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468A -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 Google Patents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468A
KR20050117468A KR1020040081288A KR20040081288A KR20050117468A KR 20050117468 A KR20050117468 A KR 20050117468A KR 1020040081288 A KR1020040081288 A KR 1020040081288A KR 20040081288 A KR20040081288 A KR 20040081288A KR 20050117468 A KR20050117468 A KR 20050117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bimetal
leaf spring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시도시하루
미나미우라마사토
Original Assignee
와꼬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꼬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꼬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7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4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6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01H37/5409Bistable switches; Reset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리세트축이 압입된 상태에서는 통전을 차단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고정접점 (2) 은 베이스 (1) 에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 (4) 은 기단부가 베이스 (1) 에 지지되고 선단부에 가동접점 (3) 이 형성되어 가동접점 (3) 을 고정접점 (2) 으로 탄성 지지한다. 가동조작부재 (5) 는 베이스 (1) 에 요동 가능하게 축받이되고 기단부 (5b) 가 압하됨으로써 선단부는 상승된다. 가동조작부재 (5) 선단부의 상승은 가동접점 (3) 을 고정접점 (2) 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킨다. 가이드핀 (6) 은 가동조작부재 (5) 의 기단측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바이메탈 (7) 의 반전 동작에 의해 가동조작부재 (5) 의 기단부를 압하시킨다. 가동조작부재 (5) 하부에 설치된 리세트축 (8) 을 위쪽으로 밀어 넣으면, 가동접점 (3) 을 밀어 올리는 동시에 가이드핀 (6) 을 밀어 올려 바이메탈 (7) 을 복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MANUAL-RESET THERMOSTAT}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라 통전 여부를 전환하는 서모스탯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이메탈이 일단 반전 동작하면, 리세트축이 압입될 때까지 반전 상태를 유지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에 관한 것이다.
서모스탯은 디스크 형상의 바이메탈이 온도 변화에 따라 스냅 작동하는 것을 이용하여 접속단자 사이를 개폐시켜 통전 여부를 전환하는 전자부품이다. 즉, 설정 온도까지 상승하면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접속단자 사이를 개방하여 통전을 차단하는 한편, 소정 온도까지 저하되면 바이메탈의 복귀 동작에 의해 접속단자 사이를 폐쇄하여 통전을 재개한다.
여기서, 바이메탈이 복귀하는 온도를 상온 이하로 설정해 두면, 바이메탈이 일단 반전 동작되었을 때 상온까지 온도가 저하되어도 인위적으로 복귀 동작시키지 않는 한, 바이메탈은 반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서모스탯은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이라고 한다. 이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은 복사기 등의 각종 기기에 사용되고, 이 기기에 이상이 있어 고온이 되면, 바이메탈을 반전 동작시킴으로써 통전을 차단하여 기기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는 상온이 되어도 유지되므로, 기기의 이상 원인을 제거한 후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인위적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도 10은 종래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0 (a) 는 초기 상태, 도 10 (b) 는 바이메탈 (A) 의 반전 동작 상태, 도 10 (c) 는 리세트축 (B) 을 압입하여 바이메탈 (A) 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서모스탯은 스냅 작동하는 바이메탈 (A), 이 바이메탈 (A)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핀 (C), 가이드핀 (C) 을 통해 바이메탈 (A) 의 반전 동작이 전달되는 판스프링 (D), 이 판스프링 (D) 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핀 (C) 하부에 배치된 리세트축 (B), 판스프링 (D) 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동접점 (E) 및, 이 가동접점 (E) 상부에 대면하여 고정된 고정접점 (F) 을 구비하고 있다.
이 종래의 서모스탯은 도 10 (a) 의 상태에서 사용된다. 그 상태에서는 바이메탈 (A) 은 위로 볼록한 상태로 유지되며 가동접점 (E) 과 고정접점 (F) 이 접촉함으로써, 기기로의 통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기기의 이상으로 인해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도 10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메탈 (A) 이 반전 동작하여 아래로 볼록한 상태가 되어 가이드핀 (C) 을 아래쪽으로 압하시킨다. 따라서, 가이드핀 (C) 을 통해 판스프링 (D) 이 압하되고 가동접점 (E) 이 고정접점 (F) 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간되어 접점 (E,F) 끼리 개방되고, 기기로의 통전이 차단된다.
그리고, 이 서모스탯에서는 바이메탈 (A) 이 일단 반전 동작하면, 상온까지 온도가 내려가도 바이메탈 (A) 의 반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도 10 (a) 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도 10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세트축 (B) 을 밀어 넣을 필요가 있다. 리세트축 (B) 을 밀어 넣으면, 판스프링 (D) 및 가이드핀 (C) 을 통해 바이메탈 (A) 을 위쪽으로 밀어 올려 바이메탈 (A) 이 위로 볼록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리세트축 (B) 을 밀어 넣은 후 리세트축 (B) 을 프리로 하면, 서모스탯은 도 10 (a) 의 상태로 되돌아가는데, 판스프링 (D) 의 상향 탄성지지력에 의해 가동접점 (E) 과 고정접점 (F) 의 접촉 상태는 유지된다.
