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663B1 - 열응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열응동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663B1
KR100417663B1 KR10-2001-0012233A KR20010012233A KR100417663B1 KR 100417663 B1 KR100417663 B1 KR 100417663B1 KR 20010012233 A KR20010012233 A KR 20010012233A KR 100417663 B1 KR100417663 B1 KR 10041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using
piece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945A (ko
Inventor
사토히데아키
오키타마사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1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04Bases; Housings; Moun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바이메탈편을 사용한 열응동 스위치의 구조로, 바이메탈편을 하우징내로 조립할 때에, 바이메탈편을 용이하게 고정단자상에 위치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시에 바이메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열응동 스위치의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우징 (1) 과, 이 하우징 (1) 의 내저면에 배열설치된 고정접점 (3) 과, 이 고정접점 (3) 과 접촉·이탈하는 가동접점 (6) 이 일단측에 고착되고, 온도에 따라 반전가능한 반전부 (5a) 를 갖는 바이메탈편 (5) 과, 이 바이메탈편 (5) 의 타단측이 캔틸레버형상으로 고착된 고정단자 (4) 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메탈편 (5) 에 상기 고정단자 (4) 와의 고착부로부터 상기 반전부 (5a) 의 형성위치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연장아암부 (5b) 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1) 에 상기 연장아암부 (5b) 가 걸어맞춰 위치결정되는 걸어맞춤지지부 (1b) 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열응동 스위치 {THERMALLY ACTUATED SWITCH}
본 발명은, 열응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바이메탈편의 열응동에 의해 가동접점을 반전시켜 전기접점을 개폐시키는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열응동 스위치는,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금속을 복수매 부착시킨 열응동소자 (바이메탈) 를 가동편으로 하는 가동전극과, 이 가동전극과 함께 상시 폐(閉)접점형의 회로를 구성하는 고정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전기기기의 회로에 접속되어 그 전기기기를 보호하고 있다.
즉, 전기기기의 회로에 접속된 열응동 스위치는, 그 전기기기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거나, 주위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때에는, 바이메탈의 만곡반전작용으로 스위치접점을 여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기기로의 급전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기기로의 급전이 차단됨으로써 주위온도가 저하하여 바이메탈이 자동복귀하고, 스위치접점은 다시 닫음급전을 재개하기 때문에, 위험방지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전기기기를 항상 소정의 온도범위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종래의 열응동 스위치의 구조로서는,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도 7 은 열응동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8 은 동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하우징 (1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 (11) 의 내저면에는, 도전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접점 (12) 과 고정단자 (13) 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되어 배열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단자 (13) 에는, 일단측에 가동접점 (14) 이 고착된 바이메탈편 (15) 이 캔틸레버(cantilever)형상으로 고착되어 있고, 상기 가동접점 (14) 은 상기 고정접점 (12) 과 접촉·이탈가능하도록 대향하여 배열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바이메탈편 (15) 에는, 중앙에 돔형상의 반전부 (15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반전부 (15a) 가 온도 변화에 따라 반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이메탈편 (15) 은, 상기 고정단자 (13) 상에 스폿 (spot)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착되어 있고, 이 스폿용접하는 위치로서는, 상기 반전부 (15a) 를 통하여 상기 가동접점 (14) 과는 대향하는 타단측에 형성되게 되어 있다.
