 점등이 가능하도록 한 인버터에 있어서,
    상용전원인 AC 전원이 입력된 후 낙뢰 또는 유도성 전동기기의 역기전력에 의한 과도한 입력전압 유입시 패널 및 인버터를 보호하는 서지(Surge) 보호회로부;
    상기 서지(Surge) 보호회로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노이즈 성분이나 인버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에 대해 노이즈 필터(Noise Filter)를 사용하여 상기 상용전원 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입력 필터부;
    상기 입력 필터부에서 노이즈가 필터링 된 상용전원을 인버터에 필요한 DC 성분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
    상기 정류회로부를 통해 유입된 맥류를 저장하는 리액터부;
    상기 리액터부에서 안정된 전압을 생성하는 평활회로부;
    상기 리액터부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며 PFC(Power Factor Collection)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펄스폭을 제어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의 PFC(Power Factor Collection) 스위칭부;
    상기 입력 필터부와 정류회로부, 평활회로부로 인해 변형된 상용전원의 전류위상을 전압위상과 일치시켜 역률을 보상하는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제어부;
    상기 정류회로부에서 정류한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인버터 내부의 각종 소자 들의 직류전압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상기 보조 전원부에서 발생한 전압에 의해 패널의 점등형태를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부;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의 제어로 패널의 미체결, 패널의 파손, 패널로 연결되는 라인(Line) 단선 및 패널의 쇼트 상태를 자동감지하는 패널 상태 감지회로부;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에서의 ON/OFF 신호에 의해 주파수 발생 여부의 동작을 하며 패널별 해당 주파수를 결정짓는 부분으로써 패널별로 공진 되어지는 포인트를 설정하는 패널 제어부;
    상기 패널 제어부에서 펄스 출력 신호를 받아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패널 스위칭부;
    상기 패널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된 전력량을 해당 패널에 생성된 캐패시턴스 성분과 인가된 주파수 값에 맞춰 공진 동작 및 변압 동작을 수행하고 패널을 점등시키는 트랜스 포머부;
    로 구성되어 있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Surge) 보호회로부는 바리스터(Varistor)를 사용해 보호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부는 상용전원 초기 투입시 발생되어지는 과도한 순간 돌입전류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FC(Power Factor Collection) 스위칭부는 입력전압의 변동에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제어부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의 펄스폭을 조절하여 일정한 DC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FC(Power Factor Collection) 제어부는 PFC(Power Factor Collection) 출력전압의 과전압 발생할 경우 패널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는 패널의 점등 시에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는 다수의 패널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하며 각 패널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점등 변경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부는 인버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과열로 인한 상기 인버터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KR2020060012113U 2006-05-04 2006-05-04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KR200422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113U KR200422688Y1 (ko) 2006-05-04 2006-05-04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113U KR200422688Y1 (ko) 2006-05-04 2006-05-04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673A Division KR100655245B1 (ko) 2006-05-04 2006-05-04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688Y1 true KR200422688Y1 (ko) 2006-07-28

Family

ID=4177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113U KR200422688Y1 (ko) 2006-05-04 2006-05-04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6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15B1 (ko) 2007-01-29 2007-07-25 (주) 썬테크발전기 역률보상회로를 구비한 발전기
KR101043544B1 (ko) * 2009-04-29 2011-06-2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회로
KR101108798B1 (ko) * 2009-04-29 2012-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15B1 (ko) 2007-01-29 2007-07-25 (주) 썬테크발전기 역률보상회로를 구비한 발전기
KR101043544B1 (ko) * 2009-04-29 2011-06-2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회로
KR101108798B1 (ko) * 2009-04-29 2012-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3831B2 (ja) 電源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221473A (zh) 功率因数校正电路的控制方法,功率因数校正电路和照明机构的操作装置
EP2608381B1 (en) AC-DC converter
WO2017013391A1 (en) Vacuum cleaner having a dual power supply
KR200422688Y1 (ko)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CN105485731A (zh) 微波炉电路和微波炉
KR100655245B1 (ko) 고효율 플라즈마 인버터
CN105517219A (zh) 微波炉电路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微波炉
KR100820308B1 (ko) 배터리 충전 장치
KR100358764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CN106793220B (zh) 电磁加热装置的电容放电方法、电路及电磁炉
KR200431523Y1 (ko) 배터리 충전 장치
CA2892030C (en) Low power detection and alarm
KR101170804B1 (ko) 서지 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진형 인버터
KR101273530B1 (ko) 스위칭소자 보호 기능이 구비된 전압 공진형 유도가열장치
CN113346731B (zh) 压缩机停机电路、方法及空调器
CN109217686A (zh) 一种基于stm32可调电压的高压等离子放电电源设备
JP4061080B2 (ja) 放電灯点灯装置
CN110099469B (zh) 电磁感应加热装置及其保护控制电路
CN208849678U (zh) 一种基于stm32可调电压的高压等离子放电电源设备
JP201113570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321244B1 (ko) 공기조화기의 고조파 억제장치 및 그 억제방법
CN205351423U (zh) 微波炉电路和微波炉
EP3641498B1 (en) Microwave oven circuit,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microwave oven circuit and microwave oven
CN104935158A (zh) 新型零电压开关电路及双向变换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