그러나, 이 종래의 서모스탯의 경우, 기기 사용시에 어떠한 사정에 의해 서모스탯의 리세트축 (B) 이 압입된 상태로 유지되면, 도 10 (c) 의 상태로 유지되어 버린다. 그러면, 그 다음 설정 온도에 도달해도 바이메탈 (A) 은 반전 동작할 수 없어 접점을 개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통전이 지속되어 기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건 특허 출원인은 먼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98980호에 개시되어 있는 서모스탯을 제안하고 있다. 도 11은 이 종래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1 (a) 는 초기 상태, 도 11 (b) 는 바이메탈 (A) 의 반전 동작 상태, 도 11 (c) 는 리세트축 (B) 을 압입하여 바이메탈 (A) 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종래의 서모스탯은 가동접점 (E1,E2) 과 고정접점 (F1,F2) 으로 이루어진 개폐 접점을 2 세트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 (E1,E2) 은 판부재 (D1) 의 양 끝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메탈 (A) 이 반전 동작한 경우에는 일측 개폐 접점 (E1,F1) 이 개방되는 한편, 리세트축 (B) 이 압입된 경우에는 타측 개폐 접점 (E2,F2) 이 개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세트축 (B) 이 압입된 상태에서는 기기로의 통전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종래의 서모스탯은 개폐 접점이 2세트 필요하고 부품 점수가 많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이 비싸질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세트축이 압입된 상태에서는 통전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을 갖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접속단자 사이의 내부 접속이 차단되고, 리세트축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 사이의 내부 접속이 복귀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으로, 상기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또는 상기 리세트축의 삽입 동작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가동접점 및 이 가동접점에 대면하여 고정 배치된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진 개폐 접점을 1세트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고정접점보다 상기 바이메탈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 접점이 폐쇄되도록 상기 바이메탈과 반대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이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상기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바이메탈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 접점이 개방되고, 상기 리세트축이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바이메탈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 접점이 개방되고 상기 리세트축이 삽입되어 있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접점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접점에 맞닿도록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된 가동접점, 기단부가 압하됨으로써 선단부는 상승되고, 그 선단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가동조작부재,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조작부재의 기단부를 압하하는 가이드핀 및, 상기 가동조작부재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가동접점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가이드핀을 통해 상기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리세트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이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접점, 이 고정접점 상면에 맞닿도록 판스프링에 의해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되는 가동접점,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축받이되고 기단부가 압하됨으로써 선단부는 상승되고, 그 선단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가동조작부재, 이 가동조작부재의 기단측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조작부재의 기단부를 압하하는 가이드핀 및, 상기 가동조작부재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동조작부재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가동조작부재 선단부에서 상기 가동접점을 밀어 올리는 동시에, 상기 가동조작부재의 기단부에서 상기 가이드핀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리세트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접점, 이 고정접점 상면에 맞닿도록 판스프링에 의해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되는 가동접점, 상기 판스프링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를 압하시켜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부를 위쪽으로 휘게 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가이드핀 및, 상기 판스프링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핀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리세트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예의 서모스탯의 분해사시도로, 후술하는 중간덮개 (15), 가이드핀 (6) 및 바이메탈 (7) 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서모스탯은, 베이스 (1) 에 고정된 고정접점 (2), 이 고정접점 (2) 에 대하여 맞닿거나 이격되는 가동접점 (3), 이 가동접점 (3) 을 고정접점 (2) 으로 탄성 지지하는 판스프링 (4), 이 판스프링 (4)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고정접점 (2) 에서 가동접점 (3) 을 이격시키는 가동조작부재 (5), 설정 온도에서 반전 동작함으로써 가이드핀 (6) 을 통해 가동조작부재 (5) 를 동작시키는 바이메탈 (7) 및, 이 바이메탈 (7) 을 반전 상태에서 복귀시키는 리세트축 (8) 을 주요부로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 (1) 는 위쪽으로 개구된 바닥 있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1) 바닥벽 (1a) 의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며 보스 (1b) 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 (1b) 의 중앙부에는 상기 바닥벽 (1a) 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축삽입통과구멍 (1c,1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삽입통과구멍은 상측이 대경 구멍 (1c) 으로 형성되고, 하측이 소경 구멍 (1d)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삽입통과구멍 (1c,1d) 에는 리세트축 (8) 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세트축 (8) 은 환봉 형상으로 되고, 그 상단에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차양부 (8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차양부 (8a) 상면은 위쪽으로 팽출된 완만한 구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세트축 (8) 은 그 차양부 (8a) 를 상기 대경 구멍 (1c) 에 배치한 상태에서 축삽입통과구멍 (1c,1d) 에 삽입된다. 축삽입통과구멍 (1c,1d) 에 삽입된 리세트축 (8) 은 상하 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하다.
하우징 (1) 의 바닥벽 상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오목부 (1e) 가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1e) 의 바닥면 우측에는, 원 형상의 제 1 홈 (1f) 과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제 1 삽입구멍 (1g)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삽입구멍 (1g) 은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하우징 (1) 의 바닥벽 (1a) 을 상하로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오목부 (1e) 좌측에는 위쪽으로의 기립부 (1h)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립부 (1h) 상면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제 2 홈 (1i) 이 형성되고, 이 제 2 홈 (1i) 의 우측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홈 (1i) 의 좌측에 인접하여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제 2 삽입구멍 (1j)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삽입구멍 (1j) 은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하우징 (1) 의 바닥벽 (1a) 을 상하로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삽입구멍 (1g) 에는 제 1 접속부재 (9) 가 설치된다. 제 1 접속부재 (9) 는 대략 L 자 형상으로 굴곡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부재 (9a) 와 그 우측 끝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재 (9b) 로 이루어진다. 수평부재 (9a) 에는 고정접점 (2) 이 형성된다. 고정접점 (2) 은 단차가 있는 짧은 원주 형상의 구리제 본체부 (2a) 상면에 원판 형상의 은합금제 정상부 (2b) 가 중첩되어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고정접점 (2) 은 본체부 (2a) 하부의 소경부가 상기 수평부재 (9a) 의 구멍으로 통과된 후 그 하단부가 코킹되어 수평부재 (9a) 에 고정된다.