상기 바이메탈편 (15) 이 수납된 하우징 (11) 의 개구부를 덮도록 판형상의커버 (16) 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바이메탈편 (15) 을, 상기 고정단자 (13) 상에 고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동접점 (14) 이 고착된 상기 바이메탈편 (15) 을, 별도로 준비한 위치결정치구를 사용하여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여 지지시킨 상태로 레이저용접을 실시하여 조립해 왔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열응동 스위치의 구조에서는, 상기 바이메탈편 (15) 을, 상기 고정단자 (13) 상에 고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이메탈편 (15) 의 일단측에 고착된 상기 가동접점 (14) 과 상기 고정접점 (12) 의 부착위치를 맞추기 위해, 전용의 위치결정치구가 필요하며, 조립공정도 번잡해지기 때문에, 염가대응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위치결정치구에 의해, 상기 바이메탈편 (15) 을 끼워두기 때문에, 상기 반전부 (15a) 가 변형될 우려가 있고, 상기 바이메탈편 (15) 의 반전동작이 순조롭게 동작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바이메탈편를 사용한 열응동 스위치의 구조로 바이메탈편을 하우징내로 조립할 때에, 바이메탈편을 용이하게 고정단자상에 위치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시에 바이메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열응동 스위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열응동 스위치의 커버를 떼어 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열응동 스위치의 커버를 떼어 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고정접점 및 고정단자가 배열설치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접점 및 고정단자가 배열설치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고착한 상태의 바이메탈편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가동접점을 고착한 상태의 바이메탈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열응동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열응동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지지돌기부
1b : 홈부 (걸어맞춤지지부) 2 : 제 1 단자
2b : 접속단자부 2c : 개구부
2d : 경사부 3 : 고정접점
4 : 제 2 단자 (고정단자) 4a : 돌출부
4b : 접속단자부 4c : 개구부
4d : 경사부 5 : 바이메탈(bimetal)편
5a : 반전부 5b : 연장아암부
5c : 걸어맞춤돌기부 5d : 절곡편
6 : 가동접점 7 : 커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하우징과, 이하우징의 내저면에 배열설치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과 접촉·이탈하는 가동접점이 일단측에 고착되고, 온도에 따라 반전가능한 반전부를 갖는 바이메탈편과, 이 바이메탈편의 타단측이 캔틸레버형상으로 고착된 고정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메탈편에, 상기 고정단자와의 고착부로부터 상기 반전부의 형성위치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연장아암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상기 연장아암부가 걸어맞춰 위치결정되는 걸어맞춤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연장아암부는,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단자와의 고착부를 연결하는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평면 방향으로 각각 대향하여 연장형성되고, 이 연장아암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걸어맞춤지지부와의 걸어맞춤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걸어맞춤지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홈부에서 형성하고, 이 홈부의 내벽면과 상기 걸어맞춤돌기부를 걸어맞춰 상기 바이메탈편을 상기 고정단자상에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연장아암부에는, 상기 바이메탈편을 상기 하우징내로 조립할 때에 끼워두는, 절곡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다. 도 1 은 열응동 스위치의 커버를 떼어 낸 상태의 평면도, 도 2 은 동단면도, 도 3 은 고정접점 및 고정단자가 배열설치된 하우징의 평면도, 도 4 는 동단면도, 도 5 는 가동접점을 고착한 상태의 바이메탈편의 평면도, 도 6 은 동정면도이다.
도면에서,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의 내저부에는, 후술하는 각 단자가 배열설치되어 있고, 이 각 단자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 (1) 의 양측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의 중앙에는, 이 내저면으로부터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지지돌기부 (1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일단측에는, 직사각형상의 홈부 (1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 (1b) 에, 후술하는 바이메탈편 (5) 의 연장아암부 (5b) 가 걸어맞춰져 위치결정되게 되어 있다.
제 1 단자 (2) 는, 황동 등의 도전성의 금속재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단자 (2) 의 일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으로 표출하는 작은 원형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고정접점 (3)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단자 (2) 의 타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측면부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되어 다른 전기기기의 회로 등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부 (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단자 (2) 에는, 상기 고정접점 (3) 과 상기 접속단자부 (2b) 사이에서, 상기 고정접점 (3) 의 근방에 폭 넓은 형상의 개구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2c) 는, 상기 제 1 단자 (2) 의 길이방향의, 상기 고정접점 (3) 을 통과하는 중심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단자 (2) 의 폭방향으로, 상기 개구부 (2c) 의 폭이 상기 고정접점 (3) 의 외주폭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부 (2c) 는, 상기 고정접점 (3) 의 외주에 맞춰 회전하도록 홈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단자 (2) 에는, 상기 개구부 (2c) 를 포함하는 부분에 경사부 (2d)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부 (2d) 를 통하여 상기 고정접점 (3) 과, 상기 접속단자부 (2b) 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2) 가 상기 하우징 (1) 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 (2d) 부분이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 매설되어 부착되게 되어 있다.