그러나, 하우징 (1) 의 바닥벽 (1a) 에는 상기 보스 (1b) 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 (1) 의 직경 방향을 따른 좌우 2 군데에 제 1 단자 (10) 와 제 2 단자 (11) 가 형성된다. 제 1 단자 (10) 및 제 2 단자 (11) 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하우징 (1) 의 바닥면에 중첩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제 1 단자 (10) 는 제 1 홈 (1f) 이나 제 1 삽입구멍 (1g) 과 대응한 측에 형성되고, 제 2 단자 (11) 는 제 2 홈 (1i) 이나 제 2 삽입구멍 (1j) 과 대응한 측에 형성된다.
고정접점 (2) 이 고정된 제 1 접속부재 (9) 는 제 1 삽입구멍 (1g) 에 수직부재 (9b) 를 끼운다. 그리고, 제 1 접속부재 (9) 의 하단부는 제 1 단자 (10) 의 구멍이 관통되고 코킹되어 제 1 단자 (10) 와 일체화된다. 또한, 그 접속부에는 납땜 (12) 이 이루어진다.
한편, 하우징 (1) 의 제 2 삽입구멍 (1j) 에는 제 2 접속부재 (13) 가 설치된다. 제 2 접속부재 (13) 는 대략 L 자 형상으로 굴곡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배치된 수평부재 (13a) 와 그 좌측 끝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재 (13b) 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부재 (13a) 의 전후방향의 폭 치수는 수직부재 (13b) 의 그것보다 크다. 수평부재 (13a) 의 하단면에는 판스프링 (4) 의 기단부가 설치된다. 이 때, 수평부재 (13a) 에 형성된 아래쪽으로의 원형상 돌출부 (13c) 를 판스프링 (4) 의 원형 구멍에 끼워 그 하단부를 코킹하여 일체화된다.
판스프링 (4) 은 기단부가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선단부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의 원호는 하우징 (1) 의 원호보다 한단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 (4) 에는 중앙부에 관통구멍 (4a) 이 형성되고, 그리고 선단부에는 가동접점 (3) 이 고정된다. 가동접점 (3) 은 단차가 있는 원주 형상의 구리제 본체부 (3a) 하면에 원판 형상의 은합금제의 정상부 (3b) 가 중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동접점 (3) 은 본체부 (3a) 상측의 소경부가 상기 판스프링 (4) 의 구멍으로 통과된 후, 그 상단부가 코킹되어 판스프링 (4) 에 고정된다.
판스프링 (4) 을 통해 가동접점 (3) 이 고정된 제 2 접속부재 (13) 는 제 2 삽입구멍 (1j) 에 수직부재 (13b) 가 끼워진다. 그리고, 제 2 접속부재 (13) 의 하단부는 제 2 단자 (11) 의 구멍을 관통하고 코킹되어 제 2 단자 (11) 와 일체화된다. 또한, 그 접속부에는 납땜 (14) 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판스프링 (4) 은 기단부가 하우징 (1) 기립부 (1h) 의 상부에 지지되고, 관통구멍 (4a) 이 하우징 (1) 중앙부에 배치된다. 또한, 판스프링 (4) 의 선단부에 고정된 가동접점 (3) 은 그 정상부 (3b) 가 고정접점 (2) 의 정상부 (2b) 와 대면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그 가동접점 (3) 은 고정접점 (2) 에 맞닿도록 판스프링 (4) 에 의해 항상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된다.
하우징 (1) 의 바닥벽 (1a) 에는, 제 1 접속부재 (9) 와 제 2 접속부재 (13) 를 잇는 선과 직각으로 그리고 상기 축삽입통과구멍 (1c,1d) 을 사이에 둔 전후 위치에 축받이홈 (1k,1k)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받이홈 (1k,1k) 은 상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 (1e) 의 전후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종단면이 반원 형상 또는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후방향을 따라 그리고 위쪽으로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받이홈 (1k) 에는 가동조작부재 (5) 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가동조작부재 (5) 는 평면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이 되고, 정면에서 볼때 대략 V 자 형상으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봉 형상의 축부재 (5c-5c) 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2 개의 레그부 (5a,5a) 가 형성된다. 상기 축부재는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레그부 (5a) 는 상기 축부재로부터 우측 경사진 위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레그부 (5a,5a) 사이에는 판 형상의 연결부 (5b) 가 형성된다. 이 연결부 (5b) 의 폭 치수는 2개의 레그부 (5a,5a) 사이의 폭 치수와 대응한다. 상기 연결부 (5b) 는 상기 축부재의 좌측 경사진 위쪽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부 (5b) 와 레그부 (5a) 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V 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전후의 레그부 (5a,5a) 사이의 간극은 오른쪽으로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부재는 연결부 (5b) 및 레그부 (5a) 로부터 전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축부재 (5c,5c) 를 구비한다.
가동조작부재 (5) 는 전후의 축부재 (5c,5c) 를 하우징 (1) 의 축받이홈 (1k,1k) 에 지지되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가동조작부재 (5) 는 축부재 (5c,5c) 둘레로 요동 가능하다. 가동조작부재 (5) 의 레그부 (5a) 선단부는 판프스링 (4) 의 선단측 하면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가동조작부재 (5) 가, 그 선단부 (레그부 (5a) 의 우측 단부) 를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축부재 (5c) 둘레로 기울어지면, 가동접점 (3) 을 고정접점 (2) 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킨다.
하우징 (1) 의 상부 개구에는 중간덮개 (15) 가 장착된 후, 캡 (16) 이 형성된다. 중간덮개 (15) 는 단차가 있는 원주 형상으로, 하측 소경부 (15a) 의 외경은 하우징 (1) 의 내경에 적합하다. 또한, 상측 대경부 (15b) 의 외경은 하우징 (1) 상부의 플랜지 (1m) 의 외경에 대응한다. 따라서, 중간덮개 (15) 는 그 소경부 (15a) 가 하우징 (1) 의 상부 개구에 끼워지고, 대경부 (15b) 의 하면이 하우징 (1) 의 상면에 맞닿으며 지지되어 있다.
중간덮개 (15) 의 하면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원추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 (15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덮개 (15) 의 상면에는 아래쪽으로 오목해져 단차가 있는 얕은 원형 구멍 (15d, 15e)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덮개 (15) 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핀삽입통과구멍 (15f)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삽입통과구멍 (15f) 에는 환봉 형상의 가이드핀 (6) 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가이드핀 (6) 의 하단부는 판스프링 (4) 의 관통구멍 (4a) 을 관통하여 가동조작부재 (5) 의 기단부 (연결부: 5b) 의 전후방향 중앙 상면에 맞닿으며 지지된다. 그 상태에서는 가이드핀 (6) 의 상단부는 상기 원형 구멍 (15d) 내에 배치된다.
상기 원형 구멍의 대경부 (15e) 에는 원판 형상의 바이메탈 (7) 이 지지된다. 초기 상태의 바이메탈 (7) 은 완만하게 위쪽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소정 온도가 되면 아래쪽으로 볼록해진 상태로 반전 동작한다. 바이메탈 (7) 은 그 외주부가 상기 대경구멍 (15e) 의 하면에 지지되며 배치된다. 그리고, 그 바이메탈 (7) 을 통해 중간덮개 (15) 의 상부에 캡 (16) 이 장착된다.
캡 (16) 은 아래쪽으로만 개구된 원통 형상이고, 그 하단부에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플랜지 (16a) 를 구비한다. 이 캡 (16) 은 중간덮개 (15) 및 바이메탈 (7) 을 통해 하우징 (1) 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우징 (1) 의 플랜지 (1m) 하측 위치에서 외주부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코킹되어 하우징 (1) 에 고정된다. 이로써, 중간덮개 (15) 는 하우징 (1) 상단부와 캡 (16) 상벽 외주부 사이에 끼워 고정된다. 또한, 캡 (16) 의 상벽에는 상기 원형 구멍의 소경부 (15d) 와 대응한 위치에 위쪽으로의 원형상 오목부 (16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고정접점 (2), 가동접점 (3), 판스프링 (4), 제 1 접속부재 (9), 제 2 접속부재 (13), 제 1 단자 (10), 제 2 단자 (11) 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1), 가동조작부재 (5), 가이드핀 (6), 리세트축 (8), 중간덮개 (15) 는 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서모스탯은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미리 판스프링 (4) 에는 기단부에 제 2 접속부재 (13) 를 설치해 두고, 선단부에 가동접점 (3) 을 부착해 둔다. 또한, 제 1 접속부재 (9) 의 상단부에는 고정접점 (2) 을 부착해 둔다. 또, 하우징 (1) 의 축삽입통과구멍 (1c,1d) 에는 리세트축 (8) 을 삽입해 둔다.
다음으로, 하우징 (1) 의 제 1 삽입구멍 (1g) 에 제 1 접속부재 (9) 를 끼우고 그 하단부를 하우징 (1) 하면에 배치된 제 1 단자 (10) 에 통과시켜 코킹하고 양자를 납땜한다. 그 다음 하우징 (1) 의 축받이홈 (1k,1k) 에 가동조작부재 (5) 의 축부재 (5c,5c) 를 배치하고 하우징 (1) 내에 가동조작부재 (5) 를 지지한다. 그리고, 하우징 (1) 의 제 2 삽입구멍 (1j) 에 제 2 접속부재 (13) 를 끼우고, 그 하단부를 하우징 (1) 하면에 배치된 제 2 단자 (11) 에 통과시켜 코킹하고 양자를 납땜한다.