제 2 단자 (4) 는, 마찬가지로 황동 등의 도전성의 금속재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단자 (4) 의 일단측에는, 프레스 등으로 두께를 한 쪽으로 치우치게 하여 돌출부 (4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 (4a) 는 후술하는 바이메탈편의 일단부를 고착하는 용착부로 되어 있다. 또, 이 제 2 단자 (4) 의 타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측면부로부터 외측으로 도출되어 다른 전기기기의 회로 등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부 (4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단자 (4) 에는, 후술하는 바이메탈편 (5) 을 고착하는 상기 돌출부 (4a) 와 상기 접속단자부 (4b)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 (4a) 의 근방에 폭 넓은 형상의 개구부 (4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4c) 는, 상기 제 2 단자 (4) 의 길이방향의, 상기 돌출부 (4a) 를 통과하는 중심선상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2 단자 (4) 의 폭방향으로, 상기 개구부 (4c) 의 폭이 상기 돌출부 (4a) 의 폭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부 (4c) 는, 상기 돌출부 (4a) 의 외주에 맞춰 회전하도록 홈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단자 (4) 에는, 상기 개구부 (4c) 를 포함하는 부분에 경사부 (4d)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부 (4d) 를 통하여 후술하는 바이메탈편이 고착되는 돌출부 (4a) 와, 상기 접속단자부 (4b) 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단자 (4) 가 상기 하우징 (1) 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 (4d) 부분이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 매설되어 부착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 (2, 4) 에, 상기 개구부 (2c, 4c) 를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수송시 또는 부착시 등에, 상기 접속단자부 (2b, 4b) 에 외력이 가해지고, 이 접속단자부 (2b, 4b) 에 판두께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등의 응력이 가해진다 해도, 상기 개구부 (2c, 4c) 에 의해 이 응력이 차단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이메탈편이나 가동접점과의 고착부나, 상기 고정접점 (3) 으로의 외부응력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고, 각 접점부의 위치변위로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온도특성이 안정된 열응동 스위치가 얻어지게 된다.
또, 상기 개구부 (2c, 4c) 를 포함하는 부분에 경사부 (2d, 4d) 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 (2d, 4d) 부분을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부에 매설하여 부착하였기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 (2, 4) 의 매설부분을 길게 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1) 의 외형을 크게 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의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납땜시의, 내부로의 플럭스 (flux) 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바이메탈편 (5) 은, 예컨대 전기저항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 고팽창재와, 전기저항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 저팽창재의, 열팽창율이 상이한 2 종류의 금속재료를 평판형상으로 적층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바이메탈편 (5) 의 자유단이 되는 일단측에는, 상기 고정접점 (3) 과 접촉·이탈하는, 은산화주석 등으로 이루어진 가동접점 (6) 이 전기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착되어 있고, 한편, 타단측은 상기 제 2 단자 (4) 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 (4a) 에 레이저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단자 (4) 와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타단측과의 결합개소는, 면 전체가 아니고, 상기 돌출부 (4a) 에서만의 부분적 결합이 되기 대문에, 상기 바이메탈편 (5) 이 반전동작하는 경우에 동작특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중앙부에는, 반전작용을 조장하기 위한 팽출된 돔형상의 반전부 (5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반전부 (5a)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온도특성, 즉 온도에 따른 반전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타단측에서, 상기 제 2 단자 (4) 와의 고착위치보다 외측에는, 상기 반전부 (5a) 의 형성위치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연장아암부 (5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아암부 (5b) 는, 상기 가동접점 (6) 과 상기 제 2 단자 (4) 의 고착부를 연결하는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평면방향으로 각각 대향하여 한쌍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연장아암부 (5b) 의 자유단측에는, 대향하는 양측면측에 활모양으로 팽출하는 걸어맞춤돌기부 (5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돌기부 (5c) 가 상기 하우징 (1) 의 상기 홈부 (1b) 의 내벽부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바이메탈편 (5) 이 상기 하우징 (1) 에 위치결정지지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아암부 (5b) 는, 상기 제 2 단자 (4) 와의 고착부를 통하여, 상기 반전부 (5a) 의 형성위치와는 반대측에 연장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바이메탈편 (5) 을 상기 하우징 (1) 에 조립할 때에,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반전부 (5a)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 상기 연장아암부 (5b) 의 자유단측에는, 대향하는 양측면측에 활모양으로 팽출하는 걸어맞춤돌기부 (5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돌기부 (5c) 가 상기 하우징 (1) 의 상기 홈부 (1b) 의 내벽부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회전방향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위치결정정밀도가 향상되게 된다.