다음으로, 하우징 (1) 상부에 중간덮개 (15) 를 끼우고 그 핀삽입통과구멍 (15f) 에 가이드핀 (6) 을 삽입한다. 마지막에 중간덮개 (15) 상부에 바이메탈 (7) 을 놓은 상태에서 하우징 (1) 상부에 캡 (16) 을 장착하고 캡 (16) 의 외주부를 코킹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은 본 실시예의 서모스탯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도 상기 서모스탯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나, 도 5는 바이메탈 (7) 의 반전 동작 상태, 도 6은 리세트축 (8) 을 압입하여 바이메탈 (7) 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상태, 도 7은 리세트축 (8) 을 압입하여 바이메탈 (7) 을 초기 상태로의 복귀를 끝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서모스탯은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사용된다. 그 상태에서는 바이메탈 (7) 은 위로 볼록한 상태에서 고정접점 (2) 과 가동접점 (3) 이 접촉하고 있어 제 1 단자 (10) 와 제 2 단자 (11) 가 도통한다.
기기의 이상으로 인해 설정 온도보다 고온이 되면 서모스탯이 작동한다. 이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메탈 (7) 이 아래로 볼록하게 반전하고, 이로써 가이드핀 (6) 이 아래쪽으로 압입된다. 그러면, 대략 V자 형상의 가동조작부재 (5) 의 기단부 (5b) 가 아래쪽으로 압입되면서 가동조작부재 (5) 는 축부재 (5c) 둘레로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한다. 그럼으로써, 가동조작부재 (5) 의 선단부 (레그부 (5a) 의 선단부) 는 판스프링 (4) 및 이것에 고정된 가동접점 (3) 을 위쪽으로 밀어 올려 가동접점 (3) 이 고정접점 (2) 에서 떨어진다. 이로써, 제 1 단자 (10) 와 제 2 단자 (11) 의 통전이 차단된다.
도 5의 상태에서 서모스탯을 도 1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세트축 (8) 을 위쪽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리세트축 (8) 을 위쪽으로 밀어 넣으면 가동조작부재 (5) 는 하우징 (1) 의 축받이홈 (1k) 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가동조작부재 (5) 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동조작부재 (5) 의 기단부가 가이드핀 (6) 을 통해 바이메탈 (7) 을 위쪽으로 밀기 때문에, 바이메탈 (7) 을 위로 볼록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그 상태에서는 가동조작부재 (5) 의 선단부도 상승되어 가동접점 (3) 을 고정접점 (2) 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킨다. 또, 리세트축 (8) 이 충분히 압입된 상태에서도 가동조작부재 (5) 의 축부재 (5c) 가 하우징 (1) 의 축받이홈 (1k) 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서모스탯의 경우, 고정접점 (2) 을 하측으로 가동접점 (3) 을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리세트축 (8) 이 압입된 경우에는 가동조작부재 (5) 를 통해 가동접점 (3) 을 위쪽으로 이동시켜 고정접점 (2) 과 비접촉 상태로 한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령 서모스탯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리세트축 (8) 이 압입되어 있어도 가동접점 (3) 이 고정접점 (2) 에서 떨어져 통전을 확실히 차단한다. 즉, 기기의 이상 가열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전 확보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 도 8 (a) 는 서모스탯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도 8 (b) 는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 2의 서모스탯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양자의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2의 서모스탯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위쪽으로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의 하우징 (1) 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하우징 (1) 상부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중간덮개 (15), 가이드핀 (6), 바이메탈 (7), 캡 (16) 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 (1) 의 바닥벽 (1a) 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 1 단자 (10), 제 2 단자 (11), 제 1 접속부재 (9), 제 2 접속부재 (13), 판스프링 (4), 상기 제 1 접속부재 (9) 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접점 (2), 상기 판스프링 (4) 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동접점 (3), 리세트축 (8) 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 2에서는 가동조작부재 (5) 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하우징 (1) 의 바닥벽 (1a) 에는 판스프링 (4) 의 기단측이 배치된 지점에 상승부 (1h) 를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 2에서는 반대로 판스프링 (4) 의 선단측이 배치된 지점에 상승부 (1n) 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승부 (1n) 의 상부에 제 1 홈 (1f) 을 형성하고, 그 제 1 홈 (1f) 내에 고정접점 (2) 을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접속부재 (9) 및 제 2 접속부재 (13) 는 대략 L 자 형상이 아니라 단순히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부재이다. 제 1 접속부재 (9) 의 상단부에는 고정접점 (2)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속부재 (9) 의 하단부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 1 단자 (10) 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접속부재 (13) 의 상단부에는 판스프링 (4) 의 기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 2 접속부재 (13) 의 상단부를 코킹하여 설치하고 있으며, 그 코킹부와 바닥벽 (1a) 상면 사이에 판스프링 (4) 의 기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속부재 (13) 의 하단부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 2 단자 (11) 가 접속되어 있다.
판스프링 (4) 의 기단부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 2 접속부재 (13) 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판스프링 (4) 의 선단부에는 가동접점 (3) 이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 (4) 은 선단부와 기단부의 연결부가 선단쪽으로 감에 따라 위쪽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와 대응하여 하우징 (1) 의 바닥벽 (1a) 에는 고정접점 (2) 이 배치된 측에 상승부 (1n) 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승부 (1n) 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홈 (1f) 내에 고정접점 (2) 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판스프링 (4) 은 선단측의 가동접점 (3) 의 부착부와, 중앙의 가이드핀 (6) 또는 리세트축 (8) 과의 접촉부 사이의 일부에서, 그 하면이 상기 제 1 홈 (1f) 의 둘레벽 상단부 (상승부 (1n) 의 상단부) 에 대한 닿음부 (4b) 가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판스프링 (4) 에는 가이드핀 (6) 이나 리세트축 (8) 과 대응된 위치에 관통구멍 (4a) 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 2의 판스프링 (4) 에는 가이드핀 (6) 이나 리세트축 (8) 과 대응된 위치에 관통구멍 (4a) 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판스프링 (4) 의 중간부에서 그 상면에는 가이드핀 (6) 의 하단부가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하면에는 리세트축 (8) 의 상단부가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의 서모스탯은 가이드핀 (6) 의 하단부는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리세트축 (8) 의 상단부의 헤드부 (8a) 도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서모스탯에서는, 도 8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때에는 바이메탈 (7) 이 위로 볼록한 상태에서, 가동접점 (3) 은 판스프링 (4)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고정접점 (2) 에 접촉되어 있다. 그러나, 소정 온도가 되면 도 8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메탈 (7) 이 아래로 볼록한 상태로 반전되고, 가이드핀 (6) 하단부가 판스프링 (4) 의 중앙부를 아래쪽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판스프링 (4) 의 상기 닿음부 (4b) 는 상기 상승부 (1n) 의 상단부에 닿아 그 닿음부 (4b) 보다 선단측의 가동접점 (3) 을 위쪽으로 떠오르게 한다. 따라서, 고정접점 (2) 으로부터 가동접점 (3) 이 위쪽으로 이간되어 접점 (2,3) 사이의 통전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메탈 (7) 이 반전하면, 가이드핀 (6) 이 판스프링 (4) 을 아래쪽으로 누르고 이 누름부보다 선단측에 있어서 가동접점 (3) 보다 기단측의 닿음부 (4b) 가 베이스 (1) 에 형성된 돌기부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홈 (1f) 의 둘레벽 상단부) 에 접촉된다. 그럼으로써, 판스프링 (4) 은 기단부와 상기 돌기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그 사이가 가이드핀 (6) 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림으로써 상기 닿음부 (4b) 보다 선단측을 위쪽으로 휘게 한다. 따라서, 고정접점 (2) 으로부터 가동접점 (3) 이 위쪽으로 이간되어 제 1 단자 (10) 와 제 2 단자 (11) 의 통전이 차단된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 도 9 (a) 는 서모스탯의 초기 상태, 도 9 (b) 는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상태, 도 9 (c) 는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상태, 도 9 (d) 는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의 복귀를 끝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 3의 서모스탯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다음에서는 양자의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등한 지점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3의 서모스탯은 판스프링 (4) 의 구성에서 상기 실시예 2와 다르다. 상기 실시예 2의 판스프링 (4) 은 닿음부 (4b) 를 베이스 (1) 의 돌기부 (상승부 (1n) 의 상단부) 에 눌러 탄성 변형시키는 구성이었으나, 본 실시예 3의 판스프링 (4) 은 바이메탈 (7) 과 동일한 스냅 액션성을 갖게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 3의 판스프링 (4) 은 중앙부를 가이드핀 (6) 으로 아래쪽으로 눌러 일정한 변위가 되면 순간적으로 반전 동작하고, 그 다음에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도 그 반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판스프링 (4) 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리세트축 (8) 에서 반대방향의 하중을 가하여 일정 변위가 되면 순간적으로 스냅 동작하여 복귀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 3에서는 가이드핀 (6) 및 리세트축 (8) 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도시된 예의 리세트축 (8) 은 그 헤드부 (8a) 의 상면이 위쪽으로 팽출된 완만한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서모스탯의 경우, 통상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도 9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메탈 (7) 및 판스프링 (4) 은 각각 위로 볼록한 상태이다. 그럼으로써, 가동접점 (3) 은 판스프링 (4) 에 의해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되어 고정접점 (2) 과 접촉되어 있다.
그러나, 소정 온도가 되면 도 9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메탈 (7) 이 아래로 볼록한 상태로 반전하여 가이드핀 (6) 하단부가 판스프링 (4) 중앙부를 아래쪽으로 밀어 넣게 된다. 그러면, 판스프링 (4) 도 아래로 볼록한 상태로 반전하여 선단측을 위쪽으로 휘게 한다. 그럼으로써, 가동접점 (3) 은 위쪽으로 이동하여 고정접점 (2) 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 접점 분리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베이스 (1) 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9 (b) 의 상태에서 도 9 (a) 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도 9 (c) 및 도 9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세트축 (8) 을 위쪽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리세트축 (8) 을 위쪽으로 밀어 넣으면, 가동접점 (3) 은 그대로 위쪽으로 상승되어 결국 중간덮개 (15) 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해서 판스프링 (4) 의 선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또한 리세트축 (8) 을 위쪽으로 밀어 넣으면, 판스프링 (4) 이 초기 상태로 반전 복귀된다. 판스프링 (4) 이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는, 가이드핀 (6) 이 위로 밀어 올려져 가이드핀 (6) 이 바이메탈 (7) 을 밀어 올려 바이메탈 (7) 도 반전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9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세트축 (8) 이 위쪽으로 압하한 상태에서는 리세트축 (8) 의 선단부 (8a) 가 판스프링 (4) 의 중앙부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가동접점 (3) 을 고정접점 (2) 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킨다.