또, 상기 연장아암부 (5b) 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의 개구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절곡편 (5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편 (5d)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이메탈편 (5) 을 상기 하우징 (1) 내로 조립할 때에, 조립 지그 등으로 상기 절곡편 (5d) 을 끼워둘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이메탈편 (5) 을 변형시키지 않고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커버 (7)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거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상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 (1) 의 내부에 배열설치된 상기 제 1, 제 2 단자 (2, 4), 상기 바이메탈편 (5), 및 상기 가동접점 (6), 상기 고정접점 (3) 등으로의 먼지나 가스 등의 영향을 방지하고 있다.
이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열응동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온 및 통상의 사용온도에서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는 상기 가동접점 (6) 과 상기 고정접점 (3) 은, 서로 접촉하여 접점이 온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어떤 원인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가동접점 (6) 이 고착되어 있는 상기 바이메탈편 (5) 에 형성된 상기 반전부 (5a) 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반전동작을 행한다. 이 때, 상기 바이메탈편 (5) 에 고착되어 있는 상기 가동접점 (6) 은, 상기 바이메탈편 (5) 과 함께 구동되고, 상기 고정접점 (3) 으로부터 이간하게 되어, 접점이 오프상태가 된다. 이 경우, 반전한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상기 반전부 (5a) 는, 그 팽출부가 반전하고, 상기 고정접점 (3) 의 방향, 즉,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온도가 하강하여 원래의 상온으로 복귀하면,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상기 반전부 (5a) 는 하강에 따라 반전 복귀하고, 상기 고정접점 (3) 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점 (6) 이 상기 고정접점 (3) 과 접촉하여 접점이 온상태가 되고, 초기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열응동 스위치의 구조에서는, 상기 바이메탈편 (5) 의 중앙부에, 온도에 따라 반전할 때의, 반전작용을 조장하기 위한 팽출된 돔형상의 반전부 (5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전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에는 상기 지지 돌기부 (1a) 를 형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온도의 하강시에, 만일에 하나, 상기 반전부 (5a) 가 서서히 온도가 변화 (서냉(徐冷)된) 함으로써, 반전되지 않고 복귀한 경우에는, 상기 반전부 (5a) 가 이 지지돌기부 (1a) 에 맞닿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점 (6) 과 상기 고정접점 (3) 과의 접촉이 이간상태로 유지되고, 온도상승시에 다시 반전할 경우의가동접점 (6) 과 고정접점 (3) 의 접점의 채터링(chattering)의 발생 방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응동 스위치는, 고정접점과 접촉·이탈하는 가동접점이 일단측에 고착되고, 온도에 따라 반전가능한 반전부를 갖는 바이메탈편에, 고정단자와의 고착부로부터 반전부의 형성위치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연장아암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하우징에 연장아암부가 걸어맞춰 위치결정되는 걸어맞춤지지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바이메탈편을 하우징에 조립할 때에, 바이메탈편의 반전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연장아암부는, 가동접점과 고정단자와의 고착부를 연결하는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평면방향으로 각각 대향하여 연장형성되고, 이 연장아암부의 자유단측에 걸어맞춤지지부와의 걸어맞춤돌기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바이메탈편의 회전방향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위치결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걸어맞춤지지부를, 하우징에 형성된 홈부에서 형성하고, 이 홈부의 내벽면과 걸어맞춤돌기부를 걸어맞춰, 바이메탈편을 고정단자상에 위치결정하였기 때문에,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연장아암부에는, 바이메탈편을 하우징내로 조립할 때에 끼워두는, 절곡편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바이메탈편을 변형시키지 않고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저면에 배열설치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과 접촉·이탈하는 가동접점이 일단측에 고착되고, 온도에 따라 반전가능한 반전부를 갖는 바이메탈편과, 이 바이메탈편의 타단측이 캔틸레버형상으로 