또, 본 발명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각 부재의 형상이나 크기는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서모스탯의 용도도 임의적이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 리세트축 (8) 의 헤드부 (8a)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상 등일수도 있다. 사각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하면, 가동조작부재 (5) 와의 접촉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판스프링 (4) 의 기단부를 제 2 접속부재 (13) 와 베이스 (1) 사이에 끼우고 지지하였으나, 판스프링 (4) 의 기단부는 베이스 (1) 에 접속되지 않고 단순히 제 2 접속부재 (13) 에 접속되어 있기만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판스프링 (4) 과 제 2 접속부재 (13) 를 동일한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 (4) 의 기단부를 대략 L 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그 아래쪽으로의 연장부를 제 2 접속부재 (13) 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세트축이 압입된 상태에서는 통전을 확실히 차단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을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서모스탯의 분해사시도로, 중간덮개, 가이드핀 및 바이메탈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5는 도 1 서모스탯의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 서모스탯의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 서모스탯의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의 복귀를 끝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 도 8 (a) 는 서모스탯의 초기 상태를, 도 8 (b) 는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 도 9 (a) 는 서모스탯의 초기 상태, 도 9 (b) 는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상태, 도 9 (c) 는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상태, 도 9 (d) 는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의 복귀를 끝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종래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0 (a) 는 초기 상태, 도 10 (b) 는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상태, 도 10 (c) 는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종래의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11 (a) 는 초기 상태, 도 11 (b) 는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상태, 도 11 (c) 는 리세트축을 압입하여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우징 (베이스) 2: 고정접점
3: 가동접점 4: 판스프링
5: 가동조작부재 5c: 축부재
6: 가이드핀 7: 바이메탈
8: 리세트축 9: 제 1 접속부재
10: 제 1 단자 (접속단자) 11: 제 2 단자 (접속단자)
13: 제 2 접속부재 15: 중간덮개
16: 캡

Claims (11)

  1.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접속단자 사이의 내부 접속이 차단되고, 리세트축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 사이의 내부 접속이 복귀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으로,
    상기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 또는 상기 리세트축의 삽입 동작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가동접점, 및 이 가동접점에 대면하여 고정 배치된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는 개폐 접점을 1세트 구비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고정접점보다 상기 바이메탈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 접점이 폐쇄되도록 상기 바이메탈과 반대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이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상기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바이메탈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 접점이 개방되고, 상기 리세트축이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바이메탈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 접점이 개방되며, 상기 리세트축이 삽입되어 있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2. 고정접점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접점에 맞닿도록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된 가동접점과,
    기단부가 압하됨으로써 선단부는 상승되고, 그 선단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가동조작부재와,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조작부재의 기단부를 압하시키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동조작부재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가동접점을 밀어 올리면서 상기 가이드핀을 통해 상기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리세트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3.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 상면에 맞닿도록 판스프링에 의해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축받이되고 기단부가 압하됨으로써 선단부는 상승되고, 그 선단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가동조작부재와,
    이 가동조작부재의 기단측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조작부재의 기단부를 압하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동조작부재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동조작부재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가동조작부재의 선단부에서 상기 가동접점을 밀어 올리는 동시에, 상기 가동조작부재의 기단부에서 상기 가이드핀을 밀어 올려 상기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리세트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위쪽으로 개구된 바닥 있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이 하우징에 상기 고정접점, 상기 가동접점, 상기 판스프링, 상기 가동조작부재 및 상기 리세트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구에 지지되는 중간덮개에 상기 가이드핀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중간덮개와 그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덮개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캡 사이에 상기 바이메탈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이메탈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핀과 상기 리세트축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핀의 하단부는 상기 판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조작부재의 기단측 상부에 맞닿게 되고,
    상기 리세트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재는 V자 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굴곡부에 형성된 축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재는 V자 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굴곡부에 형성된 축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재는 V자 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굴곡부에 형성된 축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재는 V자 형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굴곡부에 형성된 축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10.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 상면에 맞닿도록 판스프링에 의해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판스프링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를 아래쪽으로 압입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부를 위쪽으로 휘게 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가이드핀과,