고착된 고정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메탈편에 상기 고정단자와의 고착부로부터 상기 반전부의 형성위치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연장아암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상기 연장아암부가 걸어맞춰 위치결정되는 걸어맞춤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아암부는,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단자의 고착부를 연결하는 중심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평면방향으로 각각 대향하여 연장형성되고, 이 연장아암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걸어맞춤지지부와의 걸어맞춤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지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홈부에서 형성하고, 이 홈부의 내벽면과 상기 걸어맞춤돌기부를 걸어맞춰 상기 바이메탈편을 상기 고정단자상에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아암부에는, 상기 바이메탈편을 상기 하우징내로 조립할 때에 끼워두는, 절곡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응동 스위치.
KR10-2001-0012233A 2000-03-14 2001-03-09 열응동 스위치 KR100417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6397 2000-03-14
JP2000076397A JP2001256873A (ja) 2000-03-14 2000-03-14 熱応動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945A KR20010091945A (ko) 2001-10-23
KR100417663B1 true KR100417663B1 (ko) 2004-02-14

Family

ID=1859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233A KR100417663B1 (ko) 2000-03-14 2001-03-09 열응동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256873A (ko)
KR (1) KR100417663B1 (ko)
TW (1) TWI2213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32B1 (ko) * 2002-06-21 2004-06-04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전류 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2423B2 (ja) * 2001-12-20 2007-07-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熱応動スイッチ
JP2005108585A (ja) * 2003-09-30 2005-04-21 Alps Electric Co Ltd 熱応動スイッチ
JP2005142147A (ja) * 2003-10-15 2005-06-02 Alps Electric Co Ltd 熱応動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2420B1 (ko) * 2009-03-23 2011-05-03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접촉 가압장치
JP6967878B2 (ja) * 2017-06-01 2021-11-17 ボーンズ株式会社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
JP2017208358A (ja) * 2017-08-30 2017-11-24 ボーンズ株式会社 ブレーカー並びに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及び2次電池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32B1 (ko) * 2002-06-21 2004-06-04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전류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1303B (en) 2004-09-21
JP2001256873A (ja) 2001-09-21
KR20010091945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4708B2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二次電池
JP5886600B2 (ja) ブレーカー及びブレーカーの製造方法
JP2005129471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KR100417663B1 (ko) 열응동 스위치
JP2006004783A (ja) 保護モジュールとその組立方法
JPS6288232A (ja) 熱応動スナツプスイツチ
US11373826B2 (en) Breaker and safety circuit equipped with the same
KR100382961B1 (ko) 열응동 스위치
US5229740A (en) Thermally responsive switch
JP2005108585A (ja) 熱応動スイッチ
KR100417665B1 (ko) 열응동 스위치
JP5941289B2 (ja) ブレーカー
KR100503102B1 (ko) 열응동 스위치
JP2006031955A (ja) 熱応動スイッチ
JPH1021805A (ja) 温度スイッチ
JP5153207B2 (ja) プロテクタ
KR100537318B1 (ko) 열응동 스위치
JP2006164763A (ja) 熱応動スイッチ
WO2023120197A1 (ja) ブレーカー、安全回路及び2次電池パック
WO2023058379A1 (ja) ブレーカー、安全回路及び2次電池パック
JPH0956113A (ja) モータの給電端子
JP2001076600A (ja) 熱応動スイッチ
JP2002056840A (ja) バッテリーブレーカ
JP2020021607A (ja) 電流遮断装置、安全回路及び2次電池パック
JP2003187684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