    상기 판스프링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부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핀을 밀어 올려 상기 바이메탈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리세트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의 반전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이 압하되면,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핀이 접촉되는 지점보다 선단측의 일부를 상기 베이스에 누름으로써 그 닿음부보다 선단측에 형성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KR1020040081288A 2004-06-10 2004-10-12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KR20050117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72238A JP4339750B2 (ja) 2004-06-10 2004-06-10 手動復帰型サーモスタット
JPJP-P-2004-00172238 2004-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468A true KR20050117468A (ko) 2005-12-14

Family

ID=3558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288A KR20050117468A (ko) 2004-06-10 2004-10-12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18200B2 (ko)
JP (1) JP4339750B2 (ko)
KR (1) KR20050117468A (ko)
CN (1) CN17077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6148C (zh) * 2005-11-07 2008-12-24 徐佳义 手动复位温控器
CN102446658A (zh) * 2010-10-15 2012-05-09 罗兆阳 一次成型突跳式温度控制器
JP2012204319A (ja) 2011-03-28 2012-10-22 Fuji Xerox Co Ltd 熱応動スイッチ、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293296A1 (en) * 2011-05-17 2012-11-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nual reset thermostat with contact retaining spring
US20130021132A1 (en) * 2011-07-21 2013-01-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ermanent one-shot thermostat
US20130057381A1 (en) * 2011-09-06 2013-03-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ostat and method
CN104217895A (zh) * 2014-08-13 2014-12-17 东莞市凯恩电子科技有限公司 可控制多负载电路的弹片式断电复位温控开关
CN104269323A (zh) * 2014-08-13 2015-01-07 东莞市凯恩电子科技有限公司 可控制多负载电路的断电复位温控开关
CN104217897B (zh) * 2014-08-13 2017-09-15 杨彬 可控制两种电路的弹片式断电复位温控开关
CN104269324B (zh) * 2014-08-13 2017-11-10 骆伟法 可控制两种负载电路的断电复位温控开关
CN104252994A (zh) * 2014-09-19 2014-12-31 广东华田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突跳开关
BR112020023521A2 (pt) * 2018-09-20 2021-06-01 Ubukata Industries Co., Ltd. disjuntor de cc
BR102019016718A2 (pt) * 2019-08-13 2021-02-23 Emicol Eletro Eletrônica S.A. termostato
DE102019125451B4 (de) * 2019-09-20 2021-04-08 Marcel P. HOFSAESS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US11598530B2 (en) 2020-07-10 2023-03-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top appliance and heating element having a thermosta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9783A (en) * 1963-07-12 1965-11-23 Therm O Disc Inc Manual reset thermostatic control
US3525968A (en) * 1968-03-21 1970-08-25 Fasco Industries Thermostat
AU436347B2 (en) * 1968-07-01 1973-05-31 Texas Instruments Australia Limited Thermostat assembly
US3621434A (en) * 1970-02-02 1971-11-16 Therm O Disc Inc Manual reset thermostat
US3718880A (en) * 1970-11-04 1973-02-27 Texas Instruments Inc Thermostatic device and means for mounting same
US3720899A (en) * 1971-05-28 1973-03-13 Fasco Industries Thermostat with overlaod indicator
US3715699A (en) * 1971-07-15 1973-02-06 Fasco Industries Thermostat with reset pin
US3686605A (en) * 1971-11-22 1972-08-22 Fasco Industries Thermostatic for fire alarm system
US3781744A (en) * 1972-06-27 1973-12-25 Honeywell Inc Manual reset for a switch device
US3852697A (en) * 1973-07-11 1974-12-03 Therm O Disc Inc Bimetal snap disc
US3832667A (en) * 1973-07-23 1974-08-27 Texas Instruments Inc Thermostatic switch
US3924213A (en) * 1974-09-30 1975-12-02 Ranco Inc Thermostat
DE7531355U (de) * 1975-10-03 1978-04-27 Inter Control Hermann Koehler Elektrik Gmbh & Co Kg, 8500 Nuernberg Rückstellbarer Temperaturbegrenzer
US4039991A (en) * 1975-12-18 1977-08-02 Elmwood Sensors, Inc. Thermostatic switch with reset mechanism
DE3122899C2 (de) * 1981-06-10 1984-10-11 Peter 7530 Pforzheim Hofsäss Temperaturschalter
US4513570A (en) * 1983-04-25 1985-04-30 Nippon Gt Corporation Manual reset type bimetal thermostat
GB2185629B (en) * 1986-01-17 1989-01-25 Ranco Controls Ltd Trip-free resetting machanism for an on-off unit
US5003282A (en) * 1989-07-19 1991-03-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ip free/reset free manual reset
US5157370A (en) * 1992-01-29 1992-10-20 Therm-O-Disc, Incorporated Trip free thermostat
US5270799A (en) * 1993-01-27 1993-12-14 Therm-O-Disc, Incorporated Manual reset thermostat switch
JPH087730A (ja) * 1994-06-16 1996-01-12 Wako Denshi Kk サーモスタット
US5703560A (en) * 1995-09-11 1997-12-30 Elmwood Sensors, Inc. Thermostat with one-piece reset mechanism and contact assembly
JPH09198980A (ja) 1996-01-12 1997-07-31 Wako Denshi Kk 手動復帰型サーモスタット
US5929742A (en) * 1997-03-27 1999-07-27 Elmwood Sensors, Inc. Trip-free, manual reset thermost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39750B2 (ja) 2009-10-07
CN1707717B (zh) 2010-05-12
US7218200B2 (en) 2007-05-15
CN1707717A (zh) 2005-12-14
JP2005353390A (ja) 2005-12-22
US20060082432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7468A (ko) 수동 복귀형 서모스탯
US5790010A (en) Means for actuating a snap-acting M-blade
US2954447A (en) Thermostatic switch
US7479868B2 (en) Trip-free manual reset thermostat
US5278370A (en) Push switch
US3256413A (en) Wafer thin thermostat
US3213228A (en) Snap-acting mechanisms
EP1517346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rmal controls for electric heating elements
KR100417663B1 (ko) 열응동 스위치
US7005597B2 (en) Switch device
US3601741A (en) Thermostat
USRE28578E (en) Snap-acting mechanisms
US2861143A (en) Stressed blade snap switch
US4633211A (en)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NL8204487A (nl) Thermostatische schakelaar.
US7116207B1 (en) Safety device for switches
US4736514A (en) Method of making electrical switch
JP4853171B2 (ja) スイッチ
US3213240A (en) Damper means for use with snap acting element
GB2110472A (en) Electric switch
US4944083A (en)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method
GB2252674A (en) Thermally responsive electrical switches
CA2341698C (en) Means for actuating a snap-acting m-blade
US3470518A (en) Thermostatic switch assembled with a single fastener
JP2861134B2 (ja) サーモ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